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9520B1 - Muscle pain relief device - Google Patents

Muscle pain relief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520B1
KR101739520B1 KR1020170012787A KR20170012787A KR101739520B1 KR 101739520 B1 KR101739520 B1 KR 101739520B1 KR 1020170012787 A KR1020170012787 A KR 1020170012787A KR 20170012787 A KR20170012787 A KR 20170012787A KR 101739520 B1 KR101739520 B1 KR 10173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band
panel
compression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규
Original Assignee
이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규 filed Critical 이석규
Priority to KR102017001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5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520B1/en
Priority to PCT/KR2017/014646 priority patent/WO2018139757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2011/005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with belt or strap expanding and contracting around an encircled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69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부위를 압박하여 근육통증을 완화 및 예방할 수 있는 근육통증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이 오목하게 휘어진 압박패널에 체결스트랩이 연결되어 상기 체결스트랩을 고정시키면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압박패널의 내측에는 신체와 접하는 압박밴드가 체결되어, 착용하여 움직이면 변화하는 신체의 굴곡을 따라 상기 압박밴드가 굴곡되며 계속해서 압박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근육 운동시에도 지속적으로 일관된 압박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근육통증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cle pain relieving apparatus capable of relieving and preventing muscle pain by pressing a body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cle pain relieving apparatus capable of relieving muscle pain by pressing a body part, And a pressing band in contact with the body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pressing panel so that the pressing band can be flexed along with the bending of the body when it is worn and moved so that the pressing band can continue to be pressed. To a muscle pain relieving device capable of being applied.

Description

근육통증 완화장치{Muscle pain relief device}[0001] Muscle pain relief device [0002]

본 발명은 신체 부위를 압박하여 근육통증을 완화 및 예방할 수 있는 근육통증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근육 운동시에도 지속적으로 일관된 압박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근유통증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cle pain relief apparatus capable of relieving and preventing muscle pain by squeezing a body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cle oil relief apparatus capable of constantly applying a constant pressure even during a muscle exercise.

인체의 엘보우와 관련하여 나타내는 상병은 많이 있으나 흔히 일상에서 볼 수 있는 통증의 원인으로서는 외상과염, 내상과염, 슬개대퇴통증후군, 연골연화 슬개골 등과 같은 다양한 연조직 증후군 등이 있을 수 있다.There are many cases of CP associated with the elbow of the human body. However, there are various soft tissue syndromes such as traumatic inflammation, intrathoracic hypertrophy, patellofemoral syndrome, cartilage softening patella and the like.

그 중에서도, 외상과염은 일반적으로 테니스 엘보우로 알려져 있으며, 복합적인 원인이나 통상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미세한 스트레스 및 장력이 가해지면서 신전건 부착부 및 골-건 접합부에 염증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해당 근육 사용시 또는 휴식시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외상 과염은 팔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팔꿈치의 바깥쪽에 통증을 느끼게 되며 손목을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리거나 손목이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운동이나 동작을 반복하는 사람들에게서 연령과 관계없이 흔히 발생한다. 내상과염은 일반적으로 골퍼 엘보우로 알려져 있으며, 복합적 원인이나 통상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미세한 스트레스 및 장력이 가해지면서 굴전건 주위에 발생한 염증이며 그에 따라 해당 근육 사용시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내상과염은 팔꿈치 안쪽에 통증을 느끼게 되며 골프를 자주하는 사람에게서 잘 나타나며 빨래, 청소 등 집안일을 반복으로 오랜 기간 일하는 주부들에게서도 흔히 발생한다.Among them, trauma is generally known as tennis elbow. As a result of complex stress and tension applied due to multiple causes and usually excessive use, inflammation occurs in the extensor tendon attachment and bone-to-tendon joint, Or pain at rest, trauma is the most common cause of elbow pain, which is caused by pain in the outside of the elbow and can be caused by the age and weight of people who repeat their wrists inward and outward, And the like. Intrathoracic inflammation is generally known as golfer elbow. It is a inflammation that occurs around a tendon due to a combination of causes and usually excessive use of stress and tension. Therefore, it causes pain when using the corresponding muscle. It is painful, and it is common in golfers, and it is common in long-term housewives who repeat housework, such as washing and cleaning.

