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8696B1 -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696B1
KR101738696B1 KR1020110138819A KR20110138819A KR101738696B1 KR 101738696 B1 KR101738696 B1 KR 101738696B1 KR 1020110138819 A KR1020110138819 A KR 1020110138819A KR 20110138819 A KR20110138819 A KR 20110138819A KR 101738696 B1 KR101738696 B1 KR 101738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grill
air
port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184A (ko
Inventor
다쯔히로 무라까미
쯔요시 가께가와
에이지 가네시마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5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6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더울 때 등에 있어서의 작업 시에,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대한 쾌적한 공조를 실현시킬 수 있는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압 셔블의 운전실(4) 내에 배치시킨 공조 장치(13)와, 이 공조 장치(13)에서 생성시킨 바람, 예를 들어 냉풍을 유도하는 덕트(28)와,이 덕트(28)에 접속되어,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에 대해, 덕트(28)에 의해 유도된 냉풍을 분출하는 분출구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가,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상반신(10b)을 향하여, 덕트(28)에 의해 유도된 냉풍을 분출하는 상반신용 분출구(31)와,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무릎 아래 부분(10c)을 향하여, 덕트(28)에 의해 유도된 냉풍을 분출하는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 {DUCT DISPOSITION STRUCTURE OF WORKING MACHINERY}
본 발명은 유압 셔블 등의 작업 기계에 구비되고,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대해, 공조 장치에서 생성한 바람을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덕트 배치 구조의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것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운전실 내에 배치된 공조 장치와, 이 공조 장치에서 생성시킨 바람을 유도하는 덕트와, 이 덕트에 접속되어,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대해 바람을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고 있다. 이 분출구는 운전 시트의 후방부 상방을 향하여 바람을 분출하는 분출구와, 전방면 글래스를 향하여 바람을 분출하는 분출구와,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안면 혹은 상반신을 향하여 바람을 분출하는 분출구와, 운전 시트의 바닥을 따라, 혹은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발밑 부근으로 바람을 분출하는 분출구로 이루어져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175156호 공보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공조 장치에서 생성시킨 냉풍을 덕트에 의해 유도하고, 그 냉풍을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하여 분출시키는 경우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무릎 아래의 다리부에 대해서는 냉풍이 공급되지 않아, 더위에 있어서의 작업 시 등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불쾌감을 주기 쉬웠다. 이에 수반하여, 당해 작업 기계에 구비되는 작업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작업의 능률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더울 때 등에 있어서의 작업 시에,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대한 쾌적한 공조를 실현시킬 수 있는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 장치와, 이 작업 장치가 설치되는 차체와, 이 차체 상에 설치되는 운전실과, 이 운전실 내에 배치되는 운전 시트를 갖는 작업 기계에 구비되고, 상기 운전실 내에 배치된 공조 장치와, 이 공조 장치에서 생성된 바람을 유도하는 덕트와, 이 덕트에 접속되어, 상기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대해, 상기 덕트에 의해 유도된 바람을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가, 상기 운전 시트에 앉은 상기 오퍼레이터의 상반신을 향하여, 상기 덕트에 의해 유도된 바람을 분출하는 상반신용 분출구와, 상기 운전 시트에 앉은 상기 오퍼레이터의 무릎 아래 부분을 향하여, 상기 덕트에 의해 유도된 바람을 분출하는 무릎 아래용 분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공조 장치에서 생성한 바람, 예를 들어 냉풍을 덕트에 의해 유도하고, 이와 같이 유도된 냉풍을 상반신용 분출구와 무릎 아래용 분출구의 양쪽으로부터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하여 분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는, 상반신과 함께 무릎 아래 부분에도 냉풍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더울 때 등에 있어서의 작업 시에,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대한 쾌적한 공조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용 