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160B1 -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 Google Patents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9160B1 KR101729160B1 KR1020150101012A KR20150101012A KR101729160B1 KR 101729160 B1 KR101729160 B1 KR 101729160B1 KR 1020150101012 A KR1020150101012 A KR 1020150101012A KR 20150101012 A KR20150101012 A KR 20150101012A KR 101729160 B1 KR101729160 B1 KR 1017291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main duct
- main
- engaging
- connect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메인덕트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 상기 메인덕트의 외측면 및 내측면 일부를 감싸며 상기 결합돌기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덕트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면이 걸려지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덕트에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연결덕트에 끼우는 것을 통해 덕트의 설치 시공이 간단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편리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대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메인덕트와 연결덕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해 연결된 각도의 변경이 용이해져 재작업 등의 유지가 편리하며, 연결부재를 결합돌기에서 빼내는 것을 통해 메인덕트와 연결덕트의 분리가 간편해져 덕트의 해체 작업도 편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connecting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a main duct; A connecting member which surrounds an outer side surface and a part of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duct and is fitted into the coupling projection; And an engaging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duct to engage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main duct to sandwich the main duct to the connecting duct, the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duct is simple, so that an untrained worker can be conveniently connected and installed. Not only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but also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and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can be rotated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of the connecting duct can be easily changed and maintenance of rework etc. is easy. It is easy to disassemble the duct because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덕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덕트와 연견덕트의 조립이 편리한 덕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connect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ct connecting structure in which a main duct and a duct are easily assembled.
일반적인 건축물에는 실내 환기 및 냉난방을 고르게 제공하기 위해 공조 설비가 시공되는데, 이러한 공조 설비의 기초는 덕트 시공이고, 즉, 실내 환기 및 냉난방을 고르게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덕트를 연결 시공하는 공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In general buildings, air conditioning equipment is installed to provide indoor ventilation and heating and cooling equally. The foundation of such air conditioning equipment is duct construction. In other words,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 plurality of ducts in order to provide indoor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formly. Is required.
이와 같은 덕트 시공은 다수의 덕트를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메인덕트의 연결 부위에는 T형, L형, Y형, I형 또는 각도형 등의 다양한 연결덕트를 시공환경에 맞추어 적용하면서 다수의 덕트를 연결 설치하게 된다.This kind of duct construction is to connect a number of ducts. By connecting various ducts such as T-shaped, L-shaped, Y-shaped, I-shaped or angular type to the connection area of the main duct, Connection.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플랜지 성형장치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는 원형 덕트의 양단부를 외주면에 대해서 외측을 향해서 직각으로 각각 일체적으로 절곡한 원형 플랜지와, 덕트 내부의 액체 또는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원형 플랜지 사이에 배설된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의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해서 서로 대칭되게 상기 원형 덕트의 외주면과 상기 원형 플랜지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내측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링 플랜지와, 상기 원형 플랜지를 압압하여 상기 가스켓을 기밀하게 압압하도록 상기 링 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을 각각 관통해서 다수의 너트와 결합하는 다수의 체결볼트로 구성된 원형덕트의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ircular flange in which both end portions of a circular duct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lange forming device are integrally bent at right angles to the outer peripheral face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face and a circular flange in which a liquid or gas in the duct is leaked to the outside A ring flange bent in an inner "b" shape and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duct and the outer side of the circular flang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gasket,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ring flange so as to press the circular flange hermetically to press the gasket hermetically and to couple the plurality of nuts with each other.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의 덕트는 대부분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져 연결덕트와 연결하기 위해선 메인덕트와 연결덕트를 용접하거나 다수의 나사 또는 볼트를 통해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설치 시공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대됨은 물론 작업시간도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최초 설치 작업 후에 메인덕트와 연결덕트가 연결된 각도의 변경이 어려워 재작업 등의 유지가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메인덕트와 연결덕트의 분리가 불가능해 덕트의 해체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duc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1 is mostly made of stainless steel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duct,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must be welded or fixed with a plurality of screws or bolts,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worker's fatigue is increased but also the working time is long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angle of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after the first installation work,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can not be separated, and the disassembling operation of the duct is troublesom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덕트의 설치 시공이 간단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편리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대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이 절감되도록 하고, 메인덕트와 연결덕트가 연결된 각도의 변경이 용이해 재작업 등의 유지가 편리할 수 있도록 하며, 메인덕트와 연결덕트의 분리가 간편해 덕트의 해체 작업도 편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덕트의 연결구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all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 duct, which can simplify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of a duct, It is easy to change the angle between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so that maintenance of rework etc. can be convenient. Also it is easy to disassemble the duct due to the easy separation of main duct and connecting duct. And to provide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uct to allow the duct to be connect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덕트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 상기 메인덕트의 외측면 및 내측면 일부를 감싸며 상기 결합돌기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덕트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면이 걸려지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의 연결구조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a main duct; A connecting member which surrounds an outer side surface and a part of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duct and is fitted into the coupling projection; And a hooking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duct to hook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끼움홈; 상측면 단부에 외측으로 휘어지며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편; 및 하측면 단부에 외측으로 휘어지며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fitt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fitted into the coupling projection; A guide piece formed to be bent outward at an upper side end portion and guiding the coupl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jection; And an engaging piece formed to be bent outward at a lower side end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그리고, 상기 걸림홈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면은 직선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타측면은 곡선을 이루며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latching groove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the other side surface is curved and rounded.
