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1333B1 -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333B1
KR101731333B1 KR1020100021097A KR20100021097A KR101731333B1 KR 101731333 B1 KR101731333 B1 KR 101731333B1 KR 1020100021097 A KR1020100021097 A KR 1020100021097A KR 20100021097 A KR20100021097 A KR 20100021097A KR 101731333 B1 KR101731333 B1 KR 10173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hannel
ack
index
subframe
downlink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393A (ko
Inventor
안준기
이정훈
양석철
서동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0756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99359B1/en
Priority to US13/147,812 priority patent/US8929308B2/en
Priority to PCT/KR2010/001814 priority patent/WO2010110598A2/en
Publication of KR2010010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393A/ko
Priority to US14/563,724 priority patent/US9143285B2/en
Priority to US14/825,766 priority patent/US9253764B2/en
Priority to US14/981,371 priority patent/US99001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333B1/ko
Priority to US15/892,548 priority patent/US10848292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소정의 포맷을 갖는 경우, 상기 스케줄링과 연관된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를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 인덱스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닛(예, 패킷)을 전송할 때, 수신기는 데이터 유닛 수신의 성공 여부를 송신기로 알려주어야 한다. 데이터 유닛 수신이 성공한 경우에는 ACK(Acknowledgement)을 전송하여 송신기가 새로운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게 하고, 실패한 경우에는 NACK(Negative-ACK)을 전송하여 송신기가 해당 데이터 유닛을 재전송하게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ARQ(Automatic Repeat reQuest)라고 한다. HARQ(hybrid ARQ)는 ARQ과 채널 코딩(channel coding)이 결합한 기법이다. HARQ는 재전송되는 데이터 유닛을 기존에 수신하였던 데이터 유닛과 결합하여 오율을 낮출 수 있다. HARQ에서 ACK/NACK(A/N)은 물리채널 시그널링 방식으로 전송된다. HARQ의 구현 방법은 크게 체이스 컴바이닝(Chase Combining; CC) 방식과 증분 중복(Incremental Redundancy; IR)이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소정의 포맷을 갖는 경우, 상기 스케줄링과 연관된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를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 인덱스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 무선 신호를 기지국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RF(Radio Frequency) 유닛; 상기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정보 및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며,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소정의 포맷을 갖는 경우, 상기 스케줄링과 연관된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를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 인덱스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이 제공된다.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소정의 포맷을 갖는지 여부는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예,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길이)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소정의 포맷을 갖는지 여부는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나르는 정보(예,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내용)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소정의 포맷을 갖는 경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널(null)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소정의 포맷을 갖는지 여부는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적용되는 마스킹 코드 또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소정의 포맷을 갖는 경우, 제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1개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 인덱스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과 연관된 인덱스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무선 신호를 기지국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RF(Radio Frequency) 유닛; 상기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정보 및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며, 상기 RF 유닛과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유닛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 인덱스와 상기 하향링크 채널과 연관된 인덱스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이 제공된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하고, 상향링크 자원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자원 인덱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인덱스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 인덱스 중에서 첫 번째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덱스 변경 정보는 (절대/상대)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인덱스 변경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상의 DCI(Dowinlink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인덱스 변경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적용되는 마스킹 코드 또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인덱스 변경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수신된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 또는 콤포넌트 반송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페어링(pariing) 되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백홀(backhaul) 통신을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페어링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LTE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은 LTE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a는 LTE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b는 LTE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와 PDCCH의 대응 관계를 예시한다.
도 6은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와 PDCCH의 대응 관계를 예시한다.
도 7a 및 7b는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이 있는 경우에 단말이 ACK/NACK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다중 콤포넌트 반송파 상황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예시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CDMA, FDMA, TDMA, OFDMA, SC-FDMA, MC-FDMA와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다. E-UMTS는 LTE 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120)과 기지국(eNode B; eNB)(110a 및 110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도 2는 LTE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2048)=3.2552×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A(또는 SC-FDMA)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7(6)개의 OFDMA(또는 SC-FDMA)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은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수, 서브프레임 내의 슬롯의 수, 슬롯 내의 OFDMA(또는 SC-FDMA)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은 균등한 길이를 가지는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은 전체 하향링크 주파수 대하여 패킷 스케줄링의 기본 시간 단위로 정의된다. 각 서브프레임은 스케줄링 정보 및 그 밖의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시간 구간(제어 영역, control region)과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구간(데이터 영역, data region)으로 나눠진다. 제어 영역은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로부터 시작되며 하나 이상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의 크기는 서브프레임마다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영역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터 영역은 하향링크 트래픽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영역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한다.
