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873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730B1
KR101728730B1 KR1020150134690A KR20150134690A KR101728730B1 KR 101728730 B1 KR101728730 B1 KR 101728730B1 KR 1020150134690 A KR1020150134690 A KR 1020150134690A KR 20150134690 A KR20150134690 A KR 20150134690A KR 101728730 B1 KR101728730 B1 KR 10172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cap panel
cap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600A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730B1/ko
Priority to EP16189832.5A priority patent/EP3147605B1/en
Priority to EP17169214.8A priority patent/EP3228966B1/en
Priority to CN201610849462.XA priority patent/CN106949692B/zh
Priority to US15/274,004 priority patent/US10018218B2/en
Publication of KR2017003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730B1/ko
Priority to US16/029,909 priority patent/US10247224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을 내부에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금속재질로 이뤄지되, 상기 도어의 전면과 측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에서 밴딩되는 밴딩부와; 금속재질로 이뤄지되, 상기 밴딩부의 일면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는 캡패널과;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캡패널에 구비된 리세스와; 상기 밴딩부의 타면을 압박하고, 상기 캡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부는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가압되며, 상기 캡패널은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금속으로 이뤄진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를 저장실에 공급하여 저장물을 저온 상태에서 보관하는 장치로, 저장실은 냉장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냉장실과 냉동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냉동실로 구비된다.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닛에 구비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최근 들어서, 소비자는 메탈(금속) 소재의 외관 또는 질감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메탈 소재의 외관 또는 질감을 가지는 가전제품이 고급스러워 보이고, 심플한 디자인을 주로 이루며, 위생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켜주기 금속 소재의 외관 또는 질감을 적용한 냉장고를 공급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특히, 냉장고에 구비되는 도어를 금속 소재의 외관 또는 질감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더 나나가, 메탈 소재를 냉장고의 외관에 사용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냉장고에 금속 재질로 도어를 적용할 때 도어의 핸들까지 금속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제작 공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 냉장고에 적용되던 손잡이는 사출성형을 통해서 생산되어 복잡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였으나,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구현하는 것은 금속 소재의 가공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포켓 타입의 손잡이를 가지는 도어를 금속 외관 및 질감을 가진 것처럼 플라스틱으로 사출된 도어에 도금이나 증착을 통해서 구현하고 있었지만,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으며, 실제 금속 소재의 도어가 아니므로 진짜 금속의 외관 및 질감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고급감을 주기 위하여 금속 소재의 외관 또는 질감을 가지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 및 도어에 구비된 포켓 타입의 손잡이를 포함한 냉장고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프리미엄 내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및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를 금속재질로 구비함에 가공 및 조립의 어려움을 해소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플라스틱으로 사출되어 금속 도금한 도어 및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가 가지는 표면경도의 약함을 보완한 도어 및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실을 내부에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금속재질로 이뤄지되, 상기 도어의 전면과 측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에서 밴딩되는 밴딩부와; 금속재질로 이뤄지되, 상기 밴딩부의 일면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는 캡패널과;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캡패널에 구비된 리세스와; 상기 밴딩부의 타면을 압박하고, 상기 캡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부는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가압되며, 상기 캡패널은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밴딩부를 압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압박부는 다수개의 리브로 구비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패널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밴딩부는 상기 도어패널의 전면에서 밴딩되는 제3밴딩부와, 상기 도어패널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밴딩부와; 상기 도어패널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구비되는 제2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패널은 상기 제3밴딩부와 상기 제1밴딩부에 지지되는 제1캡패널와; 상기 제2밴딩부에 지지되는 제2캡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캡패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도어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캡패널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캡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오목하게 구비된 고정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캡패널이 상기 도어패널의 내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된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노출된 상기 캡패널은 상기 도어패널에 구비되는 발포제에 접합되어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캡패널의 후면에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도어패널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포제에 접착하는 상기 캡패널의 표면적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캡패널은 다이캐스팅 금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캡패널은 프레스 금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에서 연장되어 캡패널의 절단면을 감싸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캡패널은 압출성형의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캡패널의 후면에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고정리브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고정홈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고급감을 주기 위하여 금속 소재의 외관 또는 질감을 가지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 및 도어에 구비된 포켓 타입의 손잡이를 포함한 냉장고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프리미엄 내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및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를 금속재질로 구비함에 가공 및 조립의 어려움을 해소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플라스틱으로 사출되어 금속 도금한 도어 및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가 가지는 표면경도의 약함을 보완한 도어 및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냉장고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냉장고에 포함된 도어의 전면 사시도 이다.
