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1858B1 -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차양 - Google Patents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858B1
KR101741858B1 KR1020127001148A KR20127001148A KR101741858B1 KR 101741858 B1 KR101741858 B1 KR 101741858B1 KR 1020127001148 A KR1020127001148 A KR 1020127001148A KR 20127001148 A KR20127001148 A KR 20127001148A KR 101741858 B1 KR101741858 B1 KR 10174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c element
basic
triangular
straight line
ang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738A (ko
Inventor
가쯔히꼬 야마지
료지 아사노
미끼오 가네꼬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822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328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87154A external-priority patent/JP50020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87701A external-priority patent/JP5066215B2/ja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0/06016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147128A1/ja
Publication of KR20120034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85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0Building elements, e.g. bricks, blocks, tiles, panels, posts,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2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높은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이것을 복수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양을 제공한다.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저면으로부터 본 경우, 제2 이면체 (12)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 (12b)와 제3 이면체 (1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 (13a와)의 맞댐부(화살표 (P)로 나타내는 부분)에도 소정의 두께가 확보되어, 각 기본 요소 (2), (3), (4), (5)의 제2 이면체 (12)와 제3 이면체 (13)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2 기본 요소 (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3b)와 제3 기본 요소 (4)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4a)와의 맞댐부(화살표 (Q)로 나타내는 부분)에도 소정의 두께가 확보되어, 제2 기본 구성 요소 (3)과 제3 기본 구성 요소 (4)가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차양{MOLDED SUNSHADE MEMBER AND SUNSHADE}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차양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프랙털(fractal) 구조의 차양을 구성하는 부재의 사출 성형품 및 이것을 복수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양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프랙털 구조로 된 차양으로서,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는 이면체 형상의 4개의 기본 요소가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성되며, 각 기본 요소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만, 소정 각도 경사된 최대 차광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이들의 간극이 0이 되도록 각 기본 요소가 배치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의 제조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소성 변형 가능한(plastically-deformable) 판재의 일부에 자국을 넣어 절곡함으로써 프랙털 구조체(차양용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96254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차양용 부재에서는 제작에 시간이 걸리며, 강도적으로 충분한 것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높은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이것을 복수 사용하여 형성되는 차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은,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는 이면체 형상의 4개의 기본 요소가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것이며,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기본 요소와, 제1 기본 요소의 좌우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기본 요소와, 제1 기본 요소의 전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3 기본 요소와, 제1 내지 제3까지의 기본 요소의 상측에 배치된 제4 기본 요소를 포함하고, 각 기본 요소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만, 소정 각도 경사된 최대 차광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이들의 간극이 0이 되도록 각 기본 요소가 배치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프랙털 구조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이며, 제1 기본 요소와 제2 기본 요소, 제3 기본 요소 및 제4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가 사출 성형시에 접합됨과 동시에, 제2 기본 요소와 제3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도 사출 성형시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는 이면체 형상의 4개의 기본 요소가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것이며,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기본 요소와, 제1 기본 요소의 좌우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기본 요소와, 제1 기본 요소의 전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3 기본 요소와, 제1 내지 제3까지의 기본 요소의 상측에 배치된 제4 기본 요소를 포함하고, 각 기본 요소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만, 소정 각도 경사된 최대 차광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이들의 간극이 0(실질적으로 0)이 되도록 각 기본 요소가 배치된 프랙털 구조의 차양용 부재는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면체 형상"이란, 2개의 삼각형 판부를 포함하는 이면체 본체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면체 본체 부분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도 이것에 포함된다.
이면체 본체 부분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이면체 형상은, 2개의 큰 삼각형부가 역 V자 형상이 되도록 결합된 큰 이면체와, 2개의 작은 삼각형부가 V자 형상이 되도록 결합되어 큰 이면체의 상반부와 대칭이 되도록 큰 이면체에 결합된 작은 이면체를 포함한다고 환언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형상을 "사면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차양용 부재는, 예를 들면 빌딩의 옥상 등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차단하는 것이며, 그의 설치면은 통상 수평(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이 된다. 그의 설치시에 제1 내지 제3까지의 기본 요소의 각 하변이 수평면 위에 장착되며, 각 기본 요소의 능선은 수직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수평면을 기준으로서 30 내지 40°) 경사된다. 차양용 부재는, 제1 기본 요소 및 제4 기본 요소를 그의 중앙에서 대칭상으로 2분할하는 대칭 중심면을 갖고 있으며, 제2 및 제3 기본 요소는 대칭 중심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차양용 부재는 대칭 중심면 위에서 능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각 기본 요소 사이의 간극이 정면 및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간극보다 작아지도록(실질적으로 0이 되도록) 형성되고, 이 대칭 중심면 위에서 능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최대 차광 방향"이다. "최대 차광 방향"은, 제1 기본 요소와 제4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와 제2 기본 요소와 제3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를 연결하는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각형"에 있어서,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기본 요소의 각부 중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각부가 되어 있는 부분의 각도가 90°가 되고, 제2 기본 요소 및 제3 기본 요소의 각부 중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각부가 되어 있는 부분의 각도는 90°보다도 약간 작고, 제4 기본 요소의 각부 중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각부가 되어 있는 부분의 각도는 90°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능선을 중앙에 설치했을 때의 정면도에서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형상은, 제1, 제2 및 제3 기본 요소의 하면을 저변(빗변)으로서 제4 기본 요소의 각부에 의해 형성되는 꼭지각이 90°인 직각 이등변 삼각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각 기본 요소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중삼각형 판부, 중삼각형 구멍 및 각 이면체)도 직각 이등변 삼각형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조립할 때 이들의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기준으로 함으로써, 인접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끼리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종래의 차양용 부재는 소성 변형 가능한 판재의 일부에 자국을 넣어 절곡함으로써, 삼각형 구멍과 절곡부를 형성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삼각형 구멍의 크기를 이것을 둘러싸는 3개의 삼각형 판부의 크기보다 훨씬 작게 함으로써, 제1 기본 요소와 제2 기본 요소, 제3 기본 요소 및 제4 기본 요소가 그의 맞댐부에서 접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제작 방법에서는, 제2 기본 요소와 제3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의 접합은 이어서 용접 등을 실시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며, 강도적으로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양용 부재가 합성 수지제의 사출 성형품이 된다. 또한, 종래의 소성 변형 가능한 판재의 일부에 자국을 넣어 절곡하는 제작 방법에서는, 필연적으로 접합할 수 없었던 제2 기본 요소와 제3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가 사출 성형시에 접합됨으로써 강도 향상이 달성된다.
예를 들면, 각 기본 요소는,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는 4개의 이면체가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것이며,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이면체와, 제1 이면체의 좌우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이면체와, 제1 이면체의 전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3 이면체와, 제1 내지 제3까지의 이면체의 상측에 배치된 제4 이면체를 포함하고, 각 이면체끼리의 맞댐부가 사출 성형시에 접합되는 것이 된다.
이 기본 요소는, 그 자체를 차양용 부재 성형품(복수의 부품이 조립된 것이 아닌 단품의 성형품)으로 할 수 있다(이 경우에는, 이면체가 청구항 1에서의 기본 요소가 됨). 또한, 이 기본 요소를 4개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도록 배치한 것(확장 기본 요소)을 차양용 부재 성형품으로 할 수도 있다. 결국, 이 차양용 부재 성형품이 복수(다수) 연속하여 설치됨으로써 소요되는 범위를 덮는 차양이 형성된다.
이러한 차양은,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는 이면체를 최소 단위로 하여,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이면체와, 제1 이면체와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1변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2 이면체와, 제1 이면체와 인접하며 제1 이면체의 다른 정점을 공유함과 동시에, 제1 이면체의 다른 1변과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3 이면체와, 1변을 제2, 제3 이면체와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1변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음과 동시에, 제1 이면체와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대각선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4 이면체를 포함하는 4개의 이면체를 기본 요소로 하고,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기본 요소와, 제1 기본 요소와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1변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2 기본 요소와, 제1 기본 요소와 인접하며 제1 기본 요소의 다른 정점을 공유함과 동시에, 제1 기본 요소의 다른 1변과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3 기본 요소와, 1변을 제2, 제3 기본 요소와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1변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음과 동시에, 제1 기본 요소와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을 공유하고 대각선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4 기본 요소를 포함하고, 각 기본 요소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만, 소정 각도 경사된 최대 차광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이들의 간극이 0이 되도록 각 기본 요소가 배치된 프랙털 구조의 차양이 된다.
