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7203B1 -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203B1
KR101727203B1 KR1020160049587A KR20160049587A KR101727203B1 KR 101727203 B1 KR101727203 B1 KR 101727203B1 KR 1020160049587 A KR1020160049587 A KR 1020160049587A KR 20160049587 A KR20160049587 A KR 20160049587A KR 101727203 B1 KR101727203 B1 KR 10172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ard
area
user
touc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영
서현덕
한인수
양주열
구권철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늘랩
Priority to PCT/KR2017/0022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5092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2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9/2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제공되는 배터리;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제공되며, 복수의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에 제공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을 원하는 카드를 선택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의 위치 및 면적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의 카드 정보를 카드 리더기에 제공할 수 있는 카드 정보 제공 수단; 및 상기 터치수단을 통해 인식된 터치 면적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카드의 카드 정보를 상기 카드 정보 제공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SMART C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관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카드는 크게 집적회로(IC)를 구비하고 있는 IC 카드와 자기 띠(magnetic stripe)를 구비하고 있는 마그네틱 카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부 카드들은 집적회로와 자기 띠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카드의 쓰임새는 전통적인 은행거래, 신용거래 등으로부터 최근의 포인트 관리, 멤버쉽 관리까지 다양해졌고, 그에 따라 다양한 목적을 가진 카드가 발급됨으로써 사용자가 보유하고 관리해야 하는 카드의 종류와 개수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카드의 종류와 개수의 증가는 사용자에게는 관리, 사용 상의 불편함을 주게 되는 바, 최근에는 하나의 카드가 여러 가지 카드로서 기능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가 제안되고 있다.
스마트 카드는 여러 가지 카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한 카드로서 기능하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스마트 카드는 여러 가지 카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사용자가 저장되어 있는 카드 정보 중 원하는 카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는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카드 리더기에 제공하기 위해, 집적회로에 연결된 노출 단자, 동적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동적 자기장 발생 스트립(dynamic magnetic strip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는 새로운 카드의 정보를 추가하거나, 기 저장되어 있는 카드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다른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는 사용자의 카드 선택을 도와주거나, 소정의 정보 표시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선택해야 하는데, 종래에 제안된 기술들은 여러 장의 카드들 중 원하는 카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여러 회 조작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카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여러 번 누르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카드의 정보를 확인하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해야 한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터치스크린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터치스크린을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동작을 다수 회 수행해야 원하는 카드의 카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카드의 카드 정보를 스마트 카드에 저장시켜놓고 필요에 따라 카드를 바꿔가며 사용해야 하는데, 그때마다 여러 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조작해야 한다면, 사용에 있어서 큰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으며, 결국에는 스마트 카드의 활용도가 낮아지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1 0-2009-0051619호(2009.05.22. 공개)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1 0-2015-0113296호(2015.10.0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1회의 조작으로 스마트 카드를 원하는 카드로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제공되는 배터리;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제공되며, 복수의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에 제공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을 원하는 카드를 선택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의 위치 및 면적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의 카드 정보를 카드 리더기에 제공할 수 있는 카드 정보 제공 수단; 및 상기 터치수단을 통해 인식된 터치 면적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카드의 카드 정보를 상기 카드 정보 제공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수단은 터치 센서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터치스크린인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손가락의 방향에 따라 기 설정된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손가락의 방향 및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손가락의 개수에 따라 기 설정된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위치 및 면적과, 미터치 영역의 위치 및 면적에 따라 상기 손가락의 방향을 판단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수단이 터치된 면적이 실질적으로 전체인지, 1/2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면적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이 전체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수단의 꼭지점부에 형성된 미터치 영역의 너비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도, 상기 터치 수단이 전체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면적의 중앙부분에 미터치 영역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존재하는 경우, 손가락 2개가 상기 터치수단을 전체 터치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중앙부분의 미터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전체 터치의 경우와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수단의 일측 또는 타측이 설정된 범위의 영역에서 모두 터치되고, 미터치 영역은 상기 터치 수단의 타측 또는 일측에만 형성되는 경우 1/2 터치로 인식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수단의 제1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이 터치된 경우와, 상기 터치 수단의 제2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이 