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3448B1 -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e Method - Google Patents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448B1
KR101733448B1 KR1020150045518A KR20150045518A KR101733448B1 KR 101733448 B1 KR101733448 B1 KR 101733448B1 KR 1020150045518 A KR1020150045518 A KR 1020150045518A KR 20150045518 A KR20150045518 A KR 20150045518A KR 101733448 B1 KR101733448 B1 KR 10173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ot
electronic cigarette
cover
ope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6991A (en
Inventor
신종수
Original Assignee
신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수 filed Critical 신종수
Priority to KR102015004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48B1/en
Publication of KR2016011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4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면에 돌출된 조작부를 가지는 장치부와,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장치부를 내측에 포함하여 장치부의 외면을 감싸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로 인입될 때,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 상에 슬롯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부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며,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포함된 하우징부의 슬롯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존의 슬림한 전자담배를 만들기 위해 상하로 나뉜 하우징부 사이에 장치부를 넣고 상하 하우징부를 다시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개선을 없애, 내구성이 있으며, 외관상의 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없고,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상기 커버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외관을 구성할 수 있는,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cigarette and an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device part having an opera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 housing part enclo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evice part including the device part inside through an opened surface; And a slot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so that the protruding operation portion is not caught by the housing portion when the apparatus portion is drawn into the housing portion, the slot port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width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protruded operating portion has the same shape as a trace to be mov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until the apparatus portion is seat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cover portion and covers the slot portion, And an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manipulating portion on the same position as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n order to make the conventional slim electronic cigarette, the apparatus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using portions and the upper and lower housing portions are joined again. There is no element to deteriorate the appearance of the aesthetics, and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can be varied to replace the cover portion, so that an appearance suited to the user's taste can be formed To an electronic cigaret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igarette.

Figure 112015031663942-pat00001
Figure 112015031663942-pat00001

Description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igarette,

본 발명은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면에 돌출된 조작부를 가지는 장치부와,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장치부를 내측에 포함하여 장치부의 외면을 감싸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로 인입될 때,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 상에 슬롯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부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며,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포함된 하우징부의 슬롯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존의 슬림한 전자담배를 만들기 위해 상하로 나뉜 하우징부 사이에 장치부를 넣고 상하 하우징부를 다시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개선을 없애, 내구성이 있으며, 외관상의 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없고,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상기 커버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외관을 구성할 수 있는,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cigarette and an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device part having an opera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 housing part enclo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evice part including the device part inside through an opened surface; And a slot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so that the protruding operation portion is not caught by the housing portion when the apparatus portion is drawn into the housing portion, the slot port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width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protruded operating portion has the same shape as a trace to be mov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until the apparatus portion is seat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cover portion and covers the slot portion, And an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manipulating portion on the same position as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n order to make the conventional slim electronic cigarette, the apparatus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using portions and the upper and lower housing portions are joined again. There is no element to deteriorate the appearance of the aesthetics, and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can be varied to replace the cover portion, so that an appearance suited to the user's taste can be formed To an electronic cigaret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cigarette.

권련, 엽권련, 파이프 담배 등의 흡연식 담배 연기에는 타르,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등의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수없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폐암이나 순환기 질환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며, 흡연자의 건강뿐만 아니라, 흡연자가 흡연시 내뿜는 담배연기와 흡연한 장소에 잔류하는 유해성분들에 의해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주게 된다. 과거와 달리 흡연식 담배의 판매에 대하여 각종 규제가 강화되고 흡연장소를 제한하는 등의 흡연율을 낮추고 금연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담배에 포함된 니코틴 성분에 중독된 흡연자들이 하루아침에 담배를 끊어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Smoking cigarettes such as cigarette smoke, cigarette smoke, and pipe tobacco smoke contain numerous harmful substances such as tar, hydrocarbon, and carbon monoxide, which cause various diseases such as lung cancer and circulatory diseases, , Smokers smoke tobacco smoke in the cigarette smoke and residues in the place of the smokers to the people around by the second-hand tobacco smoking damage. Unlike in the past, various regulations have been strengthened regarding the sale of cigarettes and policies for lowering smoking rates and promoting smoking cessation have been implemented all over the world. However, smokers who are addicted to nicotine It is not easy to quit smoking one morning.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흡연식 담배에 포함되어 있는 타르 등의 유해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한 용액을 기화시켜 연기를 생성하는 전자담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데, 이는 흡연자의 흡연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해성이 적은 연기를 방출하게 되므로 흡연자 및 간접흡연자의 피해를 감소시켜, 금연을 원하는 흡연자들에게는 금연 보조수단으로까지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electronic cigarette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which do not contain harmful substances such as tar contained in a smoking cigarette but generate a smoke by vaporizing a solution containing nicotine. The smokers can reduce the harm of smokers and second-hand smokers because they emit less harmful smoke. However, smokers who want to smoke are used as a means of quitting smoking.

이러한 전자 담배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면서 관련 상품들이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은 전자 담배의 기능적인 측면 이외의 디자인적 측면에도 주목하면서 더 고급스럽고 휴대하기 좋은 얇은 디자인의 전자 담배를 원하고 있고, 기존의 흡연식 담배와 같은 긴 원통 형상의 전자 담배보다는 휴대가 간편한 박스형태의 전자 담배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As the popularity of these electronic cigarettes continues to rise, related products continue to be poured out. Consumers are looking for design cigarettes with a thin design that is more luxurious and portable, paying attention not only to functional aspects of electronic cigarett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box-shaped electronic cigarette which is easier to carry than a long cylindrical electronic cigarette such as a conventional smoking cigarette.

따라서 관련 업계는 박스형 전자 담배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해나가고 있으나, 액상물질을 기화시키고 발생한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조작부를 하우징부에 넣는 과정에서 돌출된 정도만큼의 추가적인 잉여 공간이 하우징부에 더 필요하게 되었고, 상기 조작부를 다시금 하우징부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인서트를 잉여 공간에 채워넣어, 상기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는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공간을 채우기 위한 불필요한 부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이중의 문제가 발생하였다.Accordingly, the related art continues to study the thickness of the box-shaped electronic cigarette. However, due to the protruded operation portion configuration of the device portion for allowing the user to inhale the generated smoke and vaporizing the liquid substance, the opera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An additional surplus space as much as the protruded amount is required in the housing part and the inserting part for projecting the operating part agai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is filled in the surplus space so that not only the unnecessary space is generated, There arises a double problem in which an unnecessary member for filling is additionally required.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인 장치부와 하우징부에 관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of an apparatus and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전자 담배의 경우, 크게 전력을 공급받아 액상 물질을 기화시키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후술할 하우징부(30)의 내측 형태와 동일한 장치부(10)와, 상기 장치부(1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장치부(10)를 내측에 포함시키는 하우징부(30)로 구성될 수 있었다. 상기 장치부(10)는 상기 액상물질의 기화 여부 및 기화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된 형태의 조작부(11)를 상기 장치부(10) 외면에 포함했고, 상기 하우징부(30)는 상기 조작부(11)를 수용하는 슬롯부(31)를 상기 조작부(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포함하였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lectronic cigarette,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hape of the housing par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allows the user to absorb smoke generated through the liquid material, And a housing unit 30 having a shape that encloses the apparatus unit 10 and preferably has one side opened to include the apparatus unit 10 on the inside. The apparatus unit 10 includes a protruding type operating unit 1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pparatus unit 10 for adjusting the amount of vaporization and vaporization of the liquid material, And a slot portion 31 for receiving the operation portion 11 is inclu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ortion 11. [

이렇게 될 경우 돌출된 제1조작부(111)와 제2조작부(112)가 장치부(10) 전체에서 차지하는 영역이 비교적 적음에도, 상기 조작부(11)의 돌출 정도까지 고려하여 하우징부(30)의 폭이 정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하여 조작부(11)의 돌출 정도를 제한해야 했음은 물론, 전자담배를 전체적으로 슬림(Slim)하게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부(10)의 측면 두께 및 그 너비와 동일한 내측 단면을 가지는 하우징부(30)를 설계하더라도,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인입하는 과정에서 돌출된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에 걸려 장치부(10)의 인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바, 돌출된 조작부(11)의 돌출 높이까지 고려한 하우징부(30)의 설계가 요구되었고, 이로써 슬림한 전자담배를 만드는데 제한이 있었다.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protruding from the housing portion 30 are relatively less than the entire area of the apparatus portion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dth of the electronic cigarette is limited, thereby limiting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operation portion 11 and making the electronic cigarette slim as a whole. 1, even if the housing part 30 having the same inner cross-section as the side wall thickness and the width of the device part 10 is designed, the process of drawing the device part 10 into the housing part 3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ng portion 11 protruded from the housing portion 30 is caught by the housing portion 30 and interferes with the drawing of the apparatus portion 10. The design of the housing portion 30 considering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rotruded operating portion 11 And there was a limit to making slim electronic cigarettes.

