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180B1 - open system for home IoT service based settop box device using integrated-linkage by integration manager - Google Patents
open system for home IoT service based settop box device using integrated-linkage by integration mana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0180B1 KR101730180B1 KR1020160015901A KR20160015901A KR101730180B1 KR 101730180 B1 KR101730180 B1 KR 101730180B1 KR 1020160015901 A KR1020160015901 A KR 1020160015901A KR 20160015901 A KR20160015901 A KR 20160015901A KR 101730180 B1 KR101730180 B1 KR 1017301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me
- iot
- top box
- devices
- mana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Multivendor or multi-standard integ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 H04L67/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러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한 홈 IoT 기기들과 이들을 연동시키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n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using home IoT devices based on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a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interlocking them.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헤테로지니어스 무선통신 환경(예: Z-웨이브, 지그비, 블루투스,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 와이파이)에서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복수 개의 홈 IoT 기기들이 상호 연동하도록 댁내의 셋톱박스에 IoT 홈 게이트웨이를 구비하고, 이러한 IoT 홈 게이트웨이에서 이들 홈 IoT 기기에 대한 Open API를 구축하여 제공함으로써 외부의 운용관리 서버 및 홈 IoT 서비스 앱과 홈 IoT 기기들 간에 연동 체계를 구축하여 엔터테인먼트 분야 서비스(예: 개인화 TV, 스마트광고, 맞춤형 방송), 보안 분야 서비스(예: 홈모니터링, 독거노인 관리, 방문자 확인), 가전 분야 서비스(예: 식품 관리, 자동 청소, 식품 구매), 그리고 에너지 분야 서비스(예: 전기, 수도, 가스 관리)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conforming to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e.g., Z-wave, ZigBee, Bluetooth, smart utility network, Wi-Fi) The IOT home gateway is provided with a set-top box, and an Open API for these home IoT appliances is constructed and provided by the IoT home gateway to establish an interworking system between the external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nd home IoT service apps and home IoT appliances, (Eg, home monitoring, living alone elderly care, visitor identification), consumer electronics services (eg food management, auto-cleaning, food purchasing), and energy Field services (eg, electricity, water, gas management),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IoT(Internet of Things)는 기존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나 M2M(Maching to Machine)에서 진화된 상태를 띄고 있는데, 기존 M2M이 통신장비(end-device)와 사람과의 통신이 주목적이었다면 IoT는 사물의 범위를 넓혀 우리가 흔히 볼수 있는 전화기, 책 , 온도계 등의 사물을 사람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는 것이다.In general,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s evolved from the existing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or M2M (Machining to Machine). If the existing M2M is the communication device (end-device) Is to broaden the scope of things so that we can communicate with people, such as telephones, books, thermometers, etc., that we often see.
여기서, IoT는 사람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도 사물(예: 가전기기, 가스기기, 안전기기, 운동기기 등) 간에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을 수행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Here, IoT refers to the cooperative sensing, network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of objects (eg, household appliances, gas appliances, safety appliances, exercise equipment, etc.) without human intervention to produce meaningful information.
