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7302B1 - 연료 효율 향상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효율 향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302B1
KR101727302B1 KR1020160125776A KR20160125776A KR101727302B1 KR 101727302 B1 KR101727302 B1 KR 101727302B1 KR 1020160125776 A KR1020160125776 A KR 1020160125776A KR 20160125776 A KR20160125776 A KR 20160125776A KR 101727302 B1 KR101727302 B1 KR 101727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hole
present
fuel efficiency
ca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자
Original Assignee
임승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자 filed Critical 임승자
Priority to KR102016012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302B1/ko
Priority to EP17856735.0A priority patent/EP3521605A4/en
Priority to PCT/KR2017/010725 priority patent/WO2018062849A1/ko
Priority to CN201780060325.0A priority patent/CN109790803B/zh
Priority to JP2019517300A priority patent/JP2019533112A/ja
Priority to US16/335,715 priority patent/US10859043B2/en
Priority to AU2017337785A priority patent/AU2017337785A1/en
Priority to PH12019500678A priority patent/PH12019500678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2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rotary parts, e.g. fa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4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 F02M29/06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generating whirling motion of mix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15Whirl chambers, e.g. vortex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00Supplying, feeding or preparing air, fuel, fuel air mixtures or auxiliary fluids for a combustion engine; Use of exhaust gas; Compressors for piston engines
    • F02M2700/43Arrangements for supplying air, fuel or auxiliary fluids to a combustion space of mixture compressing engines working with liquid fuel
    • F02M2700/4302Arrangements for supplying air, fuel or auxiliary fluids to a combustion space of mixture compressing engines working with liquid fuel whereby air and fuel are sucked into the mixture conduit
    • F02M2700/4361Mixing chambers
    • Y02T10/1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Nozzles For Spraying Of Liquid Fuel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효율 향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내부 중앙 제1분사공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제1,2회전분쇄구가 조립되고, 일측에 연료유입구가 조립 설치된 제1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고, 중앙에 제2분사공이 형성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고, 타측 배출공쪽에 연료토출구가 조립 설치된 제2케이싱; 및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연료를 분쇄하여 미립화시킨 후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 제2, 제3, 제4유도관과 제1,2회전유도관이 구비된 연료유도수단;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엔진으로 분사되는 각종 연료(예: 가솔린, 경유, 중유, 등유 등등)를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미립화 하여 연료를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효율 향상장치{fuel efficiency lmprov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료 효율 향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으로 분사되는 각종 연료(예: 가솔린, 경유, 중유, 등유 등등)를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미립화 하여 연료를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연료유 등의 유체가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그 물리적 성질이 개선된 상태에서 압축과 점화에 의한 폭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류 전처리를 수행하게 되면 연소효율이 향상되어 연비가 높아짐은 물론 불완전연소에 의한 대기의 오염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종래 기술에서는 유체를 압축 및 팽창시켜 분산되도록 하는 가속봉을 설치하여 연료를 활성화 시키거나 연료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다단으로 적층된 원통형 분산판에 의해 압축 및 팽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료유가 활성화 되도록 하는 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연료탱크의 연료를 가속봉이나 회전가속봉으로 공급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료유의 분산이 원활하지 않았고, 또한, 연료의 연소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첫째, 제1유도관에 유막형성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이는 제1유도관의 수평을 잡아줄 수 없어 결국 연료 미립화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둘째, 제1유도관에 탄성구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이는 제1유도관의 선단이 제2분사공에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지 못해 외곽으로 연료를 보내어 미립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셋째, 연결구에 나선배출홈이 형성되지 않음으로 인해 연료가 가득 차면서 연료분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넷째, 제1,2회전유도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각각 1개로 형성되므로 연료분배가 용이하지 못하고 연료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다섯째, 필요에 따라 연료 효율 향상장치를 복수개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여섯째, 따라서 원활한 연료 공급 및 미립화로 인해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8738호(2013. 