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232B1 - Car Cup Holder with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 Google Patents
Car Cup Holder with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7232B1 KR101737232B1 KR1020150161337A KR20150161337A KR101737232B1 KR 101737232 B1 KR101737232 B1 KR 101737232B1 KR 1020150161337 A KR1020150161337 A KR 1020150161337A KR 20150161337 A KR20150161337 A KR 20150161337A KR 101737232 B1 KR101737232 B1 KR 101737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holder
- magnetic field
- push switch
- wireless charging
- sens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컵홀더 내부에 돌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누름스위치 감지부; 상기 컵홀더에 형성되어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부; 상기 컵홀더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쪽에 형성되는 무선충전모듈; 상기 컵홀더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반대쪽에 형성되는 냉온구동모듈; 및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및 상기 자기장 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컵홀더에 삽입된 물체를 판단하여 상기 무선충전모듈 또는 상기 냉온구동모듈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충전기능 또는 온도제어기능을 일일이 선택할 필요 없이 컵홀더에 삽입되는 물체가 휴대폰인지 또는 음료용기인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무선충전기능 또는 온도 제어기능 중 적절한 제어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t least two push switch sensing parts protruding into a cup holder; A magnetic field sensing unit formed in the cup holder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on the side of the push switch sensing part of the cup holder; A cold / warm driving modul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ush switch sensing part of the cup holder;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r the cold / hot drive module by determining an object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push switch sensing unit and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to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is a mobile phone or a beverage container without having to individually select a control function and selectively perform an appropriate control function among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or the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컵홀더에 다기능(Multi-Function)을 구현하기 위하여 일반 차량의 컵홀더에 휴대폰 무선 충전 기능과 음료용기(이하, 캔 또는 컵 등의 용기를 포함한다) 온도 제어 두 가지 기능을 갖추고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 cup holder for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perform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selectively with two functions.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음료수가 담긴 음료용기나, 동전 등의 작은 물품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컵홀더가 구비되어 있다.Generally, a cup holder is provid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in a vehicle to accommodate a beverage container filled with beverage or a small article such as a coin.
컵홀더는 컵 또는 캔 등의 음료 용기를 수용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일부 운전자의 경우, 휴대폰, PDA 등의 휴대단말기를 컵홀더에 비스듬하게 삽입하여 보관하기도 한다.The cup holder is formed to easily accommodate a beverage container such as a cup or a can. In some operator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PDA is inserted into a cup holder at an oblique angle and stored.
한편, 이와 같은 컵홀더에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휴대단말기를 컵홀더에 보관하는 도중에 배터리가 충전되어, 운전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충전 기능을 가진 컵홀더가 개시된 바 있다.Meanwhile, a cup holder having a function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such a cup holder and having a charging function that allows the battery to be charged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being stored in the cup holder, thereby providing a convenience to the driv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컵홀더는 삽입되는 물체를 구분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However, since such conventional cup holders do not have a function of separating an object to be inserted
할 수 없어 사용자가 충전기능 또는 온도제어기능을 일일이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잘못된 기능을 선택할 경우 휴대폰 등의 기기 손상 및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individually select the charging function or the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In addition, when the wrong function is selected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re has been a problem of causing damage or malfunction of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컵홀더에 휴대폰 무선 충전 기능과 음료용기 온도 제어 기능을 갖추고 삽입되는 물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적절한 제어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7]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컵홀더 내부에 돌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누름스위치 감지부; 상기 컵홀더에 형성되어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부; 상기 컵홀더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쪽에 형성되는 무선충전모듈; 상기 컵홀더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반대쪽에 형성되는 냉온구동모듈; 및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및 상기 자기장 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컵홀더에 삽입된 물체를 판단하여 상기 무선충전모듈 또는 상기 냉온구동모듈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p holder comprising: at least two push switch sensing parts protruding into a cup holder; A magnetic field sensing unit formed in the cup holder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on the side of the push switch sensing part of the cup holder; A cold / warm driving modul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ush switch sensing part of the cup holder;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r the cold / hot drive module by determining an object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push switch sensing unit and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는 상기 컵홀더의 중심으로부터 2개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사이의 각도가 90~120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ush switch sensing unit has an angle of 90 to 120 degrees between the two push switch sensing units from the center of the cup holder.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는 상기 컵홀더 내측으로의 돌출 길이가 그 지름의 1/2~1/3 이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push switch sensing part has a protruding length to the inside of the cup holder within a range of 1/2 to 1/3 of the diameter of the cup hold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2개가 모두 눌려 입력될 경우 상기 컵홀더에 음료용기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온구동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when both of the push switch sensing portions are depressed, thereby operating the cold / warm driving modu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2개가 모두 눌려지지 않고, 상기 자기장 감지부가 감지될 경우 상기 컵홀더에 휴대폰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무선충전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mobile phone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and operat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when the two sensing switches are not pressed and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is sensed.