도 2는 도 1의 장치부의 측면(a)과 하우징부의 상측(b)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ide surface (a) of the apparatus portion and an upper side (b) of the housing portion of Fig. 1;

도 2를 참고하면, 도 2의 (a)는 도 1의 장치부(10)를 바닥에 눕혀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장치부(10)가 눕혀진 바닥에서부터 제1조작부(111) 상면까지의 높이를 h1이라고 하고, 장치부(10)가 눕혀진 바닥에서부터 제2조작부(112) 상면까지의 높이를 h2라고 한다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30) 내측 폭의 길이를 h3이라고 할 때, h3의 길이는 상기 h1과 h2의 길이 가운데 더 긴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했다. 따라서 장치부(10)의 일부 요소인 제1조작부(111) 또는 제2조작부(112)가 돌출된 정도에 의해 하우징부(30) 전체의 폭이 결정되는 문제가 있었다.2 is a side view of the apparatus unit 10 shown in FIG. 1 with the apparatus unit 10 lying on the floor. FIG. 2 (a) is a side view of the apparatus unit 10, If th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apparatus unit 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operating unit 112 is h2 and the height to the upper surface is h1 and the height is h2, When the length of the inner width is h3,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h3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engths of h1 and h2.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width of the housing part 30 is determined by the extent to which the first operation part 111 or the second operation part 112, which is a part of the device part 10, protrudes.

도 3은 도 1의 장치부와 하우징부를 결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apparatus unit and the housing unit of FIG. 1 are combined.

도 3을 참고하면, 도 3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라 조작부(11)가 돌출 형성된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부(30)의 폭은 돌출된 조작부(11)까지 고려하여 정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도 3의 (b)는 인입된 장치부(10)의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 외면의 슬롯부(31)로(도 1 참고)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뒷 공간(S)을 형성하며 앞으로 밀리는 과정을 도시한 것인데, 결국 상기 공간(S)은 단순히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인입시키는데 필요한 추가적 공간(S)에 지나지 않는다. 도 3의 (c)는 상기 잉여 공간(S)에 인서트(I)를 삽입하여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밀착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d)는 종래 기술에 따라 장치부(10)가 인입된 하우징부(30)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a)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device unit 10 having a manipulation unit 11 protruded therein is inserted into a housing unit 30 according to a related art. Referring to FIG. 3, It is understood that the width of the protruding operation portion 11 should be determined. 3 (b) shows a rear space S formed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11 of the drawn-in device 10 can be protrudingly formed in the slot portion 31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30 So that the space S is merely an additional space S necessary for drawing the apparatus part 10 into the housing part 30. In this case, 3C shows the insertion of the insert I into the surplus space S to bring the apparatus section 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section 30 and FIG.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housing unit 30 into which the apparatus unit 10 is drawn.

결국, 장치부(10)를 삽입하는 방향에서부터 상기 슬롯부(31)를 형성하지 않은 까닭에, 상기 하우징부(30)에 상기 장치부(10)를 인입시 돌출된 조작부(11)까지 고려하게 되어 불필요한 공간(S)이 발생하고, 그 공간을 매우기 위한 추가적인 인서트(I)가 삽입되는 문제까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서트(I)의 성형을 위해 또 다른 금형이나 공정이 요구된다.As a result, since the slot part 31 is not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aratus part 10 is inserted, the operation part 11 protruded when the apparatus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30 is considered So that an unnecessary space S is generated and an additional insert I for the space is inserted. Further, another mold or process is required for molding the insert (I).

도 4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인 장치부와 하우징부에 관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device part and a hous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 4를 참고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는 다른, 종래의 다른 실시예로,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30)를 반으로 절개하여 장치부(10)를 사이에 두고 다시 절개된 하우징부(30)를 결합하여 전자담배의 전체적 두께를 슬림하게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난 추가적인 잉여 공간(S)의 문제 및 인서트(I)의 추가 문제는 없지만, 도 4의 (b)에 도시된 대로 하우징부(30) 측면에 절개선(L)이 나타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절개선(L)이 없는 것보다 하우징부(30)의 강성이 약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측에 포함되는 장치부(10)를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되며, 또한 외관상 상기 절개선(L)이 드러나게 되면서 전체적인 미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shown in FIG. 1 to FIG. 3,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The housing part 30 is cut in half and the housing part 30, which is again cut through the device part 10, is engaged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electronic cigarette. There is no problem of the additional surplus space S shown in Figs. 1 to 3 and the additional problem of the insert I, but the inconvenience L appears i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 4 (b) New problems arise. In this case, the stiffness of the housing part 30 becomes weaker than the absence of the incision reduction (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device part 10 contained in the in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line reduction (L) is revealed and the overall aesthetic appearance is adversely affected.

따라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관한 설명을 참고하면, 추가적인 잉여 공간(S)과 인서트(I)가 요구되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전체적으로 슬림한 전자담배를 구성하고, 하우징부(30) 측면에 절개선(L)이 생기는 것을 막아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4, the electronic cigarette as a whole is formed while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which the additional surplus space S and the insert I are required, (L)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reby avoiding harm to the overall appear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장치부, 하우징부, 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장치부에 돌출 형성된 조작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에 슬롯부를 두고, 하우징부 외면에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한 전자담배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cluding a device unit, a housing unit, and a cover unit, wherein a slot por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unit so that an operating unit protruding from the device unit is not caught by the housing unit, And an electronic cigarette which is slim as a whole.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장치부를 인입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슬림한 전자담배를 만들기 위해 상하로 분리된 하우징부 사이에 장치부를 넣고 상하 하우징부를 다시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개선을 없애, 내구성이 있으며, 외관상의 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없는 전자담배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ethod of pulling a device unit into a housing unit, a device unit is inserted between upper and lower housing units to make an existing slim electronic cigarette, and the upper and lower housing units are joined again. It is aimed at producing an electronic cigarette that has no elements that are durable and that do not detract from the beauty of appearance, eliminating the improvement.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상기 커버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자담배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a user's taste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and replacing the cover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슬롯부를,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하여,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슬롯부와 상기 조작부가 밀착 결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part of the housing part is form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par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so that the protruding operation part has the same shape as the trace to be mov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until the device part is seated in the housing part So that the slot portion and the operating portion are in tight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만들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하우징부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shape opposite to the opened one side in which the apparatus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is drawn, and one end of the slot portion is extended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aratus portion is draw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provide a housing part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prevent waste of a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에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여 장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커버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engagement of the cover portion with the housing portion including the apparatus portion, including the operating portion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projected operating portion of the apparatus portion in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에 돌출된 조작부를 가지는 장치부와,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장치부를 내측에 포함하여 장치부 외면을 감싸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로 인입될 때,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 상에 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device part having an operating part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a housing part enclosing the device part outer side by including the device part on an open side; And a slot part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to prevent the protruding operation part from being caught by the housing part when the device part is drawn into the housing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t part has a width greater than a maximum width of the operation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는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t part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par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and the protruding operation part is moved to a position to be mov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until the device part is seated in the housing part.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slot part is extended to form a slot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to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part is draw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open shape, which is opposite to the open side from which the apparatus portion is draw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포함된 하우징부의 슬롯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art includes a cover pa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ot part of the housing part including the device part and covering the slot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n operation portion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operation portion on the same position as the protruding operation portion of the device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부 일면 상에 슬롯부를 형성하는 슬롯부 형성단계와, 돌출된 조작부가 있는 장치부를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하는 장치부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ot forming step of forming a slot part on one side of a housing part, and a device part inserting step of inserting a device part having a protruding operation part into the housing part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lot forming step, a slot having a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width of the operating portion is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lot forming step, the apparatus is formed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operating portion is mov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until the apparatus is seat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a slot portio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trace to be formed is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lot forming step, a slot part is formed by extending one end of the slot part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to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aratus part is drawn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슬롯부가 포함되는 하우징부의, 상기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lot forming step, the housing part including the slot part is also formed in an open shape, which is opposite to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into which the apparatus part is inserted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장치부가 포함된 하우징부의 슬롯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부착하는 커버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ver attaching step of attaching a cover pa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a slot part of a housing part including the device part and covering the slot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 부착단계에서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상기 커버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ver attaching step, the cover portion includes an operation portion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operation portion on the same position as the protruding operation portion of the apparatus portion.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장치부, 하우징부, 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장치부에 돌출 형성된 조작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에 슬롯부를 두고, 하우징부 외면에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한 전자담배를 만드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cluding a device unit, a housing unit, and a cover unit, wherein a slot por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unit so that an operating unit protruding from the device unit is not caught by the housing unit, The electronic cigaret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aking a slim electronic cigarette as a whole including the cover portion covering the portion.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장치부를 인입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슬림한 전자담배를 만들기 위해 상하로 분리된 하우징부 사이에 장치부를 넣고 상하 하우징부를 다시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개선을 없애, 내구성이 있으며, 외관상의 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없는 전자담배를 만드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a device is inserted between upper and lower housing parts to make a conventional slim electronic cigarette by using a method of pulling the device part into the housing part and the upper and lower housing parts are joined again, To produce an electronic cigarette that is durable and has no elements that damage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상기 커버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자담배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can be varied, and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cigarette suited to the user's taste can be formed by simply replacing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슬롯부를,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하여,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슬롯부와 상기 조작부가 밀착 결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slot part of the housing part is form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par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so that the protruding operation part has the same shape as the trace to be mov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until the device part is seated in the housing par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lot portion and the operating portion are tightly engag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만들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하우징부를 만드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shape so as to face the opened on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in which the apparatus portion is inserted, and one end of the slot portion is extended to connec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portion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aratus portion is drawn-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a housing part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prevent the waste of the member.

