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451B1 -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0451B1 KR101730451B1 KR1020160115320A KR20160115320A KR101730451B1 KR 101730451 B1 KR101730451 B1 KR 101730451B1 KR 1020160115320 A KR1020160115320 A KR 1020160115320A KR 20160115320 A KR20160115320 A KR 20160115320A KR 101730451 B1 KR101730451 B1 KR 1017304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ctory
- data
- parts
- work process
- faci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7 anomal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9 data en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 H04W4/008—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092—Network server for communication between plc's, using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장설비 작동을 위한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하되, 생산현장의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통신모듈을 통해 작업공정 데이터를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중앙관제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구동검출 장치;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전력사용량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생성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중앙관제 서버; 및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현장의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RFID 태그와 RFID 리더, NFC 또는 Zigbee, 블루투스 중에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공장설비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내역을 수집하고, 이를 수신한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가 작업공정 내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모니터링한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작업공정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RFID 태그와 RFID 리더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축적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유지보수 서버와 공유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공장설비들에 대한 작업공정 관리 및 제어를 제공하고, 장비별 작업공정에 대한 분석 및 통계자료로 활용함은 물론 유지보수시 적극 활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llects work process data on plant facilities including PLC driving data, parts loading, installation location, moving status, In the case of receiving the factory equipment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the work process data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for each factory facility and each part of the production site. A drive detec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PLC drive of the corresponding factory equipment; PLC operation data, workpiece loading data for factory installation including the parts loading / unloading, installation location, moving state and parts loading / unloading history, and monitoring the change of the power consumption trend in time by the identification ID of each factory facility. If any one of the details of the part loa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moving status, or the part carrying out details does not match the predetermined process,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indexing the predetermined manual is transmitted to the drive detection device Central control server to transmit;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the PLC driving data, the component loa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moving status and the component carrying out details for each identification ID of the factory facility, monitors the change in the time series, and when receiving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And a mobile terminal for outputting the factory facility location coordinates, the equipment name and the equipment operation state, and transmitting the factory equipmen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r to the driv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stall, locate and move the parts of the factory equipment using any one of the RFID tag, RFID reader, NFC, Zigbee, The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monitors the work process history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work process remotely by the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By storing the big data generated by accumulating the work process data collected in real time through RFID tags and RFID readers installed in factory facilities and parts, it is stored in the cloud server and shared with the maintenance server, To provide work process control and control for plant facilities, Used as analytical and statistical data about the business processes that have the effect of leveraging upon must of course mainten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현장의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RFID 태그와 RFID 리더, NFC 또는 Zigbee, 블루투스 중에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공장설비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내역을 수집하고, 이를 수신한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가 작업공정 내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모니터링한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작업공정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공장설비들에 대한 작업공정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y facilitie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collects the work process details of the factory facilities including the bringing in parts of the plant facilities,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movement status and the export of the parts, monitors the work process details in real time by the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that receives th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allows a server or a mobile terminal to remotely control the work process, thereby enabling work process management for factory facilities in real time from a remote location.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산업 관리는 일부분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 시설물의 전반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업 시설물의 총괄적인 시스템 관리에 있어 인력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the industrial management through the network is limited to a part, so that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industrial facilities can not be performed, and the human resources are wasted in the overall system management of the industrial facilities.
