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3338B1 - Rice washing device - Google Patents

Rice was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338B1
KR101733338B1 KR1020160004248A KR20160004248A KR101733338B1 KR 101733338 B1 KR101733338 B1 KR 101733338B1 KR 1020160004248 A KR1020160004248 A KR 1020160004248A KR 20160004248 A KR20160004248 A KR 20160004248A KR 101733338 B1 KR101733338 B1 KR 10173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rain
rice
body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순미
송지훈
임상륜
원윤실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3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33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washing device, comprising: a tubular body part having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a filter part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rice can be contained; an upper cover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supplying or blowing compressed air to the rice contained in the filter part; and a lower cover part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and storing arsenic or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rice contained in the filter part.

Description

쌀 세척기{Rice washing device}Rice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쌀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기 펌프와 체를 이용하여 도정 가루를 제거함으로써, 쌀에 포함된 비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쌀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ce washing machine configured to remove arsenic contained in rice by removing a ground powder using an air pump and a sieve.

최근 쌀에 비소가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며, 특히 쌀 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국내로 수입되는 수입쌀의 비소 함량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Recently, the results of researches that arsenic is contained in rice have been announced. Especially, as the rice market is opened, the arsenic content of imported rice imported into the country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쌀은, 경작시 물을 많이 사용하는 작물인 만큼, 경작시 사용되는 비료나 농약에 의해 다른 기타 작물보다 비소 함유량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쌀에 함유된 비소는 사약의 주성분이자 피부암과 폐암, 방광암을 일으키는 1급 발암물질이어서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에게는 치명적이다.Since rice is a crop that uses a lot of water at the time of cultiv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content of arsenic is higher than other crops due to fertilizer or pesticide used in cultivation. Arsenic contained in rice is a major component of the remedy, skin cancer, lung cancer, bladder cancer Is a first-level carcinogen that is fatal to Koreans with rice.

따라서, 재배된 쌀을 2차적 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쌀에 함유된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작업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ocess the cultivated rice into a secondary food, a washing operation to remove arsenic contained in the rice must be performed.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쌀을 세척할 시에는, 도정된 쌀을 바가지와 같이 둥글고 깊은 용기에 담고 물을 채운 후 손으로 비벼, 세척물을 걸러내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데 그치고 있기 때문에, 도정된 쌀에 함유된 비소를 완전히 제거하기에는 부족하다.However, in general, when rice is washed at home, the rice is placed in a round and deep container such as barley, filled with water, rubbed by hand, and then filtered to remove the washing water. It is not enough to completely remove arsenic contained in rice.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가 도정되어 백미로 되는 과정에서 현미에 함유된 비소가 일부 제거되기는 하나, 완전히 도정된 백미에도 여전히 비소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rsenic contained in the brown rice was partially removed in the process of turning brown rice into white rice, but arsenic was still present in the completely cooked rice.

따라서, 도정된 쌀을 물로 세척하기 이전에 1차적으로 도정된 쌀에 함유된 비소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move arsenic contained in rice, which is primarily ground, before washing the rice with water.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참고로, 위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63165호의 '쌀 세척용기'가 있다.For reference, 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the above, there is a rice washing container of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6316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쌀을 물로 세척하기 이전에 마찰력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쌀에 함유된 비소를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쌀 세척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washing machine capable of primarily removing arsenic contained in rice using friction force and compressed air before washing rice with water.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쌀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되 상기 필터부에 수용된 쌀에 압축공기를 제공하거나 불어주는 상측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부에 수용된 쌀에서 분리되는 비소 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하측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 filter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rice can be received; An upper cover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for supplying or blowing compressed air to rice contained in the filter part; And a lower cover part provided below the body part and storing arsenic or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rice contained in the filter part.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동방지홈; 상기 유동방지홈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몸체부의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턱 및 상기 지지턱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flow preventing groove communicab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support protrusio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preventing groove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and a seating groov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배수 조절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수 조절부는, 상기 지지턱에 놓여지며,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돌기가 마련된 제1배수커버; 상기 제1배수커버를 감싼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배수커버; 및 상기 제1배수커버 및 상기 제2배수커버에 각각 형성되는 배수공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공은 상기 몸체부의 회전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중되어 상기 제1배수커버 및 상기 제2배수커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drainage control uni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drainag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drainage cover, which is placed on the support jaw, and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that are inserted and sea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A second drain cover rotat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in a state of wrapping the first drain cover; And a drain hole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and the second drain cover, respectively. The drain hole may be formed in one of the first drain cover and the second drain cover, have.

또한, 상기 상측 커버부는, 상기 제2배수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공기 유동구가 형성된 공기 가압 부재; 및 상기 커버 몸체에 마련되되 상기 배수공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 가압 부재에 의해 형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필터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cover may include a cover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drain cover; An air pressing member provided on the cover body and having an air flow port; And a nozzle provided in the cover body and injecting the compressed air, which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nd formed by the air pressing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lter unit is disposed.

또한, 상기 공기 가압 부재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커버 몸체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press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protrude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body.

또한, 상기 필터부는, 쌀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메쉬; 상기 메쉬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방지홈에 안착되는 돌기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메쉬의 하부에 마련되되 환형의 걸림홈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mesh having an open top, forming a space in which rice can be received; An upper frame provided on the mesh and hav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and seated in the flow prevention grooves; And a lower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esh and formed with an annular latching groove.

또한, 상기 유동방지홈은 이탈방지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 돌기는 상기 유동방지홈에 삽입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prevention groove may further include an escape prevention protrusion, which prevents the protrusion of the upper frame inserted in the flow prevention recess from rotat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The low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in the lower frame.