또한, 상기 연결덕트는 외측면을 따라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의 타측단이 걸림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is protruded along the outer side surface so that the other side end of the main duct is hooked.
더불어,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면 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려져 연결되되, 상기 메인덕트 및 연결덕트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s hooked on the engaging groove, and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are rotatable in a connected state.
게다가, 상기 결합돌기는, 펜치의 헤드부분 내측에 상기 메인덕트가 위치되어 상기 펜치의 헤드부분이 서로 맞물려져 상기 메인덕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펜치의 헤드부분은 한 쌍의 집게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상기 집게 중 일측의 집게 선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의 집게 선단부에는 상기 펜치의 헤드부분이 서로 맞물려졌을 때 상기 가압돌기가 내측에 수용되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를 상기 가압돌기와 가압홈 사이에 위치시켜 한 쌍의 상기 집게를 오므려 상기 메인덕트의 일부가 절단되면서 외측면 상에 상기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main duct is positioned inside the head portion of the pliers so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pliers is engaged with each other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duct, and the head portion of the pliers is formed of a pair of pliers A pressing projection having a shape match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is protruded from a tip end of one of the pair of the clamps and a press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clamp when the head portion of the pliers is engaged with each other, The main duct is located between the pressing protrusions and the pressing grooves and a pair of the clamps are disengaged so that a part of the main duct is cut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are protruded on the outer side, Feature.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덕트에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연결덕트에 끼우는 것을 통해 덕트의 설치 시공이 간단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편리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대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메인덕트와 연결덕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해 연결된 각도의 변경이 용이해져 재작업 등의 유지가 편리하며, 연결부재를 결합돌기에서 빼내는 것을 통해 메인덕트와 연결덕트의 분리가 간편해져 덕트의 해체 작업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coupled to the main duct to sandwich the main duct to the connecting duct, the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duct is simple, so that an untrained worker can be easily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re is no fear that the worker's fatigue will increase Not only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but also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and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can be rotated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ngle of the connecting duct can be easily changed and maintenance of rework etc. is easy. It is easy to disassemble the duct because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구조의 결합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ct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ct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orma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duct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의 조립이 편리한 덕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결합돌기(11), 상기 결합돌기(11)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20) 및 상기 연결덕트(30)에 형성된 걸림홈(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structure of a duct in which a
아울러, 상기 메인덕트(10) 및 연결덕트(30)는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오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결합돌기(11)는 상기 메인덕트(10)의 외측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11)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덕트(10)의 외측면에서 돌출 구성되기 위해, 사전에 제작된 펜치(40)를 이용해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치(4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펜치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펜치(40)의 헤드부분을 이루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맞물리는 집게의 선단부에 상기 결합돌기(11)와 일치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압돌기(41) 및 가압홈(42)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이때, 상기 가압돌기(41)는 한 쌍의 집게 중 일측의 집게 선단부에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1)와 일치하는 형상을 갖으며 돌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가압홈(42)은 한 쌍의 집게 중 타측의 집게 선단부에 구성되고, 한 쌍의 집게가 서로 맞물렸을 때, 상기 가압돌기(41)가 상기 가압홈(4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When the pair of clamp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이러한 상기 가압돌기(41) 및 가압홈(42)을 통해, 상기 메인덕트(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돌기(11)를 형성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압돌기(41) 및 가압홈(42) 사이에 상기 메인덕트(10)의 타측 단부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펜치(40)의 손잡이부에 힘을 가하여 한 쌍의 집게를 오므린다.When the
