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7733B1 -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733B1
KR101737733B1 KR1020160067330A KR20160067330A KR101737733B1 KR 101737733 B1 KR101737733 B1 KR 101737733B1 KR 1020160067330 A KR1020160067330 A KR 1020160067330A KR 20160067330 A KR20160067330 A KR 20160067330A KR 101737733 B1 KR101737733 B1 KR 101737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itialization
plate
vehicle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헌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7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ifferent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8Four-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2Four wheel dri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 전달을 위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적층체인 플레이트 적층체에 접촉 및 이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접촉 및 이격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되도록 그 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실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실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 동력 전달을 실시 및 중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 차단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에 예압을 가하는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력실에 사전에 결정된 제1 압력을 가하고, 동력 전달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 측으로 더 이동되어 동력 전달에 필요한 압력을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에 가하도록 상기 압력실에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을 가하고,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에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의 반대측으로 더 이동된 다음 다시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력실에 상기 제1 압력보다 낮은 제3 압력을 가한 후 상기 제1 압력을 가하는 예압 초기화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TORQUE TRANSMITING APPARATUS FOR FOUR WHEEL DRIVE VEHICLE}
본 발명은,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 전달을 위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적층체인 플레이트 적층체에 접촉 및 이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접촉 및 이격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되도록 그 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실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실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 동력 전달을 실시 및 중단할 수 있도록 한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이 변속기, 차동장치 등을 통해 타이어로 전달되어 구동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구동방식에는 전륜 또는 후륜만을 구동시키는 이륜 구동 방식 및 전후륜 모두를 구동시키는 사륜 구동 방식으로 구분된다.
사륜 구동 방식은 이륜 구동보다 주행 안정성이 높고, 산악 등과 같은 험로 주행에 더욱 적합한 방식으로서, 상시 사륜 구동 방식과 이륜/사륜 전환 구동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륜/사륜 전환 구동 방식에는 구동력을 전후륜에 분배하기 위한 이륜/사륜 전환 장치가 필요하다.
이륜/사륜 전환장치는 운전석에서 조절 가능한 전환레버에 의해 트랜스퍼 케이스 내에 설치된 커플링 장치가 작동되면서 이륜 구동 또는 사륜 구동으로 전환된다.
한편, 자동차에는 좌/우 구동륜의 회전속도를 차동시키고, 구동토크를 좌/우 구동륜에 분배하기 위한 차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차동장치 역시 커플링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이륜/사륜 전환장치나 상기 차동장치와 같이 커플링 장치를 포함하며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라 한다.
이러한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방법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방법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표이다.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제1 축(미도시)에 연동되는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 상기 제1 플레이트(112) 사이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축(미도시)에 연동되는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상기 제1 플레이트(112) 사이 간격을 줄여 상기 제2 플레이트(114)를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접촉시키는 접촉수단(120);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12) 사이 간격을 넓혀 상기 제2 플레이트(114)를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분리시키는 분리수단(130);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수단(120)은, 내부공간을 갖는 실린더(122); 상기 실린더(122)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의 적층체인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접촉 및 이격되는 피스톤(124);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 측으로 이동되도록 그 피스톤(124)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실(126); 및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가 구비되는 플레이트 수용공간과 상기 압력실(126)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실린더(122)와 상기 피스톤(124)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128);를 포함한다.
그리고, 종래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피스톤(124)을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사이 동력 전달을 실시 및 중단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4)를 통해 전달되어야 하는 요구 토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실(126)에 가해져야 하는 필요 압력(P)을 계산하는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가 완료된 후,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상기 필요 압력(P)으로 조절하는 압력 조절 단계(S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 조절 단계(S4)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로 복귀한다.
이러한 제어방법에 의해, 초기 시동 상태에서는,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이 영(0)이고,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사이 전달 토크는 영(0)이다.
그 다음, 예를 들어 시동 직후와 같이 기존에 동력 전달을 하지 않았던 이후의 동력 차단 상태에서는, 상기 압력실(126)에 사전에 결정된 제1 압력(P1)이 가해지고,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예압을 가하는 초기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사이 전달 토크는 영(0)보다 다소 크되 영(0)과 거의 동등 수준이 된다.
그 다음, 동력 전달 상태에서는, 상기 압력실(126)에 상기 제1 압력(P1)보다 높은 제2 압력(P2)을 가해지고,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 측으로 더 이동되어 동력 전달에 필요한 압력을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가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사이 전달 토크는 영(0)보다 상당히 큰 값이 된다.