그런데,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기기센서들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그 기기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별도로 마련된 프레임워크를 구비하여야 하며, 또한 별도로 구비된 프레임워크는 개별적인 기기센서들이 상호 이종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경우 그러한 헤테로지니어스 무선통신 환경에서도 개별적으로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IoT, a separate frame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individual device sensors and collecting data from the device sensors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a separately provided framework may include a separate device sensor, Communication technology must be able to communicate individually in such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즉, 최근 다양한 IoT 기기들이 출시됨에 따라 각 IoT 기기들은 상호 이종의 무선통신 방식을 따르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이렇게 다양한 IoT 기기들을 특히, 댁내에서 통합하여 연동시키도록 하는 IoT 프레임워크에 대한 기술 개발이 아직은 미진한 상태이다.In other words, as various IoT devices have recently been released, each IoT device is designed to follow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IoT framework for integrating and integrating such various IoT devices in the home has not yet been developed.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댁내 수많은 IoT 기기들에 대응하여 이 IoT 기기들이 통합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해주는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t-top box-based open-type IoT device which allows a plurality of IoT devices in a home- Home IoT servic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댁내의 수많은 IoT 기기들이 상호 연동하도록 댁내의 셋톱박스에 IoT 홈 게이트웨이를 구비하고 이러한 IoT 홈 게이트웨이에서 이들 홈 IoT 기기에 대한 Open API를 구축하여 제공함으로써 외부의 운용관리 서버 및 홈 IoT 서비스 앱과 홈 IoT 기기들 간에 연동 체계를 구축하여 엔터테인먼트, 보안, 가전, 에너지 분야의 각종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oT home gateway in a set-top box in a home so that a large number of IoT devices in the home can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and construct an Open API for these home IoT devices in the IoT home gateway, And an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capable of efficiently providing various services such as entertainment, security, home appliances and energy by establishing an interworking system between home IoT service apps and home IoT devic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은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와 헤테로지니어스 무선통신 환경에서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복합 무선통신부(110)와,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홈 IoT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IoT 프로세서(120)와, 셋톱박스와 복수 개의 홈 IoT 기기 간에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하기 위한 Open API를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포팅계층부(130)를 구비하고, 홈 IoT 기기가 제공하는 제품 정보와 홈 IoT 기기의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제품 정보와 사용패턴 정보를 취합하여 댁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에 대한 종합 정보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에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통합적인 어플리케이션 정보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용관리 서버로서,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가 제공하는 Open API를 호출함으로써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하고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를 매개로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에 관한 종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아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처리 서비스에 따라 셋톱박스와 홈 IoT 기기에 대한 타겟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운용관리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t-top box-based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home I / O devices conforming to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 IoT processor 120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home IoT device and the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a
이때, 포팅계층부(130)는, 외부의 스마트 단말과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어플케이션 매니저(131); 외부의 스마트 단말 및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하기 위한 Open API를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리소스 매니저(132); 리소스 매니저와 어플리케이션 매니저의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의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복수의 홈 IoT 기기의 정보 및 동작을 통합 연계시키는 인티그레이션 매니저(133);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홈 IoT 기기를 식별함으로써 댁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홈 IoT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씽 매니저(134);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관리하는 디바이스 매니저(135); 스마트 단말 및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응하여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시큐리티 매니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은, 운용관리 서버(200)가 생성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데이터를 운용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type home I / O service system based on the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운용관리 서버(200)는, At this time,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와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고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의 리소스 매니저가 제공하는 Open API를 호출하여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하도록 하는 셋톱박스 접속 에이전트(210); 클라우드 서버와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접속 에이전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set-top box access agent 210 for interacting with a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in two-way communication and making use of resources of a plurality of home IoT appliances by calling an Open API provided by a resource manager of a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And a cloud connection agent 220 for interacting with the cloud server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본 발명에서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는, 운용관리 서버에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에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단말 접속 에이전트(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운용관리 서버(200)는,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에 대해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단말 접속 에이전트(230); 홈 IoT 기기에 대응하는 IoT 기기 사업자 서버에 홈 IoT 기기에 대응하는 타겟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하는 타겟 데이터 제공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op box type
한편,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는 레거시 셋톱박스의 디지털 접속포트, 예컨대 USB 포트에 접속하여 동작하는 외장형 동글의 형태로 구성되어 활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t-top box type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에 설치되는 수많은 홈 IoT 기기들이 사용환경 및 요구조건, 그리고 제조사의 설계상 선택에 따라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경우에도 IoT 홈 게이트웨이가 이들 홈 IoT 기기에 대응해줌으로써 이 IoT 기기들이 통합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large number of home IoT devices installed in a house comply with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requirements, and the design choices of the manufacturer, the IoT home gateway supports these home IoT devices, IoT devices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y operate in an integrated manner.
