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039B1 -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 Google Patents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1039B1 KR101741039B1 KR1020150099254A KR20150099254A KR101741039B1 KR 101741039 B1 KR101741039 B1 KR 101741039B1 KR 1020150099254 A KR1020150099254 A KR 1020150099254A KR 20150099254 A KR20150099254 A KR 20150099254A KR 101741039 B1 KR101741039 B1 KR 1017410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 optical filter
- disposed
- light receiving
-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04B10/43—Transceivers using a single component as both light source and receiver, e.g. using a photoemitter as a photoreceiv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광학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홀더;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광송신부;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상기 홀더와 광송신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송신신호는 투과하고 상기 수신신호는 반사하는 제1광학필터; 상기 제1광학필터와 광수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광학필터; 및 상기 제1광학필터와 제2광학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평행광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광학필터가 배치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평행광 렌즈가 배치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광송수신 모듈을 개시한다.An embodiment includes a holder including an optical interface; An optical transmitter for outputting a transmission signal;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ceived signal; A first optical filter dispos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unit, the first optical filte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reflecting the reception signal; A second optical filt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filter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parallel optical le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filter and the second optical filter,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optical filter is disposed,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parallel optical lens is disposed Receiving module.
Description
실시 예는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송수신 모듈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n optical transceiver module for use in optical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광송수신 모듈은 각종 광통신 기능을 하나의 패키지 내에 수용하여 광섬유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모듈화한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전력 소비가 적고 장거리에 활용 가능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한 광송신기와,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통신을 하는 광 수신기를 하나로 모듈화한 양방향 광모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n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in which various optical communication functions are accommodated in one package and connected to an optical fiber.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in which an optical transmitter using a laser diode that can be used for a long distance with a low power consumption as a light source, and an optical receiver that performs optical communication using a photodiode as a module is mainly used.
양방향 광모듈은 광송신기, 광수신기, 스플리터(Splitter), 스터브를 포함한다. 광송신기에서 출력된 송신신호는 스플리터를 통과하여 스터브로 입사된다. 스터브에서 출력된 수신신호는 스플리터에 의해 반사되어 광수신기로 입사된다. The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includes an optical transmitter, an optical receiver, a splitter, and a stub. The transmission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transmitter passes through the splitter and is incident on the stub. The received signal output from the stub is reflected by the splitter and is incident on the optical receiver.
광수신부는 수신신호의 파장대역만을 필터링하기 위해 밴드 패스 필터, 및 평행광 렌즈의 구성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평행광 렌즈에 의해 발산광이 평행광으로 변환되므로 밴드 패스 필터가 수신신호의 파장대역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The optical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bandpass filter and a parallel optical lens to filter only the wavelength band of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divergent light is converted into the parallel light by the parallel optical lens, the band pass filter can pass only the wavelength band of the received signal.
그러나, 밴드 패스 필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변화하는 경우, 밴드 패스 필터의 투과 대역 특성이 변화하여 통신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band-pass filter chang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mission band characteristic of the band-pass filter changes and communication sensitivity deteriorates.
실시 예는 밴드 패스 필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변화하여도 동일한 투과 대역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광송수신 모듈을 제공한다. The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transceiver module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transmission band characteristics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band pass filter change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학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홀더;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광송신부;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상기 홀더와 광송신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송신신호는 투과하고 상기 수신신호는 반사하는 제1광학필터; 상기 제1광학필터와 광수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광학필터; 및 상기 제1광학필터와 제2광학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평행광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광학필터가 배치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평행광 렌즈가 배치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광송수신 모듈을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holder including an optical interface; An optical transmitter for outputting a transmission signal;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ceived signal; A first optical filter dispos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unit, the first optical filte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reflecting the reception signal; A second optical filt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filter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parallel optical le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filter and the second optical filter,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optical filter is disposed,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parallel optical lens is disposed Receiving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패스 필터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변화하여도 동일한 투과 대역 특성을 유지되어 통신 감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band-pass filter changes, the same transmission band characteristic is maintained, and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is not degraded.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에서 수광소자에 광이 입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의 홀더에 제1광학필터와 아이솔레이터가 장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의 홀더에 제2광학필터 가 장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에서 제2광학필터에 입사되는 입사각에 따라 제2광학필터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입사각 변화에 따라 제2광학필터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에서 투과 대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평행광 렌즈와 제2광학필터의 광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입사각의 변화에 따른 투과 대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light is incident on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an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irst optical filter and an isolator are mounted on a holder of an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cond optical filter is mounted on a holder of an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angle of a second optical filter is adjusted according to an incident angle incident on a second optical filter in an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1,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mission band characteristic in a state where the slope of the second optical filt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chang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band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ncident angle in a state where the optical axes of the parallel optical lens and the second optical filter coincid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specify that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rawing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이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은 케이스(100)와, 광학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홀더(310)와,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광송신부(200)와,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400)와, 제1광학필터(510)와, 제2광학필터(450), 및 평행광 렌즈(530)를 포함한다.1, the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광송수신 모듈은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 타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MSA 규약(Multiple Source Agreement)을 만족하는 다양한 타입의 광모듈일 수도 있다.The optical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may be of the SFP (Small Form Factor Pluggable)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types of optical modules satisfying the MSA (Multiple Source Agreement).
