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501B1 - Mesh back of a chair which is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 Google Patents
Mesh back of a chair which is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3501B1 KR101743501B1 KR1020150172453A KR20150172453A KR101743501B1 KR 101743501 B1 KR101743501 B1 KR 101743501B1 KR 1020150172453 A KR1020150172453 A KR 1020150172453A KR 20150172453 A KR20150172453 A KR 20150172453A KR 101743501 B1 KR101743501 B1 KR 1017435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mesh
- backing plate
- fixing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는, 후면 상부에는 상부결합부(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결합부(17)가 형성되는 등판프레임(14)과 상기 등판프레임(14)의 내부에 망상으로 형성되는 메쉬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메쉬등판(10);과 상하로 세워지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31, 32)과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31, 32)의 상부를 연결해주는 상부연결프레임(33) 및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31, 32)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고정프레임(35)를 포함하는 등받이프레임(30);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세로프레임(31, 32) 상단에는 메쉬등판(10)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결합부(11)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고정프레임(35)가 상기 메쉬등판(10)의 하부결합부(17)는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결합부(17)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5)의 뒤편으로 꺾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갖는다.The convenient detachable mesh back plat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ck frame 14 in which a top engaging portion 11 is formed at an upper rear portion and a lower engaging portion 17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A pair of vertical frames 31 and 32 vertically arranged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31 and 32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mesh backing plate 10, And a lower fixed frame (35) connecting lower part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31, 32) to each other, and the backrest frame (30) And the lower fixing frame 35 of the backrest frame 30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 backing plate 10 The lower engaging portion 17 of the lower fixing frame 35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fixing frame 35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coupling pie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쉬등판을 구비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쉬등판을 사용하면서도, 의자 등받이 프레임에 끼움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 속도가 향상되며, 의자 등받이 프레임에서 메쉬등판을 제거하는 것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mesh back plate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chair backrest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mesh back plate is easily removed from the mesh back plate.
일반적으로 의자는 등받이, 좌판, 다리를 기본 구성으로 형성된다. Generally, the chair has a basic configuration of a backrest, a seat, and a leg.
이 중에서 의자의 등받이는 일반적으로 등받이 프레임에 등판을 결합시켜 구성하는데, 최근에는 상기 등판을 통풍성이 좋은 메쉬(mesh)로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Among them, the backrest of the chair is generally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back plate to the backrest frame. In recent years, the back plate is often formed of a mesh having good ventilation.
그런데 종래 등판용으로 사용되는 메쉬는 주로 천으로 제조되었다. 이러한 천 메쉬로 만들어지는 등판은, 등판용 프레임을 미리 형성하고 이 프레임에 메쉬를 씌워 팽팽히 당긴 상태에서 박음질을 하여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메쉬등판을 의자의 등받이프레임에 나사 등으로 조립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의자를 제작하고 있다.However, the mesh used for the conventional backing plate is mainly made of cloth. The backing plate made of such a cloth mesh is formed by preliminarily forming a backing frame, covering the mesh with the frame, and tightening the backing frame. Then, the chair is assembled by 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back plate of the mesh made by the above into the backrest frame of the chair by screws or the like.
이러한 제작방식은 등판용 프레임에 씌운 메쉬 천을 팽팽히 당긴 상태에서 박음질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불량률이 높다.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since the mesh cloth covered on the backing frame must be stitched in a state of being pulled tightly, the workability is bad and the defect rate is high.