도 3은 냉장고에 포함되며, 도어의 이너케이스가 결합된 후의 도어의 후면 사시도 이다.
도 4는 냉장고에 포함되며, 도어 이너케이스가 결합되기 전의 도어의 후면 사시도 이다.
도 5는 상기 도어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6은 상기 도어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도 7은 도 6에서 캡패널과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 것 이다..
도 8은 상기 도어의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9는 상기 도어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도 10은 상기 도어의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1(a)는 도 10인 상기 도어의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에서 우측 확대도 이다.
도 11(b)는 도 11(a)에서 각 구성의 결합된 상태도 이다.
도 12(a)는 도 10인 상기 도어의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에서 좌측 확대도 이다.
도 12(b)는 도 12(a)에서 각 구성의 결합된 상태도 이다.
도 13은 상기 도어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참조하면, X축의 양의 방향을 전방, X축의 음의 방향을 후방, Y축의 양의 방향을 상방 또는 상측, Y축의 음의 방향을 하방 또는 하측, Z축의 양의 방향을 좌방 또는 좌측, Z축의 음의 방향을 우방 또는 우측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 냉장고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냉장고에 포함된 도어의 전면 사시도 이다. 도 3은 냉장고에 포함되며, 도어의 이너케이스가 결합된 후의 도어의 후면 사시도 이다. 도 4는 냉장고에 포함되며, 도어 이너케이스가 결합되기 전의 도어의 후면 사시도 이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내부에 구비한 캐비닛(1)과 상기 저장실(미도시)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캐비닛(1)은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뤄지지만 본 발명의 냉장고의 외형이 정육면체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비닛(1)은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미도시)로 이뤄지면, 아우터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미도시) 사이에 단열재를 채워넣어 저장실(미도시) 내부의 냉기가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저장실(미도시)은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며, 자세히는 이너 케이스(미도시)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저장실(미도시)은 영하로 유지되는 냉동실(미도시)와 영상으로 유지되는 냉장실(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동실은 캐비닛(1)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며, 냉장실은 냉동실의 상측, 캐비닛(1)의 상측 내부에 구비된다.
저장실(미도시)은 외부와 연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외부와 연통된 저장실(미도시)은 도어(2)에 의해 개폐된다. 즉, 냉동실과 냉장실은 도어(2)에 의해 개폐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어에 관한 설명은 냉동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동실를 개폐하는 도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2)는 캐비닛(1)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자세히는 도어(2)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축(21)에 연결된 힌지(미도시)가 캐비닛(1)의 일측에 고정된다.
도어(2)는 금속재질로 이뤄지되, 도어(2)의 전면과 측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3)과, 상기 도어패널(3)에서 밴딩되는 밴딩부(4)와, 금속재질로 이뤄지되, 상기 밴딩부(4)의 일면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2)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는 캡패널(5)과,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캡패널(5)에 구비되는 리세스(6)를 포함한다.
도어패널(3)은 도어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도어패널(31)과 전면도어패널(31)에 연장되어 후방으로 밴딩된 측면도어패널(33)을 포함한다. 측면도어패널(33)은 전면도어패널(31)의 양측에 구비된다. 도어패널(3)이 단면은 'ㄷ' 자 형상으로 이뤄진다. 이 경우, 도어패널(3)은 상측과 하측 그리고 후면이 개방되어 구비된다.
도어패널(3)을 제작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작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패널(3)은 형상이 단순하고 제작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프레스 금형(press die) 방법으로 금속 판재를 성형하여 제작한다. 다만, 도어패널(3)은 다른 금형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
캡패널(5)은 도어(2)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캡패널(5)은 도어패널(3)의 상측 또는 하측이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구비된다.