01. 23)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36599호(2011. 12. 21)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7852호(2011. 10. 24)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93330호(2006. 06. 19)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85998호(2001. 01. 09)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료효율장치에 제1케이싱과 연결구 그리고 연료유도수단과 제2케이싱 또한 유입컬렉션베이스와 배출컬렉션베이스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엔진으로 분사되는 각종 연료(예: 가솔린, 경유, 중유, 등유 등등)를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미립화 하여 연료를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제3목적은 제1유도관의 선단에 형성된 유막형성부를 통해 연료가 통과되므로 유막형성에 따른 제1유도관의 수평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탄성구에 의해 제1유도관의 선단을 제2분사공에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근접시킴에 따라 연료가 외측으로 분배되면서 미립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연결구에 나선배출홈을 형성하여 연료를 빨리 외곽으로 보내어서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제1,2회전유도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시작점이 2개인 2줄나사로 각각 형성하여 총4개가 연료를 분해하므로 다량의 연료를 쏠림 현상 없이 용이하게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필요에 따라 연료 효율 향상장치를 복수개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원활한 연료 공급 및 미립화로 인해 분쇄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며, 제9목적은 이로 인해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연료 효율 향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를 미립화 하여 연료를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 중앙 제1분사공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제1,2회전분쇄구가 조립되고, 일측에 연료유입구가 조립 설치된 제1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고, 중앙에 제2분사공이 형성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고, 타측 배출공쪽에 연료토출구가 조립 설치된 제2케이싱; 및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연료를 분쇄하여 미립화시킨 후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 제2, 제3, 제4유도관과 제1,2회전유도관이 구비된 연료유도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효율 향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효율장치에 제1케이싱과 연결구 그리고 연료유도수단과 제2케이싱 또한 유입컬렉션베이스와 배출컬렉션베이스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 분사되는 각종 연료(예: 가솔린, 경유, 중유, 등유 등등)를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미립화 하여 연료를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유도관의 선단에 형성된 유막형성부를 통해 연료가 통과되므로 유막형성에 따른 제1유도관의 수평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구에 의해 제1유도관의 선단을 제2분사공에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근접시킴에 따라 연료가 외측으로 분배되면서 미립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에 나선배출홈을 형성하여 연료를 빨리 외곽으로 보내어서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2회전유도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시작점이 2개인 2줄나사로 각각 형성하여 총4개가 연료를 분해하므로 다량의 연료를 쏠림 현상 없이 용이하게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연료 효율 향상장치를 복수개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원활한 연료 공급 및 미립화로 인해 분쇄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 4개를 조립하기 위한 분해 사
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 4개를 조립한 결합상태 사시
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 4개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 연료 효율 향상장치(100)는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를 미립화 하여 연료를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도 1,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앙 제1분사공(121)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제1,2회전분쇄구(131)(132)가 조립되고, 일측에 연료유입구(110)가 조립 설치된 제1케이싱(120)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케이싱(120)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고, 중앙에 제2분사공(141)이 형성된 연결구(1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140)에는 나선배출홈(142)을 형성하여 연료를 빨리 외곽으로 보내어서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140)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고, 타측 배출공쪽에 연료토출구(170)가 조립 설치된 제2케이싱(160)이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2케이싱(16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연료를 분쇄하여 미립화시킨 후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 제2, 제3, 제4유도관(152)(153)(154)(155)과 