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0334B1 - 치과용 3차원 스캐너 - Google Patents

치과용 3차원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334B1
KR101740334B1 KR1020150130241A KR20150130241A KR101740334B1 KR 101740334 B1 KR101740334 B1 KR 101740334B1 KR 1020150130241 A KR1020150130241 A KR 1020150130241A KR 20150130241 A KR20150130241 A KR 20150130241A KR 101740334 B1 KR101740334 B1 KR 10174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election
unit
selection signal
image data
sen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644A (ko
Inventor
김영균
김태우
문안오
Original Assignee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바텍 filed Critical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50130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3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3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에서 의사 등이 치과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촬영할 때 시술의 종류에 따라 저해상도 촬영 모드 및 고해상도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3차원 스캐너는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의 해상도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선택부; 측정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측정광이 상기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샘플링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3차원 스캐너{DENTAL THREE-DIMENSIONAL SCANNER}
본 발명은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에서 의사 등이 치과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촬영할 때 시술의 종류에 따라 저해상도 촬영 모드 및 고해상도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 등에서는 환자의 치아에 대한 인상채득(impression taking) 과정을 통해 치아 등 구강 내 조직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환자의 환부에 대한 치료 및 진료를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인상채득 과정에서는 재료의 소모 문제 및 교차 감염 등의 문제와 제작된 인상체 또는 석고모형의 파손 가능성 및 보존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구강 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시트 형상의 필름 또는 디지털 센서를 구강 내로 삽입시켜 환부 근처에 고정한 다음, 엑스레이와 같은 방사선을 구강의 환부에 투사하여 얻어진 2차원의 투과영상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3차원적 구조물을 2차원적 평면에 투영 표시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에게 많은 양의 방사선 조사를 받게 하고,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과 시행 단계에서의 복잡성 등으로 많은 임상적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에는 치아의 수복, 보철 등의 치과 치료 시 치아 및 구강조직의 형태에 대한 3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구강 내 구조물 등의 입체 형상을 가지는 피사체를 레이저광 등의 측정광으로 촬영하여 피사체의 실제 이미지와 동일한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치과용 3차원 스캐너는 일정한 해상도로 여러 번 구강 내 구조물을 촬영해야 하므로 3차원 스캐너의 하우징이 구강 내 머물러야 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바, 치과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과에서 의사 등이 치과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촬영할 때 시술의 종류에 따라 넓은 면적을 짧은 시간에 촬영할 수 있는 저해상도 촬영 모드 및 좁은 면적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고해상도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3차원 스캐너의 하우징이 구강 내 머물러야 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3차원 스캐너는,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의 해상도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선택부; 측정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측정광이 상기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샘플링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모드 선택 신호는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가 저해상도 동영상 형식으로 샘플링되는 저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와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가 고해상도 정지영상 형식으로 샘플링되는 고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해상도 모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감지결과의 픽셀 데이터에 있어서 행 방향으로 둘 이상의 픽셀 마다 한 픽셀을 규칙적으로 샘플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해상도 모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감지결과의 픽셀 데이터에 있어서 열 방향으로 둘 이상의 픽셀 마다 한 픽셀을 규칙적으로 샘플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해상도 모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감지결과의 픽셀 데이터에 있어서 비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치과용 3차원 스캐너와 달리 치과에서 의사 등이 치과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을 촬영할 때 시술의 종류에 따라 넓은 면적을 짧은 시간에 촬영할 수 있는 저해상도 촬영 모드 및 좁은 면적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고해상도 촬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3차원 스캐너의 하우징이 구강 내 머물러야 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치과 환자의 치료 시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의 저해상도 모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는, 모드 선택부(100), 광원부(200), 촬상부(300), 제어부(400), 광학부(500), 저장부(600), 통신부(700), 반사판(800) 및 하우징(9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100)는, 3차원 데이터의 해상도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모드 선택 신호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여기서, 모드 선택부(100)는, 하우징(900)의 파지 부분에 제공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등 입력 수단을 통하여 치과용 3차원 스캐너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200)는, 치과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의 스캔을 위한 측정광을 생성한다. 이 때, 광원부(2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즉, 제어부(400)에 설정된 출력 위치 및 출력 각도에 따라 측정광을 조사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400)는, 제어된 측정광에 대한 출력 위치 정보 및 출력 각도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출력 위치 정보 및 출력 각도 정보를 참조하여 촬상부(300)의 감지 결과를 처리하게 된다. 한편, 광원부(200)의 배치 구조는 구강 스캐너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광 출력 소자는 소형화에 유리한 레이저 다이오드 및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촬상부(300)는, 광원부(200)에서 생성된 측정광이 구강 내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촬상부(300)의 광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PSD(Position Sensitive Device) 등의 수광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400)는, 촬상부(300)로부터 입력받은 감지결과를 모드 선택부(100)로부터 입력받은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샘플링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600)로 출력하며, 저장부(6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통신부(700)를 통하여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통신부(700)를 통하여 송신된 영상 데이터는 소정의 영상 처리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입력되어 구강 내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데이터로 처리될 수 있다.