사출 성형시에는, 소정 각도 경사된 최대 차광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간극이 없어지도록 각 기본 요소가 배치되어 있는 점에 주목하여, 최대 차광 방향이 사출 성형 장치의 축 방향으로 일치된다. 또한, 이면체 형상의 기본 요소에서는 그의 능선 방향으로부터 보면, 동일한 횡단면의 윤곽 형상이 그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공 형상이 되어 있는 점에 주목하여, 이 중공 형상을 이용하여 여기에 슬라이드 코어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1회의 사출 성형으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로서는, 예를 들면 능선 방향을 따라 접근ㆍ격리되는 1쌍의 슬라이드 코어가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능선 방향을 따라 접근ㆍ격리되는 복수 쌍의 슬라이드 코어가 사용된다.
사출 성형 장치는, 간극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갖고 기본 요소의 피크측에서부터 접촉되는 제1 금형과, 파형의 요철부를 갖고 기본 요소의 밸리측에서부터 접촉되는 제2 금형과, 기본 요소의 능선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캐비티가 형성되는 것이고, 제1 및 제2 금형 중 어느 하나가 고정측 금형, 다른 하나가 가동측 금형이 되어, 이들 금형이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최대 차광 방향을 축 방향으로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에 있어서,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을 형성하고 있는 4개의 각부에 각각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인접하여 배치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끼리는, 한쪽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관통 구멍에 감입되는 돌기와 다른쪽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관통 구멍에 감입되는 돌기를 갖는 조인트에 의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관통 구멍은 사출 성형시에 동시에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인트도 합성 수지제의 사출 성형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인트를 사용한 차양의 조립은 빌딩의 옥상 등의 차양 설치 현장에서 행해지며,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인접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조인트에 의해 결합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차양을 조립할 수 있다.
차양을 형성할 때에는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대신에 보강재와 와이어를 사용하여 차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양은 소정 수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이 능선이 연속되도록 배치됨으로써 1개의 유닛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은 능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재로 지지되어 있는 것이 된다.
보강재로서는, 금속제 와이어, 금속선,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의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재는 가요성을 갖고 있어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고, 강재와 같이 가요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보강재와 각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고정은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행할 수 있으며, 각 차양용 부재 성형품에 돌기를 추가하여, 보강재를 지지하기 위한 구멍, 슬릿 등이 돌기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돌기를 스웨이징함으로써 보강재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보강재가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각 차양용 부재 성형품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보강재를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관통 구멍에 순차 삽입 관통만을 행할 수도 있고, 보강재가 가요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 차양용 부재 성형품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 구멍에 와이어를 삽입 관통하여, 이 와이어에 의해 보강재와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결합할 수도 있다.
보강재는, 양단부를 양끝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로 하고, 보강재의 각 단부를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재에 각각 고정함으로써, 1개의 유닛이 지지재에 고정된다. 또한, 복수의 유닛을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크기(능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에 따른 피치로 병렬상으로 배치함으로써, 한 변이 1개의 유닛에서 사용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수×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능선 방향의 길이이며, 다른 변이 유닛의 수×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능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 형상인 차양을 얻을 수 있다. 지지재는, 예를 들면 네 모서리를 지주로 지지한 프레임으로 할 수 있다. 지지재는 수평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수평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보강재를 지지하는 지지재는, 차양의 방위(동서남북)나 앙각을 목적에 맞추어 설정한다. 예를 들면, 여름 한낮의 햇살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능선을 남쪽 방향을 향하게 하고 앙각을 태양의 고도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으며, 석양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능선을 서쪽 방향을 향하게 하고 앙각을 석양에 맞추어 작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겨울의 일사를 거의 통과시키고, 여름의 일사를 거의 차단하는 것을 겨냥하여, 차양의 능선을 남쪽 방향을 향하게 하여 대략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재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강도적으로도 우수해지고, 일사를 방지하고자 하는 시각이나 방향으로의 대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차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 기본 요소에서 인접하는 기본 요소와 공유하는 정점과 공유하지 않는 다른 정점을 갖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제1 기본 요소와, 제2, 제3, 제4 기본 요소가 공유하는 정점을 B, C, G로 하고, 제1 기본 요소의 다른 정점을 A로 하고, 2변 AB, AC를 저변으로 하는 3각형 ABC를 대략 수평으로 설치했을 때, 점 A의 변 BC에 대한 수평 방향의 대칭점을 D로 하고, ∠ADG가 이루는 각도 F를 기준 각도로 한다. 또한, 차양이 설치되는 장소의 위도 θ를 사용하여, 이 기준 각도 F(°)에 대하여 S는 5 이상 10 이하의 적절한 수, T는 0 이상 5 이하의 적절한 수이며, θ≥23에서 113-S-θ≤F≤113+T-θ, θ<23에서 F=90±1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차양의 제1 설치 형태).
θ는 북위일 수도 있고, 남위일 수도 있다.
113-θ는, 하지일 때의 태양 고도에 상당한다.
113-S-θ는 S≒5인 경우, 여름의 최고 기온시의 태양 고도에 상당한다. 따라서, 108-θ≤F≤113-θ로 함으로써, 위도가 θ인 지역에 최적인 차양이 된다. S 및 T는 이 조건으로부터의 어긋남의 허용 범위이며, S+T는 전세계의 지역을 커버하는 데 필요한 차양의 종류에 대응하는 지수가 되어, S=5인 경우에는 θ≥23인 지역에 대하여 (90-23)/5≒14 종류의 차양이 필요해지고, S=10 및 T=5로 하면 θ≥23인 지역에 대하여 태양 고도에 대한 최적값으로부터의 어긋남이 약간 커지지만, (90-23)/15≒5 종류의 차양으로 충분하다.
차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1 수평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사면체의 형상이, 설치면에 위치하는 정점 a를 갖고 하측에 배치된 하측 역삼각형부 abd와, 하측 역삼각형부 abd와의 사이에 삼각형의 개구부 bcd를 형성하도록 상측에 배치된 2개의 상측 삼각형부 bfc 및 dce를 포함하고, 큰 삼각형부의 1개의 변을 형성하는 직선 af와 큰 이면체의 능선을 형성하는 직선 ef가 이루는 각이 동계의 태양 고도에 대응하는 각도 α°가 되고, 큰 삼각형부를 이등분하는 직선 ac와 큰 이면체의 능선을 형성하는 직선 ef가 이루는 각이 하계의 태양 고도에 대응하는 각도 β°(β>α)가 되는 경우가 있다(차양의 제2 설치 형태).
제2 설치 형태의 설치시에는, 점 a가 설치면 위에 위치하고, 점 c, 점 e 및 점 f가 능선(최대 높이)을 형성하고, 점 b 및 점 d는 1/2 높이의 선을 형성한다. 직선 ef는 설치면과 평행하고, 직선 af와 직선 ef가 이루는 각은 직선 af와 설치면이 이루는 각과 동일하고, 직선 ac와 직선 ef가 이루는 각은 직선 ac와 설치면이 이루는 각과 동일하다.
개구부는 통풍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차광성과 통풍의 양호함의 양립이 실현되고 있다. 이 차양에서는, 어떠한 방향으로부터 본 차양의 개구부 면적/전체 면적이 그의 방향(각도)에 따라 크게 상이하다. 하계에 태양광을 차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동계에 태양광을 차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 차양의 제2 설치 형태에서는, 직선 af와 직선 ef(설치면)가 이루는 각이 동계의 태양 고도에 대응하는 각도 α°가 되고, 직선 ac와 직선 ef(설치면)가 이루는 각이 하계의 태양 고도에 대응하는 각도 β°(β>α)가 됨으로써, 하계에 태양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동계에 태양광을 비쳐 보이게 할 수 있으며, 전세계의 상이한 지역으로의 설치시에 동계에서의 사용을 포함하여 적절한 각도에서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상기에서 αmin<α<αmin+10 및 βmax-10<β<βmax이되, 단 αmin=90-(위도+23) 및 βmax=90-(위도-23) 또는 βmax=90-(23-위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αmin은 북반구의 동지인 날의 가장 낮은 태양 고도이며, αmin<α<αmin+10은 α가 이 αmin보다 크고, 실제로 최저 기온이 되는 1 내지 2개월 후의 태양 고도인 αmin+1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βmax는, 북반구에서는 하지인 날의 가장 높은 태양 고도이며, 위도가 23°보다 큰 지역과 작은 지역에서 구하는 방법이 상이하여, 위도가 23°보다 큰 지역에서는 βmax=90-(위도-23), 위도가 23°보다 작은 지역에서는 βmax=90-(23-위도)가 된다. βmax-10<β<βmax는 β가 이 βmax보다 작고, 실제로 최고 기온이 되는 1 내지 2개월 후의 태양 고도인 βmax-10 이상의 범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차양의 제1 및 제2 설치 형태에서 "23°"는 지구의 지축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것이며, 정확하게는 23.4°이지만, 0.4°는 거의 효과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23°로 하고 있다.
