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표준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중안테나를 구비한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기(100)는 인코더(encoder, 110-1,...,110-K), 변조 맵퍼(modulation mapper, 120-1,..., 120-K) (또는 변조기, Modulator), 레이어 맵퍼(layer mapper, 130), 프리코더(precoder, 140), 자원요소 맵퍼(resource element mapper, 150-1,...,150-K) (또는 부반송파 맵퍼, Subcarrier mapper) 및 OFDM 신호 발생기(160-1,...,160-K)를 포함한다. 송신기(100)는 Nt 개의 송신 안테나(170-1,..,170-Nt)를 포함한다.
인코더(110-1,...,110-K)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정해진 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형성한다. 변조 맵퍼(120-1,...,120-K)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신호 성상(signal constellation) 상의 위치를 표현하는 변조 심볼에 맵핑한다.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에는 제한이 없으며, m-PSK(m-Phase Shift Keying) 또는 m-QAM(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PSK는 BPSK, QPSK 또는 8-PSK 일 수 있다. m-QAM은 16-QAM, 64-QAM 또는 256-QAM 일 수 있다.
레이어 맵퍼(130)는 프리코더(140)가 안테나 특정 심볼(antenna-specific symbol)을 각 안테나의 경로로 분배할 수 있도록 변조 심볼의 레이어를 정의한다. 레이어는 프리코더(140)로 입력되는 정보 경로(information path)로 정의된다. 프리코더(140) 이전의 정보 경로를 가상 안테나(virtual antenna) 또는 레이어라고 할 수 있다.
프리코더(140)는 변조 심볼을 다중 송신 안테나(170-1,..,170-Nt)에 따른 MIMO 방식으로 처리하여 안테나 특정 심볼을 출력한다. 프리코더(140)는 안테나 특정 심볼을 해당 안테나의 경로의 자원요소 맵퍼(150-1,...,150-K)로 분배한다. 프리코더(140)에 의해 하나의 안테나로 보내어지는 각 정보 경로를 스트림(stream)이라 한다. 이를 물리적 안테나(physical antenna)라 할 수 있다.
자원요소 맵퍼(150-1,...,150-K)는 안테나 특정 심볼을 적절한 자원요소(resource element)에 할당하고, 사용자에 따라 다중화한다. OFDM 신호 발생기(160-1,...,160-K)는 안테나 특정 심볼을 OFDM 방식으로 변조하여 OFDM 심볼을 출력한다. OFDM 신호 발생기(160-1,...,160-K)는 안테나 특정 심볼에 대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할 수 있으며, IFFT가 수행된 시간 영역 심볼에는 CP(cyclic prefix)가 삽입될 수 있다. CP는 OFDM 전송 방식에서 다중 경로에 의한 심볼 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을 제거하기 위해 보호구간(guard interval)에 삽입되는 신호이다. OFDM 심볼은 각 송신 안테나(170-1,..,170-Nt)를 통해 송신된다.
도 2는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또는 TDD(time division duplex)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는 OFDM 심볼이 일반 CP로 구성된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은 12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요소(RE)라 한다. 예를 들어, 자원 요소 a(k,l)은 k번째 부반송파와 l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한 자원 요소가 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각 부반송파의 간격은 15kHz이므로, 하나의 자원블록은 주파수영역에서 약 180kHz을 포함한다. NDL은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이다. NDL의 값은 기지국의 스케줄링에 의해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참조신호, 동기화채널 및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맵핑되는 자원요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도 4는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2 슬롯에 대응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슬롯의 자원블록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은 시간 영역에서 14 OFDM 심볼 ×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시간-주파수 영역 내에서 가장 작은 사각형 영역은 시간 영역으로 1 OFDM 심볼에, 주파수 영역으로 1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도 4를 참조하면, Rp는 제p 안테나 포트(port)상에서 참조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요소를 표시(denote)한다. 예를 들어, R0 내지 R3은 각각 제0 내지 제3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되는 공용 참조신호가 맵핑되는 자원요소를 나타내고, R5는 제5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되는 전용 참조신호가 맵핑되는 자원요소를 나타낸다. 제0 및 제1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되는 공용 참조신호는 제0, 제4, 제7 및 제11 OFDM 심볼상에서 6 부반송파 간격으로(하나의 안테나 포트 기준) 전송된다. 제2 및 제3 안테나 포트에서 전송되는 공용 참조신호는 제1 및 제8 OFDM 심볼상에서 6 부반송파 간격으로(하나의 안테나 포트 기준) 전송된다. 전용 참조신호는 매 서브프레임의 제3, 제6, 제9 및 제12 OFDM 심볼상에서 4 부반송파 간격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12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전송된다.
이외에도 도 4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R4는 제4 안테나 포트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의 참조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R0 내지 R5 각각의 위치는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한편, 동기신호는 셀-검색(cell-search)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계층의 신호로서 주동기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보조동기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가 있다. 주동기신호가 전송되는 물리채널을 P-SCH(Primary-Synchronization CHannel)이라 하고, 보조동기신호가 전송되는 물리채널을 S-SCH(Secondary-Synchronization CHannel)이라 한다.
