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1768B1 -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768B1
KR101731768B1 KR1020160161152A KR20160161152A KR101731768B1 KR 101731768 B1 KR101731768 B1 KR 101731768B1 KR 1020160161152 A KR1020160161152 A KR 1020160161152A KR 20160161152 A KR20160161152 A KR 20160161152A KR 101731768 B1 KR101731768 B1 KR 101731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led lighting
lighting apparatus
led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중환
Original Assignee
문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중환 filed Critical 문중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7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형광등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고안된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는 형광등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의 몸체; 형광등이 삽입되는 원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내외 측으로 탄성을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로서, 상기 몸체의 배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체결되는 한 쌍의 장착 유닛; 외부 전원에 연결되기 위한 전원선을 가지면서 상기 몸체의 배면에 체결되는 LED 구동 유닛;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다수의 LED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실장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에 체결되어 상기 LED 구동 유닛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장착 유닛에 의하여 기존의 형광등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Fluorescent-mounted LED light}
본 발명은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형광등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고안된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LED 조명은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가정이나 산업분야에서 그 적용 분야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CCFL 과 같은 기존의 형광등을 대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형광등을 대체하는 LED 조명기기는 기존의 형광램프를 철거한 후 해당 위치에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LED 조명기기는 인버터, 컨버터 등의 안정기를 포함하는 LED 구동 회로부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천장에 설치된 기존의 FPL형 조명기기의 장착 기구(예컨대, 램프 갓)에는 그대로 설치될 수 없고, FPL형 조명기기의 장착 기구 형태를 새롭게 교체해야 하는 등 설치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상기 LED 조명기기는 기존의 장착 기구를 철거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되고 교체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10-1503877호(선행문헌)에는 램프의 장착 기구를 새롭게 교체할 필요 없이 그대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LED 램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상기 개선된 LED 램프도 안정기와 같이 조명 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요 구성들은 철거되지 않고 기존의 장착 기구에 그대로 설치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형광램프 자체는 철거하고 새로운 LED 램프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의 LED 램프도 바 형상(bar type, 즉, 선광원)의 형광램프가 적용된 기존의 FPL형 조명기기를 대체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광원 형태의 램프로만 교체가 가능하여, 소정의 발광면적을 갖는 면광원 형태의 조명기기로는 대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10-1503877호(2015.03.12.등록, FPL형 LED 램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FPL형 조명기기의 장착 기구를 철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형광등도 철거하지 않는 LED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존의 FPL형 조명기기에 대하여 형광등에 직접 체결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LED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존의 바 형상(bar type)의 조명기기를 면광원 형태의 조명기기로 쉽게 대체할 수 있는 LED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는 형광등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의 몸체; 형광등이 삽입되는 원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내외 측으로 탄성을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로서, 상기 몸체의 배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체결되는 한 쌍의 장착 유닛; 외부 전원에 연결되기 위한 전원선을 가지면서 상기 몸체의 배면에 체결되는 LED 구동 유닛;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다수의 LED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실장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에 체결되어 상기 LED 구동 유닛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장착 유닛에 의하여 기존의 형광등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 유닛은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스크류 구조물 또는 후크 구조물을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 구조물 또는 후크 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몸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LED 조명기기는 기존의 형광등을 철거하지 않아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LED 조명기기는 기존의 형광등에 직접 체결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조명기기 설치를 어려워하는 여성들도 전기에 대한 두려움 없이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LED 조명기기는 형광등으로부터 분리도 쉽게 이루어져 이동 설치가 자유로운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LED 조명기기는 선광원 형태의 기존의 형광등을 면광원 형태의 LED 램프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부착형 LED 조명기기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부착형 LED 조명기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부착형 LED 조명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인 장착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부착형 LED 조명기기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부착형 LED 조명기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부착형 LED 조명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주요부인 장착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부착형 LED 조명기기(100)는 사각 판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배면(상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체결되는 한 쌍의 장착 유닛(120)과, 상기 몸체의 배면 일 측에 체결되는 LED 구동 유닛(130)과, 상기 LED 구동 유닛에 연결되어 LED 구동 유닛을 외부 전원으로 연결하는 전원선(140)과, 상기 몸체의 전면(하면)에 체결되는 발광 유닛(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장착 유닛(120), LED 구동 유닛(130), 발광 유닛(150) 등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LED 조명기기(100)의 하우징이다. 상기 몸체(110)는 절연 재질로서 적어도 형광등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 또는 폭을 가지는 사각 판(plate) 형상을 이룬다. 이때, LED 조명기기(100)가 형광등(200)에 장착시 형광등이 전면으로 시인되지 않아야 하므로 몸체(110)는 적어도 형광등 보다는 큰 길이를 가져야 한다.
상기 장착 유닛(120)은 LED 조명기기(100)를 형광등(200)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사각 판 형상의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몸체(110)에 체결된다. 장착 유닛(120)은 길이 방향의 몸체(110)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유닛(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24) 등에 의하여 몸체(11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장착 유닛(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 체결되기 위한 스크류 구조물(123)이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크류 구조물 외에 후크 구조물에 의하여 몸체(110)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0)에는 스크류 구조물 또는 후크 구조물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 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장착 유닛(120)은 형광등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구조를 이룬다. 즉, 장착 유닛(120)은 내부에 원형의 수용 공간(122)은 형성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프레임(121)으로 구성되며, 프레임(121)의 하단은 연결되면서 상단은 다시 외측으로 벌어져 형광등이 쉽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21)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121)은 하단부를 축으로 내외측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LED 조명기기(100)가 형광등(200)에 장착될 때는 외측으로 밀려나 원형의 형광등이 수용 공간(122)으로 쉽게 삽입되도록 하며, 형광등이 수용 공간(122)에 삽입된 후 다시 원 상태로 복귀되어 LED 조명기기(100)가 형광등(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장착 유닛(120)은 한 쌍의 상기 프레임(121)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이때, 상기 프레임(121)이 형성하는 수용 공간(122)의 폭은 도 4의 (a)와 같이 하나의 원형 형광등에 대응되는 폭을 이루거나, 기존에 설치된 형광등의 수에 따라 두 개의 원형 형광등에 대응되는 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LED 구동 유닛(130)은 외부 전원에 의하여 몸체(110) 전면의 발광 유닛(150)을 구동시켜 LED 조명기기(100)를 점등시키는 구성으로, 인버터 등을 포함하여,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공지의 기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ED 구동 유닛(130)은 몸체(110)의 배면에 체결되되, LED 조명기기(100)가 형광등에 장착시 형광등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ED 구동 유닛(130)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선(140)의 연결된다.
상기 발광 유닛(150)은 LED 구동 유닛(130)의 제어에 따라 점등이 발광하는 LED 조명기기(100)의 광원으로, 소정의 회로가 인쇄된 기판(151) 상에 다수의 LED(152)가 실장되는 LED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LED(152)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 실장되며, 발광 유닛(150)의 전체 영역에서는 면광원 형태의 빛이 출사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광 유닛(150)의 전면에는 발광 유닛(150)에서 출사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 확산판이 몸체(110)에 더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100)는 기존의 형광등이나 스탠드에 설치된 형광등 등의 조명기구에 대하여 형광등을 철거하지 않고 형광등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누구나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100)는 형광등으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동 설치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LED 조명기기
110 : 몸체 120 : 장착 유닛
130 : LED 구동 유닛 140 : 전원선
150 : 발광 유닛