이러한 외상과염과 내상과염에 따른 통증을 줄이기거나 예방하기 위해서 통증유발점(trigger point)인 건강한 근육 조직, 일 예로 신전건 또는 굴전건과 접하는 건근육접합부를 국부적으로 압박하거나 지지하려는 장치나 기구가 연구되고 있는데,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092772호와 같은 압밥랩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압박패드를 이용하여 팔꿈치의 건근육접합부를 압박하는 등의 많은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In order to reduce or prevent the pain associated with trauma and intrathoracic inflammation, a device or apparatus that locally presses or supports a healthy muscle tissue, for example, a trigger point, such as an extensor tendon or a tendon contact muscle,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92772 discloses an abalone bread. In addition, many devic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such as using a similar compression pad to urge the joints of the elbow to muscle muscl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운동 중 압박패드에 의한 압박력의 변동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수시로 장치를 탈부착함으로써 원하는 압착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user needs to keep the desired pressing force by detaching and attaching the apparatus from time to time owing to the variation of the pressing force by the pressing pad during the exercise.

본 발명은 종래의 압박을 위한 장치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운동 중 압박패드에 의한 압박력의 변동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수시로 장치를 탈부착함으로써 원하는 압박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근육운동 진행시 또는 중단 시에도 지속적으로 일관된 압박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that the user is required to maintain the desired pressing force by detaching and attaching the device from time to time owing to the variation of the pressing force by the pressing pad during the exercise, So that consistent pressure can be applied continuously during or at the end of the exercis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이 오목하게 휘어진 압박패널에 체결스트랩이 연결되어 상기 체결스트랩을 고정시키면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압박패널의 내측에는 신체와 접하는 압박밴드가 체결되어, 착용하여 움직이면 변화하는 신체의 굴곡을 따라 상기 압박밴드가 굴곡되며 계속해서 압박하게 되는 근육통증 완화장치를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amping device comprising: a clamping strap coupled to a compression panel having an inner concave curved surface to fix the clamping strap to a part of the body; And the pressure band is bent along with the bending of the body, which is changed when the body is worn and moved, and the body is continuously pressed.

본 발명에 의하면,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보호대를 탈부착 없이 근육통증 완화장치를 착용하여 지속적으로 압박을 요구하는 신체 부위를 일관된 압박력으로 계속해서 압박하면서 통증완화 및 예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ain relief and preventive effect by constantly pressing the body part requiring constant compression by using the muscle pain relieving device without detaching or attaching the protector during or after the exercis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압박패널(100)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정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a)는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b)는 도 5 (a)의 상태에서 근육을 움직였을 때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shows a side view of a compression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FIG. 5 (b) is a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scles are changed in the state of FIG. 5 (a).
FIG. 6 illustrates a wear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은 압박을 요구하는 신체 일부에 압박패널을 덧대고 압박패널에 연결된 체결스트랩을 신체 일부를 감싸 착용하면 상기 압박패널이 신체의 일부 영역에 고르게 압박하면서 압박하고자 하는 목표 근육을 효과적으로 압박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 부위를 움직이거나 힘을 주어 신체부위의 근육이 이완 또는 수축시켜 본 발명이 압박하고 있는 지점의 신체 형상이 변하게 되더라도 본 발명과 신체와의 접촉되는 면적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압박력을 상실하지 않고 계속하여 일괄된 압박력으로 목표 부위를 압박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when the pushing panel is applied to a part of a body requiring compression and the clamping strap connected to the pushing panel is wrapped around a part of the body, .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ody shape of the point pres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due to the muscles of the body part relax or contract due to the movement or force of the body part while the user wears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can be kept the same, so that the target area can be pressed with the pushing force continuously without losing the pressing force.

이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복원력을 가지는 탄력성 있는 압박패널(100)이 마련된다. 즉, 상기 압박패널(100)을 압박을 필요한 신체 부위에 덧댐으로써 상기 압박패널(100)이 포용할 수 있는 만큼의 일부 영역에 집중하여 압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1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lient pressing panel 100 having restoring force. That is, by covering the pressing panel 100 with a part of the body where the pressing is required, the pressing panel 100 can concentrate on a part of the area that the pressing panel 100 can embrace.