터치된 경우 서로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터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터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터치 방향 중 다른 하나의 정보에 따라, 사용 제한 정보를 설정하는 스마트 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플레이트에 제공된 터치 수단을 통한 터치 입력을 대기하는 터치 대기 단계; 상기 터치 수단으로부터 사용자의 1회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인식 단계; 제어부가 상기 터치 수단을 통해 인식된 터치의 터치 면적 및 터치하는 손가락의 방향을 판단하는 터치 분석 단계; 상기 제어부가 메모리로부터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카드 정보 로딩 단계; 및 상기 로딩된 카드 정보를 카드 정보 제공 수단을 통해 카드 리더기 측으로 제공하는 카드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정보 로딩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수단이 전체적으로 터치되었는지, 1/2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분석 단계는,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손가락의 방향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제1 분석 단계; 및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손가락의 방향 중 다른 하나를 판단하는 제2 분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정보 로딩 단계는 상기 제1 분석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라 수행되고, 상기 제2 분석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 카드의 사용 제한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카드 정보 제공 단계의 수행이 제한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제한 정보는, 상기 1회의 터치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의 사용 가능 횟수 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의 사용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1회의 조작으로 스마트 카드를 원하는 카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제1 사용예 및 제1 사용예에서의 터치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제2 사용예 및 제2 사용예에서의 터치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제3 사용예 및 제3 사용예에서의 터치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제4 사용예 및 제4 사용예에서의 터치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드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카드 리더기에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카드는 신용카드, 현금카드, 체크카드, 멤버쉽카드, 적립카드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카드 리더기는 ATM, POS 단말기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카드 정보는 종류 및 저장 형태와 무관하게 카드 리더기 또는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 정보는 해당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와 구별하거나, 해당 카드를 다른 카드와 구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은행 등 카드의 발급주체에서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해 설정한 값이거나,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계좌번호, 주민등록번호, 회원번호, 회원아이디, 카드번호 등일 수 있다.
또한, 카드 정보는 해당 카드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카드 발급주체, 카드 종류, 카드 명칭, 유효기간, 보안코드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카드의 자기 띠, 메모리 등에 저장되거나, 카드의 외면에 인쇄되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에 저장된 정보들은 자기 띠, 집적회로(IC)의 노출 단자부를 통해 카드 리더기에 전달될 수도 있고, 바코드, QR코드, Bluetooth, Beacon, NFC, RFID, Zigbee, UWB, IrDa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카드 리더기에 전달될 수 있고, 인쇄된 이미지, 돌출된 무늬(embossed pattern)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10)는 복수 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한 카드로서 기능할 수 있는 카드이다.
스마트 카드(10)의 외관을 살펴보면, 플레이트(100), 플레이트(100)의 전면(102)에 형성되는 노출 단자부(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 플레이트(100)의 후면(104)에 형성되어 동적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플레이트(100)는 ISO 7810 표준의 규격을 만족시키는 크기일 수 있다.
노출 단자부(140)는 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제공된 IC의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소정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카드 리더기 등 다른 장치에 제공된 인터페이스 단자와 접촉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10)는 노출 단자부(140)를 통해 카드 리더기와 접촉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전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신호를 전달받거나, 사용자에게 소정의 출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10)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전원 버튼(182)과,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사용자에게 소정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18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84)의 크기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첫째 마디로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이 터치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 신체적 특징에 따라 엄지손가락의 첫째 마디의 크기는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인 성인 여성의 엄지손가락의 첫째 마디의 크기를 기준으로 터치스크린(184)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고, 일 예로, 가로 2.5cm, 세로 1.5cm 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스마트 카드(10)의 긴 변의 연장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을 가로 방향이라고 하고, 짧은 변의 연장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84)의 긴 변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짧은 변의 연장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은 가로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세로 방향이나, 이와 달리 제1 방향이 세로 방향이고, 제2 방향이 가로 방향일 수도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84)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때 터치 위치, 터치 면적 등을 판단할 수 있는 터치 센서부와,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터치스크린(184) 또는 터치패드 등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한 영역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그 외에 감압버튼,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전자종이(e-paper), 마이크, 스피커 등 카드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184)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로 제공되는 경우, 하나의 장치로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입력과 사용자에게의 데이터 출력을 하나의 장치로 