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9974B1 - 유수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수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974B1
KR101729974B1 KR1020150018714A KR20150018714A KR101729974B1 KR 101729974 B1 KR101729974 B1 KR 101729974B1 KR 1020150018714 A KR1020150018714 A KR 1020150018714A KR 20150018714 A KR20150018714 A KR 20150018714A KR 101729974 B1 KR101729974 B1 KR 10172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ater content
skin
power supply
meas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435A (ko
Inventor
김단비
김완섭
박포규
김영균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8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9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9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 A61B5/7257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using Fourier trans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수분 측정 센서는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전원 공급기, 상기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고, 접촉되는 피부에 포함된 유수분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는 유수분 측정 센서, 상기 전원 공급기와 상기 유수분 측정 센서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어 전압 변화를 측정하는 전압 측정기, 및 상기 측정된 전압들로부터 획득된 진폭과 위상에 의해 피부 유수분에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커패시턴스로부터 상기 피부의 유수분을 측정하는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수분 측정 센서는 상기 전원 공급기의 일단에 연결되는 측정 전극, 상기 전원 공급기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전극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측정 전극을 둘러싼 형태의 대향 전극, 접지단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위치한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측정 전극을 기준으로 상기 대향 전극을 둘러싸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가드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수분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OIL AND MOISTURE CONTENT}
본 발명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와의 거리에 따른 영향을 감소시켜 피부의 유수분을 측정하는 유수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구성하는 가장 큰 조직 중의 하나로 피부가 있으며, 피부 상태에 대한 진단은 의학 또는 미용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임피던스 측정을 통해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는 경우, 피부의 수분뿐만 아니라 센서의 면적과 피부와의 거리에 따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전극과 피부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와의 거리에 따른 영향을 감소시켜 피부의 유수분을 측정할 수 있는 유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유수분 측정의 정확도와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유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 측정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전원 공급기, 상기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고, 접촉되는 피부에 포함된 유수분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는 유수분 측정 센서, 상기 전원 공급기와 상기 유수분 측정 센서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어 전압 변화를 측정하는 전압 측정기, 및 상기 측정된 전압들로부터 획득된 진폭과 위상에 의해 피부 유수분에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커패시턴스로부터 상기 피부의 유수분을 측정하는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수분 측정 센서는 상기 전원 공급기의 일단에 연결되는 측정 전극, 상기 전원 공급기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전극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측정 전극을 둘러싼 형태의 대향 전극, 접지단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위치한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측정 전극을 기준으로 상기 대향 전극을 둘러싸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가드 전극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 상기 대향 전극, 상기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제 2 가드 전극에 결합되는 유전체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은 원형의 형태를 갖고, 상기 대향 전극, 상기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제 2 가드 전극은 원형 고리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은 다각형의 형태를 갖고, 상기 대향 전극, 상기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제 2 가드 전극은 다각형 고리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은 타원의 형태를 갖고, 상기 대향 전극, 상기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제 2 가드 전극은 타원형 고리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전압 측정기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미분 연산하는 연산기, 상기 미분 연산기의 출력을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진폭과 위상을 추출하는 제 1 고속 푸리에 변환기, 상기 전원 공급기로부터의 입력 전압을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진폭과 위상을 추출하는 제 2 고속 푸리에 변환기, 상기 제 1 고속 푸리에 변환기와 상기 제 2 고속 푸리에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진폭들과 위상들 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피부 유수분에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주파수 결정기,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의 커패시턴스에 대응되는 유수분에 따른 유전률로부터 상기 피부의 유수분을 검출하는 유수분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유수분 측정을 위한 유수분에 따른 유전률과 커패시턴스가 매칭된 유수분 측정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검출된 피부의 유수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 검출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유수분 측정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피부의 유수분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유수분 측정 장치는 커패시턴스 전극 배열의 구조를 이용함에 따라 피부 유수분 측정을 위한 센서와 피부 간의 거리에 따른 영향을 감소시켜 피부의 유수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수분 측정 장치는 피부 유수분 측정의 정확도와 감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 측정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수분 측정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측정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크로스 커패시턴스 전극 배열을 이용하여 전극과 시료(일예로, 피부)와의 거리 등에 발생하는 오차를 감소시켜 유수분 또는 유수분도(피부 내부 또는 외부의 유수분 분포)(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수분’이라 칭하기로 함)를 측정할 수 있는 유수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 측정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수분 측정 장치(100)는 전원 공급기(110), 유수분 측정 센서(120), 전압 측정기(130), 신호 처리기(140), 메모리(150),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기(110)는 유수분 측정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가변시킨다. 일예로, 전원 공급기(110)는 수 헤르쯔(Hz)에서 수 메가헤르쯔(MHz) 범위 내에서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을 통해 고정된 주파수가 아닌 가변되는 범위의 주파수를 이용한다. 이를 통해, 전원 공급기(110)는 하나의 고정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주변의 전기적인 잡음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을 감소시켜 피부(10)의 유수분을 측정할 수 있다.