또한, 상기 제1배수커버 및 상기 제2배수커버에는 다수개의 보조 배수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uxiliary drain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and the second drain cover,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배수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턱이 형성하는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배수커버의 유동을 방지하는 관형의 삽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rain cover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ith a tubular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formed by the support tab to prevent the flow of the first drain cover.

또한, 상기 하측 커버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이 흡착되는 흡착제가 마련될 수 있다.The low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n adsorbent for adsorbing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또한, 상기 흡착제는 상기 하측 커버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sorben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cover part and be disposed inside the filter part.

본 발명의 쌀 세척기는, 도정된 쌀에 함유된 비소를 마찰력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물로 쌀을 세정하는 과정에서 쌀에 포함된 비소를 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ric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arsenic contained in the rice, using the friction force and the compressed air, so that the arsenic contained in the rice can be more efficiently removed in the course of washing the rice with water.

또한, 본 발명의 쌀 세척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방식이 간편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야외에서 주부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ric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carry and easy to use, so housewives can conveniently use it at home or outdoor.

또한, 본 발명의 쌀 세척기는, 쌀 세척기를 구성하는 몸체부, 필터부 및 커버들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와 필터부 및 커버들을 서로 분리한 상태에서 쌀 세척기를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portion, the filter portion, and the covers of the ric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user removes the rice washing machine while separating the body portion, the filter portion,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홈에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평면도.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에 흡착제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쌀 세척기의 분리 단면도.
도 10은 체를 이용한 도정 가루 제거 전 후 쌀에 잔존하는 비소의 함량 표.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ic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 ric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a ric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lease preventing projection is formed in a flow prevent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is a plan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b) is a bottom view of th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pace into which an adsorbent is inserted is formed in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ic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ce washer shown in Fig.
FIG. 10 is a table showing the content of arsenic remaining in rice after sieving with a siev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ric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는, 도정된 쌀에 존재하는 비소 또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한 뒤, 비소 또는 이물질이 제거된 쌀을 세척수로 세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특히, 세척수와 함께 비소 또는 이물질을 세척기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ric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rsenic or foreign matter existing in the rice is firstly removed and then the rice in which arsenic or foreign matter is removed is washed with washing water. Arsenic or foreign mat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1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형의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쌀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배수 조절부(130)와, 상기 배수 조절부(130)의 상부에 마련되되 상기 필터부(120)에 수용된 쌀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상측 커버부(14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부(120)에 수용된 쌀에서 배출되는 비소 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하측 커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rice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body 110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 drainage control unit 13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a drainage control unit 13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control unit 130. The drainage control unit 130 includes a filter unit 120 forming a space in which rice can be received, An upper cover 140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rice contained in the filter 120 and an upper cover 140 disposed below the body 110 for removing the arsenic or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rice contained in the filter 120, And a lower cover 150 to be stored.

상기 몸체부(110)는, 쌀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며,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외,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body portion 110 is a portion gripped by a user in the process of washing rice, and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또한,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11)과, 상기 가이드홈(111)의 상단과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몸체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동방지홈(113)과, 상기 유동방지홈(113)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환형의 지지턱(115) 및 상기 지지턱(115)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홈(117)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part 110 includes a guide groove 11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of the body 110 and a connection part 111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111. [ A flow prevention groove 113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110 and a flow prevention groove 113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n annular support protrusion 11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nd a seating recess 117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115 and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상기 가이드홈(111)은,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groove 111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11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nd may be formed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have.

또한, 상기 가이드홈(111)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4개의 가이드홈(111)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11)의 하단은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하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5 (b), the guide grooves 1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 5 (b). 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guide grooves 111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111 is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lower opened portion of the body 110.

상기 유동방지홈(113)은, 상기 가이드홈(111)과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111)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원주방향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is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110 as in the guide groove 111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111, Direction. ≪ / RTI >

이때, 상기 유동방지홈(11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 돌기(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 돌기(113a)는 후술할 상기 필터부(120)의 상부 프레임(123)에 형성된 돌기(123a)가 상기 유동방지홈(113)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a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13a may be formed in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 The separation protrusion 113a prevents the protrusion 123a formed in the upper frame 123 of the filter unit 12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

즉, 상기 상부 프레임(123)의 돌기(123a)는 상기 가이드홈(11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다가 회전되어 상기 유동방지홈(113)에 삽입되는바,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123)의 돌기(123a)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 돌기(111a)를 가압하면서 이동되어 상기 유동방지홈(113)의 끝단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방지홈(113)의 끝단에 안착된 상기 상부 프레임(123)의 돌기(123a)는 별도의 회전력을 제공받지 않는 이상 상기 이탈방지 돌기(111a)에 의해 가로막혀 상기 유동방지홈(113)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 123a of the upper frame 123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111 and is then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23a may be moved while pressing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111a by the rotational force and may be seated at the end of the flow preventing groove 113. The protrusion 123a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flow preventing groove 113, The protrusion 123a of the protrusion 12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by being blocked by the release prevention protrusion 111a unless the protrusion 123a is provided with a separate rotational force.

상기 지지턱(115)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내주면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회전중심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jaw 115 may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body 110.