케이스(100)는 홀더(310), 광송신부(200), 및 광수신부(400)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홀이 형성된다. 홀더(310)에 삽입된 스터브(320, stub)와 광송신부(200)는 케이스(100) 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광수신부(400)는 홀더(310)가 삽입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광학필터(510)의 특성에 따라 광송신부(200)는 홀더(310)가 삽입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리셉터클(400)은 케이스(100)의 일측에 배치된다. 리셉터클(400)은 광학적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홀더(3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터브(320)의 광섬유는 외부의 광커넥터와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송신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홀더(310)의 타측에는 광커넥터가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330)이 마련될 수 있다. 광학적 인터페이스는 스터브와 커넥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광송신부(200)는 스터브(320)를 통해 외부로 송신신호를 전송한다. 송신신호는 광섬유에서 출력되는 수신신호의 파장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파장 간격은 광송수신 모듈이 장착되는 광통신 시스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광송신부(200)는 광원(210), 헤더(220), 및 렌즈(230)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티오 캔(TO CAN)의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송신신호의 파장을 안정화하는 온도 조절부(TEC)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광수신부(400)는 스터브(320)에서 출력된 수신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광수신부(400)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와 같은 수광소자(410)를 포함한다. 포토 다이오드에 광신호가 입사하면, 입사 광량에 비례하는 역방향 전류가 흐른다. 즉, 광수신부(400)는 입사하는 광량에 따라 출력 전류를 변화시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아이솔레이터(520)는 광섬유 또는 광모듈 내에 구비된 광부품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를 차단한다. 외부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된 수신신호는 송신신호와 다른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제1광학필터(510)에 의해 반사되어 광수신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송신신호는 광섬유나 기타 광부품에 의해 반사될 수 있고, 반사된 송신신호는 다시 광송신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솔레이터(520)는 광섬유 또는 광부품에 의해 반사된 광신호를 차단하여 반사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The
제1광학필터(510)는 광필터(Optical Filter)로서, 홀더(310)에 장착되어 광송신부(200)와 스터브(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광학필터(510)는 특정한 파장의 광신호만 통과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광학필터(510)는 송신신호는 통과시키고, 수신신호는 반사할 수 있다. The first
제2광학필터(450)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로서, 제1광학필터(510)에 의해 반사된 광 중에서 수신신호의 파장대역만을 통과시킨다. 제2광학필터(450)를 통과한 수신신호는 수광소자(410)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The secon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에서 수광소자에 광이 입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light is incident on a light receiving element in an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스터브(320)에서 출사된 수신신호는 제1광학필터(510)에 의해 반사된다. 이때, 수신신호는 메인광(L11)과 발산광(L12, L13)을 포함한다. 메인광(L11)은 광의 주경로(광축)를 따라 진행하는 광으로 정의할 수 있고, 발산광(L12, L13)은 주경로와 소정의 각도를 갖고 진행하는 광으로 정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eceived signal emitted from the
발산광(L12, L13)은 평행광 렌즈(530)를 통과하면서 평행광으로 변환된다. 즉, 평행광 렌즈(530)를 통과하면서 메인광(L11)과 발산광(L12, L13)은 모두 평행광으로 변환된다.The divergent lights L12 and L13 pass through the parallel
제2광학필터(450)는 소정의 입사각을 기준으로 수신신호의 파장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파장 대역은 차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평행광 렌즈(530)를 통과한 광은 실질적으로 평행광으로 변환되므로 제2광학필터(450)는 수신신호의 파장대역만을 통과시킨다. 이후, 평행광은 집광렌즈(440)에 의해 집광되어 수광소자(410)에 전달될 수 있다.The second
만약, 발산광(L12, L13)이 평행광으로 변환되지 않아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제2광학필터(450)에 입사되는 경우, 제2광학필터(450)의 투과 대역 특성이 변화하여 수신신호가 반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divergent light L12 or L13 is not converted into parallel light and is incident on the second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의 홀더에 제1광학필터와 아이솔레이터가 장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의 홀더에 제2광학필터가 장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A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irst optical filter and an isolator are mounted on a holder of an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which the second optical filter is mounted.