유수분 측정 센서(120)는 전원 공급기(110)에 연결되고, 피부(10)와 일정 간격 이격 또는 접촉을 통해 변화하는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는 크로스 커패시턴스 전극 배열을 갖는다. 이와 같은 크로스 커패시턴스 전극 배열을 갖기 위해 유수분 측정 센서(120)는 측정 전극(121), 대향 전극(122), 제 1 가드 전극(123), 및 제 2 가드 전극(124)을 포함한다.
측정 전극(121)은 전원 공급기(110)의 일단에 연결되고, 로우(Low) 전극을 형성한다.
대향 전극(122)은 측정 전극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전원 공급기의 다른 일단(110)에 연결되며, 하이(High) 전극을 형성한다. 대향 전극(122)은 전원 공급기(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측정 전극(121)과 함께 크로스 커패시터 구조를 갖는 전기 용량 센서를 형성한다. 대향 전극(121)과 측정 전극(122) 사이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른 전기 용량(즉, 커패시턴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커패시턴스는 유수분을 포함한 피부(10)와 임피던스 반응을 통해 변화한다.
제 1 가드 전극(123)은 측정 전극(121)과 대향 전극(122) 사이에 위치하며, 접지단(Ground)에 연결된다.
제 2 가드 전극(124)은 측정 전극(121)을 기준으로 대향 전극(122)을 감싸는 형태를 갖고, 접지단(Ground)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측정 전극(L)(121), 제 1 가드 전극(G)(123), 대향 전극(H)(122), 및 제 2 가드 전극(L)(124)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크로스 커패시턴스 전극 배열은 전극들(121, 122, 123, 124)과 피부(10) 사이의 거리 또는 공기층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켜 커패시턴스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유수분 측정 센서(120)는 측정 전극(121), 대향 전극(122), 제 1 가드 전극(123), 및 제 2 가드 전극(124)을 결합하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유전체(125)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유전체(125)는 전극들에 대해 피부(1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압 측정기(130)는 전원 공급기(110)와 유수분 측정 센서(120) 간의 접점에 연결되어 센서의 커패시턴스 변화에 따른 전압(Vo)을 측정한다. 이때, 전압 측정기(130)의 양(+)의 단자는 전원 공급기(110)와 대향 전극(122)과의 접점에 연결되고, 전압 측정기(130)의 음(-)의 단자는 전원 공급기(110)와 측정 전극(121)의 접점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가변 주파수에 따른 전원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유수분 측정 센서(120)의 커패시턴스는 변화하며, 전압 측정기(130)는 유수분 측정 센서(120)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변화하는 전압(Vo)을 측정한다. 전압 측정기(130)는 측정된 전압을 신호 처리기(140)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기(140)는 전원 공급기(110)에서 제공되는 입력 전압(Vi)과 전압 측정기에서 측정한 출력 전압(Vo)을 수신한다. 신호 처리기(140)는 입력 전압(Vi)과 출력 전압(Vo)을 통해서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기(140)는 입력 전압(Vi)과 출력 전압(Vo) 각각으로부터 진폭(amplitude) 성분들과 위상(phase) 성분들을 추출할 수 있다. 신호 처리기(140)는 진폭 성분과 위상 성분들 간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피부(10)의 유수분에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고,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커패시턴스를 통해 피부의 유수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기(140)는 측정된 피부의 유수분을 디스플레이부(160)로 출력한다.
