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102B1 - Vaportight container - Google Patents
Vaportight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7102B1 KR101737102B1 KR1020160077817A KR20160077817A KR101737102B1 KR 101737102 B1 KR101737102 B1 KR 101737102B1 KR 1020160077817 A KR1020160077817 A KR 1020160077817A KR 20160077817 A KR20160077817 A KR 20160077817A KR 101737102 B1 KR101737102 B1 KR 1017371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extension
- container body
- extending
- l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57—U-shaped or inverted U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42—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utside of the l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9—Integral supplemental sealing 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증기 등의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뚜껑의 테두리 연장 부분에 수용부 모양을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상기 수용부에 입력된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용기 뚜껑과 용기가 더욱 단단하게 결합하게 되는 수증기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측벽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연장부와, 제 1연장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폐하는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뚜껑에는,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입력된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장부의 수평부분 상측방향으로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1연장부의 상단면 및 측면에 밀착되는 제 2연장부; 및
상기 제 2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ed container such as a water vap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having a shape of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a container lid, The lid and the container being mor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extension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a rim of the side wall, and a locking protrus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And a container lid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so as to receive the steam generated and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A second extension portion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nd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fastened and fixed so as to surround the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증기 등의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뚜껑의 테두리 연장 부분에 수용부 모양을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상기 수용부에 입력된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용기 뚜껑과 용기가 더욱 단단하게 결합하게 되는 수증기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ed container such as a water vap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having a shape of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a container lid, The lid and the container being mor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일반적으로 식품은 다양한 그릇이나 용기에 담아 보관된다. 이렇게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는 다양한 형태의 접시나 그릇 또는 통이나 용기에 담아 보관된다.Generally, foods are stored in various containers or containers. Such containers for storing food are stored in various dishes or containers or containers or containers.
식품을 비교적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뚜껑이 있는 용기에 담아 뚜껑을 닫고 밀폐된 상태에서 냉장고에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기도 한다.In order to store food fo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it is put in a container with a lid and the lid is closed and kept refrigerated or frozen in a closed state in a refrigerator.
상기 식품 보관 용기는 보통 상면이 개구된 용기와 그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이 뚜껑을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ood storage container generally includes a container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lid to the main body.
또한, 비교적 큰 용기 경우 식품이 들어있는 용기를 들고 이동하기가 무겁고 불편하기 때문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latively large container, it is desirable to have a handle because it is heavy and inconvenient to carry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최근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식품 보관 용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뚜껑 또는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어 뚜껑을 본체에 서로 밀봉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forms of plastic storage containers have been developed. As the fixing means, there is used a fix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lid or the main body by a hinge so as to fix the lid to be sealed to the main body.
그러나 식품 보관 용기가 네 개의 고정부재를 용기의 네 측면에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뚜껑을 개폐할 때 네 개의 고정부재를 일일이 손으로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식품 보관 용기 미사용시 부피가 커서 휴대 또는 보관이 불편함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with four fixing members on four sides of the contain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must manually separate the four fixing members when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Particularly, when the food storage container is not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or store.