주동기신호는 단말이 초기 셀검색시 슬롯동기(slot synchronization)를 맞추는데 사용되는 신호로서, 주파수 영역의 ZC 시퀀스(Zadoff-Chu sequence)에 의해 생성될(generated) 수 있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이 FDD를 지원하는 구조인 경우, 주동기 신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 무선프레임의 제0 및 제10 슬롯의 마지막 OFDM심볼(즉, 5 서브프레임 주기로 서브프레임의 제6 OFDM 심볼)에 맵핑될 수 있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이 TDD를 지원하는 구조인 경우, 주동기 신호는 제1 및 제6 서브프레임의 3번째 OFDM 심볼에 맵핑될 수 있다(미도시).
보조동기신호는 단말이 슬롯동기를 맞춘 후 프레임 동기(frame synchronization)를 맞추는데 사용되는 신호로서, 2개의 31비트 시퀀스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조동기신호는 매 무선프레임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프레임의 제0 및 제10 슬롯의 제5 OFDM 심볼(즉, 5 서브프레임 주기로 서브프레임의 제5 OFDM 심볼)에 맵핑될 수 있다.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은 셀의 시스템정보(system information)를 전송하는 채널이다. P-BCH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제7 내지 제9 OFDM 심볼에 맵핑되고, 10 서브프레임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하지만, 공용 참조신호로 할당된 자원요소인 R0 내지 R3을 제외한 위치의 부반송파에만 맵핑된다.
여기서, SCH 및 P-BCH가 맵핑된 자원요소가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요소 또는 전용 참조신호가 전송되는 자원요소와 겹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무선프레임이 FDD를 지원하는 구조인 경우, 제5 내지 제9 OFDM 심볼은 SCH 또는 P-BCH가 점유하는데, 제6 및 제9 OFDM 심볼상의 R5에 맵핑되는 전용 참조신호와 겹친다. 따라서, 이 구간의 OFDM 심볼에서는 전용 참조신호가 펑처링(puncturing)되고 전송되지 않는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이 TDD를 지원하는 구조인 경우에서도 이와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용 참조신호의 배치시 SCH 및 P-BCH의 위치를 고려해야 하며, SCH 및 P-BCH가 전송되는 OFDM 심볼 이외의 심볼에 최소한 하나의 심볼 구간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용 참조신호의 배치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는, PDSCH 디코딩, 전용 참조신호의 전송밀도, 고속 이동환경에서의 강인성, 주파수 선택적 채널(frequency selective channel), 분산모드(distributed mode)의 지원, PDCCH의 OFDM 심볼의 개수 등이 있다. 또한, 도 4는 일반 CP인 경우이므로, 확장된 CP인 경우에는 전용 참조신호를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도 고려해야 한다.
전술한 셀-특정 참조신호는 물리 안테나단의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셀 내에 있는 모든 단말(UE)들에게 공용으로 전송되는 참조신호이다. 셀-특정 참조신호를 통해 단말에 의하여 추정된 채널 정보는 단일 안테나 전송(Single Antenna Transmission),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폐-루프 공간 다중화(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개-루프 공간 다중화(Open-loop Spatial multiplexing), 다중-사용자(Multi-User) MIMO(MU-MIMO) 등의 전송 기법으로 송신된 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이 채널을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셀-특정 참조신호를 통한 채널 추정 성능을 높이기 위해 셀 마다 셀-특정 참조신호의 서브프레임 내 위치를 시프트(shift)시켜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신호가 3 부반송파 마다 위치하는 경우에, 어떤 셀은 3k 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다른 셀은 3k+1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배치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용 참조신호는 데이터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단말-특정 참조신호로, 다중안테나 전송을 할 때 특정 단말에 사용되는 프리코딩 가중치를 참조신호에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단말이 참조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각 송신안테나에서 전송되는 프리코딩 가중치와 전송 채널이 결합된 균등 채널(Equivalent channel)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전용 참조신호는 전송 레이어간에 직교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전송 랭크에 따라 참조신호의 패턴이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기존의 3GPP LTE 시스템은 최대 4 송신 안테나 전송을 지원하고, 단일 송신 안테나, 2 송신 안테나, 4 송신 안테나를 지원하기 위한 셀-특정 참조신호 및 랭크 1 빔포밍을 위한 전용 참조신호가 정의되어 있다. 한편, 3GPP LTE의 진화인 LTE-A(Advanced) 시스템에서는 높은 오더(order)의 MIMO, 다중-셀 전송, 발전된 다중사용자-MIMO 등이 고려되고 있는데, 효율적인 참조신호의 운용과 발전된 전송 방식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용 참조신호 기반의 데이터 복조를 고려하고 있다. LTE-A 시스템에서는 8 송신 안테나 MIMO 방식을 지원하기 위하여 8 송신 안테나 RS 구조를 제공하면서, RS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측정용 참조신호와 전용 참조신호를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용 참조신호의 경우 프리코딩된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참조신호 오버헤드를 추가적으로 줄이고, 측정용 참조신호 낮은 듀티 사이클(low duty cycle)로 전송함으로써 참조신호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전용 참조신호는 기지국에 의해 하향링크 전송이 스케줄링된 자원블록 및 레이어에만 존재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새롭게 정의되는 전용 참조신호는 랭크 8 까지를 지원할 수 있고, 이중 스트림 빔포밍, 협력 다중-포인트 전송, 발전된 다중사용자-MIMO 등을 함께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할 수 있다.
