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594B1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Google Patents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6594B1 KR101736594B1 KR1020150135695A KR20150135695A KR101736594B1 KR 101736594 B1 KR101736594 B1 KR 101736594B1 KR 1020150135695 A KR1020150135695 A KR 1020150135695A KR 20150135695 A KR20150135695 A KR 20150135695A KR 101736594 B1 KR101736594 B1 KR 1017365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structure
- longitudinal direction
- beam member
- steel
- installation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제1 조립철근망과, 상기 제1 조립철근망에 연계되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강구조체를 구비하는 기둥부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제2 조립철근망과, 상기 제2 조립철근망에 연계되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강구조체를 구비하는 보부재; 상기 제1 강구조체와 상기 제2 강구조체에 각각 삽입 체결되어, 상기 기둥부재 와 상기 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접합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보부재의 연결부분을 둘러싸도록 타설되는 접합콘크리트부; 포함하고, 상기 제1 강구조체 및, 상기 제2 강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모듈화된 한 쌍의 앵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접합부재는, 상기 제1 강구조체의 제1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재의 제1 앵글부재와 체결되는 접합본체; 및, 상기 접합본체에서 상기 보부재의 설치방향으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강구조체의 제2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부재의 제2 앵글부재와 체결되는 보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본체는 단부가 상기 보부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십자형의 철물로 구비되고, 상기 십자형 철물의 4곳의 단부영역에는 상기 보부재와 체결되는 상기 보접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접합부는 상기 제2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체결 또는 용접 접합되고, 상기 제2 강구조체는, 상기 보부재의 제2 콘크리트부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상부강구조체; 및, 상기 보부재의 제2 콘크리트부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하부강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부재의 절곡부재는, 상기 상부강구조체의 제2 설치공간부와, 상기 하부강구조체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lar structure comprising: a pillar member having a first assembly reinforcing net embed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first steel structure connected to the first assembly reinforcing ne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reinforcing bar net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reinforcing bar net,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body connect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ne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joi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structure and the second steel structure respectively and connecting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And a jointed concrete portion pierced so as to surrou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Wherein the first steel structure and the second steel structure have a pair of longitudinally modulated members; And a connecting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pair of angle members, wherein the connecting joi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irst angle member of the pillar membe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space portion of the first steel structure ; And a beam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joining body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beam member and engaged with the second angle member of the beam membe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portion of the second steel structure Wherein the joining body is formed by a cruciform iron piece whose end portion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eam member, and the beam connecting portions to be fastened to the beam member are formed at four end regions of the cruciform iron piece, And the second steel structure is bur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crete part of the beam member; And a lower steel structure buried in a lengthwise direction below the second concrete part of the beam member, wherein the bending member of the beam member includes a second installation space of the upper steel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installation space portions are provided so as to intersect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installation space and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ing structure of a pillar member and a beam member capable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while improv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종래의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인장 저항성능과 연성능력이 우수한 철근과 압축 저항성능, 조형성, 내화성능 및 경제성이 우수한 콘크리트를 결합한 구조형식이다.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reinforced concrete with excellent tensile resistance and ductility, concrete with excellent compression resistance, formability, refractory performance and economical efficiency.
그러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와 동바리 설치 등의 가설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현장시공이 복잡하고 현장 작업량이 증가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accompanied by the construction work such as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and the installation of the concrete for the concrete in the fiel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field construction is complicated and the workload on the site is increased.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시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철근 공장가공, 선조립 철근, 공장제작 등과 같이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such reinforced concrete work,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such as processing of reinforcing steel factory,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s, and factory production.
최근에는 강재를 이용한 합성구조 형식이 활용되고 있는데, 일례로 강판을 상부 개방형으로 성형가공 및 용접하여 제작한 후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강재를 영구거푸집 및 철근대체 구조체로 이용하는 합성보가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composite structure type using steel has been utilized. For example, a composite plate using a steel material as a permanent formwork and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used after filling the concrete into a steel plate by forming and welding the steel plate to an open top.