상기 지지턱(1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서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지지턱(115)은,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 둘레방향 일부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jaws 115 are formed in the shape of an annulus formed in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upport protrusions 115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안착홈(117)은, 후술할 제1배수커버(131)의 돌기(131a)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5 (a), the seating groove 117 is a portion to which a projection 131a of a first drainage cover 131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seated, As shown in FIG.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몸체부(110)가 형성하는 관형의 내부공간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관형의 내부공간과 대응되는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110)가 형성하는 관형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120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a tubular inner space formed by the body 110 and may include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tubular shape of the body 110 as a whole Lt; / RTI > At this time, the filter unit 120 may be inserted into a tubular inner space formed by the body 110 through an opened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상기 필터부(120)는, 쌀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메쉬(121)와, 상기 메쉬(121)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방지홈(113)에 안착되는 돌기(123a)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123) 및 상기 메쉬(121)의 하부에 마련되되 환형의 걸림홈(125a)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1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120 forms a space in which the rice can be received and includes a mesh 121 having an open top and an upper part provided on the mesh 121. The filter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1, An upper frame 123 formed with a projection 123a that is seated in the flow preventing groove 113 and a lower frame 125 formed with an annular engaging groove 125a at a lower portion of the mesh 121 .

상기 메쉬(12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세정되고자 하는 쌀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메쉬(121)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 크기는 상기 공간에 수용될 쌀이 통과될 수 없는 크기를 가지되 쌀에서 분리되는 비소 또는 이물질과 같은 불순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mesh 12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rice to be cleaned can be receiv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mesh 121 may have a size such that arsenic such as arsenic or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rice can not pass therethrough.

상기 상부 프레임(123)은, 상기 메쉬(121)의 상단 테두리에 마련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가이드홈(111)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123a)가 형성된다.The upper frame 123 is provided at an upper edge of the mesh 121 and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23a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1 of the body 110 as described above.

상기 돌기(123a)는, 상기 상부 프레임(123)의 테두리면에서 상기 가이드홈(111)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홈(111)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3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guide groove 111 is formed on the rim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3.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123a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guide grooves 111 As shown in FIG.

상기 상부 프레임(123)의 돌기(123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홈(111)의 상단지점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유동방지홈(113)에 삽입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3a of the upper frame 123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1 and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trusion 123a of the guide groove 111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flow-preventing groove 113. In this case,

이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123)의 돌기(123a)가 상기 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유동방지홈(11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필터부(120)가 고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As the protrusion 123a of the upper frame 123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111 and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the filter unit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120 can be fixedly seated.

여기서,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가이드홈(111)에 삽입된 돌기(123a)를 상기 유동방지홈(113)으로 삽입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120 may be rotated by the user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o insert the protrusion 123a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1 into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 .

즉, 사용자는 상기 하부 프레임(125)의 하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25)을 회전시키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125)의 내면에 형성된 손잡이부(125b)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25)을 회전시켜 상기 상부 프레임(123)의 돌기(123a)를 상기 유동방지홈(113)에 삽입시킬 수 있다.That is, the user rotates the lower frame 125 while grasping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ame 125, or rotates the grip 125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25 The protrusion 123a of the upper frame 123 can be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by rotating the lower frame 125 while holding the upper frame 123. [

상기 하부 프레임(125)은, 상기 메쉬(121)의 하단 테두리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25)에 형성된 걸림홈(125a)에는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19)이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125 may be provided at a lower edge of the mesh 121. In addition, a latching protrusion 119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125a formed in the lower frame 125.

상기 걸림턱(119)은, 상기 상부 프레임(123)의 돌기(123a)가 상기 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111)의 상단, 즉, 상기 유동방지홈(113)이 형성된 위치로 이동되었을 시에, 상기 하부 프레임(125)의 걸림홈(125a)에 삽입되며, 상기 유동방지홈(113)에 삽입된 상부 프레임(123)의 돌기(123a)와 함께 상기 필터부(120)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23a of the upper frame 12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1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1 at a posi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111, The filter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5a of the lower frame 125 and the protrusion 123a of the upper frame 123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10. [

상기 걸림턱(119)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 내주면 전체 또는 일부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latching protrusion 119 may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body 110 on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또한, 상기 걸림턱(119)과 걸림홈(125a)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하부 프레임(125)이 사용자의 의해 회전될 시에, 그 회전력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반구와 같은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lower frame 125 is rotated by the user, the engagement protrusion 119 and the engagement recess 125a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such as a hemispher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user, As shown in Fig.

참고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터부(120)의 상부 프레임(123) 및 하부 프레임(125)은, 플라스틱재나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필터부(120)를 삽입시키거나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필터부(120)를 이탈시키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플라스틱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frame 123 and the lower frame 125 of the filter unit 12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insert the filter unit 120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unit 1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body 12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like the body 110 so a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ilter unit 120 or detaching the filter unit 120 from the inner space.

상기 배수 조절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수커버(131)와 제2배수커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drainage control unit 130 includes a first drainage cover 131 and a second drainage cover 133,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 ≪ / RTI >

상기 제1배수커버(131)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가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배수커버(131) 또한 원판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배수커버(131)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drain cover 1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n top of the body 1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first drain cover 131 is also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circular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polygonal plat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en top of the body 110.

상기 제1배수커버(131)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저면 테두리부는 상기 지지턱(115)에 놓여지게 된다.The first drain cover 131 is inserted into the open top of the body 110 and the bottom edge of the first drain cover 131 is placed on the support jaw 115.