또한, 본 발명은 수많은 홈 IoT 기기들을 연동시키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가 이들 홈 IoT 기기에 대한 Open API를 구축하여 제공함으로써 외부의 운용관리 서버 및 홈 IoT 서비스 앱과 홈 IoT 기기들 간에 연동 체계를 구축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for interworking a large number of home IoT devices by constructing and providing an Open API for these home IoT devices, thereby providing an interworking system between an external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nd home IoT service apps and home IoT devices And various services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은 댁내 수많은 IoT 기기들에 대응하여 이 IoT 기기들이 통합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해주는 IoT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레거시 셋톱박스에 디지털 인터페이스(예: USB)를 통해 접속시킬 수 있는 외장형 동글타입으로 구현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셋톱박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n external dongle type which can connect an IoT service framework to a legacy set-top box through a digital interface (for example, USB) so that the IoT devices can operate in coordination with a plurality of IoT devices in the hom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xisting set-top box.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에 IoT 홈 게이트웨이가 내장된 상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에 대해 IoT 홈 게이트웨이가 외장형으로 배치된 상태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홈 게이트웨이가 셋톱박스에 설치된 상태로 동작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내장형 IoT 홈 게이트웨이의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 서버의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oT home gateway is embedded.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oT home gateway is externally disposed.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t-top box-based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OT home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 IOT home gateway is installed in a set-
5 is a block diagram of a settop box built-in IoT home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n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에 IoT 홈 게이트웨이가 내장된 상태의 블록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re an IoT home gateway is embedded in a set-top box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댁내에 설치되는 수많은 홈 IoT 기기(11,12,13)들이 사용환경 및 요구조건, 그리고 제조사의 설계상 선택에 따라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경우에도 이들 홈 IoT 기기들과 개별적으로 통신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를 댁내 셋톱박스에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number of home IoT devices 11, 12, and 13 installed in a house are connected to separate wireless devices A set-top box type
본 발명에서는 댁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홈 IoT 기기들은 헤테로지니어스한 무선통신 환경(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environment)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한다. IoT 기기들에 사용되는 무선통신 기술로는 현재 Z-웨이브, 지그비, 블루투스,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SUN : Smart Utility Network), 와이파이(WiFi) 등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들은 통신속도, 대역폭, 배터리 소모량, 접속 안정성, 통신 시큐리티 등의 면에서 각자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existing in a home are in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Currently, Z-Wave, ZigBee, Bluetooth, Smart Utility Network (SUN), and WiFi are proposed 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IoT devices. They include communication speed, bandwidth, battery consumption, Connection stability, communication security, and the like.
따라서, 댁내에 설치되는 홈 IoT 기기들은 사용환경 및 요구조건, 그리고 제조사의 설계상 선택에 따라 각자 나름대로 무선통신 기술을 선택하여 내장하게 되며 그 결과로 댁내의 무선통신 환경은 이러한 여러가지 무선통신 기술들이 혼재하는 헤테로지니어스 환경이 이루어지기 마련이다.Accordingly, the home IoT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are selected and built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requirements, and the design choices of the manufacturers. As a result, A heterogeneous heterogeneous environment will be achieved.
본 발명에서는 IoT 홈 게이트웨이가 이들 여러가지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이들 홈 IoT 기기들과 공통으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이러한 헤테로지니어스 무선통신 환경에서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복수 개의 홈 IoT 기기들을 상호 연동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home gateway is equipped wit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ha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these home IoT devices in common. Through this,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Home IoT devices interoperate.
또한, IoT 홈 게이트웨이가 이들 홈 IoT 기기에 대한 Open API를 제공함으로써 IoT 홈 게이트웨이를 매개하면 상위 계층, 즉 외부의 운용관리 서버 및 홈 IoT 서비스 앱이 이들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외부의 운용관리 서버 및 홈 IoT 서비스 앱과 홈 IoT 기기들 간에 연동 체계를 구축한다.If the IoT home gateway mediates the IoT home gateway by providing the Open API for these home IoT devices, the upper layer, that is, the external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nd the home IoT service app, can utilize the resources of these home IoT devices Build. This establishes an interworking system between the external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nd home IoT service app and home IoT devices.
이러한 연동 체계가 구축됨으로 인해 댁내에 설치된 다수의 홈 IoT 기기들이 보유하는 리소스(기능 및 정보)를 외부의 운용관리 서버 및 홈 IoT 서비스 앱이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유용한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홈 IoT 기기를 개발하여 설치된 기업만이 해당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을 뿐이어서 댁내에 홈 IoT 기기들이 다수 설치되는 경우라도 이들을 통합적으로 연계시키지 못하였고, 그에 따라 서비스 개발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interworking system is constructed, the external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nd the home IoT service application can utilize the resources (functions and information) held by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and services useful for the user can be effectively established .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nly a company that develops and installs a home IoT device can utilize the resources of the corresponding home IoT device, so that even if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home, they can not be integrated together, It was not possible.
