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966B1 - Detecting device of slab - Google Patents
Detecting device of slab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5966B1 KR101735966B1 KR1020150185700A KR20150185700A KR101735966B1 KR 101735966 B1 KR101735966 B1 KR 101735966B1 KR 1020150185700 A KR1020150185700 A KR 1020150185700A KR 20150185700 A KR20150185700 A KR 20150185700A KR 101735966 B1 KR101735966 B1 KR 1017359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sensor
- unit
- slab
- amplif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8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20—Tempera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18—Presence of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브의 복사열을 통해 슬라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 탈부착되고 유체를 증폭하여 외부로 토출하면서 센서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탈부착되고 외부 빛에 의한 센서부의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슬라브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후드부를 포함하여, 센서부의 슬라브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sen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ab sens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a slab through a radiant heat of a slab, a connection unit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sensor unit, And a hood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extended toward the slab so as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sensor portion due to external light, thereby preventing a slab detection error of the sensor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브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슬라브를 감지하되 이물질 유입을 억제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슬라브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det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ab detection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 slab at a high temperature while suppress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using the slab for a long time.
일반적으로 연주 공정의 반출 테이블로 이송되는 고온의 슬라브는 압연 과정을 거쳐 제품화되는데, 감지장치가 고온의 슬라브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제품 불량을 방지하고 있다.Generally, the high-temperature slab transported to the take-out table of the performance process is rolled into a product, and the sensing device continuously detects the position of the high-temperature slab to prevent the product failur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34317호(2013.12.10. 공개, 발명의 명칭 : 슬라브 포지션 확인장치)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134317 (published on Dec. 10, 2013, entitled "Slab Position Confirma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물질의 유입을 억제하여 장기간 고온의 슬라브 감지가 가능한 슬라브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ab detec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slab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suppress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는: 슬라브의 복사열을 통해 상기 슬라브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탈부착되고, 유체를 증폭하여 외부로 토출하면서 상기 센서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탈부착되고, 외부 빛에 의한 상기 센서부의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슬라브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후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lab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a slab through radiation heat of a slab; A connection part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nsor part and amplifies the fluid and discharges the fluid to the outsid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on the sensor part; And a hood part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toward the slab so that malfunction of the sensor part due to external light is prevented.
상기 센서부는 센서하우징부; 상기 센서하우징부에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서돌기부; 및 상기 센서돌기부에 내장되어 빛을 감지하는 센서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sensor housing part; A senso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nsor housing part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nsor lens unit embedded in the sensor protrusion and sensing light.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센서돌기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후드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연결관부; 상기 연결관부에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증폭시켜 상기 연결관부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체증폭부; 및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고, 외부 유체가 상기 연결관부를 통과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센서렌즈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유체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connection pipe portion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nsor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hood portion; A fluid supply part for supplying a high-pressure fluid to the connection tube part; A fluid amplification part formed on the connection tube part, for amplifying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part and guiding the flui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tube part; And a fluid inlet formed in the connection tube portion, for guiding the external flui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tube portion and preventing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in the sensor lens portion.
상기 연결관부는 상기 센서돌기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유체증폭부와 상기 유체유입부가 형성되는 고정관부; 및 상기 고정관부에 조립되고, 상기 후드부가 탈부착되는 조립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tube portion being fixed at one end to the sensor protrusion portion, the fluid amplifier portion and the fluid inlet portion being formed; And a fitting tube part assembled to the fixing tube part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od part.
상기 유체공급부는 고압의 유체를 토출하는 고압발생부; 및 상기 고압발생부와 상기 연결관부를 연결하고, 상기 고압발생부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상기 유체증폭부로 안내하는 고압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uid supply unit includes: a high-pressure generating unit that discharges a high-pressure fluid; And a high-pressure induction unit connecting the high-pressure generating unit and the connection pipe unit, and guid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high-pressure generating unit to the fluid amplifying unit.