PDCCH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서 서브프레임의 처음 n개의 OFDM 심볼에 할당된다. n은 1 이상의 정수로서 PCFICH에 의해 지시된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CCE로 구성된다. 각각의 CCE는 9개의 REG를 포함하고, 각각의 REG는 기준 신호를 제외한 상태에서 네 개의 이웃한 자원요소로 구성된다. 자원요소는 1 부반송파×1 심볼로 정의되는 최소 자원 단위이다. PDCCH는 전송 채널인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할당과 관련된 정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HARQ 정보 등을 각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게 알려준다.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는 PDSCH를 통해 전송된다. PDSCH의 데이터가 어떤 단말(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이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decoding)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은 PDCCH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가 "A"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마스킹(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전송형식정보(예,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해당 셀의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PDCCH를 모니터링하고, "A" RNTI를 가지고 있는 단말은 PDCCH를 수신하고, 수신한 PDCCH의 정보를 통해 "B"와 "C"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도 4a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예,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CP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SC-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일반(normal) CP의 경우 슬롯은 7개의 SC-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데이터 영역과 제어 영역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영역은 PUSCH를 포함하고 음성 등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영역은 PUCCH를 포함하고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PUCCH는 주파수 축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끝부분에 위치한 RB 쌍(RB pair)(예, m=0,1,2,3)을 포함하며 슬롯을 경계로 호핑한다. 제어 정보는 HARQ ACK/NACK, CQI, PMI, RI 등을 포함한다.
도 4b는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구조를 예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일반 CP인 경우 슬롯의 중간에 위치한 3개의 연속된 심볼에는 기준 신호(UL RS)가 실리고, 남은 4개의 심볼에는 제어 정보(즉, ACK/NACK)가 실린다. 확장 CP인 경우 슬롯은 6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3번째 및 4번째 심볼에 기준 신호가 실린다. 복수의 단말로부터의 ACK/NACK은 CDM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PUCCH 자원에 다중화된다. CDM 방식은 주파수 확산을 위한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CS) 및/또는 시간 확산을 위한 (준)직교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일 예로, ACK/NACK은 CG-CAZAC(Computer Generated 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시퀀스의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CS)(주파수 확산) 및/또는 서로 다른 왈쉬(Walsh)/DFT 직교 코드(시간 확산)를 이용하여 구분된다. IFFT 이후에 곱해지는 w0, w1, w2, w3은 IFFT 이전에 곱해져도 결과는 같다. LTE 시스템에서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은 주파수-시간 자원(예, 자원블록)의 위치, 주파수 확산을 위한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 및 시간 확산을 위한 (준)직교 코드의 조합으로 표현되며, 각 PUCCH 자원은 PUCCH (자원) 인덱스를 이용하여 지시된다.
도 5는 ACK/NACK을 위한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LTE 시스템에서 ACK/NACK을 위한 PUCCH 자원은 각 단말에게 미리 할당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PUCCH 자원을 셀 내의 복수의 단말들이 매 시점마다 나눠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ACK/NACK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PUCCH 자원은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PDCCH에 대응된다. 각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가 전송되는 전체 영역은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되고, 단말에게 전송되는 PDCCH는 하나 이상의 CCE로 구성된다. 단말은 자신이 수신한 PDCCH를 구성하는 CCE들 중 특정 CCE (예, 첫 번째 CCE)에 대응되는 PUCCH 자원을 통해 ACK/NACK을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향링크(DL)에서 각 사각형은 CCE를 나타내고 상향링크(UL)에서 각 사각형은 PUCCH 자원을 나타낸다. 각각의 PUCCH 인덱스는 ACK/NACK을 위한 PUCCH 자원에 대응된다. 도 5에서와 같이 4~6 번 CCE로 구성된 PDCCH를 통해 PDSCH에 대한 정보가 전달된다고 가정할 경우, 단말은 PDCCH를 구성하는 첫 번째 CCE인 4번 CCE에 대응되는 4번 PUCCH를 통해 ACK/NACK을 전송한다. 도 5는 DL에 최대 N개의 CCE가 존재할 때에 UL에 최대 M개의 PUCCH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N=M일 수도 있지만 M값과 N값을 다르게 설계하고 CCE와 PUCCH들의 매핑이 겹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LTE 시스템에서 PUCCH 자원 인덱스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수학식 1]
n(1) PUCCH = nCCE + N(1) PUCCH
여기에서, n(1) PUCCH는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 인덱스를 나타내고, N(1) PUCCH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받는 시그널링 값을 나타내며, nCCE는 PDCCH 전송에 사용된 CCE 인덱스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서와 같이,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인덱스는 PDCCH 전송을 위한 첫 번째 CCE에 따라 결정된다. 그 후, PUCCH 전송을 위한 RB(Resource Block) 인덱스, 직교 커버(orthogonal cover) 인덱스 및 사이클릭 쉬프트 값은 PUCCH 인덱스를 이용해 결정된다. 기지국은 PDCCH 전송에 사용된 CCE 개수만큼의 PUCCH 자원을 점유(reserve)하므로, PDCCH 전송에 사용된 CCE가 둘 이상인 경우 첫 번째 CCE를 제외한 나머지 CCE에 매핑된 PUCCH 인덱스는 PUCCH 전송에 사용되지 않게 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CK/NACK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수는 동일하고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LTE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ACK/NACK 신호를 위한 PUCCH 전송과 관련하여 짝지워진(paired)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가진다. 그러나, LTE-A 시스템의 경우, PUCCH 전송과 관련해서 짝지워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가지지 않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FDD 시스템 및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짝지워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페어드(paired) 서브프레임 또는 보통(normal)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짝지워지지 않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논-페어드(non-paired) 또는 확장(extended)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칭한다.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은 FDD 또는 TDD 모드에서 대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예, 중계기 시스템을 위한 백홀 링크). 또한,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은 TDD 모드에서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ACK/NACK 신호 전송과 관련하여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링크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페어드 서브프레임으로 가정하고 나머지를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으로 가정할 수 있다.