이러한 합성보는 하부 철근배근 및 거푸집 설치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작업을 줄이면서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효과로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This composite view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improve the structural performance by reducing the field work and combining the steel and concrete because the lower reinforcement and formwork installation can be omitted.
하지만,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비해 강재량이 증가하고 보-기둥 접합부 구성이 복잡해지며, 상부 개방형 구조로 작업자가 이동할 작업공간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compared to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amount of steel is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the beam-column joint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work space for an operator to move with the upper open structure.
또한, 강재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내화성능이 문제될 수 있어 내화피복에 대한 별도의 고려가 필요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된 강재 자체에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별도의 마감처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eel materia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eproof performance may be a problem when a fire occurs.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fireproof coating and corrosion may occur in the exposed steel material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본 발명은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연결부분을 부재 간의 삽입이라는 간이한 형식을 통하여 시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구조적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ing structure of a column member and a beam member which can secure a structural performance while improving workability by constructing a connection part between a column member and a beam member through a simple type of insertion between membe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제1 조립철근망과, 상기 제1 조립철근망에 연계되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강구조체를 구비하는 기둥부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제2 조립철근망과, 상기 제2 조립철근망에 연계되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강구조체를 구비하는 보부재; 상기 제1 강구조체와 상기 제2 강구조체에 각각 삽입 체결되어, 상기 기둥부재 와 상기 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접합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보부재의 연결부분을 둘러싸도록 타설되는 접합콘크리트부; 포함하고, 상기 제1 강구조체 및, 상기 제2 강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모듈화된 한 쌍의 앵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접합부재는, 상기 제1 강구조체의 제1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재의 제1 앵글부재와 체결되는 접합본체; 및, 상기 접합본체에서 상기 보부재의 설치방향으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강구조체의 제2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부재의 제2 앵글부재와 체결되는 보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본체는 단부가 상기 보부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십자형의 철물로 구비되고, 상기 십자형 철물의 4곳의 단부영역에는 상기 보부재와 체결되는 상기 보접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접합부는 상기 제2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체결 또는 용접 접합되고, 상기 제2 강구조체는, 상기 보부재의 제2 콘크리트부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상부강구조체; 및, 상기 보부재의 제2 콘크리트부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하부강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부재의 절곡부재는, 상기 상부강구조체의 제2 설치공간부와, 상기 하부강구조체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aving a first reinforcing steel net embed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first steel structure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steel ne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olumn member; A second reinforcing bar net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reinforcing bar net,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body connect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ne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joi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structure and the second steel structure respectively and connecting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And a jointed concrete portion pierced so as to surrou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Wherein the first steel structure and the second steel structure have a pair of longitudinally modulated members; And a connecting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pair of angle members, wherein the connecting joi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irst angle member of the pillar membe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space portion of the first steel structure ; And a beam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joining body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beam member and engaged with the second angle member of the beam membe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portion of the second steel structure Wherein the joining body is formed by a cruciform iron piece whose end portion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eam member, and the beam connecting portions to be fastened to the beam member are formed at four end regions of the cruciform iron piece, And the second steel structure is bur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crete part of the beam member; And a lower steel structure buried in a lengthwise direction below the second concrete part of the beam member, wherein the bending member of the beam member includes a second installation space of the upper steel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installation space portions are provided so as to intersect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installation space and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접합본체는 단부가 상기 보부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십자형의 철물로 구비되고, 상기 십자형 철물의 4곳의 단부영역에는 상기 보부재와 체결되는 상기 보접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접합부는 상기 제2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체결 또는 용접 접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joining body is formed of a cruciform iron material whose end portion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eam member, and the beam connecting portions to be fastened to the beam member are respectively formed at four end regions of the cruciform iron material, May be bolted or weld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바람직하게, 보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 콘크리트부; 상기 제2 콘크리트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주철근과 제2 스트럽을 구비하는 상기 제2 조립철근망; 상기 제2 콘트리트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2 강구조체; 및, 상기 제2 강구조체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상기 절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강구조체는, 상기 보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스트럽의 내측방향 중앙역역에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eam member comprises: the second concrete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embedded in the second concret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cast iron muscle and a second stirrer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steel structure being embedded in the second concrete part and extending from at least one end of the second concrete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art; And a bending member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steel structure, wherein the second steel structure is provi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member, and the second steel structure is disposed i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eam member, It can be install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inner side of the rack.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절곡부재는, 상기 상부강구조체 및, 상기 하부강구조체에 각각 배치되는 평행철근; 및, 상기 상부강구조체에 배치된 평행철근의 단부와, 상기 하부강구조체에 배치된 평행철근의 단부의 사이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철근;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ending member includes: a parallel steel bar disposed on the upper steel structure and the lower steel structure, respectively; And an inclined reinforcing bar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rallel reinforcing bars disposed in the upper steel structure and the ends of the parallel reinforcing bars disposed in the lower steel building in an oblique direction.
