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440B1 - Vehicle loading 3D studio - Google Patents
Vehicle loading 3D studio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3440B1 KR101743440B1 KR1020150185927A KR20150185927A KR101743440B1 KR 101743440 B1 KR101743440 B1 KR 101743440B1 KR 1020150185927 A KR1020150185927 A KR 1020150185927A KR 20150185927 A KR20150185927 A KR 20150185927A KR 101743440 B1 KR101743440 B1 KR 1017434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 stage
- mounting plate
- guide groove
- subje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4N13/020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 B60P3/025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the object being a theater, cinema, auditorium or grandstan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04H60/05—Mobile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에 관한 것으로서 트럭의 적재부에는 펼쳐지거나 인출되면서 피사체가 들어가서 촬영할 수 있는 스테이즈의 설치 공간을 확장하는 설치 플레이트를 방사형으로 결합하고, 그 설치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카메라가 결합 되는 설치봉을 결합 구성하여 촬영부재를 이루므로, 설치봉이 결합 되는 설치 플레이트가 펼쳐지거나 인출되면서 스테이지의 설치 공간을 확장하기 때문에 적재부의 크기와 상관없이 촬영부재를 설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studio for in-vehicle use, in which a mounting plate radially joins a mounting space of a truck to exp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a stage in which a subject enters and shoots while being unfolded or drawn, Since the mounting rods are combined to form the imaging member, the mounting plate to which the mounting rods are coupled is extended or drawn out to exp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stage, so that the imaging member can be installed and moved irrespective of the size of the load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의 적재부에는 펼쳐지거나 인출되면서 피사체가 들어가서 촬영할 수 있는 스테이지의 설치 공간을 확장하는 설치 플레이트를 방사형으로 결합하고, 그 설치 플레이트에는 촬영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카메라가 결합 되는 설치봉을 결합 구성하므로, 설치봉이 결합 되는 설치 플레이트가 펼쳐지거나 인출되면서 스테이지의 설치 공간을 확장하기 때문에 적재부의 크기와 상관없이 촬영부재를 설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studio for mounting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studio for mounting on a vehicle, in which a mounting plate radially joins a mounting space of a truck to expand a mounting space of a stage in which a subject enters and shoots while being unfolded or drawn, Since the mounting plate to which the mounting rods are coupled is extended or extended, the mounting space of the stage is expanded, so that the photographing member can be installed and mov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oading unit To a vehicle-mounted 3D studio.
일반적으로 피규어, 인형, 소품 등을 3D 프린터로 출력하기 위해서 입체적으로 촬영이 가능한 입체 스캐너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a three-dimensional scanner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ly photographing a figure, a doll, a small article, and the like is used for output to a 3D printer.
입체 스캐너 장치는 선 등록된 특허 제 0374408 호와 같이 전면과 상면에 개구부가 구비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스캐너 몸체와, 스캐너 몸체의 내부에서 좌,우 및 상,하로 이동되면서 피사체를 스캔할 수 있는 촬상장치와 상기 촬상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로 구성된다. The stereoscopic scanner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opening on the front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0374408, and is provided with a scanner bod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scanner capable of scanning a subject while being moved leftward, rightward, And an image pickup device and a motor capable of moving the image pickup device.
따라서, 피사체가 스캔너 몸체로 들어간 상태에서 모터를 작동시켜 촬상장치를 좌,우 및 상,하로 이동시켜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은 스캐너 몸체와 연결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피규어, 인형, 소품 등을 입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subject is in the scanner body, the motor is operated to move the image capturing device to the left, right, up, and down so that the subject is three-dimensionally photographed, and the photographed image is displayed on a 3D printer connected to the scanner body, Dolls, small items, etc. can be produced in three dimensions.
그러나 종래의 입체 스캐너 장치는 스캐너 몸체에 있는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상장치가 좌,우 및 상,하로 이동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피사체의 촬영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ereoscopic scanner device, in order to three-dimensionally photograph a subject in the scanner body, the imaging device must be moved to the left, right, up, and down so that the photographing time of the subject becomes longer.