모두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카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출 단자부(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가 전면(102)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후면(102)에 제공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100)의 후면(104)에는 동적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기장 발생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50)는 각각 독립적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트랙(tra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50)는, 스마트 카드(10)의 외관을 종래의 일반적인 카드와 유사하게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전자석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차폐부로 덮여 있을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카드(10)는 IC에 대응될 수 있는 제어부(11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물리적인 전자 칩(COB, Chip On Board)으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들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 카드(10)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120)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박막 형태의 제품이 플레이트(100)의 내부에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메모리(130)는 IC와 함께 제공되거나, 별도로 제공되어 플레이트(100)에 내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플레이트(100)의 일 측면을 통해 배터리(120) 또는 메모리(130)의 일부가 노출되어 다른 장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메모리(130)에는 상술한 복수 개의 카드의 카드 정보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10)와 연동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PC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으며, 카드의 사용 내역 등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것처럼 제어부(110)는 외부로 노출된 노출 단자부(140)를 통해 카드 리더기 등 다른 장치와 접촉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노출 단자부(140)는 ISO 7816 표준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전력을 수신하거나,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자기장 발생부(150)를 제어하여 동적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자기장 발생부(150)는 복수 개의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ISO 4909 표준에 따르는 종래의 카드는 자기 띠에 3개의 트랙이 제공될 수 있는데, 플레이트(100)의 긴 변에 가까운 쪽부터 트랙 1, 트랙 2, 트랙 3으로 지칭된다. 각각의 트랙은 표준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특정한 종류의 정보를 자기장 형태,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자석들이 발생시키는 자기장 형태로 카드 리더기에 제공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150)의 각각의 트랙은 하나의 전자석으로 구성되거나, 복수 개의 전자석들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하나의 트랙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 카드(10)는 카드 리더기의 헤드를 감지하기 위한 헤드 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감지부(160)는 자기장 발생부(150)의 선단 측, 즉 먼저 카드 리더기에 삽입되는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자기장 발생부(150)와 마찬가지로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소정의 차폐부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헤드 감지부(160)는 정전식 터치센서일 수 있으며, 종래의 카드의 자기 띠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스마트 카드(10)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자기장 발생부(150)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 헤드 감지부(160)에서 카드 리더기의 헤드를 감지한 신호가 전달된 이후에만 자기장 발생부(150)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 감지부(160)가 자기장 발생부(150)와 별도로 독립된 구성요소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스마트 카드(10)가 카드 리더기에 긁힐(swipe) 때 헤드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발생부(150)에 발생되는 유도 전류를 감지하여 카드 리더기의 헤드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자기장 발생부(150)가 헤드 감지부(160)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헤드 감지부(160)로서 정전식 터치센서가 아니라 압력센서 등 다른 접촉식 감지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가속도센서 등 비접촉식 감지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 카드(10)는 다른 기기와 유,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필요에 따라 플레이트(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100)의 내부에 내장되고, 다른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일 예로, 통신부(170)는 Bluetooth, Beacon, NFC, RFID, Zigbee, UWB, IrDa 등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플레이트(100)의 내부에는 이들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70)를 통해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10)와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PC, 노트북, 태블릿 PC 뿐만 아니라 다른 스마트 카드 등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한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출력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의 터치스크린(184) 조작에 따라,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카드의 카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카드의 카드 정보를 읽어와 소정의 처리를 거쳐 터치스크린(18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와 연결된 노출 단자부(140) 및 자기장 발생부(150)는 선택된 카드의 정보를 카드 리더기 측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카드 정보 전달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도 카드 정보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카드 정보 전달 수단은 노출 단자부(140)와 자기장 발생부(150)와 통신부(17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카드(1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스마트 카드(10)의 전원 버튼(182)을 누름으로써 스마트 카드(10)의 전원을 ON시켜 사용할 준비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버튼(182)이 별도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들을 소정의 방법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원을 ON/OFF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스마트 카드(10)의 전원이 켜지면, 사용자는 스마트 카드(10)의 터치스크린(184)을 조작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의 정보는 이미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130)로부터 카드 정보를 로드하여 카드 리더기 측으로 제공할 준비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하는 면적 및 터치 방향에 따라 해당 면적 및 터치 방향에 대응되는 