한편, 용기 내에서 수증기를 이용하여 용기내에 있는 음식을 조리하거나 데우는 경우, 미리 정한 온도 범위내에서는 수증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야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당한 용기가 존재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od in the container is cooked or warmed by using water vapor in the container, the water vapor should not leak to the outside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본 발명은 용기 뚜껑의 테두리 부분에 수용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용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 더욱 견고하고 밀접하게 접속되어 수증기가 누출되지 아니하는 수증기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vapor-tight container in which the container lid is more firmly and tightly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due to the pressure of water vapor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so that steam does not leak, .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 및 용기 뚜껑을 실리콘 재질로 사용하여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접은 상태에서 손잡이에 형성된 끼움홈을 체크밸브(내부압력조절장치의 하나의 예)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고정시켜 사용함으로써, 밀폐용기를 보관할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용기 본체와 용기 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tting groove formed in a handle is fixed to a fitting projection formed in a check valve (an example of an inner pressure adjust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lid are folded in a folded or rolled shape using a silicone materi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when the closed container is stored,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water vapor-tight container which can be folded or rolled in a rolled state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lid are engag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는, In the water vapo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측벽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연장부와, 제 1연장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extension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a rim of the side wall, and a locking protrus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폐하는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And a container lid which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and seal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상기 용기 뚜껑에는,In the container lid,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입력된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장부의 수평부분(115) 상측방향으로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1연장부의 상단면(117) 및 측면에 밀착되는 제 2연장부; 및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제 2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fastened and fixed to surround the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또한 본 발명은 측벽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연장부와, 제 1연장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된 용기 본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extension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a rim of a side wall, and a latching protrus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폐하는 용기 뚜껑; 및A container lid which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seal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상기 용기 뚜껑에 형성된 배출공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포함하고,And a check valve which is fitted in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ontainer lid and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상기 용기 뚜껑은,The container lid,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장부의 수평부분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이 상측으로 굴곡져 반 원형 형태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되어 입력된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면 및 측면에 밀착되는 제2연장부; 및A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container lid and facing a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bent upward to include a semi-circular shape, A second extension part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여 동작한다.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fastened and fastened so as to enclose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and seal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body.
또한 본 발명은 측벽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된 용기 본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extension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a rim of a side wall, and a latching protrus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폐하는 용기 뚜껑; 및A container lid which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seal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상기 용기 뚜껑에 형성된 배출공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포함하고,And a check valve which is fitted in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ontainer lid and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상기 용기 뚜껑은,The container lid,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장부의 수평부분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이 상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면 및 측면에 밀착되는 제2연장부;A portion extending from a rim of the container lid and facing a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s formed in an upwardly curved shape so that 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ntainer body can be received, A second extension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end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 및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fastened and fixed to enclose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and seal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상기 용기 뚜껑의 일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측에 끼움홈이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고,And a handle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container lid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side thereof,
상기 끼움홈은 상기 체크밸브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뚜껑이 접거나 말아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The fitting groove is engaged with the fitting projection formed on the check valve so that the container lid is folded or curled.
부연하면,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1차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1 연장부의 수평연장부분과 대면되는 중간 부분이 상측으로 굴곡져 반 원형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면 및 제 1 연장부의 2차적 연장에 해당되는 수직의 측면부분에 밀착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한다.In other words, the container lid is formed by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rim of the container lid, and an intermediate portion facing the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s bent upward and formed into a shape including a semi-circular shape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to receive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ntainer body and closely contacted with a top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vertical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ary extens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내측면에 수증기 압력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밀착되며, 상기 용기 본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rt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 from the rim of the container lid and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steam pressure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는 용기 뚜껑의 테두리 수평부분에 수용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상기 수용부에 입력된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용기 뚜껑이 용기 본체에 더욱 견고하고 밀접하게 접속되어 수증기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water vapor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lid is firmly and close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by the pressure of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ntainer body and generated in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water vapor leak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는 용기 본체 및 용기 뚜껑을 실리콘 재질로 사용하여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접은 상태에서 손잡이에 형성된 끼움홈을 체크밸브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고정시켜 사용함으로써, 밀폐용기를 보관할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용기 본체와 용기 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aled container for food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using a container body and a lid of a container made of a silicone material, folding or folding in a rolled shape and fixing the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handle to the fitting projection formed on the check valve, The volume can be minimized when the closed container is stored, and in particular, the container can be folded or rolled in a rolled state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lid are combin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effects not specifically mentio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수증기 밀폐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에 고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가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 겸용 및 용기를 접거나 말아서 보관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 겸용 및 용기를 접거나 말아서 보관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vapo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water vapo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water vapo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por-tight container cut along the line AA i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ing is installed in a water vapo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vapo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or rolled up into a rolled form.