그리고 상기 압박패널(100)을 계속하여 신체 부위에 덧대어 압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박패널(100)의 길이방향에 위치하는 양단부에 체결스트랩(400)이 고정된다. 즉 상기 체결스트랩(400)을 이용하여 신체 부위에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clamping strap 400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compression panel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mpression panel 100 can be continuously pushed onto the body part. That is, the fastening strap 400 can be worn on the body part.

따라서, 사용자는 신체의 일부를 압박하기 위하여 상기 압박패널(100)을 눌러야 하는 불필요한 노력이 줄게 되고 편리하게 차용한 상태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reduce unnecessary effort to press the pressing panel 100 to press a part of the body, and freely move freely in a borrowed stat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압박패널(100)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압박패널(100)은 착용시 신체 부위가 위치되는 내측면이 오목하도록 전체 형상이 라운드 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박패널(100)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신체의 표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균일하게 접하며 고르게 압박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shows a side view of a compression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panel 100 is formed such that the entire shape of the compression panel 100 is rounded so that the inner side where the body part is located is concave when worn. That is, the pressing panel 100 is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surface of the body formed in a round shape, and uniformly contacts the body part to be pressed, and can transmit the pressing force uniformly.

한편, 상기 압박패널(100)은 휨이 가능하여 휘어져 내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박패널(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휘어질 수 있게 되며, 이하 자세히 설명하는 압박밴드(200)가 체결되면 상기 압박밴드(200)에 의해 내측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panel 100 is bent to be bent, and the inner side surface can be formed concave. That is, the compression panel 1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can be bent. When the compression band 200 described below is tightened, the compression band 200 forms a concave inner side surface . ≪ / RTI >

따라서, 상기 압박패널(100)은 상기 압박밴드(200)에 의해 라운드 지는 형상을 유지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sing panel 100 can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restoring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by the pressing band 200 while keeping the shape of the rounded corner.

상기 압박패널(100)은 내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면은 체결되는 상기 압박밴드(200)와 신체 부위를 압박하는 동안에 항시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신체 부위를 압박하고 있는 상기 압박밴드(200)는 일 예로, 상기 체결스트랩(400)이 강하게 조임으로써 상기 압박패널(100)이 완만하게 펼쳐지는 경우이거나 다른 예로, 신체 부위가 움직임으로써 상기 압박패널(100)과 신체 부위 사이에서 크게 휘어지며 요동치는 경우더라도 상기 내측면과 닿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다.The compression panel 100 is formed with an inner side surfac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band 100 while pressing the compression band 200 to be fastened. In other words, the pressing band 200 pressing the body part may be a case where the pressing panel 100 is gently unfolded by tightly tightening the fastening strap 400, or in other words, And is formed to be sufficiently concave that it does not com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even when it is greatly bent and oscillates between the compression panel 100 and the body part.

따라서 상기 압박패널(100)의 형상에 의해 상기 압박밴드(200)는 팽팽한 정도를 유지하여 상기 내측면에 닿지 않아 압박력을 소실하지 않고 상기 압박패널(100)에 체결된 상태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신체부위를 계속하여 압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mpression band 200 maintains the tightness of the compression band 100, so that the compression band 200 can move freely in the state of being fastened to the compression panel 100 without touching the inner side, So that the user can continue to press.

상기 압박밴드(200)는 상기 압박패널(10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구(160)에 끼워져 상기 압박패널(100)의 상면과 하부를 둘러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압박밴드(200)는 상기 압박패널(10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체결구(160)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져 상기 양단부가 결합되면 하나의 원을 만들며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The pressing band 200 is fitted in a pair of fastening holes 160 formed in the pressing panel 10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essing panel 100 can be fastened together. That is, both ends of the pressing band 200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160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pressing panel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the both ends are coupled, one circle is formed and fastened.

따라서, 상기 압박밴드(200)는 상기 압박패널(100)이 라운드 지는 정도를 조절하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도구 또는 수단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압박패널(100)의 복원력에 의해 늘어지지 않고 항시 곧게 펴져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sing band 200 acts as a tool or mean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the degree of rounding of the pressing panel 100, and is always straightened without being stretch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pressing panel 100, State can be maintained.