바람직하게, 기둥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콘크리트부; 상기 제1 콘크리트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주철근과 제1 스트럽을 구비하는 상기 제1 조립철근망; 상기 제1 콘크리트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제1 강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구조체는,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각면에 배치되는 제1 스트럽의 내측방향 중앙역역에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illar member comprises: a first concrete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einforcing steel bar embedded in the first concrete portion and having a first cast iron and a first stirrer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steel structure extending in a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t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wherein the first steel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member, In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first struc.
바람직하게, 기둥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강구조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보강철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illar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steel member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first steel structures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member.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연결부분을 부재 간의 삽입이라는 간이한 형식을 통하여 시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구조적 성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ructural performance while improving the workability by constructing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through a simple type of insertion between memb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현장작업자의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시공상태의 확인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is open, the work space of the field worker can be easily secured and the construction state can be easily confirmed.
도 1은 본 발명의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둥부재에 연결접합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의 기둥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의 연결접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의 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설치되는 보부재의 제2 강구조체와 절곡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강구조체와 절곡부재가 설치된 보부재의 B-B'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일 실시예에 설치되는 보부재의 제2 강구조체와 절곡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 강구조체와 절곡부재가 설치된 보부재의 C-C'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bonding structure of a column member and a beam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oining structure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umn member of FIG. 2 in a direction AA 'in which a connecting joint member is installed.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lar member of a joining structure of the pillar member and the beam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joint member of a joining structure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member having a joining structure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eel structure and the bending member of the beam member install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teel structure shown in FIG. 7 and the beam member provided with the bent member in the B-B 'direc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second steel structure and the bending member of the beam member install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teel structure shown in FIG. 9 and the beam member provided with the bent member in the CC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joining structure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는 기둥부재(100), 보부재(200), 연결접합부재(300) 및, 접합콘크리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1, a joining structure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제1 조립철근망(110)과, 상기 제1 조립철근망(110)에 연계되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강구조체(130)를 구비하는 기둥부재(100)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제2 조립철근망(210)과, 상기 제2 조립철근망(210)에 연계되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강구조체(230)를 구비하는 보부재(200)와, 상기 제1 강구조체(130)와 상기 제2 강구조체(230)에 각각 삽입 체결되어, 상기 기둥부재(100) 와 상기 보부재(200)를 연결하는 연결접합부재(300) 및, 상기 기둥부재(100)와 상기 보부재(200)의 연결부분을 둘러싸도록 타설되는 접합콘크리트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includes a first assembled
이때, 조립철근망, 강구조체 및 연결접합부재(300)는 모두 강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호 강재 간의 접합방식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ssembled steel reinforcing net, the steel structure and the connecting
구체적으로, 기둥부재(100)의 제1 조립철근망(110)과 제2 강구조체(230), 보부재(200)의 제2 조립철근망(210)과 제2 강구조체(230), 제1 강구조체(130)와 연결접합부재(300) 및, 제2 강구조체(230)와 연결접합부재(300)가 강재 간의 접합방식에 의해 1차적으로 일체화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또한, 기둥부재(100)와 보부재(200)가 강재 간의 접합방식에 의해서 1차적으로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재(100)와 상기 보부재(200)의 연결부분을 둘러싸도록 타설되는 접합콘크리트부(400)에 의해 2차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구조체는 한 쌍의 앵글부재 및, 설치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teel structure may include a pair of angle members and an installation space portion.