이와 같이 피사체의 촬영시간이 길어지므로, 피사체인 사람 내지 애완 동물을 촬상장치가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포즈를 취한 상태에서 장시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만 하므로, 피사체의 촬영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hotographing time of the subject becomes long, the photographing of the subject can not be easily performed because the photographing device must keep the photographing person in a pose state for a long time in order to photograph the subject person or the pet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 등록된 실용신안 제 0477792 호와 같이 3차원 촬영 시스템을 발명하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hree-dimensional photographing system was invented as disclosed in Utility Model No. 0477792, which was previously registered.
3차원 촬영 시스템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을 형성하고, 프레임에는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설치된다.A three-dimensional photographing system forms a frame formed by a polygon, and a frame is provided with a camera capable of three-dimensionally photographing a subject.
따라서, 프레임의 내부에 피사체가 들어간 상태에서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므로, 피사체의 촬영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피사체인 사람 내지 애완 동물의 촬영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camera photographs the subject in the state that the subject is inside the frame, the photographing time of the subject can be remarkably reduced, and the photographing time of the subject person or the pet can be reduced.
그러나 종래의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의 문제점은 다각형으로 프레임 설치한 상태에서 그 프레임에 다수의 카메라를 결합하여 촬영 시스템을 구성하기 때문에 촬영 시스템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3D studio for in-vehicle use ha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photographing system can not be varied because a photographing system is constitu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ameras with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frame is installed with a polygon.
이와 같이 촬영 시스템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촬영 시스템 안에 들어가서 피사체가 카메라에 간접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프레임 자체를 크게 제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트럭의 적재부에 촬영 시스템을 설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한번 설치된 촬영 시스템을 다른 장소로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Since the size of the photographing system can not be varied in this way, the photographing system can not be installed in the loading portion of the truck because the frame itself must be made large in order to prevent the subject from entering the photographing system and receiving indirectly from the camer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otographing system can not be moved to another place.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럭의 적재부에는 펼쳐지거나 인출되면서 피사체가 들어가서 촬영할 수 있는 스테이지의 설치 공간을 확장하는 설치 플레이트를 방사형으로 결합하고, 그 설치 플레이트에는 촬영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카메라가 결합 되는 설치봉을 결합 구성하므로, 설치봉이 결합 되는 설치 플레이트가 펼쳐지거나 인출되면서 스테이지의 설치 공간을 확장하기 때문에 적재부의 크기와 상관없이 촬영부재를 설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된 설치 공간으로 인해 설치봉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피사체는 스테이지 위에서 여러가지 포즈를 취할 수 있으며, 또한 피사체를 3D로 촬영하는 촬영부재를 트럭에 설치하기 때문에 촬영부재의 이동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하면서 행사장, 축제 등과 같은 장소와 상관없이 촬영부재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그 촬영된 사진은 촬영부재에 편집장치와 3D 프린터를 연결하여 촬영된 사진을 바로 출력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설치봉에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피사체인 사람 내지 애완동물 등의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에 관한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ickup apparatus, comprising a mounting plate radially coupled to a mounting portion of a truck to extend a mounting space of a stage in which a subject enters and shoots while being unfolded or drawn, Since the mounting plate to which the mounting rods are coupled is expanded or drawn out,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stage is expanded. Therefore, the imaging member can be installed and mov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oading portion, Since the installation space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of the mounting rod, the subject can take various poses on the stage. Further, since the photographing member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in 3D is installed on the truck,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and install the photographing member, A chapter such as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subject three-dimensionally by using the photographing member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he photographed photograph can directly output the photographed photograph by connecting the editing device and the 3D printer to the photographing member and providing it to the consum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studio for in-vehicle use which enables easy shooting of a person who is a subject or a pet.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피사체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설치봉과, 각각의 설치봉에 설치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에 있어서, A vehicle-mounted 3D studio comprising a plurality of mounting rods provided radially around a subject, and a camera provided on each mounting rod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적재부가 구비된 트럭과; A truck having a loading section;
적재부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스테이지와; A stag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art;
스테이지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설치 플레이트와; A plurality of mounting plates provided outside the stage;
설치 플레이트를 스테이지로부터 펼치거나 인출시켜 설치봉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공간을 확장하는 작동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operating means for expanding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mounting plate can be installed by unfolding or pulling out the mounting plate from the stage.
