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7068B1 -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068B1
KR101737068B1 KR1020150063903A KR20150063903A KR101737068B1 KR 101737068 B1 KR101737068 B1 KR 101737068B1 KR 1020150063903 A KR1020150063903 A KR 1020150063903A KR 20150063903 A KR20150063903 A KR 20150063903A KR 101737068 B1 KR101737068 B1 KR 10173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metal
hopper
conveyor
dr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464A (ko
Inventor
황명회
Original Assignee
황명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회 filed Critical 황명회
Priority to KR102015006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0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0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저장된 슬러지를 압송하는 이송펌프, 상기 압송되는 슬러지를 내부의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열풍과 함께 수증기를 배출하는 폐열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호퍼와 이송펌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슬러지 중에 잔존하는 협잡물 중 금속을 걸러내는 금속 선별기; 및 상기 금속 선별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통과시키면서 일정크기 이상의 협잡물을 분쇄하는 분쇄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탈수처리를 거친 후 성형기로 공급되는 슬러지 중에 함유된 협잡물을 제거하여 성형기의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협잡물 제거수단을 갖는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Low-temperature drier for sludge}
본 발명은 저온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탈수처리를 거친 후 성형기로 공급되는 슬러지 중에 함유된 협잡물을 제거하여 성형기의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슬러지 건조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호퍼(10), 상기 호퍼에 저장된 슬러지를 압송하는 이송펌프(20), 상기 압송되는 슬러지를 내부의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실(30),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40),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열풍과 함께 수증기를 배출하는 폐열 배출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제공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성형기는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압출하면서 좌우로 왕복 운동하여 건조실 내부의 상부 컨베이어 위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해서 내려놓도록 한 것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슬러지 건조장치에 의하면 상기 호퍼에 저장되는 슬러지 중에 금속, 유리, 나무, 돌 조각 등의 협잡물이 상당히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성형기로 보내 압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협잡물이 성형기의 노즐을 막아 슬러지가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막힌 노즐을 뚫지 않으면 슬러지의 건조를 위한 처리 효율이 저하될 것이고, 관로를 뚫기 위해서는 건조장치 전체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건조장치를 정지시켰다 하더라도 상당 시간이 경과하여 온도를 낮춘 후에야 뚫는 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탈수처리를 거친 후 성형기로 공급되는 슬러지 중에 함유된 협잡물을 제거하여 성형기의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협잡물 중 재활용이 가능한 금속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탈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저장된 슬러지를 압송하는 이송펌프, 상기 압송되는 슬러지를 내부의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열풍과 함께 수증기를 배출하는 폐열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와 이송펌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슬러지 중에 잔존하는 협잡물 중 금속을 걸러내는 금속 선별기; 및 상기 금속 선별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통과시키면서 일정크기 이상의 협잡물을 분쇄하는 분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금속 선별기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도록 하되, 벨트가 자석 재질로 형성되어 금속이 부착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슬러지를 흩뜨려 슬러지 중 금속이 상기 컨베이어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스캐터;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리턴하는 컨베이어의 표면에 부착된 금속을 긁어 떨어뜨리는 분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캐터는 다수개의 갈퀴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흩뜨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쇄기는 외면에 다수개의 분쇄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분쇄 롤러가 상호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쇄기는 한 쌍의 분쇄 롤러를 상하 단계적으로 설치하되, 하부로 갈수록 한 쌍의 분쇄 롤러 사이의 간극을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에 의하면 탈수처리를 거친 후 성형기로 공급되는 슬러지 중에 함유된 협잡물을 제거하여 성형기의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전을 통해 슬러지의 처리 효율을 높이고 정비 및 보수에 따른 불편함을 줄이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에 의하면 슬러지 중에서 금속을 별도로 분리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더욱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의 협잡물 제거수단을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의 분쇄기를 도시한 요부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와 이송펌프(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슬러지 중에 잔존하는 협잡물 중 금속을 걸러내는 금속 선별기(100) 및 상기 금속 선별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통과시키면서 일정크기 이상의 협잡물을 분쇄하는 분쇄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장치는 탈수된 슬러지를 저온 조건의 건조실에서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호퍼(10), 상기 호퍼에 저장된 슬러지를 압송하는 이송펌프(20), 상기 압송되는 슬러지를 내부의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실(30),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40),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열풍과 함께 수증기를 배출하는 폐열 배출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조실(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의 효율적인 건조를 위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각 공간에 각각 열을 공급하여 단계별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슬러지가 공급되는 공간과 배출되는 공간을 따로 구획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열에 의해 본 발명의 연결관을 비롯한 구동수단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30)의 각 공간에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나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최적의 상태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폐열 배출수단(50)은 뜨거운 공기를 식혀 배출하기 위한 응축기를 포함하는 한편, 배출되는 폐열 중에 일부를 상기 건조실(30)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추도록 한다.
상기 금속 선별기(100)는 상기 호퍼(10)와 이송펌프(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슬러지 중에 잔존하는 협잡물 중 금속을 걸러낸다. 상기 금속의 분리는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별도로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금속이 후술하는 분쇄기(200)를 통과하더라도 작게 분쇄되기보다 얇게 퍼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성형기의 노즐을 막기 때문에 별도로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선별기(100)는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를 이송시키도록 하되, 벨트가 자석 재질로 형성되어 금속이 부착되도록 하는 컨베이어(110)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슬러지를 흩뜨려 슬러지 중 금속이 상기 컨베이어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스캐터(120),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리턴하는 컨베이어의 표면에 부착된 금속을 긁어 떨어뜨리는 분리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110)는 벨트를 형성 시 각 셀을 직접 자석으로 형성하여 서로 연결하여도 무방하나, 금속재질로 형성된 각 셀의 표면에 자석을 판 형태로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캐터(120)는 실시 예로서 다수개의 갈퀴가 상기 컨베이어(110)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흩뜨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판(130)은 상기 컨베이어(110)의 벨트와 근접하는 부분을 칼 형태로 형성하여 금속이 밀리면서 자력이 약해지면 스스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기(200)는 상기 금속 선별기(100)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통과시키면서 일정크기 이상의 협잡물을 분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쇄되는 협잡물의 크기는 상기 슬러지를 가늘게 뽑아내는 성형기의 노즐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분쇄기(200)는 실시 예로서 외면에 다수개의 분쇄돌기(220)가 형성된 한 쌍의 분쇄 롤러(210)가 상호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 쌍의 분쇄 롤러(210)를 근접시켜 구동하면서 그 사이로 통과하는 협잡물이 분쇄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때 상기 분쇄 롤러(210)의 외면에 분쇄돌기(220)를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이 정체되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분쇄 및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쇄기(200)는 실시 예로서 각 한 쌍의 분쇄 롤러(210)를 상하 단계적으로 설치하되, 하부로 갈수록 한 쌍의 분쇄 롤러(210) 사이의 간극을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이 구성의 경우 크기가 큰 협잡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접착 작게 분쇄되는 것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분쇄롤러는 기어에 의해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고, 상하 분쇄롤러는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탈수처리를 거친 후 성형기로 공급되는 슬러지 중에 함유된 협잡물을 제거하여 성형기의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전을 통해 슬러지의 처리 효율을 높이고 정비 및 보수에 따른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슬러지 중에서 금속을 별도로 분리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더욱 실용적이다.
10: 호퍼 20: 이송 펌프
30: 건조실 40: 버너
50: 폐열 배출수단
100: 금속 선별기 110: 컨베이어
120: 스캐터 130: 분리판
200: 분쇄기 210: 분쇄 롤러
220: 분쇄 돌기