본 발명은 커버부에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여 장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커버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engagement of the cover portion with the housing portion including the device portion, including the operation portion accommodating hole that accommodates the protruding operation portion of the device portion in the cover portion.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인 장치부와 하우징부에 관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장치부의 측면(a)과 하우징부의 상측(b)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장치부와 하우징부를 결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인 장치부와 하우징부에 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담배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장치부에 관한 사시도.
도 8은 도 5의 하우징부에 관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하우징부의 슬롯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부의 슬롯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부의 슬롯부에 관한 도면.
도 12는 도 5의 커버부에 관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예로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판을 가진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하판을 가진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담배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of a device part and a housing par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ig.
Fig. 2 is a side view (a) of the apparatus section of Fig. 1 and an upper side (b) of the housing sec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problem which occurs when the apparatus and the housing of FIG. 1 are combined. FIG.
4 is a view of a device part and a housing part,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section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part of Fig.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aking a slot part of the housing part of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slot portion of a hous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9; FIG.
11 is a view of a slot portion of a housing portio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portion of Fig. 5;
Fig. 13 is a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having an upper plate coupled to a housing portion opened at an upper s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12; Fig.
Fig. 14 is a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having a lower plate coupled to a housing portion opened at a lower side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Fig. 12;
15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herein, And the definition used in the specification.

본원 발명을 설명하는 내용 가운데 사용한 구성요소명은 '홀(Hole)', '홈', '슬롯(Slot)' 을 구분하여 정하며, '홀'은 어느 일면에서 그 반대편 면까지 관통되어 뚫린 구멍을, '홈'은 어느 일면을 뚫고는 있지만 그 반대편 면까지는 관통되지 않은 것을, '슬롯'은 어느 일면에서 그 반대편 면까지 관통되어 뚫린 기다란 구멍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한다.
The name of the component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distinguishing 'hole', 'groove' and 'slot', and 'hole' means a hole penetrated from one side to the opposite side, 'Slot' is defined as pointing to an elongated hole penetrating from one side to the opposite side, while 'groove' penetrates through one side but not through to the opposite sid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담배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원 발명은 크게 장치부(10), 하우징부(30), 커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present invention can largely include a device portion 10, a housing portion 30, and a cover portion 50.

상기 장치부(10)는 후술할 하우징부(30) 내측으로 인입되어 안착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하우징부(30) 내부에 포함되는 것이며,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액상 물질을 기화시키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의 결합부를 말하는데, 도시된 내용은 상기 장치부(10)를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하였지만,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장치부(10)가 후술하는 하우징부(30)에 인입되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하우징부(30) 내측의 크기 및 형태와 장치부(10) 외측의 크기 및 형태를 동일하게 하여 잉여공간 없이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포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장치부(10)의 외부 어느 일면에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조작부(11)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도시된 내용과 같이 제1조작부(111), 제2조작부(112)를 장치부(10) 일면에 나란히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면에 복수 개의 조작부(11)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device unit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housing unit 30. The device unit 1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charged battery to vaporize the liquid material, The device 10 is configur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wever, the device 1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s. . Since the size and shap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30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outside of the device part 10 are the same in that the device part 10 is a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aratus unit 10 is included in the housing unit 30 without the need for the apparatus. The first operation unit 111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1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vice unit 10 and may have a protruding operation unit 11,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portions 11 on different surfaces.

상기 하우징부(30)는 상기 장치부(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포함된 장치부(10)를 보호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 내측에 인입되도록 어느 일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내용은 하우징부(30)의 상측과 하측이 모두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와 다르게 상기 장치부(10)가 인입되는 방향의 일면만을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반대면은 개방되지 않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도 13 참고). 후술하겠지만 상기 하우징부(30) 외부에는 기다란 형상의 구멍인 슬롯부(3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롯부(31)는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될 때, 인입되는 방향에서부터 상기 돌출된 조작부(11)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낸 것으로, 상기 구멍의 형상은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고).The housing part 3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ice part 10 and protects the device part 10 contained in the device part 10. The device part 10 preferably cov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30 One side may have an open shape to be drawn i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using part 30 are both opened. Alternatively, only one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part 10 is drawn may be formed in an open shape, The opposite surface may be configured as an open configuration (see FIG. 13). The housing 30 may include a slot 31 which is an elongated hole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30. The slot 31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30 when the apparatus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A hole for allowing the protruded operating portion 11 to pass therethrough is form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11 is inserted and the shape of the hole can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a trace to be mov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30 9 and 10).

상기 커버부(50)는 장치부(10)가 인입된 하우징부(30)를 외측에서 덮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를 덮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내용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하우징부(30)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50)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다른 디자인의 형태를 가진 커버부(50)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자담배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The cover portion 50 is configured to cover the housing portion 30 from which the apparatus portion 10 is drawn out from the outside and is preferably formed to cover the slot portion 31 of the housing portion 3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but may be modified by varying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50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30 to replace the cover portion 50 having a different design, The appearance of the cigarette can be constituted.

도 7은 도 5의 장치부에 관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section of FIG.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장치부(10)는 조작부(11), 담배부(12), 고정부(13), 충전단자(14), 보호캡(15)을 포함할 수 있다.7, the apparatus section 10 may include an operation section 11, a cigarette section 12, a fixing section 13, a charging terminal 14, and a protection cap 15.

상기 조작부(11)는 제1조작부(111), 제2조작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더 많은 조작부(11)를 포함하거나, 단일 개의 조작(11)를 포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 예를 생각해 볼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1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unit 111 and a second operation unit 112. The operation unit 11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s and may include more operation units 11, And various other embodiments may be envisag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조작부(111)는 슬라이더(111a), 가이드레일(111b), 홀더(111c)를 포함할 수 있으며,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may include a slider 111a, a guide rail 111b, and a holder 111c,

상기 슬라이더(111a)는 후술할 가이드레일(152)의 위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고, 후에 하우징부(30)를 덮는 커버부(50)가 포함되더라도 본원 발명인 전자담배의 외측에 돌출되는 구성으로, 전자담배의 외측에 돌출된 슬라이더(111a) 부분을 밀어올리거나 내리는 등의 조작을 통해, 후술할 상측보호캡(151) 아래에 위치한 담배부(12)를 장치 외부로 꺼내거나 장치 내부로 집어넣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7의 (a)와 (b)는 이러한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담배부(12)의 입출을 위해서 상기 제1조작부(111)가 담배부(11)를 밀어올릴 때 상측보호캡(151)이 열리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제1조작부(111)가 담배부(12)를 당겨 이를 장치부(10) 내부로 이동시킬 때 상측보호캡(151)이 닫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lthough the slider 111a is installed on the guide rail 152 to be described later and includes the cover portion 50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and then covers the housing portion 30 The cigarette portion 12 (see FIG. 1) located below the upper protective cap 1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ved upward or downward by pushing up or lowering the portion of the slider 111a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cigarette, ) Can be taken out of the apparatus or inserted into the apparatus. 7 (a) and 7 (b) illustrate this process. When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pushes up the cigarette portion 11 to enter and exit the cigarette portion 12, the upper side protective cap 151 The upper protective cap 151 may be closed when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pulls the tobacco portion 12 and moves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portion 10. [

상기 가이드레일(111b)는 장치부(10) 외면에 설치되어, 후술할 커버부(50)의 제1조작부수용홀(511)과 동일한 위치상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111a)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상기 슬라이더(111a)가 장치부(10) 내측에 포함된 담배부(12)를 수직으로 밀어 올리는 기능을 하는바, 바람직하게는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111b)의 구성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111a)의 움직임에도 슬라이더(111a)가 가이드레일(111b)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무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The guide rail 111b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pparatus section 10 and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operating section receiving hole 511 of the cover section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slider 111a has a function of vertically pushing up the cigarette part 12 contained in the apparatus part 10 and preferably has a linear shape and the slider 111a has a function of guiding the guide rail 111b A rubber member may be used to prevent the slider 111a from moving away from the guide rail 111b even when the slider 111a moves.