또한, 인력을 통한 산업 시설물의 총괄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시간 제어가 어려워 산업 시설물에 대한 이상 징후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산업 시설물 운영에 따른 재해, 불량 및 위험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omprehensive control of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manpower, real-time control is difficult, so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omalous signs of industrial facilities in advance, and accordingly, an immediate response to disasters,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시설이나 장비의 모니터링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관리자가 현장에 상주해야하는 불편을 덜어주며, 중앙 제어실에서 전반적인 현장의 상황을 감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 또 공간적으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환경이나 제한된 지역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그 중요성이 매우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To remedy these problems, plant or industrial sites use monitoring systems over the network to monitor facilities and equipment. This saves the administrator the inconvenience of staying in the field, and can monitor and control the overall on-site situation in the central control room, thus increasing efficiency both spatially and spatially.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is is increas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integrate and manage environments that are difficult for people to access or limited areas.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34023호((2016.03.29.공개), “인터넷 기반의 통합 웹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As a prior art for impro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Korean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6-0034023 (published on Mar. 29, 2016, "Internet based integrated web monitoring system") has been disclos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선행기술은 센서를 통해 산업현장 내의 대상 기기의 상태를 계측하는 다수의 계측기기; 계측기기와 연결되며, 계측기기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다수의 시리얼 게이트웨이; 및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시리얼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제공받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 하는 기술이다.Referring to FIG. 1, the prior art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ing instruments for measuring a state of a target device in an industrial field through a sensor; A plurality of serial gateways connected to the measuring instrument and converting the measured data from the measuring instrument so that the measured data can be provided to a user connected via the Internet;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ial gateway through the Internet and outputting the received data.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단순히 산업현장 내의 대상 기기에 대한 계측 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바, 사용자 단말기가 일방적인 계측 데이터 수신에만 국한되어 있어 공장설비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기가 인지할 뿐 결국에 관리자가 수동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measurement data of the target device in the industrial sit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located at the remote location. Since the user terminal is limited to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unilaterally, And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aking out the parts, the user terminal only recognizes it, and eventually the manager has to manually cope with it.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현장의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RFID 태그와 RFID 리더, NFC 또는 Zigbee, 블루투스 중에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공장설비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내역을 수집하고, 이를 수신한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가 작업공정 내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모니터링한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작업공정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공장설비들에 대한 작업공정 관리 및 제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stallation of parts, installation location, moving status and parts of a factory facility by using any one of a RFID tag, an RFID reader, NFC, Zigbee, And the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monitors the work process history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work process remotely by the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Is to provide work process management and control for factory facilities in real time at remote sites even if they are not in the field.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RFID 태그와 RFID 리더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축적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유지보수 서버와 공유함으로써, 장비별 작업공정에 대한 분석 및 통계자료로 활용함은 물론 유지보수 시 적극 활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hich can store big data generated by accumulating work process data collected in real time through an RFID tag and an RFID reader installed for factory facilities and parts in a cloud server, It is used as analysis and statistical data of work process and also it is used for maintenance.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은, 공장설비 작동을 위한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하되, 생산현장의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통신모듈을 통해 작업공정 데이터를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중앙관제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구동검출 장치;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전력사용량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생성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중앙관제 서버; 및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managing plant facilitie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ystem comprising: Data is collected and the work process data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for the factory facilities and parts for the production site and when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A drive detection device for controlling the PLC drive of the factory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PLC operation data, workpiece loading data for factory installation including the parts loading / unloading, installation location, moving state and parts loading / unloading history, and monitoring the change of the power consumption trend in time by the identification ID of each factory facility. If any one of the details of the part loa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moving status, or the part carrying out details does not match the predetermined process,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indexing the predetermined manual is transmitted to the drive detection device Central control server to transmit; And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the PLC driving data, the component loa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moving status and the component carrying out details for each identification ID of the factory facility, monitors the change in the time series, and when receiving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And a mobile terminal for outputting the factory facility location coordinates, the equipment name and the equipment operation state, and transmitting the factory equipmen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r to the drive detection device.
또한, 통신모듈은, RFID 태그와 RFID 리더, NFC 또는 Zigbee, 블루투스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gured by any one of an RFID tag, an RFID reader, NFC, Zigbee, and Bluetooth.