반면, 본 발명에서는 IoT 홈 게이트웨이가 제공하는 Open API를 통해 댁내에 설치된 홈 IoT 기기들의 리소스를 상위 계층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로는 엔터테인먼트 분야 서비스(예: 개인화 TV, 스마트광고, 맞춤형 방송), 보안 분야 서비스(예: 홈모니터링, 독거노인 관리, 방문자 확인), 가전 분야 서비스(예: 식품 관리, 자동 청소, 식품 구매), 그리고 에너지 분야 서비스(예: 전기, 수도, 가스 관리) 등을 생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urces of the home IoT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can be easily utilized in the upper layer through the Open API provided by the IoT home gateway, thereby enabling various services to be implemented effectively. These services include entertainment services (eg personalized TV, smart advertising, personalized broadcasting), security services (eg home monitoring, elderly care for the elderly, visitor identification), consumer services Purchasing), and energy sector services (eg electricity, water, gas manage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에 대해 IoT 홈 게이트웨이가 외장형으로 배치된 상태의 블록구성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oT home gateway is externally disposed.
제 2 실시예에서는 댁내에 존재하는 수많은 IoT 기기들과 무선 접속하고 이들에 대응하여 이 IoT 기기들이 통합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해주는 기능적 오브젝트, 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체인 IoT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디지털 인터페이스(예: USB)로 접속하는 외장형 동글 형태로 구성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술이 미적용된 상태에서 댁내에 이미 설치되어 사용되는 기존의 레거시(legacy) 셋톱박스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구현된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IoT service framework, which i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s a functional object that wirelessly connects to a plurality of IoT devices existing in the house and allows these IoT devices to operate integrally with each other, For example, US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in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utilizing an existing legacy set-top box already installed and used in a home in a state where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즉, 외장형 동글을 레거시 셋톱박스의 디지털 접속포트(예: USB 포트)에 접속시키면 그 디지털 접속포트를 통해 동작 전원을 제공받아 IoT 홈 게이트웨이가 동작을 시작하며, 레거시 셋톱박스의 광대역 통신기능 내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일부 활용하면서 본 발명에 따라 댁내의 IoT 기기들과 무선 접속하고 이들에 대응하여 이 IoT 기기들이 통합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if the external dongle is connected to a digital connection port (for example, a USB port) of the legacy set top box, the IoT home gateway starts to operate by receiving the operation power through the digital connection port, and the broadband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legacy set-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wirelessly connecting with IoT devices in the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llowing the IoT devices to operate integrally with each other.
즉,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댁내 설치되는 수많은 홈 IoT 기기(11,12,13)들이 사용환경 및 요구조건, 그리고 제조사의 설계상 선택에 따라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경우에도 이들 홈 IoT 기기들과 개별적으로 통신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를 외장형 동글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11, 12, and 13 installed at home are installed in separate Top box typ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홈 게이트웨이가 셋톱박스에 설치된 상태로 동작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내장형 IoT 홈 게이트웨이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 서버의 블록구성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IoT home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state where the IoT home gateway is installed in a set-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set-top box built-in IoT home gate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 운용관리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IoT 기기 사업자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6, a set-top box based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settop box type IoT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는 홈 IoT 기기(11,12,13)가 제공하는 제품 정보와 홈 IoT 기기(11,12,13)의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제품 정보와 사용패턴 정보를 취합하여 댁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홈 IoT 기기(11,12,13)에 대한 종합 정보를 지속적으로 생성한다.The set-top box type IoT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는 복합 무선통신부(110), IoT 프로세서(120), 포팅계층부(130), 단말 접속 에이전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a set-top box type IoT
먼저, 복합 무선통신부(110)는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복수 개의 홈 IoT 기기(11,12,13)가 이루는 헤테로지니어스 무선통신 환경에서 이들 홈 IoT 기기(11,12,13)들과 모두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예: 지그비, 지웨이브, 블루투스, 와이파이)을 구비한다.First, the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home IoT devices 11, 12, and 13 in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med by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11, 12,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e.g., ZigBee, GeoWave, Bluetooth, WiFi)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individually.