채널 추정 성능을 높이기 위해 높은 밀도의 참조신호를 전송하면 높은 채널 추정 성능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목표 성능을 만족할 수 있지만, 어떤 사용자의 경우에는 낭비되는 파일럿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시스템 수율을 높이기 위해 낮은 밀도의 참조신호를 전송하면 데이터를 전송율은 높지만 비트 오류가 증가하는 사용자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이동 속도를 갖는 사용자는 시간적으로 급변하는 채널을 경험하게 되며, 상관 시간이 짧기 때문에 원하는 채널 추정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좁은 간격을 갖는 참조신호 구조가 적합하다. 그러나, 어떤 사용자는 정지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관 시간이 길기 때문에 넓은 참조신호의 간격을 갖더라도 우수한 채널 추정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참조신호 밀도와 채널 추정 성능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당한 참조신호 밀도 및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 상의 패턴을 갖는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LTE-A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LTE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도록 셀-특정 참조신호가 항상 전송될 필요가 있다. 셀-특정 참조신호는 단일 송신 안테나, 2 송신 안테나, 4 송신 안테나를 위한 참조신호일 수 있다. 전용 참조신호를 설계함에 있어서 셀-특정 참조 신호의 주파수 시프트를 고려할 수 있다. 전용 참조신호는 셀-특정 참조신호와 동일한 OFDM 심볼 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셀-특정 참조신호가 포함되지 않는 OFDM 심볼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LTE-A 시스템에서는 PDSCH 복조를 위한 참조 신호, 및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측정을 위한 참조 신호의 2가지 형태의 참조 신호를 지원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전용 참조신호(DRS)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 RS)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CSI 측정을 위한 참조신호와 구별된다. CSI 측정을 위한 참조신호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1개 또는 2개 존재할 수 있는데, CSI 측정을 위한 참조신호와 전용 참조신호는 하나의 OFDM 심볼 상에 함께 위치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SCH 및 BCH가 맵핑되는 자원요소에 데이터 및 전용 참조신호가 펑처링되는 것을 고려하여, SCH 및 BCH가 맵핑되는 OFDM 심볼을 제외한 최소한 하나의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포함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와 기지국 간의 백홀 링크에서는 타이밍 정렬 등의 목적으로 서브프레임 타이밍의 천이(transition)이 요구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OFDM 심볼이 펑처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OFDM 심볼의 위치에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중 스트림 빔포밍에 있어서는 랭크 2 빔포밍을 위한 전용 참조신호는 랭크 1 빔포밍을 위한 전용 참조신호 패턴을 재사용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2 개의 레이어는 코드분할다중화(CDM), 시간분할다중화(TDM) 또는 주파수분할다중화(FDM)을 이용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또한, 2 이상의 복수개의 레이어를 이용하여 랭크 2 이상의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각각의 레이어를 통한 참조신호들을 특정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CDM을 이용하여 다중화하거나, 추가적으로 시간-주파수 영역간 TDM 또는 FDM을 이용하여 다중화하여 전용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용 참조신호를 내삽(interpolation) 또는 외삽(extrapolation) 함으로써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 대한 복조가 수행될 수 있다. 외삽에 의한 채널 추정은 내삽의 경우에 비하여 채널 추정 성능이 낮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전용 참조신호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의 시간-주파수 영역상 말단에 두어 외삽에 의한 채널 추정을 줄이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 개의 OFDM 심볼(제0 내지 제13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반 CP 구성의 경우에, PDCCH 영역은 제0 내지 제2 OFDM 심볼에 위치하고, 셀-특정 참조신호는 제0, 제1, 제4, 제7, 제8 및 제11 OFDM 심볼에 위치하고, SCH는 제5 및 제6 OFDM 심볼에 위치하고, BCH는 제7, 제8 및 제9 OFDM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타이밍 천이에 따라 제13 OFDM 심볼이 펑처링될 수 있다. 따라서, 전용 참조신호는 제3, 제10 및 제12 OFDM 심볼의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를 이용한 채널 추정에 의한 데이터의 복조가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전용 참조신호의 패턴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14개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일반 CP 구성의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하지만,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확장된 CP 구성의 경우와 같이 14개 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전용 참조신호, 셀-특정 참조신호 및 CSI 측정을 위한 참조신호가 포함된 OFDM 심볼은 서브프레임에 포함되고,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고 데이터 만으로 구성된 OFDM 심볼은 서브프레임에서 제외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최대 랭크 2 까지의 각각의 레이어(안테나 포트)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 패턴을 제안한다.