또한, 중앙관제 서버는, 구동검출 장치로부터 수신한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식별ID별로 취합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uploads the big data generated by collecting the PLC drive data received from the drive detection device, the parts loading / unload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movement status and the part unloading history by the identification ID to the cloud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또한, 구동검출 장치는, 접속된 공장설비로 공급되는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구동 감지센서; 구동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및 작업공정 데이터를 중앙 관제서버로 전송하고, 중앙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통신모듈로부터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e detection device includes: a drive detection sensor for collecting PLC process data supplied to the connected factory equipment, work process data including a component carry-in, a mount position, a movement status, and a component carry-out statu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LC driving data and the work process data received from the drive detection sensor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receiving factory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PLC operation of the factory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when the factory equipment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중앙관제 서버는, 구동검출 장치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수집모듈;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모듈;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생성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식별ID별로 분류하고, 오작동 이벤트 정보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빅데이터 모듈; 및 제어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좌표를 탐색하여 공장설비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기 식별ID를 추출하고, 추출한 모바일 단말기로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탐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work process data including PLC drive data, component loading, installation location, movement status, and component carrying out details for each identification ID of each factory facility from the drive detection device, A collection module for storing and managing; A monitoring module for outputting a change in time series of work process data including PLC drive data, PLC drive data, part loading, installation location, movement status, and part unloading history received from the acquisition module; If any one of the parts loading, installation position, movement status, or part unloading details of the work process data received from the collection module does not match the predetermined process, the corresponding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indexing the predetermined manual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ive detection device; The work process data including PLC driving data, parts import, installation location, movement status, and part unloading history received from the collecting module are classified by the identification IDs, and the cause / frequency of the malfunctioning event information and the maintenance history A big data module that generates and uploads data to the cloud server; And a search module for searching for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mobile terminals and extracting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D located nearest to the factory facility and transmitting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to the extracted mobile terminal when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 And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는, 중앙 관제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중앙 관제서버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수신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고, 수신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이에 대한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수신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과 대응하도록 공장설비를 제어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T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work process data including PLC drive data, component loading, installation location, movement status, or component withdrawal history for each identification ID of each factory facility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receives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ing module; A change in the time series of the work process data including the PLC drive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the parts loading / unloading, the mounting position, the moving status or the part unloading history is outputted for each identification ID of the factory facility, A monitoring module for outputting an event alarm for the received event; And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factory facility to correspond to the predetermined manual when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한편, 전술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방법은, 구동검출 장치가 공장설비의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a) 단계; 중앙관제 서버가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는 (b) 단계; 중앙관제 서버가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c) 단계; (c) 단계의 판단결과,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관제 서버가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생성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d) 단계; 구동검출 장치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e) 단계; 및 구동검출 장치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구동검출 장치가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f)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method of managing plant facilities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detection device includes a factory facility including PLC driving data of a plant facility, parts loading, installation location, (A) collecting work process data on the work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work process data to a central control server; (B)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es the work process data for the plant facilities including the PLC driving data, the parts bring-in,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movement status and the parts carry-out history, and monitors the change of the time- step; (C) judging whether the central control server judges whether any part of the workpiece process data entry, installation position, movement status or part carry-out details coincides with the predetermined proces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c), if the details of the part of the work process data such as the part import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moving status or the part carrying out details do not match the predetermined process, the central control server indexes (D) transmitting a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and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to the drive detection device; (E) determining whether the drive detection device receives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f) when the drive detection device receives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the drive detection device controls the PLC drive of the factory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또한, (d) 단계 이후, 중앙관제 서버가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고, 이벤트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g) 단계;를 포함한다.After step (d), the central control server classifies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generates big data including the cause /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event and the maintenance history, and uploads the big data to the cloud server. .
그리고 (d) 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를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는 (h)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i) 단계; (i) 단계의 판단결과,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는 (j) 단계; 모바일 단말기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k) 단계; 및 구동검출 장치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공장설비 제어정보에 부합하도록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l) 단계;를 포함한다.After step (d),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PLC driving data, the component load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moving state, and the component carrying out details of each factory facility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monitors the change of the time series trend (h) step; (I)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j)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i), the mobile terminal outputs the corresponding factory facility location coordinates, equipment name, and equipment operation status; (K) transmitting the factory equipmen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r to the drive detection device by the mobile terminal; And (l) controlling driving of the PLC of the factory facility so that the drive detection device matches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현장의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RFID 태그와 RFID 리더, NFC 또는 Zigbee, 블루투스 중에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공장설비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내역을 수집하고, 이를 수신한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가 작업공정 내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모니터링한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작업공정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공장설비들에 대한 작업공정 관리 및 제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stall, locate and move the parts of the factory equipment using any one of the RFID tag, RFID reader, NFC, Zigbee, And the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monitors the work process history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work process remotely by the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work process management and control for factory facilities in real time at a remote place even if the manager is not in the fiel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RFID 태그와 RFID 리더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축적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유지보수 서버와 공유함으로써, 장비별 작업공정에 대한 분석 및 통계자료로 활용함은 물론 유지보수 시 적극 활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g data generated by accumulating the work process data collected in real time through the RFID tag and the RFID reader installed for each factory facility and each part is stored in the cloud server and shared with the maintenance server, It can be used as an analysis and statistical data of the process, and it is effective to utilize it actively in maintenance.