카드의 카드 정보를 메모리(130)로부터 읽어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스마트 카드(10)를 카드 리더기에 긁거나 삽입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카드 정보를 노출 단자부(140)를 통해 접촉식으로 카드 리더기에 송신하거나, 자기장 발생부(150)를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카드 리더기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원 버튼(182)을 이용해 스마트 카드(10)의 전원을 OFF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카드(10)는 메모리(130)의 용량에 따라 수백, 수천 장의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지만, 실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대부분 2개 ~ 4개 정도로 한정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1회 터치하는 동작만으로도 스마트 카드를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카드(10)의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하는 면적이 실질적으로 전체인지, 1/2인지 여부에 따라 메모리(130)로부터 그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여 스마트 카드(10)가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사용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제1 사용예 및 제1 사용예에서의 터치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방향, 즉 본 실시예에서 가로 방향을 손가락이 가리키는 상태에서 손가락 하나로 터치스크린(184)을 전체적으로 터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마트 카드(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카드 중 기 설정된 제1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엄지손가락(T)의 첫째 마디를 가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전체를 터치하듯이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엄지손가락(T)의 크기에 따라, 터치스크린(184)의 100% 영역이 모두 터치가 된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고, 그보다 작은 영역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84)의 전체 터치 영역 중 기 설정된 범위, 예를 들어 80% 이상이 터치된 경우, 이를 전체 영역이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엄지손가락(T)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한 경우, 제어부(110)가 인식하는 터치 영역(R1)은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스크린(184)의 중앙부의 넓은 면적 부분이며, 이러한 터치 영역(R1)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80% 이상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의 전체를 터치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엄지손가락(T)의 볼록한 형상에 의해, 터치스크린(184)의 네 꼭지점 부분에는 미터치 영역(U1a, U1b, U1c, U1d)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엄지손가락(T)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하는 경우, 미터치 영역(U1a, U1b, U1c, U1d)은 유사한 크기로 발생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미터치 영역(U1a, U1b, U1c, U1d)이 발생하고, 각각의 미터치 영역(U1a, U1b, U1c, U1d)의 크기가 기 설정된 유사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엄지손가락(T)을 가로 방향으로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미터치 영역(U1a)의 면적이 전체 터치스크린(184)의 면적의 3%이고 제2 내지 제4 미터치 영역(U1b, U1c, U1d)의 면적이 0% 내지 6%인 경우, 또는 모든 미터치 영역(U1a, U1b, U1c, U1d)의 크기가 5% 이하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엄지손가락(T)을 가로 방향으로 터치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터치 영역(U1a, U1b, U1c, U1d)들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터치 영역(R1)의 면적이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이라면 제어부(110)는 전체 터치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T)의 마디 폭이 넓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 터치하는 경우에는 제3 미터치 영역(U1c)과 제4 미터치 영역(U1d)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각 꼭지점에 형성된 미터치 영역(U1a, U1b, U1c, U1d)들 중 둘 이상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터치 영역(R1)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라고 하더라도 전체 터치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을 엄지손가락(T)으로 세로 방향으로 터치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터치 영역(R1)의 비율이 가로로 터치할 때보다 작아질 수 밖에 없으며, 대부분의 경우 제1 미터치 영역(U1a)과 제 2미터치 영역(U1b)이 서로 연결되고, 제3 미터치 영역(U1c)과 제4 미터치 영역(U1d)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터치된 영역의 비율 및 미터치 영역의 위치 및 비율에 따라, 손가락의 터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손가락의 터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84)의 긴 변과 짧은 변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술한 것처럼 터치 스크린(184)이 손가락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터치되었다고 판단되면,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던 기 설정된 제1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여 터치스크린(184)에 표시하거나, 노출 단자부(140) 및/또는 자기장 발생부(150)를 통해 정보 전달을 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드는 특정한 방향으로의 전체적인 터치에 대응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10)를 조작하여 설정하거나, 스마트 카드(10)와 연동되는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사용예를 달리 표현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 1개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84)을 전체적으로 터치하는 것을 인식하여, 복수 개의 카드 중 기 설정된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엄지손가락(T)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엄지손가락(T)이 아니라 다른 손가락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제2 사용예 및 제2 사용예에서의 터치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방향, 즉 본 실시예에서 세로 방향을 손가락이 가리키는 상태에서 손가락 하나로 터치스크린(184)의 제1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마트 카드(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카드 중 기 설정된 제2 카드 또는 제3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엄지손가락(T)의 첫째 마디를 세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좌측 1/2, 또는 우측 1/2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엄지손가락(T)의 크기에 따라, 터치스크린(184)의 50% 영역을 기준으로 이보다 조금 많거나 적은 영역이 터치가 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84)의 전체 터치 영역 중 기 설정된 범위, 예를 들어 40% 이상 60% 이하가 터치된 경우, 이를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엄지손가락(T)을 세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한 경우, 제어부(110)가 인식하는 터치 영역(R2a, R2b)은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스크린(184)의 