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936B1 - lane indicating stick with easily shift - Google Patents
lane indicating stick with easily shif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3936B1 KR101733936B1 KR1020160149291A KR20160149291A KR101733936B1 KR 101733936 B1 KR101733936 B1 KR 101733936B1 KR 1020160149291 A KR1020160149291 A KR 1020160149291A KR 20160149291 A KR20160149291 A KR 20160149291A KR 101733936 B1 KR101733936 B1 KR 1017339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ture
- finishing plate
- marking rod
- lane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2—Upright or projecting signs or signals permanently installed directly on or in the roadway and designed to be depressed by rolling or other loads and then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e.g. collapsible or rockable stop signs,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for audible warn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의 중앙선이나 차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야간이나 우천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을 보다 명확하게 분간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표지봉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차선 표지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marking rod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nd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center line or a lane on a road on which a vehicle travels so as to allow a driver of the vehicle to clearly distinguish the lane at night or in a rain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marking rod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facilitating replacement of a rod.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의 중앙선이나 차선상에는 야간주행이나 우천주행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을 보다 명확하게 분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차선침범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는 차선 표지봉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Generally, on a center line or a lane on a road on which a vehicle travels, a driver of a vehicle is allowed to clearly distinguish the lane during nighttime driving or rainy day driving so that an accident caused by a vehicle lane can be prevented. Lane markers having a height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도 1에 도시된 도면 대용 사진과 같이 종래의 도로에 설치된 도로 표지봉(1)은 곡선 구간에 특히 많이 설치되며, 차량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잦은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1, the
또한, 표지병은 도로에 밀착된 형태로 설치되어 차선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도 2는 종래의 도로에 설치된 표지병을 도시하는 도면대용 사진이다.In addition, the marker is installed in a form adhered to the road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lane.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 marker placed on a conventional road.
이러한 표지봉과 표지병은 야간 또는 주간에 운전자가 식별이 용이하도록 형광 재질 또는 물질로 제작되거나, 외면에 이러한 재질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이용된다.Such markers and markers are made of fluorescent material or material for easy identification at night or during the day, or are used in such a way that these materials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이러한 표지봉과 표지병에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20-2005-0018245호(2005.06.24:출원일), 출원번호 제20-2009-0015866호(2009.12.07:출원일) 등이 있다.Prior art relating to such a marking and mark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Office No. 20-2005-0018245 (filed on June 24, 2005), Application No. 20-2009-0015866 (filed on December 13, 2009), etc. .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표지병은 잦은 파손으로 인하여 교체가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 제거 및 재설치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arker bottle has frequent replacement work due to frequent breakag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removal and reinstallation are troublesome as needed.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은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제거 및 재설치가 편리한 차선 표지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ne marking rod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nd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nd which is easy to remove and reinstall.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은 차선 표지봉에 있어서, 볼트를 통해서 도로상에 고정되고 측면이 표지병 형태의 경사면을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함몰홈과, 상기 함몰홈에 형성된 너트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 고리형태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결합되는 돌출턱이 형성된 표지봉과, 상기 걸림홈과 돌출턱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의 하부에는 상기 함몰홈의 너트부에 결합되는 마감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마감판의 하부에는 충진재가 삽입되며, 상기 마감판의 중심부에는 함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ane marking bar easy to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ne marking stick having a support base fixed on a road through a bolt and having a beveled slope on the side surface, a recessed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And a rubber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engaging groove and the protruding jaw, wherein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the protruding jaw, and the protruding jaw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hole, And a finishing plate coupled to the nut portion of the recessed groove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ture, a fill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nishing plate, and a recessed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nished plate.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은 고정구를 통해서 표지봉을 쉽게 설치 및 분리시킬 수 있고, 고무판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표지봉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ane marking rod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unt and separate the marking stick through the fixture,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marking stick can be firmly mounted using a rubber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을 고정구를 통해서 제거가 편리하고 마감판을 이용하여 표지병 형태로 변환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ane mark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a fixture and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 marker form using a finish plate.
또한, 표지봉의 체결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여 전문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표지병 분리 및 체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fasten and separate the cover bar,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the separation and fastening of the cover bottle even without a professional operator.
도 1은 종래의 도로에 설치된 도로 표지봉을 도시하는 도면대용 사진.
도 2는 종래의 도로에 설치된 표지병을 도시하는 도면대용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다른 사용예시도.