또한,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테두리면에는 상기 안착홈(117)에 삽입되는 돌기(131a)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131a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17 may be formed on a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돌기(131a)는 상기 안착홈(117)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 또한, 상기 안착홈(117)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31a of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ating groove 117 and the number of the protrusion 131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seating groove 117 .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돌기(131a)는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저면 테두리부가 상기 지지턱(115)에 놓여지게 되면 상기 안착홈(117)에 삽입되며, 상기 제1배수커버(131)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jection 131a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131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17 when the bottom edge of the first drain cover 131 is placed on the support jaw 11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ain cover 131 from being rot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또한,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저면에는 관형의 삽입부(131b)가 돌출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1b)는, 상기 지지턱(115)이 형성하는 개구부로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저면 테두리부가 상기 지지턱(115)의 윗면에 놓여지게 되면 상기 지지턱(115)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a tubular insertion portion 131b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The insertion portion 131b has an outer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formed by the supporting jaw 115 and the bottom edge of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jaw 115 It may be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115.

상기 삽입부(131b)는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돌기(131a)와 함께 상기 제1배수커버(131)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상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31b can prevent the first drain cover 131 from flow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131a of the first drain cover 131. [

상기 제2배수커버(133)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는 원형의 캡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상기 제1배수커버(131)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외면을 감싼 상태로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drain cover 133 is formed in a circular cap shap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can be received and the first drain cover 131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110. The body part 1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10. [

상기 제2배수커버(133)와 상기 몸체부(110)가 결합되는 방식은 나사결합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배수커버(133)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외면에 나사가공부(미도시)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배수커버(133)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외면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drain cover 133 and the body 110 may be coupled by a screw coupling method. (Not shown)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drain cover 13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drain cover 133 and the body 1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1배수커버(131) 및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는 배수공(h1, h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Drain holes h1 and h2 may be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131 and the second drain cover 133, respectively.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되는 배수공(h1)과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되는 배수공(h2)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110)의 회전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배수커버(131) 및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되는 배수공(h1)은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되는 배수공(h2)은 상기 제2배수커버(133)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 hole h1 formed in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and the drain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nd can be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131 and the second drain cover 133, respectively. That is, the drain hole h1 formed in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is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and the drainage hole h1 formed in the second drainage cover 131 The drainage hole h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at one side thereof.

또한,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2)은, 상기 제2배수커버(133)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회전되면, 상기 제2배수커버(133) 상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공전(公轉)되며, 이때, 상기 제1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1)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배수커버(133)의 배수공(h1)과 상기 제2배수커버(133)의 배수공(h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가 되면, 상기 배수공(h1, h2)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필터부(120) 측으로 세척수나 압축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The drain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drain cover 133 may be formed on the second drain cover 133 when the second drain cover 133 is rot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 The first drain cover 133 can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ain hole h1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133. [ When the drain hole h1 of the first drainage cover 133 and the drain hole h2 of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correspon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drainage holes h1, The washing water or the compresse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12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unit 110.

반대로, 상기 제2배수커버(133)의 배수공(h2)이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배수공(h1)과 대응되지 않는 위치, 즉, 서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2배수커버(133)가 회전되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필터부(120) 측으로 세척수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가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되며, 상기 몸체부(110)에 저장된 세척수나 쌀이 상기 몸체부(11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는 상태가 된다.Conversely, the second drain cover 133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drain hole h2 of the second drain cover 133 does not correspond to the drain hole h1 of the first drain cover 131, The washing water or the air can not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120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art 110. [ In other words,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10 is completely cut off, and the washing water or the rice stored in the body part 110 can 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10.

한편, 상기 제1배수커버(131) 및 제2배수커버(133)에는 다수개의 보조 배수공(h3, h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uxiliary drain holes h3 and h4 may be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131 and the second drain cover 133, respectively.

상기 보조 배수공(h3, h4)은 상기 제1배수커버(131) 또는 상기 제2배수커버(133)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되는 보조 배수공(h3)과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되는 보조 배수공(h4)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auxiliary drainage holes h3 and h4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or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and are formed in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The auxiliary drain h3 and the auxiliary drain h4 formed in the second drain cover 133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이에 따라, 상기 제2배수커버(133)가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보조 배수공(h4)과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보조 배수공(h1)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 또는 서로 엇갈리는 위치가 될 수 있다.The auxiliary drain hole h4 formed in the second drain cover 133 and the auxiliary drain hole h1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131 correspond to each other as the second drain cover 133 is rotated Position or a staggered posi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 배수공(h3, h4)은, 상기 필터부(110)에 수용된 쌀을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세척수를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배출할 시에, 상기 배수공(h1, h2)과 함께 세척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auxiliary drainage holes h3 and h4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110 in order to clean the rice housed in the filter unit 11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rainage of the washing water together with the drain holes h1 and h2.

참고로, 상기 보조 배수공(h3, h4)은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2)과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배수공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가 되었을 때 서로 대응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2)과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배수공(h1)이 서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었을 때에는 서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1배수커버(131) 및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위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drains h3 and h4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drain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drain cover 133 and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first drain hole cover 131 correspond to each other, Similarly, when the drain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drain cover 133 and the drain hole h1 formed in the first drain hole cover 131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the first drain cover 131 And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as shown in FIG.

상기 상측 커버부(140)는, 상기 배수 조절부(130)의 제2배수커버(13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몸체(141)와, 상기 커버 몸체(141)의 상부에 마련되며, 공기 유동구(143a)가 형성된 공기 가압 부재(143) 및 상기 커버 몸체(141)에 마련되되 상기 배수공(h1, h2)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에 의해 형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필터부(120)가 배치된 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1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cover 140 includes a cover body 14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drain cover 133 of the drain controller 130 and a cover body 141 provided on the cover body 141, An air pressure member 143 formed with a flow hole 143a and compressed air formed by the air pressing member 143 inserted into the drain holes h1 and h2 provided in the cover body 14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s 145 are disposed.