전술한 바와 같이 홈 IoT 기기들(11,12,13)은 해당 기능을 위해 특정의 IoT 센서를 내장할 수 있는데, 이때 제조사는 해당 홈 IoT 기기(11,12,13)의 종류에 따라 사용환경, 요구조건(통신속도, 접속 안정성, 통신 시큐리티) 등을 감안하여 그에 적합한 무선통신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ome IoT devices 11, 12, and 13 may incorporate specific IoT sensors for the corresponding functions.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home IoT devices 11, 12, , A requirement (a communication speed, a connection stability, a communication security), and the like.
이때,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에 장착되는 복합 무선통신부(110)도 그와 같은 헤테로지니어스 무선통신 환경에 대응하고 이러한 다수의 홈 IoT 기기들(11,12,13)과 모두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이들을 기능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stalled in the set-top box type IoT
IoT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홈 IoT 기기(11,12,13)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여기서, IoT 프로세서(120)는 셋톱박스 내에 구비되는 "Main IC"와 별도로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IoT processor 120 controls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to contro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home I / O devices 11, 12, and 13. Here, the IOT processor 12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t-top box type
포팅계층부(130)는 셋톱박스와 복수 개의 홈 IoT 기기(11,12,13) 간에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홈 IoT 기기(11,12,13)의 리소스(기능,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Open API를 상위 계층에 제공한다.The
이를 위해, 포팅계층부(130)는 외부의 스마트 단말과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31), 외부의 스마트 단말 및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하기 위한 Open API를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리소스 매니저(132), 리소스 매니저와 어플리케이션 매니저의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의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복수의 홈 IoT 기기의 정보 및 동작을 통합 연계시키는 인티그레인션 매니저(133),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홈 IoT 기기를 식별함으로써 댁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홈 IoT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씽 매니저(134),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관리하는 디바이스 매니저(135), 스마트 단말 및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응하여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시큐리티 매니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단말 접속 에이전트(140)는 운용관리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500)과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가 상호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나타낸다.The terminal access agent 140 represents dedicated software for enabl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terminal 500 register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and the settop box type
운용관리 서버(200)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에 광대역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통합적인 어플리케이션 정보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용관리 서버이다.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is an operation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set-top box type
특히, 운용관리 서버(200)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의 포팅계층부(130)가 제공하는 Open API를 호출함으로써 복수 개의 홈 IoT 기기(11,12,13)의 리소스를 활용하고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를 매개로 복수 개의 홈 IoT 기기(11,12,13)에 관한 종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아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처리 서비스에 따라 셋톱박스와 홈 IoT 기기에 대한 타겟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utilizes the resources of the plurality of home I / O devices 11, 12, and 13 by calling the Open API provided by the
이를 위해, 운용관리 서버(200)는 셋톱박스 접속 에이전트(210), 클라우드 접속 에이전트(220), 단말 접속 에이전트(230), 타겟 데이터 제공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includes a set-top box connection agent 210, a cloud connection agent 220, a terminal connection agent 230, and a target data provider 240.
셋톱박스 접속 에이전트(210)는 운용관리 서버(200)가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와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나타낸다. 특히, 셋톱박스 접속 에이전트(210)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가 제공하는 Open API를 호출하여 복수 개의 홈 IoT 기기(11,12,13)의 리소스를 활용하고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를 매개로 복수 개의 홈 IoT 기기(11,12,13)에 관한 종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는다.The set-top box connection agent 210 represents dedicated software that allows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to interact with the set-top box type
클라우드 접속 에이전트(220)는 운용관리 서버(200)가 클라우드 서버(300)와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나타낸다.The cloud connection agent 220 represents dedicated software for allowing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to interact with the
단말 접속 에이전트(230)는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500)에 대해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전용의 소프트웨어를 나타낸다.The terminal access agent 230 represents dedicated software for interworking with the smart terminal 500 registered in advance i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타겟 데이터 제공부(240)는 홈 IoT 기기(11,12,13)에 대응하는 IoT 기기 사업자 서버(400)에 홈 IoT 기기(11,12,13)에 대응하는 타겟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target data providing unit 240 is configured to provide target data corresponding to the home IoT devices 11, 12, and 13 to the IoT
클라우드 서버(300)는 운용관리 서버(200)가 생성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데이터를 운용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무선 광역 통신망(WWAN) 또는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운용관리 서버(200)에 연결되어 통합적인 어플리케이션 정보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를 운영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TV를 시청하기 위한 셋톱박스가 댁내에 일반적으로 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댁내에 비치되어 있는 셋톱박스를 활용하여 댁내에서 다양한 카테고리(예: 안전, 의료, 측정, 에너지, 방송, 결제, 보안)에 관련된 홈 IoT 기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 것이다.[7]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a set-top box for watching TV is generally provided at hom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ramework for integrating home IoT devices related to various categories (eg, safety, medical, measurement, energy, broadcasting, payment, security) at home using the set-top box provided in the home .