상기한 차양의 제1 및 제2 설치 형태에 따르면, 설치 장소마다 태양의 각도를 바탕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문제가 해소되어, 전세계의 상이한 지역으로의 설치시에 적절한 각도에서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4개의 기본 요소를 포함하는 차양용 부재가 사출 성형의 일체품이 됨과 동시에, 제1 기본 요소와 제2 기본 요소, 제3 기본 요소 및 제4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 뿐만 아니라, 제2 기본 요소와 제3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도 사출 성형시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용 부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차양용 부재의 강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능선을 중앙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동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최대 차광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능선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기본 요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제조하는 금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복수 사용하여 조립되는 차양의 한 실시 형태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을 복수 사용하여 조립되는 차양의 다른 실시 형태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양의 제1 설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양의 제2 설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정면도)이다.
도 13은 동 측면도이다.
도 14는 동 평면도이다.
도 15는 동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 사시도이다.
도 17은 차양의 제2 설치 형태에서 차양의 능선을 중앙으로 하고, 4개의 사면체를 접합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차양용 부재 성형품
(2), (3), (4), (5) 기본 요소
(2A), (2B), (2C), (2D) 기본 요소
(10) 큰 이면체
(11), (12), (13), (14) 이면체
(20) 작은 이면체
(20a), (20b) 작은 삼각형부
(31), (32), (33), (34) 관통 구멍
(35), (36), (37) 조인트
(50) 유닛
(51) 보강재
(61), (62) 큰 삼각형부
(61a), (62a) 하측 역삼각형부
(61b), (62b), (61c), (62c) 상측 삼각형부
(61d), (62d) 삼각형의 개구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의 좌우를 좌우, 상하를 상하라고 하고, 이들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도 1의 지면 표면측이 앞)라고 한다.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사출 성형으로 얻어지는 그 단품의 형상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형상이 되어 있으며, 이것을 다수 사용하여 좌우, 전후 및 상하에 배열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차양(도시는 그의 일부)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차양은, 다수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포함하는 프랙털 구조가 되어 있으며,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4개의 기본 요소 (2), (3), (4), (5)를 포함하는 프랙털 구조가 되어, 각 기본 요소 (2), (3), (4), (5) 자체도 동일한 형태의 삼각형이 대칭상으로 일체화된 이면체 (11), (12), (13), (14)를 단위로 하는 프랙털 구조가 되어 있다.
각 기본 요소 (2), (3), (4), (5)는,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는 4개의 이면체 (11), (12), (13), (14)가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것이며,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이면체 (11)과, 제1 이면체 (11)의 우측에 배치된 제2 이면체 (12)와, 제1 이면체 (11)의 후방에 배치된 제3 이면체 (13)과, 제1 내지 제3까지의 이면체 (11), (12), (13)의 상측에 배치된 제4 이면체 (14)를 포함한다.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4개의 기본 요소 (2), (3), (4), (5)가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것이며,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기본 요소 (2)와, 제1 기본 요소 (2)의 우측에 배치된 제2 기본 요소 (3)과, 제1 기본 요소 (2)의 후방에 배치된 제3 기본 요소 (4)와, 제1 내지 제3까지의 기본 요소 (2), (3), (4)의 상측에 배치된 제4 기본 요소 (5)를 포함한다.
각 기본 요소 (2), (3), (4), (5)는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며, 차양용 부재 성형품 (1)도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어 있다. 제1 및 제4 기본 요소 (2), (5)에 포함되는 제1 및 제4 이면체 (11), (14)의 각 능선은 연속되어 있으며, 이것이 전체로서 이면체 형상을 이루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능선 (R)이 되어 있다. 능선 (R)은 수평면에 대하여 소요 각도(30 내지 40° 정도) 경사되어 있다.
도 7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 요소 (2)(다른 기본 요소 (3), (4), (5)에서도 동일함)를 구성하는 4개의 이면체 (11), (12), (13), (14)는 동일한 형상이 되어 있으며, 각 이면체 (11), (12), (13), (14)는 전방면을 형성하는 소삼각형 판부 (11a), (12a), (13a), (14a)와 측면을 형성하는 소삼각형 판부 (11b), (12b), (13b), (14b)를 포함한다. 제1 이면체 (11)은, 수평면 위에 위치하여 정방형의 2변을 형성하는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하변 (21), (22)와, 하변 (21), (22)끼리의 교차부로부터 경사 상측으로 신장되어 능선 (R)을 형성하는 공통변 (23)과, 공통변 (23)의 상단부와 각 하변 (21), (22)의 단부를 연결하는 전방측 및 깊이측의 상변 (24), (25)를 포함한다. 제2 이면체 (12)는, 제1 이면체 (11)의 좌우 방향의 하변 (21)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방향의 하변 (21)과, 제1 이면체 (11)의 전후 방향의 하변 (22)에 평행한 전후 방향의 하변 (22)와, 제1 이면체 (11)의 공통변 (23)에 평행한 공통변 (23)과, 제1 이면체 (11)의 전방측 및 깊이측의 상변 (24), (25)에 각각 평행한 전방측 및 깊이측의 상변 (24), (25)를 포함한다. 제3 이면체 (13)은, 제1 이면체 (11)의 전후 방향의 하변 (22)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전후 방향의 하변 (22)와, 제1 이면체 (11)의 좌우 방향의 하변 (21)에 평행한 좌우 방향의 하변 (21)과, 제1 이면체 (11)의 공통변 (23)에 평행한 공통변 (23)과, 제1 이면체 (11)의 전방측 및 깊이측의 상변 (24), (25)에 각각 평행한 전방측 및 깊이측의 상변 (24), (25)를 포함한다. 제4 이면체 (14)는, 제1 이면체 (11)의 공통변 (23)이 경사 상측으로 연장된 공통변 (23)과, 제2 이면체 (12)의 전방측의 상변 (24)가 경사 상측으로 연장된 전방측의 상변 (24)와, 제3 이면체 (13)의 깊이측의 상변 (25)가 경사 상측으로 연장된 깊이측의 상변 (25)와, 제1 이면체 (11)의 좌우 방향의 하변 (21)에 평행한 좌우 방향의 하변 (21)과, 제1 이면체 (11)의 전후 방향의 하변 (22)에 평행한 전후 방향의 하변 (22)를 포함한다.
도 7에서 제1, 제2 및 제4 각 이면체 (11), (12), (14)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소삼각형 판부 (11a), (12a), (14a)는 동일한 평면(전방면) 위에 있으며, 이 전방면에 대하여 제2 이면체 (12)의 측면을 형성하는 소삼각형 판부 (12b)가 저면측으로 굴곡되어 있음으로써, 기본 요소 (2)의 전방면에는 삼각 형상의 소삼각형 구멍 (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제3 및 제4 각 이면체 (11), (13), (14)의 측면을 형성하는 소삼각형 판부 (11b), (13b), (14b)는 동일한 평면(측면) 위에 있으며, 이 측면에 대하여 제3 이면체 (13)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소삼각형 판부 (13a)가 저면측으로 굴곡되어 있음으로써, 기본 요소 (2)의 측면에는 삼각 형상의 소삼각형 구멍 (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기본 요소 (2)는 중앙부에 소삼각형 구멍 (15)를 갖는 2개의 중삼각형 판부 (2a), (2b)가 능선 (R)을 통해 접합된 이면체 본체 부분과, 중삼각형 판부 (2a), (2b)에 대하여 저면측으로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돌출 부분) (12b), (13a)를 포함하는 이면체 형상이 되어 있다.