도 1은 종래의 인터넷 기반의 통합 웹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의 구동검출 장치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의 중앙관제 서버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1 illustrates a conventional Internet-based integrated web monitoring system.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rive detection device of a plant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entral control server of a plant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 factory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plant facilit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after step S40 of a method of managing a plant facilit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process after step S40 of a method of managing a plant facilit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meaning and concept. It is to be not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S)은 각각 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구동검출 장치(10), 중앙관제 서버(20), 모바일 단말기(30) 및 클라우드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factory facility management system S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detection device 10, a
먼저, 구동검출 장치(10)는 공장설비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하되, 생산현장의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RFID 태그와 RFID 리더, NFC 또는 Zigbee, 블루투스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된 통신모듈을 통해 작업공정 데이터를 중앙관제 서버(20)로 전송하며, 중앙관제 서버(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한다.First, the drive detection device 10 collects work process data on plant facilities including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rive data, parts loading, installation location, movement status, and part removal history of a factory facility. The work process data is transmitted to the
한편, 중앙관제 서버(20)는 구동검출 장치(10)로부터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전력사용량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생성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10)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중앙관제 서버(20)는 구동검출 장치(10)로부터 수신한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식별ID별로 취합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하고,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한편, 모바일 단말기(30)는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1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0)는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빅데이터 및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을 관리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유지보수업체 서버와 공유하여 공장설비 유지보수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S)의 구동검출 장치(10)에 대한 세부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e detection device 10 of the plant facility management system S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구체적으로, 구동검출 장치(10)의 구동 감지센서(11)는 공장설비와 접속되어 기 설정된 공장설비 작동에 따른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한다.Specifically, the drive detection sensor 11 of the drive detection device 10 is connected to a factory facility to perform a work process including PLC drive data, parts import, installation location, movement status, Collect the data.
또한, 통신모듈(12)은 구동 감지센서(11)로부터 인가받은 작업공정 데이터를 중앙 관제서버(20)로 전송하고, 중앙 관제서버(20) 또는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 transmits the work process data received from the drive detection sensor 11 to the
그리고 제어모듈(13)은 통신모듈(12)로부터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한다.When receiving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2, the control module 13 controls the PLC operation of the factory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S)의 중앙관제 서버(20)에 대한 세부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먼저, 중앙관제 서버(20)의 수집모듈(21)은 구동검출 장치(10)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저장 및 관리한다.First, the collecting module 21 of the
또한, 중앙관제 서버(20)의 모니터링 모듈(22)은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module 22 of the
또한, 중앙관제 서버(20)의 제어모듈(23)은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생성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1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3 of the
또한, 중앙관제 서버(20)의 빅데이터 모듈(24)은 수집모듈(21)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식별ID별로 분류하고, 오작동 이벤트 정보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 한다.The big data module 24 of the
그리고 중앙관제 서버(20)의 탐색모듈(25)은 제어모듈(23)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30)들의 위치좌표를 탐색하여 공장설비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기(30) 식별ID를 추출하고, 추출한 모바일 단말기(30)로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전송한다.When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module 23, the search module 25 of the
이때, 기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30)는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유지보수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viously registered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S)의 모바일 단말기(30)에 대한 세부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먼저, 모바일 단말기(30)의 수신모듈(31)은 중앙 관제서버(20)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중앙 관제서버(20)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First, the receiving module 31 of the
또한, 모바일 단말기(30)의 모니터링 모듈(32)은 수신모듈(31)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고, 수신모듈(31)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이에 대한 이벤트 알람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module 32 of the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30)의 제어모듈(33)은 수신모듈(31)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과 대응하도록 공장설비를 제어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1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모듈(33)은 관리자의 조작을 통해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When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31, the control module 33 of the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aging factory equipmen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구동검출 장치(10)가 공장설비의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관제 서버(20)로 전송한다(S10).First, the drive detection device 10 collects work process data on factory facilities including PLC drive data of the plant facility, parts bring-in, install position, movement status, and part carry-out details, and transmits them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20 (S10).
이어서, 중앙관제 서버(20)가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한다(S20).Subsequently, the
뒤이어, 중앙관제 서버(20)가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Subsequently, the
제S30단계의 판단결과,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관제 서버(20)가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생성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10)로 전송한다(S4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operation S30, if the details of the component import, installation location, movement status, or component export history of the work process data do not coincide with the predetermined process, the
이어서, 구동검출 장치(10)가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Subsequently, the drive detection device 10 judges whether or not it receives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20 (S50).