이를 위해, 댁내 설치되는 셋톱박스가 이전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인 경우에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를 외장형 동글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가 처음부터 셋톱박스에 내장형으로 설치된 셋톱박스를 새로 설치할 수도 있다.If the set-top box installed in the house is previously installed in advance, the set-top box type
위의 2가지 경우에서 공통적으로는 셋톱박스와 IoT 홈 게이트웨이가 상호 연동하도록 한다는 것이다.In both cases, the set-top box and IoT home gateway are interworking.
한편,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는 단말 접속 에이전트(140)를 통해 운용관리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500)과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해당 스마트 단말(500)의 조작으로 셋톱박스를 통해 홈 IoT 기기(11,12,13)의 현재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Since the settop box type
또한, 운용관리 서버(200)는 바람직하게는 단말 접속 에이전트(230)가 설치된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50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는 해당 스마트 단말(500)의 조작을 통해 운용관리 서버(200)로부터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에 대한 종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is configured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500 registered in advance through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in which the terminal connection agent 230 is installed. That is, the user may be continuously provided with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smart terminal 500.
그리고, 운용관리 서버(200)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제공받은 종합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에 제공하면, 클라우드 서버(300)는 종합 정보를 제공하는 해당 셋톱박스와 해당 홈 IoT 기기(11,12,13)들에 대한 타겟 정보를 생성하고 빅데이터로 저장해 둔다.Whe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provides the integr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t-top box type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그 수집한 사용내역으로부터 홈 IoT 기기별로 사용자가 해당 홈 IoT 기기에 대해 어떠한 기능을 어떻게 사용하였는지에 관한 사용패턴을 분석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한 사용패턴, 예컨대 피봇 분석툴 등을 통해 조합 분석하여 복수 개의 홈 IoT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한편, 클라우드 서버(300)는 개별 홈과 관련하여 운용관리 서버(200)로부터 상위 랭킹의 검색내역 및 홈 IoT 기기별 검색내역을 제공받으며, 이들 정보를 누적시킨 후 분석하여 시간대별, 지역별, IoT 기기별로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다른 한편, 운용관리 서버(200)는 타겟 데이터 제공부(240)로서의 가상사설망(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홈 IoT 기기(11,12,13)에 대응하는 IoT 기기 사업자 서버(400)에 홈 IoT 기기(11,12,13)에 대응하는 타겟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accesses the IoT
11, 12, 13 : 홈 IoT 기기
100 :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
110 : 복합 무선통신부
120 : IoT 프로세서
130 : 포팅계층부
131 : 어플리케이션 매니저
132 : 리소스 매니저
133 : 인티그레이션 매니저
134 : 씽 매니저
135 : 디바이스 매니저
136 : 시큐리티 매니저
140 : 단말 접속 에이전트
200 : 운용관리 서버
210 : 셋톱박스 접속 에이전트
220 : 클라우드 접속 에이전트
230 : 단말 접속 에이전트
240 : 타겟 데이터 제공부
300 : 클라우드 서버
400 : IoT 기기 사업자 서버
500 : 스마트 단말11, 12, 13: Home IoT device
100: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110:
120: IoT processor
130: Porting layer
131: Application Manager
132: Resource manager
133: Integration Manager
134: Thing manager
135: Device Manager
136: Security Manager
140: terminal access agent
200: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10: Set-top box access agent
220: Cloud Access Agent
230: terminal access agent
240: Target data offerer
300: Cloud server
400: IoT device provider server
500: smart terminal
Claims (7)
각자 별개의 무선통신 기술을 따르는 복수의 홈 IoT 기기와 헤테로지니어스 무선통신 환경에서 개별적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복합 무선통신부(110)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홈 IoT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IoT 프로세서(120)와, 상기 복수의 홈 IoT 기기와 셋톱박스 간에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홈 IoT 기기를 식별하며 상기 복수의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하기 위한 Open API를 상위 계층에 제공하고 외부의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인티그레이션 매니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홈 IoT 기기들의 정보 및 동작을 통합 연계시키는 포팅계층부(130)와, 상기 운용관리 서버에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과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단말 접속 에이전트(140)를 구비하고, 상기 홈 IoT 기기가 제공하는 제품 정보와 상기 홈 IoT 기기의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품 정보와 상기 사용패턴 정보를 취합하여 댁내에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한 종합 정보를 지속적으로 생성하는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통합적인 어플리케이션 정보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용관리 서버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처리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셋톱박스와 상기 홈 IoT 기기에 대한 타겟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처리 서비스에 대응하여 타겟이 되는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하여 상기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가 제공하는 상기 Open API를 호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하고, 상기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를 매개로 상기 복수의 홈 IoT 기기에 관한 상기 종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아 분석하며, 미리 등록된 스마트 단말에 대해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시키는 운용관리 서버(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티그레이션 매니저의 통합 연계를 활용한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