각 소삼각형 구멍 (15)의 크기는, 이것을 둘러싸는 3개의 삼각형 판부 (11a), (12a), (14a), (11b), (13b), (14b)의 크기보다 훨씬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인접하는 삼각형 판부 (11a), (12a), (14a), (11b), (13b), (14b) 사이에 소정의 두께가 확보되어, 삼각형 판부 (11a), (12a), (14a), (11b), (13b), (14b)끼리는 그의 맞댐부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는 기본 요소 (2), (3), (4), (5)끼리도, 각 맞댐부에 소정의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서로 접합되어 있다.
4개의 기본 요소 (2), (3), (4), (5)를 포함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에서, 제1, 제2 및 제4 각 기본 요소 (2), (3), (5)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중삼각형 판부 (2a), (3a), (5a)는 동일한 평면(전방면) 위에 있으며, 이 전방면에 대하여 제2 기본 요소 (3)의 측면을 형성하는 중삼각형 판부 (3b)가 저면측으로 굴곡되어 있음으로써, 전방면의 대삼각형부 (1a)에는 삼각 형상의 중삼각형 구멍 (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제3 및 제4 각 기본 요소 (2), (4), (5)의 측면을 형성하는 중삼각형 판부 (2b), (4b), (5b)는 동일한 평면(측면) 위에 있으며, 이 측면에 대하여 제3 기본 요소 (4)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중삼각형 판부 (4a)가 저면측으로 굴곡되어 있음으로써, 측면의 대삼각형부 (1b)에는 삼각 형상의 중삼각형 구멍 (6)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중앙부에 중삼각형 구멍 (6)을 갖는 2개의 대삼각형 판부 (1a), (1b)가 능선 (R)을 통해 접합된 이면체 본체 부분과, 대삼각형 판부 (1a), (1b)에 대하여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돌출 부분) (3b), (4a)를 포함하는 이면체 형상이 되어 있다.
따라서,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기본 요소로 간주하고, 이것을 4개 사용하여 상기한 기본 요소 (2), (3), (4), (5)와 동일하도록 좌우, 전후 및 상하에 배치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하는 차양 부재 성형품 (1)의 조립품이 얻어지고, 사용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수를 적절하게 증가시킴으로써 필요한 크기의 차양을 얻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평면도에서,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기본 요소 (2)의 각부 중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각부가 되어 있는 부분(도 2의 하측에 있는 각부)의 각도는 90°가 되어 있으며, 능선 (R)은 이것을 이등분하도록 되어 있다. 제2 기본 요소 (3) 및 제3 기본 요소 (4)의 각부 중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각부가 되어 있는 부분(도 2의 좌우에 있는 각부)의 각도는 서로 동등하여 90°보다 약간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제4 기본 요소 (5)의 각부 중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각부가 되어 있는 부분(도 2의 상측에 있는 각부)의 각도는 90°보다 커져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능선 (R)을 중앙에 설치했을 때의 정면도에서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제1, 제2 및 제3 기본 요소 (2), (3), (4)의 하면을 저변(빗변)으로서 제4 기본 요소 (4)의 각부에 의해 형성되는 꼭지각이 90°인 직각 이등변 삼각형이 되어 있으며, 이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는, 각 기본 요소 (2), (3), (4), (5)의 중삼각형 판부 (2a), (2b), (3a), (3b), (4a), (4b), (5a), (5b), 중삼각형 구멍 (6) 및 각 이면체 (11), (12), (13), (14)도 직각 이등변 삼각형이 되어 있다. 따라서,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조립할 때 이들 직각 이등변 삼각형을 기준으로 함으로써, 인접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1)끼리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각 기본 요소 (2), (3), (4), (5)의 중삼각형 판부 (2a), (2b), (3a), (3b), (4a), (4b), (5a), (5b), 중삼각형 구멍 (6) 및 각 이면체 (11), (12), (13), (14)의 윤곽 형상은, 도 3에 도시하는 능선 (R)을 중앙에 설치했을 때의 정면도에서의 형상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이 되도록 결정되며, 따라서 그 윤곽 형상은 부등변 둔각 삼각형이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저면도에서 종래의 판재로부터 형성한 프랙털 구조체에서는, 화살표 (P)로 나타내는 제2 이면체 (12)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 (12b)와 제3 이면체 (1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 (13a)와의 맞댐부가 자유단이 되기 때문에, 강도가 낮고, 형상을 유지하는 것도 곤란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에서는, 제2 이면체 (12)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 (12b)와 제3 이면체 (1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 (13a)와의 맞댐부에도 소정의 두께가 확보되어, 각 기본 요소 (2), (3), (4), (5)의 제2 이면체 (12)와 제3 이면체 (13)이 접합되고, 이에 따라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각 기본 요소 (2), (3), (4), (5)의 강도가 대폭 향상되고 있다.
또한, 각 기본 요소 (2), (3), (4), (5)에 의해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형성할 때, 화살표 (Q)로 나타내는 제2 기본 요소 (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3b)와 제3 기본 요소 (4)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4a)와의 맞댐부에도 소정의 두께가 확보되어, 제2 기본 구성 요소 (3)과 제3 기본 구성 요소 (4)가 접합되고, 이에 따라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강도가 더욱 향상되고 있다.
즉, 종래의 판재로부터 형성한 프랙털 구조체에서는, 요소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접합되어 있지 않은 맞댐부의 수도 증가하여 강도가 저하됨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에서는 접합되어 있지 않은 맞댐부가 없기 때문에, 요소 수가 증가하여도 강도의 저하가 방지된다.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크기가 상이한 삼각형 구멍 (6), (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도 1 내지 도 4의 어떠한 도면에서도 복수 개소에 간극이 있는(삼각형 구멍 (6), (15)의 맞은편에 삼각형 판부 (3b), (4a), (12b), (13a)로 막혀 있지 않은 부분이 있음) 형상이 되어 있다. 또한, 능선 (R)을 정면으로 하여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경사 상측으로부터 본 경우(태양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당),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삼각형 구멍 (15)가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 (12b), (13a)에 의해, 중삼각형 구멍 (6)이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3b), (4a)에 의해 각각 막히게 되어, 차양용 부재 성형품 (1) 내에 있는 간극이 실질적으로 0이 되고, 이에 따라 차광성이 높아져 있다. 각 삼각형 구멍 (6), (15)는 통풍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차광성과 통풍의 양호함의 양립이 실현되고 있다.
또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능선 방향의 상측으로부터 본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P)로 나타내는 개소, 즉 제2 이면체 (12)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 (12b)와 제3 이면체 (1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소삼각형 판부 (13a)와의 맞댐부가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제1 기본 요소 (2)(및 이 맞은편에 있는 제4 기본 요소 (5))의 제1 이면체 (11)의 각 소삼각형 판부 (11a), (11b)(및 이 맞은편에 있는 제4 이면체 (14)의 각 소삼각형 판부 (14a), (14b))와 제1 기본 요소 (2)(및 이 맞은편에 있는 제4 기본 요소 (5))의 제2 및 제3 이면체 (12), (1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각 소삼각형 판부 (12b), (13a)에 의해, 횡단면이 마름모형으로 능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공 형상의 통상부(제1 통상부) (7)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 기본 요소 (3), (4)에서는, 제1 이면체 (11)의 각 소삼각형 판부 (11a), (11b)(및 이 맞은편에 있는 제4 이면체 (14)의 각 소삼각형 판부 (14a), (14b))와 제2 및 제3 이면체 (12), (1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각 소삼각형 판부 (12b), (13a)에 의해, 횡단면이 마름모형이며 길이가 제1 통상부 (7)의 반인 능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공 형상의 2개의 통상부(제2 통상부) (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Q)로 나타내는 개소, 즉 제2 기본 요소 (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3b)와 제3 기본 요소 (4)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4a)와의 맞댐부가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제1 기본 요소 (2)(및 이 맞은편에 있는 제4 기본 요소 (5))의 제2 및 제3 이면체 (12), (13)의 각 소삼각형 판부 (12a), (12b), (13a), (13b)와 제2 및 제3 기본 요소 (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3b), (4a)에 의해, 횡단면이 V자 형상으로 능선 방향으로 신장되는 중공 형상의 통상부(제3 통상부) (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상부 (7), (8), (9)의 주위벽은, 간극(삼각형 구멍 (6), (15))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절단한 것이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형상에 주목하면, 통상부 (7), (8), (9)의 횡단면 형상에 상당하는 횡단면 형상을 갖는 슬라이드 코어 (43), (44), (45)를 통상부 (7), (8), (9)의 내부에 능선 방향의 양측(도 6의 지면의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삽입함과 동시에, 도 6의 상하 양측으로부터 1쌍의 금형 (41), (42)에 의해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사이에 끼우도록 함으로써, 사출 성형에 의해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얻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의 오목면 (41a)를 갖고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피크측에서부터 접촉되어 도면의 좌우 방향(능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 금형 (41)과, 파형의 요철면 (42a)를 갖고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밸리측에서부터 접촉되는 고정 금형 (42)와,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능선 방향에 접근ㆍ격리되는 복수 쌍의 슬라이드 코어 (43), (44), (45)를 구비한 사출 성형 장치가 사용된다.