FIG. 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mbining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a lid and a structure for folding or roll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mbining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a lid and a structure for folding or roll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상측,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하측으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etc.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components. For example, in the case of naming the upper side of the drawing as upper /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drawing as lower / lower sid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upper part may be named as the lower p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righ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m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체크밸브는 내부압력조절수단의 하나의 예이며, 다른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해당된다.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 valve, is an example of the internal pressure regulating means, and even if it is used as another apparatus, it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team-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의 사시도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긱 밀폐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수증기 밀폐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에 하나의 예로써 탄성고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가 두루마리 형태로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vapo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water vapor-tigh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water vapor-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elastic ring is installed as an example in the steam-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am- And the container is folded into a scroll form.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10)는 용기 본체(100), 용기 뚜껑(200) 및 체크밸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a water vapor-
용기 본체(100)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측벽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 또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재료 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 space may be formed in the
또한, 용기 본체(100)는 측벽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평으로 1차 연장되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된 제1연장부(110)와, 제1연장부(110)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2차 연장) 용기 뚜껑(200)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1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에서, 바람직하게 1차 연장이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수평이라고 하였으나 다른 형상, 예를 들어 경사지게 할 수도 있고, 다소 움푹하게 파인 홈 현상도 가능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수증기 모일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모든 형상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imary extension is preferably horizontally outward along the rim, but it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for example, inclined or slightly depresse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ll shapes that form the receiving space that can gather water vapor correspon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용기 본체(100) 또는/및 용기 뚜껑(200)은 플렉시블하게 자유자재로 휘어지고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접어질 수 있도록 하나의 예로써 실리콘 재질로 사출성형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용기의 모양은 네모,세모, 마름모등 다양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으로의 1차 연장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에 모양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해당된다.The shape of the container may be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triangular, rhombus, and the first extension or the lik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extended to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It is a technical idea.
상기 용기 뚜껑(200)은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된 용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어 용기 본체(100) 내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용기 뚜껑(200)은 밀폐부(210), 제2연장부(220), 체결부(230), 손잡이(240), 배출공(260) 및 탄성고리등을 포함하는 고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부연하면, 상기 용기 뚜껑(200)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조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제 1 연장부(110)의 수평연장부분(115)과 대면되는 중간 부분이 상측으로 굴곡져 반 원형을 포함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면(연장부 시작위치)(117) 및 제 1 연장부의 2차적 연장에 해당되는 수직의 측면부분에 밀착되는 제 2연장부의 2차적 연장에 해당되는 부분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rim of the
상기 수용부는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 1 연장부의 중간부분인 수평부분(115)과 상기 수평부분(115)과 대면하여 상측에 미리 정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 뚜껑에 형성되는 제 2 연장부에 의거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제1연장부의 1차적 연장인 상단면 및 제 1 연장부의 2차적 연장에 해당되는 수직의 측면부분이 용기 뚜껑에 형성된 제 2 연장부 및 기타 구조와의 접촉에 의거 하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수용공간은 다양한 모양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모양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해당된다.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밀폐부(210)는 용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을 1차적으로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뚜껑(200)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나 용기 본체(100)의 측벽 내측면에 플렉시블하게 밀착 접속되며, 일정 길이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용기 본체(100)의 측벽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용기 뚜껑(200)이 용기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가 되면, 밀폐부(210)는 용기 본체(100)의 측벽 내측면에 밀착되어 용기 본체(100)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aling