일측(좌측) 부분이거나, 타측(우측)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영역(R2a, R2b)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40% 이상 60% 이하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의 일측 또는 타측을 터치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터치된 방향은 터치 영역(R2a, R2b)이 치우친 영역의 위치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엄지손가락(T)의 볼록한 형상에 의해, 터치스크린(184)의 양측에는 미터치 영역(U2a, U2b)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엄지손가락(T)을 세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일측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84)의 일측에는 미터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며 타측에만 미터치 영역(U2a)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의 타측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84)의 타측에는 미터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일측에만 미터치 영역(U2b)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처럼 미터치 영역(U2b)이 가로 방향의 어느 한쪽에만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세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미터치 영역이 터치 영역(R2)의 양측에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4의 사용예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을 엄지손가락(T)으로 가로 방향으로 터치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미터치 영역은 터치스크린(184)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에 존재하게 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제어부(110)는 터치된 영역의 비율 및 미터치 영역의 위치 및 비율에 따라, 손가락의 터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술한 것처럼 터치 스크린(184)이 손가락에 의해 터치스크린(184)의 길게 연장되어 있는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이 터치되었다고 판단되면,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던 기 설정된 제2 카드의 정보 또는 제3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여 터치스크린(184)에 표시하거나, 노출 단자부(140) 및/또는 자기장 발생부(150)를 통해 정보 전달을 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카드 및 제3 카드는 제1 카드와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10)를 조작하여 설정하거나, 스마트 카드(10)와 연동되는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사용예를 달리 표현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 1개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일측을 특정 방향으로 터치하는 것을 인식하여, 복수 개의 카드 중 기 설정된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엄지손가락(T)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엄지손가락(T)이 아니라 다른 손가락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제3 사용예 및 제3 사용예에서의 터치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방향, 즉 본 실시예에서 세로 방향을 손가락이 가리키는 상태에서 손가락 두 개로 터치스크린(184)을 전체적으로 터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마트 카드(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카드 중 기 설정된 제4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손가락(I)과 가운데손가락(M)를 세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전체를 터치하듯이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크기에 따라, 터치스크린(184)의 100% 영역이 모두 터치가 된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고, 그보다 작은 영역이 터치된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84)의 전체 터치 영역 중 기 설정된 범위, 예를 들어 80% 이상이 터치된 경우, 이를 전체 영역이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2개의 손가락을 세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한 경우, 제어부(110)가 인식하는 터치 영역(R3)은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스크린(184)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의 넓은 면적 부분이며, 이러한 터치 영역(R3)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80% 이상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의 전체를 터치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들(I, M)의 볼록한 형상에 의해, 터치스크린(184)의 네 꼭지점 부분 및 중앙부에는 미터치 영역(U3a, U3b, U3c, U3d, U3e)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사용예와 비교할 때 도 5의 실시예는 손가락 두 개를 사용하므로, 손가락들의 사이에 중앙의 미터치 영역(U3e)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미터치 영역(U3a, U3b, U3c, U3d)과 관련된 설명은 상술한 도 3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꼭지점 부분의 미터치 영역(U3a, U3b, U3c, U3d)과 함께 중앙의 미터치 영역(U3e)이 더 존재하는 경우, 손가락 두 개가 터치스크린(184)을 전체적으로 터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미터치 영역(U3e)의 연장 방향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방향, 즉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손가락은 세로 방향을 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미터치 영역(U3e)의 연장 방향이 제1 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손가락은 가로 방향을 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각 꼭지점에 형성된 미터치 영역(U3a, U3b, U3c, U3d)들 중 둘 이상이 서로 연결되거나, 꼭지점에 형성된 미터치 영역(U3a, U3b, U3c, U3d)과 중앙의 미터치 영역(U3e)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터치 영역(R1)의 비율이 기 설정된 범위라고 하더라도 전체 터치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술한 것처럼 터치 스크린(184)이 손가락 두 개에 의해 특정한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터치되었다고 판단되면,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던 기 설정된 제4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여 터치스크린(184)에 표시하거나, 노출 단자부(140) 및/또는 자기장 발생부(150)를 통해 정보 전달을 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카드는 제1 카드와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10)를 조작하여 설정하거나, 스마트 카드(10)와 연동되는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사용예를 달리 표현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 2개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84)을 전체적으로 터치하는 것을 인식하여, 복수 개의 카드 중 기 설정된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집게손가락(I)과 가운데손가락(M)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손가락들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스마트 카드의 제4 사용예 및 제4 사용예에서의 터치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방향, 즉 본 실시예에서 가로 방향을 손가락이 가리키는 상태에서 손가락 하나로 터치스크린(184)의 