도어패널(3)의 상측에 캡패널(5)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손잡이가 도어의 상측에 구비된 경우이고, 도어패널(3)의 하측에 캡패널(5)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손잡이가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는 경우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캡패널(5)이 도어패널(3)의 상측에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물론, 캡패널(5)이 도어패널(3)의 하측에 구비되는 경우도 이하 설명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는 도어(2)의 하면 또는 상면을 형성하는 보조캡패널(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캡패널(5)이 도어패널(3)의 상측 또는 하측을 덮는 경우에 캡패널(5)이 덮지 않는 도어패널(3)의 하측 또는 상측에 보조캡패널(59)이 덮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냉장고는 도어(2)의 후면에 구비된 도어 이너케이스(I)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이너케이스(I)는 도어(2)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I1)와, 함몰부(I1)의 측면에 구비된 도어 바스켓(미도시)이 거치되는 거치부(I3)를 포함한다.
도어패널(3)의 상측과 하측에 캡패널(5)과 보조캡패널(59)이 설치되고, 후면에 도어 이너케이스(I)가 설치되면, 도어패널(3)과 도어 이너케이스(I) 사이에 공간에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단열재를 충진한다. 따라서, 저장실(미도시) 내부의 냉기가 도어(2)를 통해서 외부와 열교환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도어의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6은 상기 도어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도어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밴딩부(4)는 도어패널(3)에서 밴딩된다. 자세히는 밴딩부(4)는 도어패널(3)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다. 도 5의 경우는 도어패널(3)의 상측에 밴딩부(4)가 구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밴딩부(4)는 측면도어패널(33)의 상측에서 밴딩되되,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제1밴딩부(41)와, 수평하게 구비된 제2밴딩부(43) 전방도어패널(3)에서 밴딩된 제2밴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밴딩부(41)와 제2밴딩부(43)는 측면도어패널(33)로부터 수직하게 밴딩될 수 있다.
또한, 밴딩부(4)는 전면도어패널(31)의 상측에서 밴딩된 제3밴딩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밴딩부(45)와 전면도어패널(31)이 이루는 사이각은 제1밴딩부(41)가 경사진 각도와 동일하게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밴딩부(41)와 전면도어패널(31)의 법선이 이루는 각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패널(5)은 상기 도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어패널(3)의 상측 또는 하측에 고정되어야 한다.
캡패널(5)은 상기 밴딩부(4)의 일면(또는 외면, 또는 상면)에 지지된다. 캡패널(5)은 도어패널(3)의 상측 또는 하측의 개방된 면보다 작은 넓이로 구비된다. 캡패널(5)는 전면도어패널(31)과 양측의 측면도어패널(33)에 의해 형성된 상측 또는 하측의 개방된 면보다 작은 넓이의 면적을 가지되, 도어패널(3)로부터 도어 내측으로 돌출된 밴딩부(4)에 의해 지지된다.
캡패널(5)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제1캡패널(51)과 수평하게 구비된 제2캡패널(5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캡패널(51)의 경사면이 전방을 향한다. 제2캡패널(53)은 제1캡패널(51)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밴딩되어 구비된다.
제1캡패널(51)은 제1밴딩부(41)와 동일한 각도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1캡패널(51)은 제1밴딩부(41)와 제3밴딩부(45)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1밴딩부(41)와 제3밴딩부(45)에 의해 지지된다.
제2캡패널(53)은 제2밴딩부(43)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2밴딩부(43)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캡패널(5)은 제2캡패널(53)의 끝단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경사진 제3캡패널(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캡패널(55)은 도어패널(3)의 후면을 덮는다.
종합하자면, 제2캡패널(53)은 제2밴딩부(43)에 의해 지지되고, 제1캡패널(51)은 제1밴딩부(41) 및 제3밴딩부(45)에 의해 지지되고, 제3캡패널(55)은 도어패널(3)의 후면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캡패널(5)이 도어패널(3)에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에 구비된 리세스(6)는 캡패널(5)에 구비되어 도어(2)를 열고 닫을 때 손잡이 역할을 한다.
리세스(6)는 캡패널(5)에서 오목하게 함몰된다. 리세스(6)는 제1캡패널(51)에 구비된다. 리세스(6)는 도어(2)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오목하게 구비된다.