상기 자기장 감지부는 상기 휴대폰과 상기 자기장 감지부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 코릴레이션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may sense a magnetic field correlation occurring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에 의하면, 사용자가 충전기능 또는 온도제어기능을 일일이 선택할 필요 없이 컵홀더에 삽입되는 물체가 휴대폰인지 또는 음료용기인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무선충전기능 또는 온도 제어기능 중 적절한 제어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컵홀더의 기능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잘못된 기능을 선택할 경우 휴대폰 등의 기기 손상 및 오동작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the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ct whether the object to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is a mobile phone or a beverage container without requiring a user to individually select a charging function or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It is convenient to use the function of the cup holder and selectively prevent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 mobile phone when the wrong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inadvertently have.
또한, 휴대폰 무선 충전 및 음료수 온도 제어하는 2가지 기능을 모두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키며 기능 추가를 통한 상품성 개선을 도모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both of the functions of wirelessly charging the mobile phone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passenger and improve the merchantability by adding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컵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컵홀더 내부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컵홀더 내부에 휴대폰 또는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or a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pre-charge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컵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컵홀더 내부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는, 컵홀더(100) 내부에 형성되는 누름스위치 감지부(10), 자기장 감지부(20), 냉온구동모듈(30), 무선충전모듈(40), 제어부(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sh
누름스위치 감지부(10)는 컵홀더(100)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At least two push switch sensing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는 그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이 형성되어, 컵홀더(100) 쪽으로 일정한 힘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컵홀더(100)에 음료용기(120) 등이 삽입되었을 때 스프링의 힘으로 음료용기(120)의 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A spring (not shown) is formed inside the push
특히,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는 상기 휴대폰(110) 또는 음료용기(120)의 삽입을 더욱 정확히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컵홀더(100)의 중심으로부터 2개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 사이의 각도가 90~120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는 상기 컵홀더(100) 내측으로의 돌출 길이가 그 지름의 1/2~1/3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push-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 사이의 각도가 90도로 형성되고, 상기 컵홀더(100) 내측으로의 돌출 길이가 그 지름의 대략 1/3일 경우 휴대폰(110)의 삽입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음료용기(120)를 삽입하여 각각의 삽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가 될 수 있다.3, when the angle between the push switch sensing
자기장 감지부(20)는 상기 컵홀더(100)에 형성되어 자기장을 감지한다.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20 is formed in the
상기 자기장 감지부(20)는 상기 휴대폰(110)과 상기 자기장 감지부(20)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 코릴레이션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20 senses a magnetic field correlation occurring between the
냉온구동모듈(30)은 상기 컵홀더(100)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 반대쪽에 형성되고, 무선충전모듈(40)은 상기 컵홀더(100)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 쪽에 형성된다.The cooling and
여기서, 무선 충전 방식은 전자기 유도방식, RF(Radio Frequency) 방사 방식, 근접장 공명 방식 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상기 무선충전모듈(40)에 적용되는 무선방식은 전자기 유도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기 유도방식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구비하고, 1차 코일은 충전장치에, 2차 코일은 휴대단말기에 설치하여 사용한다.Here,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a method of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 radio frequency (RF) radiation method, a near-field resonance method, etc.,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o the applied wireless metho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system includes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and the primary coil is used in a charging device and the secondary coil is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제어부(50)는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 및 상기 자기장 감지부(20)의 감지에 따라 상기 컵홀더(100)에 삽입된 물체를 판단하여 상기 무선충전모듈(40) 또는 상기 냉온구동모듈(3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The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 2개가 모두 눌려 입력될 경우 상기 컵홀더(100)에 음료용기(120)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온구동모듈(30)을 작동시킨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 2개가 모두 눌려지지 않고, 상기 자기장 감지부(20)가 감지될 경우 상기 컵홀더(100)에 휴대폰(110)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무선충전모듈(40)을 작동시킨다.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50)는 각각의 판단모듈(51), 온도제어모듈(52) 및 충전제어모듈(53)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the