부연하면, 용기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압력이 용기 본체의 측면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의 밀폐부가 본체의 측벽 내측면에 더욱 밀착되어 1차적인 밀폐작용을 한다.In addition, the sealing portion of the flexible material is further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team pressure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n not escape to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제2연장부(220)는 용기 뚜껑(200)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1연장부(11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체결부(230)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제2연장부(220)는 중간 부분이 상측으로 굴곡져 형성된 수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xtending
수용부(221)는 제1연장부(110) 상측에 제2연장부(220)의 반 원형모양에 의거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부연하면, 상기 수용부(221)는 제 1연장부(110)인 테두리부분과 반 원형 모양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양으로 굴곡진 상태인 제 2 연장부(22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발생되는 공간이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extending
상기 수용부 모양은, 네모 모양, 세모 모양, 마름모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수증기가 끝 지점에 모여서 뚜껑을 위로 잡아 당기는 효과를 발생하는 모양, 즉 완만한 반 원형모양보다는 적어도 45도이상 각도이상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수용부 모양은 하나의 예이며, 상부 면적이 넓은 것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상기 수용부에 모여지는 수증기 압력의 힘이 뚜껑을 상측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하고, 그 효과로 인해 쳬결부(230)부분이 걸림턱(120)부분과 더욱 단단히 결합/밀착되어 수증기가 밀폐되는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반원형 모양도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의 모양이다.The receiving portion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a triangular shape, and a rhombus shape. In particular,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45 degrees rather than a gentle semi-circular shape in which water vapor collects at an end point and pulls the lid upward. An ideal angle or more is preferable.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one example, and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wide area.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the water vapor pressure accumul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pulls the lid upward, and the portion of the
상기 수용부(221)는 음식물에 의해 용기 본체(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또는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용기 본체(100) 내부가 팽창하게 되면, 용기 본체(100) 측면과 밀폐부(210) 사이가 벌어져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증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When the inside of the
예로 들어, 미리 정한 수용부(221) 모양에서 수증기의 압력이 어느 지점(상부 꼭지점등)에 최대로 모이게 되면, 용기 뚜껑(200)에 구비된 체결부(230)가 걸림턱(120)에 더욱 단단히 밀착하여 걸리면서 용기 뚜껑(200)이 상측 방향으로 당겨지는데, 이때, 상기 체결부와 걸림턱의 동작으로 인해 용기 뚜껑(200)은 용기 본체(100)에 더욱 견고하고 밀접하게 접속되어 용기 본체(100)의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기지 못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of water vapor reaches a maximum at a certain point (upper vertex or the like) in the shape of the predetermined
체결부(230)는 제2연장부(2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용기 본체(100)에 형성된 걸림턱(120)을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며, 용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이 2차 밀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용기 본체(100)와 용기 뚜껑(200)이 팽창하면, 용기 본체(100)는 하측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용기 뚜껑(200)은 상측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용기 본체(100)에 구비된 걸림턱(120)은 하측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밀폐부(210)를 누르게 되고, 용기 뚜껑(200)에 구비된 체결부(230)는 상측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걸림턱(120)과 더욱 견고하게 밀폐된 상태가 된다.For example, when the
한편, 누출된 수증기는 미리 정한 모양의 수용부에 모이게 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에 모인 수증기는 상측으로 뚜껑을 올리게 되면, 그로 인해 체결부(230) 및 걸림턱(120)이 더욱 단단하게 결합되어 수증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eam collected in the receiving portion is lifted up to the upper side, the
또한, 체결부(230)는 내측 방향으로 굴곡진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 뚜껑(200)를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로 들면, 용기 뚜껑(200)이 용기 본체(100)에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40)를 잡아 위로 당기게 되면 체결부(230)는 걸림턱(120)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되어 용기 뚜껑(200)이 용기 본체(100)와 분리되게 한다.For example, when the
손잡이(240)는 용기 뚜껑(200)의 일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사용자가 용기 뚜껑(200)을 쉽고 열리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손잡이(240)는 용기 뚜껑(200)이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진 상태에서 체크밸브(3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외측 중간에 끼움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로 들면, 도 7과 같이 용기 뚜껑(200)을 손잡이(240)가 형성된 반대 측부터 두루마리 형태로 말은 상태에서 체크밸브(300)에 형성된 결합부(310)에 끼움홈(241)을 걸어 고정되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용기를 접어서 체크밸브(300)에 형성된 결합부(310)에 끼움홈(241)을 걸어 고정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may be folded and the
위와 같이, 손잡이(240)에 끼움홈(241)을 형성하여 체크밸브(300)에 끼워 사용하게 되면,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용기(10)를 보관할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용기 본체(100)와 용기 뚜껑(200)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탄성 고리(250)를 포함하는 고리는 용기 뚜껑(200)의 일측 일단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탄성을 갖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며,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진 밀폐용기(10)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loop including the
예로 들면, 사용이 끝난 밀폐용기(10)를 도 6 고리(250)가 구비된 반대 측부터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손잡이(240)에 형성된 끼움홈(241)을 체크밸브(300)에 형성된 결합부(310)에 1차 고정한 후 다시 탄성 고리(2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 2차 고정되게 한다. 즉, 탄성 고리(250)의 탄성력에 의해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진 밀폐용기(10)를 가압하여 외부 충격에도 풀리지 않도록 한다.For example, the used sealed
배출공(260)은 용기 뚜껑(200)의 미리 정한 위치, 하나의 예로써 중앙에 형성되고, 용기 뚜껑(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은 중앙이외 다른 위치에도 형성 가능하다.The