그 다음,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에는, 상기 압력실(126)에 상기 제1 압력(P1)이 가해지고, 상기 피스톤(124)이 의도한 바에 의하면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예압을 가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사이 전달 토크가 의도한 바에 의하면 영(0)과 동등한 수준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소위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128)는 상기 피스톤(124)과 함께 왕복 운동되는데, 상기 실린더(122)와의 마찰로 인하여 왕복 운동 시 비틀림이 발생되고, 이러한 실링부재(128)의 비틀림은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에 상기 피스톤(124)의 상기 초기 위치로의 복귀를 방해한다. 이에 의하여,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사이에 잔류 토크가 존재하게 된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사이에 전달 토크가 사전에 결정된 수준(영(0)과 동등한 수준)보다 상당히 큰 값이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TCB(Tight Corner Braking) 현상이 발생되고, 차량의 소음 및 진동이 악화되며, 차량의 연비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4-0060874호
따라서,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동력 전달을 위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적층체인 플레이트 적층체에 접촉 및 이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접촉 및 이격시키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되도록 그 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실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실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 동력 전달을 실시 및 중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동력 차단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에 예압을 가하는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력실에 사전에 결정된 제1 압력을 가하고, 동력 전달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 측으로 더 이동되어 동력 전달에 필요한 압력을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에 가하도록, 상기 압력실에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을 가하고,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에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의 반대측으로 더 이동된 다음 다시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력실에 상기 제1 압력보다 낮은 제3 압력을 가한 후 상기 제1 압력을 가하는 예압 초기화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축에 연동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2 축에 연동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서로 접촉 및 이격되고, 상기 압력실은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가 구비되는 플레이트 수용공간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는 상기 압력실과 상기 플레이트 수용공간을 서로 밀폐시키는 실링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피스톤이 왕복 운동될 때 비틀림에 발생되고, 상기 예압 초기화가 완료된 후 실링부재 형상은 상기 동력 차단 상태에서의 실링부재 형상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어야 하는 요구 토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실에 가해져야 하는 필요 압력을 계산하는 필요 압력 계산 단계;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예압 초기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불필요하다 판단 시, 상기 압력실의 압력을 상기 필요 압력으로 조절하는 제1 압력 조절 단계; 및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필요하다 판단 시 상기 예압 초기화를 실시하는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조절 단계가 완료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가 완료된 경우,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요구 토크 판단 단계;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 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인지 판단하는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 시, 차량이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정차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단 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미실시로 저장하는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요구 토크 판단 단계;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 시, 차량이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정차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 아니라고 판단 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인지 판단하는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라고 판단 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미실시로 저장하는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요구 토크 판단 단계;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 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인지 판단하는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라고 판단 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미실시로 저장하는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요구 토크 판단 단계;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 시, 차량이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정차 여부 판단 단계;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단 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미실시로 저장하는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존에 미실시 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로 진행되고, 상기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 압력 조절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는, 상기 필요 압력을 상기 제3 압력으로 변경하는 예압 초기화 압력 설정 단계; 상기 예압 초기화 압력 설정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압력실의 압력을 변경된 상기 필요 압력으로 조절하는 제2 압력 조절 단계; 상기 압력실의 압력을 계측하고, 계측된 압력이 상기 제3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상기 제3 압력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실시로 저장하는 제2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상기 제3 압력보다 큰 경우,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상기 제3 압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압력 조절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은, 동력 차단 상태에서 피스톤이 플레이트 적층체에 예압을 가하는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압력실에 사전에 결정된 제1 압력을 가하고, 동력 전달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 측으로 더 이동되어 동력 전달에 필요한 압력을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에 가하도록 상기 압력실에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을 가하며,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에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의 반대측으로 더 이동된 다음 다시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력실에 상기 제1 압력보다 낮은 제3 압력을 가한 후 상기 제1 압력을 가하는 예압 초기화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과 그 피스톤이 수용되는 실린더 사이에 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함께 왕복 운동될 때 상기 실린더와의 마찰로 인하여 비틀림이 발생되는데, 상기 예압 초기화가 완료된 후 실링부재 형상이 상기 동력 차단 상태에서의 실링부재 형상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플레이트와 복수의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전달 토크가 사전에 결정된 수준(영(0)과 동등한 수준)으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TCB(Tight Corner Braking)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소음 및 진동이 악화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연비가 악화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도 1의 제어방법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제어방법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의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표,