분출구 및 상기 무릎 아래용 분출구를, 상기 운전 시트에 앉은 상기 오퍼레이터의 작업 중에 상정되는 시야 한계로부터 벗어난 위치이며, 상기 운전 시트의 우측 전방의 상기 운전실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 부근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당해 작업 기계의 작업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작업 중에, 상반신용 분출구와 무릎 아래용 분출구가,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시야에 들어가지 않아, 이에 의해 원활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가, 상기 운전 시트에 앉은 상기 오퍼레이터의 안면을 향하여, 상기 덕트에 유도된 바람을 분출하는 안면용 분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용 분출구가 형성된 우측 전방 커버와, 이 우측 전방 커버에 연속 설치되어, 상기 상반신용 분출구와 상기 무릎 아래용 분출구를 형성시키는 보조 커버를 구비하고, 이들 우측 전방 커버와 보조 커버를 상기 운전실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 부근에 배치하고, 상기 보조 커버를 상기 시야 한계에 가까운 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우측 전방 커버를 상기 시야 한계로부터 먼 측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안면에도 덕트에 의해 유도된 바람, 예를 들어 냉풍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전신에 대해 덕트에 의해 유도된 냉풍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안면용 분출구가 형성된 우측 전방 커버와, 상반신용 분출구 및 무릎 아래용 분출구가 형성된 보조 커버를 연속 설치시켜 운전실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 부근에 배치한 점에서, 운전 시트의 우측 전방 부분으로, 공조 장치에서 생성한 냉풍을 유도하는 덕트가 노출되지 않아, 우수한 미관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 내에, 상기 상반신용 분출구가 형성되는 제1 그릴과, 이 제1 그릴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무릎 아래용 분출구가 형성되는 제2 그릴과, 이들 제1 그릴과 제2 그릴로, 상기 덕트에 의해 유도된 바람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우측 전방 커버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원통부를 수납시키고, 상기 제1 그릴과 상기 제2 그릴과 상기 원통부를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반신용 분출구가 형성되는 제1 그릴과, 무릎 아래용 분출구가 형성되는 제2 그릴과, 우측 전방 커버의 구멍에 삽입되는 원통부를 일체로 설치한 점에서, 운전실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 부근에 상반신용 분출구와 무릎 아래용 분출구를 배치할 때의 내장 작업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에서 생성되어, 덕트에 의해 유도된 냉풍을,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를 향하여 분출하는 분출구가,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상반신을 향하여 냉풍을 분출하는 상반신용 분출구와,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무릎 아래를 향하여 냉풍을 분출하는 무릎 아래용 분출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상반신과 함께, 종래 공급되어 있지 않았던 무릎 아래 부분에도 냉풍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당해 작업 기계에 구비된 작업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더울 때 등에 있어서의 작업 시에,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대한 쾌적한 공조를 실현시킬 수 있어, 더울 때 등에 있어서의 작업의 능률을 종래보다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덕트 배치 구조의 일 실시 형태가 구비되는 작업 기계의 일례로서 든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유압 셔블에 구비되는 운전실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유압 셔블에 구비되는 운전실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덕트 배치 구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덕트 배치 구조의 일 실시 형태가 구비되는 작업 기계의 일례로서 든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셔블은 주행체(1)와, 이 주행체(1) 상에 배치되는 선회체(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주행체(1)와 선회체(2)에 의해 당해 유압 셔블의 차체가 구성되어 있다. 선회체(2)에는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작업 장치(3)는 선회체(2)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3a)과, 이 붐(3a)의 선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암(3b)과, 이 아암(3b)의 선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킷(3c)을 포함하고 있다. 선회체(2)의 전방측 위치에는 운전실(4)이 배치되어 있고, 후방측 위치에는 중량 밸런스를 확보하는 카운터 웨이트(5)가 배치되어 있다. 선회체(2) 상의 운전실(4)과 카운터 웨이트(5) 사이에는, 엔진 및 유압 펌프 등이 수용되는 엔진실(6)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유압 셔블에 구비되는 운전실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2는 측면도, 도 3은 평면도이다.