상기 압박밴드(200)는 상기 압박패널(100)에 체결되면 상기 압박패널(100)의 오목한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압박밴드(200)가 상기 신체부위와 상기 압박밴드(200)와의 사이에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여유있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압박밴드(200)가 상기 압박패널(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둘러 체결되면, 상기 압박밴드(200)가 형성할 수 있는 최대 지름에 의하여 상기 압박패널(100)은 일 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여기서 상기 압박밴드(200)는 상기 압박패널(100)의 복록한 상부면에 접하는 부위와 오목한 내측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부위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pressing band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cave inner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panel 100 when the pressing band 200 is fastened to the pressing panel 100 so that the pressing band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pressing band 200 It is able to move in a relaxed state while maintaining a tight state. That is, when the pressing band 200 is clamped arou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essing panel 100, the pressing panel 100 is moved in one direction And the pressing band 200 is formed with a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anel 100 and a portion which is apart from the concave inner side surface.

따라서 착용시 체결스트랩(400)이 조여지면 상기 압박패널(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압박밴드(200)의 일면이 신체 부위와 접하며 신체 부위를 압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fastening strap 400 is fastened when worn, one side of the compression band 200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panel 1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dy part and can press the body part.

상기 압박밴드(200)는 탄력성이 뛰어난 고강도 나일론 소재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압박밴드(200)는 굴곡지는 신체 부위에 밀착되어 접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신체 부위의 근육이 움직여 굴곡지는 형상이 변하더라도 상기 압박밴드(200)가 계속해서 접할 수 있게 되게 된다.The pressing band (200) is formed of synthetic resin of high strength nylon excellent in elasticity. That is, the pressing band 200 is formed so that the curved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part. Therefore, even if the muscles of the body part move to change the shape of the bending, the pressing band 200 can be continuously contacted.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압박패널(100)의 저면 및 정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압박패널(100)은 상기 압박밴드(200)가 체결되는 중앙부(120)와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앙부(12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스트랩(400)이 연결되는 체결부(1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압박패널(100)은 상기 중앙부(120)와 체결부(140)는 두께, 크기 혹은 재질이 다르게 형성되어 각각 다른 신축성 및 압박력을 가질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FIGS. 3 and 4 show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ompression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anel 100 includes a central portion 120 to which the pressing band 200 is fastened and a fastening portion 140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the fastening strap 400 . That is, in the compression panel 100, the central portion 120 and the coupl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sizes, or materials so that they can have different elasticity and compression force.

따라서 상기 압박패드(30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구획으로 나눠져 각각의 다른 성질을 가지는 부분이 서로 보완 작용을 하며 신체 부위를 효율적으로 압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sing pad 300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ortion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complement each other, so that the body part can be effectively pressed.

상기 압박패널(100)은 상기 체결부(140)보다 상기 중앙부(120)가 더욱 두텁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압박패널(100)이 착용되어 신체 부위를 압박하기 위해 체결스트랩(400)을 조이면 신체 부위를 감싸며 휘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체결스트랩(400)의 장력의 힘을 받는 상기 중앙부(120)는 두께가 두터워진 강도가 보강되어 보다 덜 휘게 되는 것이다. The pressing panel 100 is formed so that the central portion 120 is thicker than the coupling portion 140. That is, when the clamping strap 400 is tightened to press the body part with the compression panel 100 worn, the central part 120, which receives the tensile force of the clamping strap 400, The thicker the strength is reinforced, the less it bends.

일 실시예로, 상기 압박패널(100)은 상기 중앙부(120)를 이루는 전체가 두텁게 형성될 수 있는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장자리만의 일부분만 형성 가능하다. 즉, 상기 중앙부(120)의 가장자리가 상기 압박밴드(200)가 둘러지는 중심지점보다 두텁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박패널(100)의 양측면 가장자리는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하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ing panel 100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central part 120, while only a part of the edge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That is, since the edge of the center portion 120 is formed thicker than the center point of the pressing band 200, both side edges of the pressing panel 100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따라서 상기 압박패널(100)은 신체 부위 방향인 내측으로 덜 오목하게 휘어지면서 상기 압박밴드(200)를 더욱 팽팽해질 수 있게 하며, 팽팽하진 상기 압박밴드(200)가 신체 부위를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게 되는 한편, 가장자리가 중심지점보다 두텁게 형성될 경우, 옷깃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압박밴드(200)와 상기 압박패널(100)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압박밴드(200)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 회전하는 등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mpression panel 100 can be bent more concavely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compression band 200 can be further tightened, and the compression band 200 can compress the body part more stro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a collar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pressing band 200 and the pressing panel 100 and to prevent the pressing band 200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pressing band 200 and the pressing panel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twisting phenomenon such as rotation due to external impact.