본원 발명에 의하면, 트럭의 적재부에는 펼쳐지거나 인출되면서 피사체가 들어가서 촬영할 수 있는 스테이지의 설치 공간을 확장하는 설치 플레이트를 방사형으로 결합하고, 그 설치 플레이트에는 촬영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카메라가 결합 되는 설치봉을 결합 구성하므로, 설치봉이 결합 되는 설치 플레이트가 펼쳐지거나 인출되면서 스테이지의 설치 공간을 확장하기 때문에 적재부의 크기와 상관없이 촬영부재를 설치하여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된 설치 공간으로 인해 설치봉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피사체는 스테이지 위에서 여러가지 포즈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plate is radially coupled to a mounting portion of a truck to expand an installation space of a stage in which a subject enters and shoots while being unfolded or drawn, and a plurality of cameras So that the mounting plate can be installed and mov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oading part since the mounting plate to which the mounting rod is coupled is extended or drawn out to exp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stag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that the subject can take various poses on the stage.
또한 피사체를 3D로 촬영하는 촬영부재를 트럭에 설치하기 때문에 촬영부재의 이동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하면서 행사장, 축제 등과 같은 장소와 상관없이 촬영부재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hotographing member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in 3D is installed on the truck,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that the photographing member can be three-dimensionally photographed using the photographing member regardless of the place such as the event site, the festival, etc. while making it easy to move and install the photographing member .
그리고 촬영부재에 편집장치와 3D 프린터를 연결하여 촬영된 사진을 바로 출력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설치봉에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피사체인 사람 내지 애완동물 등의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diting device and the 3D printer are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member so that the photographed photograph can be immediately outputted and provided to the consumer. Since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on the mounting rod to photograph the subject three-dimensionally,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that it can be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가 적재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촬영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촬영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촬영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치봉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의 다른 실시 예의 A - 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의 다른 실시 예의 B - B' 선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mounted 3D studio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mounted 3D studio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oading section; Fig.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mage pickup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hotograph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ag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un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vehicle-mounted 3D studio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mounted 3D studio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B 'lin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vehicle-mounted 3D studio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재(30)를 도 1과 같이 트럭(10)의 적재부(20)에 설치하여 촬영부재(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촬영부재(30)를 구성하고 있는 설치봉(80)이 결합 되는 스테이지(40)의 설치공간을 확대시켜 스테이지(40)에 설치봉(8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설치봉(80)에 간접을 최대한으로 피하면서 스테이지(40)의 상부면에 있는 피사체인 사람 내지 애완 동물 포즈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hotographing