Claims (3)

  1. 바 형상의 기존의 형광등을 대체하는 LED 조명기기에 있어서,
    사각 판 형상의 몸체;
    일 측이 개방되어 상기 형광등이 삽입되는 원형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내외 측으로 탄성을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로서,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 외면에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스크류 구조물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배면에 체결되는 한 쌍의 장착 유닛;
    외부 전원에 연결되기 위한 전원선을 가지면서 상기 몸체의 배면에 체결되는 LED 구동 유닛;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다수의 LED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실장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에 체결되어 상기 LED 구동 유닛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장착 유닛의 수용 공간 내부로 기존 형광등을 수용시켜 기존의 형광등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2. 삭제
  3. 삭제
KR1020160161152A 2015-12-17 2016-11-30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731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64A KR20160008127A (ko) 2015-12-17 2015-12-17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KR1020150180664 2015-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768B1 true KR101731768B1 (ko) 2017-04-28

Family

ID=553086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664A Pending KR20160008127A (ko) 2015-12-17 2015-12-17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KR10201601611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31768B1 (ko) 2015-12-17 2016-11-30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664A Pending KR20160008127A (ko) 2015-12-17 2015-12-17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081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716Y1 (ko) 2017-03-23 2017-06-15 박은진 Led 모듈 장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28B1 (ko) * 2012-11-01 2013-04-08 박선미 조명용 직관 램프 고정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28B1 (ko) * 2012-11-01 2013-04-08 박선미 조명용 직관 램프 고정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127A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59B1 (ko) 조명장치
US9506631B2 (en) Profile rail, connecting element, illuminating module, lighting system and light box
KR101448587B1 (ko) Led 조명등용 확산판 체결구조
JP6615540B2 (ja) Led照明器具
US20170122510A1 (en) Lighting device, fixture body for lighting device, and light-emitting unit
KR200447906Y1 (ko) 브래킷을 포함하는 에지형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KR20160053526A (ko) 엘이디 모듈과 케이스 일체형 엘이디 조명등
JP2016039033A (ja) 照明器具、光源部品および取付部品
KR20160077296A (ko) 엣지형 led조명등 설비
KR20160003482U (ko) 기구물 취부장치
KR101731768B1 (ko) 형광등 장착형 led 조명기기
JP6297299B2 (ja) 照明器具
KR20170014705A (ko) 엣지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1623708B1 (ko) 엘이디 조명구조체
KR20150098353A (ko) 형광등 등기구 호환형 조명장치
JP2011040230A (ja) 照明装置
KR20170062134A (ko) 조명장치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20180086163A (ko) 엘이디 조명등의 엘이디모듈 장착장치
KR101596745B1 (ko) 방열 및 조립성이 우수한 엘이디 천정직착등
KR200448501Y1 (ko) 누광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엘이디 조명기
KR20200077216A (ko) 엘이디 등기구
JP5552524B2 (ja) 陳列棚の照明装置
KR200473660Y1 (ko) 착탈형 엘이디 등기구
KR101321866B1 (ko) 조립식 구성의 조명장치 하우징
KR20190004432A (ko) 설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