상기 압박패널(100)은 상기 압박밴드(2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압박밴드(200)가 체결되면, 상기 압박밴드(200)의 상부에는 상기 압박밴드(200)가 위치하게 되는 중심지점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는 상기 압박밴드(200)가 위치하지 않는 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박패널(100)의 가장자리는 상부면으로 돌출되며 더욱 두텁게 형성될 수 있는데, 결국 상기 압박밴드(200)이 위치하게 되는 중심지점과 가장자리는 단차를 이루게 된다.The pressing panel 10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pressing band 200 and a center point point where the pressing band 2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essing band 200 when the pressing band 200 is fastened And an edge can be formed with a clearance space in which the pressing band 200 is not located. At this time, the edge of the pressing panel 10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and can be formed thicker. As a result, the center point where the pressing band 200 is located and the edge are stepped.

여기서, 상기 압박패널(100)의 단차를 이루는 지점은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지점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가장자리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압박밴드(200)가 상기 압박패널(100)의 중심지점에 위치하게 유도될 수 있게 된다.The pressing band 100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edge to the center point so that the pressing band 20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ressing panel 100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dge, .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압박밴드(200)가 상기 압박패널(100)에서 체결된 위치가 측면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압박밴드(200)는 곧 중심지점으로 유도되어 본래의 자리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band 200 fastened to the pressing panel 100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pressing band 200 can be guided to the center point and can be positioned at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체결스트랩(400)은 신체부위를 두를 수 있을 정도의 일정 폭 및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상기 체결스트랩(400)을 신체 부위와 함께 상기 압박패널(100)을 둘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체결스트랩(400)을 조이면 상기 압박패널(100)이 상기 체결스트랩(400)과 신체 부위의 사이에서 신체 부위를 더욱 강하게 압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fastening strap 4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enough to hold the body part. The user can easily place the fastening strap 400 together with the body part around the compression panel 100 Wearable. That is, when the fastening strap 400 is tightened, the pressing panel 100 can press the body part more strongly between the fastening strap 400 and the body part.

여기서, 상기 체결스트랩(400)은 상기 압박패널(100)의 상부면의 중심지점을 지나도록 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되는데, 가장자리가 두텁게 형성되는 상기 압박패널(100)을 두르게 되면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심지점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상기 체결스트랩(400)이 상기 중심지점으로 유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the fastening strap 400 can be worn so as to extend beyond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panel 100. When the compression panel 100 is formed with a large edge, The locking strap 400 can be guided to the center point by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point.

따라서 상기 체결스트랩(400)이 상기 압박패널(100)로부터 양측면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바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수시로 장치를 탈착시 여야 하는 필요성이 없고, 장치는 항시 동일한 압박력으로 신체 부위를 압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fastening strap 400 can be held in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pressing panel 100 in both side directions,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detach the device from time to time, and the device is always kept at the same pressing force It becomes possible to press.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중앙부(120) 보다 더욱 유연하면서도 탄력성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부(140)는 휘어지는 정도가 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과 다르게 상기 중앙부(120)보다 잘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압박패널(100)이 착용되면 상기 체결부(140)는 라운드지는 형상으로 압박하고자 하는 목표 지점의 신체 부위 주변을 감쌀 수 있게 된다.The coupling part 140 is formed to be more flexible and resilient than the central part 120. That is, the coupling part 140 is formed to be bent more than the central part 120, unlike the coupling part 140, which is formed to be less bent. 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panel 100 is worn, the fastening part 140 can wrap around the body part of the target point to be pressed in a round shape.

일 예로,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중앙부(120)의 양단부로부터 연이어지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중앙부(120) 전체 또는 두텁게 형성되는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거나, 상기 중앙부(120)를 이루는 두께와 동일하거나 혹은 더욱 두텁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중앙부(120)의 재질보다 더욱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중앙부(12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신축성 있게 움직이면서 휘어짐에 대한 복원력을 상기 압박패널(100)의 전체에 전달하게 되면서 특히, 상기 압박밴드(200)에 전달하여 압박력을 효율적으로 신체 부위에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14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art 120, but may be formed thinner than the entire edge of the central part 120 or thickly formed, The central portion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elasticity than the material of the central portion 120. [ That is, the fastening part 14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enter part 120 and moves in a stretching manner to transmit the restoring force against the bending to the whole of the pressing panel 100,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ransmit the pressing force to the body part.