체크밸브(300)는 배출공(260)에 끼움 고정되고, 밀폐용기(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또는 가스를 미리 정한 수증기 압력상태에서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체크밸브(300)는 배출공(260)에 끼움 고정되는 결합부(310)와, 결합부(3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출공(26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배출공(260)을 밀폐하는 개폐판(320)과, 개폐판(320) 상부에 형성되고 손잡이(240)에 형성된 끼움홈(24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돌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결합부(310)는 개폐판(320)의 하단에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또한, 결합부(310)는 배출공(260)에 삽입되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대(311)와, 지지대(311)의 하단에 형성되고 지지대(311)가 상부로 이동될 때 배출공(260)의 저면에 밀착되어 지지대(311)의 이동을 제한하는 밀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결합부(310)와 근접한 다른 하나의 결합부(310) 사이에 공간부(313)가 형성되어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결합부(310)에 탄성이 생기도록 하고, 체크밸브(300)가 상부로 이동될 때 밀폐용기(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또는 가스의 일정량이 공간부(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개폐판(320)은 용기 뚜껑(200)에 형성된 배출공(260) 상에 위치하고, 체크밸브(300)의 이동에 의해 배출공(260)을 밀폐하거나 또는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예로 들어, 체크밸브(30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개폐판(320)이 배출공(260)에서 이격되어 결합부(310)에 형성된 공간부(313)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외부로 노출된 공간부(313)를 통해 밀폐용기(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또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끼움돌기(330)는 개폐판(320)의 상면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개폐판(320)과 끼움돌기(330)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손잡이(240)에 형성된 끼움홈(241)의 내측 면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The
위와 같은 체크밸브(300)를 용기 뚜껑(200) 중앙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밀폐용기(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일정 압력이상 발생할 경우 밀폐용기(10)가 폭발할 경우가 생기는데 이러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체크밸브(300)를 설치하여 사용한다.When the
즉, 밀폐용기(10) 내부에 일정 압력이상 발생하면 밀폐용기(10) 내부가 팽창하면서 체크밸브(30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로 이동된 체크밸브(300)에 의해 밀폐용기(10) 내부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That is, if a certain pressure or more is generated inside the seal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 겸용 및 용기를 접거나 말아서 보관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 예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structure for both the handle and the container formed on one side of the lid and for folding or rolling the containe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 겸용 및 용기를 접거나 말아서 보관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 예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ructure for holding a handle together with a cover formed on one side of a lid and holding the container by folding or rolling.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1의 끼움홈(241)과 같은 형상이 다양한 형태로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ame shape as the
도 7은 일측에서 사다리 모양으로 연장되어 끝부분에 둥그런 모양의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8은 일측에 안정성 및 견고성을 위해 3개의 반 원형 형태를 형성하고, 가운데 반원형과는 직접 접촉되고 다른 좌/우 반원형과는 연장된 지지 라인을 통해 접촉된 원형 모양의 끼움훔을 형성하였다. FIG. 7 shows that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a shape of a ladder extending from one side and a rounded shape is formed at the end. FIG. 8 shows that three semi-circular shapes are formed on one side for stability and rigidity, Shaped contact horn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other left and right semicircles through the extended support line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증기 등의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뚜껑의 테두리 연장 부분에 수용부 모양을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상기 수용부에 입력된 수증기의 압력에 의해 용기 뚜껑과 용기가 더욱 단단하게 결합하게 되는 수증기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such as a water vap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such as a water vapor which is generated in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lid and the container are more tightly coupl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식품용기 100; 용기 본체
110; 제1연장부 120; 걸림턱
200; 용기 뚜껑 210; 밀폐부
220; 제2연장부 221; 수용부
230; 체결부 240; 손잡이
241; 끼움홈 250; 탄성 고리
260; 배출공 300; 체크밸브
310; 결합부 311; 지지대
312; 밀착부 313; 공간부
320; 개폐판 330; 끼움돌기10;
110; A
200;
220; A
230; Fastening
241; A
260;
310; A
312;
320; An opening /
Claims (8)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폐하는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뚜껑에는,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여 입력된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연장부의 수평부분 상측방향으로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1연장부의 상단면 및 측면에 밀착되는 제 2연장부; 및
상기 제 2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제 1 연장부의 중간부분인 수평부분과 상기 수평부분과 대면하여 상측에 미리 정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연장부에 의거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제 1연장부의 상단면 및 제 1 연장부의 수직의 측면부분이 뚜껑에서 연장된 제 2 연장부와의 접촉에 의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밀폐용기.
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extension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a rim of the side wall, and a locking protrus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And a container lid which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and seal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In the container lid,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so as to receive the steam generated and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A second extension portion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nd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fastened and fixed so as to surround the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Th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which is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upper side facing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spac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by the contact of the vertical side portion of the portion with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id.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폐하는 용기 뚜껑; 및