랭크 2 전송의 경우에 FDM 또는 TDM에 따른 전용 참조신호 패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원요소(RE)를 도시한 도면 및 관련 설명에서 시간-주파수 영역상의 'A'로 표시된 위치는 제1 레이어(안테나 포트)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의 위치를 나타내고, 'B'로 표시된 위치는 제2 레이어(안테나 포트)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는, 'A'가 레이어(안테나 포트)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의 위치를, 'B'가 제2 레이어(안테나 포트)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의 위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랭크 2 전송의 경우에 CDM을 이용하여 다중화된 2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는 여러 가지 코드를 이용하여 다중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adamard,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Walsh,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Waveform), PN(Pseudo Noise) sequenc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 하나의 자원요소 상에서 'A/B'로 표시되는 위치는, CDM을 이용하여 다중화되는 제1 및 제2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랭크 1 전송의 경우에는 A 및 B 위치가 모두 하나의 레이어(안테나 포트)에 대한 참조신호의 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전용 참조신호의 전력 부스팅(power boosting)시에 심볼 전력 변동(fluctuation)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각각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를 균등하게 할당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레이어에 대한 채널 추정 성능을 더 높이기 위하여,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나의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가 다른 레이어에 비하여 더 많이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전용 참조신호를 통한 채널 추정 성능이 시간 선택적 특성에 강인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영역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심볼 간격이 좁게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전용 참조신호를 통한 채널 추정 성능이 주파수 선택적 특성에 강인하도록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주파수 영역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부반송파 간격을 좁게 배치할 수 있다.
낮은 이동성(low mobility)을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의 위치가 특정 시간영역에 밀집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높은 이동성(high mobility)을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의 위치가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영역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넓게 배치될 수 있다.
전용 참조신호 패턴 설계에 있어서 셀-특정 참조 신호의 주파수 시프트를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부반송파 상에서 배치되지 않는 마진(margin)을 두어 주파수 시프트에 대한 확장성을 늘릴 수 있다. 또는, 전용 참조신호를 가능한 처음과 마지막 부반송파에 위치시킴으로써 전용 참조신호를 외삽하여 채널을 추정함으로써 발생하는 채널 추정 성능 저하를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일반 CP 구성의 경우에 14 개의 OFDM 심볼들을 2 그룹으로 분류한다. 제1 OFDM 심볼 그룹은 PDCCH 영역이 할당되는 제0 내지 제2 OFDM 심볼, 셀-특정 참조신호가 위치하는 제0, 제1, 제4, 제7, 제8 및 제11 OFDM 심볼, SCH가 위치하는 제5 및 제6 OFDM 심볼, BCH가 위치하는 제7, 제8 및 제9 OFDM 심볼, 및 서브프레임 타이밍 천이에 따라 펑처링되는 제13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즉, 제1 OFDM 심볼 그룹은 제0 내지 제2, 제4 내지 제9, 제11 및 제13 OFDM 심볼을 포함한다.
한편, 제1 OFDM 심볼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제3, 제10 및 제12 OFDM 심볼은 제2 OFDM 심볼 그룹에 포함된다. 전용 참조신호의 전송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2 OFDM 심볼 그룹에 적어도 하나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어야 하고, 가능한 한 다수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자원요소에 대해서 전용 참조신호를 내삽/외삽함으로써 해당 자원요소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 따라서, 전용 참조신호가 모두 제2 OFDM 심볼 그룹에만 할당된다면 채널 추정 성능이 비효율적이 될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경우에 따라 전용 참조신호를 제1 OFDM 심볼 그룹에도 적절하게 배치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SCH 및 BCH는 각각 5 서브프레임 10 서브프레임 주기로 전송되며 이에 따라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제5 내지 제9 OFDM 심볼 상에 전용 참조신호가 펑처링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하는 제5 내지 제9 OFDM 심볼 상에 전용 참조신호의 일부를 위치시키는 것으로 패턴을 설계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OFDM 심볼 그룹 중 PDCCH에 할당되는 제0 내지 제2 OFDM 심볼 및 서브프레임 타이밍 천이에 따라서 펑처링될 수 있는 제13 OFDM 심볼에는 전용 참조신호를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패턴을 설계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에서 나머지 OFDM 심볼(제4 내지 제9 및 제11 OFDM 심볼)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고, 전용 참조신호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OFDM 심볼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도 5 내지 도 30에 있어서, 일반 CP 구성에 따른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전용 참조신호가 맵핑되는 자원요소가 도시되고, 가로축은 시간 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30에 도시한 시간-주파수 영역 내에서 가장 작은 사각형 영역은 시간 영역으로 1 OFDM 심볼에, 주파수 영역으로 1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또한, 전용 참조신호의 위치는 (OFDM 심볼 인덱스(l), 부반송파 인덱스(k))로 표현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5)
A(l,k)={(3,3), (3,7), (3,11), (6,1), (6,5), (6,9)}
B(l,k)={(9,3), (9,7), (9,11), (12,1), (12,5), (12,9)}
도 5를 참조하여 기존의 랭크 1 빔포밍을 위한 전용 참조신호 패턴을 재사용한 실시예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는 도 4에서 R5의 위치에 제1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A) 및 제2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B)를 균등한 비율로 분산하여 배치한 것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최대 랭크 2 전송을 지원하는 전용 참조신호(A 및 B)가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 및 이하의 실시예에 대하여 전용 참조신호를 표시하는 A 및 B의 의미와 관련하여, 랭크 2 전송의 경우에 FDM 또는 TDM에 따른 전용 참조신호 패턴에서 A가 제1 레이어에 대응하고 B가 제2 레이어에 대응할 수도 있고, A가 제2 레이어에 대응하고 B가 제1 레이어에 대응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도시된 전용 참조신호 위치 각각에서 A와 B가 C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도 있고, 랭크 1 전송의 경우에는 A 및 B 위치가 모두 하나의 레이어에 대한 참조신호의 위치로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6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4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셀-특정 참조신호가 위치하는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되지 않는다.