상기 체결구(160)는 상기 중앙부(120)와 체결부(140)의 경계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120) 및 체결부(140)의 각각 다른 탄력성에 의한 복원력이 상기 압박밴드(200)에 전달되어 신체 부위를 일관되게 압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체결구(160)에 끼워진 상기 압박밴드(200)는 상기 중앙부(120)에 의해 팽팽함을 유지하여 압박력을 상승시켜 지속적으로 신체 부위에 밀착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40)의 유연한 탄력성이 복원력으로 작용하여 상기 체결부(140)를 통해 상기 압박밴드(200)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압박밴드(200)의 재질과 함께 신체 부위의 변형되는 형상에 따라 함께 유연하게 뒤틀리며 굴곡진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fastener 160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center part 120 and the fastening part 140 so that the restoring force of the center part 120 and the fastening part 140, So that the body part can be consistently pressed. That is, the pushing band 200 fitted to the fastening member 160 can be kept tight by the central portion 120 to increase the urging force to keep the pushing band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part. A flexible elasticity acts as a restoring force and is transmitted to the pressing band 200 through the coupling part 140 so that it is flexibly twisted together with the material of the pressing band 200 according to the deformed shape of the body part, . ≪ / RTI >

상기 압박밴드(200)는 신체 부위에 착용하면, 신체 부위가 접촉하며 상기 체결스트랩(400)의 장력에 의해 신체부위의 압박할 수 있게 되는데, 신체 부위 중 압박하고자 하는 목표 부위에 접하게 되는 내측면에 고탄력 실리콘 소재의 압박패드(300)가 덧대어져 형성된다. 즉, 상기 압박패드(300)가 상기 목표 부위를 국부적으로 더욱 압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을 장시간 착용하고 있더라도 상기 압박패드(300)가 신체 부위와 접하면서 사용자가 느끼는 이질감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고, 땀을 흘리더라도 땀에 의해 미끌려 착용된 상태가 비틀지지 않고 보관 시 땀 또는 먼지 청소를 편리하게 하여 위생 및 내구력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compression band 200 is worn on the body part, the body part is contacted and the body part can be pressed by the tension of the fastening strap 400. In the body part, A pressing pad 300 of a high-elasticity silicon material is padded. That is, the pressing pad 300 can locally press the target portion more. Therefore, even if the user wears the present inven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essure pad 300 can alleviate the sense of feeling that the user feels while touching the body part, and even if sweating,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sweat or the dust, and the hygiene and durability can be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압박패널(100)가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신체가 움직이면 변화하는 신체의 굴곡에 따라 함께 형상이 변하는 상기 압박밴드(200)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body, and shows the shape of the compression band 200, which changes in shape together with the body's bending which changes when the body moves.

상기 압박밴드(200)는 근육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등 신체 부위가 움직일 때 자유롭게 변화하는 형상에 맞춰 함께 형상이 변화하게 된다. 즉, 상기 압박밴드(2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신체 부위의 울퉁불퉁한 굴곡의 맞춰 밀착하여 접하게 되는데,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밀착한 상태에서 신체 부위의 굴곡이 변화하면 신체 부위와의 어느 한 곳도 들뜨지 않고 지속적으로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compression band 200 changes its shape in accordance with a shape that freely changes when the body part moves, such as a muscle expanding or contracting. 5 (a), the pressing band 2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ugged bends of the body par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b) If the flexion of the body part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f close contact without lifting any one part with the body part.