도 4는 본 발명의 컵홀더 내부에 휴대폰 또는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or a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trol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e-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전원이 온(ON)되면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컵홀더(100) 내부에 삽입된 물체를 판단한다(S101~S102).First,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즉, 상기 제어부(50)는 컵홀더(100) 내부에 삽입된 물체에 의하여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 2개가 모두 눌려 입력될 경우(도 4의 c 참조) 상기 컵홀더(100)에 음료용기(120)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 2개가 모두 눌려지지 않고, 상기 자기장 감지부(20)가 감지될 경우(도 4의 a 참조) 상기 컵홀더(100)에 휴대폰(110)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한다.That is, when the two push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컵홀더(100)에 음료용기(120)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냉온구동모듈(30)을 작동시켜 냉각 또는 온열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S103~S104).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한편,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컵홀더(100)에 휴대폰(110)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충전모듈(40)을 작동시켜 휴대폰(110)이 컵홀더(100)에 서 제거될 때까지의 휴대폰(1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S105~S106).When the
반면에, 상기 제어부(50)는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10)가 어느 1개만 입력되고, 동시에 자기장 감지도 없을 경우에는 휴대폰(110) 또는 음료용기(120) 이외에 다른 기타물체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컵홀더(100)의 충전 및 온도 제어 동작을 모두 실행시키지 않음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4 (b), wh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충전기능 또는 온도제어기능을 일일이 선택할 필요 없이 컵홀더에 삽입되는 물체가 휴대폰인지 또는 음료용기인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무선충전기능 또는 온도 제어기능 중 적절한 제어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컵홀더의 기능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잘못된 기능을 선택할 경우 휴대폰 등의 기기 손상 및 오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to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is a mobile phone or a beverage container without having to individually select a charging function or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By selectively performing the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and malfunction of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when the function of the cup holder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wrong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carelessly.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relate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encompass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Such changes sha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in the claims.
10 : 누름스위치 감지부 20 : 자기장 감지부
30 : 냉온구동모듈 40 : 무선충전모듈
50 : 제어부 51 : 판단모듈
52 : 온도제어모듈 53 : 충전제어모듈
100 : 컵홀더 110 : 휴대폰
120 : 음료용기10: push switch sensing unit 20: magnetic field sensing unit
30: cold / hot drive module 40: wireless charge module
50: control unit 51: judgment module
52: temperature control module 53: charge control module
100: cup holder 110: mobile phone
120: beverage container
Claims (6)
상기 컵홀더에 형성되어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부;
상기 컵홀더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쪽에 형성되는 무선충전모듈;
상기 컵홀더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반대쪽에 형성되는 냉온구동모듈; 및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및 상기 자기장 감지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컵홀더에 삽입된 물체를 판단하여 상기 무선충전모듈 또는 상기 냉온구동모듈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At least two push switch sensing parts protruding into the cup holder;
A magnetic field sensing unit formed in the cup holder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med on the side of the push switch sensing part of the cup holder;
A cold / warm driving modul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ush switch sensing part of the cup holder; And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or the cold / hot drive module by determining an object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push switch sensing unit and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Car Cup Holder.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는
상기 컵홀더의 중심으로부터 2개의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사이의 각도가 90도~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Wherein the angle between the two push switch sensing parts from the center of the cup holder is 90 degrees to 120 degrees.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는
상기 컵홀더 내측으로의 돌출 길이가 그 지름의 1/2~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Wherei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up holder to the inside of the cup holder is 1/2 to 1/3 of the diameter of the cup hold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2개가 모두 눌려 입력될 경우 상기 컵홀더에 음료용기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온구동모듈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when both the push switch sensing units are depressed and operates the cold / warm driving modu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름스위치 감지부 2개가 모두 눌려지지 않고, 상기 자기장 감지부가 감지될 경우 상기 컵홀더에 휴대폰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무선충전모듈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ellular phone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when the two sensing switches are not pressed and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detects that the cellular phone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Cup holder.