운전실(4) 내에는, 오퍼레이터(10)가 앉는 운전 시트(11)가 배치되어 있고, 운전 시트(11)의 양 옆에는, 작업 장치(3)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17, 18)를 보유 지지하는 콘솔(19, 2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시트(11)의 전방의 바닥 상에는, 주행체(1)를 주행시키는 주행 페달(21, 22) 및 풋레스트(23, 24)가 배치되어 있다.
운전 시트(11)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운전실(4) 내에는, 리어 커버(12)가 배치되고, 이 리어 커버(12) 내의 하방 위치에는 공조 장치(13)가 수납되어 있다. 리어 커버(12)의 상면에는, 공조 장치(13)에서 생성한 바람, 예를 들어 냉풍을 운전실(4)의 천장 방향을 향하여 분출하는 분출구(14, 15, 1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장치(13)에 접속되어, 운전실(4)의 바닥의 우측 코너부를 따라 연장 설치되는 덕트(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장치(13)에서 생성되어, 덕트(28)에 의해 유도된 바람, 예를 들어 냉풍을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에 대해 분출하는 분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출구는 도 2의 화살표(26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안면(10a)을 향하여, 덕트(28)에 의해 유도된 냉풍을 분출하는 안면용 분출구(26)를 포함하고 있다. 이 안면용 분출구(26)는, 예를 들어 연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추울 때 등에 있어서 운전실(4)의 전방면 글래스에 서리가 부착된 경우 등에는, 이 안면용 분출구(26)를 운전실(4)의 전방면 글래스를 향하도록 회전시키고, 온풍을 분출함으로써 전방면 글래스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이 안면용 분출구(26)는 디프로스터도 겸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덕트(28)에 접속되는 다른 분출구로서,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상반신(10b)을 향하여, 덕트(28)에 의해 유도된 냉풍을 도 2의 화살표(31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출하는 상반신용 분출구(31)와,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무릎 아래 부분(10c)을 향하여, 덕트(28)에 의해 유도된 냉풍을 도 2의 화살표(32a) 및 도 3의 영역(32b)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출하는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면용 분출구(26)와, 상반신용 분출구(31) 및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는,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작업 중에 상정되는 시야 한계, 즉 아이 포인트(33)로부터 벗어난 위치이며, 운전 시트(11)의 우측 전방의 운전실(4)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34)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면용 분출구(26)와, 각종 작업 관련 정보 등이 표시되는 모니터(27)가 상면에 설치된 우측 전방 커버(25)와, 이 우측 전방 커버(25)에 연속 설치되어, 상반신용 분출구(31)와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를 형성시키는 보조 커버(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우측 전방 커버(25)와 보조 커버(30)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실(4)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34) 부근에 배치하여, 보조 커버(30)를 시야 한계, 즉 아이 포인트(33)에 가까운 측에 위치시키고, 우측 전방 커버(25)를 아이 포인트(33)로부터 먼 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보조 커버(30)의 높이 치수가, 우측 전방 커버(25)의 높이 치수보다도 낮은 치수에 설정되어 있다.