단말이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즉, 페어드 서브프레임 및 논-페어드 서브프레임) 내의 복수의 PDSCH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ACK/NACK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PUCCH 자원 할당을 고려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2개의 PDSCH (및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PDCCH)를 수신한 경우, 1개의 PDSCH는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에 있고 다른 1개의 PDSCH는 페어드 서브프레임에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단말은 대응하는 2개의 PDSCH에 대한 ACK/NACK 신호를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DL 서브프레임 1은 짝지워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 서브프레임 1)이 있으므로, DL 서브프레임 0은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이고 DL 서브프레임 1은 페어드 서브프레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 'n'은 짝지워진 UL/DL 서브프레임을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간 영역에서의 서브프레임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도 6에서, 2개의 PDSCH는 각각 2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다. 단말 A(UE A)는 각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대응되는 PDSCH에 대한 ACK/NACK을 생성한 후, 2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2개의 ACK/NACK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해야 한다. 이 경우, 단말 A는 ACK/NACK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 인덱스를 결정해야 한다. 한편, DL 서브프레임 0 및 1에 대해 동일한 PUCCH 자원 할당 방법(예, PDCCH 전송에 사용된 첫 번째 CCE 이용)이 적용된다면,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이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페어드 서브프레임과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에 대해 PUCCH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이 정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단말 A에 대한 PDSCH (및 PDSCH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PDCCH)를 페어드 서브프레임 또는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으로만 전송할 수 있다(도 7a). 그러나, 단말 A가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에서만 PDSCH에 대한 PDCCH를 수신하도록 설정하더라도, 다른 단말(UE B)가 페어드 서브프레임을 통해 PDSCH에 대한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A에 대한 PDCCH와 단말 B에 대한 PDCCH의 첫 번째 CCE가 동일할 경우, 단말 A 및 단말 B에 대한 ACK/NACK 신호가 서로 충돌한다.
도 8은 다중 콤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 상황 하에서 PUCCH를 통해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7의 상황은 서브프레임을 콤포넌트 반송파로 대체함으로써 주파수 집성 상황에도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향링크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수가 상향링크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수보다 큰 경우에는 복수의 하향링크 PDSCH 전송에 대한 ACK/NACK 정보가 보다 적은 상향링크 PUCCH를 통해서 전송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 D 및 E (DDL 및 EDL)에 대한 PUCCH를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 A, B 및 C (AUL, BUL 및 CUL)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전송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 A, B 및 C (AUL, BUL 및 CUL)는 기본적으로 각각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 A, B 및 C (ADL, BDL 및 CDL)에 대한 PUCCH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 A, B 및 C (AUL, BUL 및 CUL) 중 적어도 하나는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 D 및 E (DDL 및 EDL)에 대한 PUCCH를 더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도 6 및 7과 유사하게,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 A, B 및 C (ADL, BDL 및 CDL)를 페어드 콤포넌트 반송파라고 지칭하고, 하향링크 콤포넌트 반송파 D 및 E (DDL 및 EDL)를 논-페어드 콤포넌트 반송파라고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주파수 집성 상황에서는 PDCCH와 이와 링크된 PDSCH가 서로 다른 DL CC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므로, 페어드 여부는 PDCCH가 전송되는 DL CC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페어드 여부는 PDSCH가 전송되는 DL CC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데이터 유닛은 FDD 모드에서 동시(예, 동일 서브프레임)에 수신될 수 있고, TDD 모드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시점에 수신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13을 참조하여,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DL CC) 내의 복수의 PDSCH에 대한 ACK/NACK 신호를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UL CC)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두 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DL CC) 내의 PDCSH들에 대한 ACK/NACK 신호를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UL CC)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데이터 유닛이 페어드 DL 서브프레임(또는 DL CC) 및/또는 논-페어드 DL 서브프레임(또는 DL CC)을 통해 수신된 경우를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로서 단말이 셋 이상의 DL 서브프레임(또는 DL CC)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유닛을 하나의 UL 서브프레임(또는 UL CC)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추가 자원을 점유( Reservation of additional resource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할당을 위해 PUCCH 자원 영역에 추가 자원을 점유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복수의 PDCCH와 그에 따른 PDSCH를 수신한 경우, PDCCH (또는 PDSCH)가 수신된 서브프레임(또는 DL CC)에 따라 미리 점유된 자원에서 PUCCH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점유된 PUCCH 자원은 기존의 PUCCH 자원과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정되거나 일부 중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추가 자원은 RRC 메시지 또는 L1/L2 제어 정보를 통해 명시적(explicitly)으로 지시되거나, 서브프레임(또는 DL CC)의 타입, 인덱스 등을 고려하여 묵시적(implicitly)으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추가 자원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학식 1에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점유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페어드 