제S50단계의 판단결과, 구동검출 장치(10)가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구동검출 장치(10)가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한다(S60).If the drive detection device 10 receives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from the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after step S40 of the method of managing a plant facilit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S40단계 이후, 중앙관제 서버(20)가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식별ID별로 분류하고, 이벤트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하고 제S50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70).After step S40, the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방법의 제S4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another process after step S40 of the method of managing the plant facilit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S40단계 이후, 모바일 단말기(30)가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를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한다(S80).After step S40, the
이이서, 모바일 단말기(30)가 중앙관제 서버(20)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It is determined whether the
제S90단계의 판단결과,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30)가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한다(S100).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S90 that the malfunctioning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the
뒤이어, 모바일 단말기(30)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10)로 전송한다(S110).Subsequently, the
그리고 구동검출 장치(10)가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한 공장설비 제어정보에 부합하도록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한다(S120).Then, the drive detection device 10 controls the PLC operation of the factory facility so as to match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 (S12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 :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
10 : 구동검출 장치
11 : 구동 감지센서 12: 통신모듈
13 : 제어모듈
20 : 중앙관제 서버
21 : 수집모듈 22 : 모니터링 모듈
23 : 제어모듈 24 : 빅데이터 모듈
25 : 탐색모듈
30 : 모바일 단말기
31 : 수신모듈 32 : 모니터링 모듈
33 : 제어모듈
40 : 클라우드 서버S: Factory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 drive detection device
11: drive detection sensor 12: communication module
13: Control module
20: Central control server
21: collection module 22: monitoring module
23: Control module 24: Big data module
25: Search module
30: Mobile terminal
31: Receiving module 32: Monitoring module
33: Control module
40: Cloud server
Claims (9)
공장설비 작동을 위한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하되, 생산현장의 공장설비 및 부품별로 설치된 통신모듈을 통해 작업공정 데이터를 중앙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중앙관제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구동검출 장치;
상기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공장설비에 대한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시계열적인 전력사용량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 설정된 공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생성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중앙관제 서버; 및
상기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수신하여 그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모니터링하되,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위치좌표, 장비 명칭 및 장비 가동상태를 출력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상기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관제 서버는,
상기 구동검출 장치로부터 수신한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식별ID별로 취합하여 생성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동검출 장치는,
공장설비로 공급되는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구동 감지센서;
상기 구동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및 작업공정 데이터를 중앙 관제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관제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식별ID를 포함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ID와 대응하는 공장설비의 PLC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관제 서버는,
상기 구동검출 장치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수집모듈;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및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작업공정 데이터의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 중에 어느 하나의 내역이 기설정된 공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매뉴얼을 색인하여 생성한 오작동 이벤트 정보와 대응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상기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
상기 수집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식별ID별로 분류하고, 오작동 이벤트 정보 발생의 원인/빈도 및 유지보수 이력을 취합한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빅데이터 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등록된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좌표를 탐색하여 공장설비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기 식별ID를 추출하고, 추출한 모바일 단말기로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탐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중앙 관제서버로부터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중앙 관제서버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인가받은 PLC구동 데이터, 부품반입, 설치위치, 이동현황 또는 부품반출 내역을 포함하는 작업공정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적인 추이변화를 공장설비 각각의 식별ID별로 출력하고, 수신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이에 대한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오작동 이벤트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기설정된 매뉴얼과 대응하도록 공장설비를 제어하는 공장설비 제어정보를 상기 구동검출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빅데이터 및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을 관리하고, 수신한 빅데이터를 별도의 유지보수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
In a plant facility management system,
It collects work process data for plant facilities including PLC driving data, part loading, installation location, moving status and parts unloading history for plant facility operation, A drive detection device that transmits data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controls the PLC operation of the factory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when receiving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cation I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work process data for the plant facility including the PLC drive data, the parts bring-in, the install position, the movement status, and the parts carry-out history, In the event that any one of the parts bring-in,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movement status, or the parts carry-out details does not match the predetermined process,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indexing the predetermined manual is stored in the drive detection device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transmitting to the server; And