리세스(6)는 손가락 정도의 깊이의 홈을 가지며, 홈은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리세스(6)는 일측이 개구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된 부분은 양문도어의 중심을 향한 리세스(6)의 일측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밴딩부(4)의 타면을 압박하고, 상기 캡패널(5)에 고정되는 고정부재(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7)는 도어(2)의 내부(또는 도어패널(3)의 내부)에 구비된다.
고정부재(7)는 무게가 가볍고 복잡한 형상도 구현하기 쉬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금형(Injection Mould) 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사출금형이란 고분자 재료를 가열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에서 강한 압력을 가하여 코어(core)와 캐비티(cavity) 사이의 빈공간에 주입 냉장시켜 성형품을 만드는 금형을 말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고정부재(7)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는 ABS 수지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7)의 상면은 캡패널(5)의 내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7)는 제1캡패널(51)에 상응하는 경사면(71), 제1캡패널(51)에 구비된 리세스(6)의 형상에 대응하는 리세스 삽입부(73), 제2캡패널(53)의 수평면에 대응하는 수평면(75)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 삽입부(73)는 고정부재(7)의 경사면(71)에 구비된다. 리세스 삽입부(73)의 전방 또는 측방에는 후술할 압박부(77)와 지지대(79)가 구비될 수 있다.
리세스 삽입부(73)의 후방에는 고정부재(7)의 수평면(75)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7)의 측면 도어패널(3)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도어패널(3)의 내주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고정부재(7)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7)는 밴딩부(4)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캡패널(5)을 도어패널(3)에 고정하기 위하여 밴딩부(4)의 타면(또는 하면)을 압박하는 압박부(77)를 포함한다.
따라서, 밴딩부(4)는 캡패널(5)과 압박부(77)사이에서 눌려진다. 환언하면, 캡패널(5)은 밴딩부(4)의 상면에 놓이고, 압박부(77)가 밴딩부(4)의 하면을 눌러서 캡패널(5)을 도어패널(3)에 고정한다.
압박부(77)는 캡패널(5)과 함께 도어패널(3)에 구비된 밴딩부(4)(제1밴딩부(41), 제2밴딩부(43), 제3밴딩부(45) 중 적어도 하나)를 압박하기 위하여 밴딩부(4)의 안쪽면(또는 후면)의 일부분 또는 밴딩부(4)의 안쪽면(또는 후면)의 전부분을 압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에 구비될 수 있다.
압박부(77)는 고정부재(7)의 둘레에 구비되어 밴딩부(4)를 아래에서 압박한다.
고정부재(7)에 구비된 압박부(77)는 다수개의 리브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7)의 강도를 보강하고, 리브와 리브 사이에 빈 공간을 두어 고정부재(7)의 무게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리브와 리브 사이로 발포제가 채워져 도어패널(3)과 고정부재(7)를 접합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7)는 상기 도어패널(3)의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대(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패널(3)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재(7)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대(79)는 전면도어패널(31)의 내면뿐만 아니라 측면도어패널(33)의 내면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지지대(79)는 고정부재(7)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도어패널(3)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수직한 단면을 가진다.
지지대(79)는 고정부재(7)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79)는 압박부(77)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캡패널(5)과 고정부재(7)를 고정하기 위하여, 캡패널(5)의 후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501)와 상기 고정돌기(50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오목하게 구비된 고정삽입부(7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501)는 리세스(6)가 구비된 캡패널(5)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삽입부(701)도 리세스(6)가 삽입되는 고정부재(7)의 리세스 삽입부(7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기(501)는 내부에 나사산(미도시)을 내주면에 구비하고 있는 중공(503)과, 상기 중공과 도어패널(3)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고정삽입부(701)에 구비된 스크류 체결홀(7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크류 체결홀(703)로 나사를 넣고 돌리면, 고정돌기(501)의 중공(503)의 나사산에 체결되어 캡패널(5)과 고정부재(7)가 단단하게 고정되며, 캡패널(5)과 고정부재(7) 사이에 밴딩부(4)가 고정된다.