도 3a를 참고하면, 홀더(310)는 원통 형상을 갖고, 전단부에 아이솔레이터(520)가 삽입되는 공간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부(312)를 향해 경사진 제1체결부(311)에는 제1광학필터(51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고하면, 제1체결부(311)의 반대측에는 평행광 렌즈(530)가 장착되는 제2체결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13) 사이에는 관통홀(314)이 형성되어 수신신호가 통과하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3A, the
실시 예에 따르면, 제1광학필터(510)와 평행광 렌즈(530)가 홀더(310)에 장착되므로, 홀더(310)와 광수신부(400) 사이에 평행광 렌즈(530)를 별도로 배치하는 구성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제1광학필터(510)와 평행광 렌즈(530)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송수신 모듈에서 제2광학필터에 입사되는 입사각에 따라 제2광학필터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angle of a second optical filter is adjusted according to an incident angle incident on a second optical filter in an optical T / 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스터브(320)에서 출력된 이상적인 수신신호(L1)는 제1광학필터(510)에 의해 반사된 후 수광소자(410)에 입사된다. 이때, 반사된 수신신호는 제2광학필터(450)에 거의 수직하게 입사된다. 여기서는 발산광의 개념은 생략하며 메인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4, the ideal received signal L1 output from the
스터브(320)에서 발산되는 광의 각도는 스터브(320)와 홀더(310)의 공차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실제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스터브(320)와 홀더(310)의 공차는 ±0.5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터브(320)에서 발산되는 광의 각도는 광축(광섬유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약 3도 내지 4도이나 스터브(320)와 홀더(310)의 결합 공차에 따라 ±0.5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The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변화된 출사 각도에 따라 실제 수신신호(L2)는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이 변화할 수 있다. 즉, 광출사 각도가 θ1만큼 변화하면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도는 θ3만큼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θ3)은 제2광학필터(450)의 법선(또는 평행광 렌즈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정의한다.The incident angle of the second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이 변화함에 따라 제2광학필터(450)의 투과 파장 대역이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신호(L2)는 제2광학필터(450)에 의해 반사되어 통신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wavelength band of the second
일 예로, 100G DWDM 시스템의 경우 채널대역폭은 0.8nm로 할당될 수 있고, 송신신호와 수신신호의 중심파장은 0.8nm의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수신신호의 파장과 송신신호의 파장은 매우 가깝게 할당된다. 따라서,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이 약간만 변화하여도 수신신호는 반사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100G DWDM system, the channel bandwidth can be allocated to 0.8 nm, and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ption signal can be located within 0.8 nm. That is, the wavel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wavelength of the transmitted signal are allocated very close to each other. Therefore, even if the incident angle of the second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θ3)과 스터브(320)와 홀더(310)의 오차각(θ1)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The incident angle 3 of the second
[관계식 1][Relation 1]
θ3=a(θ1)? 3 = a (? 1)
여기서, a는 0.45≤a≤0.5를 만족하는 상수이다. Here, a is a constant satisfying 0.45? A? 0.5.
일 예로, 스터브(320)에서 발산되는 광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각도(약 3도 내지 4도)보다 0.5도 변화하면 실제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θ3)은 0.23~0.25도만큼 오차를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또한, 제2광학필터(450)가 미리 정해진 반사각(θ2)을 기준으로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θ3)은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광학필터(510)의 반사각(θ2)이 미리 정해진 각도(예: 45도)보다 0.5도 변화하면 입사각(θ3)의 변화는 약 1도만큼 오차를 더 갖게 된다. 따라서,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θ3)은 최대 ±1.25도 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Further, eve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second
따라서,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θ3), 스터브(320)와 홀더(310)의 오차각(θ1), 및 제1광학필터(510)의 오차 각도(θ2')는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제1광학필터(510)의 오차 각도(θ2')는 미리 정해진 반사각의 오차각이다.Therefore, the incident angle 3 of the second
[관계식 2][Relation 2]
θ3=a(θ1)+b(θ2')? 3 = a (? 1) + b (? 2 ')
여기서, a는 0.45≤a≤0.5를 만족하는 상수이고, b는 0.8≤b≤1.2를 만족하는 상수이다.Here, a is a constant satisfying 0.45? A? 0.5 and b is a constant satisfying 0.8? B? 1.2.