제1,2회전유도관(156)(157)이 구비된 연료유도수단(1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제3, 제4유도관(152)(153)(154)(155)에는 나선형이 아닌 일자형의 분산부(152a)(153a)(154a)(155a)와 연료통공(152b)(153b)(154b)(155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회전유도관(156)(157)에는 나선회전부(156a)(157a)와 연료통공(156b)(157b)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제1유도관(152)의 타측 내부에는 탄성구(151)가 조립되되, 탄성구(151)에 의해 제1유도관(152)의 선단을 제2분사공(141)에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근접시킴에 따라 연료가 외측으로 분배되면서 미립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제1,2,3,4유도관(152)(153)(154)(155)의 선단 외주면에는 각지게 경사진 유막형성부(152c)(153c)(154c)(155c)를 형성하되, 상기 유막형성부(152c)(153c)(154c)(155c)를 통해 연료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유막형성부의 입구에 유압량이 많이 포진하게 됨과 아울러 유압의 계속되는 미는 힘에 의해 제1,2,3,4유도관(152)(153)(154)(155)의 수평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2회전유도관(156)(157)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시작점이 2개 이상의 복수개(다줄나사)의 나사로 각각 형성하여 연료를 분해하므로 다량의 연료를 쏠림 현상 없이 용이하게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2개인 2줄나사로 각각 형성하여 총4개(우나사, 좌나사)(좌나사, 우나사)가 연료를 분해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연료 효율 향상장치(100)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 5,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입공(211)이 형성된 유입공커버(2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공커버(210)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유입공커버(210)와 상호 맞닿는 부위쪽에 복수개의 연료유입수집요홈(221)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복수개의 제1체결공(222)이 형성된 유입컬렉션베이스(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체결공(222)에 복수개가 조립 설치되는 연료효율장치(10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료효율장치(100)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2체결공(232)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유출공커버(240)와 상호 맞닿는 부위쪽에 복수개의 연료배출수집요홈(231)이 형성된 배출컬렉션베이스(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배출컬렉션베이스(230)에는 유출공(241)이 형성된 유출공커버(240)가 조립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유입공(211)으로 유입된 연료는 복수개의 연료유입수집요홈(221)을 통해 외곽으로 분배된 후 복수개의 제1체결공(222)을 거쳐 복수개의 연료효율장치(100)로 유입되고, 상기 연료효율장치(100)는 연료를 분쇄 미립화 하여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되, 복수개의 연료효율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연료는 제2체결공(232)을 통해 연료배출수집요홈(231)을 거쳐 외곽에서 안쪽으로 유입된 후 유출공(24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료효율장치(100)를 4개가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이고, 2개 및 3개 또는 4개 이상의 연료효율장치(10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엔진으로 분사되는 각종 연료(예: 가솔린, 경유, 중유, 등유 등등)를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미립화 하여 연료를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 연료 효율 향상장치(100)는 연료유입구(110)를 통해 연료가 제1케이싱(12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연료가 제1회전분쇄구(131)에 의해 1차로 분쇄 및 미립화시키게 되고, 이후 제1분사공(121)을 통해 배출되는 연료가 제2회전분쇄구(132)에 의해 2차로 분쇄 및 미립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립화된 연료는 연결구(140)의 제2분사공(141)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연료는 나선배출홈(142)을 따라 외곽으로 신속히 퍼져나가도록 하여 연료를 더욱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연료가 연료유도수단(150)을 통과하면서 더욱 분쇄 및 미립화되어 연료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연료는 각각의 유도관의 사이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각각의 분산구와 연료통공 그리고 회전부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가 와류 및 충돌 그리고 회전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과정에서 본 발명은 제1유도관(152)의 선단에 형성된 유막형성부(152c)를 통해 연료가 통과되므로 유막형성에 따른 제1유도관(152)의 수평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구(151)에 의해 제1유도관(152)의 선단을 제2분사공(141)에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근접시킴에 따라 연료가 외측으로 분배되면서 미립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2회전유도관(156)(157)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시작점이 2개인 2줄나사로 각각 형성하여 총4개가 연료를 분해하므로 다량의 연료를 쏠림 현상 없이 용이하게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미립화된 연료는 제2케이싱(160)의 배출공(161)과 연료토출구(170)를 통해 최종 엔진으로 유입되어 엔진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연료 효율 향상장치(100)는 독립적으로 1개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2개 및 3개 또는 4개 이상으로 복수개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래 설명은 연료 효율 향상장치(100)를 편의상 4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 4개를 조립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 4개를 조립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연료 효율 향상장치 4개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본원발명은 유입공(210)으로 유입된 연료가 복수개의 연료유입수집요홈(221)을 통해 외곽으로 분배된 후 복수개의 제1체결공(222)을 거쳐 복수개의 연료효율장치(1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효율장치(100)는 전술한 작용으로 인해 연료를 분쇄 미립화 하여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연료효율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미립화된 연료는 제2체결공(232)을 통해 연료배출수집요홈(231)을 거쳐 외곽에서 안쪽으로 유입된 후 유출공(241)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료효율장치