상기 홀더(111c)는 상기 가이드레일(111b)의 상하 양쪽 끝단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11b) 상에서 움직이는 상기 슬라이더(111a)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111a)의 위치를 고정했다가 다시 풀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달리, 가이드레일(111b)의 상하 양쪽 끝단에 설치된 상측의 홀더(111c) 형태와 하측의 홀더(111c) 형태가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holder 111c is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rail 111b to fix the position of the slider 111a moving on the guide rail 111b and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The upper and lower holders 111c and 111c are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rail 111b in the form of an upper holder 111c and a lower holder 111c, It may not be the same.

상기 제2조작부(112)는 장치부(10) 외면에 설치되어 액상물질을 기화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원버튼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작부(112)는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위치 역시, 제1조작부(111) 상측에 위치한 도 7의 내용과 달리, 장치부(10) 어느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2조작부(112)의 위치와 형태는 후술할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 형상 및 위치, 커버부(50)의 제2조작부수용홀(53)의 형상 및 위치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The second operating unit 11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pparatus unit 1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vaporizing the liquid material. The second operating unit 112 may be a power button. 7, which is located above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the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7, It can be installed on either side. However,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are influenced by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lot portion 31 of the housing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receiving hole 53 of the cover portion 50, .

상기 담배부(12)는 흡입부(121)와 카트리지(122)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흡입부(121)는 액상 물질이 기화될 때 만들어지는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후술하는 카트리지(122)의 일단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흡입부(121)의 일단은 카트리지(122) 일단의 단면 형태 및 크기와 일치하고, 흡입부(121)의 타단은 기화된 연기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흡입부(121) 일단의 단면 크기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igarette portion 12 may include a suction portion 121 and a cartridge 122. The suction portion 121 may allow the user to suck the smoke generated when the liquid material is vaporized. 7, but one end of the suction portion 121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nd size of one end of the cartridge 122 and a size and shape of the other end of the cartridge 122. In addi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art 121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end of the suction part 121 to facilitate suction of vaporized smoke.

상기 카트리지(122)는 기화에 필요한 액상 물질이 보관되는 부분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22)의 일단은 상기 흡입부(121) 일단에 연결되고, 카트리지(122)의 타단은 제1조작부(111)에 연결이 되어 상기 제1조작부(111)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담배부(12)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122)의 단면 형태는 원형을 비롯하여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상기 흡입부(121)의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122)의 일단과 상기 흡입부(121)의 회전운동을 통한 나사식 접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원형의 단면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7, one end of the cartridge 12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ction unit 121, and the other end of the cartridge 12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ction unit 121, The first control unit 11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11 so that the cigarette unit 12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trol unit 111. [ The cartridge 122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 polygonal shape, but one end of the suction portion 121 may be rotated through one end of the cartridge 122 and the rotation of the suction portion 121 In order to enable threaded bonding, it is preferable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고정부(13)는 고정돌기수용홈(131)과 고정홀(1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수용홈(131)은 후술할 커버부(50)의 고정돌기(541)가 인입되는 부분으로(도 12 참고), 장치부(10), 하우징부(30) 및 커버부(50)를 상호 일체화시키기 위해 그 위치와 크기는 커버부(50)의 고정돌기(541)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32)은 장치부(10), 하우징부(30) 및 커버부(50)를 일체화시키는데 사용하는 볼트 등의 긴결재가 인입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볼트 등이 결착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의 외측 나사선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13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receiving groove 131 and a fixing hole 132.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groove 131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fixing protrusion 541 of the cover part 50, (See FIG. 12), its position and size are the same as the fixing protrusions 541 of the cover portion 50 in order to integrate the apparatus portion 10, the housing portion 30 and the cover portion 50 with each other . The fixing hole 132 is a portion into which a long hole such as a bolt or the like used for integrating the apparatus unit 10, the housing unit 30 and the cover unit 50 is inserted, preferably a bolt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form the same shape as the outer threaded shape of the bolt or the like on the inner side.

상기 충전단자(14)는(도 6 참고) 장치부(10)의 외측 어느 일면에 형성될 수 있는 구성으로, 장치부(10) 내측에 위치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141)와 그 일단이 연결이 되어, 외부로부터 받은 전력을 상기 축전지(141)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축전지(141)의 일단은 상기 충전단자(14)와 연결이 되고, 상기 축전지(141)의 타단은 액상물질을 기화시키기 위한 회로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14)는 후술한 하우징부(30)의 충전단자홀(33)에 연결되는 구성인바, 상기 장치부(10)의 충전단자(14)의 위치와 크기는 하우징부(30)의 충전단자홀(33)의 위치와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1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evice 10 and may include a battery 141 for storing power located inside the device 10, And transmits the power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battery 141. [ One end of the battery 141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14 and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141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a circuit for vaporizing the liquid material. The charging terminal 14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hole 33 of the hous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charging terminal 14 of the apparatus unit 10 ar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hole 33 of the housing unit 30. [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charging terminal hole 33 can be influenced.

상기 보호캡(15)은 상측보호캡(151)과 하측보호캡(1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측보호캡(151)은 장치부(10)의 상면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조작부(111)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장치부(10) 내측에 포함된 담배부(12)를 보호하기 위해 그 크기가 담배부(12)의 단면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일정 크기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보호캡(152)은 장치부(10)의 하면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상기 담배부(12)의 하측면을 보호하는 기능 외에, 장치부(10)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장치부(10)와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캡(15)은 도시된 내용의 형태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닌,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ap 15 may include an upper protective cap 151 and a lower protective cap 152. The upper protective cap 15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unit 10, The cigarette portion 12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ortion 111 and the cigarette portion 12 can be mov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portion 111. In order to protect the cigarette portion 12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device portion 10, . The lower protective cap 152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pparatus unit 10 and prot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cigarette unit 12. In addition to prot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bacco unit 12,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attach and detach from the main body 10. The protection cap 15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contents, bu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도 7의 (a)는 제1조작부(111)의 일단이 담배부(12)의 일단과 연결되고 (미도시), 담배부(12)의 상하측에 각각 보호캡(15)이 설치되며, 제1조작부(111)가 설치된 장치부(10) 일면 상에 제2조작부(112)가 포함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의 (b)는 상기 제1조작부(111)가 가이드레일(111b)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 상측 홀더(111c)에 안착 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이때 담배부(12)가 장치부(10) 외부로 간섭없이 돌출되도록 상기 상측보호캡(151)이 옆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7A shows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igarette portion 12 and a protective cap 15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igarette portion 12, 7B shows that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11b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pparatus portion 10 in which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is installed. The upper protective cap 151 can be moved to the side so that the tobacco portion 12 protrude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portion 10. In this case, Lt; / RTI >

도 8은 도 5의 하우징부에 관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part of FIG.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부(30)는 슬롯부(31), 고정부(32), 충전단자홀(3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housing part 30 may include a slot part 31, a fixing part 32, and a charging terminal hole 33.

상기 슬롯부(31)는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될 때 장치부(10) 상에 돌출된 제1조작부(111)와 제2조작부(112)가 하우징부(30)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소정 길이로 뚫려 있는 부분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구간, B구간, C구간에서 각기 다른 폭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과 같은 형상의 장치부(1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서, A구간의 슬롯부(31) 폭은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에 의해 정해지고, C구간의 슬롯부(31) 폭은 제1조작부(111)의 슬라이더(151)의 최대너비에 의해 정해지며, B구간은 C구간에서 A구간으로 변화하는 부분으로 제2조작부(112)의 형상과 동일하게 정해질 수 있다. 결국 상기 슬롯부(31)는 조작부(11)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에 걸리는 것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slot part 31 includes a first operating part 111 and a second operating part 112 protruding on the device part 10 when the device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30, 8A, 8B, 8C, 8C, 8C, and 8K, a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0 that is open at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from the one end of the housing portion 30, . ≪ / RTI > 7, the width of the slot portion 31 in the section A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112, and the width of the slot portion 31 in the section C ) Width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width of the slider 151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and the portion B is a portion that changes from the section C to the section A and can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 As a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the slot portion 31 is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operation portion 11 so that the operation portion 11 can pass through the housing portion 30 without being caught.