또한, 의자 사용 중에 메쉬의 장력이 느슨해지거나 손상이 생기면 매쉬를 분리 교체하여야 하는데, 비숙련자는 이러한 분리교체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의자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ension of the mesh is loosened or damaged during the use of the chair, the mesh must be separated and replace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unskilled persons to replace the chair entirel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자의 등받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메쉬를 고정하기 위한 등판용 프레임이 필요 없이 등받이 프레임에 직접 고정할 수 있는 메쉬등판을 가진 의자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 having a mesh back plate that can be directly fixed to a back frame without needing a back plate for fixing a mesh in forming a back of a chair.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 프레임에 메쉬등판을 부착하거나 분리할 때, 일반 사용자처럼 비숙련자인 경우에도 시트 프레임의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부착 또는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편리한 착탈식 메쉬등판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t removable mesh backboard chair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or removed from a precise position of a seat frame even when the backrest frame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 backrest fram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 프레임과 메쉬등판 사이의 결합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제품의 생산 공정이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 시간도 절감되는 착탈식 메쉬등판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vable mesh backboard chair which simplifies the joining components between the backrest frame of the chair and the mesh backing plate, simplifie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odu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는, 후면 상부에는 상부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결합부가 형성되는 등판프레임과 상기 등판프레임의 내부에 망상으로 형성되는 메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메쉬등판과 상하로 세워지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해주는 상부연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등받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세로프레임 상단에는 메쉬등판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부고정프레임이 상기 메쉬등판의 하부결합부는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결합부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뒤편으로 꺾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convenient removable mesh back plat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 plate frame having a top engag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rea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fixing frame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and the upper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Wherein the backrest frame is coupled with the upper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plate of the mesh, and the lower fixing frame of the backrest frame is coupled with the lower coupling portion of the back plate, And is folded back to the rear of the lower fixed frame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세로프레임 상단과 메쉬등판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결합부의 결합을 위한 매개체로서 상부결합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oupling hole as an intermediary for coupling the vertical frame top of the backrest frame and the upper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sh backing plat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세로프레임 상단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쉬등판의 상부결합부에는 걸림구멍이 뚫린 고리부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상부결합구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돌기삽입공과 상기 고리부에 결합되는 고리걸림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backrest frame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and an upper coupling portion of the mesh backing plate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having an engagement hole. And a hooking portion coupled to the hook and the hook can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부고정프레임은 다수의 하부고정봉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쉬등판의 하부결합부에는 상기 하부고정봉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봉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을 결합할 때 상기 하부고정봉이 상기 고정봉관통공을 관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ower fixing rods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fixing frame of the backrest frame, and a fixing bar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lower fitting portion of the mesh backing plat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fixing rods, And the lower fixing rod may pass through the fixing bar through-hole when the engaging part and the lower fixing fram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세로프레임 상에 돌출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메쉬등판의 등판프레임 상에 상기 고정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대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fixing base protruding from the vertical frame of the backrest frame, and a fixing base insert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base on the back frame of the mesh backing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메쉬등판에 등받이프레임을 결합과정이 박음질이나 나사결합 등의 복잡한 공정이 필요 없이 부품간 조립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재료비의 절감 및 작업시간의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cess of joining the backrest frame to the mesh backing plate does not require a complicated process such as stapling or screwing,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shorten the working time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부품간 조립이 완료되면, 메쉬등판에 등받이프레임은 서로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자 간의 생산품질 차이가 최소화된다.Further, when the assembling between the parts is completed, the backrest frames are located at the correct positions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 the mesh back plate, so that the non-expert can easily work and minimizes the difference in production quality between the workers.
또한 메쉬등판이 더러워졌을 때 이를 떼어내 세척하기가 편리하며, 메쉬등판이 복구 불가능하게 훼손된 경우라면 이를 용이하게 분리교체 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 및 사용 수명 연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sh backing plate is dirty, it is convenient to remove and wash the backing plate. If the mesh backing plate is damaged unrecoverably, it can be easily removed and replaced, thereby achieving cost reduction and extending service life.
도 1은 본 발명의 등받이 전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등받이 후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메쉬등판과 상부결합구의 결합부위에 대한 상세도
도 6은 등받이프레임과 상부결합구의 결합부위에 대한 상세도
도 7은 상부결합구의 측면도1 is a plan view of a back surface of a ba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ack view of the back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oss-
Fig. 5 is a detailed view of the joining area between the mesh back plate and the upper coupling hole.
