[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3593B1 - Dish drying rack - Google Patents

Dish drying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93B1
KR101743593B1 KR1020150159038A KR20150159038A KR101743593B1 KR 101743593 B1 KR101743593 B1 KR 101743593B1 KR 1020150159038 A KR1020150159038 A KR 1020150159038A KR 20150159038 A KR20150159038 A KR 20150159038A KR 101743593 B1 KR101743593 B1 KR 10174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rying
seating
coupling
lo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5803A (en
Inventor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비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비제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비제이
Priority to KR102015015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93B1/en
Publication of KR2017005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9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의 일 양태는, 건조를 위하여 식기가 거치대는 제1거치대, 및 상기 제1거치대가 상면에 안착되는 제1트레이를 포함하는 제1건조대; 건조를 위하여 식기가 거치대는 제2거치대, 및 상기 제2거치대가 상면에 안착되는 제2트레이를 포함하는 제2건조대; 상기 제2건조대가 상기 제1건조대의 상방에 한쌍의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4개의 록킹 부재;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ware drying rack. One embodiment of a tablewar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ying table including a tableware for drying the tray, the tray having a first tray and a first tray on which the first tray is seated; A second drying table for drying the tableware, the table having a second tray and a second tray on which the second tray is seated; Wherein the second drying frame comprises a pair of frame members above the first drying frame; And four locking members for preventing the frame member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in a state where the frame member is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and for pressing the frame member in a direction to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

Description

식기 건조대{DISH DRYING RACK}DISH DRYING RACK

본 발명은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ware drying rack.

식기 건조대란, 세척된 식기를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공간의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상하 2단으로 배치되는 식기 건조대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02158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식기 건조대가 개시되어 있다.The tableware drying table is for drying washed tableware, and in recent years, a dish tray is disposed in two stages in order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prior art docu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02158), a tableware tr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losed.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하부건조대(10) 및 상부건조대(30)가 지지프레임(50)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때 하부건조대(10) 및 상부건조대(30)에는 각각 결합 돌기(15b)(35b)가 구비되고, 지지프레임(50)에는 결합 돌기(15b)(35b)가 각각 삽입되는 결합홀(54)(55)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홀(54)(55)이 상이한 방향, 예를 들면,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결합 돌기(15b)(35b)가 결합홀(54)(55)에 각각 삽입된다.Referr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conventionally, the lower drying rack 10 and the upper drying rack 30 are coupled by the support frame 50. [ The lower frame 10 and the upper frame 30 are provided with coupling protrusions 15b and 35b and the support frame 5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54 for inse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5b and 35b 55 are formed. The engaging projections 15b and 35b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54 and 55, respectively, by extending the engaging holes 54 and 55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orthogonal direction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식기 건조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the following problem arises in the conventional dishwasher.

먼저 종래에는, 하부건조대(10) 및 상부건조대(30)에 구비되는 결합 돌기(15b)(35b)가 결합홀(54)(55)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력에 의하여 하부건조대(10) 또는 상부건조대(30)가 지지프레임(50)에 대하여 유동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하부건조대(10)에 인접하는 지지프레임(50)의 하부에 국부적으로 결합홀(54)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또는 상부건조대(30)에 인접하는 지지프레임(50)의 상부에 국부적으로 결합홀(55)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등에 의하여 하부건조대(10) 또는 상부건조대(30)가 지지프레임(5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the prior art, the engaging projections 15b and 35b of the lower drum 10 and the upper drum 30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54 and 55, The upper frame 10 or the upper drying table 30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50. Particularly, conventionally, an external force a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upling hole 54 locally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50 adjacent to the lower drying rack 10, or an external force a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upling hole 54, The lower drying drum 10 or the upper drying drum 30 can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frame 50 by an external force or the like a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upling hole 55 locally.

또한 종래에는, 결합 돌기(15b)(35b)가 결합홀(54)(55)에 삽입되는 메커니즘을 고려하면, 하부건조대(10) 및 상부건조대(30)의 양측면에 지지 프레임(50)을 고정한 후, 하부건조대(10) 및 상부건조대(30)의 후면에 별개의 지지프레임(60)을 고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지프레임(50)을 고정하기 위한 공정 이외에 지지프레임(60)을 고정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된다.Considering the mechanism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s 15b and 35b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54 and 55 in the prior art, the supporting frame 5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drying drum 10 and the upper drying drum 30 A separate supporting frame 60 should be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drying rack 10 and the upper drying rack 30. Therefore, conventionally, a process for fixing the support frame 60 in addition to the process for fixing the support frame 50 is added.