상기 용기 뚜껑에 형성된 배출공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장부의 수평부분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이 상측으로 굴곡져 반 원형 형태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되어 입력된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면 및 측면에 밀착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제 1 연장부의 중간부분인 수평부분과 상기 수평부분과 대면하여 상측에 미리 정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연장부에 의거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제 1연장부의 상단면 및 제 1 연장부의 수직의 측면부분이 뚜껑에서 연장된 제 2 연장부와의 접촉에 의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밀폐용기.
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extension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a rim of the side wall, and a locking protrus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A container lid which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seal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d a check valve which is fitted in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ontainer lid and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The container lid,
A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container lid and facing a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bent upward to include a semi-circular shape, A second extension part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fastened and fixed to enclose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and seal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body,
Th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which is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upper side facing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spac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by the contact of the vertical side portion of the portion with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id.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폐하는 용기 뚜껑; 및
상기 용기 뚜껑에 형성된 배출공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장부의 수평부분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이 상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면 및 측면에 밀착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감싸도록 체결 고정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 및
상기 용기 뚜껑의 일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측에 끼움홈이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체크밸브에 형성된 끼움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뚜껑이 접거나 말아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밀폐용기.
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extension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a rim of the side wall, and a locking protrus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A container lid which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seal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d a check valve which is fitted in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ontainer lid and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The container lid,
A portion extending from a rim of the container lid and facing a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s formed in an upwardly curved shape so that 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ntainer body can be received, A second extension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end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fastened and fixed to enclose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and seal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d a handle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side of the container lid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side thereof,
Wherein the fitting groove is engaged with a fitting projection formed on the check valve so that the container lid is folded or curled.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폐하는 용기 뚜껑; 및
상기 용기 뚜껑에 형성된 배출공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장부의 수평부분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이 상측으로 굴곡져 반 원형 형태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면 및 측면에 밀착되는 제 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감싸도록 체결 고정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용기 뚜껑(2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접거나 말아진 용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밀폐용기.
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extension formed to extend outward along a rim of the side wall, and a locking protrusion bent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A container lid which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seal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d a check valve which is fitted in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container lid and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hole,
The container lid,
A portion extending from a rim of the container lid and facing a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s bent upward so as to include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container body can be received A second extension part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fastening and fixing the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ntainer body so as to surround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And a r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ainer lid (200) for fixing the folded or rolled container lid.