120: 제1케이싱
140: 연결구
150: 연료유도수단
160: 제2케이싱
220: 유입컬렉션베이스
230: 배출컬렉션베이스

Claims (7)

  1.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를 미립화 하여 연료를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 중앙 제1분사공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제1,2회전분쇄구가 조립되고, 일측에 연료유입구가 조립 설치된 제1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고, 중앙에 제2분사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측면에 나선배출홈을 형성하여 연료를 빨리 외곽으로 보내어서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 조립 설치되고, 타측 배출공쪽에 연료토출구가 조립 설치된 제2케이싱; 및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연료를 분쇄하여 미립화시킨 후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 제2, 제3, 제4유도관과 제1,2회전유도관이 구비된 연료유도수단;이 포함되되,
    상기 제1유도관의 타측 내부에는, 탄성구가 조립되되, 탄성구에 의해 제1유도관의 선단을 제2분사공에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근접시킴에 따라 연료가 외측으로 분배되면서 미립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효율 향상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2,3,4유도관의 선단 외주면에는,
    각지게 경사진 유막형성부를 형성하되, 상기 유막형성부를 통해 연료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유막형성부의 입구에 유압량이 많이 포진하게 됨과 아울러 유압의 계속되는 미는 힘에 의해 제1,2,3,4유도관의 수평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효율 향상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2회전유도관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시작점이 2개 이상의 복수개의 나사로 각각 형성하여 연료를 분해하므로 다량의 연료를 쏠림 현상 없이 용이하게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효율 향상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연료 효율 향상장치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입공이 형성된 유입공커버;
    상기 유입공커버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유입공커버와 상호 맞닿는 부위쪽에 복수개의 연료유입수집요홈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복수개의 제1체결공이 형성된 유입컬렉션베이스;
    상기 제1체결공에 복수개가 조립 설치되는 연료효율장치;
    상기 연료효율장치의 일측에 조립 설치되며, 복수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유출공커버와 상호 맞닿는 부위쪽에 복수개의 연료배출수집요홈이 형성된 배출컬렉션베이스; 및
    상기 배출컬렉션베이스에는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공커버;가 조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효율 향상장치.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연료는 복수개의 연료유입수집요홈을 통해 외곽으로 분배된 후 복수개의 제1체결공을 거쳐 복수개의 연료효율장치로 유입되고,
    상기 연료효율장치는 연료를 분쇄 미립화 하여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되,
    복수개의 연료효율장치에서 배출되는 연료는 제2체결공을 통해 연료배출수집요홈을 거쳐 외곽에서 안쪽으로 유입된 후 유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효율 향상장치.
KR1020160125776A 2016-09-29 2016-09-29 연료 효율 향상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776A KR101727302B1 (ko) 2016-09-29 2016-09-29 연료 효율 향상장치
AU2017337785A AU2017337785A1 (en) 2016-09-29 2017-09-27 Device for enhancing fuel efficiency
CN201780060325.0A CN109790803B (zh) 2016-09-29 2017-09-27 燃料效率提高装置
PCT/KR2017/010725 WO2018062849A1 (ko) 2016-09-29 2017-09-27 연료 효율 향상장치
EP17856735.0A EP3521605A4 (en) 2016-09-29 2017-09-27 DEVICE FOR ENHANCING FUEL EFFICIENCY
JP2019517300A JP2019533112A (ja) 2016-09-29 2017-09-27 燃料効率向上装置
US16/335,715 US10859043B2 (en) 2016-09-29 2017-09-27 Device for enhancing fuel efficiency
PH12019500678A PH12019500678A1 (en) 2016-09-29 2019-03-28 Device for enhancing fuel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776A KR101727302B1 (ko) 2016-09-29 2016-09-29 연료 효율 향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302B1 true KR101727302B1 (ko) 2017-04-14

Family

ID=5857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7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302B1 (ko) 2016-09-29 2016-09-29 연료 효율 향상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59043B2 (ko)
EP (1) EP3521605A4 (ko)
JP (1) JP2019533112A (ko)
KR (1) KR101727302B1 (ko)
CN (1) CN109790803B (ko)
AU (1) AU2017337785A1 (ko)
PH (1) PH12019500678A1 (ko)
WO (1) WO20180628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380A (ko) 2018-10-05 2020-04-16 박종표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개량구조
