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461B1 -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7461B1 KR101737461B1 KR1020150176801A KR20150176801A KR101737461B1 KR 101737461 B1 KR101737461 B1 KR 101737461B1 KR 1020150176801 A KR1020150176801 A KR 1020150176801A KR 20150176801 A KR20150176801 A KR 20150176801A KR 101737461 B1 KR101737461 B1 KR 1017374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voltage
- battery
- solar
-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50 conditi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 G01R31/3679—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2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using renewable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50—Energy storage in industry with an adde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에서 DC전력이 생산되는 낮에만 제어전원을 공급하여 기존에 상시 24시간 구동되는 대기전력 낭비를 없앨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수명 연장에 기여하고,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장치 뿐만 아니라, 태양광 전반에 아우르는 모든 주변장치의 구동 제어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3은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과 배터리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스위칭접점 구동의 타임 그래프이고,
도 5은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S4 단계를 나타낸 상세흐름도이고,
도 7은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발전대기시의 작동흐름도이며,
도 8은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일몰시 작동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210 : 배터리 220 : 전압체크부
230 : 충전 판단부 240 : 제1 스위치부
250 : 제2 스위치부 260 : 입력전원 선택 강압부
Claims (10)
- 출력전압을 가지는 전기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태양광 모듈(100); 및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기 전력을 입력받아 제어구동용 전압으로 강압하여 태양광 전력변환장치(PCS)의 제어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직류변환 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직류변환 모듈(200)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기 전력을 공급받는 배터리(210); 상기 배터리의 내부전압을 체크하는 전압 체크부(220); 상기 배터리의 내부전압을 배터리의 최소 구동전압(X)과 비교하여 배터리 충전여부를 판단하는 충전 판단부(230); 상기 배터리의 내부전압이 배터리의 기준전압(Y)을 초과시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의 전기 전력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치부(240); 상기 제1 스위치부가 구동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스위치부(250);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제어구동용 DC전압으로 강압하는 입력전원 선택 강압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직류변환 모듈(200)은 하나의 입력전원을 입력받아 4개의 전압(+5V,±15V,+24V)로 출력하여 태양광 전력변환장치의 제어구동전원으로 전달하되, +5V 전원을 피드백하여 DC전력을 입력으로 하는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여 DC전력을 입력으로 하여 안정적인 출력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변환 모듈(200)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기 전력을 공급받는 배터리(210); 및
상기 태양광 모듈의 전기 전력 또는 배터리 전원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제어구동용 DC전압으로 강압하는 입력전원 선택 강압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변환 모듈(200)은,
입력전원을 DC/DC 컨버터를 통해 제어구동용 DC전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의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태양광 모듈이 출력전압을 가지는 전기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직류변환 모듈이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전기 전력을 제어구동용 DC전압으로 강압하는 단계; 및
(c) 상기 직류변환 모듈이 강압된 제어구동용 DC전압을 태양광 전력변환장치(PCS)의 제어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b) 단계는 (b-1) 상기 직류변환 모듈이 배터리의 내부전압을 체크하는 단계; (b-2) 상기 직류변환 모듈이 상기 배터리의 내부전압을 배터리의 최소 구동전압(X)과 비교하여 배터리 충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3) 상기 직류변환 모듈이 배터리의 내부전압이 배터리의 기준전압(Y)을 초과시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의 전기 전력을 제1 스위치부로 차단하는 단계; (b-4) 상기 직류변환 모듈이 상기 제1 스위치부의 구동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제2 스위치부의 on동작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b-5) 상기 직류변환 모듈이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제어구동용 DC전압으로 강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c)단계에서, 상기 직류변환모듈(200)이 하나의 입력전원을 입력받아 4개의 전압(+5V,±15V,+24V)로 출력하여 태양광 전력변환장치의 제어구동전원으로 전달하되, +5V 전원을 피드백하여 DC전력을 입력으로 하는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여 DC전력을 입력으로 하여 안정적인 출력전압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b) 단계는,