도 5는 도 3의 제어방법에서 예압 초기화 압력을 설정하는 기준을 도시한 도표,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방법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의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표이며, 도 5는 도 3의 제어방법에서 예압 초기화 압력을 설정하는 기준을 도시한 도표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제1 축(미도시)에 연동되는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 상기 제1 플레이트(112) 사이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축(미도시)에 연동되는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상기 제1 플레이트(112) 사이 간격을 줄여 상기 제2 플레이트(114)를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접촉시키는 접촉수단(120);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12) 사이 간격을 넓혀 상기 제2 플레이트(114)를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분리시키는 분리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수단(120)은, 내부공간을 갖는 실린더(122); 상기 실린더(122)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의 적층체인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접촉 및 이격되는 피스톤(124); 상기 피스톤(124)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 측으로 이동되도록 그 피스톤(124)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실(126); 및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가 구비되는 플레이트 수용공간과 상기 압력실(126)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실린더(122)와 상기 피스톤(124)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12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피스톤(124)을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사이 동력 전달을 실시 및 중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동력 차단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예압을 가하는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력실(126)에 사전에 결정된 제1 압력(P1)을 가하고, 동력 전달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 측으로 더 이동되어 동력 전달에 필요한 압력을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가하도록 상기 압력실(126)에 상기 제1 압력(P1)보다 높은 제2 압력(P2)을 가하고,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에는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의 반대측으로 더 이동(바람직하게는 피스톤(124)이 플레이트 적층체(110)로부터 이격)된 다음 다시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력실(126)에 상기 제1 압력(P1)보다 낮은 제3 압력(P3)을 가한 후 상기 제1 압력(P1)을 가하는 예압 초기화를 실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4)를 통해 전달되어야 하는 요구 토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실(126)에 가해져야 하는 필요 압력(P)을 계산하는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가 완료된 후, 상기 예압 초기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불필요하다 판단 시,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상기 필요 압력(P)으로 조절하는 제1 압력 조절 단계(S4); 및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필요하다 판단 시 상기 예압 초기화를 실시하는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압력 조절 단계(S4)가 완료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S3)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는,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예를 들어, 영(0) 또는 영(0)과 동등 수준의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 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인지 판단(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연비 제어 모드 Flag으로 판단하되, '연비 제어 모드 Flag = 1'인 경우 연비 제어 모드 실행 중으로 판단, '연비 제어 모드 Flag = 0'인 경우 연비 제어 모드 미실행 중으로 판단)하는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 시, 차량이 정차 중인지 판단(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차속으로 판단하되, '차속 = O'인 경우 정차 중으로 판단하고, '차속 > 0'인 경우 주행 중으로 판단)하는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단 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예압 초기화 Flag)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는지를 판단(예를 들어, '예압 초기화 Flag = 1'인 경우 예압 초기화가 기존에 실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예압 초기화 Flag = 0'인 경우 예압 초기화가 기존에 미실시된 것으로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 및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다(예압 초기화 Flag = 1)고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미실시(예압 초기화 Flag = 0)로 저장하는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존에 미실시 되었다(예압 초기화 Flag = 0)고 판단 시에는, 상기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S3)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25)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 압력 조절 단계(S4)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S3)는, 상기 필요 압력(P)을 상기 제3 압력(P3)으로 변경하는 예압 초기화 압력 설정 단계(S31); 상기 예압 초기화 압력 설정 단계(S31)가 완료된 후,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변경된 필요 압력(P')(제3 압력(P3))으로 조절하는 제2 압력 조절 단계(S32);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계측하고, 계측된 압력이 변경된 필요 압력(P')(제3 압력(P3))보다 작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S33); 및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S33)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변경된 필요 압력(P')(제3 압력(P3))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실시(예압 초기화 Flag = 1)로 저장하는 제2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34)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로 복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S33)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변경된 필요 압력(P')(제3 압력(P3))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로 복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 상기 예압 초기화를 실시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의 반대측으로 더 이동된 다음 다시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억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완료된 후 실링부재(128) 형상이 상기 동력 차단 상태에서의 실링부재(128) 형상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실링부재(128) 형상이란, 실링부재(128)의 비틀림 방향이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128)가 상기 피스톤(124)의 상기 초기 위치로의 복귀를 더 이상 방해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복수의 제2 플레이트(114) 사이에 전달 토크가 사전에 결정된 수준(영(0)과 동등한 수준)으로 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의 TCB(Tight Corner Braking)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소음 