도 7은 도 3의 다른 사용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을 도시하는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road sign rod installed on a conventional road. FIG.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 conventional marker bottle installed on a roa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ne marking rod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of the coupling of Figure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ne marking rod which is easily replaceab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other use example of Figure 3;
Figure 7 is another use example of Figure 3;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ne marking rod which is easily replaceab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ne marking rod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은 지지대(10), 함몰홈(20), 고정구(30) 및 표지봉(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lane marking rod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지지대(10)는 볼트(12)를 통해서 도로상에 고정되며, 표지병의 외관 형태로 제작된다. 즉, 표지봉(40)이 제거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마감판을 이용하여 종래의 표지병 형태로 이용가능한 것이다.First, the
따라서, 종래의 표지병 형태와 유사하게 측면은 경사면(19)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having the
이러한 지지대(10)는 상부면 상부면에 함몰홈(20)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20)에는 너트부(11)가 형성되며, 단단하게 도로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내충격성, 내열성, 내화학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The
다음으로, 이러한 함몰홈(20)에는 표지봉(40)의 하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표지봉(40)은 고정구(30)를 통해서 단단하게 고정된다.Next, the lower end of the
이러한 고정구(30)는 너트부(11)에 결합되는 나사부(33)가 형성된 원형 고리형태로 제작되며, 표지봉(40)은 중공의 봉 형태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The
부가적으로, 이러한 표지봉과 지지대는 난반사 시트 또는 난반사 물질을 부착시켜서 야간에 보다 식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설치되는 지역을 도로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높이 및 종류의 표지봉이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marker rod and a support rod can attach a diffuse reflection sheet or a diffusive material so as to have a more discriminating power at night, and a marker rod of various heights and types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locations according to the road environment.
이러한 고정구를 이용한 표지봉의 고정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In more detail, a fixing structure of a mark bar using such a fix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3의 결합도이다.4 is a combined view of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3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32)에 표지봉(40)의 하단부에 돌출형성된 돌출턱(42)이 걸리면서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표지봉을 보다 단단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무판을 이용할 수 있다.The protrudin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ne marking rod which is easy to repla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30)와 표지봉(40)사이에 고무판(50)을 삽입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구(30)의 걸림홈(32)과 돌출턱(42) 사이에 고무판(50)이 삽입되어 보다 단단하게 표지봉(40)을 고정시킬 수 있다.5, the
본 발명에 다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은 표지봉이 제거된 상태에서 표지병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The lane marking rod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marker with the marking rod removed.
도 6은 도 3의 다른 사용예시도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봉(40)이 제거된 상태에서 원판 형태의 마감판(60)을 함몰홈에 형성된 너트부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use example of FIG. 3. As shown in FIG. 6, in a state in which the
즉, 재난 등의 긴급 통제 상황이나 임시로 차선을 통제하여야 하는 경우 표지병을 설치하거나 표지봉 형태로 적절히 응용가능한 것이다.In other words, emergency control situations such as disasters or temporary lane control should be used as signs or signs.
다만, 마감판(60)이 함몰홈에 완전히 체결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하부에 별도의 충진재(70)를 넣은 상태에서 마감판(60)을 체결하여 나사부와 너트부의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However, when the
이러한 마감판(60)은 지지대(10) 내부에 수용하는 형태로도 응용가능하다.The
도 7은 도 3의 다른 사용예시도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판(60)이 고정구(30)의 하부에 너트부와 결합되며, 표지봉(40)을 분리시키고 표지병 형태로 응용하는 과정에서 고정구(30)를 제거하고 표지봉(40)을 제거시킨 상태에서 마감판(60)을 회전시켜서 상측으로 이동시켜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되므로 편리하게 이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7, the
이러한 도 7의 실시예에서 표지봉(40)이 분리된 상태에서 마감판(60)을 돌려서 지지대(10)의 높이와 동일하게 맞추게 되면, 함몰홈의 내부에 빈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지속적인 반복 하중으로 인하여 나사부 또는 너트부가 파손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7, if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에서는 충진재(70)를 이용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그리고, 이러한 마감판(60)의 수직 이동을 위한 회전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감판(60)의 중심부에는 일자 또는 십자 형태의 함몰공이 형성되어 이와 대응되는 모양의 작업 도구(드라이버 형태)을 이용하여 마감판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easily perform the rotation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ne marking ro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asy to rep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lane mark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지지대(10), 함몰홈(20), 고정구(30) 및 표지봉(4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점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지지대(30)에 형성된 나사부(13)에 결합되는 너트부(33)가 형성된 원형 고리형태의 고정구(30)에 형성되며, 나사부(13)와 너트부(33)의 결합을 통해서 고정구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결합되는 돌출턱이 형성된 표지봉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택한 실시예이다.8 is similar to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includes the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유사하게 고정구(30)와 표지봉(40) 사이에는 고무판(60)이 삽입되어 보다 단단하게 표지봉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incipal technical idea to provide a lane marking rod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and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nly on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10: 지지대
11: 너트부
12: 볼트
13: 나사부
19: 경사면
20: 함몰홈
30: 고정구
32: 걸림홈
33: 너트부
40: 표지봉
42: 돌출턱
50: 고무판
60: 마감판
70: 충진재10: Support
11: Nut portion
12: Bolt
13:
19: slope
20: recessed groove
30: Fixture
32: Retaining groove
33: Nut portion
40: Cover Stick
42: protruding chin
50: Rubber plate
60: Finishing plate
70: filler
Claims (5)
볼트를 통해서 도로상에 고정되고 측면이 표지병 형태의 경사면을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함몰홈과;
상기 함몰홈에 형성된 너트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원형 고리형태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결합되는 돌출턱이 형성된 표지봉과;
상기 걸림홈과 돌출턱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의 하부에는 상기 함몰홈의 너트부에 결합되는 마감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마감판의 하부에는 충진재가 삽입되며, 상기 마감판의 중심부에는 함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가 용이한 차선 표지봉.
