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0268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268B1
KR101730268B1 KR1020150173473A KR20150173473A KR101730268B1 KR 101730268 B1 KR101730268 B1 KR 101730268B1 KR 1020150173473 A KR1020150173473 A KR 1020150173473A KR 20150173473 A KR20150173473 A KR 20150173473A KR 101730268 B1 KR101730268 B1 KR 10173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ixing
unit
driving unit
ball be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268B1/ko
Priority to CN201610552613.5A priority patent/CN10684247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2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1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04N5/2253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구동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홈 형상의 볼 가이드에 일부가 끼워지고 나머지는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을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의 상면에는 실드커버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트은 소켓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볼 베어링이 구비되는 볼 가이드가 구동부에 구비되므로 적외선 필터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실드커버의 구비에 의해 카메라 모듈 내부의 이물 발생이 방지되며, 마그네트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이탈의 우려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을 비롯하여 타블렛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고기능의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형화될 수록 카메라 촬영 시에 손떨림에 대한 반응이 크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 손떨림에 대한 보정기술이 필요하다.
영상 촬영시 손떨림이 발생할 때, 손떨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OIS(Optic Image Stabilization) 기술이 적용된 렌즈 구동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OIS 기술이 적용된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렌즈 모듈을 지지하는 서스펜션 와이어와 고정부와 구동부 사이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이 이용된다.
그런데, 볼 베어링에 의해 구동부의 하부면이 마모되어 이물이 발생할 수 있고, 볼 베어링의 구비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고정부에 고정 장착되는 적외선 필터가 파손될 수 있으며, 구동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트의 고정력이 낮아 마그네트이 이탈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을 상기한 문제점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 내부의 이물 발생을 방지하고, 적외선 필터의 파손을 방지하며, 마그네트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구동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홈 형상의 볼 가이드에 일부가 끼워지고 나머지는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을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의 상면에는 실드커버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트은 소켓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볼 베어링이 구비되는 볼 가이드가 구동부에 구비되므로 적외선 필터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실드커버의 구비에 의해 카메라 모듈 내부의 이물 발생이 방지되며, 마그네트의 고정력이 향상되어 이탈의 우려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 내부의 이물 발생을 방지하고, 적외선 필터의 파손을 방지하며, 마그네트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서 실드캔을 제거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도 1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실드캔을 제거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홀더(구동부)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홀더(구동부)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고정부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기판에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기판에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광축 방향(즉, Z 방향)은 렌즈 배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 방향(즉, X, Y 방향)은 상기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서 실드캔을 제거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10)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10)은 손떨림 보정 기능의 구현을 위해, 고정부(11)와, 고정부(1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12)를 구비한다. 그리고, 고정부(11)와 구동부(12)는 광축 방향으로 사이에 볼 베어링(14)을 구비하여 구동부(12)가 고정부(11)의 상부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볼 베어링(14)은 고정부(11)에 구비되는 홈 형상의 볼 가이드(미도시)에 일부는 끼워지고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추가로, 고정부(11)와 구동부(12)는 서스펜션 와이어(13)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구동부(12)는 고정부(11)에 서스펜션 와이어(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2)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13)이 구비되며, 구동부(12)의 외측면에는 마그네트(12b)이 구비되어 자동 초점 기능 및 손떨림 방지 기능의 구현에 사용될 수 있다. 마그네트(12b)은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고정부(11)에는 구동부에 구비되는 렌즈를 통해 수광되는 빛이 통과하는 경로에 적외선 필터(4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적외설 필터는 고정부(11)의 저면에 부착되므로 코너 부분이 광축 방향으로 볼 베어링(14)이 구비되는 부분과 겹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10)은, 볼 베어링(14)에 의해 구동부(12)의 광축 방향 하부면이 마모되어 이물이 발생할 수 있고, 볼 베어링(14)의 구비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고정부(11)에 고정 장착되는 적외선 필터가 파손될 수 있으며, 구동부(12)에 구비되는 마그네트(12b)은 접착제의 본딩력에만 의존하므로 고정력이 낮아 마그네트이 이탈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도 1의 A-A' 단면도).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이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 배럴(210)과 보빈(220)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200), 렌즈 모듈(200)을 내부에 수용하는 구동부(300), 구동부(300)와 광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고정부(400), 구동부(300)와 고정부(400)의 사이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800), 렌즈 모듈(2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오토 포커싱 구동부(510) 및 구동부(3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손떨림 보정부(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부(300)와 고정부(400)는 상호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700)에 의해 추가로 연결되어 구동부(300)가 고정부(40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L)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L)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210)에 구비된다.
복수의 렌즈(L)는 렌즈 모듈(20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적층되며, 복수의 렌즈(L)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 배럴(210)은 보빈(220)과 결합하며, 예를 들어 보빈(220)의 내부에 렌즈 배럴(210)이 수용되어 렌즈 모듈(200)을 구성한다.