Fig. 6 is a detailed view of a joint portion between the backrest frame and the upper engagement hole
7 is a side view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chable mesh backboard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the sizes of the components, and the like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in order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 terms used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se terms can be expressed in other term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designer or the user,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앞', '뒤', '좌, '우', '선단', '전방', '후단', '후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ional terms such as 'top', 'bottom', 'front', 'back', 'left', 'right', 'front', 'front', 'rear' Quot; is based on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 (s). And since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not limita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In the case where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tracted', the 'connected', 'coupled' or 'contracted' As used herein.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는 메쉬등판(10)과 등받이 프레임(30)으로 그 주요 구성을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고정띠(50)의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detachable mesh backrest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도 2를 참조하면, 메쉬등판(10)은 테두리 역할을 하는 등판프레임(14)과 상기 등판프레임(14)의 내부에 망상으로 형성되는 메쉬부(13)가 일체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본 발명 메쉬등판은 조립 시 휨 변형이나 신축변형이 일어나게 되므로, 탄성과 유연성 및 신축성이 좋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대표적인 합성수지로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가 있다.Since the mesh back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ject to bending deformation or stretching deformation when assemb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esh backing plate is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synthetic resin having good elasticity, flexibility and stretchability. A representative synthetic resin having such properties is TPE (Thermoplastic Elastomer).
메쉬등판(10)은 후면 상부에 모서리에는 상부결합부(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결합부(17)가 형성된다.The
상기 상부결합부(11)는 메쉬부(13) 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으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주머니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결합부(11)의 자유단에는 걸림구멍(12a)이 뚫린 고리부(12)가 형성되어있다.Since the upper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메쉬등판(10)의 하부결합부(17)의 좌우에는 등판프레임(14)에 'V'자형으로 파인 절개부(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절개부(18) 쪽의 등판프레임(14)에는 고정대삽입부(15)를 형성하며, 고정대삽입부(15)의 내부에는 절개부(18)를 향하는 쪽으로 개구가 형성된 고정대삽입공(16)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a cut-out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메쉬등판(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부(17)는 'L'자형으로 구부러진 단면 구조를 가지며, 등판프레임(14)의 일부이다.4, the lower
하부결합부(17)에서 'L'자형의 바닥면 쪽으로는 긴 띠 형상의 띠 홈(19)이 형성되어 있고, 이 띠 홈(19)의 내부에는 다수의 고정봉관통공(20)이 뚫려 있다. 상기 고정봉관통공(20)은 후술하는 하부고정프레임(35)에 다수 형성되는 하부고정봉(39)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부결합부(17)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5)을 결합할 때 상기 하부고정봉(39)이 상기 고정봉관통공(20)을 관통한 후 소정 높이로 외부로 노출된다.Shap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정띠(50)는 상기 띠 홈(19)의 형상에 맞추어 제작되는 긴 띠 형상 구조를 갖는다. 고정띠(5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띠구멍(51)이 형성된다. The
상기 띠구멍(51)은, 상기 하부고정봉(39)이 상기 고정봉관통공(20)을 관통한 후 소정 높이로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끼워지는 구멍이므로, 상기 하부고정봉(39)의 위치와 크기 및 개수에 맞추어 형성한다.The