상기 고정부(32)는 고정돌기수용홀(321)과 고정홀(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수용홀(321)은 후술할 커버부(50)의 고정돌기(541)가 관통되어 상기 장치부(10)의 고정돌기수용홈(131)에 안착됨으로써 장치부(10), 하우징부(30) 및 커버부(50)를 고정하는 구성이고, 상기 고정홀(322)은 상기 장치부(10)와 하우징부(30)를 일체화시키는데 사용하는 볼트 등의 긴결재가 인입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볼트 등이 결착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의 외측 나사선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321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receiving hole 321 and a fixing hole 322.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hole 321 may be formed in the fixing hole 321. The fixing protrusion 541 of the cover portion 50 The housing part 30 and the cover part 50 are fixed by being seated in the fixing projection receiving groove 131 of the apparatus part 10, A portion such as a bolt or the like used for integrating the portion 10 and the housing portion 30 is drawn in. The same shape as that of an external thread of a bolt or the like is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side .

상기 충전단자홀(33)은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었을 때 장치부(10)의 충전단자(14)가 위치하는 곳과 동일한 곳에 관통형성되는 구멍으로 그 형상은 충전단자(14)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전력공급선이 상기 충전단자홀(33)을 거쳐 올바르게 충전단자(14)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harging terminal hole 33 is a hol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where the charging terminal 14 of the apparatus unit 10 is located when the apparatus unit 10 is drawn into the housing unit 30, And may have a size and shape such that an electric power supply line incoming from the outside can be drawn into the charging terminal 14 correctly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hole 33 .

도 9는 도 8의 하우징부의 슬롯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slot part of the housing part of FIG.

도 9를 참고하면,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 형상은 상기 장치부(10)에 돌출 형성된 제1조작부(111)와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에 의해 결정됨을 도시한 것으로, 도 9의 (a)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될 때, 장치부(10)상의 돌출된 조작부(111)가 상기 하우징부(3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장치부(10)의 제1조작부(111)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우징부(30)에 슬롯부(31)를 만들기 시작하는 과정을 굵은 선을 통해 도시한 것이며, 도 9의 (b)는 더 깊게 인입된 장치부(10)로 인하여 제1조작부(111)를 통과시키기 위한 슬롯부(31)가 하우징부(30) 일면에 길게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9의 (c)는 장치부(10)의 제1조작부(111)와는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가진 제2조작부(112)를 통과시키기 위해 좀더 큰 폭을 가진 슬롯부(31)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9의 (d)는 돌출된 조작부(11)가 포함된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하는데 필요한 슬롯부(31)를 굵은 선을 통해 표시한 것이다.9, the shape of the slot 31 of the housing part 30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operating part 111 and the second operating part 112 protruding from the device part 10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ded operating part 111 on the device part 10 is not caught by the housing part 30 when the device part 10 is pulled into the housing part 30. [ The process of starting to form the slot portion 31 in the housing portion 30 for passing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of the main body 10 is shown by a thick line and Figure 9 (b) 9 (c) shows a state in which a slot part 31 for passing the first operating part 111 through the device part 10 is elonga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30, and FIG. 9 (c) The slot portion 31 having a larger width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having a different size and shape from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of FIG. (d) shows a slot 31, which is required for completely pulling the device part 10 including the protruding operation part 11 into the housing part 30, through a thick line.

결국 상기 슬롯부(31)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도 9에서 굵은 선으로 도시한 부분)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The slot portion 31 is form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aratus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and the protruding operation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until the apparatus portion 10 is seated in the housing portion 30. [ (A portion indicated by a thick line in Fig. 9) to be mov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

도 8을 참고하면, A구간의 슬롯부(31) 폭은 제2조작부(112)의 최대 너비인 W2가 되고, C구간의 슬롯부(31) 폭은 제1조작부(111)의 최대 너비인 W1이 되며, B구간은 제2조작부(112)의 형상에 따라 제1조작부(111)의 최대 너비에서 제2조작부(112) 최대 너비로 변화하는 구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국 제1조작부(111) 및 제2조작부(112)의 형상 및 최대 너비에 따라 슬롯부(31)의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8, the width of the slot 31 in the section A is W2, which is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operating section 112, and the width of the slot section 31 in the section C is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operating section 111 W1 and the section B represents a section where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operating section 111 changes from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operating section 112 to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operating section 112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operating section 112, The shape of the slot portion 31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portions 112 and 112.

도 9의 (d)를 참고하면, 도시된 빗금 친 부분은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되는 과정에서 제1조작부(111)가 통과하지 않는 영역인바, 상기 빗금 친 영역은 슬롯부(31)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9 (d), the shaded portion shown in FIG. 9 is a region where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does not pass in the process of completely pulling the apparatus portion 10 into the housing portion 30, The area may not be included in the slot part 31. [

다만, 도 9의 (e)는 상기 빗금 친 영역에도 구멍을 뚫어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면, 장치부(10)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만들 수도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도 9의 (d)보다 제작이 용이한 슬롯부(31)를 형성할 수 있다.9 (e), a hole is also formed in the hatched area and one end of the slot part 31 is extended. In this case, when the device part 10 is pulled out of the housing part 30 It is possible to form the slot 31 conne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lot 31.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the slot 31 which is easier to manufacture than that shown in Fig. 9 (d).

또한 도 9의 (e)와 같은 슬롯부(31)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부(30)의 장치부(10)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한다면(도 8 참고), 재단한 평판을 접는 것만으로도 하우징부(30)를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9 (e), if the opposite side of the housing part 30 facing the open side where the device part 10 of the housing part 30 is inserted is also formed in an open shape The housing portion 30 can be formed simply by folding the cut flat plat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waste of the member can be prevented.

도 10은 도 9의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부의 슬롯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aking a slot part of a hous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도 9와 동일한 장치부(10)를 갖지만,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의 하측에서부터 인입된다는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가(W2)가 제1조작부(111)의 최대너비(W1)보다 크기 때문에(도 9 참고), 제2조작부(112)를 통과시키기 위한 슬롯부(31)가 형성되면 뒤따라 들어오는 제1조작부(111)의 최대너비(W1)가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W2)보다 작아 이미 만들어진 슬롯부(31)의 형상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될 때까지 장치부(10)가 인입되는 방향에서부터 제2조작부(112)를 통과시키기 위한 슬롯부(31)가 만들어질 수 있다.10,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apparatus section 10 as that of FIG. 9,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apparatus section 10 is drawn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section 30. In this case, Since the maximum width W2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2 is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W1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see FIG. 9), when the slot portion 31 for passing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is formed The maximum width W1 of the incoming first operating portion 111 is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W2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so that it does not affect the shape of the already made slot portion 31, The slot portion 31 for passing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112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aratus portion 10 is pulled until the first operation portion 11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can be made.

도 10의 (a)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면서 상기 장치부(10)의 제2조작부(112)가 슬롯부(31)를 만들기 시작하는 과정을 굵은 선을 통해 도시한 것이며, 도 10의 (b)와 도 10의 (c)는 더 깊게 인입된 장치부(10)로 인하여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W2)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슬롯부(31)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으로, 도 9와 달리 제1조작부(111)가 하우징부(30) 내로 인입되어도 제1조작부(111)의 최대너비(W1)가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W2)보다 작기 때문에 슬롯부(31) 형상에 영향을 주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도 10의 (d)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형성된 슬롯부(31)를 굵은 선을 통해 표시한 것이다. 10A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112 of the device unit 10 starts to make the slot portion 31 while the device portion 10 is pull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10 (b) and 10 (c) show a slot portion 31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maximum width W2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due to the apparatus portion 10 which is drawn deeper 9, the maximum width W1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is the same as the maximum width W1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even when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is drawn into the housing portion 30 (W2),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hape of the slot 31 is not affected. 10D shows a slot 31 formed when the apparatus unit 1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unit 30 through a thick line.

도 10의 (d)를 참고하면, 도시된 빗금 친 부분은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되는 과정에서 제2조작부(112)가 통과하지 않는 영역인바, 상기 빗금 친 영역은 슬롯부(31)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10D, the hatched portion shown is a region where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does not pass in the process of completely pulling the apparatus portion 10 into the housing portion 30, The area may not be included in the slot part 31. [

다만, 도 10의 (e)는 상기 빗금 친 영역에도 구멍을 뚫어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면, 장치부(10)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만들 수도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도 10의 (d)보다 제작이 용이한 슬롯부(31)를 형성할 수 있다.10 (e), a hole is also formed in the hatched area and one end of the slot part 31 is extend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30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part 10 is pulled to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slot 31 connect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lot 31.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the slot 31 which is easier to manufacture than that shown in FIG. 10 (d).