따라서,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신체 부위의 굴곡진 형상이 변화하더라도 상기 압박밴드(200)가 계속해서 압박하고자 하는 목표 부위에 고르게 압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shape of the bending of the body part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pressing band 200 can apply the pressing force evenly to the target area to be pressed continuously.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는 신체 부위 중 압박하고자 하는 목표 부위를 정하여 그 부위를 둘러 착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팔의 일부 근육(A)을 압박하기 위하여, 목표하는 근육(A)이 위치한 팔에 상기 압박패드(300)가 덧대어지도록 올려놓고 상기 압박패널(100)에 연결된 상기 체결스트랩(400)을 이용해 팔을 둘러 고정시키면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체결스트랩(400)을 상기 압박밴드(200)가 일자로 팽팽한 상태에서 팔을 감싸며 휘어질 정도로 당겨 꼭 끼도록 고정시켜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FIG. 6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user wears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sets a target region to be squeezed out of a body region and wraps around the region. That is, the user places the pressing pad 300 on the arm where the target muscle (muscle) A is positioned so as to press the muscle (A) of the arm and attaches the fastening strap 400) is used to fix the arm around it. That is, the user wears the tightening strap 400 by tightly tightening the tightening strap 400 so that the tightening strap 200 is wrapped around the arm while being tightly tightened.

따라서 휘어지는 상기 압박밴드(200)와 함께 휘어지는 상기 압박패널(100)의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압박패드(300)와 접하고 있는 신체 부위 전반을 일관되면서도 고르게 압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restoring force of the pressing panel 100, which is bent along with the pressing band 200 which is bent, is applied, so that the whole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ad 300 can be uniformly and uniformly pressed.

A : 근육
100 : 압박패널 120 : 중앙부
140 : 체결부 160 : 체결구
200 : 압박밴드 300 : 압박패드
400 : 체결스트랩
A: Muscle
100: compression panel 120: central portion
140: fastening part 160: fastening part
200: compression band 300: compression pad
400: Fastening strap

Claims (5)

내측이 오목하게 휘어진 압박패널(100)에 체결스트랩(400)이 연결되어 상기 체결스트랩(400)을 고정시키면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압박패널(100)의 내측에는 신체와 접하는 신축성 압박밴드(200)가 체결되어,
착용하여 움직이면 변화하는 신체의 굴곡을 따라 상기 압박밴드(200)가 굴곡되며 계속해서 압박하게 되는 근육통증 완화장치.
When the fastening strap 40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panel 100 whose inside is concavely curved to fix the fastening strap 400, it can be worn on a part of the body,
An elastic compression band 2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dy,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panel 100,
And the pushing band (200) is bent along with the bending of the body which is changed when worn and moved, so that the pushing band (200) is continuously press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패널(100)은 상기 압박밴드(200)가 위치하는 중앙부(120)와 상기 중앙부(120)의 양단부에 연장되어 상기 체결스트랩(400)이 연결되는 체결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120)는 양측면 가장자리가 중심지점보다 두텁게 형성되어
휘어지는 정도를 보강하게 되는 근육통증 완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anel 100 includes a central portion 120 where the pressing band 200 is located and a fastening portion 140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120 to connect the fastening strap 400,
The center portion 120 has both side edges formed thicker than the center point
The muscle pain relieving device reinforces the degree of bend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중앙부(120)의 가장자리보다 얇게 형성되어
휘어져 신체 부위를 감싸면서 복원력이 상기 압박밴드(200)에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근육통증 완화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part 140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edge of the center part 120
So that restoring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pression band (200) while wrapping around the body par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밴드(200)는 상기 중앙부(120)와 체결부(140)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구(160)를 관통하여 상기 압박패널(100)의 상부와 하부를 둘러 체결되어
상부의 중심지점을 지나며 하부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근육통증 완화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ing band 200 penetrates through a pair of fastening holes 160 formed between the central part 120 and the fastening part 140 and is fastened arou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ressing panel 100
Wherein the mediastinum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밴드(200)는 신체와 접촉하는 내측면에 압박패드(300)가 덧대어져
상기 압박패드(300)가 신체에 접촉되도록 착용하면, 상기 압박패드(300)가 상기 압박밴드(200)와 함께 굴곡되며 국부적으로 근육을 압박할 수 있게 되는 근육통증 완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band (200) has a pressing pad (300) padded on the inner side in contact with the body
When the pressure pad 300 is wor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dy, the pressure pad 300 is bent together with the pressure band 200 and is able to press the muscles locally.
KR1020170012787A 2017-01-26 2017-01-26 Muscle pain relief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17395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87A KR101739520B1 (en) 2017-01-26 2017-01-26 Muscle pain relief device
PCT/KR2017/014646 WO2018139757A1 (en) 2017-01-26 2017-12-13 Device for relieving muscular p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87A KR101739520B1 (en) 2017-01-26 2017-01-26 Muscle pain relief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520B1 true KR101739520B1 (en) 2017-05-24