상기 고정띠(50)는 띠구멍(51)으로 상기 하부고정봉(39)이 끼워지도록 하면서 상기 띠 홈(19)에 삽입 장착된다. 이후 상기 하부고정봉(39)에 형성된 중공부로 나사못(미도시) 등을 삽입 체결하면, 나사못 머리부가 하부고정봉(39) 주변의 고정띠(50)를 함께 누르게 되므로 고정띠(50)가 벗겨지지 않게 된다.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등받이프레임(30)은 상하로 세워지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31, 32)과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31, 32)의 상부를 연결해주는 상부연결프레임(33) 및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31, 32)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고정프레임(35)을 포함하므로, 전체적으로는 'ㅂ'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1 and 2, the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쉬등판(10)의 상부결합부(11)를 바라보는 쪽의 세로프레임(31, 32) 상단에는 후크(hook) 형상으로 끼움돌기(34)가 돌출 형성되고, 끼움돌기의 양 옆으로는 가이드홈(34a)이 형성된다.4 and 6, a
등받이프레임(30)의 세로프레임(31, 32) 상에는 삼각 날 형태의 고정대(36)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대의 형상은 봉형이나 직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On the vertical frames (31, 32) of the backrest frame (30), a fixing base (36) in the form of a triangular blade is protruded. The shape of the fixing table can be variously changed into a rod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그리고 고정대(36)는 메쉬등판(10)의 등판프레임(14) 상에 형성되는 고정대 삽입부(1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프레임(32)이 하부고정프레임(35)과 만나고 있는 부분의 근처에 형성된다. 이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프레임(32)이 하부고정프레임(35)이 서로 만나는 부분이 메쉬등판(10)의 절개부(18)에 끼워지는 것이고, 이 절개부(18) 쪽의 등판프레임(14)에 고정대삽입부(15)를 형성하기 때문이다.The fixing
도 4에 도시를 참조하면,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고정프레임(35)은, 후방 쪽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넓고 긴 판 형상의 내측접촉편(37)과 상기 내측접촉편(37)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후방 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중공파이프 형상의 하부고정봉(39)을 구비하며, 전방 쪽으로는 일청간격으로 돌출된 다수의 하부보강살(38)과 돌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연결구(60)가 삽입 체결되는 하부연결부(40)가 형성된다.4, the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고정프레임(35)은 메쉬등판(10)의 하부결합부(17)는 'L'자형으로 구부러진 단면 구조의 내측면으로 결합된다. 즉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고정프레임(35)은 메쉬등판(10)의 하부결합부(17)가 조립되면, 하부고정프레임(35)의 내측접촉편(37)은 메쉬등판(10)의 하부결합부(17) 내면과 접촉하고 중공파이프 형상의 하부고정봉(39)은 고정봉관통공(20)을 관통한 상태가 된다.The
하부연결구(60)는 의자의 좌판쪽 프레임(미도시)과 등받이프레임(30)을 서로 연결하여주는 구성요소이다.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세로프레임(31, 32) 상단과 메쉬등판(10)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결합부(11) 사이의 결합을 위한 매개체로서, 도 4에 도시된 상부결합구(25)를 사용한다.The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부결합구(25)의 구성과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상부결합구(25)는 중앙부분에 상기 끼움돌기(34)가 끼워지는 돌기삽입공(29)과 상기 고리부(12)에 결합되는 고리걸림부(28)가 형성된다.The
고리걸림부(28)의 후면 상부 쪽으로는 끼움편(26)이 연장 형성되는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고리걸림부(28)와 끼움편(26) 사이에는 고리삽입부(28a)가 환형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7, an annular inserting
따라서 상부결합부(11)에 상부결합구(25)를 결합하면, 고리부(12)는 고리삽입부(28a)에 안착된 후 고리걸림부(28)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pper engaging
본 발명의 돌기삽입공(29)은 직사각형 형상의 장홈으로 구성되는데, 이 장홈의 크기는 끼움돌기(34)가 삽입되었을 때 서로 빈틈이 없이 밀착될 정도의 크기이다. 따라서 돌기삽입공(29)으로 끼움돌기(34)가 삽입되면, 후크(hook)형상 끼움돌기(34)의 구부러진 끝부분은 돌기삽입공(29)을 관통한 후, 끼움편(26) 후면에 걸리게 된다. The
고리걸림부의 하부 쪽으로는 하단연장편(27)이 연장 형성되는데, 이 하단연장편(27)의 양 측면으로는 가이드돌기(27a)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이드돌기(27a)는 도 6에 도시된 가이드홈(34a)에 결합되며, 상부결합구(25)가 좌우도 요동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A lower
고리걸림부(28)의 후면 상부 쪽으로는 연장 형성된 끼움편(26)은 상부결합부(11)와 메쉬부(13) 면 사이에 형성된 주머니형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때 끼움편(26)의 형상은 상기 내부 공간의 형상에 맞추어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결합 후에 상기 내부 공간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assembling the removable mesh back plate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등판(10) 후면 상단에 형성된 상부결합부(11)에 상부결합구(25)를 결합한다. First, as shown in FIG. 5, the