실시예
2 (도 6)
A(l,k)={(3,3), (3,7), (3,11), (9,1), (9,5), (9,9)}
B(l,k)={(6,3), (6,7), (6,11), (12,1), (12,5), (12,9)}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6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4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3 (도 7)
A(l,k)={(3,0), (3,5), (3,10), (9,0), (9,5), (9,10)}
B(l,k)={(5,0), (5,5), (5,10), (12,1), (12,5), (12,9)}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5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5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3 내지 제12 OFDM 심볼의 범위와 제0 내지 제10 부반송파 범위를 포괄함으로써 전용 참조신호의 외삽에 의한 채널 추정을 감소하여 채널 추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4 (도 8)
A(l,k)={(3,0), (3,2), (3,10), (10,1), (10,9), (10,11)}
B(l,k)={(3,1), (3,9), (3,11), (10,0), (10,2), (10,10)}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0)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또는 7 부반송파 간격으로 6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2 또는 8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셀-특정 참조신호, SCH 및 BCH가 존재하는 OFDM 심볼 위치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되지 않는다.
실시예
5 (도 9)
A(l,k)={(3,0), (3,5), (3,10), (10,1), (10,6), (10,11)}
B(l,k)={(3,1), (3,6), (3,12), (10,0), (10,5), (10,10)}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0)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또는 4 부반송파 간격으로 6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5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6 (도 10)
A(l,k)={(3,0), (3,10), (5,5), (8,6), (10,1), (10,11)}
B(l,k)={(3,1), (3,11), (5,6), (8,5), (10,0), (10,10)}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5 및 제8)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0)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부반송파 간격으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레이어 별로 각각 1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또는 9 부반송파 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10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7 (도 11)
A(l,k)={(3,0), (3,4), (3,8), (10,3), (10,7), (10,11)}
B(l,k)={(5,0), (5,4), (5,8), (12,3), (12,7), (12,11)}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1 개의(제5)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3 개의(제3,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4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3 개의 부반송파 위치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8 (도 12)
A(l,k)={(3,0), (3,4), (3,8), (10,2), (10,6), (10,10)}
B(l,k)={(5,0), (5,4), (5,8), (12,2), (12,6), (12,10)}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1 개의(제5)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3 개의(제3,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4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9 (도 13)
A(l,k)={(3,0), (3,6), (5,3), (5,9), (10,0), (10,6), (12,3), (12,9)}
B(l,k)={(3,3), (3,6), (12,0), (12,6)}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는 8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되고 B는 4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레이어 별로 전용 참조신호의 밀도를 상이하게 하여 밀도가 높은 전용 참조신호를 갖는 레이어의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1 개의(제5)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3 개의(제3,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6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하나의 레이어에 대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만이 배치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6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10 (도 14)
A(l,k)={(3,0), (3,7), (8,1), (8,8), (12,4), (12,10)}
B(l,k)={(3,4), (3,10), (6,1), (6,8), (12,0), (12,7)}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6 및 제8)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7 부반송파 간격으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7 부반송파 간격으로 하나의 레이어에 대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다른 하나의 OFDM 심볼에는 7 부반송파 간격으로 다른 하나의 레이어에 대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또는 4 부반송파 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6 또는 7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11 (도 15)
A(l,k)={(3,0), (3,6), (8,3), (8,9), (12,0), (12,6)}
B(l,k)={(3,3), (3,9), (8,0), (8,6), (12,3), (12,9)}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1 개의(제8)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6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12 (도 16)
A(l,k)={(3,0), (3,6), (6,3), (6,9), (9,0), (9,6), (12,3), (12,9)}
B(l,k)={(3,3), (3,9), (6,3), (6,9), (9,0), (9,6), (12,0), (12,6)}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6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6 부반송파 간격으로 2 개의 부반송파 위치에 CDM에 의하여 다중화된 전용 참조신호(A/B)가 할당된다. 이와 관련하여, 자원요소 위치 {(6,3), (6,9), (9,0), (9,6)}에는 A/B로 표시되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CDM 방식으로 하나의 자원요소에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다중화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제1 및 제2 레이어에 대하여 각각 8 개씩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6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13 (도 17)
A(l,k)={(3,0), (3,9), (6,3), (9,6), (12,0), (12,9)}
B(l,k)={(5,0), (5,9), (6,6), (9,3), (10,0), (10,9)}
도 1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3 개의(제5, 제6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3 개의(제3,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서 9 부반송파 간격으로 하나의 레이어에 대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거나, 3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하나씩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9 부반송파 간격으로 하나의 레이어에 대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14 (도 18)