Family

ID=5905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7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39520B1 (en) 2017-01-26 2017-01-26 Muscle pain relief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9520B1 (en)
WO (1) WO2018139757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757A1 (en) * 2017-01-26 2018-08-02 이석규 Device for relieving muscular pain
KR20190000463A (en) * 2017-06-23 2019-01-03 이승훈 Wrist band for relieving pain
KR20210146706A (en) * 2020-05-27 2021-12-06 이석규 Muscle pain relief device
KR20220040246A (en) * 2020-09-23 2022-03-30 이석규 Band fastening structure with improved fastening convenie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995A (en) 2001-08-30 2003-03-04 Kenichi Kanbe Orthosis for hand joint
JP2003230651A (en) 2002-02-12 2003-08-19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Supporter for arm and knee
JP2004073732A (en) 2002-08-22 2004-03-11 Kyoto Seni Kogyo:Kk Arm supporter
KR200393008Y1 (en) 2005-05-20 2005-08-17 이상숙 Acupressure instrument
US20140128788A1 (en) 2011-03-31 2014-05-08 Wesley Marshall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520B1 (en) * 2017-01-26 2017-05-24 이석규 Muscle pain relief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995A (en) 2001-08-30 2003-03-04 Kenichi Kanbe Orthosis for hand joint
JP2003230651A (en) 2002-02-12 2003-08-19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Supporter for arm and knee
JP2004073732A (en) 2002-08-22 2004-03-11 Kyoto Seni Kogyo:Kk Arm supporter
KR200393008Y1 (en) 2005-05-20 2005-08-17 이상숙 Acupressure instrument
US20140128788A1 (en) 2011-03-31 2014-05-08 Wesley Marshall Suppor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757A1 (en) * 2017-01-26 2018-08-02 이석규 Device for relieving muscular pain
KR20190000463A (en) * 2017-06-23 2019-01-03 이승훈 Wrist band for relieving pain
KR101997789B1 (en) * 2017-06-23 2019-07-08 이승훈 Wrist band for relieving pain
KR20210146706A (en) * 2020-05-27 2021-12-06 이석규 Muscle pain relief device
KR102496230B1 (en) 2020-05-27 2023-02-03 이석규 Muscle pain relief device
KR20220040246A (en) * 2020-09-23 2022-03-30 이석규 Band fastening structure with improved fastening convenience
KR102456375B1 (en) * 2020-09-23 2022-10-18 이석규 Band fastening structure with improved fastening conven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9757A1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520B1 (en) Muscle pain relief device
US5916187A (en) Dynamic support to correct/prevent carpal tunnel syndrome
US5468220A (en) Carpal tunnel bracelet
US9498368B2 (en) Device for gripping the forearm of a user suffering from muscular problems in the elbow
KR101892573B1 (en) Wrist guard
US11044957B2 (en) Wrist guard
KR101853070B1 (en) Wrist protecting band having thumb guard
KR101997789B1 (en) Wrist band for relieving pain
KR102496230B1 (en) Muscle pain relief device
US20210045908A1 (en) Exercise and Stretching Device
KR102090373B1 (en) wire tennis elbow proofreading band
KR101694813B1 (en) Elbow protector
KR101707195B1 (en) Elbow prevention and symptom relief
US10322022B2 (en) Plantar fasciitis treatment method and device
MXPA05007972A (en) Co-dynamic adjustable orthotic appliance for carpal tunnel syndrome.
KR102085862B1 (en) Brace for lateral epicondylitis
KR20180023532A (en) Knee brace having double cuff structure
KR20170056297A (en) Elbow protector to prevent hypersensitivity
US20050131322A1 (en) Vibration dampening device and method
KR20240126966A (en) compression band
KR102456375B1 (en) Band fastening structure with improved fastening convenience
US1144103A (en) Surgical device.
KR200361975Y1 (en) Arm Guard for Arm Pain Treatment
JPH06335488A (en) Outfit for elbow-ache caused by tennis playing
TWI706734B (en) Protectiv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