서브프레임(DL 서브프레임 1)에서 수신된 PDSCH에 대한 PUCCH 인덱스를 PDCCH 전송에 사용된 특정(예, 첫 번째) CCE 인덱스를 직접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논-페어드 서브프레임(DL 서브프레임 0)에서 수신된 PDSCH에 대한 PUCCH 인덱스를 PDCCH 전송에 사용된 특정(예, 첫 번째) CCE 인덱스에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추가 자원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CCE 인덱스에 오프셋을 적용하는 대신 수학식 1에서 N(1) PUCCH를 다르게 함으로써 적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2: 널( Null ) PDCCH 전송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할당을 위해 널(Null) PDCCH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기본적으로, UL 서브프레임에서 PUCCH 자원은 짝지워진 DL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PDCCH의 CCE 인덱스와 링크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이 논-페어드 DL 서브프레임을 통해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PUCCH 자원 할당을 위해 페어드 DL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PUCCH 자원 할당용 PDCCH를 별도로 정의할 수 있다. 편의상, PUCCH 자원 할당용 PDCCH를 널 PDCCH라고 지칭한다. 즉, 널 PDCCH는 논-페어드 DL 서브프레임을 위해 페어드 DL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PDCCH로서 PUCCH 자원 할당을 위한 CCE 인덱스를 제공한다. 널 PDCCH는 제어 정보의 내용(예, 널 값, 미리 정해진 특정 값 등), 제어 정보의 구조(예, DCI의 포맷, 길이 등),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을 위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스크램블링을 위한 코드 등을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널 PDCCH는 적은 수의 CCE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징적으로 1개의 CCE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이 복수의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널 PDCCH도 복수 개가 수신되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널 PDCCH는 해당 논-페어드 서브프레임과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널 PDCCH는 논-페어드 서브프레임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논-페어드 서브프레임 식별 정보는 널 PDCCH의 제어 정보(예, DCI)에 직접 포함되거나, 마스킹/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널 PDCCH의 순서(예, CCE의 개수, 특정(예, 첫 번째) CCE의 주파수 상에서의 위치)를 고려하여 해당 논-페어드 서브프레임과 자동적으로 링크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복수의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복수의 CCE로 구성된 하나의 널 PDCCH를 통해 각 CCE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PUCCH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복수의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하나의 널 PDCCH 내에 포함된 PUCCH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PUCCH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 A는 논-페어드 DL 서브프레임(DL 서브프레임 0)에서 PDSCH (및 상기 PDSCH에 관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는 PDCCH)를 수신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페어드 DL 서브프레임(DL 서브프레임 1)을 통해 단말 A에게 널 PDCCH를 전송한다. 널 PDCCH를 수신한 단말은 널 PDCCH의 특정(예, 첫 번째) CCE와 링크된 PUCCH 인덱스를 이용하여 DL 서브프레임 0에서 수신한 PDSCH에 대한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한편, 단말 B는 DL 서브프레임 1을 통해 PDCCH 및 그에 따른 PDSCH를 수신하고, PDCCH의 특정(예, 첫 번째) CCE와 링크된 PUCCH 자원을 통해 ACK/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실시예 3: 추가 정보를 시그널링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PUCCH 인덱스 할당을 위한 추가 정보를 시그널링 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서브프레임의 타입과 관계없이, PUCCH 인덱스는 해당되는 모든 PDCCH의 특정(예, 첫 번째) CCE와 링크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복수의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PDCCH의 특정(예, 첫 번째) CCE 인덱스가 중복될 수 있다. 따라서, CCE의 중복으로 인해 PUCCH 자원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CE 인덱스와 PUCCH 인덱스간의 매핑을 변경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가 정보를 간단히 인덱스 변경 정보라고 지칭한다. 일 예로, 인덱스 변경 정보는 PUCCH 인덱스에 대한 절대 또는 상대 오프셋일 수 있다. 이 경우, 오프셋은 수학식 1에 더해지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인덱스 변경 정보는 PUCCH를 통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 경우, 인덱스 변경 정보는 페어드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해 전송되거나,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구별 없이, 페어드/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해 모두 전송될 수 있다. 인덱스 변경 정보는 명시적(explicitly) 또는 묵시적(implicitly)으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덱스 변경 정보는 PDCCH의 제어 정보에 직접 포함되거나, 마스킹/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PDCCH는 인덱스 변경 여부에 대한 온/오프만 지시하고, 인덱스 변경 정보는 서브프레임 타입/인덱스, 듀플렉스 모드, CC 인덱스 등을 고려하여 미리 정의되거나 간접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일 예로, PDCCH가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 경우,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의 인덱스 또는 이와 관련된 값을 인덱스 변경 정보(예, 오프셋)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PDCCH가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 경우, 논-페어드 서브프레임과 페어드 서브프레임의 인덱스 차이 또는 이와 관련된 값을 인덱스 변경 정보(예, 오프셋)로 사용할 수 있다. PDCCH가 논-페어드 CC를 통해 수신된 경우에도 유사하게 인덱스 변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인덱스 변경 정보가 페어드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해 시그널링 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 A와 단말 B간의 PUCCH 충동을 피하기 위해, 단말 B에게 추가 정보가 시그널링 된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B에게 인덱스 오프셋이 시그널링 되었다고 가정하면, 단말 B는 DL 서브프레임 1에서 수신한 PDCCH의 특정(예, 첫 번째) CCE와 링크된 PUCCH 인덱스에 수신한 오프셋 값을 더함으로써 최종 PUCCH 인덱스를 결정한다. 