가동 금형 (41)의 V자 형상의 오목면 (41a)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대삼각형부 (1a), (1b)의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며, 오목면 (41a) 위에는 대삼각형부 (1a), (1b)의 전방면 및 측면에 있는 소삼각형 구멍 (15)에 끼운 제1 볼록부 (41b)와, 대삼각형부 (1a), (1b)의 전방면 및 측면에 있는 중삼각형 구멍 (6)에 끼워 제2 기본 요소 (3)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3b) 및 제3 기본 요소 (4)의 저면측으로 절곡된 중삼각형 판부 (4a)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2 볼록부 (41c)와, 제2 볼록부 (41c)에 연결되면서도 제2 기본 요소 (3)의 중삼각형 판부 (3b) 및 제3 기본 요소 (4)의 중삼각형 판부 (4a)의 각 소삼각형 구멍 (15)에 끼운 제3 볼록부 (41d)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코어 (43), (44), (45)로서는, 제1 통상부 (7)에 삽입되는 횡단면이 마름모형으로 중앙부에서 제2 볼록부 (41c)에 간섭하지 않는 형상이 된 가동 금형측 코어 (43)과, 제2 통상부 (8)에 삽입되는 횡단면이 마름모형인 고정 금형측 코어부 (44)와, 제3 통상부 (9) 중 가동 금형 (41)의 제2 볼록부 (41c)가 삽입되지 않는 부분에 삽입되는 횡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중앙 코어 (45)가 사용되고 있다.
고정 금형 (42)의 파형의 요철면 (42a)에는, 슬라이드 코어 (43)에 접촉함으로써 두께가 없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단차부 (42b)가 형성되어 있다.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에는,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의 각부를 형성하고 있는 4개의 각부(제1 기본 요소 (2)의 능선 방향의 하단부, 제2 기본 요소 (3)의 우측 하단부, 제3 기본 요소 (4)의 후측 하단부 및 제4 기본 요소 (5)의 능선 방향의 상단부)에 각각 관통 구멍 (31), (32), (33), (3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1)끼리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관통 구멍 (31), (32), (33), (34)에 감입되는 돌기 (35a), (36a), (37a)와 다른쪽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관통 구멍 (31), (32), (33), (34)에 감입되는 돌기 (35b), (36b), (37b)를 갖는 조인트 (35), (36), (37)에 의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인트 (35), (36), (37)로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본 요소 (2)와 제2 및 제3 기본 요소 (3), (4)(좌우 및 전후에 인접하는 기본 요소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2개의 상향 돌기 (35a), (35b)를 갖는 제1 조인트 (35)와, 제1 기본 요소 (2)와 제4 기본 요소 (5)(전후 및 좌우로 어긋나 있으며, 상하에 인접하는 기본 요소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1개의 상향 돌기 (36a) 및 1개의 하향 돌기 (36b)를 갖는 제2 조인트 (36)과, 제2 및 제3 기본 요소 (3), (4)와 제4 기본 요소 (5)(전후 또는 좌우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하에 인접하는 기본 요소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1개의 상향 돌기 (37a) 및 1개의 하향 돌기 (37b)를 갖는 제3 조인트 (37)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조인트 (35), (36), (37)은, 합성 수지제의 사출 성형품으로서 얻을 수 있다.
조인트 (35), (36), (37)을 사용하여 차양을 조립하는 경우,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우측 및 후측에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나열하여 이들을 제1 조인트 (35)에 의해 결합하고, 이어서 서로 결합된 3개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상측에 새로운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나열하여 이들을 제1 및 제2 조인트 (35), (36)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이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임의의 수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배치할 수 있고, 매우 효율적으로 차양을 조립할 수 있다.
차양을 형성할 때에는 조인트 (37)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대신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 (51)과 와이어 (52)를 사용하여 차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에서, 소정 수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이 능선 (R)이 연속되도록 배치됨으로써 1개의 유닛 (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 (50)은 능선 (R)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재 (51)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하여 얻어진 유닛 (50)을 복수 병렬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차양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1)끼리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에 설치된 관통 구멍 (31), (32), (33), (34)를 사용하여 한쪽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관통 구멍 (31), (32), (33), (34)와 다른쪽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관통 구멍 (31), (32), (33), (34)에 와이어 (52)를 삽입 관통하여 와이어 (52)의 단부끼리 결합함으로써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 (52)를 보강재 (51)에 권취함으로써, 보강재 (51)과 각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결합할 수도 있다. 보강재 (51)과 각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미리 접착제 등으로 결합시켜 둘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유닛 (50)을 사용하여 차양을 설치하는 경우, 금속 등의 고강도 재료의 지지재(예를 들면 コ자형 철제 앵글)를 사용하여 차양으로 덮고자 하는 부분의 외연부에 따른 프레임을 제작하고, 프레임이 마주 보는 2변에 보강재 (51)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소요 간격으로 형성하고, 프레임에 보강재 (51)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면적ㆍ형상에 따른 차양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네 모서리를 금속제 지주(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앵글)로 지지함으로써 소정의 높이로 차양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차양에 따르면, 보강재 (51)을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으며, 차양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크기ㆍ형상에 적응이 용이하고, 일사를 방지하고자 하는 시각이나 방향으로의 대응도 용이하다. 또한, 보강재 (51)에 의한 결합에 의해 적설이나 상측 방향으로부터의 이물질의 낙하에 대하여 차양이 부분적으로 덩어리가 되어 낙하하지 않고, 강도적으로도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복수 연속하여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차양은 전세계의 어떠한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도시를 식혀 열섬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 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차양이 올바른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를 위해서는, 우선 기준이 되는 점을 정하여 기준 각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양의 제1 설치 형태에서는, 상기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이 도 11에 도시하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이용한다. 도 11에서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제1 기본 요소 (2)는(다른 기본 요소 (3), (4), (5)도 동일함),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는 이면체를 최소 단위로 하고,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이면체 (11)과, 제1 이면체 (11)과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 b를 공유하고 1변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2 이면체 (12)와, 제1 이면체 (11)과 인접하며 제1 이면체 (11)의 다른 정점 c를 공유함과 동시에, 제1 이면체 (11)의 다른 1변과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3 이면체 (13)과, 1변을 제2, 제3 이면체 (12), (13)과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 e, f를 공유하고 1변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음과 동시에, 제1 이면체 (11)과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 g를 공유하고 대각선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4 이면체 (14)를 포함한다.
또한,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은, 이들 4개의 이면체 (11), (12), (13), (14)를 기본 요소로 하고,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기본 요소 (2)와, 제1 기본 요소 (2)와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 B를 공유하고 1변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2 기본 요소 (3)과, 제1 기본 요소 (2)와 인접하며 제1 기본 요소 (2)의 다른 정점 C를 공유함과 동시에, 제1 기본 요소 (2)의 다른 1변과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3 기본 요소 (4)와, 1변을 제2, 제3 기본 요소 (3), (4)와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 E, F를 공유하고 1변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음과 동시에, 제1 기본 요소 (2)와 인접하며 서로 1개의 정점 G를 공유하고 대각선끼리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는 제4 기본 요소 (5)를 포함한다.