실시 예에 따르면, 제2광학필터(450)는 광수신부(40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화된 입사각(θ3)만큼 제2광학필터(450)를 기울여 입사각이 0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광학필터(450)은 투과 파장 대역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도 5를 참고하면, 광수신부(400)는 수광소자(410)가 배치되는 기판(420), 및 제2광학필터(450)가 배치되는 커버(4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커버(430)는 제2광학필터(450)가 배치되는 제1커버(431)와, 집광렌즈(440)가 배치되는 제2커버(432)를 포함한다. 5, the
수광소자(410)의 중심축(P1)과, 제2광학필터(450)의 중심축(P1)과 집광렌즈의 중심축(P1)은 서로 일치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들의 중심축(P1)은 평행광 렌즈(530)의 중심축(P2)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어긋나게 배치된다. 여기서, 중심축(P1, P2)은 각 오브젝트의 중심을 관통하는 법선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central axis P1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100)와 광수신부(400) 사이에는 고정부재(46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60)는 내부가 빈 원통부재로서 그 내부에 광수신부(400)가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재(460)의 중심축(P2)과 광수신부(400)의 중심축(P1)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2광학필터(450)의 중심축(P1)과 평행광 렌즈(530)의 중심축(P2)은 일치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고정부재(460)의 중심축(P2)과 광수신부(400)의 중심축(P1) 사이의 각도는 상기 θ3과 동일할 수 있다. θ3의 조절은 먼저 실험적으로 오차각을 측정한 후, 변화된 각도만큼 광수신부(400)를 기울여 고정부재(460)에 결합할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central axis P2 of the fixing
그러나, 광수신부(400)를 기울여 배치하는 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 접착성 수지를 이용하여 케이스(100)에 광수신부(4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하는 각도로 광수신부(400)를 고정할 수 있고, 케이스(100)와 광수신부(400)의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tilting the
구체적으로, 광수신부(400)를 원하는 각도로 기울여 배치한 후 접착성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접착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Specifically, the adhesive resin can be cured after the
도 6은 입사각 변화에 따라 제2광학필터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에서 투과 대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평행광 렌즈와 제2광학필터의 광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입사각의 변화에 따른 투과 대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mission band characteristic in a state in which the slope of the second optical filter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incident angle change.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transmission band characteristics when the optical axis of the parallel optical lens and the optical axis of the second optical filter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FIG.
도 6을 참고하면, 제2광학필터(450)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광수신부(4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입사각이 0도 인 경우의 투과 대역 특성과 입사각이 0.75도인 경우의 투과 대역 특성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6, when the angle of the
즉, 제2광학필터(450)와 광수신부(400)가 일체형이므로 광수신부(4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입사각의 변화를 상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econd
이에 반해 도 7을 참고하면, 평행광 렌즈(530)와 제2광학필터(450)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고정한 경우, 제2광학필터(450)의 입사각이 0.75도 기울어지면 제2광학필터(450)의 투과 대역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7, when the optical axes of the parallel
일 예로, 이상적인 투과 대역 특성이 1304.5 내지 1308nm인 경우, 제2광학필터(450)에 입사하는 광의 입사각이 기울어진 경우 투과 대역 특성이 1306.5 내지 1308nm로 시프트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신신호가 광수신부에 수신되지 않아 통신 장애가 발생한다. For example, when the ideal transmission band characteristic is 1304.5 to 1308 nm, when the 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특히, CWDM 시스템과 DWDM 시스템에서 채널을 확장하기 위해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동일 채널에서 할당된 경우, 수광소자(410)가 수신신호를 수신하지 못해 통신 불능인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ption signal are allocated in the same channel in order to expand the channel in the CWDM system and the DWDM system, the
100: 케이스
200: 광송신부
300: 리셉터클
400: 광수신부
410: 수광소자
450: 제2광학필터
510: 제1광학필터
530: 평행광 렌즈100: Case
200: Optical transmitter
300: Receptacle
400:
410: Light receiving element
450: second optical filter
510: first optical filter
530: Parallel optical lens
Claims (8)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광송신부;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상기 홀더와 광송신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송신신호는 투과하고 상기 수신신호는 반사하는 제1광학필터;
상기 제1광학필터와 광수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광학필터; 및
상기 제1광학필터와 제2광학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평행광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광학필터가 배치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평행광 렌즈가 배치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수신부는 수광소자가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제2광학필터가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소자의 중심축과 상기 제2광학필터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고,
상기 제2광학필터의 중심축과 상기 평행광 렌즈의 중심축은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광송수신 모듈.