한편, 단말 A는 DL 서브프레임 0에서 수신한 PDCCH의 특정(예, 첫 번째) CCE와 링크된 PUCCH 인덱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 A와 단말 B에 대한 PDCCH의 첫 번째 CCE 인덱스가 동일하더라도 PUCCH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도 12는 인덱스 변경 정보가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해 시그널링 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 A와 단말 B간의 PUCCH 충동을 피하기 위해, 단말 A에게 추가 정보가 시그널링 된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A에게 인덱스 오프셋이 시그널링 되었다고 가정하면, 단말 A는 DL 서브프레임 0에서 수신한 PDCCH의 특정(예, 첫 번째) CCE와 링크된 PUCCH 인덱스에 수신한 오프셋 값을 더함으로써 최종 PUCCH 인덱스를 결정한다. 한편, 단말 B는 DL 서브프레임 1에서 수신한 PDCCH의 특정(예, 첫 번째) CCE와 링크된 PUCCH 인덱스를 이용하여 ACK/NACK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 A와 단말 B에 대한 PDCCH의 첫 번째 CCE 인덱스가 동일하더라도 PUCCH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 4: 첫 번째 CCE 다음의 CCE 에 기초한 인덱싱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ACK/NACK 전송을 위한 PUCCH 자원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PDSCH 스케줄링용 PDCCH의 첫 번째 CCE 이후의 CCE 인덱스에 기초하여 PUCCH 인덱스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LTE 시스템에서, PDCCH 전송에 사용된 CCE가 둘 이상인 경우 첫 번째 CCE를 제외한 나머지 CCE에 매핑된 PUCCH 인덱스는 PUCCH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다. 즉, 기지국은 PDCCH 전송에 사용된 CCE 개수만큼의 PUCCH 자원을 점유(reserve)한다. 따라서, 단말이 첫 번째 CCE 이후의 CCE 인덱스에 기초하여 PUCCH 자원을 결정할 경우 ACK/NACK 신호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페어된 DL 서브프레임(DL 서브프레임 1)을 위한 PUCCH 인덱스는 대응하는 PDCCH 전송에 사용된 첫 번째 CCE 인덱스에 의해 결정된다. 반면, 논-페어된 DL 서브프레임(DL 서브프레임 0)을 위한 PUCCH 인덱스는 대응하는 PDCCH 전송에 사용된 첫 번째 CCE 인덱스의 다음 인덱스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PUCCH 자원 할당을 위한 추가 시그널링이 필요하지 않다. 한편, 둘 이상의 CCE가 PDCCH 전송을 위해 연속적으로 할당된다면, 첫 번째 CCE 인덱스의 다음 인덱스는 PDCCH를 위한 두 번째 CCE 인덱스가 될 것이다. 이 경우, 복수의 PUCCH 인덱스는 이미 PDCCH 전송을 위해 할당된 CCE들에 기초하여 배타적(exclusively)으로 점유되기 때문에 동일/다른 단말과의 충돌은 자동적으로 피해진다. 한편,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PDCCH가 단일 CCE로 구성된다면 동일/다른 단말의 PUCCH 인덱스와 충돌이 생길 수 있다. 만약, 단말 A의 PDCCH 전송을 위해 단일 CCE가 할당된다면, 기지국은 다른 단말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단말 A의 PDCCH를 위한 첫 번째 CCE의 다음 CCE 상으로 다른 단말의 PDCCH를 전송하지 않도록 스케줄링 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단말이 N(>2) PUCCH 자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시그널링 없이 간단히 확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N-1) PUCCH 인덱스가 첫 번째 CCE 인덱스 이후의 연속된 (N-1) CCE에 따라 연속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9 내지 13에서, 단말 A 및 B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단말일 수도 있다. 단말 A 및 B가 동일한 단말일 경우, 단말은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DL CC)를 통해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 유닛에 대한 ACK/NACK 신호를 링크된 PUCCH 자원을 통해 기지국(또는 중계기)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은 복수의 데이터 유닛에 대한 ACK/NACK 신호를 해당 PUCCH 자원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복수의 PUCCH 자원을 모두 이용하는 대신, 번들링 또는 다중화된 ACK/NACK신호를 하나 이상의 선택된 PUCCH 자원을 통해 전송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는 다른 목적(예, 전송 다이버시티를 위한 추가적인 PUCCH 할당)을 위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페어드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전송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의 전송 안테나로 재해석되고, 논-페어드 서브프레임은 나머지 전송 안테나로 재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전송 안테나에 대한 PUCCH 자원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PUCCH 인덱스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과 단말을 예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110) 및 단말(UE, 120)을 포함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20)의 일부이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110)의 일부이다. 기지국(110)은 프로세서(112), 메모리(1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16)은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120)은 프로세서(122), 메모리(124) 및 RF 유닛(1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4)는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6)은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기지국(110) 및/또는 단말(12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향링크 자원의 인덱스(index)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의 최소 인덱스에 제1 인덱스 오프셋(offset) 및 제2 인덱스 오프셋을 더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1 인덱스 오프셋은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제2 인덱스 오프셋은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은 CCE(control channel element)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덱스 오프셋은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수신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덱스 오프셋은 RRC 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신호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은 상기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인, 방법.
  7.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 ACK)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unit);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수신하고,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에 대한 ACK/NACK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향링크 자원의 인덱스(index)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의 최소 인덱스에 제1 인덱스 오프셋(offset) 및 제2 인덱스 오프셋을 더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1 인덱스 오프셋은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제2 인덱스 오프셋은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자원은 CCE(control channel element)인,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덱스 오프셋은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덱스 오프셋은 RRC 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는, 단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신호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은 상기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인, 단말.