상기 커버 몸체(141)는 상기 제2배수커버(133)가 수용될 수 있는 원형의 캡 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제2배수커버(133)의 외면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몸체(141)가 상기 제2배수커버(13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배수커버(133)의 하단부 외면에 상기 커버 몸체(141)의 하단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133a)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배수커(133)의 하단부 외면에 상기 커버 몸체(141)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는 단턱(미도시)를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 몸체(141)와 상기 제2배수커버(13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몸체(141)는 상기와 같은 결합방식에 의해 상기 제2배수커버(133)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body 141 is formed in a circular cap shape in which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can be received and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141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As shown in FIG. 2, the cover body 141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drain cover 133 by a variety of known method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141 may be formed with an engaging groove 133a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body 141 in a detent manner, The cover body 141 and the second drain cover 133 may be detachably coupled in such a manner as to form a step (not shown) in which the lower ends of the first drain cover 141 and the second drain cover 141 can be supported. The cover body 14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in a state of accommodating the second drain cover 133 by the above-described coupling method.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커버 몸체(141)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가압 공기실(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익 공기 가압 부재(143)의 하단 테두리부는 상기 커버 몸체(141)의 윗면 테두리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air pressing member 14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body 141 to form a pressurized air chamber S. At this time, the lower edge of the air pressurizing member 143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edge of the cover body 141.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는 상기 커버 몸체(141)의 상부에서 반구 또는 타원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쌀 눈의 형상으로 상기 커버 몸체(141)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air pressing member 143 may protrude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ver body 141 in the shape of a hemisphere or an ellip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의 중앙부 또는 소정의 위치에는 대기 즉, 공기 가압 부재(143)의 외부와 상기 가압 공기실(S)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공기 유동구(143a)가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 air flow port 143a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air pressurizing member 143 with the pressurized air chamber S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ir pressurizing member 143 .

상기 노즐(145)은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가 형성하는 가압 공기실(S)과 연통 가능하게 상기 커버 몸체(141)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회전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몸체(141)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145)은 상기 커버 몸체(14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몸체(141)에 마련될 수 있다.The nozzle 145 is provided on the cover body 141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 pressurized air chamber S formed by the air pressing member 143. The nozzle 145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enter of the body 110, And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body 141. [ That is, the nozzle 145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body 141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141.

상기 노즐(145)은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2)과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배수공(h1)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2)과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배수공(h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로 삽입될 수 있다.The nozzle 145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drain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and the drain hole h1 formed in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water can b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through the drain hole h2 formed in the cover 133 and the drain hole h1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131. [

상기 노즐(145)이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로 삽입되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필터부(120)의 메쉬(121)가 형성하는 쌀 수용공간에 그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nozzle 145 is inserted into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the rice 121 of the filter unit 120, which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he end portion can be disposed.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상기 공기 유동구(143a)를 차단한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를 가압하여 상기 가압 공기실(S)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메쉬(121)가 형성하는 쌀 수용공간으로 분사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에서 손을 떼면 상기 공기 유동구(143a)를 통해 상기 공기 가압 부재(195)가 형성하는 가압 공기실(S)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가 부풀어 오르면서 원상태의 형상대로 복귀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presses the air pressurizing member 143 in a state where the air flow opening 143a is blocked by a finger or a palm that blocks the air flow, and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pressurized air chamber S is supplied to the mesh 121 to the ric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hand from the air pressure member 143, air flows into the pressurized air chamber S formed by the air pressure member 195 through the air flow port 143a, 143 can swell up and return to the original shape.

여기서, 상기 상측 커버부(14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마련된 필터부(120) 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거나 공기를 불어줄 시에는,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2)이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배수공(h1)과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2배수커버(133)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배수공(h1, h2)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가 되어야 상기 노즐(145)이 상기 배수공(h1, h2)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 측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compressed air is blown toward the filter unit 120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or the air is blown by using the upper cover unit 14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is rotated such that the formed drainage hole h2 corresponds to the drain hole h1 formed in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 The nozzle 145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hrough the drain holes h1 and h2 as long as the drain holes h1 and h2 correspond to each other.

참고로, 상기 제2배수커버(133)의 배수공(h2)과 상기 제1배수커버(131)의 (h1)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 또는, 서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제2배수커버(133)가 회전되는 방향은, 상기 제2배수커버(133)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외주면과 결합되는 방향 또는 결합 해제되는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설령, 상기 제2배수커버(133)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외주면과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제2배수커버(133)와 상기 몸체부(110) 간의 결합력 또는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drain cover 13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drain hose h2 of the second drain cover 133 and the h1 of the first drain cover 131 are mutually offse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drain cover 133 is rotated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drain cover 133 is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or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drain cover 133 is disengaged, The coupling force or airtightness between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and the body 110 is not reduced even if the first drainage cover 133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to be disengaged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상기 하측 커버부(150)는 상기 필터부(120)의 메쉬(121) 내에 수용된 쌀에서 배출되는 비소 또는 이물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 외면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cover part 150 forms a space for storing arsenic or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rice accommodated in the mesh 121 of the filter part 120. The lower cover part 150 is detachab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part of the body part 110 Lt; / RTI >

상기 하측 커버부(150)가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 외면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상기 제2배수커버(133)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부 외면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나사가공부를 이용할 수 있다.The lower cover part 150 is detachably coupl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110 is detachably coupled with the second drain cover 133 As with the method, a screw can be used for studying.