그리고, 강구조체는 기둥부재(100)에 설치되는 제1 강구조체(130)와, 보부재(200)에 설치되는 제2 강구조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l structure may include a
강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앵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teel structure may include a pair of angle member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stallation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pair of angle members.
앵글부재는 적어도 일측 단부가 기둥부재(100)의 제1 콘크리트부(150)에 매립 형성되고, 타측은 타설되는 접합콘크리트부(400)에 의해 매립될 수 있다.At least one end portion of the angle member may be embedded in the
물론, 기둥부재(100)의 길이방향 전체에 앵글부재가 매립되고, 기둥부재(100)와 보부재(200)의 연결부분 방향으로 앵글부재의 일측단부가 노출되는 형태로 가능할 수 있다.Of course, an angle member may be embedded in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앵글부재는 ㄱ자형의 앵글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앵글부재의 적어도 어느 일측의 길이방향의 단부에는 절곡 또는 만곡된 형태의 정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접합콘크리트부(400), 제1 콘크리트부(150) 및, 제2 콘크리트부(250)와의 부착성능 및, 일체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angle member may be formed of a square type of angle member and at least one end of the angle member may be formed with a bent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o form a
앵글부재는 'ㄱ'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ㄱ'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앵글부재에 의해 횡력에 대한 저항능력이 향상될 수 있어 중량물인 연결접합부재(300)를 시공시 자체적으로 자립가능하여 철골구조와 유사하게 여러 층을 한번에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ngle member can have an A-shaped cross-section, and resistance to a lateral force can be improved by a pair of angle members having an A-shaped cross-section. Thus, the connecting
그리고, 한 쌍의 앵글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부에 연결접합부재(300)를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연결접합부재(30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추가철물이 필요없어 앵글부재에 의해 보다 간이하게 보부재(200)와 기둥부재(100)의 접합부분이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Further, since the connection
제1 강구조체(130)에 적용되는 앵글부재와, 제2 강구조체(230)에 적용되는 앵글부재는 모듈화된 동일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화된 강구조체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자의 시공성이 개선되면서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ame members as the angle members applied to the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앵글부재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연결접합부재(300)가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면서 연결접합부재(300)가 보부재(200) 및, 기둥부재(100)에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pair of angle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While the connecting
이때, 연결접합부재(300)는, 일측이 상기 제1 강구조체(130)의 제1 설치공간부(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재(100)의 제1 앵글부재(131)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강구조체(230)의 제2 설치공간부(233)에 상기 연결접합부재(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부재(200)의 제2 앵글부재(231)와 체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기둥부재(100) 및, 보부재(200)가 조립철근망, 강구조체 및, 연결접합부재(300)를 매개로 강재 간의 접합방식에 의해 1차적으로 일체화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The
도 4를 참조하면, 기둥부재(100)는 제1 콘크리트부(150), 제1 조립철근망(110) 및, 제1 강구조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기둥부재(1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콘크리트부(150)와, 상기 제1 콘크리트부(150)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주철근(111)과 제1 스트럽(113)을 구비하는 제1 조립철근망(110)과, 상기 제1 콘크리트부(150)의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강구조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구조체(130)는, 상기 기둥부재(100)의 각면에 배치되는 제1 스트럽(113)의 내측방향 중앙역역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콘크리트부(150)는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프리캐스트 소재로 구비될 수 있고, 접합콘크리트부(400)는 제1 콘크리트부(150)와 각각 연결되도록 타설되면서 상기 기둥부재(100)와 보부재(200)를 일체화할 수 있다.