제2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터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마트 카드(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카드 중 기 설정된 제5 카드 또는 제6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손가락(I)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상측 1/2, 또는 하측 1/2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집게손가락(I)의 크기에 따라, 터치스크린(184)의 50% 영역을 기준으로 이보다 조금 많거나 적은 영역이 터치가 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84)의 전체 터치 영역 중 기 설정된 범위, 예를 들어 40% 이상 60% 이하가 터치된 경우, 이를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집게손가락(I)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한 경우, 제어부(110)가 인식하는 터치 영역(R4a, R4b)은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터치스크린(184)의 일측(상측) 부분이거나, 타측(하측)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영역(R4a, R4b)의 전체에 대한 비율이 40% 이상 60% 이하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의 일측 또는 타측을 터치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터치된 방향은 터치 영역(R4a, R4b)이 치우친 영역의 위치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집게손가락(I)의 볼록한 형상에 의해, 터치스크린(184)의 상측과 하측에는 미터치 영역(U4a, U4b)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집게손가락(I)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일측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84)의 일측에는 미터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며 타측에만 미터치 영역(U4a)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의 타측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84)의 타측에는 미터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일측에만 미터치 영역(U4b)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처럼 미터치 영역(U4b)이 세로 방향의 어느 한쪽에만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미터치 영역이 터치 영역(R4a, R4b)의 상하측에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4의 사용예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술한 것처럼 터치 스크린(184)이 손가락에 의해 터치스크린(184)의 제2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이 터치되었다고 판단되면,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던 기 설정된 제5 카드의 정보 또는 제6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여 터치스크린(184)에 표시하거나, 노출 단자부(140) 및/또는 자기장 발생부(150)를 통해 정보 전달을 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카드 및 제6 카드는 제1 카드와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10)를 조작하여 설정하거나, 스마트 카드(10)와 연동되는 통신 가능한 다른 기기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사용예를 달리 표현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 1개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일측을 특정 방향으로 터치하는 것을 인식하여, 복수 개의 카드 중 기 설정된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집게손가락(I)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집게손가락(I)이 아니라 다른 손가락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할 때 인식되는 터치 면적 및 터치 방향에 따라,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던 복수 개의 카드의 카드 정보 중 각각의 터치 면적 및 터치 방향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여 카드 리더기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개시된 사용예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단 1회의 터치만으로도 스마트 카드(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카드의 카드 정보 중 원하는 카드의 카드 정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처럼 손가락 하나를 제1 방향으로 터치스크린(184)을 전체적으로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제1 카드의 정보를 메모리(130)로부터 읽어와 사용할 준비를 할 수 있고, 도 4처럼 손가락 하나를 제2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제1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제2 카드 또는 제3 카드의 정보를 메모리(130)로부터 읽어와 사용할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5처럼 사용자가 손가락 두 개로 제2 방향으로 터치스크린(184)을 전체적으로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제4 카드의 정보를 메모리(130)로부터 읽어와 사용할 준비를 할 수 있고, 도 6처럼 사용자가 손가락 한 개를 제1 방향으로 하여 터치스크린(184)의 제2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을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제5 카드 또는 제6 카드의 정보를 메모리(130)로부터 읽어와 사용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10)는 터치스크린(184)이 터치된 영역의 면적, 터치하는 손가락의 방향, 손가락의 개수 등의 정보에 따라 그에 대응되게 설정된 카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 방법은 도 3 내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사용자가 단순히 스마트 카드(10)를 쥐는 동작에 의해서, 스마트 카드(10)가 원하는 카드 정보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스마트 카드(10)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종래와 달리 자신이 원하는 카드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184)을 복수 회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단 1회의 터치, 구체적으로는 카드를 쥐는 동작에 의해 원하는 카드가 선택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 대비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면적과 터치 방향을 동시에 고려하여 기 설정된 카드를 선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면적만을 판단하여 기 설정된 카드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터치 방향만을 판단하여 기 설정된 카드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1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10)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을 대기하는 터치 대기 단계(S100)를 포함한다.
터치 대기 단계(S100)는 사용자가 전원 버튼(182)을 누른 이후에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 카드(10)에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버튼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항상 활성화가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84)으로 최소한의 대기 전력이 항상 제공될 수 있으며, 스마트 카드(1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하는 것을 전체적인 전원을 ON하는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카드(10) 사용을 위해 터치스크린(184)을 1회 터치하는 것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84)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인식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00).