즉, 상기 하측 커버부(150)의 내면과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 외면에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가공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하측 커버부(150)를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 상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inner cover 14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may be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lower cover 15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on the lower end.

이때, 상기 하측 커버부(150)에는 상기 메쉬(121) 내에 수용된 쌀에서 배출되는 비소 또는 이물질과 같은 불순물을 흡착하는 흡착제(160)가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cover part 150 may be provided with an adsorbent 160 for adsorbing impurities such as arsenic or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rice contained in the mesh 121.

상기 흡착제(160)는 상기 하측 커버부(15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만 마련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커버부(150)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120)의 메쉬(121)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흡착제(160)의 일단은 상기 하측 커버부(15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부(120)의 하부 프레임(125)을 통과하여 상기 메쉬(12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adsorbent 160 may be provided only in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cover part 150 o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cover part 150 to form the mesh 150 of the filter part 120, (Not shown). That is, one end of the adsorbent 16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over part 15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mesh 121 through the lower frame 125 of the filter part 120 .

이때, 상기 메쉬(121)의 바닥면은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흡착제(160)의 타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흡착제(160)는 다양한 공지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숯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mesh 121 may be bent upward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adsorbent 160 can be accommodated. For the reference, the adsorbent 160 may be any of various known materials, but is preferably used as a harmless charcoal.

상기 상측 커버부(140)에 의해서 생성된 공기에 의해서 쌀에서 분리되지 않고 쌀에 여전이 묻어 있는 비소는 물에 녹아서 이온화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흡착제(160)는 물에 녹아서 이온화 상태의 비소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100)는 공기를 불어서 쌀에 묻어 있는 비소 또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고, 흡착제(160)를 이용하여 물에 녹은 이온화 상태의 비소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rsenic, which is not separated from rice by the air generated by the upper cover part 140 and is present in the rice, is dissolved in water and exists in an ionized state. The adsorbent 160 is dissolved in water to form arsenic Can be adsorbed and removed. As described above, the rice wash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ws air to primarily remove arsenic or foreign matter from the rice, and uses the adsorbent 160 to remove arsenic in the ionized state dissolved in water It can be removed regularly.

또한, 상기 흡착제(160)는 별도로 구비되는 대신 상기 필터부(120)의 표면에 도포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adsorbent 16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unit 120 instead of being separately provid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100)의 사용방법이 예를 들어 설명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rice wash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세척하고자 하는 쌀을 상기 필터부(120)의 메쉬(121)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120)를 삽입시킨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120)의 상부 프레임(123)에 형성된 돌기(123a)를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1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First, the user inserts the filter unit 120 through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in a state where the rice to be cleaned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mesh 121 of the filter unit 120, . That is, the protrusion 123a formed in the upper frame 123 of the filter unit 1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1 formed in the body 110, .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필터부(120)의 하부 프레임(125) 외면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125)에 마련된 손잡이부(125b)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필터부(12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13)에 상기 상부 프레임(123)의 돌기(123a)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결국,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상기 필터부(120)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user then grasps the handle 125b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25 of the filter unit 120 or the filter unit 120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hereby rotating the part 120. In this state, the protrusion 123a of the upper frame 123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flow prevention groove 113 formed in the body 110,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he filter unit 120 can be fixedly disposed without detaching the filter unit 120. [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하측 커버부(150)를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 외면에 결합시킨다.Then, the user joins the lower cover part 15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part of the body part 110.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는 상기 배수 조절부(130)와 상기 상측 커버부(140)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하측 커버부(150)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될 수 있다.The open top of the body 110 is blocked by the drainage control part 130 and the top cover part 140 and the open bottom of the body part 110 May be blocked by the lower cover part 150.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어준다. 그러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마련된 쌀이 상기 메쉬(121)와 마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쌀에 달라붙어 있던 비소 또는 기타 이물질 등이 쌀에서부터 떨어져 상기 하측 커버부(150)가 형성하는 공간 내로 포집될 수 있다.Next, the user shakes the body 110 in the up-and-down direction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le grasping the body 110. As a result, the ric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rubs against the mesh 121, so that arsenic or other foreign matter sticking to the rice is separated from the rice and the lower cover 150 And can be collected into the space for forming.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상측 커버부(140)의 공기 가압 부재(143)를 이용하여 쌀에 잔존하는 비소 또는 기타 이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Next, the user can remove the arsenic or other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rice by using the air pressing member 143 of the upper cover part 140. [

즉, 사용자는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를 가압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 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그러면, 쌀에 잔존하고 있던 비소 또는 이물질 등이 노즐(145)에서 분사되는 압착공기에 의해 쌀에서 떨어져 상기 하측 커버부(150)가 형성하는 공간 내로 포집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pressurize the air pressurizing member 143 to spray the compressed air toward the inner space side of the body 110. Arsenic or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r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rice by the compressed air injected from the nozzle 145 and collec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cover part 150.

그 다음, 사용자는, 마찰력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쌀에 달라붙어 있던 비소 또는 이물질을 두 번에 걸쳐 제거하고 난 후에, 세척수를 이용하여 쌀을 세정할 수 있다.Then, the user can clean the rice using the washing water after removing the arsenic or foreign matter sticking to the rice twice by using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compressed air.