이를 위해 상부결합구(25)의 하단연장편(27)을 걸림구멍(12a)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먼저 관통시킨 후 고리걸림부(28)도 강하게 당겨 관통시키면, 상부결합부(11)의 고리부(12)가 늘어나면서 고리걸림부(28)가 통과되고, 이후 고리부(12)는 고리삽입부(28a)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안착된다. To this end, if the lower end extend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쉬등판(10)은 TPE 소재와 같이 탄성과 유연성 및 신축성이 좋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되는 것이므로 고리부(12)의 탄성 신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그 다음 상부결합구(25)를 회전시켜 끼움편(26)이 상부결합부(11)의 내부 공간 속에서 적절히 자리 잡도록 조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쉬등판(10) 후면 상단에 양쪽에 있는 상부결합부(11)에 각각 상부결합구(25)가 결합되어진다.Then, the
다음은 등받이 프레임의 세로프레임(32) 상단을 상기 상부결합부(11)에 결합된 상부결합구(25)에 결합시킨다.Nex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2) of the backrest frame is engaged with the upper coupling hole (25)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11).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후크(hook) 형상 끼움돌기(34)를 돌기삽입공(29)으로 관통시키는데, 이때 직사각형 형상의 장홈으로 구성된 돌기삽입공(29)의 크기가 끼워져 있는 끼움돌기(34) 몸통부분의 크기와 거의 같게 제작되어 있으므로, 돌기삽입공(29)을 관통한 끼움돌기(34)의 후크(hook) 형상 끝 부분은 끼움편(26) 후면에 걸리게 된다. 5, the hook-shaped
또한, 이 상태에서, 가이드돌기(27a)는 가이드홈(34a)에 끼워지므로, 결국 등받이 프레임의 세로프레임(32) 상단과 상기 상부결합부(11)는 서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억지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state, since the
이와 같은 조립 작업의 결과,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세로프레임(31, 32) 상단과 메쉬등판(10)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결합부(11)는 상부결합구(25)를 매개체로 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As a result of the assembling operation, the upper engaging
다음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메쉬등판(10)의 고정대 삽입부(15)에 등받이프레임(30)의 고정대(36)를 끼워 넣는다. 이때 메쉬등판(10)의 하부결합부(17)는 꺾어 올려서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고정프레임을 타고 넘긴 다음 하부고정프레임의 후면 쪽으로 위치시키고, 하부결합부(17)의 고정봉관통공(20)에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고정봉(39)들을 끼워 조립한다. Next,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이러한 조립의 결과 등받이프레임(30)의 세로프레임(32)과 하부고정프레임(35)이 서로 만나는 부분이 메쉬등판(10)의 절개부(18)에 끼워지게 된다.As a result of this assembly, the portion where the
앞서 설명했듯이, 메쉬등판(10)은 상당히 유연한 재질이므로 하부결합부(17)는 꺾어 올리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후 도3의 도시와 같이, 고정띠(50)를 띠 홈(19)에 장착한다. 고정띠는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고정봉(39)들이 하부결합부(17)의 고정봉관통공(20)에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n, as shown in Fig. 3, the fix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띠(50)의 띠구멍(51)으로 상기 하부고정봉(39)이 끼워지도록 하면서 상기 띠 홈(19)에 고정띠(50) 전체가 안착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하부고정봉(39)에 형성된 중공부로 나사못(미도시) 등을 강제로 삽입 체결한다.More specifically, the entirety of the fixing
이렇게 체결된 나사못 머리부는 하부고정봉(39) 주변의 고정띠(50)를 덮으며 함께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고정띠(50)가 벗겨지지 않게 되며, 하부고정봉(39)이 고정봉관통공(20)에서 빠져나가는 일이 방지되어진다.The screw head thus tightly covers the fixing
도 4를 참조하면, 하부고정프레임(35) 전방 쪽 하부연결부(40)에는 하부연결구(60)의 일단이 삽입 체결되고, 하부연결구(60)의 타단은 의자의 좌판 쪽 프레임(미도시)과 연결시킨다. 이러한 연결작업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이 좌판 일단에 세워져 결합된다.4, one end of the
메쉬등판(10)과 등받이프레임(30)에서 분리해 낼 때에는 상기 조립 순서의 역순으로 작업한다.When separating from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메쉬등판
11: 상부결합부 12: 고리부
12a: 걸림구멍 13: 메쉬부
14: 등판프레임 15: 고정대삽입부
16: 고정대삽입공 17: 하부결합부
18: 절개부 19: 띠 홈
20: 고정봉관통공
25: 상부결합구
26: 끼움편 27: 하단연장편
27a: 가이드돌기
28: 고리걸림부 28a: 고리삽입부
29: 돌기삽입공 30: 등받이프레임
31, 32: 세로프레임 33: 상부연결프레임
34: 끼움돌기 34a: 가이드홈
35: 하부고정프레임 36: 고정대
37: 내측접촉편 38: 하부지지체
39: 하부고정봉 40: 하부연결부
50: 고정띠 51: 띠 구멍
60: 하부연결구10: Mesh backing
11: upper coupling portion 12:
12a: latching hole 13: mesh portion
14: backing frame 15:
16: fixed base inserting hole 17:
18: incision section 19: belt groove
20: Fixing rod through-hole
25: upper coupling hole
26: fitting piece 27: lower end extending piece
27a: guide projection
28:
29: projection insertion hole 30: backrest frame
31, 32: vertical frame 33: upper connection frame
34:
35: lower fixing frame 36:
37: inner contact piece 38: lower support
39: lower fixing rod 40: lower connection portion
50: fixed band 51: band hole
60: Lower connector
Claims (5)