한편, 신호 처리기(140)는 피부의 유수분을 측정하기 위해 커패시턴스에 대응되는 피부의 유전율 정보, 즉 피부 유수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50)를 통해 획득한다.
신호 처리기(140)는 저항에 의한 실수부 성분과 전기 용량과 인덕턴스에 의한 허수부 성분으로 구분되는 복소 임피던스로부터 측정된다. 실제 수분에 반응하는 실수부 성분과 허수부 성분의 감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특정 주파수에서는 실수부가 허수부에 비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다른 주파수에서는 허수부가 실수부에 비해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신호 처리기(140)는 실수부 성분과 허수부 성분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진폭과 위상을 함께 이용하여 피부 유수분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주변의 전기적인 잡음에 따라 진폭 성분은 변화하기 때문에 신호 처리기(140)는 위상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진폭만을 사용하여 피부 유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에 비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메모리(150)는 유수분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 또는 유수분 측정 장치(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제어기(153)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기(1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피부의 유수분 측정을 위한 유수분에 따른 유전률과 커패시턴스가 매칭된 유수분 측정 테이블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피부의 유수분을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된 유수분 측정 장치(100)는 거리에 따른 영향을 감소시켜 피부 유수분을 측정할 수 있는 크로스 커패시턴스 전극 배열을 갖는 유수분 측정 센서(120)를 이용함에 따라 유수분 측정 센서(120)와 피부와의 거리(또한, 전극들과 피부 사이의 공기층)에 따른 영향을 감소시켜, 피부의 유수분에 따른 유전율 변화의 측정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수분 측정 장치(100)는 진폭과 위상 성분을 모두 이용하여 피부의 유수분을 측정한다. 유수분 측정 장치(100)는 유수분에 따라 반응하는 감도와 전기적인 잡음으로부터의 영향 감소를 통해 유수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수분 측정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수분 측정 센서(120)는 측정 전극(121), 대향 전극(122), 제 1 가드 전극(123), 및 제 2 가드 전극(124), 유전체(125)을 포함하며, 크로스 커패시턴스 전극 구조를 갖는다.
유수분 측정 센서(12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측정 전극(121)은 중심에 위치하고, 원형의 형태를 갖는다.
측정 전극(121)을 기준으로, 제 1 가드 전극(123), 대향 전극(122), 및 제 2 가드 전극(124)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 1 가드 전극(123), 대향 전극(122), 및 제 2 가드 전극(124)은 원형 고리(일예로, 도넛)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측정 전극(121), 제 1 가드 전극(123), 대향 전극(122), 및 제 2 가드 전극(124)의 사이들 각각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나, 구현에 따라 간격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다른 물질이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형 형태를 갖는 유수분 측정 센서(120)를 설명하지만, 다각형 형태(일예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또는 타원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유수분 측정 센서의 측정 전극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대향 전극, 제 1 가드 전극, 및 제 2 가드 전극은 다각형 고리 또는 타원형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수분 측정 센서(120)는 센서 가이드(12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가이드(126)는 피부(10)에 접촉되어 유수분 측정 센서(120)와 피부(10)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피부와 전극들(121, 122, 123, 124)(또는 유전체(126))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센서 가이드(126)는 유전체(125)의 가장자리 또는 끝부분에 피부와의 접촉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길이 또는 두께를 갖는 다양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측정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측정기(140)는 미분기(141), 제 1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기(142), 제 2 고속 푸리에 변환기(143), 주파수 검출기(144), 및 유수분 검출기(145)를 포함한다.
미분기(141)는 전압 검출기(13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전압(Vo)을 미분 연산을 하고, 미분 연산된 출력 전압(Vo)를 제 1 고속 푸리에 변환기(142)로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 전압(Vo)의 미분 연산을 통해 미분기(141)는 입출력 파형 사이의 차이를 정확히 측정되도록 한다.