또한 도 10의 (e)와 같은 슬롯부(31)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부(30)의 장치부(10)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한다면, 재단한 평판을 접는 것만으로도 하우징부(30)를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10 (e), if the opposing side of the housing part 30 facing the open side of the housing part 30 is ope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housing portion 30 by merely folding the flat plat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waste of the member can be prevented.

도 9와 도 10을 비교해 본다면, 동일한 장치부(10) 일지라도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로 인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부(31)의 형상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9 and 10,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the slot 31 var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aratus unit 10 is drawn into the housing unit 30, even if the apparatus unit 10 is the same.

도 11은 도 9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부의 슬롯부에 관한 도면이다.11 is a view of a slot part of the housing par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11을 참고하면, 도 9 및 도 10에서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면서 제1조작부(111)와 제2조작부(112)에 의해 슬롯 형상이 정해지는 과정을 도시했다면, 도 11에서는 하우징부(30)의 상측 및 하측이 모두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의 상측으로 인입될 수도 있고, 하측으로 인입될 수도 있는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를 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제1조작부(111)의 최대 너비를 W1이라 하고, 제2조작부(112)의 최대 너비를 W2하고 할 때, W2의 길이가 W1의 길이보다 크다면, 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의 너비를 W3라고 하여, W2의 길이 이상으로 상기 W3의 길이를 정해, 하우징부(30) 일면의 상하를 관통하는 동일한 폭을 가진 슬롯부(31)를 만들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9 and 10 illustrat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lot shape by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portions 111 and 112 while the apparatus portion 10 is pull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11,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using part 30 are all opened. The device part 10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30, (31) of the slot (30). If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is W1 and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12 is W2 and the length of W2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W1, The width of the slot portion 31 is W3 and the length of the W3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W2 so that the slot portion 31 having the same width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30 can be made will be.

도 12는 도 5의 커버부에 관한 사시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portion of Fig. 5;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0)는 조작부수용홀(51), 상판(52), 하판(53), 고정부(54), 조작부수용판(55)을 포함할 수 있다.12, the cover portion 50 may include an operation portion receiving hole 51, an upper plate 52, a lower plate 53, a fixing portion 54, and an operation portion receiving plate 55.

상기 조작부수용홀(51)은 제1조작부수용홀(511)과 제2조작부수용홀(5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작부수용홀(51)의 개수는 상기 장치부(10)의 조작부(11)의 개수에 영향을 받고, 그 위치 및 형상 역시,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이 되고 커버부(50)가 하우징부(30) 외측에 덮일 때, 대응되는 위치상에, 조작부(11)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란, 조작부(11) 외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커버부(50) 상에, 전술한 홀이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된 조작부(11)가 커버부(50)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말한다. The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 51 may include a first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 511 and a second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 512. The number of the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s 51 may be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operating portions 11 The position and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50 a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the housing portion 30 and the position of the cover portion 50 when the apparatus portion 10 is pull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and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figured so as to be able to receive the operating portion 11 therein. The receptable shape means that the holes or slots described above are formed on the cover portion 50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ration portion 11 so that the projected manipulation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cover portion 50 It is a form that can be touched.

상기 상판(52)은 후술할 조작부수용판(55) 상측에 형성되어 상판공(521), 고정홀(542)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장치부(10)가 인입된 하우징부(30)의 상측을 덮는 기능을 하는바, 그 형상이 하우징부(30)의 상측 형상과 일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52)에는 상판공(521)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상판공(521)은 전술한 장치부(10)의 담배부(12)가 제1조작부(111)의 이동으로 장치 외부로 나올 때, 커버부(50)의 상판(52)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도록 홀을 형성한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담배부(12)의 최대 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52 is formed on the operating section receiving plate 55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include an upper plate hole 521 and a fixing hole 542. The upper plate 52 includes a housing portion 3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thereof coincides with the shap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0. [ The upper plate 52 may include an upper plate hole 521. The upper plate hole 521 prevents interference by the upper plate 52 of the cover portion 50 when the tobacco portion 12 of the apparatus portion 10 is moved out of the apparatus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11 (Not shown), preferably larger than the maximum cross-sectional size of the cigarette portion 12.

상기 하판(53)은 후술한 조작부수용판(55) 하측에 형성되어 하판공(531), 고정홀(542)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장치부(10)가 인입된 하우징부(30)의 하측을 덮는 기능을 하는바, 그 형상이 하우징부(30)의 하측 형상과 일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53)에는 하판공(531)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하판공(531)은 전술한 장치부(10)의 하측보호캡(152)이 수용될 수 있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장치부(10)가 인입된 하우징부(30)에 하판공(531)을 가지는 커버부(50)가 덮히고, 상기 커버부(50)의 하판(53)에 포함된 하판공(531)으로 상기 하측보호캡(152)이 끼워질 수 있다.The lower plate 53 is formed below the operating portion receiving plate 55 and may include a lower plate hole 531 and a fixing hole 542. The lower plate 53 may include a housing portion 30, preferably the shape thereof coincides with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0. The lower plate 53 may include a lower plate hole 531. The lower plate hole 531 is a portion into which the lower protective cap 152 of the device unit 10 can be received, A cover portion 50 having a lower plate hole 531 is covered in the housing portion 30 into which the upper plate 10 is inserted and the lower plate 531 included in the lower plate 53 of the cover portion 50 The protective cap 152 can be fitted.

후술하겠지만(도 13 및 도 14 참고), 상기 커버부(50)의 상판(52)과 하판(53)은 하우징부(30)의 개방된 부분에 따라 상기 커버부(50)에 포함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데, 하우징부(30)가 상측과 하측이 모두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면, 상판(55)과 하판(56) 모두가 상기 커버부(50)에 포함되고, 하우징부(30)의 상측은 개방된 형상을 가지나 하측이 막힌 형상을 가진다면 상판(55)만, 하우징부(30)의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측이 막힌 형상을 가진다면 하판(56)만이 상기 커버부(50)에 포함될 수 있다.13 and 14), the upper plate 52 and the lower plate 53 of the cover portion 50 may be attached to the cover portion 50 according to the opened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0 Both of the upper plate 55 and the lower plate 56 are included in the cover portion 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Only the upper plate 55 and the lower plate 56 having the shap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part 30 is open and the upper side is clogged are provided only on the cover part 50, .

상기 고정부(54)는 고정돌기(541), 고정홀(542), 긴결재수용홈(5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54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541, a fixing hole 542, and a long receiving groove 543.

상기 고정돌기(541)는 커버부(50)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전술한 하우징부(30)의 고정돌기수용홀(321)을 지나 장치부(10)의 고정돌기수용홈(131)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장치부(10), 하우징부(30), 커버부(5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돌기(541)는 도시된 내용과 달리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위치와 형태가 변함에 따라 이와 연결되는 고정돌기수용홀(321)과 고정돌기수용홈(131)의 위치 및 형태도 변화될 수 있다. The fixing protrusion 541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cover portion 50 and passes through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hole 321 of the housing portion 30 to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groove 131 of the apparatus portion 10 The housing unit 30, and the cover unit 50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unit 50 is seated. The fixing protrusions 541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at various positions in various positions unlike the contents shown in the drawings.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ixing protrusions 541, the fixing protrusions receiving holes 321 and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recesses 131 may be varied in position and shape.

상기 고정홀(542)은 볼트 등의 긴결재가 인입되는 부분을 말하며, 그 위치와 개수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커버부(50) 상에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볼트 등이 결착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의 외측 나사선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The fixing hole 542 is a portion into which a long bond such as a bolt is inserted.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fixing hole 542 can be variously determined on the cover portion 50,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outer thread of the bolt or the like can be formed on the inner side.

상기 긴결재수용홈(543)은 상기 장치부(10)와 하우징부(30)를 결합고정할 때 사용한 긴결재의 돌출된 헤드 부분을 수용하는 곳으로, 그 위치는 하우징부(30)의 고정홀(322)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elongated accommodation receiving groove 543 is a place for accommodating the protruded head portion of the long accommodation member used for fixing the device unit 10 and the housing unit 30, And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hole 322.