및 진동이 악화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연비가 악화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압 초기화 시 상기 필요 압력(P)을 상기 제3 압력(P3)으로 변경하는데, 상기 제3 압력(P3)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는 응답성능과 잔류 토크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압력(P3)은, 응답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잔류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압력(P3)의 크기에 따른 응답시간 그래프와 잔류 토크 그래프 사이 교차 지점 부근의 압력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25), 상기 제2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34) 및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를 포함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예압 초기화를 계속해서 실행하는 오류 및 예압 초기화가 필요하나 실행되지 않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S33)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변경된 필요 압력(P')(제3 압력(P3))보다 큰 경우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로 복귀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예압 초기화 중 운전 조건이 변경된 경우(즉시 동력 전달이 필요한 상황이 된 경우) 예압 초기화를 중단하고 즉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변형 예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S33)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변경된 필요 압력(P')(제3 압력(P3))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압력 조절 단계(S32)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예압 초기화가 한번 실시되면 예압 초기화 중 운전 조건이 변경된 경우(즉시 동력 전달이 필요한 상황이 된 경우)라도 그 예압 초기화가 계속되어 그 예압 초기화가 완료된 후 동력 전달을 재개함에 따라, 응답성은 다소 저하되나, 연비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는 연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비 제어 모드일 경우 예압 초기화가 필요하다 판단하고, 연비 제어 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예압 초기화가 불필요하다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는 TCB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차 상태일 경우 예압 초기화가 필요하다 판단하고, 정차 상태가 아닐 경우 예압 초기화가 불필요하다 판단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연비 영향 최소화 및 TCB 발생의 더욱 효과적인 방지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가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 및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에 따라,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가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에 선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가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 및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를 모두 포함하되,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가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에 선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가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를 포함하고,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를 미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가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를 미포함하고,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할 수 있다.
110: 플레이트 적층체 112: 제1 플레이트
114: 제2 플레이트 122: 실린더
124: 피스톤 126: 압력실
128: 실링부재
P: 필요 압력 P1: 제1 압력
P2: 제2 압력 P3: 제3 압력
S1: 필요 압력 계산 단계
S2: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
S3: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
S4: 제1 압력 조절 단계
S21: 요구 토크 판단 단계
S22: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
S23: 정차 여부 판단 단계
S24: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
S25: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
S31: 예압 초기화 압력 설정 단계
S32: 제2 압력 조절 단계
S33: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
S34: 제2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

Claims (13)

  1. 동력 전달을 위한 제1 플레이트(112)와 제2 플레이트(114)의 적층체인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접촉 및 이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4)를 접촉 및 이격시키는 피스톤(124) 및 상기 피스톤(124)이 왕복 운동되도록 그 피스톤(124)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실(126)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4) 사이 동력 전달을 실시 및 중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동력 차단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예압을 가하는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력실(126)에 사전에 결정된 제1 압력(P1)을 가하고,
    동력 전달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 측으로 더 이동되어 동력 전달에 필요한 압력을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에 가하도록, 상기 압력실(126)에 상기 제1 압력(P1)보다 높은 제2 압력(P2)을 가하고,
    동력 전달 후 동력 차단 상태로 복귀 시에는, 상기 피스톤(124)이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의 반대측으로 더 이동된 다음 다시 상기 초기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압력실(126)에 상기 제1 압력(P1)보다 낮은 제3 압력(P3)을 가한 후 상기 제1 압력(P1)을 가하는 예압 초기화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112)는 제1 축에 연동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14)는 제2 축에 연동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4)는 실린더(122)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는 상기 피스톤(124)에 의해 서로 접촉 및 이격되고,
    상기 압력실(126)은 상기 피스톤(124)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110)가 구비되는 플레이트 수용공간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124)과 상기 실린더(122) 사이에는 상기 압력실(126)과 상기 플레이트 수용공간을 서로 밀폐시키는 실링부재(128)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128)는 상기 피스톤(124)이 왕복 운동될 때 비틀림이 발생되고,
    상기 예압 초기화가 완료된 후 실링부재(128) 형상은 상기 동력 차단 상태에서의 실링부재(128)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112)와 상기 제2 플레이트(114)를 통해 전달되어야 하는 요구 토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실(126)에 가해져야 하는 필요 압력(P)을 계산하는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가 완료된 후, 상기 예압 초기화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불필요하다 판단 시,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상기 필요 압력(P)으로 조절하는 제1 압력 조절 단계(S4); 및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필요하다 판단 시 상기 예압 초기화를 실시하는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S3);를 포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조절 단계(S4)가 완료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S3)가 완료된 경우,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는,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 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인지 판단하는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 시, 차량이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단 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 