The firs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둥부재(100)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강구조체(13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보강철물(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제1 강구조체(130)는 상기 기둥부재(100)의 각면에 형성되는 제1 스트럽(113)의 내측 중앙역역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기둥부재(10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철근콘크리트기둥으로 구비될 수 있고, 기둥부재(100)에는 4개의 보부재(200)가 설치될 수 있다.The
기둥부재(100)의 각면에 제1 강구조체(130)가 배치되면서 기둥부재(100)에는 총 4개의 제1 강구조체(130)가 배치될 수 있고, 보강철물(170)은 4개의 제1 강구조체(13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팔각보강근으로 구비될 수 있다.A total of four
팔각보강근은 각면의 스트럽과 접합될 수 있어, 제1 강구조체(130), 팔각보강근 및, 제1 스트럽(113)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The octagonal reinforcing bars can be joined to the strakes on each side so that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접합부재(300)는 접합본체(310) 및, 보접합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5, the
연결접합부재(300)는 상기 제1 설치공간부(1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재(100)의 앵글부재와 체결되는 접합본체(310) 및, 상기 접합본체(310)에서 상기 보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강구조체(230)의 제2 설치공간부(2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부재(200)의 앵글부재와 체결되는 보접합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joining
연결접합부재(300)의 보접합부(330)가 강구조체의 설치공간부에 삽입이라는 간이한 방식으로 통해 설치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joining
보접합부(330)에는 상부강구조체(230-1)와 체결되는 상부체결공이 상측에 형성되고, 하부강구조체(230-2)와 체결되는 하부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An upper fastening hole to be fastened to the upper steel structure 230-1 may be formed on the upper joint and a lower fastening hole to be fastened to the lower steel structure 230-2 may be formed on the beam joint 330. [
보접합부(330)가 상부강구조체(230-1) 및, 하부강구조체(230-2)의 한 쌍의 제2 앵글부재(23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설치공간부(2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체결공과 하부체결공에 볼트부재가 체결되면서 일체화될 수 있다.
The
접합본체(310)는 단부가 상기 보부재(2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십자형의 철물로 구비되고, 상기 십자형 철물의 4곳의 단부영역에는 상기 보부재(200)와 체결되는 상기 보접합부(33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접합부(330)는 상기 제2 설치공간부(233)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체결 또는 용접 접합될 수 있다.The joining
기둥부재(10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철근콘크리트기둥으로 구비될 수 있고, 기둥부재(100)에는 4개의 보부재(20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도 6을 참조하면, 보부재(200)는 제2 콘크리트부(250), 제2 조립철근망(210), 제2 강구조체(230) 및, 절곡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보부재(2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콘크리트부(250)와, 상기 제2 콘크리트부(250)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주철근(211)과 제2 스트럽(213)을 구비하는 제2 조립철근망(210)과, 상기 제2 콘트리트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부(250)의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강구조체(230) 및, 상기 제2 강구조체(230)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절곡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강구조체(230)는, 상기 보부재(200)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스트럽(213)의 내측방향 중앙역역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제2 강구조체(230)가 제2 스트럽(213)의 내측방향 중앙영역에 형성됨으로써,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좌굴로 인한 강도저하의 우려가 적어 우수한 휨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Since the
제2 콘크리트부(250)는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프리캐스트 소재로 구비될 수 있고, 접합콘크리트부(400)는 상기 제2 콘크리트부(250)와 연결되도록 타설되면서 기둥부재(100)와 보부재(200)를 일체화할 수 있다.