상기 유체증폭부는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고 환상공간을 형성하는 증폭환상부; 상기 증폭환상부에 연통되고, 상기 유체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폭환상부로 유체를 안내하는 증폭유입부; 및 상기 증폭환상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의 내측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증폭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luid amplification unit comprises: an amplification annular part formed in the connection tube part and forming an annular space; An amplification inf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mplification annula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ortion to guide the fluid to the amplification annular portion; And an amplification / discharge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amplification annular unit and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tube unit.
상기 유체유입부는 상기 연결관부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하고, 상기 연결관부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uid inflow part may have a hole shap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part, and a plurality of fluid inflow parts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part.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체유입부를 통해 상기 센서렌즈부에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크리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fluid cleaner part that discharges fluid to the sensor lens part through the fluid inflow part.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는 연결부가 센서부와 후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시켜 줌으로써, 조립 부위 손상시 연결부를 교체 사용할 수 있다.The slab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connection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sensor part and the hood part so that the connection part can be replaced when the assembly part is damaged.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는 연결관부가 고압 유체를 증폭하는 과정에서 연결관부에 결합되는 센서렌즈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lab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sensor lens unit coupled to the connection tube during the process of amplifying the high-pressure fluid.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는 고정관부가 센서돌기부에 조립되고, 고정관부에 조립되는 조립관부에 후드부가 탈부착되므로, 조립 부위 손상시 조립관부만 교체할 수 있다.In the slab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pipe portion is assembled to the sensor protrusion portion and the hood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assembly pipe portion assembled to the fixing pipe portion, only the assembly pipe portion can be replaced when the assembly portion is damaged.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는 유체크리너부가 센서렌즈부에 직접 유체를 토출하여 센서렌즈부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센서렌즈부 세척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The slab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cleaning period of the sensor lens portion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sensor lens portion by discharging fluid directly to the sensor lens portion of the fluid cleaner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후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연결부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연결부의 유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유체크리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slab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d is separated in FIG. 1.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part in a slab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art in a slab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uid flow of a connection portion in a slab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of a fluid cleaner in a slab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lab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Further,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후드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1)는 센서부(10)와, 연결부(20)와, 후드부(30)를 포함한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lab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od is separated in FIG. Referring to FIGS. 1 and 2, a
센서부(10)는 슬라브(100)의 복사열을 통해 슬라브(1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연결부(20)는 센서부(10)에 탈부착되고, 유체 증폭을 통해 센서부(10)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드부(30)는 연결부(20)에 탈부착되고, 슬라브(100)의 복사열을 제외한 외부 빛이 센서부(1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센서부(10)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후드부(30)는 슬라브(100)의 이동경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관 형상을 할 수 있다. 연결부(20)와 후드부(30)가 동일한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이들 간의 탈부착 과정에서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부(10)는 센서하우징부(11)와, 센서돌기부(12)와, 센서렌즈부(13)를 포함한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the