A(l,k)={(3,0), (3,9), (6,3), (9,6), (12,0), (12,9)}
B(l,k)={(3,0), (3,9), (6,3), (9,6), (12,0), (12,9)}
도 1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6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6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하나의 부반송파 위치에 CDM 방식으로 다중화된 전용 참조신호(A/B)가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9 부반송파 간격으로 2 부반송파 위치에 CDM 방식으로 다중화된 전용 참조신호(A/B)가 할당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제1 및 제2 레이어에 대하여 각각 6 개씩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15 (도 19)
A(l,k)={(3,0), (3,9), (6,3), (9,6), (12,0), (12,9)}
B(l,k)={(3,0), (3,9), (6,6), (9,3), (12,0), (12,9)}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8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6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3 부반송파 간격으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2 개의 전용 참조신호의 각각은 레이어 별로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9 부반송파 간격으로 2 부반송파 위치에 CDM 방식으로 다중화된 전용 참조신호(A/B)가 할당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제1 및 제2 레이어에 대하여 각각 6 개씩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16 (도 20)
A(l,k)={(3,0), (3,6), (6,3), (9,6), (12,2), (12,8)}
B(l,k)={(3,3), (3,9), (6,6), (9,9), (12,5), (12,11)}
도 2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6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3 부반송파 간격으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2 개의 전용 참조신호의 각각은 레이어 별로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6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17 (도 21)
A(l,k)={(3,0), (3,6), (6,4), (6,10), (12,3), (12,9)}
B(l,k)={(3,3), (3,9), (6,1), (6,7), (12,0), (12,6)}
도 2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1 개의(제6)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6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6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실시예
18 (도 22)
A(l,k)={(4,1), (4,7), (8,4), (8,10), (12,1), (12,7)}
B(l,k)={(4,4), (4,10), (8,1), (8,7), (12,4), (12,10)}
도 2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4 및 제8)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1 개의(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6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참조신호가 전력 부스팅(Power Boosting)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한 심볼에서의 각 레이어(안테나 포트 또는 스트림) 별로 전용 참조신호 비율을 동일하게 배치한다. 또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3 OFDM 심볼을 기준으로 4 OFDM 심볼 간격으로 전용 참조신호를 배치 함으로써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FDM 방식의 랭크 1 혹은 CDM 방식의 랭크 1 혹은 2의 전용 참조신호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을 유지하고, FDM 방식의 랭크 2 전용 참조신호에 대하여 6 부반송파 간격을 가지며, 심볼 간 교차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채널 선택적 특성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 OFDM 심볼의 처음과 마지막 부반송파 위치에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마진을 둔 교차(interlaced) 패턴으로 설계하여 주파수 시프트를 지원한다.
실시예
19 (도 23)
A(l,k)={(10,0), (10,4), (10,8), (12,2), (12,6), (12,10)}
B(l,k)={(10,1), (10,5), (10,9), (12,3), (12,7), (12,11)}
도 2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또는 3 부반송파 간격으로 6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4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TDD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는 전용 참조신호를 배치하지 않고, 데이터가 존재하는 영역에 밀집하여 전용 참조신호를 배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참조신호가 전력 부스팅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한 심볼에서의 각각의 레이어 별로 전용 참조신호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한다. 또한, SCH 및 BCH(제5 내지 제9 OFDM 심볼에 위치함)에 의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2 OFDM 심볼 그룹의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성을 고려하여 시간 영역에서 특정 부분에 전용 참조신호가 밀집되도록 설계한 반면, 주파수 선택적 특성에 강인하도록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 OFDM 심볼에서 4 부반송파 이하의 간격을 갖도록 설정한다. 제1 및 제2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를 연접(contiguous)하여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채널 추정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CDM 방식의 전용 참조신호 지원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 OFDM 심볼에서 2 부반송파의 마진을 두어 주파수 시프트를 지원한다.
실시예
20 (도 24)
A(l,k)={(10,0), (10,2), (10,7), (12,1), (12,3), (12,8)}
B(l,k)={(10,1), (10,3), (10,8), (12,0), (12,2), (12,7)}
도 2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또는 4 부반송파 간격으로 6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2 또는 5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참조신호가 전력 부스팅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한 심볼에서의 각각의 레이어 별로 전용 참조신호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한다. 또한, SCH 및 BCH(제5 내지 제9 OFDM 심볼에 위치함)에 의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2 OFDM 심볼 그룹의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성을 고려하여 시간 영역에서 특정 부분에 전용 참조신호가 밀집되도록 설계한 반면, 주파수 선택적 특성에 강인하도록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 OFDM 심볼에서 5 부반송파 이하의 간격을 갖도록 설정한다. 제1 및 제2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를 연접하여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채널 추정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CDM 방식의 전용 참조신호 지원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 OFDM 심볼에서 3 부반송파의 마진을 두어 주파수 시프트를 지원한다.