그리고 종래에는, 하부건조대(10) 및 상부건조대(30)에 지지프레임(50)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건조대(10) 및 상부건조대(30)와 지지프레임(5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 돌기(15b)(35b) 및 결합홀(54)(55)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지지프레임(50)이 하부건조대(10) 및 상부건조대(30)와 별개의 부재로 인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하부건조대(10), 상부건조대(30) 및 지지프레임(50)의 일체화된 미감을 얻을 수 없게 된다.Conventionally, in the state where the supporting frame 50 is fixed to the lower drying drum 10 and the upper drying drum 30, the lower drum 10 and the upper drying drum 30, The supporting frame 50 is recogniz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lower drying rack 10 and the upper drying rack 30 by exposing the outer frame 15b and 35b and the coupling holes 54 and 55 to the outside.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integrated feel of the lower drying drum 10, the upper drying drum 30, and the support frame 50 can not be obtain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02158호(명칭: 식기건조대)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502158 (name: dishware hang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h dryer hanger which can be fixed more firm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 dryer hanger which can be assembled more simp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화된 미감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bleware hanger configured to obtain an integrated aesthetic sens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의 일 양태는, 건조를 위하여 식기가 거치대는 제1거치대, 및 상기 제1거치대가 결합되는 제1트레이를 포함하는 제1건조대; 건조를 위하여 식기가 거치대는 제2거치대, 및 상기 제2거치대가 결합되는 제2트레이를 포함하는 제2건조대; 상기 제2건조대가 상기 제1건조대의 상방에 한쌍의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4개의 록킹 부재;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able dry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drying table including a tableware for drying, a table including a first tray and a first tray to which the first tray is coupled; A second drying table for drying the tableware, the table having a second tray and a second tray to which the second tray is coupled; Wherein the second drying frame comprises a pair of frame members above the first drying frame; And four locking members for preventing the frame member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in a state where the frame member is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and for pressing the frame member in a direction to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이 양측면 및 후면에는 제1 및 제2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1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 상기 제2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 및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각각 포함한다.In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mount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respectively, and the frame member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A second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의 외면이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의 측면 및 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In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are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And the rear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의 제1 및 제2결합 돌기; 및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의 제1결합 보스; 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가 각각 관통하는 제1 및 제2결합 슬롯; 및 상기 제1 및 제2결합 보스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홀; 이 각각 형성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trays are provided with at least a pair of first and second tray project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And a second engaging projection; And at least a pair of first engaging bosses protruding rearward from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And the frame member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engaging slots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pass,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sses are inserted, respectively;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의 선단은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protrude outward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slot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록킹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을 관통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 중 어느 하나가 각각 탄성 체결된다.In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rotrusions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slots is elastically fastened to the locking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의 선단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록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을 관통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록킹 슬롯에 탄성 체결되면, 상기 제1 및 제2록킹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engage,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being located at the out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locking slots, When any one of the engaging projections is elastically fastened to the locking slot, it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록킹 돌기가 상기 제1 및 제2록킹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상기 록킹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is locked by the locking member, And is pr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seated in any one of the two seating groov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고, 상기 제1트레이의 바닥면 하부에 상기 배출공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In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rain guide guid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at a bottom of the bottom of the first tray.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트레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건조를 위한 도마가 거치되는 도마 거치대; 및 상기 제2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건조를 위한 수저가 수납되는 수저 건조통; 을 더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tting tabl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tray, and a cutting board for drying is mounted; And a basin dryer tub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asin and receiving a basin for drying;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by the tableware ho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건조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결합 돌기가, 프레임 부재에 형성되는 결합 슬롯을 관통한 상태에서, 록킹 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 부재가 제1 및 제2건조대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견고하게 프레임 부재가 제1 및 제2건조대에 고정될 수 있다.Firs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rojections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formed in the locking member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engaging slots formed in the frame member Whereby the frame member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member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프레임 부재가 제1 및 제2건조대의 일측면 및 이에 인접하는 후면 일부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식기 건조대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rame members are fix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and a part of the rear side adjacent thereto, respectively.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dish rack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부재가 제1 및 제2건조대의 측면 및 후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건조대에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결합 돌기 및 결합 슬롯이 록킹 부재에 의하여 차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건조대와 프레임 부재의 일체화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member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seating groov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Memb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grated aesthetic sense of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and the frame member.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건조대에, 예를 들면, 도마나 수저의 건조를 위한 도마 거치대나 수저 건조통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식기 이외에 다양한 용품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are provided with, for example, a chopping board for drying chopping boards and a sprocket and a sprocket drying basin.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rticles can be dried in addition to the tablewa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h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dish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h dry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h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는, 제1건조대(100), 제2건조대(200), 한쌍의 프레임 부재(300), 및 4개의 록킹 부재(40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는, 배수 가이드(500), 도마 거치대(600) 및 수저 건조통(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tabl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ying table 100, a second drying table 200, a pair of frame members 300, and four locking members 400, . In addition,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guide 500, a cutting board 600, and a spatula drying cylinder 7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건조대(100)는, 제1거치대(110) 및 제1트레이(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거치대(110)는, 건조 대상인 식기 등이 거치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거치대(110)는, 식기 등의 거치 및 거치된 식기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하방으로 배수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면, 절곡 또는 밴딩된 금속 바아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120)는, 상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트레이(120)에는 상기 제1거치대(110)가 결합된다. 상기 제1트레이(1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거치대(110)에 거치된 식기 등으로부터 떨어진 물을 그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120)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공(121)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drying table 100 includes a first tray 110 and a first tray 120. The first cradle 110 is a place where a tableware or the like to be dried is mounted. For example, the first cradle 11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metal bar, for example, bent or bent, to a shape capable of draining water falling down from a tableware or the like, have. The first tray 120 is formed in a polyhedron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the first tray 110 is coupled to the first tray 120. A discharge hole 121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tray 120 for discharging water, which is separated from a tableware or the lik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tray 120 may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hole 12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트레이(120)에 한쌍의 제1안착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131)은, 적어도 상기 제1트레이(120)의 측면 및 후면 일부가 상기 제1트레이(120)의 측면 및 후면 나머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감소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트레이(120)의 측면 일부 및 이에 인접되는 상기 제1트레이(120)의 후면 일부에 걸쳐서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first seating grooves 131 are formed in the first tray 120.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a side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first tray 120 are reduced in thickness relative to a side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first tray 120, 1 tray 120 and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tray 120 adjacent thereto.