렌즈 모듈(200)은 구동부(300)의 내부에 수용되며, 구동부(300)의 내부에서 오토 포커싱(자동 초점 조절)을 위하여 광축 방향(Z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고, 렌즈 모듈(200)을 수용하는 구동부(300) 전체는 손떨림 보정을 위하여 수평 방향(X-Y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300)는 고정부(400)의 상측에 배치되고, 구동부(300)는 고정부(400)와 광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400)에 대하여 상대 이동(즉, 수평 방향(X-Y 방향)으로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부(3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구동부(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구동 프레임(310) 및 구동 프레임(310)과 결합하는 요크 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구동 프레임(310)은 보빈(220)의 측면이 구동 프레임(3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구동 프레임(310)은 중공을 구비하는 사각 형상의 지지프레임(311)과 지지프레임(311)의 각 모서리에서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부재(313)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둥 부재(313)에는 광축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소켓(313a)이 구비되며, 소켓(313a)에 마그네트(520)이 슬라이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소켓(313a)은 기둥 부재(313)가 상호 마주보는 부분에 한 쌍이 구비되어 마그네트()의 양쪽 단부가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는 생략하지만, 소켓(313a)은 지지프레임(311)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소켓(313a)과 마그네트(520)의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추가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도 5 참조).
구동 프레임(310)에는 탄성 부재(600)가 부착되어 렌즈 모듈(200)을 탄성 지지한다.
탄성 부재(600)는 제1 탄성 부재(610) 및 제2 탄성 부재(6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동 프레임(310)의 상부에는 제1 탄성 부재(610)가 결합하여 보빈(220)을 지지하고, 구동 프레임(310)의 하부에는 제2 탄성 부재(620)가 배치되어 보빈(220)을 지지한다.
제1 탄성 부재(610)와 제2 탄성 부재(620)는 렌즈 모듈(200)이 광축 방향(Z 방향)으로 구동될 때 렌즈 모듈(200)을 탄성 지지한다.
또한, 제1 탄성 부재(610)와 제2 탄성 부재(620)는 렌즈 모듈(200)이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평면(X-Y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렌즈 모듈(200)을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요크 플레이트(32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 방향 이동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공을 구비하며, 구동 프레임(3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요크 플레이트(320)는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요크 베이스(321)와 요크 베이스(321)에서 굴곡되어 기둥 부재(313)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323)를 포함한다.
고정부(400)와 구동부(300)의 외부에는 케이스(100, 실드캔)가 결합되어 내부 구성들을 보호한다.
케이스(100)는 구동부(300) 및 고정부(400)의 외부면을 감싸며, 카메라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0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접지패드(미도시)에 접지되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공될 경우에는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전도성 도료(미도시)가 도포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전도성 도료(미도시)로는 전도성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을 가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전도성 필름 또는 전도성 테이프를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부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 구동 장치로서 오토 포커싱 구동부(510)와 손떨림 보정부(530)를 포함한다.
먼저, 오토 포커싱 구동부(510)에 관하여 설명하면, 오토 포커싱 구동부(510)는 렌즈 모듈(200)을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코일과 마그네트의 전자기력을 이용하는 VCM(Voice coil motor) 방식, 압전소자(Piezo)를 이용한 초음파 모터 방식, 및 형상기억합금의 와이어에 전류를 가하여 구동시키는 방식 등의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오토 포커싱 구동부(510)는 렌즈 모듈(200)과 구동부(300) 사이에 배치되고 렌즈 모듈(200)을 광축 방향(Z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토 포커싱 구동부(510)는 공통 마그네트(520)와 제1 코일(513)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통 마그네트(520)는 구동 프레임(310)에 장착되며, 상세히는 지지프레임(311)의 소켓(313a)에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일(513)은 보빈(220)의 외부면에 구비된다.
공통 마그네트(520)와 제1 코일(513)은 수평 방향(X-Y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공통 마그네트(520)는 일정한 자기장을 형성하며 제1 코일(513)에 전원이 인가되면, 공통 마그네트(520)와 제1 코일(513)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한 구동력이 발생하고 구동력에 의해 렌즈 모듈(200)을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렌즈 모듈(200)을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초점조절 또는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손떨림 보정부(5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손떨림 보정부(530)는 이미지 촬영 및 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과 같은 요인에 의해 이미지가 번지거나 동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손떨림 보정부(530)는 렌즈 모듈(200)에 수평 방향(X-Y 방향)으로 상대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한다.