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21097A 2009-03-25 2010-03-10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173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47,812 US8929308B2 (en) 2009-03-25 2010-03-24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PCT/KR2010/001814 WO2010110598A2 (en) 2009-03-25 2010-03-24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EP10756353.8A EP2399359B1 (en) 2009-03-25 2010-03-24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US14/563,724 US9143285B2 (en) 2009-03-25 2014-12-08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US14/825,766 US9253764B2 (en) 2009-03-25 2015-08-13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US14/981,371 US9900140B2 (en) 2009-03-25 2015-12-28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US15/892,548 US10848292B2 (en) 2009-03-25 2018-02-09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44209P 2009-03-25 2009-03-25
US61/163,442 2009-03-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843A Division KR101825001B1 (ko) 2009-03-25 2017-04-20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393A KR20100107393A (ko) 2010-10-05
KR101731333B1 true KR101731333B1 (ko) 2017-04-28

Family

ID=431291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097A Active KR101731333B1 (ko) 2009-03-25 2010-03-10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70050843A Active KR101825001B1 (ko) 2009-03-25 2017-04-20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843A Active KR101825001B1 (ko) 2009-03-25 2017-04-20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8929308B2 (ko)
EP (1) EP2399359B1 (ko)
KR (2) KR101731333B1 (ko)
WO (1) WO201011059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001B1 (ko) * 2009-03-25 2018-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3017B1 (en) 2007-03-29 2014-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04010B2 (en) 2007-06-18 2012-06-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CK/NACK repetition for robust downlink MAC PDU transmission in LTE
US8599819B2 (en) 2007-06-19 2013-12-0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KR101397039B1 (ko) 2007-08-14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예측 오류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cdm 방식 신호전송 방법
US8542697B2 (en) 2007-08-14 2013-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04986B1 (en) * 2007-08-14 2012-10-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cquiring resource region information for phich
KR101405974B1 (ko) 2007-08-16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방법
KR101507785B1 (ko) 2007-08-16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KR101597573B1 (ko) * 2008-08-11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정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KR101571566B1 (ko) * 2008-08-11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 방법
KR101603338B1 (ko) 2008-08-11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019947A (ko) 2008-08-11 201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KR101646249B1 (ko) * 2008-08-11 2016-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908793B2 (en) * 2008-11-14 2014-1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57735B1 (en) 2008-11-14 2016-1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91876A (ko) 2009-02-11 201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전송을 위한 단말 동작
WO2010117208A2 (ko) * 2009-04-09 2010-10-14 (주)엘지전자 릴레이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2418900B1 (en) * 2009-04-27 2017-01-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receiving physical uplink control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relay device
CN102804903A (zh) * 2009-06-18 2012-11-2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应用载波聚合在不连续接收模式中操作
EP2465211B1 (en) * 2009-08-14 2015-02-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ment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N105915316B (zh) 2009-08-26 2021-04-2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在基站中使用的方法、基站及无线发射/接收单元
EP4221043A3 (en) 2009-09-28 2023-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tending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JP5377658B2 (ja) * 2009-10-02 2013-1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送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1050839A1 (en) * 2009-10-28 2011-05-05 Nokia Siemens Networks Oy Resource setting control for transmission using contention based resources
CN102088343B (zh) 2009-12-03 2014-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载波聚合时反馈ack/nack信息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02118756B (zh) * 2009-12-31 2014-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载波聚合方法与频谱动态分配的方法
GB2477082A (en) * 2010-01-11 2011-07-27 Nokia Siemens Networks Oy Determining resource index information on the uplink control channel for an aggregated or component carrier downlink channel
MX2012008312A (es) 2010-01-18 2012-08-08 Ericsson Telefon Ab L M Estacion base de radio y equipo de usuario y metodos en el mismo.