도 7은 도 6에서 캡패널과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 것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캡패널(5)과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캡패널(5)이 도어패널(3)의 내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7)에 구비된 관통홀(7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패널(3)의 내부에 발포제가 충진되어 부풀어 오를 때 상기 관통홀(705)을 통해서 노출된 캡패널(5)은 발포제에 접합되어고정부재(7)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 도어패널(3) 내부에서 부풀어 오르는 발포압력에 의해 고정부재는 상측으로 밴딩부(4)를 압박하며, 관통홀(705)을 통해 노출된 캡패널(5)은 발포제에 의해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캡패널(5)의 후면에 돌출되는 고정돌기(50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고정돌기(501)는 상기 관통홀(705)을 통해서 도어패널(3)의 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발포제에 접착하는 캡패널(5)의 표면적으로 넓힐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캡패널(5)과 고정부재(7)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예로는 상기 고정돌기(501)의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홀(705)을 통해서 도어패널(3)의 내부에 노출된 고정돌기(501)의 외주면에 볼트(미도시)와 같은 부재를 체결하여 캡패널(5)과 고정부재(7)를 단단하게 고정하고, 그 사이에 밴딩부(4)를 고정할 수 있다.
캡패널(5)과 고정부재(7)를 고정하기 위한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캡패널(5)과 고정부재(7)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를 구비하여 캡패널(5)과 고정부재(7)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의 제1실시예에 구비된 캡패널(5)은 다이캐스팅 금형(Die casting Mould)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이캐스팅 금형이란 저용융 금속 등을 정밀한 형상의 금형에 고압으로 주입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사출금형(Injection Mould)와 유사하나, 금속 제품을 만들기에 적합하다. 저용융 금속의 예로는 Al, Zn, Mg 또는 이들의 합금이 있다.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의 제1실시예에 구비된 캡패널(5)은 알루미늄(Al)을 다이캐스팅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는 도 5 내지 도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패널(5)에 구비된 리세스(6)의 일측이 막혀 있거나, 캡패널(5)의 후면에 고정돌기(501)를 구비하는 경우와 같이 복잡한 형상의 금형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도 8은 상기 도어의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9는 상기 도어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술한 도어의 제1실시예의 설명은 동일하게 도어의 제2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차이점만 설명하고, 상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이 우선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제2실시예에서도 캡패널(5)을 포함한다. 도어의 제2실시예에 구비된 캡패널(5)은 프레스 금형(Press Die)으로 제작될 수 있다.
프레스 금형이란 직선 왕복 운동하는 프레스 기계에 금형(Die)이라는 특수 공구를 설치하여 주로 금속 제품을 성형 가공하는 금형을 말한다.
프레스 금형으로 캡패널(5)을 제작하는 경우 복잡한 형상이나 돌기와 같은 구조의 제작이 어렵고, 절단면이 날카롭다는 단점이 있지만,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제작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구비된 도어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우에도 상기 캡패널(5)은 상기 도어패널(3)의 밴딩부(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고정부재(7)(압박부(77))는 도어패널(3)의 내부에서 밴딩부(4)를 가압한다. 따라서, 밴딩부(4)는 캡패널(5)과 고정부재(7)에 사이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또한, 고정부재(7)(지지대(79))는 도어패널(3)의 내면을 지지한다.
또한, 캡패널(5)과 고정부재(7)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재(7)에 관통홀(705)을 구비하여 발포제로 캡패널(5)을 접합하는 방법, 캡패널(5)과 고정부재(7)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구비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캡패널(5)의 절단면을 감싸는 보호부(7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707)는 고정부재(7)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캡패널(5)과 밴딩부(4)에 구비되며, 캡패널(5)의 절단면을 감사도록 단차부(709)를 포함한다. 따라서, 캡패널(5)의 절단면에 의해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소비자의 손이 비이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보호부(707)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어의 제2실시에에 따른 경우에서 설명하였지만, 보호부(707)는 도어의 제1실시예 또는 후술하는 도어의 제3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상기 도어의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1(a)는 도 10인 상기 도어의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에서 우측 확대도 이다. 도 11(b)는 도 11(a)에서 각 구성의 결합된 상태도 이다. 도 12(a)는 도 10인 상기 도어의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에서 좌측 확대도 이다. 도 12(b)는 도 12(a)에서 각 구성의 결합된 상태도 이다. 도 13은 상기 도어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이하에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구비된 도어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상술한 도어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설명은 동일하게 도어의 제3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차이점만 설명하고, 상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이 우선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제3실시예에서도 캡패널(5)을 포함한다.