즉, 각 기본 요소 (2), (3), (4), (5)에서 인접하는 기본 요소와 공유하는 정점과 공유하지 않는 다른 정점을 갖고 있으며, 이것에 주목하여 제1 기본 요소 (2)와, 제2, 제3, 제4 기본 요소 (3), (4), (5)가 공유하는 정점을 B, C, G로 하고, 제1 기본 요소 (2)의 다른 정점을 A로 하고, 2변 AB, AC를 저변으로 하는 3각형 ABC를 대략 수평으로 설치했을 때, 점 A의 변 BC에 대한 수평 방향의 대칭점을 D로 하고, ∠ADG가 이루는 각도 F를 기준 각도로 한다.
점 D가 태양의 앙각 선상에 있으면 최대로 차광하는 방향이 되어, 가장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을 전세계의 모든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 태양의 각도가 각각 위도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위도를 매개 변수로서 각도 F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숫자를 들어 설명한다.
일본의 경우, 기온이 가장 높고 일사가 심한 것은 7월 말부터 8월 초순이며, 시간대는 12시부터 14시이다. 이 계절ㆍ시간대이면 수도권, 즉 북위 36° 부근에서는 태양의 앙각을 72°로, 북위 θ°의 지역에서는 108-θ로 설정하면 가장 효과가 크다.
북위 또는 남위 θ°의 지역에서 하계의 직사 일광량은 하지 시점이 가장 많지만, 지구의 지표 온도가 높아지는 것은 그로부터 1개월 후 내지 2개월 후의 1개월간이다. 이때의 태양의 남중 고도에서의 태양의 직사 일광을 차폐하면 지표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북위 θ°의 지역에서는, 하지 시점의 태양의 남중 고도는 90-(θ-23)°가 된다(θ-23.4이지만, 0.4°는 거의 효과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θ-23으로 함). 그러나, 기온이 가장 높아지는 것은 그 1개월 후 내지 2개월 후의 1개월간이며, 약 1.5개월 후가 가장 높아진다. 이때의 태양 고도는 하지 시점의 남중 고도보다 5° 낮아져 있으며, 90-(θ-23)-5≒108-θ °이다.
정오부터 13시경의 방향에 대하여, 이 각도로 차양을 설치하면 직사 일광의 차폐 효과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에, 이 방향(이것을 제1 방향으로 함)의 무한원(無限遠)으로부터 보면 차양이 간극 없이 배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며, 그 형상은 도 11의 D점으로부터 G점을 향하는 각도가 태양의 직사 일광의 각도, 즉 108(또는 108.4)-θ의 선상에 있음으로써 달성된다.
태양광을 차폐하고자 하는 시기가 상이한 경우, 즉 상기 하지로부터 1.5개월 후가 아닌 별도의 시기에 차폐 효과를 최대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조정한다. 하지로부터 1개월 후(즉 최고 기온시의 반개월 전)로 하고자 하면 3° 증가, 하지로부터 2개월 후(즉 최고 기온시의 반개월 후)이면 3° 감소시킨다.
태양광을 차폐하고자 하는 시간대, 즉 정오로부터 13시가 아닌 오전이나 오후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태양의 방향으로 도 11의 DG 방향을 맞추어 각도는 희망 시간과 정오의 차를 1 시간당 12° 증감시킬 수 있다.
즉,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이 설치되는 장소의 위도 θ를 사용하여, 이 기준 각도 F(°)에 대하여 θ≥23에서 113-S-θ≤F≤113+T-θ, θ<23에서 F=90±10이 된다. 단, S: 5 내지 10의 상수, T: 0 내지 5의 상수.
θ는 북위일 수도 있고, 남위일 수도 있다.
113+T-θ는, T=0인 경우 하지시의 태양 고도에 상당한다. 또한, 113-S-θ는 S≒5인 경우 여름의 최고 기온시의 태양 고도에 상당한다. 따라서, 108-θ≤F≤113-θ로 함으로써, 위도가 θ인 지역에 바람직한 차양이 얻어진다.
S+T는, 전세계의 지역을 커버하는 데 필요한 차양의 종류에 대응하는 지수가 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람직한 조건인 S=5 및 T=0인 경우에는, θ≥23인 지역을 전부 커버하고자 하면 (90-23)/5≒14 종류의 차양이 필요해진다. 이에 비해, T=0 및 S=10으로 하면, θ≥23인 지역에 대하여 태양 고도에 대한 최적값으로부터의 어긋남이 약간 커지지만, (90-23)/10≒7 종류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 (1)로 충분하다. T=5 및 S=10으로 하면, θ≥23인 지역에 대하여 (90-23)/15≒5 종류의 차양으로 충분하다.
결국, θ≥23에서 108-θ≤F≤113-θ가 차양 효과를 최적으로 하는 조건이며, θ≥23에서 113-S-θ≤F≤113+T-θ(단, S: 5 내지 10의 상수, T: 0 내지 5의 상수)가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제조 용이함이나 보관ㆍ관리 용이함도 포함시킨 적정한 조건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이 합성 수지제의 사출 성형품이 되어, 제2 기본 요소 (3)과 제3 기본 요소 (4)와의 맞댐부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강도 향상이 달성될 뿐만 아니라 이 맞댐부(도 4에 화살표 (Q)로 나타내는 개소)가 상기 조건에서의 점 D에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점 D가 가상점이 아닌 차양용 부재 성형품 (1) 내에서 특정할 수 있는 실재점이 되어 있으며,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의 각도 F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양을 설치함으로써, 전세계의 상이한 지역으로의 설치시에 적절한 각도에서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전세계의 상이한 지역으로의 설치시에 적절한 각도에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이 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치는, 도 10에 도시한 보강재 (51)로 지지된 유닛 (50)을 사용함으로써 실시하기 쉬운 것이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제2 설치 형태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도 12를 정면도, 도 13을 측면도로 간주하고, 도 12의 좌우를 좌우, 상하를 상하라고 하고, 이들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도 12의 지면 표면측이 앞)라고 한다. 따라서, 도 13에서는, 우측이 앞, 좌측이 뒤, 상하가 상하가 되어 있으며, 도 14에서는 우측이 앞, 좌측이 뒤, 위가 좌측, 아래가 우측이 되어 있다. 이 "정면도" 및 "측면도"는 편의적으로 정한 것이며, 설치시의 정면은 이 "정면"에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차양의 제2 설치 형태에서는, 상기 차양용 부재 성형품 (1)이 도 13에 도시하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이용한다.
도 12는, 개구부의 면적이 최대가 되는 제1 수평 방향(전방)으로부터 본 형상(정면도)을 나타내고, 기본 요소 (2)는 2개의 큰 삼각형부 (61), (62)가 역 V자 형상이 되도록 결합된 큰 이면체 (10)과, 2개의 작은 삼각형부 (20a), (20b)가 V자 형상이 되도록 결합되어 큰 이면체 (10)의 상반부와 대칭이 되도록 큰 이면체(10)에 결합된 작은 이면체 (20)을 포함하는 사면체가 되어 있다.
도 13은, 제1 수평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도 12의 좌측)으로부터 본 형상(측면도)을 도시하며, 이것에는 큰 삼각형부 (61)이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직선 E는 설치면 A 위의 점 a로부터 동계의 태양 고도 α°를 이루고, 직선 F는 마찬가지로 점 a로부터 하계의 태양 고도 β°를 이룬다. 직선 B와 직선 E와의 교점 b와 직선 C와 직선 F와의 교점 c를 연결한 직선 bc와 평행하게 점 a로부터 직선 B, C와 교차하도록 직선을 긋고, 직선 B와의 교점을 d, 직선 C와의 교점을 e로 한다. 직선 C와 직선 E의 교점을 f로 한다. 직선 ac는, 큰 삼각형부 (61)을 이등분하는 선이 되어 있다. 삼각형 abd, 삼각형 bfc, 삼각형 dce가 차양 재료를 포함하며, 삼각형 bcd는 개구부이다. 이렇게 하여, 제1 수평 방향에 직교하는 제2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기본 요소 (2)의 형상은, 하측에 배치된 하측 역삼각형부 abd (61a)와, 하측 역삼각형부 abd (61a) 사이에 삼각형의 개구부 bcd (61d)를 형성하도록 상측에 배치된 2개의 상측 삼각형부 dce (61b) 및 bfc (61c)를 포함하는 것이 되어 있다.