A set-top box-based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comprising a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100) and an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A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conforming to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apable of individually communicating in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 IoT processor 120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home IoT device; and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A porting layer 130 for providing an Open API for utilizing resources of the device to an upper layer and integrating in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home I / O devices through an integration manage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n external smart terminal, And a terminal access agent (14) for interworking with the smart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0), and collects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home IoT device and usage pattern information of the home IoT device, collects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and stores the product information and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A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100 that continuously generates comprehensive information;
An operation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through the Internet to provide an integrated appl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ice, the target management server generating and managing target information for the settop box and the home Io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ice, A plurality of home IoT appliances that correspond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ervice and utilize the resources of the plurality of home IoT appliances by calling the Open API provided by the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An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continuously receiving and analyzing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home I / O devices through an IoT home gateway, and interacting with registered smart terminals i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op box based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that utilizes the integrated linkage of the integration manager.
상기 포팅계층부(130)는,
외부의 스마트 단말과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어플케이션 매니저(131);
외부의 스마트 단말 및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하기 위한 Open API를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리소스 매니저(132);
상기 리소스 매니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저의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의 스마트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복수의 홈 IoT 기기의 정보 및 동작을 통합 연계시키는 인티그레이션 매니저(133);
상기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홈 IoT 기기를 식별함으로써 댁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홈 IoT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인터페이스하는 씽 매니저(134);
상기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한 등록정보를 관리하는 디바이스 매니저(135);
스마트 단말 및 복수의 홈 IoT 기기에 대응하여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시큐리티 매니저(13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티그레이션 매니저의 통합 연계를 활용한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ing layer 130,
An application manager 131 for interfac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mart terminal;
A resource manager (132) having interface information for an external smar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home I / O devices and providing an Open API for utilizing resources of the plurality of home I / O devices to an upper layer;
An integration manager (133) for integrating information and operations of a plurality of home I / O devices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n external smart terminal based on an operation of the resource manager and the application manager;
A shorting manager 134 for interfac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home IO devices existing in the home by identifying home I / O devices connected to the set-top box type I / O home gatewa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device manager 135 for managing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home I / O devices connected to the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security manager 136 for managing a corresponding security program in correspondence with a smar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And an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utilizing an integrated link of the integration manager.
상기 운용관리 서버(200)가 생성한 상기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타겟 데이터를 상기 운용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티그레이션 매니저의 통합 연계를 활용한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 cloud server (300) for receiving and storing target data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And an integrated home I / O service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utilizing an integration link of the integration manager.
상기 운용관리 서버(200)는,
상기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와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고 상기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의 리소스 매니저가 제공하는 Open API를 호출하여 상기 복수의 홈 IoT 기기의 리소스를 활용하도록 하는 셋톱박스 접속 에이전트(210);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양방향 통신으로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접속 에이전트(2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티그레이션 매니저의 통합 연계를 활용한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A set-top box connection agent 210 that interlocks with the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in two-way communication and calls the Open API provided by the resource manager of the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to utilize the resources of the plurality of home IoT devices, ;
A cloud access agent 220 for interacting with the cloud server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an open home IoT service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utilizing an integrated link of the integration manager.