제 1 고속 푸리에 변환기(142)는 미분 연산된 출력 전압(Vo)을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진폭(A1)과 위상(P1)을 주파수 검출기(144)로 출력한다.
제 2 고속 푸리에 변환기(143)는 전원 공급기(110)의 입력 전압(Vi)을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진폭(A2)과 위상(P2)을 주파수 검출기(144)로 출력한다.
여기서, 진폭들(A1, A2)과 위상들(P1, P2)은 가변되는 주파수에 따른 연속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주파수 검출기(144)는 진폭들(A1, A2)과 위상들(P1, P2) 각각의 비교를 통해 피부 유수분에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한다. 주파수 검출기는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유수분 검출기(145)로 출력한다.
유수분 검출기(145)는 입력 전압(Vi)과 출력 전압(Vo)을 수신할 수 있고, 주파수 검출기(144)를 통해 검출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커패시턴스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커패시턴스와 메모리로부터 획득한 유수분 측정 테이블에 근거하여 유수분 검출기(145)는 피부의 유전율을 검출할 수 있으며, 유전율에 대응되는 유수분 정보를 검출한다. 유수분 검출기(145)는 검출된 유수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된 유수분 측정 장치(100)는 크로스 커패시턴스 전극 배열을 갖는 유수분 측정 센서(120)를 이용함에 따라 커패시턴스에 영향을 주는 거리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피부의 유수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넓은 범위를 갖는 주파수 대역의 전압 인가에 따른 유수분 특성을 분석하고, 진폭과 위상을 함께 이용함에 따라 피부 유수분 측정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유수분 측정 장치 110: 전원 공급기
120: 유수분 측정 센서 130: 전압 측정기
140: 신호 처리기 150: 메모리
160: 디스플레이부 121: 측정 전극
122: 대향 전극 123, 124: 가드 전극들
125: 유전체 126: 센서 가이드
141: 미분기 142, 143: 고속 푸리에 변환기
144: 주파수 검출기 145: 유수분 검출기

Claims (10)

  1.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가변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
    상기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고, 접촉되는 피부에 포함된 유수분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는 유수분 측정 센서;
    상기 전원 공급기와 상기 유수분 측정 센서 사이의 접점에 연결되어 전압 변화를 측정하는 전압 측정기; 및
    상기 측정된 전압들로부터 획득된 진폭과 위상에 의해 피부 유수분에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커패시턴스로부터 상기 피부의 유수분을 측정하는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수분 측정 센서는
    상기 전원 공급기의 일단에 연결되어 로우 전극을 형성하는 측정 전극;
    상기 전원 공급기의 타단에 연결되어 하이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측정 전극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측정 전극을 둘러싼 형태의 대향 전극;
    접지단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측정 전극을 둘러싼 형태의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접지단에 연결되고, 상기 측정 전극을 기준으로 상기 대향 전극을 둘러싸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가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전극이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측정 전극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드 전극, 상기 대향 전극, 및 상기 제 2 가드 전극이 순차적으로 둘러쌓도록 배치되는 유수분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 상기 대향 전극, 상기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제 2 가드 전극에 결합 되는 유전체를 더 포함하는 유수분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 측정 센서는 상기 유전체의 끝부분에 상기 피부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센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유수분 측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은 원형의 형태를 갖고, 상기 대향 전극, 상기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제 2 가드 전극은 원형 고리 형태를 갖는 유수분 측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은 다각형의 형태를 갖고, 상기 대향 전극, 상기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제 2 가드 전극은 다각형 고리 형태를 갖는 유수분 측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극은 타원의 형태를 갖고, 상기 대향 전극, 상기 제 1 가드 전극, 및 상기 제 2 가드 전극은 타원형 고리 형태를 갖는 유수분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전압 측정기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미분 연산하는 연산기;
    상기 미분 연산기의 출력을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진폭과 위상을 추출하는 제 1 고속 푸리에 변환기;
    상기 전원 공급기로부터의 입력 전압을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진폭과 위상을 추출하는 제 2 고속 푸리에 변환기;
    상기 제 1 고속 푸리에 변환기와 상기 제 2 고속 푸리에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진폭들과 위상들 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피부 유수분에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주파수 결정기; 및
    상기 주파수 대역의 커패시턴스에 대응되는 유수분에 따른 유전률로부터 상기 피부의 유수분을 검출하는 유수분 검출기를 포함하는 유수분 측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유수분 측정을 위한 유수분에 따른 유전률과 커패시턴스가 매칭된 유수분 측정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검출된 피부의 유수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유수분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 검출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유수분 측정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피부의 유수분을 검출하는 유수분 측정 장치.