이 때, 모드 선택 신호는 촬상부(300)의 감지결과가 저해상도 동영상 형식으로 샘플링되는 저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와 촬상부(300)의 감지결과가 고해상도 정지영상 형식으로 샘플링되는 고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는, 촬상 버튼(도시되지 않음)의 활성화 시 제어부(400)가 촬상부(300)로부터 입력받은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단일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로, 해상도는 높고 스캔 속도는 상대적으로 저속이다. 즉, 구강 내 구조물 중 선택적으로 일부 치아를 정확하게 모델링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고해상도 모드를 선택하여 1회의 촬상으로 3차원 데이터 획득을 위한 정지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 때, 3차원 데이터 획득을 위한 구강 내 구조물의 깊이 정보는 구조광 패턴을 이용한 삼각측량 방식, 특히, 위상 변이(Phase shift) 기술로 코드화된 구조광 패턴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주로 고해상도 모드는 치과 의사 등이 임플란트 시술을 계획하거나, 치아에 씌우는 형태의 보철물을 가공할 때와 같이 치과 환자의 일부 치아를 대상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저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는, 촬상 버튼(도시되지 않음)의 활성화 시 제어부(400)가 촬상부(300)로부터 연속적으로 입력받은 복수개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로, 해상도는 낮고 스캔 속도는 상대적으로 고속이다. 즉, 구강 내 구조물의 넓은 면적, 예를 들면, 전악 또한 상·하악과 같이 넓은 면적의 전체 치아 구조를 짧은 시간에 모델링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저해상도 모드를 선택하여 1초 당 여러 장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촬상부(300)의 감지 결과를 수집하여 3차원 데이터 획득을 위한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 때, 3차원 데이터 획득을 위한 구강 내 구조물의 깊이 정보를 얻기 위한 방식이 공초점(Confocal) 방식인 경우 넓은 면적의 구강 내 구조물 스캔을 위한 광학부(500)의 제어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스캔 속도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3차원 데이터 획득을 위한 구강 내 구조물의 깊이 정보는 레이저 또는 프로젝터의 구조광 패턴을 이용한 삼각측량 방식을 사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주로 저해상도 모드는 치과 의사 등이 치아 교정용 브라켓(Bracket) 또는 얼라이너(Aligner)를 제작할 때와 같이 치과 환자의 전체 치아를 대상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모드 선택부(100)로부터 저해상도 모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촬상부(300)의 감지결과의 픽셀 데이터에 있어서 비닝(Bin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저해상도 모드에 있어서 1초 당 여러 장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촬상부(300)의 감지 결과에 대하여 비닝 기법에 따라 인접 픽셀의 출력 값을 합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프레임 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비닝 동작은 제어부(400) 내에서뿐만 아니라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촬상부(300) 내에서 인접한 픽셀의 신호 값을 누적된 전하를 합치는 동작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픽셀의 아날로그 출력값을 합치는 동작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광학부(500)는, 광원부(200)에서 조사된 측정광을 광학적으로 처리하고, 처리된 측정광을 반사판(800)으로 제공하며, 반사판(800)으로부터 입력된 반사광을 광학적으로 처리하고, 처리된 반사광을 촬상부(300)로 제공한다. 여기서, 광학부(500)는, 삼각 측량 방식 또는 스테레오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 있어서, 광원부(200)에서 조사된 측정광을 처리하여 구조광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광원부(200)가 구조광 패턴 형식의 측정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광학부(500)는, 핀홀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핀홀부재는, 공초점(Confocal)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에 의하면, 광학부(500) 내부에 장착된 렌즈(도시되지 않음)에서 집속한 반사광이 핀홀부재에 형성된 핀홀에 결상되는데, 이 때 치과 환자 내 구강 내 구조물이 초점 거리에 맞는 위치를 조금만 벗어나게 되어도 핀홀부재에 형성된 핀홀을 투과한 광의 세기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촬상부(300)는 핀홀부재를 투과한 광의 세기를 감지하여 위치별 치과 환자 내 구강 내 구조물의 높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광학부(500)는, 공초점 방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에 장착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하며, 광학부(500)가 그 내부에 액체렌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 경우, 제어부(400)가 액체렌즈에 인가하는 전압의 세기 또는 인가 시간을 제어하여 액체렌즈의 초점거리, 즉, 굴절률을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광학부(500)가 그 내부에 반사광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 경우, 제어부(400)가 모터(도시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렌즈를 반사광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00)는, 제어부(40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400) 또는 통신부(700)로 출력한다.