도 12의 우측으로부터 본 형상(큰 삼각형부 (62))도, 도 13에 도시한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 있는 큰 삼각형부 (61)에 개구부 bcd (61d)가 설치됨과 동시에, 우측에 있는 큰 삼각형부 (62)에도 개구부 b'cd' (62d)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개구부 (61d), (62d)는 동일한 높이에 있고, 도 13에서는 이들이 중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3의 지면 방향 및 도 15의 좌우 방향의 태양광은 한쪽 개구부 (61d)를 통과하여, 도중에 차단되지 않고 다른쪽 개구부 (62d)를 통과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A는 차양 설치면을 나타내고, 큰 삼각형부 (61), (62)의 정점 a 및 a'과 작은 이면체 (20)의 능선 g는 이 설치면 위에 있고, C는 능선의 높이(차양 높이)를 나타내고, 큰 이면체 (10)의 능선을 형성하고 있는 큰 삼각형부 (61), (62)의 다른 2개의 정점 e 및 f와 그의 정확히 중간에 있는 점 c는, 이 설치면 위에 있고, B는 1/2 높이면을 나타내고, 큰 이면체 (10)과 작은 이면체 (20)과의 결합부인 점 b, d, b' 및 d'은 이 1/2 높이면 위에 있다. 또한, A, B 및 C는 등간격으로 서로 평행하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기본 요소 (2)를 위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직선 A, B, C와 점 a, b, c, d, e, f는 도 1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것이며, 직선 A', B' 및 점 a', b', d'은 도 13에서는 각각 중첩되어 있었던 개소이다. 도 1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큰 삼각형부 (62)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큰 삼각형부 (61)과 마찬가지로 하측에 배치된 하측 역삼각형부 a' b' d' (62a)와, 하측 역삼각형부 a' b' d'(62a) 사이에 삼각형의 개구부 b'cd' (62d)를 형성하도록 상측에 배치된 2개의 상측 삼각형부 d'ce (62b) 및 b'fc (62c)를 갖고 있다.
평행선 A, B, C, B', A'은 각각 등간격이며, 그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4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삼각형 abd가 대략 정삼각형이 되는 거리가 제작상 바람직하다.
삼각형의 개구부 bcd (61d)와 b'cd' (62d)에 대해서는, 실제로 이들 개구부 (61d), (62d)는 차양 재료부보다 적절하게 작게 성형되며, 차양 재료가 서로 각 점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실제 개구부 (61d), (62d)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이 개구부 (61d), (62d)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가상선을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기본 요소 (2)를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기본 요소 (2)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상이한 삼면도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도 그 보는 방향 및 각도에 따라 크게 변화된다. 예를 들면, 기본 요소 (2)를 그 경사 상측으로부터 본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의 개구부 (61d), (62d)는 작은 이면체 (20)의 삼각형부 (20a), (20b)에 의해 그 일부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으며, 방향에 따라 태양광이 통과 가능한 간극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기본 요소 (2)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만, 하계의 소정 각도 경사된 최대 차광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이들 간극이 0이 되도록 각 기본 요소 (2)를 배치하고, 동계의 태양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차양 재료의 두께 이외에는 태양광을 차단하지 않고 전부 간극이 되도록 각 기본 요소 (2)를 배치함으로써 소요되는 차양을 얻을 수 있다.
차양의 설치시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큰 삼각형부 (61)의 1개의 변을 형성하는 직선 af와 큰 이면체 (10)의 능선을 형성하는 직선 ef(설치면 A에 평행)가 이루는 각이 동계의 태양 고도에 대응하는 각도 α°가 되며, 큰 삼각형부 (61)을 이등분하는 직선 ac와 큰 이면체 (10)의 능선을 형성하는 직선 ef(설치면 A에 평행)가 이루는 각이 하계의 태양 고도에 대응하는 각도 β°(β>α)가 되어 있기 때문에, 하계에 태양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동계에 태양광을 비쳐 보이게 할 수 있으며, 전세계의 상이한 지역으로의 설치시에 적절한 각도에서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한 기본 요소 (2)를 4개 연결한 구성(차양 구성 부재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이 차양 구성 부재는,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기본 요소 (2A)와, 제1 기본 요소 (2A)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 기본 요소 (2A)의 f와 제2 기본 요소 (2B)의 e2가 중첩되어 연결된 제2 기본 요소 (2B)와, 제1 기본 요소 (2A) 및 제2 기본 요소 (2B)의 우측에 배치되어 제1 기본 요소 (2A)의 a와 제3 기본 요소 (2C)의 e3이 중첩되어 연결됨과 동시에, 제2 기본 요소 (2B)의 a2와 제3 기본 요소 (2C)의 f3이 중첩되어 연결된 제3 기본 요소 (2C)와, 제1 기본 요소 (2A) 및 제2 기본 요소 (2B)의 좌측에 배치되어 제1 기본 요소 (2A)의 a'과 제4 기본 요소 (2D)의 e4가 중첩되어 연결됨과 동시에, 제2 기본 요소 (2B)의 a'2와 제4 기본 요소 (2D)의 f4가 중첩되어 연결된 제4 기본 요소 (2D)를 포함하는 4개의 기본 요소 (2A), (2B), (2C), (2D)를 기본 요소로 하고 있다.
제3 기본 요소 (2C) 및 제4 기본 요소 (2D)는, 제1 기본 요소 (2A) 및 제2 기본 요소 (2B)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3 기본 요소 (2C)에서의 능선(직선 C)과 제1 기본 요소 (2A) 및 제2 기본 요소 (2B)에서의 직선 A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고, 제4 기본 요소 (2D)에서의 능선(직선 C)과 제1 기본 요소 (2A) 및 제2 기본 요소 (2B)에서의 직선 A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다.
도 17의 4개의 기본 요소 (2A), (2B), (2C), (2D) 각각을 도 17에 도시한 4개의 기본 요소 (2A), (2B), (2C), (2D)를 포함하는 차양 구성 부재로 대체함으로써, 도 16의 기본 요소 (2A), (2B), (2C), (2D)를 포함하는 차양 구성 부재가 얻어진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기본 요소 (2)를 최소 단위로서, 이들을 다수 사용한 프랙털 구조의 차양을 얻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각도 α°는, 이 차양이 사용되는 지역의 위도에 따라 변경된다.
북반구에서는 동지인 경우의 90-(위도+23)=αmin이 가장 낮은 태양 고도이며, α는 이 αmin보다 크고, 실제로 최저 기온이 되는 1 내지 2개월 후의 태양 고도인 αmin+1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남반구에서도 동일하지만, 이 차양의 방향(도 13의 직선 C의 방향)을 남북 반대로 한다.
각도 β도 이 차양이 사용되는 지역의 위도에 따라 변화되며, 지구의 지축의 기울기인 23°(23.4°이지만, 0.4°는 거의 효과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23°로 함)보다 고위도인지 저위도인지에 따라 변화된다.
위도가 23°보다 큰 지역에서는, 북반구에서는 하지인 경우의 90-(위도-23)=βmax가 가장 높은 태양 고도이며, β는 이 βmax보다 작고, 실제로 최고 기온이 되는 1 내지 2개월 후의 태양 고도인 βmax-10 이상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남반구에서도 동일하지만, 이 차양의 방향(도 13의 직선 C의 방향)을 남북 반대로 한다.
위도가 23°보다 작은 지역에서는, 북반구에서는 하지인 경우의 90-(23-위도)=βmax가 가장 높은 태양 고도이며, β는 이 βmax보다 작고, 실제로 최저 기온이 되는 1 내지 2개월 후의 태양 고도인 βmax-10 이상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남반구에서도 동일하지만, 이 차양의 방향(도 13의 직선 C의 방향)을 남북 반대로 한다.