  10. 삭제
KR1020150018714A 2015-02-06 2015-02-06 유수분 측정 장치 Active KR10172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14A KR101729974B1 (ko) 2015-02-06 2015-02-06 유수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14A KR101729974B1 (ko) 2015-02-06 2015-02-06 유수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35A KR20160097435A (ko) 2016-08-18
KR101729974B1 true KR101729974B1 (ko) 2017-04-26

Family

ID=5687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714A Active KR101729974B1 (ko) 2015-02-06 2015-02-06 유수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796B1 (ko) * 2018-11-25 2021-11-22 곽병재 건축 구조물 내의 수분 함량 측정 장치 및 수분 함량 측정 리더기
KR102304806B1 (ko) * 2019-10-21 2021-09-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응성 표시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903B1 (ko) * 2002-07-25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부의 국부적인 영역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시스템및 이에 이용되는 임피던스 측정 전극
JP2005312927A (ja) * 2004-04-01 2005-11-10 Nippon System Kenkyusho:Kk 表面性状の同時測定用プローブ、これを用いた表面性状の同時測定方法及び装置
KR101440494B1 (ko) * 2013-05-08 2014-09-17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센서 및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903B1 (ko) * 2002-07-25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부의 국부적인 영역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시스템및 이에 이용되는 임피던스 측정 전극
JP2005312927A (ja) * 2004-04-01 2005-11-10 Nippon System Kenkyusho:Kk 表面性状の同時測定用プローブ、これを用いた表面性状の同時測定方法及び装置
KR101440494B1 (ko) * 2013-05-08 2014-09-17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센서 및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35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00331A (en) Gaging device including a probe having a plurality of concentric and coextensive electrodes
CN108072783B (zh) 使用参考信号的非接触式电压测量系统
US8931340B2 (en) Contactless filling level measurement of liquids
KR102037954B1 (ko) 대상의 컨덕턴스를 결정하는 시스템, 컨트롤러 및 방법
US10527605B2 (en) Blood condition analyzing device, blood condition analyzing system, and blood condition analyzing program
JP2018116044A (ja) 複数のコンデンサを使用する非接触電圧測定システム
JP7219668B2 (ja) 非接触電圧測定装置のためのマルチセンサスキャナ構成
KR101729974B1 (ko) 유수분 측정 장치
RU17077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экран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излучений
CN103688191A (zh) 搜索设备
AU2013209704B2 (en) Low-conductivity contacting-type conductivity measurement
Xu et al. Loss current studies of partial discharge activity
US20110316563A1 (en) Capacitance Measurement Validation for Biomass Measurement Instruments
CN105116015A (zh) 一种蔬果离子浓度的检测方法及装置
JP5917583B2 (ja) インピーダンス測定方法、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Tawie et al. Low-cost impedance approach using AD5933 for sensing and monitoring applications
RU2685579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влажност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Abd Djawad et al. Lock-in amplifier as a sensitive instrument for biomedical measurement: analysis and implementation
CN203838249U (zh) 一种用于西红柿介电特性测量的无损检测装置
CN103604995B (zh) 一种用于液体阻抗测量的电极极化修正方法
WO2020131514A3 (en) Hematocrit and liquid level sensor
CN204142837U (zh) 便携式在线电阻导率检测仪
Breuel et al. Experiences with novel secondary conductivity sensors within the German calibration service (DKD)
CN209979738U (zh) 阻抗记录器
TWI440863B (zh) Impedance measurement equipment an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