즉, 상기 메인덕트(10)의 타측 단부를 상기 가압돌기(41)와 가압홈(42)의 사이에 위치시키되, 상기 가압돌기(41)는 상기 메인덕트(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가압홈(42)은 상기 메인덕트(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한 쌍의 집게를 오므림으로써, 상기 가압돌기(41)가 상기 메인덕트(1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덕트(10)의 타측 단부 일부가 절단되면서 외측면 상에 상기 결합돌기(11)가 돌출 형성되게 된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결합돌기(11)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덕트(10)의 외측면 및 내측면 일부를 감싸며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1)에 끼워지는 끼움홈(21)과, 상측면 일측 단부에 외측으로 휘어지며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0)가 상기 결합돌기(1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편(22)과, 하측면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휘어지며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1)에 걸림되는 걸림편(23)으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는 판스프링 등의 자체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연결부재(20)가 상기 메인덕트(10)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면이 외측으로 어느 정도 유동되어 상기 결합돌기(11)의 상측면을 타고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끼움홈(21)이 상기 결합돌기(11)에 용이하게 끼워지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부재(20)의 끼움 결합시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면이 외측으로 어느 정도 유동됨으로써 외측으로 휘어진 상기 가이드편(22)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20)의 끼움 결합을 가이드 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결합돌기(11)가 상기 끼움홈(21)에 끼워지되, 상기 끼움홈(21)의 일측 단부가 상기 결합돌기(11)의 일측 단부에 끼워 걸려진 상태가 상기 연결부재(20)의 복원력을 통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더불어,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의 연결시 상기 메인덕트(10)의 내측면이 상기 연결덕트(30)의 외측면을 감싸며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덕트(30)를 일측으로 끼우되, 상기 연결부재(20)의 걸림편(23)이 상기 연결덕트(30)의 외측면으로부터 가압되다가 상기 걸림홈(31)에 걸려졌을 때, 복원력을 통해 상기 걸림홈(31)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홈(31)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가 연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상기 걸림홈(31)은 상기 연결덕트(30)의 외측면을 따라 오목한 형상을 갖으며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10) 및 연결덕트(30)의 연결시 상기 연결부재(20)의 걸림편(23)이 걸려지게 된다.The
여기서, 상기 걸림홈(31)은 상기 연결덕트(30)의 외측면을 따라 오목한 형상을 갖으며 형성되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면은 직선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타측면은 곡선을 이루며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를 통해, 상기 걸림홈(31)에 걸려진 상기 걸림편(23)이 일측으로 이탈할 염려가 없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가 연결된 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re is no fear that the
아울러,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는 서로 결합 및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31) 내측에 안착된 상기 걸림편(23)이 상기 걸림홈(31)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통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e
이에 따라, 덕트의 설치 시공 중이나 설치 후에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가 연결된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해짐으로써, 상기 메인덕트(10) 및 연결덕트(30)가 연결된 각도의 변경이 용이해져 덕트 설치작업의 재작업 등 유지가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30)는 그 단면이 T형, L형, Y형, I형 또는 다각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연결덕트(30)는 외측면을 따라 볼록한 형상을 갖으며 스토퍼(3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의 연결시 상기 메인덕트(10)의 타측단이 걸림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의 연결 및 결합이 완료되었음을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가 연결되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어 상기 메인덕트(10) 및 연결덕트(30)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한편, 서로 연결된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핀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끼움홈(21)의 일측 단부를 일측으로 밀거나, 상기 가이드편(22)을 상측으로 밀어 상기 연결부재(20)를 상기 결합돌기(11)로부터 빼내는 것을 통해 상기 메인덕트(10)와 연결덕트(30)의 분리가 간편해져 덕트의 해체 작업도 편리해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연결구조는 메인덕트에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연결덕트에 끼우는 것을 통해 덕트의 설치 시공이 간단해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편리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대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메인덕트와 연결덕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해 연결된 각도의 변경이 용이해져 재작업 등의 유지가 편리하며, 연결부재를 결합돌기에서 빼내는 것을 통해 메인덕트와 연결덕트의 분리가 간편해져 덕트의 해체 작업도 편리한 것이다.As a resul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of ducts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to the main duct and sandwiching the connecting ducts to the main duct, so that unskilled operators can be easily connected and installed. The op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can be rotated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emoving the connecting member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thereby facilitating the disassembling operation of the duct.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ything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hieving the same operational effec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메인덕트 11 : 결합돌기
20 : 연결부재 21 : 끼움홈
22 : 가이드편 23 : 걸림편
30 : 연결덕트 31 : 걸림홈
32 : 스토퍼 40 : 펜치
41 : 가압돌기 42 : 가압홈10: main duct 11: engaging projection
20: connecting member 21: fitting groove
22: guide piece 23:
30: connecting duct 31: latching groove
32: stopper 40: pliers
41: pressing projection 42:
Claims (6)
상기 결합돌기는, 펜치의 헤드부분 내측에 상기 메인덕트가 위치되어 상기 펜치의 헤드부분이 서로 맞물려져 상기 메인덕트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펜치의 헤드부분은 한 쌍의 집게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상기 집게 중 일측의 집게 선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의 집게 선단부에는 상기 펜치의 헤드부분이 서로 맞물려졌을 때 상기 가압돌기가 내측에 수용되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를 상기 가압돌기와 가압홈 사이에 위치시켜 한 쌍의 상기 집게를 오므려 상기 메인덕트의 일부가 절단되면서 외측면 상에 상기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과, 상측면 단부에 외측으로 휘어지며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끼움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편 및 하측면 단부에 외측으로 휘어지며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홈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면은 직선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타측면은 곡선을 이루며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려진 상기 걸림편이 일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덕트는 외측면을 따라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의 타측단이 걸림되는 덕트의 연결구조.