보조 커버(30) 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반신용 분출구(31)가 형성되는 제1 그릴(38)과, 이 제1 그릴(38)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무릎 아래용 분출구(32)가 형성되는 제2 그릴(42)과, 이들 제1 그릴(38)과 제2 그릴(42)로, 상술한 덕트(28)에 의해 유도된 냉풍을 유도하는 동시에, 우측 전방 커버(25)의 아이 포인트(33)측의 측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삽입되는 원통부(43)가 수납되어 있다. 제1 그릴(38)과 제2 그릴(42)과 원통부(43)는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릴(38)은 원통부(43)에 접속되어, 상반신용 분출구(31)를 갖는 제1 그릴 케이스(35)와, 이 제1 그릴 케이스(35)에 보유 지지되어 상반신용 분출구(31)에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를 통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핀(36)과, 이들 제1 핀(36) 중 소정의 핀에 고정되어, 복수의 제1 핀(36)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1개의 제1 손잡이(37)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그릴(42)도 원통부(43)에 접속되어,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를 갖는 제2 그릴 케이스(39)와, 이 제2 그릴 케이스(39)에 보유 지지되어 무릎 아래용 분출구(32)에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계를 통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핀(40)과, 이들 제2 핀(40) 중 소정의 핀에 고정되어, 복수의 제2 핀(40)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1개의 제2 손잡이(41)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그릴(42)의 제2 그릴 케이스(39)는, 예를 들어 제1 그릴(38)의 제1 그릴 케이스(35)의 길이 치수보다도 짧은 치수에, 또한 제1 그릴 케이스(35)의 폭 치수보다도 큰 폭 치수에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그릴(38)과 제2 그릴(42)의 형상을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그릴(38)의 상반신용 분출구(31)로부터 분출되는 풍량과, 제2 그릴(42)의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로부터 분출되는 풍량은 대략 동등의 풍량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는, 공조 장치(13)에서 생성한 바람, 예를 들어 냉풍이 덕트(28)에 의해 유도되고, 우측 전방 커버(25)의 상면의 안면용 분출구(26)로부터 분출된 냉풍이,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안면(10a)에 공급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덕트(28)에 의해 유도되고, 도 4에 도시하는 원통부(43)로부터 제1 그릴(38)로 유도되고, 상반신용 분출구(31)로부터 분출된 냉풍이, 도 2의 화살표(31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상반신(10b)에 공급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덕트(28)에 의해 유도되고, 도 4에 도시하는 원통부(43)로부터 제2 그릴(42)로 유도되고,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로부터 분출된 냉풍이, 도 2의 화살표(32a) 및 도 3의 영역(32b)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무릎 아래 부분(10c)에 공급된다.
따라서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에는, 안면(10a)을 포함하는 상반신(10b) 및 무릎 아래 부분(10c)의 전신에 공조 장치(13)에서 생성한 냉풍이 공급된다. 즉, 본 실시 형태는, 당해 유압 셔블의 작업 장치(3)에 의해 실시되는 더울 때 등에 있어서의 작업 시에,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에 대한 쾌적한 공조를 실현시킬 수 있어, 더울 때 등에 있어서의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안면용 분출구(26)가 형성된 우측 전방 커버(25)와, 상반신 분출구(31) 및 무릎 아래용 분출구(32)가 형성된 보조 커버(30)가, 운전실(4)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34)의 오퍼레이터(10)의 작업 시에 상정되는 시야 한계, 즉 아이 포인트(30)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유압 셔블의 작업 장치(3)에 의해 실시되는 작업 중에, 안면용 분출구(26)와, 상반신용 분출구(31) 및 무릎 아래용 분출구(32)가,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시야에 들어가지 않아, 원활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 능률의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안면용 분출구(26)가 형성되는 우측 전방 커버(25)와, 상반신용 분출구(31) 및 무릎 아래용 분출구(32)가 형성되는 보조 커버(30)가 운전실(4)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34)에 연속 설치되어 배치된 점에서, 운전 시트(11)의 우측 전방 부분으로 공조 장치(13)에서 생성한 냉풍을 유도하는 덕트가 노출되지 않아, 우수한 