The second
그리고, 최근에는 강재를 이용한 합성구조 형식이 활용되고 있는데, 일례로 강판을 상부 개방형으로 성형가공 및 용접하여 제작한 후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강재를 영구거푸집 및 철근대체 구조체로 이용하는 합성보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강재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내화성능이 문제될 수 있어 내화피복에 대한 별도의 고려가 필요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된 강재 자체에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a composite structure type using a steel material has been utilized. For example, a composite plate is used in which a steel plate is formed into an upper open shape by molding, welding, and then filled with concrete and used as a permanent formwork and a reinforcing steel substitute structure In this case, since the steel materia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eproof performance may be a problem when a fire occu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ireproof coating separately, and corrosion of the steel material exposed to the outside may occur.
반면에, 본 발명의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면서 현장작업자의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시공상태의 확인이 용이하며, 강구조체가 콘크리트부 또는 접합콘크리트부(400)에 매립되면서 별도의 내화피복 등을 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open form, it is easy to secure the work space of the field worker and the confirmation of the construction state is easy, and the steel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concrete part or the jointed
도 7을 참조하면, 제2 강구조체(230)는 상부강구조체(230-1) 및, 하부강구조체(230-2)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제2 강구조체(230)는 상기 제2 콘크리트부(25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상부강구조체(230-1) 및, 상기 제2 콘크리트부(250)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하부강구조체(230-2)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재(270)는 상기 상부강구조체(230-1)의 제2 설치공간부(233)와, 상기 하부강구조체(230-2)의 제2 설치공간부(233)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보부재(200)의 상측과 하측에 상부강구조체(230-1)와 하부강구조체(230-2)를 배치하고, 상부강구조체(230-1)와 하부강구조체(230-2)의 사이를 절곡부재(270)를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철근에 비해 단면 2차 모멘트값이 증가되면서 휨강성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teel structure 230-1 and the lower steel structure 230-2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보부재(200)가 상부강구조체(230-1)와 하부강구조체(230-2)의 사이가 절곡부재(270)를 통해 연결되면서 'H'형강과 유사한 하중저항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시공 중의 중력하중에 대한 지지능력이 증가될 수 있어 거푸집 등을 지지하는 서포트 등의 시공량이 적어지면서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절곡부재(270)는 평행철근(271) 및, 경사철근(273)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연결철물(2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nding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절곡부재(270)는 상기 상부강구조체(230-1) 및, 상기 하부강구조체(230-2)에 각각 배치되는 평행철근(271) 및, 상기 상부강구조체(230-1)에 배치된 평행철근(271)의 단부와, 상기 하부강구조체(230-2)에 배치된 평행철근(271)의 단부의 사이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철근(273)을 구비할 수 있다.8 and 9, the bendin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절곡부재(270)는 상기 평행철근(271) 및, 상기 경사철근(273)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고정하여 상기 상부강구조체(230-1) 및, 상기 하부강구조체(230-2)에 설치하는 연결철물(2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9 and 10, the bending
절곡부재(270)는 제2 설치공간부(233)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철물(275)을 매개로 상기 제2 강구조체(230)에 설치될 수 있다.The bending
연결철물(275)은 절곡부재(27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강구조체(230-1)의 제2 설치공간부(233)에 삽입 설치될 수 있고,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절곡부재(270), 연결철물(275), 상부강구조체(230-1)가 동시에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재(270), 연결철물(275), 하부강구조체(230-2)는 동일한 방식으로 일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nnecting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기둥부재 110: 제1 조립철근망
111: 제1 주철근 113: 제1 스트럽
130: 제1 강구조체 131: 제1 앵글부재
133: 제1 설치공간부 150: 제1 콘크리트부
170: 보강철물 200: 보부재
210: 제2 조립철근망 211: 제2 주철근
213: 제2 스트럽 230: 제2 강구조체
230-1: 상부강구조체 230-2: 하부강구조체
231: 제2 앵글부재 233: 제2 설치공간부
250: 제2 콘크리트부 270: 절곡부재
271: 평행철근 273: 경사철근
275: 연결철물 300: 연결접합부재
310: 접합본체 330: 보접합부
400: 접합콘크리트부100: column member 110: first assembly reinforcing bar
111: First Cast Iron 113: 1st Streak
130: first steel structure 131: first angle member
133: first installation space part 150: first concrete part
170: reinforcement steel 200: beam member
210: second assembly reinforcing net 211: second main reinforcing bar
213: Second Strike 230: Second Steel Structure
230-1: upper steel structure 230-2: lower steel structure
231: second angle member 233: second installation space part
250: second concrete part 270: bent member
271: Parallel rebar 273: Reinforced rebar
275: connection hardware 300: connecting joint member
310: joint body 330: beam joint
400: jointed concrete part
Claims (9)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제2 조립철근망과, 상기 제2 조립철근망에 연계되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강구조체를 구비하는 보부재;