And receives the PLC driving data, the component load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moving state, and the component carrying out details of each of the factory facilities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monitors the change in the time series trends. When receiving the malfunctioning event information, And a mobile terminal for outputting the factory facility location coordinates, the equipment name and the equipment operation state, and transmitting the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r to the drive detection device,
The central control server,
Uploading the big data generated by collecting the PLC driving data received from the drive detection device, the parts bringing-in, the mounting position, the moving status and the parts carrying out details by the identification ID to the cloud server, and transmitting the malfunctioning even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 ≪ / RTI >
The drive detection device includes:
A drive detection sensor for collecting work process data including PLC drive data supplied to the plant facility, parts bring-in, set-up position, movement state, and part carry-out stat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LC driving data and the work process data received from the drive detection sensor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receiving factory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or the mobile terminal;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PLC operation of the factory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D when the factory equipment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collecting module for receiving and storing work process data including PLC driving data for each identification ID of each factory facility, part loading / unloading, mounting location, moving status and part carrying out details from the drive detecting device, ;
A monitoring module for outputting a change in time series of work process data including PLC drive data, PLC drive data, component import, installation location, movement status, and component carryout history received from the collection module, ;
If any one of the parts import, installation position, movement status, or part carrying out details of the work process data received from the collection module does not coincide with the predetermined process,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generated by indexing the predetermined manual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ive detection device;
The work process data including the PLC driving data, the parts loading / unload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moving status or the parts unloading history applied from the collecting module is classified by the identification ID, and the cause / frequency of the malfunctioning event information and the maintenance history A big data module that creates big data and uploads it to the cloud server; And
When receiving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odule, searches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mobile terminals to extract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D located closest to the factory facility, and transmits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to the extracted mobile terminal ; And,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Receiving operation process data including PLC driving data, component loading, installation position, movement status or component carrying out details for each identification ID of each factory facility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receiving operation process data including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module;
A change in the time series of the work process data including the PLC driving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the parts loading / unloading, the mounting location, the moving status or the parts unloading history is outputted for each identification ID of the factory facility, A monitoring module for outputting an event alarm on receipt of the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factory facility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factory equipment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manual when the malfunction ev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module.
And a cloud server for managing the big data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server and the corresponding manual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big data to the separate maintenance company server. Facility management system.
상기 통신모듈은,
RFID 태그와 RFID 리더, NFC 또는 Zigbee, 블루투스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공장설비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The RFID tag, the RFID reader, the NFC, the Zigbee, and the Bluetooth.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320A KR101730451B1 (en) | 2016-09-08 | 2016-09-08 |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PCT/KR2017/009822 WO2018048219A1 (en) | 2016-09-08 | 2017-09-07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nt facility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320A KR101730451B1 (en) | 2016-09-08 | 2016-09-08 |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0451B1 true KR101730451B1 (en) | 2017-04-26 |
Family
ID=5870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5320A Active KR101730451B1 (en) | 2016-09-08 | 2016-09-08 |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0451B1 (en) |
WO (1) | WO2018048219A1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1588B1 (en) | 2017-09-04 | 2018-11-23 | 수상에스티(주) | Industrial cloud connector apparatus |
KR20190070428A (en) * | 2017-12-13 | 2019-06-21 | 전자부품연구원 | Industrial Process Equip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using Cloud-based Intergrated Context-Aware Processing Engine |
CN109917751A (en) * | 2019-02-19 | 2019-06-21 | 郑州丝珂瑞科技有限公司 | Automation equipment system based on mobile phone control |
KR20190123024A (en) * | 2018-04-23 | 2019-10-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production line management |
KR20190140501A (en) * | 2018-05-24 | 2019-12-20 | 주식회사 컴퓨터메이트 | System for operating cloud smart factory using bigdata analysis |
KR102085623B1 (en) * | 2019-03-04 | 2020-03-06 | (주)투비시스템 | Indoor location tracking based process management system |
KR20210046977A (en) * | 2019-10-21 | 2021-04-29 | 김정규 |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method and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
CN112818716A (en) * | 2021-01-17 | 2021-05-18 | 马陆咀 | Intelligent operation staring and controlling visual management system |