손떨림 보정부(530)는 구동 프레임(310)에 구비되는 공통 마그네트(520) 및 공통 마그네트(520)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X, Y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코일(52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코일(525)은 공통 마그네트(520)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X, Y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기판(미도시)에 고정 구비된다.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X, Y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공통 마그네트(520)와 제2 코일(525)은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광축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X, Y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공통 마그네트(520) 및 제2 코일(525)은 각각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며, 적어도 두 개의 공통 마그네트(520)는 광축 방향(Z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접한 마그네트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적어도 두 개의 제2 코일(525)은 적어도 두 개의 공통 마그네트(520)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X, Y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므로, 적어도 두 개의 제2 코일(525)도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접한 코일과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공통 마그네트(520)와 적어도 두 개의 제2 코일(525)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X 방향과 Y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525)에 인접한 위치에는 홀 센서(미도시)가 배치되어 공통 마그네트(520)의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구동부(300)의 현재 위치정보와 이동되어야할 목적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00)의 수평 방향(X-Y 방향)으로의 구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700)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700)는 일단이 고정부(400)에 고정되고, 타단이 탄성 부재(60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700)는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동부(300)와 고정부(400) 사이의 간격을 규정한다.
구동 프레임(310)과 요크 플레이트(320)의 각 모서리에는 서스펜션 와이어(63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노치홈(315, 325)이 형성된다.
사용자의 손떨림이 발생하는 경우에 손떨림 보정부(530)에 의하여 구동부(300)가 수평 방향(X-Y 방향)으로 이동하여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300)가 수평 방향(X-Y)으로 구동될 때, 서스펜션 와이어(700)가 휘거나 구부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부(300)가 기울어지게 되며, 결국 구동 틸트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낙하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서스펜션 와이어(700)의 변형에 따른 구동 틸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에서는 서스펜션 와이어(700)의 변형에 따른 구동 틸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400)와 상기 구동부(300) 사이에 복수의 볼 베어링(800)이 배치된다.
복수의 볼 베어링(800)은 고정부(400)와 구동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부(300)와 고정부(400)를 접촉 지지한다.
이때, 구동부(300)와 고정부(400)가 광축 방향(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700)가 구동부(300)를 지지하고 있으며, 구동부(300)와 고정부(400) 사이의 간격에 복수의 볼 베어링(800)이 배치되므로,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700) 및 복수의 볼 베어링(800)에 의하여 구동부(300)와 고정부(400) 사이의 광축 방향(Z 방향)으로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70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부(400)와 탄성 부재(6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볼 베어링(800)은 구동부(300)와 고정부(4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구동부(300)와 고정부(40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 등이 발생하더라도 복수의 볼 베어링(800)에 의하여 구동부(300)가 고정부(400)와 광축 방향(Z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서스펜션 와이어(7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0)는 안정적으로 수평 방향(X-Y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볼 베어링(800)은 구동부(300), 상세히는 구동 프레임(310)의 광축 방향 하부 면에 구비되는 홈 형상의 볼 가이드(317)에 일부가 끼워지고 나머지는 돌출되어 고정부(400)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볼 가이드(317)는 볼 베어링(800)의 직경보다 크게 제공된다. 따라서, 복수의 볼 베어링(800)은 구동부(300) 및 이하 설명하는 고정 프레임(410)과 접촉한 상태로 볼 가이드(317) 내에서 구름 운동하게 된다(도 7 참조).
그리고, 볼 가이드(317)는 강성 보완을 위해 구동 프레임(310)에서 광축 방향으로 기둥 부재(31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볼 가이드(317)는 구동부(300), 즉, 기둥 부재(313)의 하부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광축 방향 하부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00)를 형성하는 구동 프레임(310)은 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각 모서리에 기둥 부재(31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볼 가이드(317)는 구동 프레임(310)의 코너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 및 고정부(400)는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고, 서스펜션 와이어(700)는 구동부(300)와 고정부(400)의 코너를 각각 연결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400)는 센서 하우징(430) 및 상기 센서 하우징(450)의 상면에 부착되는 실드커버(410)를 포함한다(도 8 참조).
실드커버(410)는 금속 재질(가령, SUS 등)로 구비되어 볼 베어링(800)이 상면에서 구름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금속 재질의 실드커버(410)는 강성이 좋으므로 볼 베어링(800)과의 접촉에 의해서 이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없다.