상기 촬영부재(30)가 설치되는 적재부(20)의 전,후단에는 도 1과 같이 수직판(21)을 형성하고, 수직판(21)의 양측면에는 상,하로 회전되는 제1 개폐날개부(22)와 제2 개폐날개부(23)를 힌지로 결합한다. 1, a
이때, 제1 개폐날개부(22)에는 도 2와 같이 실린더로드가 구비된 실린더를 힌지로 결합 구성하여 실린더의 작동 방향에 따라 상,하로 회동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ylinder having the cylinder rod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and
그리고 힌지를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되는 제2 개폐날개부(23)의 내측면에 도 2와 같이 계단(24)을 형성하여, 별도의 계단(24)의 설치 없이 제2 개폐날개부(23) 만을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피사체가 올라할 수 있는 계단(24)이 형성되도록 한다. 2, a
이와 같이 형성된 적재부(20)의 상부면에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재(30)를 설치하는 것이다.An
상기 촬영부재(30)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설치봉(80)과, 설치봉(80)의 수직으로 결합 되는 복수의 카메라(90)로 구성한다. The photographing
상기 카메라(90)는 도면과 같이 결합부재인 밴드 또는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함을 밝히는 바이다.The
상기 카메라(90)가 설치되는 설치봉(80)은 도 7과 같이 중공형으로 밴딩 되며,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다수의 몸체부(81)로 구성하고, 몸체부(81)의 외주면에 결합돌부(82)를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결합돌부(82)가 내측에 끼워지는 결합홈(83)을 몸체부(81)의 내측면에 형성한다.The
상기 몸체부(81)의 외측면에는 결합돌부(82)를 형성하고, 결합돌부(82)가 내측으로 끼워지는 결합홈(83)을 몸체부(81)에 형성하여, 도 6과 같이 설치봉(80)에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등 간격으로 고정되는 카메라(90)의 촬영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A
이와 같이 카메라(90)가 등 간격으로 각각의 설치봉(80)에 결합 되면, 덮개판(93)을 설치봉(80)의 외주면에 결합하여 촬영부재(30)를 이루는 것이며, 그 촬영부재(30)의 카메라(90)와 연결되게 도 1과 같이 편집장치(91)와, 상기 편집장치(90)에 3D 프린터(92)를 연결하여 피규어, 소품, 인형 등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촬영부재(30)를 트럭(10)의 적재부(20)에 설치할 수 있게 도 4와 같이 스테이지(40)를 설치하고, 스테이지(40)의 외측에는 다수의 설치 플레이트(50)를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하는 데, 상기 스테이지(40)와 설치 플레이트(50)를 연결하는 작동수단(60)을 각각의 설치 플레이트(50)와 대응되게 설치 구성하여 작동수단(60)의 작동으로 인해 설치 플레이트(50)가 도 3과 같이 펼쳐지거나 접혀짐이 가능하게 한다.A
상기 작동수단(60)의 작동 방향에 따라 스테이지(40)의 외주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50)가 펼쳐지도록 내부공간(41)이 구비되도록 스테이지(40)를 입체 형태로 형성하되, The
스테이지(40)의 외측면에 개구홀(42)을 형성하고, An
스테이지(40)의 외측단에 세워지거나 펼쳐짐이 가능하게 다수의 설치 플레이트(50)를 결합하며, A plurality of
설치 플레이트(50)를 세우거나 펼쳐지도록 작동시키는 다수의 제1 실린더(70)를 스테이지(40)의 내부공간(41)에 각각의 설치 플레이트(50)에 대응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상기 적재부(2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스테이지(40)는 원형 내지 도 4와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스테이지(40)의 전체적인 지름은 적재부(20)의 좌,우 폭보다 작게 형성한다.The
따라서, 스테이지(40)의 외주면에 결합 된 설치 플레이트(50)를 펼치지 않을 시에는 스테이지(40)의 양측이 적재부(20)의 양측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트럭(10)을 이용하여 스테이지(4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촬영부재(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이와 반대로 작동부재(60)의 작동으로 인해 설치 플레이트(50)가 스테이지(40)를 중심으로 펼쳐졌을 때에는 설치 플레이트(40)에 구비된 고정부(52)에 설치봉(80)을 결합하고, 그 설치봉(80)에 카메라(90)를 설치하여 스테이지(40)의 중앙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이때, 적재부(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50)는 도 5의 (a)와 같이 경첩(51)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설치 플레이트(50)와 대응되는 제1 실린더(70)를 스테이지(40)의 내부공간(41)에 결합하는 데, 이때 제1 실린더(70)에 구비된 제1 실린더로드(71)는 설치 플레이트(50)의 내측면에 힌지(72)로 결합한다.5 (a), the
따라서, 제1 실린더(70)가 힌지(72)를 중심으로 스테이지(40)의 외측 방향으로 제1 실린더로드(71)를 작동시키게 되면, 도 5의 (b)와 같이 경첩(51)을 중심으로 설치 플레이트(50) 및 제1 실린더(70)가 힌지(72)를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되면서, 지면과 수평되게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5 (b), when the
이와 반대로 도 5의 (a)와 같이 제1 실린더로드(71)가 스테이지(40)의 내측공간(41)으로 이동 시 설치 플레이트(50)와 제1 실린더(70)는 경첩(51)과 힌지(72)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되면서 스테이지(4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진 설치 플레이트(50)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것이다. 5 (a), when the