US8873439B2 (en) * 2010-03-25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Subframe dependen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gion design
CN103026650B (zh) * 2010-07-26 2016-06-08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扩展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EP3203677B1 (en) * 2010-09-03 2020-12-09 Sun Patent Trust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8548483B2 (en) * 2010-10-04 2013-10-01 Nokia Corporation Feedback mapping for D2D control signals
KR101875611B1 (ko) 2010-11-22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확인응답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165643B1 (ko) 2010-12-20 2012-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ack/nack 수신방법 및 기지국
WO2012087000A2 (ko) 2010-12-21 2012-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간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283292B (zh) * 2011-01-05 2016-05-25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终端装置、基站装置、发送方法和接收方法
WO2012106840A1 (en) * 2011-02-10 2012-08-16 Renesas Mobile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for flexible tdd configuration
KR101849107B1 (ko) * 2011-02-17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화된 다운링크 물리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성공적 수신 여부를 피드백하기 위한 업링크 피드백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US9313776B2 (en) * 2011-03-15 2016-04-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and device therefor
WO2012169753A2 (ko) * 2011-06-06 2012-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WO2012177073A2 (ko) 2011-06-24 2012-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KR20130004846A (ko) * 2011-07-04 2013-01-14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및 처리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US20130010659A1 (en) * 2011-07-08 2013-01-10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asymmetric carrier aggregation
WO2013015576A2 (ko) * 2011-07-27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5818560B2 (ja) * 2011-07-29 2015-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リレー局装置、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
US20130039290A1 (en) * 2011-08-11 2013-02-14 Research In Motion Korea Method and System for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t Diversity Using Multiple Downlink Control Channel Based Resource Allocation
WO2013025005A2 (ko) * 2011-08-12 201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을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17941A (ko) * 2011-08-12 2013-02-20 주식회사 팬택 확장 제어 정보를 이용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WO2013027967A2 (ko) * 2011-08-19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US9337984B2 (en) 2011-08-19 2016-05-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er equipment, method for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US9350510B2 (en) * 2011-09-28 2016-05-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142187B (zh) * 2011-09-30 2019-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资源配置方法及相关设备和通信系统
US8798010B2 (en) 2012-01-31 2014-08-05 Lsi Corporation Table-based resource mapping for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system base station
CN103249147B (zh) * 2012-02-01 2018-07-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物理上行控制信道的资源配置方法和系统
EP2637344B1 (en) * 2012-03-05 2022-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Q-ACK signal transmission in response to detection of control channel type in case of multiple control channel types
EP2830371A4 (en) 2012-03-19 2015-03-11 Fujitsu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INATION STATION AND RADIO DIGITA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3176478A1 (ko) * 2012-05-22 201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Harq ack/nack 전송 방법 및 무선기기
CN104335517B (zh) * 2012-05-31 2017-10-20 Lg电子株式会社 用于收发控制信号的方法及其装置
US9055569B2 (en) * 2012-06-29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hybrid acknowledgement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14007548A1 (ko) 2012-07-03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4048472A1 (en) * 2012-09-27 2014-04-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098370A1 (en) * 2013-10-04 2015-04-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HARQ Resource for FDD Carrier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10117268B2 (en) * 2014-09-22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downlink frame structure
US10581572B2 (en) * 2016-12-16 2020-03-03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uplink transmissions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JP7071932B2 (ja) 2017-01-06 2022-05-1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US10743319B2 (en) * 2017-05-01 2020-08-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base station beam refinement
WO2018220772A1 (ja) * 2017-05-31 2018-12-0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1166274B2 (en) * 2017-08-24 2021-11-02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specifi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imeline offset
US11290220B2 (en) * 2018-04-06 2022-03-29 Nokia Technologies Oy Selection of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s
CN110351026A (zh) * 2018-04-08 2019-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终端和网络设备
US11191068B2 (en) 2018-11-12 2021-11-30 Qualcomm Incorporated P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channel sensing
US11546935B2 (en) * 2020-04-29 2023-01-03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for multiple downlink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2831B2 (en) * 2004-08-11 2008-05-13 Lg Electronics Inc. Packet transmission acknowled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K1949721T3 (da) 2005-10-07 2010-10-25 Interdigital Tech Corp Kommunikation af styreinformation til downlink- og uplinktransmissioner i et trådløst kommunikationssystem
KR101443626B1 (ko) 2007-01-09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384078B1 (ko) * 2007-01-10 2014-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애크/내크 채널 자원을 할당하고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75704B1 (ko) * 2007-01-10 201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응답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1247171A (zh) * 2007-02-16 2008-08-2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使用约定资源发送控制信道的设备和方法