상기 제1 강구조체와 상기 제2 강구조체에 각각 삽입 체결되어, 상기 기둥부재 와 상기 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접합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보부재의 연결부분을 둘러싸도록 타설되는 접합콘크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구조체 및, 상기 제2 강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모듈화된 한 쌍의 앵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앵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접합부재는,
상기 제1 강구조체의 제1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재의 제1 앵글부재와 체결되는 접합본체; 및,
상기 접합본체에서 상기 보부재의 설치방향으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강구조체의 제2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부재의 제2 앵글부재와 체결되는 보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본체는 단부가 상기 보부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십자형의 철물로 구비되고,
상기 십자형 철물의 4곳의 단부영역에는 상기 보부재와 체결되는 상기 보접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접합부는 상기 제2 설치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체결 또는 용접 접합되고,
상기 제2 강구조체는,
상기 보부재의 제2 콘크리트부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상부강구조체; 및,
상기 보부재의 제2 콘크리트부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하부강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부재의 절곡부재는,
상기 상부강구조체의 제2 설치공간부와, 상기 하부강구조체의 제2 설치공간부의 사이를 교차하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A pillar member having a first reinforcing steel net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first steel structure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steel ne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reinforcing bar net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reinforcing bar net,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body connect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ne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connecting joi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structure and the second steel structure respectively and connecting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And
And a jointed concrete portion pierced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lumn member and the beam member,
And the first steel structure and the second steel structure,
A pair of angle member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dularized; And
And an installation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pair of angle members,
The connecting joint material may be formed,
A joining main body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angle member of the pillar membe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space portion of the first steel structure; And
And a join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joining body in a direction toward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beam member and engaged with the second angle member of the beam membe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portion of the second steel structure ,
Wherein the joining body is formed of a cruciform iron piece whose end portion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eam member,
Wherein the beam connecting portions to be fastened to the beam member are respectively formed at four end regions of the cruciform iron material,
Wherein the beam connecting portion is bolted or weld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installation space portion,
Wherein the second steel structure comprises:
An upper steel structure bur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ve the second concrete part of the beam member; And
And a lower steel structure bur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low the second concrete portion of the beam member,
The bending member of the beam member
And a second installation space of the upper steel structure and a second installation space of the lower steel structure.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 콘크리트부;
상기 제2 콘크리트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주철근과 제2 스트럽을 구비하는 상기 제2 조립철근망;
상기 제2 콘트리트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제2 강구조체; 및,
상기 제2 강구조체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상기 절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강구조체는,
상기 보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스트럽의 내측방향 중앙역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crete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reinforcing steel bar embedded in the second concret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cast iron muscle and a second stirrer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steel structure being embedded in the second concrete part and extending from at least one end of the second concrete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art; And
And the bending member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steel structure,
Wherein the second steel structure comprise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ruts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member and are provided at an inner central region of the second strut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eam member.