따라서, 제1 실린더(70)의 작동 방향에 따라 스테이지(40)의 외주면에 다수개 설치된 설치 플레이트(5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기 때문에 설치봉(80)이 결합 되는 작업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어 설치봉(8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a plurality of
또한, 설치 플레이트(50)가 펼쳐진 상태에서 설치 플레이트(50)에 구비된 고정부(52)에 각각 설치봉(80)을 결합하므로, 스테이지(40)에 올라간 피사체인 사람 내지 애완 동물 등은 설치봉(80)에 최대한으로 간섭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포즈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그리고 설치 플레이트(50)가 접혀지게 되면, 스테이지(40)는 트럭(10)의 적재부(20)의 양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제1 개폐날개부(22)와 제2 개폐날개부(23)를 접은 상태에서 트럭(10)을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테이지(40)에 설치되는 촬영부재(30)의 이동을 원할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부(10)에 설치된 촬영부재(30)를 이용하여 장소(축제, 박람회 등)에 구애받지 않고 촬영부재(3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피사체를 촬영한 후에 피규어, 소품, 인형 등을 현장에서 직접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mounting
도 8 내지 도 9는 스테이지(100)와 설치 프레임(120)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8 to 9 illustrate different forms of the
본 발명의 스테이지(100)와 설치 프레임(120)의 다른 실시 예는 다수의 설치 프레임(120)을 스테이지(100)로부터 출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설치 프레임(120)이 스테이지(100)로부터 인출되도록 작동수단(60)을 설치하는 데, 상기 작동수단은, The operation means 60 is provided so that the
스테이지(100)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다수의 가이드홈(110)을 형성하고, A plurality of
가이드홈(110)의 내측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 플레이트(120)를 결합하며, The mounting
설치 플레이트(120)를 가이드홈(110)으로부터 출몰 작동시키는 제2 실린더(130)를 스테이지(100)의 하부에 설치 플레이트(120)와 대응되게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cond cylinder 130 for operating the projecting and retracting operation of the mounting
상기 설치 플레이트(120)를 인출시키는 제2 실린더(130)는 도 8과 도 9와 같이 스테이트(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2 실린더(130)에 구비된 제2 실린더로드(131)는 설치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결합 되어 제2 실린더(130)의 작동 방향에 따라 제2 실린더로드(131)가 상기 제2 실린더(130)로부터 출몰 작동하면서 다수의 설치 플레이트(120)를 스테이지(100)의 가이드홈(110) 내측으로 인출하거나 유입시키는 것이다. The second cylinder 130 that draws the mounting
상기 스테이지(1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10)은, 도 9와 도 10과 같이 서로 다른 높이의 제1 가이드홈(111)과 제2 가이드홈(112)으로 분할 형성하고, The
이웃한 설치 플레이트(120)가 다른 높이에 설치 되도록 가이드홈(110)에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120)들을 제1 가이드홈(111) 또는 제2 가이드홈(112)에 교번되게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상기 스테이지(100)로부터 인출되는 설치 플레이트(120)의 일단이 가이드홈(110)의 개구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면(121)을 구비하고,And an
설치면(121)의 상부에는 고정부(140)를 형성하며,A fixing
고정부(140)에 다수의 카메라(90)가 설치되는 설치봉(80)을 결합 구성하여 가이드홈(110)에 출몰 작동되는 설치 플레이트(120) 위치와 상관없이 항상 설치봉(80)이 설치 플레이트(120)에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이와 같이 스테이지(100)의 가이드홈(110)에 설치면(121)이 외부로 노출되게 다수의 설치 플레이트(120)를 결합하고, 설치면(121)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140)에 카메라(90)가 결합 된 설치봉(80)을 결합한다.A plurality of mounting
상기 설치봉(80)이 결합 된 설치 플레이트(120)를 스테이지(100)와 연결되게 작동수단(60)의 제2 실린더로드(131)가 구비된 제2 실린더(130)를 결합한다. The second cylinder 130 having the second cylinder rod 131 of the actuating means 60 is coupled to the
따라서, 설치봉(80)은 설치 플레이트(120)에 결합 된 상태에서 작동수단(60)의 제2 실린더(130)의 작동 방향에 따라 가이드홈(110)으로부터 출몰 작동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mounting
이와 같이 설치봉(80)이 설치 플레이트(120)에 결합 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설치 플레이트(120)가 제2 실린더(130)의 작동으로 인해 가이드홈(110)을 출몰 작동시켜 피사체를 카메라(90)가 바로 촬영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촬영부재(30)의 설치 작업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mounting