상기 직류변환 모듈이 태양광 모듈의 전기 전력 또는 배터리 전원을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제어구동용 DC전압으로 강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
- 삭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b) 단계는,
입력전원을 DC/DC 컨버터를 통해 제어구동용 DC전압으로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는,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를 충전함과 동시에 상기 태양광 모듈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으로 제어구동용 DC전압을 생성하여 태양광 전력 변환장치(PCS)의 제어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6801A KR101737461B1 (ko) | 2015-12-11 | 2015-12-11 |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6801A KR101737461B1 (ko) | 2015-12-11 | 2015-12-11 |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7461B1 true KR101737461B1 (ko) | 2017-05-18 |
Family
ID=5904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6801A Active KR101737461B1 (ko) | 2015-12-11 | 2015-12-11 |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746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9087B1 (ko) * | 2018-06-07 | 2019-09-06 | (주)다쓰테크 | 태양광 발전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
KR102021924B1 (ko) * | 2019-04-02 | 2019-09-17 | (주)신호엔지니어링 | 태양광 발전 시스템 |
KR102391722B1 (ko) * | 2021-11-30 | 2022-04-28 |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 자가 전원으로 동작하는 스트링 옵티마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9483B1 (ko) * | 2007-10-25 | 2008-03-03 | 이현화 | 태양광 발전설비의 최적전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101550589B1 (ko) * | 2015-03-02 | 2015-09-09 | 주식회사 대경산전 | 발전 관리 장치 및 그를 갖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
-
2015
- 2015-12-11 KR KR1020150176801A patent/KR10173746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9483B1 (ko) * | 2007-10-25 | 2008-03-03 | 이현화 | 태양광 발전설비의 최적전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101550589B1 (ko) * | 2015-03-02 | 2015-09-09 | 주식회사 대경산전 | 발전 관리 장치 및 그를 갖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9087B1 (ko) * | 2018-06-07 | 2019-09-06 | (주)다쓰테크 | 태양광 발전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
KR102021924B1 (ko) * | 2019-04-02 | 2019-09-17 | (주)신호엔지니어링 | 태양광 발전 시스템 |
KR102391722B1 (ko) * | 2021-11-30 | 2022-04-28 |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 자가 전원으로 동작하는 스트링 옵티마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93345B1 (en) |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 |
US8334616B2 (en) | Photovoltaic integrated variable frequency drive | |
JP6024973B2 (ja) |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 |
WO2014045563A1 (ja) |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及びその制御方法 | |
US9337682B2 (en) | Charging control devic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harging control method | |
WO2011148908A1 (ja) | 太陽電池システム | |
WO2012115098A1 (ja) | 蓄電システム | |
US20160118846A1 (en) | Isolated-Type Hybrid Solar Photovoltaic System and Switching Control Method | |
KR101794837B1 (ko) | 태양광 발전기의 충·방전 제어 유닛 시스템 | |
EP3291442A1 (en) | Photovoltaic inverter | |
JP2015082198A (ja) | 太陽光発電装置及び太陽光発電装置の制御方法 | |
KR101737461B1 (ko) |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제어 구동전원을 얻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15133870A (ja) |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 |
JP6289714B2 (ja) |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方法、および蓄電池 | |
KR100844401B1 (ko) |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무정전 전원투입장치 | |
WO2016084400A1 (ja) | 蓄電池システムおよび蓄電方法 | |
KR101738622B1 (ko) | 태양광 발전 관리 시스템 | |
KR101764651B1 (ko) | 태양광 발전 장치 연계형 전력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JP2011160610A (ja) | 太陽光発電装置 | |
US8436574B2 (en) | Solar power supply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same | |
KR101587488B1 (ko) | 계통 연계형 시스템에서의 고효율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 |
JP2013099207A (ja) |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KR101215396B1 (ko) | 방전전류제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스마트그리드 무정전전원장치 | |
EP3104485B1 (en) | Power providing apparatus for use with multiple electricity sources | |
WO2012133186A1 (ja) | スイッチ回路制御部及び充放電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