상기 상부강구조체 및, 상기 하부강구조체에 각각 배치되는 평행철근; 및,
상기 상부강구조체에 배치된 평행철근의 단부와, 상기 하부강구조체에 배치된 평행철근의 단부의 사이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철근;을 구비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2. The ben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parallel steel bar disposed on the upper steel structure and the lower steel structure, respectively; And
And an inclined reinforcing bar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rallel reinforcing bars disposed in the upper steel structure and the ends of the parallel reinforcing bars disposed in the lower steel building in an oblique direction.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콘크리트부;
상기 제1 콘크리트부에 매립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주철근과 제1 스트럽을 구비하는 상기 제1 조립철근망;
상기 제1 콘크리트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분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제1 강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구조체는,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각면에 배치되는 제1 스트럽의 내측방향 중앙역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The columnar member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crete port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einforcing steel bar embedded in the first concrete portion and having a first cast iron and a first stirrer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steel structure extending from at least one end of the first concret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steel structure comprises:
Wherein the columnar member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member and is provided at an inner central region of the first stirrer disposed on each surface of the column member.
복수 개의 상기 제1 강구조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보강철물;을 더 포함하는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And a reinforcement metal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first steel structures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5695A KR101736594B1 (en) | 2015-09-24 | 2015-09-24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5695A KR101736594B1 (en) | 2015-09-24 | 2015-09-24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6949A KR20170036949A (en) | 2017-04-04 |
KR101736594B1 true KR101736594B1 (en) | 2017-05-17 |
Family
ID=5858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5695A Active KR101736594B1 (en) | 2015-09-24 | 2015-09-24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659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7753B1 (en) * | 2018-05-03 | 2020-06-09 | (주)티케이이엔지 | Shear Reinforcement Assemblies for Punching Shear Reinforcement of Slab and Column Joints and for Maintaining Concrete Coating Wall Thickness and Its Fabrication Method |
CN112282049B (en) * | 2020-11-17 | 2022-07-05 |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 Reinforced concrete superposed primary and secondary beam connecting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42300A (en) * | 2001-02-13 | 2002-08-28 | Takenaka Komuten Co Ltd | Connecting method between precast concrete beams in beam-column joint part |
-
2015
- 2015-09-24 KR KR1020150135695A patent/KR1017365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42300A (en) * | 2001-02-13 | 2002-08-28 | Takenaka Komuten Co Ltd | Connecting method between precast concrete beams in beam-column joint p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6949A (en) | 2017-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7677B1 (en) | Compisite column structure for steel and concrete | |
KR100797194B1 (en) |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295740B1 (en) | Joint of Steel Column | |
KR101622522B1 (en) |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s using H-beam and bending iron plate | |
KR20100054889A (en) | Development of fabricated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using corrugated tube | |
KR101225662B1 (en) | Prefabricated precast steel grid composite de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1225661B1 (en) | Concrete shear key strengthened with steel cover plate and tension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20180109766A (en) | E-z connecting structure for beam and column wherein the end-moment and bending resistibility are reinforced | |
KR101458435B1 (en) |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736594B1 (en)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
KR101734187B1 (en) | Pre-assembled re-bar column | |
KR101904115B1 (en) |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 |
KR100626544B1 (en) | Steel plate-concrete composite beam and high rigid composite structural system using it | |
KR101212259B1 (en) | Composite slab using corrugated plate and making method therewith | |
KR102201182B1 (en) | Steel built-up beam for composite transfer girder | |
JP6574336B2 (en) | Steel-frame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buildings using the same | |
JP3870180B2 (en) | Beam-column joint structure | |
KR20130000775U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 |
JP6978901B2 (en) |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beam members | |
JP2012188870A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column | |
KR101904118B1 (en) | Bonding System of Composite Column and Beam | |
JP5344702B2 (en) | Column and slab joint structure | |
JPH0960194A (en) | Precast concrete structure | |
JP6968047B2 (en) | Seismic retrofitting | |
KR100660524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and beam joint using internal reinforcing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