US8289911B2 (en) * 2007-03-21 2012-10-1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scheduling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81095B1 (ko) * 2007-04-26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084277B2 (en) * 2007-05-04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L ACK allocation
US8331947B2 (en) * 2007-06-15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acquiring ACK/NACK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187667B1 (en) * 2007-08-10 2019-01-09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method, and program used for same
KR100928269B1 (ko) 2007-08-22 2009-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101376233B1 (ko) * 2007-10-02 201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EP2250849B1 (en) * 2008-02-04 2014-04-0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apping a cyclic shift to a channel index for ack/nack resource allocation
CN101505208A (zh) * 2008-02-04 2009-08-12 三星电子株式会社 分配上行ack/nack信道的方法
US8116271B2 (en) * 2008-02-07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allocate acknowledgement channels
US8184579B2 (en) * 2008-02-15 2012-05-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CK/NAK repetition schemes in wireless networks
US8630240B2 (en) * 2008-02-19 2014-01-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pping between logical and physical uplink control resource blocks in wireless networks
US20090225738A1 (en) * 2008-03-05 2009-09-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s for mutliple sub-bands
EP2257086B1 (en) * 2008-03-19 2020-01-22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base station, response decision method, resource configuration decision method, and program
US8687652B2 (en) * 2008-03-27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ACK/NAK resource allocation
US8724636B2 (en) * 2008-03-31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of reliably sending control signal
US8811298B2 (en) * 2008-08-14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unused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434696T3 (es) * 2008-11-04 2013-12-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aparato y sistema para determinar índices de recursos
US20100172308A1 (en) * 2009-01-07 2010-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physical indicator channel mapping with asymmetric carrier aggregation
US8565066B2 (en) * 2009-01-08 2013-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n uplink acknowledgement transmission in carrier-aggrega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0082877A1 (en) * 2009-01-16 2010-07-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ucch load control by pdcch restrictions
US8385281B2 (en) * 2009-01-30 2013-02-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295253B2 (en) * 2009-02-05 2012-10-23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ACK transmission for up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release in LTE
RU2011141277A (ru) * 2009-03-12 2013-04-20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ора и повторного выбора основной несущей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US8934417B2 (en) * 2009-03-16 2015-01-1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731333B1 (ko) 2009-03-25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kia Siemens Networks 외, "PUCCH Resource Allocation for Repeated ACK/NACK", 3GPP Draft, R1-083722, 2008.09.24.*
ZTE, "PUCCH resource region for LTE-A", 3GPP Draft, R1-090077, 2009.01.07.*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001B1 (ko) * 2009-03-25 2018-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900140B2 (en) 2009-03-25 2018-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US10848292B2 (en) 2009-03-25 2020-1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CK/N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598A2 (en) 2010-09-30
US20150092723A1 (en) 2015-04-02
US9143285B2 (en) 2015-09-22
KR20170048277A (ko) 2017-05-08
US20180167188A1 (en) 2018-06-14
US9900140B2 (en) 2018-02-20
EP2399359A2 (en) 2011-12-28
US9253764B2 (en) 2016-02-02
EP2399359B1 (en) 2021-07-07
EP2399359A4 (en) 2017-07-26
KR20100107393A (ko) 2010-10-05
KR101825001B1 (ko) 2018-02-02
WO2010110598A3 (en) 2010-12-23
US20160112176A1 (en) 2016-04-21
US10848292B2 (en) 2020-11-24
US20150351087A1 (en) 2015-12-03
US20110292900A1 (en) 2011-12-01
US8929308B2 (en)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001B1 (ko)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3932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through unlicensed bandwid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1729550B1 (ko)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59933B1 (ko)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6243387B2 (ja) 制御情報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976984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direct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for same
CN10671690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执行该方法的设备
KR1020549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2456108A2 (en) Method in which a receiver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1209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reception acknowled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385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ception acknowledgement respon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27213A (ko) 장치 대 장치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1412984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32860A (ko)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63415A1 (ko)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이트들에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511671A (ja) 無線リソースの用途変更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フォールバック(fallback)モードの上りリンク信号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2015001344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확인을 위한 상향링크 제어채널 할당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0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