한편, 통신부(7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부(70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치과 의사 등에게 표시할 수 있는 기기로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모듈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800)은, 하우징(900) 내부 일단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어, 광원부(200)로부터 발생된 측정광을 구강 내 구조물의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구강 내 구조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촬상부(300) 방향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한편, 하우징(900)은, 치과 의사 등이 파지 가능한 크기의 구조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내부에 장착하는 장축을 갖는 봉 형의 구조를 기본으로 파지의 편의를 위하여 권총형의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때, 하우징(900)에는, 측정광 및 반사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창(910)이 일단에 형성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의 저해상도 모드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의 저해상도 모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400)는, 모드 선택부(100)로부터 저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샘플링 신호를 촬상부(300) 내 스캐닝 회로(310)로 출력한다.
이후에, 스캐닝 회로(310)는,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된 샘플링 신호를 복호화한다. 즉, 스캐닝 회로(310)는, 샘플링 신호를 복호화하여 ‘0’ 또는 ‘1’ 상태의 논리 연산용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에, 스캐닝 회로(310)는, 픽셀 어레이(320)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단자의 신호 경로에 배치된 논리 회로에서 위의 논리 연산용 신호 값과 감지 결과 값을 논리 연산함으로써 픽셀 어레이(320) 내 선택된 픽셀(321)의 값만을 샘플링하여 제어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캐닝 회로(310)는, 픽셀 어레이(320)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단자의 제어부(400)로의 출력경로에 감지 결과 값 및 논리 연산용 신호를 AND 연산하는 논리 연산 회로를 배치하고, ‘1’ 상태의 논리 연산용 신호가 논리 연산 회로의 입력 값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해당하는 픽셀(321)이 샘플링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0’ 상태의 논리 연산용 신호가 논리 연산 회로의 입력 값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해당하는 픽셀의 출력 값이 샘플링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의 저해상도 모드의 일례로 4개의 픽셀당 하나를 샘플링함으로써 해상도를 4분의 1로 줄이는 동작을 들고 있으나, 도 3b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해상도 또는 세로 해상도를 가변적으로 줄이도록 픽셀을 샘플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캐닝 회로(310)에 입력되는 논리 연산용 신호의 자릿수를 증가시키고 스캐닝 회로(310) 내 논리 연산 회로를 추가 장착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3차원 스캐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a는 고해상도 모드 시 샘플링이 수행되는 영역을 나타내고, 도 4b는 저해상도 모드 시 샘플링이 수행되는 영역(도 4b의 격자 내 동그라미 표시 부분)을 나타내며, 치과 환자의 전체 치아를 대상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 저해상도 모드를 이용하여 해상도를 4분의 1로 줄이더라도 측정 영역의 크기는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모드 선택부 200: 광원부
300: 촬상부 310: 스캐닝 회로
320: 픽셀 어레이 400: 제어부
500: 광학부 600: 저장부
700: 통신부 800: 반사판
900: 하우징 910: 투과창

Claims (5)

  1.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의 해상도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선택부;
    측정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측정광이 상기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샘플링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신호는 저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와 고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해상도 모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감지결과의 픽셀 데이터에 있어서 행 방향으로 둘 이상의 픽셀 마다 한 픽셀을 규칙적으로 샘플링하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2.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의 해상도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선택부;
    측정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측정광이 상기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샘플링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신호는 저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와 고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해상도 모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감지결과의 픽셀 데이터에 있어서 열 방향으로 둘 이상의 픽셀 마다 한 픽셀을 규칙적으로 샘플링하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3.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데이터의 해상도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선택부;