상기 가이드홈(100)은 상,하로 분할 형성한 상태에서 도 9의 (a)와 같이 제1 가이드홈(111)에는 설치 플레이트(120)를 작동수단(60)의 작동 방향에 따라 출몰 되게 결합하고, 제1 가이드홈(111)과 이웃한 제2 가이드홈(112)에는 도 10의 (a)와 같이 설치 플레이트(120)를 작동수단(60)의 작동 방향에 따라 출몰되게 스테이지(100)에 방사형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9 (a), when the
따라서, 작동수단(60)에 의해 스테이지(100)로부터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작동 하는 설치 플레이트(120)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제1 가이드홈(111) 및 제2 가이드홈(112)에 결합되기 때문에 서로 간섭을 받은 않은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테이지(100)의 확장 공간에 의해 피사체인 사람 내지 애완 동물 등은 넓어진 스테이지(100)의 공간으로 인해 다양한 포즈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또한, 촬영부재(30)가 설치되는 스테이지(100)는 적재부(20)의 상부면에 설치하므로, 축제, 박람회 등과 같은 장소로 촬영부재(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10: 트럭, 20: 적재부,
21: 수직판, 22: 제1 개폐날개부,
23: 제2 개폐날개부, 24: 계단,
30: 촬영부재, 40: 스테이지,
41: 내부공간, 42: 개구홀,
50: 설치 플레이트, 51: 경첩,
52: 고정부, 60: 작동수단,
70: 제1 실린더, 71: 제1 실린더로드
72: 힌지, 80: 설치봉,
81: 몸체부, 82: 결합돌부,
83: 결합홈, 90: 카메라,
91: 편집장치, 92: 3D 프린터,
93: 덮개판, 100: 스테이지,
110: 가이드홈, 111: 제1 가이드홈,
112: 제2 가이드홈, 120: 설치 플레이트,
121: 설치면, 130: 제2 실린더,
131: 제2 실린더, 140: 고정부, 10: truck, 20: loading part,
21: vertical plate, 22: first opening and closing blade,
23: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blade, 24: a staircase,
30: photographing member, 40: stage,
41: inner space, 42: opening hole,
50: mounting plate, 51: hinge,
52: fixing section, 60: operating means,
70: first cylinder, 71: first cylinder rod
72: hinge, 80: mounting rod,
81: body portion, 82: engaging projection portion,
83: coupling groove, 90: camera,
91: editing device, 92: 3D printer,
93: cover plate, 100: stage,
110: guide groove, 111: first guide groove,
112: second guide groove, 120: mounting plate,
121: installation surface, 130: second cylinder,
131: second cylinder, 140: fixed portion,
Claims (7)
적재부(20)가 구비된 트럭(10)과;
적재부(2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스테이지(40)와;
스테이지(4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설치 플레이트(50)와;
설치 플레이트(50)를 스테이지(40)로부터 펼치거나 인출시켜 설치봉(80)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공간을 확장하는 작동수단(60);으로 구성하며,
상기 작동수단(60)은, 내부공간(41)이 구비되도록 스테이지(40)를 입체 형태로 형성하되, 스테이지(40)의 외측면에 개구홀(42)을 형성하고,
스테이지(40)의 외측단에 세워지거나 펼쳐짐이 가능하게 다수의 설치 플레이트(50)를 결합하며,
설치 플레이트(50)를 세우거나 펼쳐지도록 작동시키는 다수의 제1 실린더(70)를 스테이지(40)의 내부공간(41)에 각각의 설치 플레이트(50)에 대응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
A vehicle-mounted 3D studio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ing rods (80) radially provided around a subject and a camera (90) mounted on each mounting rod (80)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A truck 10 provided with a loading section 20;
A stage 4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section 20;
A plurality of mounting plates 50 provided outside the stage 40;
And operating means 60 for expanding the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mounting plate 80 can be installed by unfolding or pulling out the mounting plate 50 from the stage 40,
The actuating means 60 includes a stage 40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so as to have an internal space 41, an opening hole 42 formed in an outer surface of the stage 40,
A plurality of mounting plates 50 are assembled so as to be erected or unfolded at the outer end of the stage 40,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cylinders (7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mounting plate (50) ar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41) of the stage (40)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mounting plates (50) 3D studio for.