그리고 상기 제1안착홈(131) 상에는 제1결합 돌기(141) 및 제1결합 보스(151)가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 돌기(141)는, 상기 제1트레이(120)의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안착홈(131)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트레이(12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결합 돌기(141)에는 제1록킹홈(143)이 형성된다. 상기 제1록킹홈(143)은 상기 제1결합 돌기(141)의 상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정의된다. 물론, 상기 제1록킹홈(143)은, 상기 제1결합 돌기(141)의 일부가 그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통되어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록킹홈(143)은, 상기 제1결합 돌기(141)가 후술할 제1결합 슬롯(311)을 관통한 상태에서, 후술할 제1안착부(3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결합 돌기(141)의 선단에 위치된다. 상기 제1결합 보스(151)는, 상기 제1트레이(120)의 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안착홈(131)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트레이(120)의 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A first engaging projection 141 and a first engaging boss 151 are provided o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141 is located o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ay 120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ay 12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41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groove 143. The first locking groove 143 is defined by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141 being depressed downward. Of course, the first locking groove 143 may be defined by a part of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141 communicat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 first locking groove 14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310 to be described later with the first coupling projection 141 passing through the first coupling slot 311 And is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141. The first engaging boss 151 is located o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tray 120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tray 120.

또한 상기 제1트레이(120)에는 다수개의 레그(161)가 구비된다. 상기 레그(161)는, 예를 들면, 상기 제1트레이(120)의 바닥면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레그(161)는, 상기 제1트레이(120)를 소정의 장소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tray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161. The legs 161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edge of the first tray 120, for example. The legs 161 serve to support the first tray 1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한편 상기 제2건조대(200)는, 상기 제1건조대(100)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2건조대(200)는, 제2거치대(210) 및 제2트레이(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거치대(210)는, 건조 대상인 식기 등이 거치되는 곳으로, 상기 제1거치대(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트레이(220)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1트레이(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2트레이(2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거치대(210)에 거치된 식기 등으로부터 떨어진 물을 그 하방, 즉 상기 제1건조대(10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개구(2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트레이(220)에는 한쌍의 제2안착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231) 상에는 제2결합 돌기(241) 및 제2결합 보스(251)가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안착홈(231), 제2결합 돌기(241) 및 제2결합 보스(251)는, 상기 제1안착홈(131), 제1결합 돌기(141) 및 제1결합 보스(151)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rying table 200 is disposed above the first drying table 100. The second drying table 200 includes a second tray 210 and a second tray 220. The second cradle 210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first cradle 110, where the tableware or the like to be dried is mounted. The second tray 220 is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first tray 120 as a whole. The bottom of the second tray 22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opening 221 for discharging water dropped from a tableware or the like placed on the second cradle 210 to the lower side thereof, . The second tray 2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seating grooves 231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241 and a second coupling boss 251 on the second seating groove 231. The second seating groove 231,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241 and the second engaging boss 251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141 and the first engaging boss 251 151,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프레임 부재(300)는, 상기 제2건조대(200)가 상기 제1건조대(100)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100)(200)에 결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 부재(30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100)(2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 부재(300)가, 제1안착부(310), 제2안착부(320) 및 연결부(330)를 각각 포함한다.The frame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units 100 and 200 such that the second drying unit 20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drying unit 100. The frame member 300 substantially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100 and 200.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member 300 includes a first seat 310, a second seat 320, and a connecting portion 330, respectively.