상기 조작부수용판(55)은 전술한 조작부수용홀(51)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부가(10)가 포함된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를 덮는 구성으로,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전자담배 외관의 심미성을 일으키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수용판(55)은 상기 조작부수용홀(51)을 포함할 수 있는 일정크기 이상의 형태가 될 수 있다.The operating portion receiving plate 55 includes the operating portion receiving hole 51 and covers the slot portion 31 of the housing portion 30 including the device portion 10 and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contents It can be a part that causes aesthetic of the appearance of electronic cigarette. Preferably, the operating portion receiving plate 55 may have a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that may include the operating portion receiving hole 51.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예로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판을 가진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having a top plate coupled to a housing portion opened at an upper s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12;

도 13을 참고하면, 전술한 하우징부(30)는 상측과 하측이 모두 뚫려있는 형상을 하고 있지만(도 6 및 도 8 참고), 본 실시예는 장치부(10)가 인입될 하우징부(30)의 상측만 뚫려 있는 것으로, 도 6에서 상기 커버부(50)가 하우징부(30)의 상측과 하측을 덮는 상판(52)과 하판(53)를 포함하고 있었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 면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부(30)의 하측을 덮을 필요가 없기에, 상기 커버부(50)는 하우징부(30)의 상측을 덮는 상판(52)만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50)의 상판(52)은, 전술한 장치부(10)의 담배부(12)를 장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외부로 돌출된 담배부(12)를 다시 장치 내부로 넣는데 필요한 상판공(5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9의 (d)에서 도시한 빗금 친 영역을 슬롯부(31)에 포함시키지 않은 것이지만, 도시된 것과 달리 빗금 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멍을 뚫어,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형성하여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만들 수 있다(도 9의 (e) 참고).13 and FIG. 8),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using portion 30 (to which the apparatus portion 10 is to be inserted) If the cover portion 50 includes the upper plate 52 and the lower plate 53 covering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in FIG. 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50 includes only the upper plate 52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because there is no need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that is formed. The upper plate 52 of the cover portion 50 protrudes the cigarette portion 12 of the device portion 10 from the inside of the device or inserts the cigarette portion 12 protruding outward into the device again And may include a required top plate 521. 9 (d) is not included in the slot portion 31, but a hole is form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atched region and the slot portion 31 is formed in the slot portion 31. In this embodiment, The slot portion 31 connecting one end of the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portion 30 can be formed (see (e) of FIG. 9).

도 14는 도 12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하판을 가진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cover unit having a lower plate coupled to a housing portion of which the lower side is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12. FIG.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도 13과 달리 하우징부(30)의 상측이 막혀있고 하측이 뚫려 있는 것으로, 장치부(10)는 하우징부(30)의 하측을 통해 인입되며, 도 13과 동일한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더라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부(10)의 인입을 위해서는 다른 형태의 슬롯부(31)가 형성될 수 있다(도 10 참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 면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부(30) 상측을 덮을 필요가 없기에, 상기 커버부(50)는 하우징부(30)의 하측을 덮는 하판(53)만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3에서 커버부(50)의 상판(52)에 포함된 상판공(52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홀이 상기 하우징부(30)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도 10의 (d)에서 도시한 빗금 친 영역을 슬롯부(31)에 포함하지 않은 것이지만, 도시된 것과 달리 빗금 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멍을 뚫어,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만들 수 있다(도 10의 (e) 참고). 14,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part 30 is closed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In this embodiment, the device part 1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part 30, Even if the same device unit 10 as shown in FIG.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unit 30, another type of slot unit 31 may be formed for pulling in the device unit 10 as shown in FIG. The cover portion 50 can include only the lower plate 53 covering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because the cover portion 50 does not ne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already formed with the surface in this embodiment, Hole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upper plate hole 521 included in the upper plate 52 of the cover portion 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10 (d) is not included in the slot portion 31, but a hole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atched region, as shown in Fig. 10 (d) 31 may be extended to form a slot 31 connecting one end of the one side of the housing 30 with the other end (see FIG. 10 (e)).

또한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한 내용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할 것이 아니라, 도 13에서 커버부(50)에 하판(53)을 포함하여, 면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부(30)의 하측을 덮을 수도 있고, 도 14에서도 커버부(50)에 상판(52)을 포함하여, 면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부(30)의 상측을 덮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13 and 1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3 and 14, but the cover portion 50 may include the lower plate 53 to prevent the housing portion 30 14, the cover portion 50 may include the upper plate 52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forming the surface, and the lik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담배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15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고하면, 본원 발명은 슬롯부 형성단계(S1), 장치부 삽입단계(S2), 커버부 부착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lot forming step S1, a device inserting step S2, and a cover attaching step S3.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S1)는,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인입하는 과정에서 돌출된 조작부(11)가 상기 하우징부(30)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30) 일면에 상기 슬롯부(31)를 형성하는 단계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S1) 이전에 돌출된 조작부(11)를 가지는 장치부(10)와 이를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는 하우징부(30)와, 상기 장치부(10)가 포함된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를 덮는 커버부(50)를 제조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The slot forming step S1 may be per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30 so that the operating part 11 protruded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device part 10 into the housing part 30 is not caught by the housing part 30. [ A step of forming the slot part 31 includes a device part 10 having an operation part 11 protruded before the slot part forming step S1 and a housing part 30 covering and protecting the device part 10 from the outside, And a cover part 50 covering the slot part 31 of the housing part 30 including the device part 10 may be included.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S1)는 상기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소정 길이로 뚫려있는 슬롯부(31)를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조작부(11)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슬롯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장치부(10)의 돌출된 조작부(11)가 하우징부(20)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슬롯부(31)를 형성하여 조작부(11) 형상에 따른 슬롯부(3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10)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다 제작이 용이한 슬롯부(31)를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slot forming step S1 is a step of forming a slot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one side of the housing 30 toward the other e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ng portion 11 protruding from the device portion 10 from being caught by the housing portion 20 by forming the slot portion 31 and to prevent the operation portion 11 from being pu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30 And the protruded operating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slot portion 31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trace to be mov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30 until the apparatus portion 10 is seated in the housing portion 30 So that the slot 3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ration portion 11 can be formed. A slot 31 may be formed by extending one end of the slot 31 to connect one end of the one side of the housing 30 to the opposite end of the slot 30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10 is draw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lot part 31 which is easier to manufacture can be formed.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S1)에서는 상기 슬롯부(31)가 포함되는 하우징부(30)의 상기 장치부(10)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재단한 평판을 접는 것만으로도 하우징부(30)를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In the slot forming step S1, the opposite side of the housing part 30 including the slot part 31 facing the open side where the apparatus part 10 is inserted is also formed in an open shap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housing portion 30,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waste of the member can be prevented.

상기 장치부 삽입단계(S2)는, 돌출된 조작부(11)를 가지는 장치부(10)를 상기 하우징부(30) 내측으로 인입하는 단계로, 장치부(10)의 삽입은 상기 하우징부(3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serting step S2 is a step of inserting the device unit 10 having the protruded operating unit 11 into the housing unit 30. The inserting of the device unit 10 is performed by the housing unit 30 ). ≪ / RTI >

상기 커버부 부착단계(S3)는, 상기 커버부(50)를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 상면에 덮는 단계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부(31)에 포함된 돌출된 조작부(11)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돌출된 조작부(11)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11)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51)을 가진 조작부수용판(55)을 포함하는 커버부를 만드는 단계를 상기 커버부 부착단계(S3) 이전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부(10)가 인입되는 하우징부(30)의 개방된 일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부(50)의 조작부수용판(55)을 중심으로 상측에 상판(52)을 포함하거나, 하측에 하판(53)을 포함할 수 있고, 상하측 모두에 상판(52)과 하판(53) 모두를 포함하는 커버부(50)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단계를 상기 커버부 부착단계(S3) 이전에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attaching the cover part S3 is a step of covering the cover part 5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ot part 31 of the housing part 30. The step of attaching the cover part 50 preferably covers the projected operation part The step of making the cover portion including the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late 55 having the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 51 for accommodating the operating portion 11 on the same position as the protruded operating portion 11, May be included prior to the cover attaching step (S3). The upper plate 5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ng portion receiving plate 55 of the cover portion 5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opened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30 into which the apparatus portion 10 is inserted, And a cover 50 including both the top plate 52 and the bottom plate 53 may be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This step may be performed before the cover attaching step S3 .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kill and knowledge of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best mod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other embodiments.