In the lane marker rod,
A support fixed on the road through the bolt and having a beveled slope in side view;
A reces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 annular ring-shaped fixture having a threaded portion coupled to a nut portion formed in the recessed groove;
A cover bar having a protruding protrusion coupled to an engag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fixture;
And a rubber plate inserted between the engaging groove and the protruding jaw,
Wherein the finishing plate further includes a finishing plate coupled to a nut portion of the recessed groove, a filler is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finishing plate, and a recessed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nishing plate. Cover stic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291A KR101733936B1 (en) | 2016-11-10 | 2016-11-10 | lane indicating stick with easily shif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9291A KR101733936B1 (en) | 2016-11-10 | 2016-11-10 | lane indicating stick with easily shif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3936B1 true KR101733936B1 (en) | 2017-05-08 |
Family
ID=6016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9291A Active KR101733936B1 (en) | 2016-11-10 | 2016-11-10 | lane indicating stick with easily shif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393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2598B1 (en) * | 2020-11-25 | 2021-07-28 | 장선주 | Multifunctional Transportation Guidance Facility |
CN115075161A (en) * | 2021-03-10 | 2022-09-20 | 四川长宏交通工程有限公司 | Temporary road sig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8398Y1 (en) * | 2000-02-16 | 2000-07-15 | 양복녀 | Guidepost Assembly for Contral line of Road |
KR200275981Y1 (en) * | 2002-02-07 | 2002-05-18 | 남철현 | Load indicater |
KR200426972Y1 (en) * | 2006-06-28 | 2006-09-20 | 주식회사 흥화휀스산업 | Line of sight |
-
2016
- 2016-11-10 KR KR1020160149291A patent/KR1017339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8398Y1 (en) * | 2000-02-16 | 2000-07-15 | 양복녀 | Guidepost Assembly for Contral line of Road |
KR200275981Y1 (en) * | 2002-02-07 | 2002-05-18 | 남철현 | Load indicater |
KR200426972Y1 (en) * | 2006-06-28 | 2006-09-20 | 주식회사 흥화휀스산업 | Line of sigh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2598B1 (en) * | 2020-11-25 | 2021-07-28 | 장선주 | Multifunctional Transportation Guidance Facility |
CN115075161A (en) * | 2021-03-10 | 2022-09-20 | 四川长宏交通工程有限公司 | Temporary road sig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3936B1 (en) | lane indicating stick with easily shift | |
US3091997A (en) | Highway picket and reflective marker | |
KR102014662B1 (en) | Roadway stud marker | |
JP5849569B2 (en) | Road sign pillar | |
US9095973B2 (en) | Bicycle service kits | |
JPH08239812A (en) | Traffic sign post | |
KR101938680B1 (en) | Road markers with installation means | |
WO2006078803A1 (en) | Traffic flow indicator with traffic cone-mounted movable pointer | |
KR101842711B1 (en) | Road stud | |
KR20130007487U (en) | Device for fixing to road stud | |
KR100906411B1 (en) | Line of sight | |
KR200219084Y1 (en) | a traffic lane divisional strip | |
JP2007308986A (en) | Self-light emitting signpost | |
JP2005113636A (en) | Guide light support aid | |
JP6359927B2 (en) | Signpost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2088142B1 (en) | Road sign for the scramble for lane markings | |
JP2856303B2 (en) | Road signage | |
JP5819214B2 (en) | Signpost | |
KR101808030B1 (en) | Signboard for construction work | |
KR200271988Y1 (en) | tool of indicating use for road | |
KR200395988Y1 (en) | Lane indicating stick | |
KR102826516B1 (en) | Road stud with anti-slip function | |
JP2010222831A (en) | Road sign body and pressing device | |
KR200271981Y1 (en) | A mark-board of road forming recombination | |
KR200332985Y1 (en) | A indicator of a traffic lane device on lo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