센서하우징부(11)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센서돌기부(12)는 센서하우징부(11)에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센서렌즈부(13)는 센서돌기부(12)에 내장되어 빛을 감지한다. 즉, 센서렌즈부(13)는 유입되는 빛을 통해 슬라브(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연결부의 분해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연결부의 유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part in a slab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part of the slab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fluid flow of a connection portion in a slab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는 연결관부(21)와, 유체공급부(22)와, 유체증폭부(23)와, 유체유입부(24)를 포함한다.4 to 6, the
연결관부(21)는 센서돌기부(12)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후드부(30)에 타단부가 결합된다. 연결관부(21)는 고정관부(211)와 조립관부(212)를 포함한다. 고정관부(211)는 센서돌기부(12)에 일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유체증폭부(23)와 유체유입부(24)가 형성된다. 조립관부(212)는 양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일단부는 고정관부(211)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는 후드부(30)와 나사 결합된다. 이로 인해, 후드부(30)는 조립관부(212)에서 분리되어 추가적인 세척이 가능하다. 그리고, 후드부(30)와 조립관부(212)간의 잦은 탈부착 과정에서 조립관부(212)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경우, 조립관부(212)만 교체 사용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유체공급부(22)는 연결관부(21)에 고압의 유체를 공급한다. 유체공급부(22)는 고압발생부(221)와 고압유도부(222)를 포함한다. 고압발생부(221)는 고압의 유체를 토출한다. 일 예로, 고압발생부(221)는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 및 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압유도부(222)는 고압발생부(221)와 연결관부(21)를 연결하고, 고압발생부(221)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유체증폭부(23)로 안내한다. 즉, 고압유도부(222)는 고압발생부(221)에서 생성된 고압을 유체증폭부(23)로 공급할 수 있다.The
유체증폭부(23)는 연결관부(21)에 형성되고, 유체공급부(22)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증폭시켜 연결관부(21)를 통과하도록 유도한다. 유체증폭부(23)는 증폭환상부(231)와, 증폭유입부(232)와, 증폭토출부(233)를 포함한다.The
증폭환상부(231)는 연결관부(21)에 형성되고, 환상공간을 형성한다. 일 예로, 관 형상의 연결관부(21)의 내부에 환상공간을 갖는 증폭환상부(231)가 형성되고, 증폭환상부(231)에 고압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The amplification
증폭유입부(232)는 증폭환상부(231)에 연통되고, 유체공급부(22)와 연결되어 증폭환상부(231)로 유체를 안내한다. 일 예로, 증폭유입부(232)는 연결관부(21)의 외측에 형성되어 증폭환상부(231)와 연통될 수 있다. 증폭유입부(232)에는 고압유도부(222)가 연결될 수 있다.The
증폭토출부(233)는 증폭환상부(231)의 단부에 형성되고, 연결관부(21)의 내측으로 유체를 배출한다. 일 예로, 증폭토출부(233)는 좁은 링 형상을 하고, 증폭환상부(231)에서 증폭토출부(233)로 이동된 고압 유체는 연결관부(21)의 중심부로 분사된다.The amplifying and discharging
증폭토출부(233)를 통해 연결관부(21)의 중심부로 분사된 고압 유체는 코안다(coanda) 효과를 일으키는 연결관부(21)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이 꺾여 출구로 향하게 된다.The high-pressure fluid injec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유체유입부(24)는 연결관부(21)에 형성되고, 외부 유체가 연결관부(21)를 통과하도록 안내하여 센서렌즈부(13)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한다. 일 예로, 유체유입부(24)는 연결관부(21)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하고, 연결관부(21)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일 예로, 고정관부(211)의 일단부가 센서돌기부(12)에 나사 결합되고, 고정관부(21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유체유입부(24)와 유체증폭부(23)가 순차로 배치될 수 있다. 유체유입부(24)를 통해 유입된 외부 유체는 증폭토출부(233)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와 합쳐져 풍량과 풍속이 증대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x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유체크리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는 유체크리너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is a schematic view of a fluid cleaner in a slab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유체크리너부(25)는 유체유입부(24)를 통해 센서렌즈부(13)에 유체를 토출한다. 일 예로, 복수개의 유체유입부(24) 중 어느 하나에 유체크리너부(25)가 장착될 수 있다. 유체크리너부(25)는 단부가 센서렌즈부(13)를 향하여 유체를 토출한다. 이로 인해, 센서렌즈부(13)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더라도 유체크리너부(25)에서 토출되는 유체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lab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센서부(10)에 연결부(20)를 나사 조립하고, 연결부(20)의 단부에 후드부(30)를 나사 조립한다. 이때, 후드부(30)는 슬라브(100)의 이동경로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센서부(10)의 센서렌즈부(13)는 슬라브(100)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슬라브(100)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한편, 유체공급부(22)를 통해 유체증폭부(23)에 유입된 고압 유체는 연결관부(21)의 중심부로 토출된 후, 코안다 효과를 통해 출구로 향한다. 이때, 연결관부(21)의 중심부에 낮은 압력의 진공부를 생성시켜 줌으로써, 유체유입부(24)를 통해 다량의 외부 유체가 유입된 후, 유체증폭부(23)에서 배출되는 유체와 함께 출구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high-pressure fluid introduced into the
유체증폭부(23)를 통해 센서렌즈부(13) 주위의 유체가 연결관부(21)의 출구로 이동되므로, 센서렌즈부(13)에 이물질의 누적이 제한적이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유체유입부(24)에 유체크리너부(25)를 장착하고, 센서렌즈부(13)를 향하여 유체를 토출하면, 센서렌즈부(13)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Since the fluid around the