제어부(110)는 인식된 터치 면적,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하는 손가락의 방향을 판단하는 터치 분석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결과 터치 면적이 전체 터치스크린(184)의 면적의 80% 이상이고, 터치스크린(184)의 네 꼭지점 부분에만 미터치 영역이 5% 이하의 면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하나로 제1 방향으로 터치스크린(184)을 전체적으로 터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분석 단계(S300)는 터치 영역 및 터치하는 손가락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터치 영역의 분석은, 터치 면적의 비율과 위치, 터치 손가락의 방향, 및 터치 손가락의 개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터치 영역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부(110)는 메모리(130)로부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카드 정보 로딩 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로딩된 카드 정보를 노출 단자부(140) 및 자기장 발생부(150)를 통해 카드 리더기 측으로 제공하는 카드 정보 제공 단계(S5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10)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 다른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터치 분석 단계 및 그에 따른 처리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의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 단계(S100) 및 터치 인식 단계(S200)가 수행된다.
터치가 인식되면, 제어부(S110)는 터치 면적을 판단하는 제1 분석 단계(S31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분석 단계(S310)에서 분석된 터치 면적에 대응되는 카드의 카드 정보를 메모리(130)로부터 로딩하는 카드 정보 로딩 단계(S320)를 수행한다.
또한, 터치가 인식되면, 제어부(110)는 터치하는 손가락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2 분석 단계(S320)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2 분석 단계(S320)에서 분석된 터치 방향에 따라, 스마트 카드(10)의 사용 제한 정보를 메모리(130)로부터 로딩하는 사용 제한 정보 로딩 단계(S33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제한 정보란, 스마트 카드(10)의 사용 가능 횟수, 또는 사용 가능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방향으로 터치스크린(184)을 터치한 경우, 카드 정보가 터치로부터 1회만 제공이 되거나, 터치로부터 30초까지만 제공이 될 수 있다. 즉, 사용 제한 정보에 따라, 카드 정보 제공(S510)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분석 단계(S310)에서 터치 면적을 판단하고, 제2 분석 단계(S320)에서 터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판단의 대상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며, 손가락의 개수 등 1회의 터치로 판단할 수 있는 다른 정보일 수도 있다.
즉, 1회의 터치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터치 면적, 터치하는 손가락의 방향, 또는 터치하는 손가락의 개수 등에 카드 정보 또는 사용 제한 정보가 대응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이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의 터치를 분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로딩된 카드 정보 및 사용 제한 정보를 바탕으로 노출 단자부(140) 및 자기장 발생부(150)를 통해 카드 리더기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S51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10)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1회의 터치로 원하는 카드 정보를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카드의 보안을 위한 사용 제한 설정도 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스마트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스마트 카드 100: 플레이트
102: 전면 104: 후면
110: 제어부 120: 배터리
130: 메모리 140: 노출 단자부
150: 자기장 발생부 160: 헤드 감지부
170: 통신부 18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82: 전원 버튼 184: 터치스크린

Claims (16)

  1. ISO 7810 표준의 규격을 만족시키는 크기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제공되는 배터리;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제공되며, 복수의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플레이트의 외면에 제공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을 원하는 카드를 선택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의 위치 및 면적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의 카드 정보를 카드 리더기에 제공할 수 있는 카드 정보 제공 수단; 및
    상기 터치수단을 통해 인식된 터치 면적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카드의 카드 정보를 상기 카드 정보 제공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1회의 터치에 의해 상기 터치 수단이 터치된 면적이 전체인지, 1/2인지 여부 및 상기 터치 수단의 전체 또는 1/2을 터치한 손가락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위치 및 면적과, 미터치 영역의 위치 및 면적에 따라 상기 손가락의 방향을 판단하며,
    상기 터치 면적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이 전체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되, 상기 터치 수단의 꼭지점부에 형성된 미터치 영역의 너비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도 상기 터치 수단이 전체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터치 수단의 일측 또는 타측이 설정된 범위의 영역에서 모두 터치되고, 미터치 영역은 상기 터치 수단의 타측 또는 일측에만 형성되는 경우 1/2 터치로 인식하고,
    상기 터치 수단의 제1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이 터치된 경우와, 상기 터치 수단의 제2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이 터치된 경우 서로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수단은 터치 센서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터치스크린인 스마트 카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손가락의 방향 및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손가락의 개수가 1개인지 2개인지에 따라 기 설정된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면적의 중앙부분에 미터치 영역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존재하는 경우, 손가락 2개가 상기 터치수단을 전체 터치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중앙부분의 미터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전체 터치의 경우와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
  10. 삭제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터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터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카드의 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터치 방향 중 다른 하나의 정보에 따라, 사용 제한 정보를 설정하는 스마트 카드.