적재부(20)가 구비된 트럭(10)과;
적재부(2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스테이지(40)와;
스테이지(4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설치 플레이트(50)와;
설치 플레이트(50)를 스테이지(40)로부터 펼치거나 인출시켜 설치봉(80)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공간을 확장하는 작동수단(60);으로 구성하고,
상기 작동수단(60)은, 스테이지(100)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다수의 가이드홈(110)을 형성하고,
가이드홈(110)의 내측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 플레이트(120)를 결합하며,
설치 플레이트(120)를 가이드홈(110)으로부터 출몰 작동시키는 제2 실린더(130)를 스테이지(100)의 하부에 설치 플레이트(120)와 대응되게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
A vehicle-mounted 3D studio including a plurality of mounting rods (80) radially provided around a subject and a camera (90) mounted on each mounting rod (80)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A truck 10 provided with a loading section 20;
A stage 4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section 20;
A plurality of mounting plates 50 provided outside the stage 40;
And operating means 60 for expanding the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mounting bar 80 can be installed by extending or pulling the mounting plate 50 from the stage 40,
The actuating means 6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110 annular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ge 100,
The mounting plate 120 is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110 so as to be able to protrude / retract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110,
Wherein a second cylinder (130) for projecting and projecting the mounting plate (120) from the guide groove (11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late (120) at a lower portion of the stage (100).
가이드홈(110)은 서로 다른 높이의 제1 가이드홈(111)과 제2 가이드홈(112)으로 분할 형성하고,
이웃한 설치 플레이트(120)가 다른 높이에 설치 되도록 가이드홈(110)에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120)들을 제1 가이드홈(111) 또는 제2 가이드홈(112)에 교번되게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guide groove 110 is divided into a first guide groove 111 and a second guide groove 112 having different heights,
The mounting plates 120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s 110 are installed alternately in the first guide grooves 111 or the second guide grooves 112 so that the neighboring mounting plates 120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3D studio with vehicle mounted.
설치 플레이트(120)의 일단이 가이드홈(110)의 개구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면(121)을 구비하고,
설치면(121)의 상부에는 고정부(140)를 형성하며,
고정부(140)에 다수의 카메라(90)가 설치되는 설치봉(80)을 결합 구성하여 가이드홈(110)에 출몰 작동되는 설치 플레이트(120) 위치와 상관없이 항상 설치봉(80)이 설치 플레이트(120)에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a mounting surface 121 is provided so that one end of the mounting plate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end of the guide groove 110,
A fixing portion 140 is formed on the mounting surface 121,
The mounting bar 80 is installed on the fixing plate 140 so that the mounting bar 80 can be fixed to the mounting plate 120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late 120, 120). ≪ RTI ID = 0.0 > 11. < / RTI >
중공형으로 밴딩 되며,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다수의 몸체부(81)로 구성하며,
설치봉(80)에 결합 된 카메라(90)의 설치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부(81)의 외주면에 결합돌부(82)와, 그 결합돌부(82)가 내측에 끼워지는 결합홈(83)을 몸체부(81)의 내측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
The mounting rod (80)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body portions 81 bent in a hollow shape and having different diameters so as to be f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oupling protrusion 82 and a coupling groove 83 for fitting the coupling protrusion 82 insid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81 so as to be fixed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90 coupled to the fitting rod 8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81).