및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미실시로 저장하는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25);를 포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는,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 시, 차량이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 아니라고 판단 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인지 판단하는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라고 판단 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 및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미실시로 저장하는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25);를 포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는,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 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인지 판단하는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라고 판단 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 및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연비 제어 모드 활성화 여부 판단 단계(S22)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가 연비 제어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미실시로 저장하는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25);를 포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초기화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는,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 시, 차량이 정차 중인지 판단하는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단 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 및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에서 상기 요구 토크량이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거나, 상기 정차 여부 판단 단계(S23)에서 차량이 정차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 실시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미실시로 저장하는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25);를 포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판단 단계(S24)에서 상기 예압 초기화가 기존에 미실시 되었다고 판단 시, 상기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S3)로 진행되고,
    상기 제1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25)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 압력 조절 단계(S4)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초기화 실시 단계(S3)는,
    상기 필요 압력(P)을 상기 제3 압력(P3)으로 변경하는 예압 초기화 압력 설정 단계(S31);
    상기 예압 초기화 압력 설정 단계(S31)가 완료된 후,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상기 제3 압력(P3)으로 조절하는 제2 압력 조절 단계(S32);
    상기 압력실(126)의 압력을 계측하고, 계측된 압력이 상기 제3 압력(P3)보다 작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S33); 및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S33)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상기 제3 압력(P3)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상기 예압 초기화 기 실시 여부 데이터를 실시로 저장하는 제2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34);를 포함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예압 초기화 기록 단계(S34)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필요 압력 계산 단계(S1)로 복귀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S33)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상기 제3 압력(P3)보다 큰 경우, 상기 요구 토크 판단 단계(S21)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초기화 완료 여부 판단 단계(S33)에서 상기 계측된 압력이 상기 제3 압력(P3)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압력 조절 단계(S32)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67330A 2016-05-31 2016-05-31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Active KR101737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30A KR101737733B1 (ko) 2016-05-31 2016-05-31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330A KR101737733B1 (ko) 2016-05-31 2016-05-31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733B1 true KR101737733B1 (ko) 2017-05-29

Family

ID=5905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330A Active KR101737733B1 (ko) 2016-05-31 2016-05-31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7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88B1 (ko) 2001-05-23 2005-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륜구동 차량용 구동장치
JP2013194770A (ja) 2012-03-16 2013-09-30 Honda Motor Co Ltd クラッチ装置
KR101530429B1 (ko) 2013-08-30 2015-06-19 현대위아 주식회사 Tod 장치용 클러치의 프리로드 제어시스템
KR101588964B1 (ko) 2014-07-31 2016-01-26 현대위아 주식회사 사륜 구동차량용 습식 클러치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88B1 (ko) 2001-05-23 2005-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륜구동 차량용 구동장치
JP2013194770A (ja) 2012-03-16 2013-09-30 Honda Motor Co Ltd クラッチ装置
KR101530429B1 (ko) 2013-08-30 2015-06-19 현대위아 주식회사 Tod 장치용 클러치의 프리로드 제어시스템
KR101588964B1 (ko) 2014-07-31 2016-01-26 현대위아 주식회사 사륜 구동차량용 습식 클러치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868B2 (en) Control method when vehicle tire bursts,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US8944526B2 (en) Vehicle brake system
US8808143B2 (en) Output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5763217B2 (ja) 自動車、自動車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CN102131684B (zh) 用于对静液压驱动机械进行制动的控制系统和方法
US8924116B2 (en) Motio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GB2488411A (en)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drive between groups of vehicle wheels based on predicted and actual wheel spin
US20110210604A1 (en) Braking control apparatus
JP5660224B2 (ja) 車両の制動制御装置
US20100168953A1 (en) Brake/drive force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190001962A1 (en)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gear shift therefor
US9616769B2 (en) Torqu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e motor
US10507835B2 (en) System for controlling cornering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20180065604A1 (en) Vehicle braking force controlling apparatus
US9517758B2 (en) Vehicle braking device
KR101737733B1 (ko) 사륜구동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제어방법
CN108025738A (zh) 车辆用驱动装置
US9415760B2 (en) Clutch calibration for a hybrid electric powertrain
JP3612745B2 (ja) 車両用運動特性制御装置
US20150360657A1 (en) Brake trac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31299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6318795B2 (ja) 車両用旋回走行制御装置、車両用旋回走行制御方法
JP2002114062A (ja) 自動車の姿勢制御装置と無段変速機の総合制御装置
JP3223573B2 (ja) 車両用加速スリップ制御装置
KR20220018293A (ko) 차량의 선회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