도어의 제3실시예에 구비된 캡패널(5)은 압출성형의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압출성형이란 금속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실린더에 넣고 스크류 등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다이(Die)로부터 압출하여 성형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떡가래를 뽑는 원리와 유사하다.
압출성형으로 캡패널(5)을 제작하는 경우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이나, 돌기와 같은 형상 등의 복잡한 형상이나 측면이 막힌 구조를 만들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연속적인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제작시간이 가장 짧으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구비된 도어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우에도 상기 캡패널(5)은 상기 도어패널(3)의 밴딩부(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고정부재(7)(압박부(77))는 도어패널(3)의 내부에서 밴딩부(4)를 가압한다. 따라서, 밴딩부(4)는 캡패널(5)과 고정부재(7)에 사이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또한, 고정부재(7)(지지대(79))는 도어패널(3)의 내면을 지지한다. (도 13 참조)
또한, 캡패널(5)과 고정부재(7)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재(7)에 관통홀(705)을 구비하여 발포제로 캡패널(5)을 접합하는 방법, 캡패널(5)과 고정부재(7)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구비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캡패널(5)은 도어의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리세스(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6)는 제1캡패널(51)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구비된다. 리세스(6)의 상측(도어의 손잡이가 도어의 아래에 구비된 경우에는 하측)은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리세스(6)의 우측과 좌측은 개구된 제1개구부(61)와 제2개구부(63)를 각각 구비한다.
이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캡패널(5)은 일방향으로 연속된 형상으로만 제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별도의 공정을 거치기 전에는 일방향으로의 단면이 모두 동일하게 제작된다. 즉, 압출성형에 의한 경우 리세스(6)의 좌우 방향은 개구된 형상을 구비할 수 밖에 없다. 다만, 제1개구부(61)와 제2개구부(63)는 다른 금속 성형 방법에 의한 경우에도 구비될 수 있으므로 압출성형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것으로 한정할 것은 아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개구부(61)를 막기 위한 제4캡패널(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캡패널(56)은 리세스(6)의 제1개구부(6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제4캡패널(56)을 캡패널(5)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4캡패널(56)의 후면에 구비된 보조고정돌기(502)와, 상기 보조고정돌기(50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의 리세스 삽입부(73)에 구비된 보조고정삽입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재(7)의 리세스 삽입부(73)에 캡패널(5)의 리세스(6)가 삽입되고, 제1개구부(61)에 제4캡패널(56)을 덮으면, 제4캡패널(56)의 보조고정돌기(502)가 리세스 삽입부(73)의 보조고정삽입부(702)에 인입된다.
이 경우, 볼트, 나사와 같은 부재로 보조고정삽입부(702)에 구비된 제1보조 체결홀(704)을 관통하여 보조고정돌기(502)의 내부에 구비된 중공에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개구부(63)를 막기 위한 제5캡패널(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캡패널(57)은 제2개구부(63)를 덮을 수 있도록 제2개구부(63)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제5캡패널(57)을 캡패널(5)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5캡패널(57)에 구비된 제5캡패널 체결홀(571)과, 고정부재(7)에 구비된 제2보조 체결홀(70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재(7)의 리세스 삽입부(73)에 캡패널(5)의 리세스(6)가 삽입되고, 제2개구부(63)에 제5캡패널(57)을 덮으면, 제5캡패널(57)의 제5캡패널 체결홀(571)은 고정부재(7)의 제2보조 체결홀(706)을 통해서 도어패널(3)의 내부공간에 연통한다.