한편, 장기간 사용으로 후드부(30)의 내측면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경우, 연결관부(21)에서 후드부(30)를 분리하여 후드부(30)를 자체 세척한 후 재조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foreign matter accumulat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그리고, 반복되는 조립 과정으로 인해 후드부(30)와 연결관부(21)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후드부(30) 또는 연결관부(21)를 교체한다. 이때, 연결관부(21)가 센서부(10)에 조립되는 고정관부(211)와, 고정관부(211)와 후드부(30)를 연결하는 조립관부(212)를 포함하는 경우, 고정관부(211)를 센서부(1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립관부(212)만 교체할 수 있다.If the threads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1)는 연결부(20)가 센서부(10)와 후드부(3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시켜 줌으로써, 조립 부위 손상시 연결부(20)를 교체 사용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1)는 연결관부(21)가 고압 유체를 증폭하는 과정에서 연결관부(21)에 결합되는 센서렌즈부(13)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1)는 고정관부(211)가 센서돌기부(12)에 조립되고, 고정관부(211)에 조립되는 조립관부(212)에 후드부(30)가 탈부착되므로, 조립 부위 손상시 조립관부(212)만 교체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 감지장치(1)는 유체크리너부(25)가 센서렌즈부(13)에 직접 유체를 토출하여 센서렌즈부(13)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센서렌즈부(13) 세척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센서부 11 : 센서하우징부
12 : 센서돌기부 13 : 센서렌즈부
20 : 연결부 21 : 연결관부
22 : 유체공급부 23 : 유체증폭부
24 : 유체유입부 25 : 유체크리너부
30 : 후드부 211 고정관부
212 : 조립관부 221 : 고압발생부
222 : 고압유도부 231 : 증폭환상부
232 : 증폭유입부 233 : 증폭토출부10: Sensor part 11: Sensor housing part
12: sensor projection part 13: sensor lens part
20: connection part 21: connection part
22: fluid supply part 23: fluid amplification part
24: fluid inflow part 25: fluid cleaner part
30:
212: assembly tube portion 221: high pressure generator
222: high-pressure induction portion 231: amplified annular portion
232: amplification inflow section 233: amplification discharge section
Claims (8)
상기 센서부에 탈부착되고, 유체를 증폭하여 외부로 토출하면서 상기 센서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탈부착되고, 외부 빛에 의한 상기 센서부의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슬라브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후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센서하우징부;
상기 센서하우징부에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서돌기부; 및
상기 센서돌기부에 내장되어 빛을 감지하는 센서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센서돌기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후드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연결관부;
상기 연결관부에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증폭시켜 상기 연결관부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유체증폭부; 및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고, 외부 유체가 상기 연결관부를 통과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센서렌즈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유체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증폭부는
상기 연결관부에 형성되고 환상공간을 형성하는 증폭환상부;
상기 증폭환상부에 연통되고, 상기 유체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폭환상부로 유체를 안내하는 증폭유입부; 및
상기 증폭환상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의 내측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증폭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감지장치.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slab through radiation heat of the slab;
A connection unit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nsor unit and amplifying the fluid and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outsid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on the sensor unit; And
And a hood part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toward the slab so as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sensor part due to external light,
The sensor unit
A sensor housing part;
A senso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nsor housing part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nd a sensor lens unit built in the sensor protrusion for sensing light,
The connecting portion
A connection pip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nsor protrusion part and the other end part connected to the hood part;
A fluid supply part for supplying a high-pressure fluid to the connection tube part;
A fluid amplification part formed on the connection tube part, for amplifying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part and guiding the flui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tube part; And
And a fluid inlet formed in the connection tube portion and guiding the external flui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tube portion to prevent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in the sensor lens portion,
The fluid amplifier
An amplification annular portion formed in the connection tube portion and forming an annular space;
An amplification inf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mplification annular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ortion to guide the fluid to the amplification annular portion; And
And an amplification discharge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amplification annular unit and discharging the flui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tube unit.