미관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보조 커버(30) 내에, 상반신용 분출구(31)가 형성되는 제1 그릴(38)과, 무릎 아래용 분출구(32)가 형성되는 제2 그릴(42)과, 이들 제1, 제2 그릴(38, 42)에 접속되는 동시에, 덕트(28)에 접속되는 원통부(43)를 일체로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실(4)의 우측 전방 코너부(34)에, 상반신용 분출구(31)와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를 배치할 때의 내장 작업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가, 제1 그릴(38)의 제1 손잡이(37)를 파지하여 복수의 제1 핀(36)을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또한 제2 그릴(42)의 제2 손잡이(41)를 파지하여 복수의 제2 핀(40)을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가 원하는 대로 분출되는 냉풍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우측 전방 커버(25)에 비해 보조 커버(30)의 높이 치수가 낮게 설정되어 있는 점에서, 운전 시트(11)에 앉은 오퍼레이터(10)의 시야에 미치는 악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유압 셔블인 것을 고려하여 안면용 분출구(26)를 형성한 우측 전방 커버(25)를 구비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유압 셔블과는 다른 작업 기계 등에 있어서, 안면용 분출구(26)를 갖는 우측 전방 커버(25)를 구비하지 않고, 상반신용 분출구(31) 및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를 갖는 보조 커버(30)만을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커버(30) 내에 수용되는 제2 그릴(42)의 제2 그릴 케이스(39)의 길이 치수가 제1 그릴(38)의 제1 그릴 케이스(35)의 길이 치수에 비해 짧게 설정되어 있지만,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로부터 분출시키는 풍량을 크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2 그릴 케이스(39)의 길이 치수를, 예를 들어 제1 그릴 케이스(35)의 길이 치수와 동일한 정도로 길게 설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그릴(38)의 제1 그릴 케이스(35)의 폭 치수가 제2 그릴(42)의 제2 그릴 케이스(39)의 폭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지만, 상반신용 분출구(31)로부터 분출시키는 풍량을 크게 한 경우에는, 제1 그릴 케이스(35)의 폭 치수를, 예를 들어 제2 그릴 케이스(39)의 폭 치수와 동일한 정도로 크게 설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더울 때 등에 있어서의 작업을 고려하여, 공조 장치(13)에서 냉풍을 생성시켜, 안면용 분출구(26), 상반신용 분출구(31) 및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로부터 냉풍을 분출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한냉지에서 작업이 행해지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공조 장치(13)에서 온풍을 생성시켜, 안면용 분출구(26), 상반신용 분출구(31) 및 무릎 아래용 분출구(32)로부터 온풍을 분출시키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1 : 주행체
2 : 선회체
3 : 작업 장치
4 : 운전실
10 : 오퍼레이터
10a : 안면
10b : 상반신
10c : 무릎 아래 부분
11 : 운전 시트
13 : 공조 장치
25 : 우측 전방 커버
26 : 안면용 분출구
28 : 덕트
30 : 보조 커버
31 : 상반신용 분출구
32 : 무릎 아래용 분출구
33 : 아이 포인트(시야 한계)
34 : 우측 전방 코너부
35 : 제1 그릴 케이스
36 : 제1 핀
37 : 제1 손잡이
38 : 제1 그릴
39 : 제2 그릴 케이스
40 : 제2 핀
41 : 제2 손잡이
42 : 제2 그릴
43 : 원통부

Claims (4)

  1. 작업 장치와, 이 작업 장치가 설치되는 차체와, 이 차체 상에 설치되는 운전실과, 이 운전실 내에 배치되는 운전 시트를 갖는 작업 기계에 구비되고,
    상기 운전실 내에 배치된 공조 장치와, 이 공조 장치에서 생성된 바람을 유도하는 덕트와, 이 덕트에 접속되어, 상기 운전 시트에 앉은 오퍼레이터에 대해, 상기 덕트에 의해 유도된 바람을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는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가, 상기 운전 시트에 앉은 상기 오퍼레이터의 상반신을 향하여, 상기 덕트에 의해 유도된 바람을 분출하는 상반신용 분출구와, 상기 운전 시트에 앉은 상기 오퍼레이터의 무릎 아래 부분을 향하여, 상기 덕트에 의해 유도된 바람을 분출하는 무릎 아래용 분출구와, 상기 운전 시트에 앉은 상기 오퍼레이터의 안면을 향하여, 상기 덕트에 유도된 바람을 분출하는 안면용 분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반신용 분출구, 상기 무릎 아래용 분출구가 상기 안면용 분출구보다도 상기 운전 시트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반신용 분출구, 상기 무릎 아래용 분출구 및 상기 안면용 분출구를 상기 운전 시트의 우측 전방의 상기 운전실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 부근에 배치하고,
    상기 상반신용 분출구, 상기 무릎 아래용 분출구가 상기 안면용 분출구보다도 상기 운전 시트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반신용 분출구, 상기 무릎 아래용 분출구 및 상기 안면용 분출구가 설치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운전실 내의 우측 전방 코너부 부근에 배치하고,