이 경우, 볼트, 나와와 같은 부재로 제2보조 체결홀(706)을 통해서 제5캡패널 체결홀(571)에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캡패널(5)의 후면에 도어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볼록하게 돌출된 고정리브(521)와 고정부재(7)의 상부에 도어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오목하게 함몰된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캡패널(5)과 고정부재(7)가 접촉하여 고정될 때, 고정홈(721)에 고정리브(521)가 인입되어, 캡패널(5)과 고정부재(7)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고정리브(521)와 고정홈(721)은 다수개로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521)와 고정부재(7)는 도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 10 내지 도 13에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1) 도어(2)
도어패널(3) 전면도어패널(31)
측면도어패널(33) 밴딩부(4)
제1밴딩부(41) 제2밴딩부(43)
제3밴딩부(45) 캡패널(5)
제1캡패널(51) 제2캡패널(53)
제3캡패널(55) 제4캡패널(56)
제5캡패널(57) 보조캡패널(59)
고정돌기(501) 보조고정돌기(502)
고정리브(521) 리세스(6)
제1개구부(61) 제2개구부(63)
고정부재(7) 경사면(71)
리세스 삽입부(73) 수평면(75)
압박부(77) 지지대(79)
고정삽입부(701) 보조고정삽입부(702)
스크류 체결홀(703) 제1보조 체결홀(704)
관통홀(705) 제2보조 체결홀(706)
보호부(707) 단차부(709)
고정홈(721) 도어 이너케이스(I)

Claims (17)

  1. 저장실을 내부에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금속재질로 이뤄지되, 상기 도어의 전면과 측면을 형성하고, 밴딩부를 포함하는 도어패널과;
    금속재질로 이뤄지되, 상기 밴딩부의 일면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고, 손잡이 역할을 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캡패널과;
    상기 캡패널을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캡패널과 사이에 상기 밴딩부가 가압되도록 상기 캡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밴딩부의 타면을 압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밴딩부를 압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다수개의 리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패널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도어패널의 전면에서 밴딩되는 제3밴딩부와,
    상기 도어패널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밴딩부와;
    상기 도어패널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구비되는 제2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패널은
    상기 제3밴딩부와 상기 제1밴딩부에 지지되는 제1캡패널와;
    상기 제2밴딩부에 지지되는 제2캡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캡패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도어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캡패널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캡패널의 후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오목하게 구비된 고정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캡패널이 상기 도어패널의 내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된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노출된 상기 캡패널은 상기 도어패널에 구비되는 발포제에 접합되어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패널의 후면에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도어패널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포제에 접착하는 상기 캡패널의 표면적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캡패널과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패널은 다이캐스팅 금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패널은 프레스 금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서 연장되어 캡패널의 절단면을 감싸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패널은 압출성형의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패널의 후면에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고정리브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고정홈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134690A 2015-09-23 2015-09-23 냉장고 Active KR10172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690A KR101728730B1 (ko) 2015-09-23 2015-09-23 냉장고
EP16189832.5A EP3147605B1 (en) 2015-09-23 2016-09-21 Refrigerator
EP17169214.8A EP3228966B1 (en) 2015-09-23 2016-09-21 Refrigerator
CN201610849462.XA CN106949692B (zh) 2015-09-23 2016-09-23 冰箱
US15/274,004 US10018218B2 (en) 2015-09-23 2016-09-23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US16/029,909 US10247224B2 (en) 2015-09-23 2018-07-09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690A KR101728730B1 (ko) 2015-09-23 2015-09-2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600A KR20170035600A (ko) 2017-03-31
KR101728730B1 true KR101728730B1 (ko) 2017-04-20

Family

ID=5697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690A Active KR101728730B1 (ko) 2015-09-23 2015-09-23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018218B2 (ko)
EP (2) EP3228966B1 (ko)
KR (1) KR101728730B1 (ko)
CN (1) CN1069496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22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569B1 (ko) * 2015-01-05 2019-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
DE102015221885A1 (de) * 2015-11-06 2017-05-24 BSH Hausgeräte GmbH Tür mit einem Türrahmen und einem Griffmuldenelement sowie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derartigen Tür
DE102015222732A1 (de) 2015-11-18 2017-05-1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Gerätekomponente mit von oben greifbarer Griffmulde