실드커버(410)는 센서 하우징(420)의 광축 방향 상부면에 결합되는 판면부(410a)와 센서 하우징(420)의 측면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센서 하우징(410)의 측면에 후크 결합되는 결합부(41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400)의 상면은 돌출된 부부이 없이 편평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0)가 고정부(400)의 상부에서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하더라도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기판에 결합되는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기판에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광축 방향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910)가 구비되는 기판(900)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미지 센서(910)는 카메라 모듈(1000)에 구비되는 렌즈들과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는 본체부(3000) 및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의 특징을 모두 가질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000)은 본체부(30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케이스 200: 렌즈 모듈
210: 렌즈 배럴 220: 보빈
300: 구동부 310: 구동 프레임
320: 요크 플레이트 400: 고정부
410: 고정 프레임
430: 하우징 510: 오토 포커싱 구동부
530: 손떨림 보정부 600: 탄성 부재
610: 제1 탄성 부재 620: 제2 탄성 부재
700: 서스펜션 와이어 800: 볼 베어링

Claims (16)

  1.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홈 형상으로 구비되는 볼 가이드에 일부가 끼워지고 나머지는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고정부의 상부면에 평행한 일 방향인 X축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면에 평행하고 상기 X축에 수직하는 Y축 방향으로 모두 구름 이동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실드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실드커버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커버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커버는 상기 고정부에 후크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면은 편평한 형상인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가이드는 상기 구동부의 저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돌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서스펜션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볼 가이드는 상기 구동부의 저면 코너에 각각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고정부는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서스펜션 와이어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코너를 각각 연결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을 구비하는 구동 프레임인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프레임은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 프레임을 형성하는 면 부분에는 마그네트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프레임을 형성하는 면 부분에는 소켓 형상의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은 상기 안착부에 끼움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마그네트의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렌즈배럴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렌즈배럴에 고정 구비되는 자동초점용 코일 및 상기 구동 프레임을 덮으면서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과 모두 대향하는 공용 마그네트인 카메라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는 렌즈를 통해 수광되는 빛이 통과하는 경로에 적외선 필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6.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손떨림 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부는 상기 구동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홈 형상의 볼 가이드에 일부가 끼워지고 나머지는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서 구름 이동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고정부의 상부면에 평행한 일 방향인 X축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면에 평행하고 상기 X축에 수직하는 Y축 방향으로 모두 구름 이동하는 손떨림 보정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173473A 2015-12-07 2015-12-07 카메라 모듈 Active KR10173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473A KR101730268B1 (ko) 2015-12-07 2015-12-07 카메라 모듈
CN201610552613.5A CN106842479B (zh) 2015-12-07 2016-07-14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473A KR101730268B1 (ko) 2015-12-07 2015-12-0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268B1 true KR101730268B1 (ko) 2017-04-25

Family

ID=5870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473A Active KR101730268B1 (ko) 2015-12-07 2015-12-0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0268B1 (ko)
CN (1) CN1068424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397A1 (ko) * 2019-08-30 2021-03-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2190B2 (en) 2018-01-05 2022-06-28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Camera device having clamping portions and movable carrier
TWI679484B (zh) * 2018-01-05 2019-12-11 大陸商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鏡頭裝置(二)
CN111580236B (zh) * 2019-02-19 2022-01-14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马达镜头组件及相应的摄像模组
WO2021092855A1 (zh) * 2019-11-14 2021-05-20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WO2021092857A1 (zh) * 2019-11-14 2021-05-20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摄像头模组底座、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WO2022196440A1 (ja) * 2021-03-17 2022-09-22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光学素子駆動装置
CN116193234A (zh) * 2021-11-26 2023-05-30 晋城三赢精密电子有限公司 镜头模组及电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15B1 (ko) * 2008-06-09 2010-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장치
KR101130268B1 (ko) * 2010-09-13 2012-03-2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장치
KR101185730B1 (ko) * 2011-09-23 2012-09-25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모듈의 수직 와이어 완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4771B2 (ja) * 2005-06-30 2011-05-18 Hoya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JP5123693B2 (ja) * 2007-03-13 2013-01-23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
JP5284605B2 (ja) * 2007-06-28 2013-09-1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ぶれ補正装置
JP5260115B2 (ja) * 2008-03-31 2013-08-14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50042681A (ko) * 2013-10-11 2015-04-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US9618770B2 (en) * 2014-04-11 2017-04-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and image stabiliz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15B1 (ko) * 2008-06-09 2010-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장치
KR101130268B1 (ko) * 2010-09-13 2012-03-2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장치
KR101185730B1 (ko) * 2011-09-23 2012-09-25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모듈의 수직 와이어 완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397A1 (ko) * 2019-08-30 2021-03-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US12126905B2 (en) 2019-08-30 2024-10-22 Lg Innotek Co., Ltd. Sensor dri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42479A (zh) 2017-06-13
CN106842479B (zh)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902B1 (ko) 카메라 모듈
KR101730268B1 (ko) 카메라 모듈
KR101751105B1 (ko) 카메라 모듈
CN114967281B (zh) 镜头驱动设备和包括该镜头驱动设备的相机模块
KR10150402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552969B1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US11067823B2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echanism
KR2015004269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US12013589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CN213302731U (zh) 相机模块
KR20160072715A (ko) 카메라 모듈
KR102152863B1 (ko) 카메라 모듈
CN106603895B (zh) 相机模块
KR20180076165A (ko) 카메라 모듈
KR102386054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80071779A (ko) 카메라 모듈
KR20150020859A (ko) 손떨림 보정용 서스펜션 와이어
KR20200109517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