    상기 커버 내에, 상기 상반신용 분출구가 형성되는 제1 그릴과, 이 제1 그릴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무릎 아래용 분출구가 형성되는 제2 그릴과, 이들 제1 그릴과 제2 그릴로, 상기 덕트에 의해 유도된 바람을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커버 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원통부를 수납시키고,
    상기 제1 그릴과 상기 제2 그릴과 상기 원통부를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38819A 2011-01-21 2011-12-21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 Active KR101738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1069 2011-01-21
JP2011011069A JP5604318B2 (ja) 2011-01-21 2011-01-21 作業機械のダクト配設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184A KR20120085184A (ko) 2012-07-31
KR101738696B1 true KR101738696B1 (ko) 2017-05-22

Family

ID=4652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819A Active KR101738696B1 (ko) 2011-01-21 2011-12-21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04318B2 (ko)
KR (1) KR101738696B1 (ko)
CN (1) CN1026058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9595A (zh) * 2016-05-25 2016-10-26 太原重型机械集团工程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矿用挖掘机的司机室及矿用挖掘机
CN113978329A (zh) * 2021-11-26 2022-01-28 广东富强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冷却座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5894A (ja) * 2006-03-15 2007-09-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2010076477A (ja) * 2008-09-24 2010-04-08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4058B2 (ja) * 1999-11-24 2005-0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976246B2 (ja) * 2002-05-14 2007-09-1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装置
JP4114589B2 (ja) * 2003-10-22 2008-07-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541989B2 (ja) * 2005-07-29 2010-09-0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EP2180100B1 (en) * 2007-08-13 2012-10-2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5894A (ja) * 2006-03-15 2007-09-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2010076477A (ja) * 2008-09-24 2010-04-08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05826B (zh) 2016-01-06
JP2012154022A (ja) 2012-08-16
CN102605826A (zh) 2012-07-25
JP5604318B2 (ja) 2014-10-08
KR20120085184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9093B1 (en) Construction equipment machine comprising a cabin with advanced ergonomics
JP7301789B2 (ja) 作業車両
US11975590B2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WO2000063501A1 (fr) Cabine pour engins travaux publics
CN101479180A (zh) 用于物料搬运车辆的护顶架
KR20100053481A (ko) 건설 기계
US9273447B2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KR101738696B1 (ko) 작업 기계의 덕트 배치 구조
JP5184475B2 (ja) シート空調装置
JP7337754B2 (ja) 作業車両
JP6641902B2 (ja) 作業機械の空調装置
JP4347730B2 (ja) 建設機械
KR20110135684A (ko) 좌우방향 회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토치봉의 각도 조절기
CN109923265A (zh) 地面铣刨机
JP6361307B2 (ja) トラクタキャビンの空調装置
KR20180109657A (ko) 작업차
JP7238289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08013033A (ja) 建設機械
JP7524812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10195196A (ja) 作業機械の空調装置
KR20130012934A (ko) 건설 기계
JP5306142B2 (ja) 作業機械のキャブ構造
WO2023127260A1 (ja) シート空調装置
JP2003250659A (ja) 運転席および該運転席を備えた作業機
JP2008127891A (ja) 作業機械のキャ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