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는, 각각 상기 제1안착홈(131) 및 제2안착홈(231)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2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의 외면이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120)(220)의 측면 및 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에는, 각각 제1결합 슬롯(311) 및 제1결합홀(313)과 제2결합 슬롯(321) 및 제2결합홀(3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가 각각 관통하는 곳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의 선단은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홀(313)(323)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 보스(151)(251)가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제1및 제2결합홀(3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보스(151)(251)의 선단은,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됨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하도록 수평 이동하면,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결합 보스(151)(251)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홀(313)(323)에 삽입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are formed into a shape that is form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231, respectively. Also, in this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are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231,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320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ide surfac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120, 220. A first engagement slot 311 and a first engagement hole 313 and a second engagement slot 321 and a second engagement hole 323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11.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exten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141 and 241, The tip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21 and 321.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13 and 323 are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sses 151 and 251 are inserte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sses 151 and 25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23 so that the tip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310 and 320 And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sses 151 and 251 ar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310 and 3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sses 151 and 251 mov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13 and 323.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330)가, 그 상하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의 상하단에 연결되는 2개로 구성되지만, 상기 연결부(330)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 connection part 33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310 and 320. The connecting portion 330 may be formed by two or more upper and lower ends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Or more.

한편 상기 록킹 부재(400)는,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100)(200)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 부재(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100)(20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300)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록킹 부재(400)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으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각각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록킹 부재(400)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를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231)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록킹 부재(4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차폐한다. Meanwhile, the locking member 400 prevents the frame member 300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100 and 200 from being separated at the same time, while preventing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100, (300) so as to be firmly coupled to the frame member (200). The locking member 4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are inser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2 coupling slots 311 and 321, respectively. The locking member 400 presses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131 and 231 are seated. The locking member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substantially penetrat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록킹 부재(400)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와 마주보는 일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 부재(400)의 내부에는, 한쌍의 록킹 슬롯(410) 및 록킹 돌기(42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록킹 슬롯(410)은 상기 록킹 부재(400)의 내면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록킹 돌기(420)는 상기 록킹 부재(400)의 내면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록킹 슬롯(410)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 중 어느 하나가 탄성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 돌기(420)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록킹 슬롯(410)에 탄성 체결되면, 상기 제1 및 제2록킹홈(143)(24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의 상기 록킹 슬롯(410)의로의 탄성 체결 및 상기 제1 및 제2록킹홈(143)(243)으로의 상기 록킹 돌기(420)의 삽입은, 상기 록킹 부재(4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록킹 부재(400)의 선단과 상기 록킹 돌기(4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록킹 돌기(420)가 상기 제1 및 제2록킹홈(143)(243)에 삽입되면, 상기 록킹 부재(40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300),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231)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member 400 is formed in a polyhedron shape with one side facing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opened. Inside the locking member 400, a pair of locking slots 410 and locking protrusions 420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locking slot 41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400 and the locking protrusion 42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400.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cking slot 410. The locking protrusion 420 may be formed in the locking slot 410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slot 410, And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43 and 243. The elastic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into the locking slot 410 and the inse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420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43 and 243, When the locking member 400 is mov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articularly,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locking member 400 and the locking protrusion 420, when the locking protrusion 4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43 and 243, The locking member 400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member 300 and substantially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are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231 Can be pressurized.