상기 자기장 감지부는
휴대폰과 상기 자기장 감지부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 코릴레이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및 온도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And a magnetic field correlation occurring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is sens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1337A KR101737232B1 (en) | 2015-11-17 | 2015-11-17 | Car Cup Holder with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1337A KR101737232B1 (en) | 2015-11-17 | 2015-11-17 | Car Cup Holder with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7232B1 true KR101737232B1 (en) | 2017-05-29 |
Family
ID=5905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1337A Active KR101737232B1 (en) | 2015-11-17 | 2015-11-17 | Car Cup Holder with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7232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43576B1 (en) | 2018-01-22 | 2019-07-0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
KR20200123564A (en) | 2019-04-22 | 2020-10-30 | 박민우 | Cup Holder For Vehicle |
KR20200123733A (en) | 2020-01-31 | 2020-10-30 | 박민우 | Automotive Cup Holders with Wireless Charging Tray |
US10850656B2 (en) | 2018-03-16 | 2020-12-0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
CN113879195A (en) * | 2021-09-30 | 2022-01-04 | 长春中新泰富汽车零部件有限公司 | A multifunctional water cup holder, a multifunctional water cup holder control system and an automobile |
WO2023000978A1 (en) * | 2021-07-22 | 2023-01-26 |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mounted water cup |
-
2015
- 2015-11-17 KR KR1020150161337A patent/KR101737232B1/en active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43576B1 (en) | 2018-01-22 | 2019-07-0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djustable cup holder for holding tall cups, bottles and the like |
US10850656B2 (en) | 2018-03-16 | 2020-12-0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pparatus including inductive charger and retractable cup holder |
KR20200123564A (en) | 2019-04-22 | 2020-10-30 | 박민우 | Cup Holder For Vehicle |
KR20200123733A (en) | 2020-01-31 | 2020-10-30 | 박민우 | Automotive Cup Holders with Wireless Charging Tray |
WO2023000978A1 (en) * | 2021-07-22 | 2023-01-26 |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mounted water cup |
CN113879195A (en) * | 2021-09-30 | 2022-01-04 | 长春中新泰富汽车零部件有限公司 | A multifunctional water cup holder, a multifunctional water cup holder control system and an automobi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7232B1 (en) | Car Cup Holder with wireless charging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 |
KR101665247B1 (en) | Cup holder for vehicle having function of supporting mobile phone and wireless power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 |
US20190217788A1 (en) | Holder for motor vehicles for receiving mobile devices | |
KR101145682B1 (en) | Non-contact charging system for vehicl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of | |
US9124110B2 (en) | In-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 |
EP3170241B1 (en) | Cellular telephone charger | |
US9397718B2 (en) | Mobile telephone holding device | |
US20120319644A1 (en) | Contactless charging system | |
JP2015181321A (en) | Contactless charger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 |
KR101404358B1 (en) | Armrest available of contact-less charger | |
JP5994364B2 (en) | Mobile device storage device | |
US20180345875A1 (en) | Holder for motor vehicles for receiving mobile devices | |
EP3014724A1 (en) |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for, programs, and storage medium | |
KR102432321B1 (en) |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obtaining charging compatibility | |
KR20150033305A (en) | System for Cup Holder of Vehicle with Wireless Electric Power Charge Function | |
KR101409225B1 (en) | Charging System Using Cup Holder | |
KR101455343B1 (en) |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of receptacle type | |
JP5021523B2 (en) | Electronic key system | |
KR20180039354A (en) |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 |
KR20130143148A (en) | Wireless Smartphone Charging Table | |
JP2016211210A (en) | Parking facility system | |
JP5906384B2 (en) | Non-contact charging device, its program,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non-contact charging device | |
WO2019195703A1 (en) | Wireless chargers and mobile phones in vehicles | |
JP2009148041A (en) | Plug-in vehicle charging system | |
WO2014038167A1 (en) | Contactless charging device, program therefor, and automobile having contactless charging device mounted there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