이때, 사용자는 상기 배수 조절부(130)의 제2배수커버(133)와 결합된 상기 상측 커버부(140)를 상기 제2배수커버(133) 상에서 분리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배수공(h1)과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2)에 삽입되어 있던 노즐(145)이 상기 배수공(h1, h2) 상에서 이탈되고, 사용자는 상기 배수공(h1, h2)을 통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 내로 세척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separates the upper cover 140 coupled to the second drain cover 133 of the drain controller 130 on the second drain cover 133. The drain hole h1 formed in the first drainage cover 131 and the nozzle 145 inserted in the drain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are separated from the drain holes h1 and h2 , The user can introduce the washing wate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through the drain holes h1 and h2.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세척수가 유입되고 나면, 사용자는 상기 제2배수커버(133)를 회전시켜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2)과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배수공(h1)이 서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도록 한다.The user may rotate the second drain cover 133 to remove the drain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drain cover 133 and the drain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drain cover 133. [ 131 are made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는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세척수가 몸체부(1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10 is completely cut off and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art 110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10 .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어 상기 메시(121) 내에 마련된 쌀이 세척수에 의해 세정되도록 한다.Next, the user swings the body 110 in the up-and-down direction or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ile grasping the body 110, so that the rice provided in the mesh 121 is cleaned by the washing water.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 내에서 쌀을 불릴 수 있으며, 쌀을 불리는 과정이 끝나면, 상기 제2배수커버(133)에 형성된 배수공(h2)과 상기 제1배수커버(131)에 형성된 배수공(h1)이 서로 일치되도록 상기 제2배수커버(133)를 회전시켜 상기 배수공(h1, h2)을 통해 세척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특히, 쌀을 불리는 과정에서 세척수의 상부측에는 비소 또는 이물질이 부유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수공(h1, h2)을 통해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에는 쌀에서 떨어져나간 비소 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Finally, the user can call the rice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10 by using the washing water. When the process of calling rice is finished, the drainage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drainage cover 133, The first drain cover 133 is rotated so that the drain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drain cover 131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o drain the wash water through the drain holes h1 and h2. Particularly, since arsenic or foreign matter may float on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water during the process of calling ric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10 through the drain holes h1 and h2 may contain arsenic or foreign matter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기(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서의 배수 조절부(130)를 생략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상기 상측 커버부(140)를 바로 결합시켜 도정된 쌀에 존재하는 비소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8 and 9, the rice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rainage control unit 130 in FIGS. 1 to 3 is omitted, The upper cover 14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110 to remove arsenic or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rice.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상기 상측 커버부(140)가 결합될 시에는, 상기 상측 커버부(140)의 커버 몸체(141) 내주면에 나사 가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 가공부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가공부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상측 커버부(140)가 회전에 의해 상호 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body 141 of the upper cover 140 when the upper cover 14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The threaded portion is engaged with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so that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upper cover portion 14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rotation .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120)의 내부공간에 세척하고자 하는 쌀을 삽입한 뒤, 상기 상측 커버부(140)를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시켜 상기 개방된 상부를 차단할 수 있다.The user inserts the rice to be clean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ilter unit 120 through the opened top of the body 110 and then connects the upper cover unit 140 to the body 110 The open top can be blocked.

그리고, 상기 공기 가압 부재(143)를 가압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공간 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그러면, 쌀에 잔존하고 있던 비소 또는 이물질 등이 노즐(145)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쌀에서 떨어져 상기 하측 커버부(150)가 형성하는 공간 내로 포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14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커버부(140)에서 일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되지 않고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ressed air can be spray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by pressing the air pressure member 143. Arsenic or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r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rice by the compressed air injected from the nozzle 145 and collec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cover part 15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it is preferable that the nozzle 145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rather than being disposed on one side in the upper cover 140.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상측 커버부(140)를 몸체부(110)에서 분리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로 세척수를 투입한 후 다시 상기 상측 커버부(140)와 몸체부(110)를 결합할 수 있다.The user then removes the upper cover 140 from the body 110 and inserts the washing water into the body 110. The user then removes the upper cover 140 and the body 110 Can be combined.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어 상기 메시(121) 내에 마련된 쌀이 세척수에 의해 2차 세정되도록 한다.Next, the user shakes the body part 110 in the up-and-down direction or the left-to-right direction while holding the body part 110, so that the rice in the mesh 121 is secondly cleaned by the washing water.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상기 상측 커버부(140) 또는 상기 하측 커버부(160)를 상기 몸체부(110)에서 분리한 뒤, 세척수를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배수시킬 수 있다.Finally, the user removes the upper cover 140 or the lower cover 160 from the body 110, and then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기는 도정된 쌀에 잔류하는 쌀의 외피인 도정 가루를 공기펌프와 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ric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effectively remove the ground powder, which is a shell of the rice remaining in the rice, using an air pump and a siev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쌀 세척기 110 : 몸체부
111 : 가이드홈 113 : 유동방지홈
120 : 필터부 121 : 메시
123 : 상부 프레임 125 : 하부 프레임
130 : 배수 조절부 131 : 제1배수커버
133 : 제2배수커버 140 : 상측 커버부
141 : 커버 몸체 143 : 공기 가압 부재
145 : 노즐 150 : 하측 커버부
160 : 흡착제
100: rice washing machine 110:
111: guide groove 113:
120: filter unit 121: mesh
123: upper frame 125: lower frame
130: drainage control unit 131: first drainage cover
133: Second drainage cover 140: Upper cover part
141: cover body 143: air pressing member
145: nozzle 150: lower cover part
160: Absorbent