상기 배수 가이드(500)는, 상기 배출공(12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 가이드(500)는, 상기 제1트레이(120)의 바닥면 하부에 상기 배출공(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drainage guide 500 serves to guide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1. The drain guide 5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tray 120 about the discharge hole 121.

그리고 상기 도마 거치대(600) 및 수저 건조통(700)은, 각각 도마나 수저 등이 건조를 위하여 거치 또는 수납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마 거치대(600)는 상기 제1건조대(100), 실질적으로 상기 제1트레이(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저 건조통(700)은 상기 제2건조대(200), 실질적으로 상기 제2거치대(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cutting board 600 and the cutlery dryer 700 are places where boards or cutlery are mounted or housed for dry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tting board 6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drying table 100, substantially the first tray 120, and the bottom drying tray 7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ying table 200 ,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radle 210 substantial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기의 조립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assembling process of the dish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 건조대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이다.3 to 5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dish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건조대(100)(200),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트레이(120)(220)에 한쌍의 프레임 부재(300)가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 부재(300)가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120)(220)에 결합되면,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가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각각 관통하고, 제1 및 제2결합 보스(151)(251)가 제1 및 제2결합홀(313)(323)에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안착부(310)(320)가 제1 및 제2안착홈(131)(231)에 각각 안착될 것이다. Referring first to FIG. 3, a pair of frame members 300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100 and 200, and the first and second trays 120 and 220,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frame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s 120 and 220,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sses 151 and 25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13 and 323, ) 320 will be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231, respectively.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록킹 부재(400)가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100)(200)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 부재(3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록킹 부재(400)가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100)(20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300)를 가압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locking member 400 fixes the frame member 300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100 and 200 so as not to be arbitrarily separated. And presses the frame member 300 so that the locking member 400 is firm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100 and 200.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부재(400)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 즉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 도 5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 중 어느 하나가 록킹 슬롯(410)에 탄성 체결되고, 록킹 돌기(420)가 상기 제1 및 제2록킹홈(143)(24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 부재(40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한 상태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될 것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록킹 부재(40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231)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프레임 부재(300)가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120)(2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5 (A), the locking member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B) and (C) of FIG. 5, wh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141 and 241 are moved down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141 and 241, ,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cking slot 410 and the locking protrusion 4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43 and 243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m. Therefore, the locking member 400 prevent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from being arbitrarily detached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will be.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are pressed substantial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131 and 231 are seated by the locking member 400, The member 30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s 120 and 22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100: 제1건조대 110: 제1거치대
120: 제1트레이 200: 제2건조대
210: 제1거치대 220: 제2트레이
300: 프레임 부재 400: 록킹 부재
100: first drying stand 110: first holding stand
120: first tray 200: second drying rack
210: first holder 220: second tray
300: frame member 400: locking member

Claims (10)