Claims (5)

  1. 탈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저장된 슬러지를 압송하는 이송펌프, 상기 압송되는 슬러지를 내부의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열풍과 함께 수증기를 배출하는 폐열 배출수단; 상기 호퍼와 이송펌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슬러지 중에 잔존하는 협잡물 중 금속을 걸러내는 금속 선별기; 및 상기 금속 선별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통과시키면서 일정크기 이상의 협잡물을 분쇄하는 분쇄기;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선별기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도록 하되, 벨트가 자석 재질로 형성되어 금속이 부착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송되는 슬러지를 흩뜨려 슬러지 중 금속이 상기 컨베이어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스캐터;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리턴하는 컨베이어의 표면에 부착된 금속을 긁어 떨어뜨리는 분리판;을 포함하되, 상기 스캐터는 다수개의 갈퀴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흩뜨리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분쇄기는 외면에 다수개의 분쇄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분쇄 롤러가 상호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각 한 쌍의 분쇄 롤러를 상하 단계적으로 설치하되 하부로 갈수록 각 한 쌍의 분쇄 롤러 사이의 간극을 점점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63903A 2015-05-07 2015-05-07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3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903A KR101737068B1 (ko) 2015-05-07 2015-05-07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903A KR101737068B1 (ko) 2015-05-07 2015-05-07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464A KR20160131464A (ko) 2016-11-16
KR101737068B1 true KR101737068B1 (ko) 2017-05-17

Family

ID=5754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903A Expired - Fee Related KR101737068B1 (ko) 2015-05-07 2015-05-07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8595B (zh) * 2019-08-28 2021-05-25 章庆宁 一种建筑垃圾中的金属收集装置
CN113477310A (zh) * 2021-06-17 2021-10-08 三峡大学 用于土壤样品的风干及研磨一体装置及方法
CN115283071B (zh) * 2022-09-20 2023-03-10 山东西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破碎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476B1 (ko) * 2008-01-09 2008-10-16 주식회사 대한테크 유·무기성 액성 혼합물 건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476B1 (ko) * 2008-01-09 2008-10-16 주식회사 대한테크 유·무기성 액성 혼합물 건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464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588B1 (ko) 저온 슬러지 건조기의 협잡물 제거장치
KR101768061B1 (ko) 골재파쇄장치
CN102921703B (zh) 厨余垃圾预处理工艺及系统
CN205288521U (zh) 一种颜料生产粉碎筛分机
KR101321370B1 (ko) 고효율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
KR10174216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쓰레기 파쇄 및 선별장치
KR101737068B1 (ko)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72172B1 (ko)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
JP2007190481A (ja) 廃プラスチックの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KR101591343B1 (ko)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EP0893220B1 (en) Apparatus for recycling polyethylene, particularly polyethylene foil
KR101151664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 장치
KR101488150B1 (ko) 폐스크랩을 이용한 재활용 수지칩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78642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90021B1 (ko) 불가사리 분쇄 및 건조장치
CN208975902U (zh) 一种用于挤出机的废料回收利用系统
KR20130060574A (ko) 폐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한 절단 장치
CN205392665U (zh) 一种生物质饲料封闭式机械破碎装置
KR101557474B1 (ko)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KR102019744B1 (ko) 친환경 폐비닐 자동 해체기
CN210116080U (zh) 一种废旧塑料回收处理流水线
KR101539652B1 (ko) 폐기물 유화시스템
KR200446606Y1 (ko) 산업폐기물 처리용 슈레더
CN221365393U (zh) 一种公路施工用废弃沥青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21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