10:장치부 11:조작부 12:담배부
13:고정부 14:충전단자 15:보호캡
30:하우징부 31:슬롯부 32:고정부
33:충전단자홀 50:커버부 51:조작부수용홀
52:상판 53:하판 54:고정부
S:공간 I:인서트
10: device part 11: operating part 12: tobacco part
13: Fixing part 14: Charging terminal 15: Protective cap
30: housing part 31: slot part 32:
33: Charging terminal hole 50: Cover part 51: Operation part receiving hole
52: upper plate 53: lower plate 54:
S: Space I: Insert

Claims (18)

외면에 돌출된 조작부를 가지는 장치부와, 개방된 일면을 가지며 상기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인입된 상기 장치부를 감싸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면과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작부가 인입될 때 걸리지 않을 정도로 뚫려 있는 슬롯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면서 상기 슬롯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면을 덮어 상기 장치부의 일탈을 방지하는 상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A housing portion that has an open surface and encloses the apparatus portion drawn from the opened surface; and a hous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pened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extending to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which covers the slot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slot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ver portion further includes an upper plate that covers an opened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and prevents the device portion from deviat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The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ot portion has a width greater than a maximum width of the operat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는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The portable terminal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slot portion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portion, and has a shape similar to a trace to be mov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until the protruded operation portion is moved until the device portion is seated in the housing portion E-cigarettes featur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The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one end of the slot part is extended to form a slot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to the other side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vice part is drawn in the opposite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6. The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shape opposite to an open side of the apparatus portion.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가진 조작부수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The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n operation portion accommodating plate having an operation portion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operation portion on the same position as the protruding operation portion of the devic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우징부의 개방된 타면을 덮는 하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9. The electronic cigarett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ver portion further comprises a bottom plate covering an open oth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개방된 일면을 가지며 상기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인입된, 외면에 돌출된 조작부를 가지는 장치부를 감싸는 하우징부 일면상에,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면과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타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작부가 인입될 때 걸리지 않을 정도로 뚫려 있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슬롯부 형성단계와;
상기 장치부를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하는 장치부 삽입단계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부착하는 커버부 부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상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제조방법.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which is open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and which extends from the one opened side and which has a control uni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unit to extend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unit, Forming a slot portion that is open so as not to be interrupted;
A device part inserting step of inserting the device part into the housing part;
Attaching a cover part to cover the slot part so that the operation part can be operated; Including,
Wherein the cover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upper plate covering an open side of the housing portion.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제조방법.11. The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lot forming step forms a slot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operating pa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제조방법.[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in the slot forming step, the device is formed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part, and the protruding operation part has the same shape as the trace to be mov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until the device part is seated in the housing part Of the electronic cigaret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제조방법. 14. The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in the slot forming step, one end of the slot part is extended to form a slot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to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apparatus part is drawn- Wa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슬롯부가 포함되는 하우징부의, 상기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제조방법.15. The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in the slot forming step, the housing portion including the slot portion is also formed in an open shape so as to face the open sid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apparatus portion.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가진 조작부수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제조방법.The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n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plate having an operating portion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operating portion on the same position as the projected operating portion of the device por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우징부의 개방된 타면을 덮는 하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담배 제조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ver portion further comprises a bottom plate covering an open other side of the housing portion.
KR1020150045518A 2015-03-31 2015-03-31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e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1733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518A KR101733448B1 (en) 2015-03-31 2015-03-31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518A KR101733448B1 (en) 2015-03-31 2015-03-31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991A KR20160116991A (en) 2016-10-10
KR101733448B1 true KR101733448B1 (en) 2017-05-08

Family

ID=5714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51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33448B1 (en) 2015-03-31 2015-03-31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48B1 (e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396A (en)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WO2019088586A3 (en) * 2017-10-30 2019-06-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00080948A (en)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WO2020218885A3 (en) * 2019-04-25 2020-12-03 Kt&G Corporation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178910B2 (en) 2017-05-11 2021-11-23 Kt&G Corporation Vaporizer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including same
US11344067B2 (en) 2017-10-30 2022-05-3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ir circulation hole and groove
US11350673B2 (en) 2017-10-30 2022-06-07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369145B2 (en) 2017-10-30 2022-06-2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detachable vaporizer
US11478015B2 (en) 2017-10-30 2022-10-25 Kt&G Corporation Vaporizer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leakage-preventing structure
US11528936B2 (en) 2017-10-30 2022-12-20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622579B2 (en) 2017-10-30 2023-04-1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heater
US11622580B2 (en) 2017-10-30 2023-04-1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generation method
US11700886B2 (en) 2017-10-30 2023-07-1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er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700884B2 (en) 2017-10-30 2023-07-1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er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US11700885B2 (en) 2017-10-30 2023-07-1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including mainstream smoke passage and pressure detection passage
US11974611B2 (en) 2017-10-30 2024-05-07 Kt&G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eater included in aerosol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ype of cigarett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eater according to type of cigarette
US12048328B2 (en) 2017-10-30 2024-07-30 Kt&G Corporation Optical modul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717476D0 (en)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and removable member
GB201805256D0 (en)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GB201903308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generating device
CN111869931A (en) * 2020-08-27 2020-11-03 深圳市吉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856986B2 (en) 2020-10-19 2024-01-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Customizable panel for aerosol deliver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6776A1 (en) * 2002-06-06 2003-12-11 Stamm Douglas A. Finishing trowel case
KR101084048B1 (en) * 2011-02-11 2011-11-16 주식회사 시그닛코리아 Electronic cigaret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6776A1 (en) * 2002-06-06 2003-12-11 Stamm Douglas A. Finishing trowel case
KR101084048B1 (en) * 2011-02-11 2011-11-16 주식회사 시그닛코리아 Electronic cigarette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8910B2 (en) 2017-05-11 2021-11-23 Kt&G Corporation Vaporizer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including same
US11622580B2 (en) 2017-10-30 2023-04-1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generation method
US12108802B2 (en) 2017-10-30 2024-10-0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2317923B2 (en) 2017-10-30 2025-06-0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2245341B2 (en) 2017-10-30 2025-03-04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heater
KR20190049396A (en)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US12048328B2 (en) 2017-10-30 2024-07-30 Kt&G Corporation Optical modul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same
WO2019088586A3 (en) * 2017-10-30 2019-06-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344067B2 (en) 2017-10-30 2022-05-3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ir circulation hole and groove
US11350673B2 (en) 2017-10-30 2022-06-07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369145B2 (en) 2017-10-30 2022-06-2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detachable vaporizer
US11478015B2 (en) 2017-10-30 2022-10-25 Kt&G Corporation Vaporizer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leakage-preventing structure
US11696600B2 (en) 2017-10-30 2023-07-1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heater
KR102074935B1 (en) 2017-10-30 2020-02-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US11622579B2 (en) 2017-10-30 2023-04-1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heater
US11528936B2 (en) 2017-10-30 2022-12-20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700886B2 (en) 2017-10-30 2023-07-1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er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700884B2 (en) 2017-10-30 2023-07-1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er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US11700885B2 (en) 2017-10-30 2023-07-1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including mainstream smoke passage and pressure detection passage
US11744287B2 (en) 2017-10-30 2023-09-0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800603B2 (en) 2017-10-30 2023-10-24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heater
US12016390B2 (en) 2017-10-30 2024-06-2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heater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974611B2 (en) 2017-10-30 2024-05-07 Kt&G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eater included in aerosol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ype of cigarett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eater according to type of cigarette
KR102317839B1 (en) * 2018-12-27 2021-10-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KR20200080948A (en)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US11925217B2 (en) 2019-04-25 2024-03-12 Kt&G Corporation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21523682A (en) * 2019-04-25 2021-09-09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Aerosol generator charging system
WO2020218885A3 (en) * 2019-04-25 2020-12-03 Kt&G Corporation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991A (en)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448B1 (en)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Manufacture Method
KR200464538Y1 (en) Portable electronic cigarette case
EP2954792B2 (en) Package
US12102120B2 (en) Storage case
RU2745158C1 (e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an aerosol
RU2747749C1 (en) Mechanism of cover of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WO2019157874A1 (en) Disposable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0461081Y1 (en) Electronic cigarette cartridges with a system for preventing backflow
US201400694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Flavoring a Cigarette
US20220312838A1 (en) Vapor delivery systems
RU2745911C1 (en) Device for electronic aerosol generation system,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device, aerosol forming unit for such device and aerosol supply system
KR20170049699A (en) Electronic cigarette
WO2019157877A1 (en) Disposable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WO2019157876A1 (en) Disposable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130000596A (en) Electronic cigarette
KR20170124305A (en)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KR200454965Y1 (en) E-cigarette cartridges
KR101285213B1 (en) Electronic cigarette
US20220232891A1 (en) Vapor delivery systems
CN110891438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385864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0467877Y1 (en) Electronic cigarette with improved luiqd tank
KR200438388Y1 (en) Cigarette case with slide guide
KR20220024455A (en) vapor delivery systems
CN218245655U (en) Electronic cigarette cartridge with separated oil core and electronic cigar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