건조를 위하여 식기가 거치대는 제1거치대(110), 및 상기 제1거치대(110)가 결합되고 그 양측면 및 후면에 제1안착홈(131)이 형성되는 제1트레이(120)를 포함하는 제1건조대(100);
건조를 위하여 식기가 거치대는 제2거치대(210), 및 상기 제2거치대(210)가 결합되고 그 양측면 및 후면에 제2안착홈(231)이 형성되는 제2트레이(220)를 포함하는 제2건조대(200);
상기 제2건조대(200)가 상기 제1건조대(100)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100)(200)의 양측면 및 이에 인접하는 후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안착홈(131)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310), 상기 제2안착홈(231)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320) 및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 를 각각 포함하는 한쌍의 프레임 부재(300); 및
상기 프레임 부재(300)가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100)(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부재(300)를 상기 제1 및 제2건조대(100)(20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4개의 록킹 부재(4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120)(220)에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231)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120)(220)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의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3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의 선단에는, 제1 및 제2록킹홈(143)(243)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부재(300)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가 각각 관통하는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 부재(400)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 중 어느 하나의 선단이 각각 탄성 체결되는 록킹 슬롯(410); 및
상기 제1 및 제2결합 슬롯(311)(321)을 관통한 상기 제1 및 제2결합 돌기(141)(241)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록킹 슬롯(410)에 탄성 체결되면, 상기 제1 및 제2록킹홈(143)(24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록킹 돌기(420)가 구비되며,
상기 록킹 돌기(420)가 상기 제1 및 제2록킹홈(143)(24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상기 록킹 부재(40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23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식기 건조대.
And a first tray 120 having a first tray 110 and a first tray 120 coupled to the first tray 110 and having first and second receiving grooves 131 formed on both sides and rear of the tray, 1 drying rack (100);
And a second tray 220 coupled to the second tray 210 and having second seating grooves 231 formed on both sides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tray 210, 2 drying rack (200);
The second drying rack 200 is coupl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drying racks 100 and 200 and a part of the rear side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drying racks 100 and 200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drying rack 100,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310 and 320 ar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3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231 and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310 and 320 A connecting portion 330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00); And
The frame member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100 and 200 while the frame member 3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rying bases 100 and 200, Four locking members 400 for pressing in a direction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member 200; Lt; / RTI >
In the first and second trays 120 and 220, the first and second trays 120 and 220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231, At least a pair of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141 and 241 projecting outwardly are provided,
At the tip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jections 141 and 241 located outside the frame member 300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And second locking grooves 143 and 243,
The frame member 300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pass,
In the locking member 400,
The tip end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protruding outside the frame member 300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A locking slot 410 to be resiliently engaged; And
Whe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41 and 241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slots 311 and 321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cking slot 410, A locking protrusion 420 inserted into one of the second locking grooves 143 and 243 is provided,
When the locking protrusion 42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43 and 243,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are locked by the locking member 400, Is pr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231) is sea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가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2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10)(320)의 외면이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120)(220)의 측면 및 후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are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231,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310 and 320 Wherein the outer surface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120, 2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120)(220)에는,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131)(231)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120)(2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의 제1 및 제2결합 보스(151)(251); 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300)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 보스(151)(251)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결합홀(313)(323); 이 각각 형성되는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trays 120 and 220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120 and 220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131 and 231, At least a pair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bosses (151, 251) projecting rearward; Respectively,
The frame member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313 and 323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osses 151 and 251 are inserted, respectively.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59038A 2015-11-12 2015-11-12 Dish drying rack Active KR101743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038A KR101743593B1 (en) 2015-11-12 2015-11-12 Dish drying 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038A KR101743593B1 (en) 2015-11-12 2015-11-12 Dish drying r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03A KR20170055803A (en) 2017-05-22
KR101743593B1 true KR101743593B1 (en) 2017-06-05

Family

ID=5904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038A Active KR101743593B1 (en) 2015-11-12 2015-11-12 Dish drying 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608B1 (en) * 2017-07-19 2018-09-19 명진실업 주식회사 Prefabricated kitchen utensils drying r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7222S1 (en) * 2023-01-20 2023-05-23 Bingyao Yao Dish r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58B1 (en) * 2014-10-07 2015-03-12 (주) 네이처닉 A dish drying r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58B1 (en) * 2014-10-07 2015-03-12 (주) 네이처닉 A dish drying r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608B1 (en) * 2017-07-19 2018-09-19 명진실업 주식회사 Prefabricated kitchen utensils drying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03A (en)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158B1 (en) A dish drying rack
US6659406B2 (en) Knife stand
US8042559B2 (en) Dishwasher having rack with shelf holder
CA2629997C (en) Storing device for a dishwashing machine
US20070226928A1 (en) Dishwasher
KR101743593B1 (en) Dish drying rack
US7073682B2 (en) Snap assembly dishwasher basket
KR101900608B1 (en) Prefabricated kitchen utensils drying rack
KR101813789B1 (en) Shelf for Dishes
KR102128351B1 (en) Shelf for Dishes
JP5239313B2 (en) Sink with cooking aid plate
JP7418242B2 (en) storage unit
KR200236590Y1 (en) chopping board supporter
JP2003024264A (en) Storage for storing tableware and cooking utensils
KR101935489B1 (en) Tableware
WO2016167709A1 (en) Dishwashing accessory for holding a dishwasher basket inclined in relation to the horizontal and a dishwashing method
JPH11225895A (en) Sink
JP2016540565A (en) Retaining tray cover
JP5337729B2 (en) Clothes drying equipment
KR102303731B1 (en) Dish rack with rear supports
KR100977565B1 (en) Pedestal for washing machine
KR200405509Y1 (en) Hand washing
KR20240001825U (en) Cutting apparatus of solid detergent for dishwasher
KR100269469B1 (en) Leg slidimg apparatus of built-in dish washer
ITPD980022U1 (en) SIMPLIFIED ASSEMBLY SHO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