상기 센서돌기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유체증폭부와 상기 유체유입부가 형성되는 고정관부; 및
상기 고정관부에 조립되고, 상기 후드부가 탈부착되는 조립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감지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tube portion
A fixing tube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nsor protrusion part and forming the fluid amplification part and the fluid inflow part; And
And a fitting tube part assembled to the fixing tube part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od part.
고압의 유체를 토출하는 고압발생부; 및
상기 고압발생부와 상기 연결관부를 연결하고, 상기 고압발생부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상기 유체증폭부로 안내하는 고압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감지장치.
The fluid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high pressure generating part for discharging a high pressure fluid; And
And a high-pressure induction unit connecting the high-pressure generating unit and the connection pipe unit, and guid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high-pressure generating unit to the fluid amplifying unit.
상기 연결관부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하고, 상기 연결관부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감지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luid inlet
And a plurality of the slab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tube portion.
상기 유체유입부를 통해 상기 센서렌즈부에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크리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감지장치.8.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7,
And a fluid cleaner part for discharging fluid to the sensor lens part through the fluid inflow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700A KR101735966B1 (en) | 2015-12-24 | 2015-12-24 | Detecting device of slab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700A KR101735966B1 (en) | 2015-12-24 | 2015-12-24 | Detecting device of slab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5966B1 true KR101735966B1 (en) | 2017-05-15 |
Family
ID=5873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5700A Active KR101735966B1 (en) | 2015-12-24 | 2015-12-24 | Detecting device of slab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596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3088B1 (en) * | 2013-04-29 | 2014-09-2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Device of emergency switch |
-
2015
- 2015-12-24 KR KR1020150185700A patent/KR1017359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3088B1 (en) * | 2013-04-29 | 2014-09-2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Device of emergency switc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3328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humidity in die casting mold | |
TWI404880B (en) | Insert for coupling of fluid transport | |
US20110048236A1 (en) | Gas turbine inlet filter hous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15509813A5 (en) | ||
KR101439808B1 (en) | flushing Apparatus | |
KR101735966B1 (en) | Detecting device of slab | |
JP6047523B2 (en) | Coanda injector | |
KR101559812B1 (en) | A Vacuum Pump Ejector | |
JP2009245138A (en) | Smoke sensor | |
JP7163067B2 (en) | Filter monitoring in pneumatic conveying systems | |
WO2017104595A1 (en) |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 |
KR101643574B1 (en) | Jet nozzle for bagfilter cleaning | |
JP2010075902A (en) | Bag type dust collector | |
JP6999677B2 (en) | Fastening device for holding the sensor | |
JP2016107247A (en) | Duct cleaning device and duct cleaning method | |
JP6607880B2 (en) | Compressed air injection device | |
KR200424660Y1 (en) | Air Shower Device | |
US20010018034A1 (en) | Ammonia generating apparatus | |
US9827576B2 (en) | Nozzle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suction and high pressure blowing | |
DK1649918T3 (en) | Cleaning system for dust extraction filters | |
KR102291711B1 (en) | Apparatus for piping management to amplify fluid flow rate using controller | |
JP2006234568A (en) | Gas measuring device | |
KR102349155B1 (en) | Burner apparatus | |
KR101322826B1 (en) | Safety valve for cleaning | |
KR100570442B1 (en) | Blocking device of boiler pressure det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