상하로 세워지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31, 32)과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31, 32)의 상부를 연결해주는 상부연결프레임(33) 및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31, 32)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고정프레임(35)을 포함하는 등받이프레임(30);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세로프레임(31, 32) 상단에는 메쉬등판(10)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결합부(11)가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고정프레임(35)이 상기 메쉬등판(10) 하부결합부(17)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결합부(17)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5)의 뒤편으로 꺾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
And a mesh part 13 formed in a mesh shape inside the backing frame 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cking frame 14. The backing frame 14 is formed with an upper joining part 11 at the rear upper part and a lower joining part 17 at the lower part, A mesh backing plate 10 formed of
An upper connection frame 33 connec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31 and 32 and an upper connection frame 33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31 and 32, And a lower fixed frame (35)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30)
The upper joining portion 11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esh backing plate 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31 and 32 of the backrest frame 30 and the lower fixing frame 35 of the backrest frame 30 is coupled Wherein the lower engaging portion 17 is bent toward the back of the lower fixing frame 35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 17 of the mesh backing plate 10.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세로프레임(31, 32) 상단과 메쉬등판(10)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결합부(11)의 결합을 위한 매개체로서 상부결합구(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pper coupling hole 25 as an intermediate medium for coupling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31 and 32 of the backrest frame 30 and the upper coupling portion 1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esh backing plate 10 Convenient removable mesh backboard chair.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세로프레임(31, 32) 상단에는 끼움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메쉬등판(10)의 상부결합부(11)에는 걸림구멍(12a)이 뚫린 고리부(1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상부결합구(25)에는 상기 끼움돌기(34)가 끼워지는 돌기삽입공(29)과 상기 고리부(12)에 결합되는 고리걸림부(2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
The method of claim 2,
A fitting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frames 31 and 32 of the backrest frame 30,
The upper joint portion 11 of the mesh backing plate 10 is formed with a hook 12 having an engagement hole 12a,
Wherein the upper engaging hole 25 is formed with a protrusion insertion hole 29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34 is inserted and an annular fitting portion 28 coupled with the annular portion 12. [ Back chair.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하부고정프레임(35)는 다수의 하부고정봉(39)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쉬등판(10)의 하부결합부(17)에는 상기 하부고정봉(39)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봉관통공(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17)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5)을 결합할 때 상기 하부고정봉(39)이 상기 고정봉관통공(2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fixed frame 35 of the backrest frame 30 has a plurality of lower fixed rods 39 protruding therefrom,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17 of the mesh backing plate 10 is provided with a fixing bar through hole 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fixing bar 39,
Wherein the lower fixing rod (39) penetrates through the fixing rod through-hole (20) when the lower engaging part (17) and the lower fixing frame (3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등받이프레임(30)의 세로프레임(31, 32) 상에 돌출 형성된 고정대(36);와