적재부(20)의 양측면에는 상,하로 각각 회전되는 제1 개폐날개(22)와 제2 개폐날개(23)를 더 설치하고,
제2 개폐날개(23)의 내측면에 계단(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용 3D 스튜디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ne 22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ne 23, which are respectively rotated upward and downward, ar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ading section 20,
And a step (24)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blade (2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927A KR101743440B1 (en) | 2015-12-24 | 2015-12-24 | Vehicle loading 3D studio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927A KR101743440B1 (en) | 2015-12-24 | 2015-12-24 | Vehicle loading 3D studio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3440B1 true KR101743440B1 (en) | 2017-06-07 |
Family
ID=5922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59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3440B1 (en) | 2015-12-24 | 2015-12-24 | Vehicle loading 3D studio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3440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6929A (en) | 2018-09-11 | 2019-02-19 | 주식회사 미니마인 | A mobile 3d studio for manufacturing figure |
KR20190016776A (en) | 2017-08-09 | 2019-02-19 | 주식회사 미니마인 | A mobile 3d studio for manufacturing figure |
KR20190085783A (en) | 2018-01-11 | 2019-07-19 | 주식회사 미니마인 | 3d figure photo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studio |
KR102001038B1 (en) * | 2018-01-09 | 2019-10-01 | 옥승진 | Multiple angle photograph shooting machine |
KR20190113301A (en) | 2018-03-28 | 2019-10-08 | 주식회사 미니마인 | A mobile 3d studio for manufacturing figure |
KR20190113303A (en) | 2018-03-28 | 2019-10-08 | 주식회사 미니마인 | A mobile 3d studio for manufacturing fig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38504B1 (en) * | 2014-10-14 | 2015-06-24 | 東京リスマチック株式会社 | Studio and vehicle with studio |
-
2015
- 2015-12-24 KR KR1020150185927A patent/KR1017434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38504B1 (en) * | 2014-10-14 | 2015-06-24 | 東京リスマチック株式会社 | Studio and vehicle with studi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6776A (en) | 2017-08-09 | 2019-02-19 | 주식회사 미니마인 | A mobile 3d studio for manufacturing figure |
KR102001038B1 (en) * | 2018-01-09 | 2019-10-01 | 옥승진 | Multiple angle photograph shooting machine |
KR20190085783A (en) | 2018-01-11 | 2019-07-19 | 주식회사 미니마인 | 3d figure photo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studio |
KR20190113301A (en) | 2018-03-28 | 2019-10-08 | 주식회사 미니마인 | A mobile 3d studio for manufacturing figure |
KR20190113303A (en) | 2018-03-28 | 2019-10-08 | 주식회사 미니마인 | A mobile 3d studio for manufacturing figure |
KR20190016929A (en) | 2018-09-11 | 2019-02-19 | 주식회사 미니마인 | A mobile 3d studio for manufacturing fig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3440B1 (en) | Vehicle loading 3D studio | |
US20200048926A1 (en) | Quick assembly tent | |
TWI383090B (en) | Screen device | |
CN107618452B (en) | Panorama acquisition roof platform and panorama acquisition car | |
KR101549756B1 (en) | Separable Fence | |
US9650797B2 (en) | Mobile stage wall panel system | |
US8919364B1 (en) | Auto-erecting tent | |
EP333254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imaging in a luminaire | |
KR200487978Y1 (en) | Tent | |
JP2022529567A (en) | Easy-to-fold softbox | |
JP2010177718A (en) | Document presentation device | |
JP5738504B1 (en) | Studio and vehicle with studio | |
KR102215097B1 (en) | folding cable tray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
KR101541394B1 (en) | Expanding and unfolding type movable barracks trailer | |
KR102686523B1 (en) | Variable net device for preventing throwing | |
KR20190023868A (en) | Extendable camping house | |
ES2562346B2 (en) | SYSTEM OF HOOD OR FOLDING BOLT | |
KR101494987B1 (en) | Tent for photograph | |
JP3142658U (en) | Foldable telescopic screen | |
KR101098513B1 (en) | Frame connecting device of automatic tent | |
CN205485234U (en) | Photographing device | |
CN211421967U (en) | Movable vehicle-mounted film booth | |
KR100535824B1 (en) | Pole of tent | |
EP3050600A1 (en) | Portable goal | |
CN219016774U (en) | Photographic equipment protective box for underwater photograph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