CN107763945B (zh) * 2016-08-19 2021-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冰箱的门以及冰箱
CN113771284B (zh) * 2017-10-05 2023-07-14 惠而浦公司 用于结合在器具内的隔热结构的填充端口
CN108826812A (zh) * 2018-06-28 2018-11-16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用门体
CN111380306B (zh) * 2018-12-28 2022-11-1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冰箱的门以及冰箱
CN111380309A (zh) * 2018-12-29 2020-07-0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冰箱的门以及冰箱
WO2020213861A1 (en) 2019-04-15 2020-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312667B1 (ko) 2019-04-15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D921714S1 (en) * 2019-08-08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D934312S1 (en) * 2019-08-14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21033977A1 (en) 2019-08-20 2021-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D1002676S1 (en) * 2019-08-30 2023-10-24 Dometic Sweden Ab Appliance
CN113124625B (zh) * 2019-12-30 2024-03-0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EP4090898B1 (en) * 2020-01-17 2025-06-25 Electrolux Do Brasil S.A. Endcap assembly for a door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JP7475935B2 (ja) * 2020-04-03 2024-04-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用扉および冷蔵庫
KR20210125379A (ko)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D1032668S1 (en) * 2020-05-04 2024-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4220050B1 (en) 2020-06-17 2025-04-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D967876S1 (en) * 2020-09-18 2022-10-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D967878S1 (en) * 2020-09-18 2022-10-25 Lg Electronics Inc. Door for refrigerator
JP7612458B2 (ja) 2021-03-03 2025-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の扉および冷蔵庫
JP7668653B2 (ja) * 2021-03-05 2025-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の扉および冷蔵庫
JP7598785B2 (ja) 2021-03-05 2024-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の扉および冷蔵庫
US20240035731A1 (en) * 2022-07-29 2024-02-01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Trim attachment system for appliance
US20240210096A1 (en) * 2022-12-22 2024-06-2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appliance
KR20250012343A (ko) * 2023-07-17 2025-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509Y1 (ko) * 1997-04-26 1999-11-01 윤종용 냉장고용 도어
WO2015015355A1 (en) * 2013-07-29 2015-02-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6500B2 (en) * 2005-05-27 2011-02-15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with ratcheting end cap
US8104853B2 (en) * 2006-12-19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DE202007007320U1 (de) * 2007-05-23 2007-07-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KR101528729B1 (ko) * 2008-10-28 2015-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0028414A1 (de) * 2010-04-30 2011-1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aufweisend ein Türblatt mit Griffschale
KR101249496B1 (ko) 2010-07-29 2013-04-0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도어 손잡이
KR101410459B1 (ko) * 2012-05-02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도어의 제조 방법
CN104344659B (zh) * 2013-09-25 2017-01-18 海尔集团公司 冰箱门体活动助力把手装置及门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509Y1 (ko) * 1997-04-26 1999-11-01 윤종용 냉장고용 도어
WO2015015355A1 (en) * 2013-07-29 2015-02-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22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8218B2 (en) 2018-07-10
KR20170035600A (ko) 2017-03-31
US20170082349A1 (en) 2017-03-23
EP3228966A1 (en) 2017-10-11
EP3147605B1 (en) 2018-12-19
CN106949692B (zh) 2019-10-01
US10247224B2 (en) 2019-04-02
EP3147605A1 (en) 2017-03-29
CN106949692A (zh) 2017-07-14
US20180313396A1 (en) 2018-11-01
EP3228966B1 (en)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730B1 (ko) 냉장고
KR101410459B1 (ko) 냉장고 및 그 도어의 제조 방법
US9702614B2 (en) Refrigerator
US9816747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905503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divider support
EP2893274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21676B2 (en) Refrigerator
JP5957169B2 (ja) 冷蔵庫
KR20160148990A (ko) 깊이 조절이 가능한 제빙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8124A (ko) 냉장고
AU2020390925A1 (en) Door bod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090000168U (ko) 냉장고
JP2010060187A (ja) 冷蔵庫
CN201488436U (zh) 一种带有保温隔板的冰箱冷藏室
CN208959332U (zh) 冰箱
KR101728731B1 (ko) 냉장고
CN113418342A (zh) 门体及具有其的冰箱
KR102074784B1 (ko) 냉장고
JP7181578B2 (ja) 冷蔵庫の製造方法
KR20140027442A (ko) 냉장고 및 그 도어의 제조 방법
JP2000097552A (ja) 冷蔵庫
CN211903440U (zh) 冰箱及用于其的容器
KR102195545B1 (ko) 냉장고 도어
JP7569715B2 (ja) 冷蔵庫、および冷蔵庫の製造方法
JP7674862B2 (ja) 冷蔵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