  13. 사용자로부터 ISO 7810 표준의 규격을 만족시키는 크기의 플레이트에 제공된 터치 수단을 통한 터치 입력을 대기하는 터치 대기 단계;
    상기 터치 수단으로부터 사용자의 1회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인식 단계;
    제어부가 상기 터치 수단을 통해 인식된 터치의 터치 면적 및 터치하는 손가락의 방향을 판단하는 터치 분석 단계;
    상기 제어부가 메모리로부터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카드 정보 로딩 단계; 및
    상기 로딩된 카드 정보를 카드 정보 제공 수단을 통해 카드 리더기 측으로 제공하는 카드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분석 단계는,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손가락의 방향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제1 분석 단계; 및
    상기 터치 면적 및 상기 손가락의 방향 중 다른 하나를 판단하는 제2 분석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 수단을 터치한 위치 및 면적과, 미터치 영역의 위치 및 면적에 따라 상기 손가락의 방향을 판단하며,
    상기 터치 면적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터치 수단이 전체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되, 상기 터치 수단의 꼭지점부에 형성된 미터치 영역의 너비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에도 상기 터치 수단이 전체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터치 수단의 일측 또는 타측이 설정된 범위의 영역에서 모두 터치되고, 미터치 영역은 상기 터치 수단의 타측 또는 일측에만 형성되는 경우 1/2 터치로 인식하고,
    상기 카드 정보 로딩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1회의 터치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수단이 전체적으로 터치되었는지, 1/2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터치 수단의 전체 또는 1/2을 터치한 손가락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터치 수단의 제1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이 터치된 경우와, 상기 터치 수단의 제2 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이 터치된 경우 서로 다른 카드의 카드 정보를 로딩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석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스마트 카드의 사용 제한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카드 정보 제공 단계의 수행이 제한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제한 정보는,
    상기 1회의 터치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의 사용 가능 횟수 또는 상기 스마트 카드의 사용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
KR1020160049587A 2016-03-02 2016-04-22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2282 WO2017150923A1 (ko) 2016-03-02 2017-03-02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카드 충전기 및 스마트 카드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876 2016-03-02
KR20160024876 2016-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203B1 true KR101727203B1 (ko) 2017-04-17

Family

ID=5870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5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203B1 (ko) 2016-03-02 2016-04-22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977A1 (ko) * 2017-05-23 2018-11-29 트위닝 주식회사 스마트카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373B1 (ko) * 2005-11-30 2007-01-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휴대 기기, ic 카드 기능 로크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ic 카드 기능 로크 제어방법
JP2014109888A (ja) * 2012-11-30 2014-06-12 Kddi Corp 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373B1 (ko) * 2005-11-30 2007-01-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휴대 기기, ic 카드 기능 로크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ic 카드 기능 로크 제어방법
JP2014109888A (ja) * 2012-11-30 2014-06-12 Kddi Corp 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977A1 (ko) * 2017-05-23 2018-11-29 트위닝 주식회사 스마트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855B1 (ko) 멀티스마트카드
KR101728523B1 (ko) 스마트멀티카드 및 스마트멀티카드용 카드데이터 발급방법
US20080061149A1 (en) Proximity payment card with security interlock
US20120313901A1 (en) Compensating for an antenna that is close enough to a touchpad to cause interference with touch sensor operation
US118037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070051324A (ko) 터치패드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비접촉 카드 판독기
US9881434B2 (en) Intelligent portable object comprising graphical personalization data
CN104918872A (zh) 使用手势输入锁命令
US20190251802A1 (en) Tablet pos terminal
TWI610244B (zh) 晶片卡載體、具晶片卡載體的行動裝置系統及晶片卡存取系統
US20060157567A1 (en) Terminal with a touch panel display and touch panel display
US9262651B2 (en) Method for preventing unintended contactless interaction when performing contact interaction
KR101773376B1 (ko)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카드 충전기 및 스마트 카드 리더기
US20100108771A1 (en) Financial transaction card
US6836267B1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a processor readable medium
KR101727203B1 (ko)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21086A (ko)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카드 충전기 및 스마트 카드 리더기
EP3644175B1 (en) Signature input device, settlement terminal, and signature input method
KR101993137B1 (ko) 전자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문서
KR101755592B1 (ko)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JP2014016859A (ja) 入力装置
CN110199298A (zh) 带触摸功能的双侧按钮
CN206147861U (zh) 一种便携式收款终端
KR20180097460A (ko) 스마트 멀티 카드의 제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스마트 멀티 카드
JP3813924B2 (ja) 非接触型icカード取引装置、該装置に用いられる取引方法及び取引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8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