실시예
21 (도 25)
A(l,k)={(3,1), (4,10), (5,4), (6,7), (9,1), (9,7), (12,4), (12,10)}
B(l,k)={(3,10), (4,1), (5,9), (6,2), (9,4), (9,10), (12,1), (12,7)}
도 2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6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4 개의(제4, 제5, 제6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3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3 내지 제6 OFDM 심볼에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5 또는 9 부반송파 간격으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각각의 레이어 별로 1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9 및 제12 OFDM 심볼에서는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의 등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6 부반송파 간격으로 레이어 별로 각각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SCH 및 BCH가 위치하지 않는(SCH는 5 서브프레임 주기로, BCH는 10 서브프레임 주기로 전송됨) 서브프레임의 경우에 1 내지 3 OFDM 심볼의 간격으로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됨으로써 높은 이동성(High Mobility)에서도 강인한 특성을 갖고, 3 이하의 부반송파 또는 최대 9 부반송파 간격으로 전체 RB 포괄하는 방식으로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되어 주파수 선택적 특성에 대응할 수 있다. SCH 및 BCH가 위치하는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전용 참조신호를 제2 OFDM 심볼 그룹에 할당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채널 추정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 처음과 끝의 각 한 부반송파에 대한 마진을 두어 주파수 시프트에 대한 교차 패턴을 지원하고, 전용 참조신호가 삽입된 모든 OFDM 심볼에서 레이어 별로 전용 참조신호 비율을 동일하게 하여 전력 부스팅시에도 심볼 전력 변동(fluctuat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실시예
22 (도 26)
A(l,k)={(10,0), (10,4), (10,8), (12,0), (12,4), (12,8)}
B(l,k)={(10,1), (10,5), (10,9), (12,1), (12,5), (12,9)}
도 2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서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또는 3 부반송파 간격으로 6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각각의 레이어 별로 4 부반송파 간격으로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참조신호가 전력 부스팅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 OFDM 심볼에서 각각의 안테나 별로 전용 참조신호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한다. 또한, SCH 및 BCH에 의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성을 고려하여 시간 영역에서 특정 영역에 전용 참조신호가 밀집하는 반면, 주파수 선택적 특성에 강인하도록 최대 4 부반송파 이하의 간격을 갖도록 설계한다. 제1 및 제2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를 연접하여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채널 추정 성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CDM 방식의 전용 참조신호의 지원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각 OFDM 심볼에 대한 레이어 별로 전용 참조신호의 주파수 영역상 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1차원 채널 추정을 이용할 경우에 대한 성능 향상을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OFDM 심볼에서 3 부반송파의 마진을 두어 주파수 시프트에 대한 확장성을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
23 (도 27)
A(l,k)={(12,0), (12,2), (12,4), (12,6), (12,8), (12,10)}
B(l,k)={(12,1), (12,3), (12,5), (12,7), (12,9), (12,11)}
도 2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1 개의(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서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부반송파 간격으로 1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각각의 레이어 별로 2 부반송파 간격으로 6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참조신호가 전력 부스팅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DRS가 위치한 심볼에서의 각 레이어 별 전용 참조신호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한다. 또한, SCH 및 BCH에 의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무선 프레임이 구성되는 방식(FDD 또는 TDD)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확장된 CP를 고려한 경우에도 동일한 전용 참조신호 패턴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반면, 주파수 선택적 특성에 강인하도록 최대 2 부반송파 간격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제1 및 제2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를 연접하여 위치함으로써 동일한 채널 추정 성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CDM 방식의 전용 참조신호를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
24 (도 28)
A(l,k)={(8,3), (9,6), (10,0), (10,8), (12,1), (12,9)}
B(l,k)={(8,6), (9,3), (10,1), (10,9), (12,0), (12,8)}
도 2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8 및 제9)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으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각각의 레이어 별로 1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또는 7 부반송파 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8 부반송파 간격으로 각각의 레이어 별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낮은 이동성을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를 배치시킨다. 전용 참조신호가 전력 부스팅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한 OFDM 심볼에서의 각 레이어 별 전용 참조신호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한다. 또한, SCH가 위치할 수 있는 OFDM 심볼에는 전용 참조신호를 배치하지 않아 SCH에 의한 영향을 없앤다. BCH가 위치할 수 있는 제7 내지 제9 OFDM 심볼에 대하여 제8 및 제9 OFDM 심볼상의 주파수 영역상 중간 영역에 전용 참조신호를 배치함으로써 BCH가 위치하지 않는 서브프레임의 경우에 2차원 채널 추정 성능을 높이고, BCH가 위치하는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도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서 7 부반송파 간격 이하를 갖는 전용 참조신호를 통하여 양호한 채널 추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 OFDM 심볼에서 2 부반송파의 마진을 두어 주파수 시프트 대한 확장성을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
25 (도 29)
A(l,k)={(5,6), (8,3), (10,1), (10,9), (12,0), (12,8)}
B(l,k)={(5,3), (8,6), (10,0), (10,8), (12,1), (12,9)}