상기 메쉬등판(10)의 등판프레임(14) 상에 상기 고정대(36)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대 삽입부(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리한 탈부착 메쉬등판 의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6) formed on the vertical frames (31, 32) of the backrest frame (30)
And a fixing table insertion part (15)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table (36) on the backing frame (14) of the mesh backing plate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2453A KR101743501B1 (en) | 2015-12-04 | 2015-12-04 | Mesh back of a chair which is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2453A KR101743501B1 (en) | 2015-12-04 | 2015-12-04 | Mesh back of a chair which is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3501B1 true KR101743501B1 (en) | 2017-06-05 |
Family
ID=5922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2453A Active KR101743501B1 (en) | 2015-12-04 | 2015-12-04 | Mesh back of a chair which is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350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2102774A (en) * | 2020-12-25 | 2022-07-07 | 株式会社イトーキ | Chair and its backres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494A (en) | 2000-03-03 | 2001-10-30 | Steelcase Development Inc | Chair with removable cover and cushion |
US6572190B2 (en) | 2001-06-15 | 2003-06-03 | Hon Technology Inc. | Lumbar support for a chair |
KR100883189B1 (en) | 2006-07-24 | 2009-02-12 |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 Chair backrest |
WO2010087956A2 (en) | 2009-01-27 | 2010-08-05 | Johnson Reginald W | Back supporting sling for stadium seating |
-
2015
- 2015-12-04 KR KR1020150172453A patent/KR1017435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494A (en) | 2000-03-03 | 2001-10-30 | Steelcase Development Inc | Chair with removable cover and cushion |
US6572190B2 (en) | 2001-06-15 | 2003-06-03 | Hon Technology Inc. | Lumbar support for a chair |
KR100883189B1 (en) | 2006-07-24 | 2009-02-12 |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 Chair backrest |
WO2010087956A2 (en) | 2009-01-27 | 2010-08-05 | Johnson Reginald W | Back supporting sling for stadium seating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2102774A (en) * | 2020-12-25 | 2022-07-07 | 株式会社イトーキ | Chair and its backrest |
JP7693314B2 (en) | 2020-12-25 | 2025-06-17 | 株式会社イトーキ | Chairs and their back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3251B1 (en) | Mask | |
US8251454B2 (en) | Backrest of the chair and adaptation device for the same | |
US9981580B2 (en) | Seat for vehicle | |
JPH02195984A (en) | Cushion cover and fixing device of cushion support | |
KR20130002985A (en) | Stretching structure of chair upholstery material | |
JP2005261927A (en) | buckle | |
KR101743501B1 (en) | Mesh back of a chair which is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 |
JP7252738B2 (en) | chair back | |
EP3542677A1 (en) | Assembling structure of support device of a chair | |
KR101580891B1 (en) | Armrest fixing structure for folding type chair | |
US10166891B2 (en) | Vehicular seat | |
KR101413624B1 (en) | Device for the back of the seat and the chair having it | |
CN204654316U (en) | Assembly structure of office chair cushion mesh | |
KR200452513Y1 (en) | chair | |
JP2017081298A (en) | Vehicle seat | |
KR200277651Y1 (en) | Grater for kitchen | |
KR101508197B1 (en) | Sheet detachable type chair | |
KR200426953Y1 (en) | Pipe connection structure | |
CN221525275U (en) | Elastic component, connecting component and footboard component of sofa | |
KR100469477B1 (en) | a chair plate with a membran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
KR200391732Y1 (en) | Net fixing structure for the net backrest of chair | |
JP2007330398A (en) | Chair | |
JP6529154B2 (en) | Chair load support member and chair | |
JP3076655U (en) | Mounting structure of the cushion seat of the table with folding chair | |
KR101616238B1 (en) | Headres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