상기 운용관리 서버(200)는,
상기 홈 IoT 기기에 대응하는 IoT 기기 사업자 서버에 상기 홈 IoT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타겟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하는 타겟 데이터 제공부(2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티그레이션 매니저의 통합 연계를 활용한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ration management server (200)
A target data provider 240 for providing the IoT device provider server corresponding to the home IoT device with the target data corresponding to the home IoT device;
And an integrated home I / O service system based on a set-top box utilizing an integration link of the integration manager.
상기 셋톱박스형 IoT 홈 게이트웨이(100)는 레거시 셋톱박스의 디지털 접속포트에 접속하여 동작하는 외장형 동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티그레이션 매니저의 통합 연계를 활용한 셋톱박스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100) comprises an external dongle connected to a digital access port of a legacy set top box, wherein the settop box type IoT home gateway (100) is an external dongle connected to a digital access port of a legacy set top box.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5901A KR101730180B1 (en) | 2016-02-11 | 2016-02-11 | open system for home IoT service based settop box device using integrated-linkage by integration mana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5901A KR101730180B1 (en) | 2016-02-11 | 2016-02-11 | open system for home IoT service based settop box device using integrated-linkage by integration manag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0180B1 true KR101730180B1 (en) | 2017-04-25 |
Family
ID=5870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5901A Active KR101730180B1 (en) | 2016-02-11 | 2016-02-11 | open system for home IoT service based settop box device using integrated-linkage by integration mana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018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5191B1 (en) | 2017-05-24 | 2018-01-05 | 김양수 | Gateway Platform |
KR101982578B1 (en) * | 2018-02-23 | 2019-05-27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 connect gateway system with signal processing of multi-types end device |
KR102226606B1 (en) * | 2020-08-06 | 2021-03-11 |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 Home gateway apparatus, sensor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US11363522B2 (en) | 2018-07-11 | 2022-06-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WO2022217431A1 (en) * | 2021-04-12 | 2022-10-2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Access control method for zigbee device, and open link association (ola) gateway |
-
2016
- 2016-02-11 KR KR1020160015901A patent/KR101730180B1/en active Active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5191B1 (en) | 2017-05-24 | 2018-01-05 | 김양수 | Gateway Platform |
KR101982578B1 (en) * | 2018-02-23 | 2019-05-27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 connect gateway system with signal processing of multi-types end device |
US11363522B2 (en) | 2018-07-11 | 2022-06-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KR102226606B1 (en) * | 2020-08-06 | 2021-03-11 |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 Home gateway apparatus, sensor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KR20220018402A (en) * | 2020-08-06 | 2022-02-15 | 주식회사 텍쎈 | Home gateway apparatus, sensor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KR102538552B1 (en) * | 2020-08-06 | 2023-05-31 | 주식회사 텍쎈 | Home gateway apparatus, sensor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WO2022217431A1 (en) * | 2021-04-12 | 2022-10-2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Access control method for zigbee device, and open link association (ola) gatew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0180B1 (en) | open system for home IoT service based settop box device using integrated-linkage by integration manager | |
US8977731B2 (en) | Low cost and flexible energy management system providing user control arrangement in a plurality of modes | |
KR100695331B1 (en) | User interface device for context-aware environment, device control device linked thereto,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TWI514802B (en) | Smart home network system and its signal conversion device | |
US20140129006A1 (en) |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20140064738A1 (en) | Smart gateway and smar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 |
CN108196457A (en) | A kind of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 | |
CN103782313B (en) | Ems | |
CN107707444A (en) | A kind of intelligent domestic system | |
CN104851273A (en) | Intelligent measuring system based on network | |
WO2016152699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CN107193227A (en) | Gateway and intelligent mobile socket dual system | |
KR101989828B1 (en) |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portable terminal | |
CN105376272A (en) | Intelligent household system based on cloud computing | |
JP5441967B2 (en) | Network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 |
JP2013258616A (en) |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nd master unit | |
KR101812170B1 (en) |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 |
Jatakia et al. | Home Automation Control System | |
CN205945788U (en) | Have intelligent gateway of IP camera function concurrently | |
CA2752414A1 (en) | Low cost home energy manager adaptor | |
CN105974812A (en) | Intelligent household monitoring system | |
WO2018163206A2 (en) | An integrated smart energy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