    측정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측정광이 상기 구조물에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샘플링하여 상기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신호는 저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와 고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해상도 모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감지결과의 픽셀 데이터에 있어서 비닝을 수행하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 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저해상도 동영상 형식으로 샘플링하고, 상기 고해상도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감지결과를 고해상도 정지영상 형식으로 샘플링하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5. 삭제
KR1020150130241A 2015-09-15 2015-09-15 치과용 3차원 스캐너 Active KR101740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41A KR101740334B1 (ko) 2015-09-15 2015-09-15 치과용 3차원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241A KR101740334B1 (ko) 2015-09-15 2015-09-15 치과용 3차원 스캐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44A KR20170032644A (ko) 2017-03-23
KR101740334B1 true KR101740334B1 (ko) 2017-05-26

Family

ID=5849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241A Active KR101740334B1 (ko) 2015-09-15 2015-09-15 치과용 3차원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01655A (ko) 2023-06-29 2025-01-07 주식회사 디디에스 저해상도 영역과 고해상도 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구강모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532A1 (ko) * 2017-02-16 2018-08-23 주식회사 덴티움 치아 스캐닝 장치
KR101977815B1 (ko) * 2018-01-12 2019-05-13 주식회사 덴티움 치아 스캐닝 장치
KR102147974B1 (ko) * 2018-06-14 2020-08-25 지앨에스 주식회사 치과 의료용 무압축 영상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444195B1 (ko) * 2020-08-24 2022-09-19 주식회사 메디트 3차원 스캐너 디바이스, 동작 방법, 및 그 동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5066A (ja) * 2003-03-24 2006-11-09 ディースリーディー,エル.ピー. 歯科用レーザデジタイザシステム
JP2012245156A (ja) * 2011-05-27 2012-12-13 Brother Industries Ltd 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5066A (ja) * 2003-03-24 2006-11-09 ディースリーディー,エル.ピー. 歯科用レーザデジタイザシステム
JP2012245156A (ja) * 2011-05-27 2012-12-13 Brother Industries Ltd 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01655A (ko) 2023-06-29 2025-01-07 주식회사 디디에스 저해상도 영역과 고해상도 영역을 포함하는 3차원 구강모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44A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85124A1 (en) Intraoral scanner
KR101977181B1 (ko) 치과용 구강스캐너 시스템
KR101740334B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1176770B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및 이를 이용한 스캐닝 방법
KR101457108B1 (ko) 구강 스캐너
US7573583B2 (en) Laser digitizer system for dental applications
KR101792542B1 (ko)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1628730B1 (ko) 치과용 3차원 이미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87629A (ko) 구강 내 측정 장치 및 구강 내 측정 시스템
US9220414B2 (en) Dental camera system
KR101662566B1 (ko) 광학부 교환에 의해 스캔 영역과 정밀도 변경이 가능한 구강스캐너
KR101699250B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EP4014846B1 (en) Tomography convergence-type oral scanner
JP4478318B2 (ja) 歯列画像読取装置
KR20170093445A (ko) 칼라 패턴을 이용한 치과용 3차원 스캐너
JP2004202069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
KR20180128589A (ko) 구강내 촬영용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CN113116584B (zh) 盖、摄像装置、数据生成系统以及数据生成方法
KR20110082759A (ko)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WO2023012792A1 (en) Intraoral scanning
CN211485040U (zh) 一种口内三维扫描仪
JP6949383B2 (ja) 歯科用撮像画像取得装置
Kim et al. Biologically inspired intraoral camera for multifunctional dental imaging
JP2013074929A (ja) 口腔内観察装置、口腔内観察システム
JPWO2016047739A1 (ja) 口腔内3次元形状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