삼각형의 1변의 크기는 10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이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차양 효과가 큰(하부의 지면 온도의 상승이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강도가 높은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차양을 제공한다.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열섬 해소 등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0)

  1.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는 이면체 형상의 4개의 기본 요소가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것이며,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기본 요소와, 제1 기본 요소의 좌우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기본 요소와, 제1 기본 요소의 전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3 기본 요소와, 제1 내지 제3까지의 기본 요소의 상측에 배치된 제4 기본 요소를 포함하고, 제1 기본 요소 및 제4 기본 요소를 그의 중앙에서 대칭상으로 2분할하는 대칭 중심면을 갖고 있으며, 각 기본 요소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만, 상기 대칭 중심면 위에서 능선 방향과 직교하는 최대 차광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이들의 간극이 0이 되도록 각 기본 요소가 배치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프랙털 구조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이며, 제1 기본 요소와 제2 기본 요소, 제3 기본 요소 및 제4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가 사출 성형시에 접합됨과 동시에, 제2 기본 요소와 제3 기본 요소와의 맞댐부도 사출 성형시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2. 제1항에 있어서, 각 기본 요소는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이 되는 4개의 이면체가 좌우, 전후 및 상하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것이며, 기준 위치에 있는 제1 이면체와, 제1 이면체의 좌우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이면체와, 제1 이면체의 전후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3 이면체와, 제1 내지 제3까지의 이면체의 상측에 배치된 제4 이면체를 포함하고, 각 이면체끼리의 맞댐부가 사출 성형시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3. 제1항에 있어서, 간극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갖고 기본 요소의 피크측에서부터 접촉되는 제1 금형과, 파형의 요철부를 갖고 기본 요소의 밸리측에서부터 접촉되는 제2 금형과, 기본 요소의 능선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코어가 사용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금형 중 어느 하나가 고정측 금형, 다른 하나가 가동측 금형이 되어, 이들 금형이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최대 차광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이 복수 연속하여 설치됨으로써 형성된 차양.
  5. 제4항에 있어서, 각 차양용 부재 성형품에서 평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각형을 형성하고 있는 4개의 각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끼리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차양.
  6. 제5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차양용 부재 성형품끼리는, 한쪽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관통 구멍에 감입될 수 있는 돌기와 다른쪽 차양용 부재 성형품의 관통 구멍에 감입될 수 있는 돌기를 갖는 조인트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7. 제5항에 있어서, 소정 수의 차양용 부재 성형품이 능선이 연속되도록 배치됨으로써 1개의 유닛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은 능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재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8. 제4항에 있어서, 제1 기본 요소와, 제2, 제3, 제4 기본 요소가 공유하는 정점을 B, C, G로 하고, 제1 기본 요소의 다른 정점을 A로 하고, 2변 AB, AC를 저변으로 하는 3각형 ABC를 수평으로 설치했을 때, 점 A의 변 BC에 대한 수평 방향의 대칭점을 D로 하고, ∠ADG가 이루는 각도 F(°)가
    θ≥23에서 113-S-θ≤F≤113+T-θ,
    θ<23에서 F=90±10
    (여기서, θ는 차양이 설치되는 장소의 위도이고, S는 5 이상 10 이하의 상수, T는 0 이상 5 이하의 상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9. 제4항에 있어서, 차양용 부재 성형품은, 개구부의 면적이 최대가 되는 제1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형상이 역 V자 형상이 되도록 2개의 큰 삼각형부가 결합된 큰 이면체와, 2개의 작은 삼각형부가 V자 형상이 되도록 결합되어 큰 이면체의 상반부와 대칭이 되도록 큰 이면체에 결합된 작은 이면체를 포함하는 사면체를 갖고 있으며, 제1 수평 방향에 직교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사면체의 형상이 설치면에 위치하는 정점 a를 갖고 하측에 배치된 하측 역삼각형부 abd와, 하측 역삼각형부 abd와의 사이에 삼각형의 개구부 bcd를 형성하도록 상측에 배치된 2개의 상측 삼각형부 bfc 및 dce를 포함하고, 큰 삼각형부의 1개의 변을 형성하는 직선 af와 큰 이면체의 능선을 형성하는 직선 ef가 이루는 각이 동계의 태양 고도에 대응하는 각도 α°가 되고, 큰 삼각형부를 이등분하는 직선 ac와 큰 이면체의 능선을 형성하는 직선 ef가 이루는 각이 하계의 태양 고도에 대응하는 각도 β°(β>α)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10. 제9항에 있어서, αmin<α<αmin+10 및 βmax-10<β<βmax이되, 단 αmin=90-(위도+23) 및 βmax=90-(위도-23) 또는 βmax=90-(23-위도)가 되는 차양.
KR1020127001148A 2009-06-18 2010-06-16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차양 Expired - Fee Related KR101741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5179 2009-06-18
JP2009145179 2009-06-18
JP2009182211A JP2011032808A (ja) 2009-08-05 2009-08-05 日除け
JPJP-P-2009-182211 2009-08-05
JP2009287154A JP5002000B2 (ja) 2009-06-18 2009-12-18 日除け用部材成形品および日除け
JPJP-P-2009-287154 2009-12-18
JPJP-P-2010-087701 2010-04-06
JP2010087701A JP5066215B2 (ja) 2010-04-06 2010-04-06 日除け
PCT/JP2010/060161 WO2010147128A1 (ja) 2009-06-18 2010-06-16 日除け用部材成形品および日除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738A KR20120034738A (ko) 2012-04-12
KR101741858B1 true KR101741858B1 (ko) 2017-05-30

Family

ID=4613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1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1858B1 (ko) 2009-06-18 2010-06-16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차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42256B2 (ko)
KR (1) KR101741858B1 (ko)
CN (1) CN1028036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1790A1 (en) * 2011-03-31 2012-10-04 Nellcor Puritan Bennet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sharp features within a mold
JP6362368B2 (ja) * 2014-03-12 2018-07-25 Natural Power Initiative株式会社 日除け
WO2023044157A1 (en) * 2021-09-20 2023-03-23 Lin Wei Jan Fractal structur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6254A (ja) 2007-02-15 2008-08-28 Kyoto Univ 日よけ、放熱器、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1032808A (ja) 2009-08-05 2011-02-17 Sekisui Chem Co Ltd 日除け
JP2011219935A (ja) 2010-04-06 2011-11-04 Sekisui Chem Co Ltd 日除け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8216A (en) * 1971-09-13 1973-10-30 Takenaka Komuten Co Roof supporting construction
US4026087A (en) * 1976-04-20 1977-05-31 White Robert R Building block
US4685257A (en) * 1985-05-10 1987-08-11 Temcor Shelter roof structure
JPH05202591A (ja) * 1991-05-24 1993-08-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ひさし屋根
US5575701A (en) * 1994-04-22 1996-11-19 Orda Industries (1969) Limited Construction apparatus
US6186855B1 (en) * 1994-05-17 2001-02-13 Trigam S.A. Set of elements articulated to each other
US5895304A (en) * 1996-10-10 1999-04-20 Dixon; Marc Toy constructor kit for sand structures
CN201209301Y (zh) * 2008-05-06 2009-03-18 马迅一 一种晴雨篷的安装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6254A (ja) 2007-02-15 2008-08-28 Kyoto Univ 日よけ、放熱器、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1032808A (ja) 2009-08-05 2011-02-17 Sekisui Chem Co Ltd 日除け
JP2011219935A (ja) 2010-04-06 2011-11-04 Sekisui Chem Co Ltd 日除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738A (ko) 2012-04-12
CN102803631A (zh) 2012-11-28
US8842256B2 (en) 2014-09-23
CN102803631B (zh) 2015-04-01
AU2010260919A1 (en) 2012-01-19
US20120137616A1 (en)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858B1 (ko) 차양용 부재 성형품 및 차양
CN101390219A (zh) 太阳能电池组件框体
JP5066215B2 (ja) 日除け
JP5002000B2 (ja) 日除け用部材成形品および日除け
JP2011032808A (ja) 日除け
WO2010147128A1 (ja) 日除け用部材成形品および日除け
JP6187949B1 (ja) 農業用ハウスの施工方法
JP5049411B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JP2008150858A (ja) 手摺壁及び建物
US20190234061A1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JP2017229109A (ja) 太陽光パネルの架台、太陽光発電装置及び太陽光発電装置の施工方法
WO2012029297A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KR101814952B1 (ko) 냉난방 기능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
KR101921633B1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JP5216157B2 (ja) 日除け設置構造
JP5281211B2 (ja) 日除け設置構造
JP5204915B2 (ja) 日除け
JP7045698B2 (ja) 日除け
JP5393586B2 (ja) 簡易建物
JPS6140851Y2 (ko)
WO2016133163A1 (ja) 二重の透光フィルムまたは二重の透光板を用いた農業用ハウス
JP6858512B2 (ja) デッキ構造
JP2016157654A (ja) 光入射調整部材からなる太陽光入射構造
JP6235802B2 (ja) 断熱採光建具
JP2023123276A (ja) フェンス取付構造及びフェンス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