The water pum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facing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is bent upward and collects water vapor pressure including a semi-circular shape Features a water vapor-tight container.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내측면에 플렉시블하게 밀착되며, 상기 용기 본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밀폐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part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 from a rim of the container lid and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that is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tha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upper side facing the horizontal portion; Wherei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vertical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lid.
상기 체크밸브(300)는 배출공(260)에 끼움 고정되고, 밀폐용기(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또는 가스를 미리 정한 수증기 압력상태에서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체크밸브(300)는 배출공(260)에 끼움 고정되는 결합부(310)와, 결합부(3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출공(26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배출공(260)을 밀폐하는 개폐판(320)과, 개폐판(320) 상부에 형성되고 손잡이(240)에 형성된 끼움홈(241)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돌기(330)를 포함하고,
결합부(310)는 개폐판(320)의 하단에 형성되고, 결합부(310)는 배출공(260)에 삽입되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대(311)와, 지지대(311)의 하단에 형성되고 지지대(311)가 상부로 이동될 때 배출공(260)의 저면에 밀착되어 지지대(311)의 이동을 제한하는 밀착부(312)를 포함하고,
결합부(310)와 근접한 다른 하나의 결합부(310) 사이에 공간부(313)가 형성되어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결합부(310)에 탄성이 생기도록 하고, 체크밸브(300)가 상부로 이동될 때 밀폐용기(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또는 가스의 일정량이 공간부(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개폐판(320)은 용기 뚜껑(200)에 형성된 배출공(260) 상에 위치하고, 체크밸브(300)의 이동에 의해 배출공(260)을 밀폐하거나 또는 개방되도록 하고,
끼움돌기(330)는 개폐판(320)의 상면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개폐판(320)과 끼움돌기(330)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손잡이(240)에 형성된 끼움홈(241)의 내측 면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밀폐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check valve 300 is fitted to the discharge hole 260 and is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steam or gas generated in the closed vessel 10 under a predetermined steam pressure condition,
The check valve 300 includes an engaging part 310 fitted to the discharge hole 260 and a discharge hole 260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engaging part 310 and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260, And a fitting protrusion 330 form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and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241 formed in the handle 240,
The coupling part 3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The coupling part 31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260 and is moved upward or downward. And a tight fitting portion 312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31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vent hole 260 when the support frame 311 is moved upward,
The space portion 313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310 and the adjacent coupling portion 310 so that elasticity is generated in the coupling portion 310. When the check valve 300 is moved upward A certain amount of water vapor or gas generated in the closed vessel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313,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is located on the discharge hole 260 formed in the container lid 200 and is configured to close or open the discharge hole 260 by movement of the check valve 300,
The fitting protrusion 33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and has a groove form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20 and the fitting protrusion 330. The fitting protrusion 330 is formed inside the fitting groove 241 formed in the handle 240 So that the surface is fitted and fixed.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817A KR101737102B1 (en) | 2016-06-22 | 2016-06-22 | Vaportight container |
PCT/KR2017/000611 WO2017222135A1 (en) | 2016-06-22 | 2017-01-18 | Steamtight container |
BR112017028122-8A BR112017028122A2 (en) | 2016-06-22 | 2017-01-18 | steam-tight container |
US15/628,799 US10464721B2 (en) | 2016-06-22 | 2017-06-21 | Vapor-tight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817A KR101737102B1 (en) | 2016-06-22 | 2016-06-22 | Vaportight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7102B1 true KR101737102B1 (en) | 2017-05-18 |