도 2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5 및 제8)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3 부반송파 간격으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각각의 레이어 별로 1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제2 OFDM 심볼 그룹에 속하는 하나의 OFDM 심볼에서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또는 7 부반송파 간격으로 4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8 부반송파 간격으로 각각의 레이어 별로 2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참조신호가 전력 부스팅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한 심볼에서의 각 레이어 별 전용 참조신호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한다. 또한, SCH 및 BCH가 위치할 수 있는 OFDM 심볼에 1 내지 2 개의 전용 참조신호를 배치함으로써 해당 영역에 대한 최소한의 채널 추정 성능을 확보하고, SCH 및 BCH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서 7 부반송파 간격 이하를 갖는 전용 참조신호를 통하여 SCH 및 BCH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도 양호한 채널 추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 OFDM 심볼에서 2 부반송파의 마진을 두어 주파수 시프트에 대한 확장성을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
26 (도 30)
A(l,k)={(10,0), (10,4), (10,8), (12,1), (12,5), (12,9)}
B(l,k)={(10,1), (10,5), (10,9), (12,0), (12,4), (12,8)}
도 3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시간상 연속하는 2 자원블록(자원블록 쌍) 내에서 A 및 B는 균등한 비율로 12 개의 자원요소에 배치된다. 제1 OFDM 심볼 그룹에는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지 않고, 제2 OFDM 심볼 그룹 중 2 개의(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하나의 OFDM 심볼에서 랭크 1 전송에 대하여 1 또는 3 부반송파 간격으로 6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되고, 랭크 2 전송에 대하여 4 부반송파 간격으로 각각의 레이어 별로 3 개의 전용 참조신호가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용 참조신호가 전력 부스팅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위치한 OFDM 심볼에서의 각 레이어 별 전용 참조신호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한다. 또한, SCH 및 BCH에 의하여 전용 참조신호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0 및 제12 OFDM 심볼에 전용 참조신호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성을 고려하면서도, 주파수 선택적 특성에 강인하도록 최대 4 부반송파 이하의 간격을 갖도록 설계된다. 제1 및 제2 레이어에 대한 전용 참조신호를 연접하여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채널 추정 성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CDM 방식의 전용 참조신호 지원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각 OFDM 심볼에 대한 레이어 별 전용 참조신호 위치를 역전시켜 2 차원 채널 추정을 이용할 경우에 대한 주파수 선택적 특성에 대한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OFDM 심볼에서 3 부반송파의 마진을 두어 주파수 시프트에 대한 확장성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단말(UE1 및 UE2) 장치는 각각 수신 모듈(3111, 3121), 전송 모듈(3112, 3122), 프로세서(3113, 3123) 및 메모리(3114, 312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3111, 3121)은 각종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기지국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송 모듈(3112, 3122)은 각종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기지국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3, 3123)는 수신 모듈(3111, 3121)을 통하여,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을 통하여 2 이하의 레이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1 OFDM 심볼 그룹 상에서 제1 패턴에 따라 시간-주파수 영역에 배치된 참조신호를 수신하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2 OFDM 심볼 그룹 상에서 제2 패턴에 따라 시간-주파수 영역에 배치된 참조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단말이 수신된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2 이하의 레이어에 대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하여 채널을 추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OFDM 심볼 그룹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셀-특정 참조신호(CRS), 동기화채널(SCH) 및 브로드캐스트채널(BCH)이 위치하는 OFDM 심볼들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OFDM 심볼을 포함하며, 제2 OFDM 심볼 그룹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 중에서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OFDM 심볼들을 제외한 나머지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3, 31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3114, 31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eNB) 장치는 수신 모듈(3131), 전송 모듈(3132), 프로세서(3133) 및 메모리(313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3131)은 각종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단말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송 모듈(3132)은 각종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단말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3133)는 전송 모듈(3132)을 통하여,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을 통하여 2 이하의 레이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1 OFDM 심볼 그룹 상에서 제1 패턴에 따라 시간-주파수 영역에 배치된 참조신호를 전송하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2 OFDM 심볼 그룹 상에서 제2 패턴에 따라 시간-주파수 영역에 배치된 참조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신호는 2 이하의 레이어에 대한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전용 참조신호(DRS)이고, 제1 OFDM 심볼 그룹은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셀-특정 참조신호(CRS), 동기화채널(SCH) 및 브로드캐스트채널(BCH)이 위치하는 OFDM 심볼들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OFDM 심볼을 포함하며, 제2 OFDM 심볼 그룹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 중에서 제1 OFDM 심볼 그룹에 속한 OFDM 심볼들을 제외한 나머지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3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313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