WO2021172710A1 (en) * | 2020-02-28 | 2021-09-02 | 주식회사 투비시스템 |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smart factory |
KR102302395B1 (en) * | 2020-11-27 | 2021-09-16 | 주식회사 제이엔씨시스템 | Mes platfor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root industry equip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20131404A (en) | 2021-03-18 | 2022-09-28 |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calculating the factory site area to achieve the target production based on AI and design the interior of the factor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9107119A1 (en) * | 2019-03-20 | 2020-09-24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Techniques for commissioning a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8385A (en) * | 2011-09-09 | 2013-03-19 | 조영환 |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using smart phone for plc based press and the method thereof |
KR101314089B1 (en) * | 2013-02-21 | 2013-10-02 |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 Unmanned control system for equpiment and the control method |
KR20150049420A (en) * | 2013-10-30 | 2015-05-08 | (주)에이시에스 | Two-way monitoring system of production resources for manufacturing series |
KR20150136679A (en) * | 2014-05-27 | 2015-12-08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Automated system for manufacturing process |
KR20160050013A (en) * | 2016-03-10 | 2016-05-10 | 주식회사 블루비즈 | Gateway device for production information sensor data and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
-
2016
- 2016-09-08 KR KR1020160115320A patent/KR101730451B1/en active Active
-
2017
- 2017-09-07 WO PCT/KR2017/009822 patent/WO20180482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1588B1 (en) | 2017-09-04 | 2018-11-23 | 수상에스티(주) | Industrial cloud connector apparatus |
KR20190070428A (en) * | 2017-12-13 | 2019-06-21 | 전자부품연구원 | Industrial Process Equip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using Cloud-based Intergrated Context-Aware Processing Engine |
KR102306430B1 (en) * | 2017-12-13 | 2021-09-30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Industrial Process Equip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using Cloud-based Intergrated Context-Aware Processing Engine |
KR102584908B1 (en) * | 2018-04-23 | 2023-10-0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production line management |
KR20190123024A (en) * | 2018-04-23 | 2019-10-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production line management |
KR102091875B1 (en) * | 2018-05-24 | 2020-03-20 | 주식회사 컴퓨터메이트 | System for operating cloud smart factory using bigdata analysis |
KR20190140501A (en) * | 2018-05-24 | 2019-12-20 | 주식회사 컴퓨터메이트 | System for operating cloud smart factory using bigdata analysis |
CN109917751A (en) * | 2019-02-19 | 2019-06-21 | 郑州丝珂瑞科技有限公司 | Automation equipment system based on mobile phone control |
KR102085623B1 (en) * | 2019-03-04 | 2020-03-06 | (주)투비시스템 | Indoor location tracking based process management system |
KR20210046977A (en) * | 2019-10-21 | 2021-04-29 | 김정규 |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method and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
KR102257343B1 (en) * | 2019-10-21 | 2021-05-26 | 김정규 |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method and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
WO2021172710A1 (en) * | 2020-02-28 | 2021-09-02 | 주식회사 투비시스템 |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smart factory |
KR102302395B1 (en) * | 2020-11-27 | 2021-09-16 | 주식회사 제이엔씨시스템 | Mes platfor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root industry equip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N112818716A (en) * | 2021-01-17 | 2021-05-18 | 马陆咀 | Intelligent operation staring and controlling visual management system |
KR20220131404A (en) | 2021-03-18 | 2022-09-28 |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calculating the factory site area to achieve the target production based on AI and design the interior of the facto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48219A1 (en) | 2018-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0451B1 (en) |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KR101730450B1 (en) | System for monitoring spot equipment using active black box and method therefor | |
US11586256B2 (en) | Server rack for improved data center management | |
KR101915879B1 (en) | System for monitoring spot equipment using control apparatu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 |
CN106232202B (en) | System and method for safeguarding and monitoring filtration system | |
EP366242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industrial equipment system | |
KR101865773B1 (en) | System for managing production using location-based service and method therefor | |
CN106249707B (en) |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 |
KR101788796B1 (en) | Factory work safe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motors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self-powered beacon scanner and vibration sensor | |
KR101386591B1 (en) | Surveillance Camera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
JP2013537671A (en) | How to control technical equipment | |
JP7263506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ly tracking and monitoring automotive refinish repair processes | |
JP6177113B2 (en) | Maintenance inspection system | |
CN105049223A (en) |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network defect and fault processing decision-aided analysis method | |
US20200065776A1 (en) | Method and system to digitally track and monitor an automotive refinish repair process | |
CN114169692A (en) | A system,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for dealing with equipment hidden dangers | |
KR101884267B1 (en) | System for managing project using threat management of production spot | |
KR101917477B1 (en) | Pre-sensing apparatus for abnormal of coiling equipment | |
EP3451356A2 (en) | Lockout tagout system and method | |
US9070030B2 (en) | Management system for container data center | |
KR20160108883A (en) |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of builings | |
US10255797B1 (en) | Integrated alarm management system (ALMS) KPIs with plant information system | |
KR101733184B1 (en) |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onitoring | |
CN117541223A (en) | Electromechanical device inspection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20020045148A (en) | Apparatus for guarding equip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