Claims (12)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쌀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되 상기 필터부에 수용된 쌀에 압축공기를 제공하거나 공기를 불어주는 상측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부에 수용된 쌀에서 분리되는 비소 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하측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동방지홈; 상기 유동방지홈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몸체부의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턱; 및 상기 지지턱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배수 조절부는, 상기 지지턱에 놓여지며,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돌기가 마련된 제1배수커버; 상기 제1배수커버를 감싼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배수커버; 및 상기 몸체부의 회전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중되어 상기 제1배수커버 및 상기 제2배수커버에 각각 형성되는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 filter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rice can be received;
An upper cover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or blowing air to the rice housed in the filter part; And
And a lower cover part provided below the body part and storing arsenic or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rice contained in the filter part,
Wherein the body portion comprises: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flow preventing groove communicab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support protrusio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preventing groove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And a seating groov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jaw and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 drainage cov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drainage cover placed on the support jaw and provided with protrusions inserted and seated in the seating recesses; A second drain cover rotat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in a state of wrapping the first drain cover; And a drain disposed in the first drain cover and the second drain cover, respectively, which are bias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커버부는,
상기 제2배수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몸체;
상기 커버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공기 유동구가 형성된 공기 가압 부재; 및
상기 커버 몸체에 마련되되 상기 배수공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 가압 부재에 의해 형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필터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ver part
A cover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drain cover;
An air pressing member provided on the cover body and having an air flow port; And
And a nozzle provided in the cover body and injecting compressed air formed by the air pressure member into the drain ho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lter unit is dispos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압 부재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커버 몸체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ir press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protrudes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쌀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메쉬;
상기 메쉬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방지홈에 안착되는 돌기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메쉬의 하부에 마련되되 환형의 걸림홈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unit includes:
A mesh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rice can be accommodated and having an open top;
An upper frame provided on the mesh and hav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and seated in the flow prevention grooves; And
And a lower fram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esh, the lower frame having an annular catching groove formed therei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홈은 이탈방지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 돌기는 상기 유동방지홈에 삽입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돌기가 상기 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low prevention groove further includes an escape prevention projection,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prevents the projection of the upper frame inserted in the flow preventing groove from rotat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low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which is inserted into a latch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is enga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커버 및 상기 제2배수커버에는 다수개의 보조 배수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rain cover and the second drain cover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auxiliary drain hole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턱이 형성하는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배수커버의 유동을 방지하는 관형의 삽입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ubular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n opening formed by the support step and preventing the flow of the first drain cov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drain cover.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커버부에는 상기 필터부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이 흡착되는 흡착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lower cover part is provided with an adsorbent for adsorbing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filter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상기 하측 커버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dsorbent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lower cover part and is disposed inside the filter part.
KR1020160004248A 2016-01-13 2016-01-13 Rice washing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1733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248A KR101733338B1 (en) 2016-01-13 2016-01-13 Rice was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248A KR101733338B1 (en) 2016-01-13 2016-01-13 Rice wash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338B1 true KR101733338B1 (en) 2017-05-08

Family

ID=6016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2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33338B1 (en) 2016-01-13 2016-01-13 Rice was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33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5806A (en) * 2019-03-01 2019-07-09 周口职业技术学院 A kind of electromechanical integrated device of tap switch
JP7174889B1 (en) * 2022-03-11 2022-11-18 株式会社グローバルステップフォーワード rice portable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83Y1 (en) * 1999-09-30 2000-03-15 배성순 Indoor air purifier
CN104890682A (en) 2015-06-19 2015-09-09 株洲联诚集团有限责任公司 Locomotive sand scattering device capable of clearing fine sand grains automatical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83Y1 (en) * 1999-09-30 2000-03-15 배성순 Indoor air purifier
CN104890682A (en) 2015-06-19 2015-09-09 株洲联诚集团有限责任公司 Locomotive sand scattering device capable of clearing fine sand grains automatical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5806A (en) * 2019-03-01 2019-07-09 周口职业技术学院 A kind of electromechanical integrated device of tap switch
JP7174889B1 (en) * 2022-03-11 2022-11-18 株式会社グローバルステップフォーワード rice portabl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5339C (en) Improvements in food processor appliances
KR200450676Y1 (en) Receptacles for Coffee Capsules
AU2010205705B2 (en) Valve actuating device of a valve, liquid tank of a liquid treatment apparatus, and a liquid treatment apparatus
CN109379925A (en) Germination lid for container
KR101733338B1 (en) Rice washing device
KR102254613B1 (en) Packing structure including a tray for washing
KR101765225B1 (en) Washing device of food materials
KR101859376B1 (en) Hair catcher for drain hole
KR200481490Y1 (en) Bathtub Plug
JP2019098010A (en) Lint filter device and washing machine
KR200495575Y1 (en) Shower apparatus having turnstile head
KR20130131855A (en) Filter having bottom emission door for sink drainage hole
KR101369553B1 (en) Dividing and opening-shutting filter for sink drainage hole
JP2011161070A (en) Tea strainer
KR101815551B1 (en) Skin beauty device with housing of multi filter type
CN106136777B (en) A kind of reusable capsule drink reconstitutes cup
US10258847B2 (en) Golf club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481536Y1 (en) Portable eye cleaning device
KR20150138682A (en) Defrost Drain With Nozzle Of Cleaning Water
KR20070096152A (en) Rice cake mold for fishing
CN109402967A (en) A kind of detergent additive box and washing machine
KR20170005385A (en) Portable cleaning apparatus
KR20180136681A (en)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KR20180119876A (en)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JP2004141236A (en) Dripper for coffee or t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