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duct; A connecting member which surrounds an outer side surface and a part of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duct and into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s are fitted; And a latching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duct to engage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such that the main duct is positioned inside the head portion of the pliers so that the head portions of the plie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duct, A pressing projection having a shape matching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is protruded from a tip end of one of the pair of the clamps and a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tip end of the other clamping piece when the head portion of the pliers is engaged with each other, The main duct is positioned between the pressing projections and the pressing grooves so that a pair of the clamps are pinched and a part of the main duct is cut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duct,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fitt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a guide piece formed to be bent outward at the upper side end portion and guiding the fitting of the fitting protrusion, and bent outward at a lower side end portion And an engaging piece formed to engage with the engaging groove,
Wherein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with a straight line formed on one side thereof with a central portion as a center, the other side of the engaging groove is curved and rounded, the engaging groove is prevented from detaching from the one side,
Wherein the connecting duct is formed with a stopper protruding along an outer surface thereof to hook the other end of the main duct.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면 단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려져 연결되되,
상기 메인덕트 및 연결덕트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연결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sid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Wherein the main duct and the connecting duct are rotatable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012A KR101729160B1 (en) | 2015-07-16 | 2015-07-16 |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012A KR101729160B1 (en) | 2015-07-16 | 2015-07-16 |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9259A KR20170009259A (en) | 2017-01-25 |
KR101729160B1 true KR101729160B1 (en) | 2017-04-21 |
Family
ID=5799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1012A Active KR101729160B1 (en) | 2015-07-16 | 2015-07-16 |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9160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8070A (en) * | 1998-11-25 | 2000-08-08 | Victor Co Of Japan Ltd | Tool for opening hole |
KR100877141B1 (en) * | 2008-08-12 | 2009-01-07 | 구본춘 | Ventilation duct connector made of synthetic resin |
JP2009293732A (en) * | 2008-06-06 | 2009-12-17 | Tokyo Forming Kk | Pipe slipping-out preventiv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9949B1 (en) | 2007-09-07 | 2008-04-08 |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 Connection method of circular duct and its connection structure |
-
2015
- 2015-07-16 KR KR1020150101012A patent/KR10172916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8070A (en) * | 1998-11-25 | 2000-08-08 | Victor Co Of Japan Ltd | Tool for opening hole |
JP2009293732A (en) * | 2008-06-06 | 2009-12-17 | Tokyo Forming Kk | Pipe slipping-out preventive device |
KR100877141B1 (en) * | 2008-08-12 | 2009-01-07 | 구본춘 | Ventilation duct connector made of synthetic res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9259A (en) | 2017-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3654B1 (en) | Reducer Fixing Device for Fire Fighting | |
KR101615170B1 (en) | Live-Wire Clamps | |
RU2684652C2 (en) | External positioning process and instrument process | |
US7775771B2 (en) | Quick assembly blade for a ceiling fan | |
KR20180121955A (en) | Profile clamp | |
KR101604111B1 (en) | Apparment Heating Pipe Retaining Clip | |
KR101729160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 |
KR101475375B1 (en) | pressing sleeve devices for connecting opposite ends of two pipes | |
KR101954491B1 (en) | Apparatus for checking looseness of fastner in flange | |
CN201843327U (en) | Scaffold connecting piece | |
TW202503197A (en) | Connector | |
KR101645922B1 (en) | Pipe Hanger | |
KR200485251Y1 (en) | Pipe connecting device | |
KR20200137094A (en) | Pipe coupling easy installed | |
KR101618639B1 (en) | A service valve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 |
CN219062760U (en) | Pipe joint member for quick-assembling and disassembling pipe joint and pipe joint quick-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ssembly | |
CN112879698A (en) | Connec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same | |
CN112576846A (en) | Accessory device and maintenance valve comprising same | |
CN215909406U (en) | Connecting pipe assembly, drainage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JP7281362B2 (en) | connecting member | |
KR101668563B1 (en) | Apparatu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f Ball-Socket typed Surpension Insulator | |
US20170356584A1 (en) | Grooved-End Rubber Expansion Joint with 4-Way Compression Grooved Coupling | |
CN214947188U (en) | Connecting pipe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KR101774762B1 (en) | Anchor Bolts Bind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 |
KR101526980B1 (en) | The fixing clamp for a fit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