A holder including an optical interface;
An optical transmitter for outputting a transmission signal;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ceived signal;
A first optical filter dispos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unit, the first optical filte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reflecting the reception signal;
A second optical filt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filter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nd a parallel optical le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filter and the second optical filter,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first optical filter is disposed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in which the parallel optical lens is dispose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substrate on which a light receiving element is disposed, and a cover on which the second optical filter is disposed,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optical filter coincide with each other,
Wherei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optical filter and the central axis of the parallel optical lens cross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커버는 제2광학필터가 배치되는 제1커버와, 집광렌즈가 배치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광송수신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on which a second optical filter is disposed, and a second cover on which a condensing lens is disposed.
상기 홀더는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스터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브와 홀더의 오차각(θ1)과 상기 제2광학필터의 중심축이 상기 평행광 렌즈의 중심축과 이루는 입사각(θ3)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광송수신 모듈.
[관계식 1]
θ3=a(θ1)
여기서, a는 0.45≤a≤0.5를 만족하는 상수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 stub for outputting a received signal,
Wherein an angle of incidence (? 1) between the stub and the holder and an incident angle (? 3)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optical filter and the central axis of the parallel optical lens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Relation 1]
? 3 = a (? 1)
Here, a is a constant satisfying 0.45? A? 0.5.
상기 홀더, 광송신부, 광수신부가 수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광송수신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module including the holder, the optical transmitter, and the optical receiver.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광수신부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광흡수부를 포함하는 광송수신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case includes a light absorbing portion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light receiving portion.
상기 케이스와 상기 광수신부 사이를 고정하는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광송수신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n adhesive resin for fixing the case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9254A KR101741039B1 (en) | 2015-07-13 | 2015-07-13 |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9254A KR101741039B1 (en) | 2015-07-13 | 2015-07-13 |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8360A KR20170008360A (en) | 2017-01-24 |
KR101741039B1 true KR101741039B1 (en) | 2017-06-01 |
Family
ID=5799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92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1039B1 (en) | 2015-07-13 | 2015-07-13 |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103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1949A (en) * | 2018-07-23 | 2021-03-23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Optical components, optical modules, and communication devic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1589B1 (en) * | 2018-07-26 | 2019-11-27 | (주)코셋 |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avelength multiplexing optical signal bidirectionall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7633B1 (en) * | 2010-12-14 | 2012-03-22 |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 Bidirectional optical sub assembly having structure to reduce reflection noise |
KR101285766B1 (en) * | 2012-05-18 | 2013-07-19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Bidirectional optical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
-
2015
- 2015-07-13 KR KR1020150099254A patent/KR1017410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7633B1 (en) * | 2010-12-14 | 2012-03-22 |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 Bidirectional optical sub assembly having structure to reduce reflection noise |
KR101285766B1 (en) * | 2012-05-18 | 2013-07-19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Bidirectional optical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1949A (en) * | 2018-07-23 | 2021-03-23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Optical components, optical modules, and communication devices |
KR102471480B1 (en) | 2018-07-23 | 2022-11-28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Optical Components, Optical Modules, and Communication Dev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8360A (en) | 2017-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50454B2 (en) | Multi-laser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 |
US8625989B2 (en) | Multi-laser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ies for optoelectronic modules | |
US8380075B2 (en) | Optical transceiver module | |
KR101860847B1 (en) | Optical module | |
WO2017118271A1 (en) | Parall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tical module for dual-link transmission, and preparation method | |
US20120189323A1 (en) | Multi-laser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 |
TWI760468B (en) |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bidi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 |
US7597486B2 (en) | Managing backreflection | |
KR101648877B1 (en) |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 |
US8995845B2 (en) | Multi-laser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for optoelectronic modules | |
WO2015076469A1 (en) | Optical module package structure for narrow wavelength spac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
US9383528B2 (en) | Light-receiving module | |
KR101741039B1 (en) |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 |
KR101723135B1 (en) |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 |
KR101115463B1 (en) |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module | |
US20020191917A1 (en) | Transceiver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ptical signals | |
KR20160027747A (en) | Single Wavelength Bi-directional Optical Sub-Assembly | |
US10921535B1 (en) | Optical sub-assembly and telescopic-shaped core cylinder module thereof | |
JP2005134803A (en) | Ferrule with optical isolator and optical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equipped with the same | |
US20090279894A1 (en) | Triple wavelength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
EP2078219B1 (en) | Managing backreflection | |
CN110927895A (en) | BIDI device, optical module and production method | |
KR0170329B1 (en) | Photosynthesis splitter for optical communication | |
TWI766444B (en) |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 |
KR100480304B1 (en) | Bi-directional transceiver and bi-directional transceiver module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