Family
ID=5904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78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37102B1 (en) | 2016-06-22 | 2016-06-22 | Vaportight contain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7102B1 (en) |
BR (1) | BR112017028122A2 (en) |
WO (1) | WO2017222135A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0756A1 (en) * | 2017-06-15 | 2018-12-20 | (주)착한음식 | Container impermeable to vapor, and heating container for cooking food |
KR20180137246A (en) * | 2017-06-16 | 2018-12-27 | (주)착한음식 | Vaportight container |
CN111419052A (en) * | 2019-01-09 | 2020-07-17 | 广州大匠贸易有限公司 | Thermal insulation tableware |
KR20200142760A (en) * | 2019-06-13 | 2020-12-23 | 주식회사 블루마마 | Airtight Container for infa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3000471A1 (en) * | 2023-02-13 | 2024-08-14 | Dietrich Leben | Lids for repeatable closing of container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0743B2 (en) | 1997-11-17 | 2001-06-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441528Y1 (en) | 2007-06-11 | 2008-08-22 | 주식회사 락앤락 | Airtight container lid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43163A (en) * | 1997-07-18 | 1999-02-16 | Nishimune Kk | Well-closed container |
JP2003335356A (en) * | 2002-05-17 | 2003-11-25 | Japan Poorekkusu Kk | Lid made of rubber |
KR100759487B1 (en) * | 2006-10-02 | 2007-09-20 | 리엔리하이테크(주) | Eco-friendly, multi-purpose sealing lid that enhances the convenience of sealing |
KR20100007714U (en) * | 2009-01-22 | 2010-07-30 | (주)명문엘씨 | Container lid with pressure tight contact by double injection molding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lid |
-
2016
- 2016-06-22 KR KR1020160077817A patent/KR10173710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
- 2017-01-18 BR BR112017028122-8A patent/BR112017028122A2/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7-01-18 WO PCT/KR2017/000611 patent/WO201722213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0743B2 (en) | 1997-11-17 | 2001-06-25 | 日本電気株式会社 | 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441528Y1 (en) | 2007-06-11 | 2008-08-22 | 주식회사 락앤락 | Airtight container lid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0756A1 (en) * | 2017-06-15 | 2018-12-20 | (주)착한음식 | Container impermeable to vapor, and heating container for cooking food |
KR20180137246A (en) * | 2017-06-16 | 2018-12-27 | (주)착한음식 | Vaportight container |
KR101996881B1 (en) * | 2017-06-16 | 2019-07-08 | (주)착한음식 | Vaportight container |
CN111419052A (en) * | 2019-01-09 | 2020-07-17 | 广州大匠贸易有限公司 | Thermal insulation tableware |
KR20200142760A (en) * | 2019-06-13 | 2020-12-23 | 주식회사 블루마마 | Airtight Container for infant |
KR102249433B1 (en) * | 2019-06-13 | 2021-05-07 | 주식회사 블루마마 | Airtight Container for infa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222135A1 (en) | 2017-12-28 |
BR112017028122A2 (en) | 2018-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7102B1 (en) | Vaportight container | |
US10464721B2 (en) | Vapor-tight container | |
JP6723004B2 (en) | Invertible lid and container forming a variable volume food canister | |
KR20090096058A (en) | Stackable container | |
KR102249852B1 (en) | Vapor-sealed container | |
JP6987120B2 (en) | Packaging of products such as cosmetic compositions | |
KR101996881B1 (en) | Vaportight container | |
KR101442422B1 (en) | Food container | |
JP2005193987A (en) | Airtight container for fermented food | |
KR100926708B1 (en) | Airtight containers | |
KR100926709B1 (en) | Airtight containers | |
CN207072532U (en) | Vapor closed container | |
KR101401957B1 (en) | A airtight container for keeping food | |
KR20170027945A (en) | A Storing Cover for a Cooking Container | |
KR20130007257U (en) | A cover for food container | |
KR200437807Y1 (en) | Airtight container lid | |
KR102241982B1 (en) | Airtight Container for Food | |
KR102057938B1 (en) | Cover assembly for cooking apparatus | |
KR20160133081A (en) | Airtight container | |
CN216469611U (en) | Leak-proof food storage box | |
KR20170070600A (en) | Clean cover for electrical pressure cooker | |
CN212557287U (en) | Volume can expand preservation box at will | |
CN219970622U (en) | Vacuum smoldering pot and combined storage device | |
KR200395480Y1 (en) | A cover of a vessel | |
JP7362128B2 (en) | stora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9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1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