KR20200063875A (ko) 2018-11-28 2020-06-05 임승자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개량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247A (ko) 2012-12-06 2015-08-12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글레이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779A (en) * 1993-01-14 1994-05-03 Wood Don W Apparatus for treating and conditioning fuel for us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00068170A (ko) 1997-06-13 2000-11-25 황호종 연료 활성화 장치
KR20050025693A (ko) * 2003-09-08 2005-03-14 정인범 연료 절감장치
KR20110136599A (ko) 2010-06-15 2011-12-21 허순행 에너지 절약 및 저탄소화가 가능한 연료 등의 활성화장치
KR20130008738A (ko) 2011-07-13 2013-01-23 주식회사 헨코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활성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507A (ja) * 1994-02-02 1995-08-15 Miyazaki Hiroyuki 給送燃料油改質装置
US6024073A (en) * 1998-07-10 2000-02-15 Butt; David J. Hydrocarbon fuel modif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hydrocarbon fuels
US6748921B1 (en) * 2002-03-22 2004-06-15 Carl Surges Reversion redir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250870C (zh) * 2002-07-09 2006-04-12 金圣模 用于内燃机的减少废气和节约燃料的装置
KR100748233B1 (ko) * 2005-04-06 2007-08-10 주식회사 월드그린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TW200742797A (en) * 2006-05-04 2007-11-16 Jin-Lang Wang Fuel economizer
KR101077852B1 (ko) 2008-06-18 2011-10-28 정인범 친환경 연료 활성화 장치
KR101077849B1 (ko) * 2008-06-18 2011-10-28 정인범 친환경 연료 활성화 장치
US8342159B2 (en) * 2009-08-06 2013-01-01 Rexecon International, Inc. Fuel line ionizer
US8800527B2 (en) * 2012-11-19 2014-08-12 Mcaliste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aptive swirl injection and ignition
KR20160099392A (ko) 2015-02-12 2016-08-22 서호석 연료 활성화를 통한 디젤 엔진의 배출가스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779A (en) * 1993-01-14 1994-05-03 Wood Don W Apparatus for treating and conditioning fuel for us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00068170A (ko) 1997-06-13 2000-11-25 황호종 연료 활성화 장치
KR20050025693A (ko) * 2003-09-08 2005-03-14 정인범 연료 절감장치
KR100593330B1 (ko) 2003-09-08 2006-06-26 정인범 연료 절감장치
KR20110136599A (ko) 2010-06-15 2011-12-21 허순행 에너지 절약 및 저탄소화가 가능한 연료 등의 활성화장치
KR20130008738A (ko) 2011-07-13 2013-01-23 주식회사 헨코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활성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380A (ko) 2018-10-05 2020-04-16 박종표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개량구조
KR102164117B1 (ko) 2018-10-05 2020-10-12 박종표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개량구조
KR20200063875A (ko) 2018-11-28 2020-06-05 임승자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개량구조
KR102129611B1 (ko) 2018-11-28 2020-07-03 임승자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개량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1605A4 (en) 2019-11-27
US20190242333A1 (en) 2019-08-08
US10859043B2 (en) 2020-12-08
AU2017337785A1 (en) 2019-05-16
PH12019500678A1 (en) 2019-12-02
WO2018062849A1 (ko) 2018-04-05
JP2019533112A (ja) 2019-11-14
CN109790803B (zh) 2021-06-01
CN109790803A (zh) 2019-05-21
EP3521605A1 (en)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18734A1 (en) Bio-diesel fuel engine system and bio-diesel fuel engine operating method
KR101727302B1 (ko) 연료 효율 향상장치
MX2008011137A (es) Aparato procesador de combustible y metodo para un motor diesel.
JP4717827B2 (ja) 水素を用いて液体燃料を燃焼させる装置
KR101681205B1 (ko) 연료 활성화장치
KR102318108B1 (ko) 혼소용 버너 장치
CA2263294A1 (en) Fuel activating system
KR102129611B1 (ko)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개량구조
KR102164117B1 (ko) 연료 효율 향상장치의 개량구조
KR101262792B1 (ko) 이온 파쇄형 디젤유 에멀션 장치
KR20060071605A (ko) 내연기관의 흡기장치
CN111692023B (zh) 可双向置入内燃机的导流装置
KR100825838B1 (ko) 유화연료 연소시스템의 연소보조장치
Téré et al. Effects of Temperature, Pressur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n the Atomization and Disintegration of Jatropha Oil and its Formulations
KR100829844B1 (ko)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유화연료 제조시스템
KR100836835B1 (ko) 유화연료 연소시스템
CN205805762U (zh) 气态分子助燃器
US20110207059A1 (en) High velocity burner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08738A (ko)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료활성화장치
CN207989185U (zh) 省油器的改良结构
RU2545012C1 (ru) Воспламенитель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2531834C1 (ru) Форкамер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110136599A (ko) 에너지 절약 및 저탄소화가 가능한 연료 등의 활성화장치
KR101396574B1 (ko) 미분연료 연소장치
KR20050025693A (ko) 연료 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