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154B1 - Snow melting block with enhanced water permeable - Google Patents
Snow melting block with enhanced water perme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7154B1 KR101727154B1 KR1020150081656A KR20150081656A KR101727154B1 KR 101727154 B1 KR101727154 B1 KR 101727154B1 KR 1020150081656 A KR1020150081656 A KR 1020150081656A KR 20150081656 A KR20150081656 A KR 20150081656A KR 101727154 B1 KR101727154 B1 KR 101727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layer
- upper concrete
- block
- water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66 anti-perspi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13 antiperspi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80 chela (arthropod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chlorine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80 pervious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28 severe inju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3 snow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1 spa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에 관한 것으로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에 적설 및 결빙이 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해빙함과 동시에 지면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해빙수의 지면 배출시간을 단축하여 해빙수의 재결빙을 방지하고 블록상에서의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열전도성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상부콘크리트층; 상기 상부콘크리트층의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상부콘크리트층의 외면으로 입구 및 출구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배관; 상기 배관 사이의 수직방향으로 상부콘크리트층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투수성블록; 상기 상부콘크리트층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상부콘크리트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결합 고정되는 하부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block having an increased water permeability. When snowing and icing occurs on a concrete block forming a guide or a roadway, it can be quickly thawed and discharged to the ground, An upper concrete layer formed of thermally conductive concrete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to prevent re-icing of sea water and prevent water splashing on the block; A pipe inserted into the upper concrete layer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being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upper concret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pipes, and a water-permeable block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And a lower concrete layer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crete layer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oncrete lay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에 적설 및 결빙이 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해빙함과 동시에 지면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해빙수의 지면 배출시간을 단축하여 해빙수의 재결빙을 방지하고 블록상에서의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block, which is capable of quickly thawing and discharging it to the ground when it is snowed and iced on a concrete block forming a car or a roadw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block having an increased water permeability, which is capable of shortening the surface discharge time of ice water and preventing re-icing of ice water and preventing splashing of water on the ice block.
겨울철에 눈, 비 등으로 인해 보도블록 상에 결빙이 발생되면, 낙상사고율이 평소에 비해 높아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태양열, 태양광을 이용한 제설방법, 염화칼슘, 소금 또는 모래를 살포하여 해빙하는 방법, 열선 등을 통해 지면을 가열하여 제설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If freezing occurs on the sidewalk block due to snow, rain, etc. during the winter season, the rate of falling falls is higher than usual. In order to prevent this, conventionally, a method of snow removal using solar heat and sunlight, a method of spreading calcium chloride, a method of spreading salt or sand and thawing, and a method of heating and heating the ground through heat rays have been used.
상기한 방법 중 먼저, 염화물계 제설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제설작업의 시행으로 인해 도로주변의 과수 및 농작물, 토양 등이 오염되는 등의 추가피해도 발생하여 국내·외 염화물계 제설제 사용피해 저감 방안으로 친환경 제설제 사용을 통한 피해저감 방안 및 강설 전에 살포하여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방동제를 살포하는 방법 등을 유도하고 있으나 높은 단가로 인하여 사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Among the above-mentioned methods, the method using the chloride-based snow remover causes additional damage such as pollution of fruit trees, crops and soil around the road due to the execution of the snow removal work, thereby reducing the use of domestic and foreign chloride- As a method, there are methods to reduce damage through the u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now remover, and a method of spraying an antiperspirant to prevent snow accumulation before snowing, but it is hardly used because of high unit price.
이때, 제설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제설제는 주로 염화나트륨(NaCl)과 염화칼슘(CaCl2)이며, 제설제에 함유된 염소 이온은 대기에 노출되는 콘크리트에 동결융해 작용을 받을 시, 온도 구배차이에 따른 열충격(Thermal Shock)으로 조기열화를 촉진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제설제에 의한 반복적인 동결융해 작용에 교통하중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도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피해 정도가 심각하고, 표면 스케일링(Surface Scaling), D 균열(D-Line Cracking), 팝-아웃(Pop-Out), 스폴링(Spalling) 등의 피해로 구조물의 내구성에 심각한 피해를 주게 되어 제설비용은 물론 도로의 복구비용까지 추가되는 실정이다.In this case, the snow remnants used for the snow removal are mainly NaCl and CaCl 2 , and the chlorine ions contained in the snow remover are subjected to freezing and thawing in the concrete exposed to the atmosphere, Thermal shock is a major cause of accelerated early deterioration. Especially, the road concrete structures affected by repeated traffic freezing and thawing by the snow removers have severe damage, and surface scaling, D-line cracking, pop-out -Out), spalling, etc.,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is severely damaged, so that not only the snow removal cost but also the road recovery cost is added.
한편, 다른 방법 중 열선이나 히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강설시 초기대응이 가능한 발열포장(Snow melting cable)을 통하여 제설제를 사전에 차단하여 피해를 저감시키는 방안이 개발되었으나, 전기히터 방식의 융설, 결빙방지 포장은 고가의 초기 설치비용 및 운영에 따른 전력량의 소모가 높고, 도로포장의 조기손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어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친환경 융설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the meantime, a method of reducing damages by blocking the snow removing agent through a heat melting package (snow melting cable) which can be treated at the early stage during snowing by using hot wire or heater among other methods has been developed. However,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co-friendly snowmelt system based on new and renewable energy because it has high disadvantages such as high initial installation cost, high power consumption due to operation, and premature damage of road pavement.
또 다른 방법 중 태양열, 태양광을 이용한 방법으로 공개특허 제10-2014-0017366호에서는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발열하는 히트선을 구비한 발열패널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로 결빙방지 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으나, 이러한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눈이 오는 날, 특히 강설이 이어지는 경우에 무용지물이 되며, 또한 집광면에 흙이나 먼지 등이 쌓여 오염되면 그 효율이 급격히 떨어져 비용대비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는 단지 도로면에 열을 전달하여 결빙을 해결하는 수단만을 개시한 것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기적 장치는 단선이나 작동불량과 같은 잔고장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In another method using solar and sunlight,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7366 discloses a road icing prevention system including a heat generating panel assembly having a heat ray that receives electricity from sunlight and generates heat However, such a method using sunlight is ineffective on snowy days, especially when snowfall continues, and when soil or dust is piled up on the light-collecting surface, the efficiency is rapidly lowered and the cost efficiency is low. In addition, this is merely a means of merely releasing means for solving freezing by transmitting heat to the road surface, and there is a concern that such an electric device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because of a concern about breakdown such as disconnection or mal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에 적설 및 결빙이 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해빙함과 동시에 지면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해빙수의 지면 배출시간을 단축하여 해빙수의 재결빙을 방지하고 블록상에서의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block, There is an object to provide a snow block having an increased water permeability, which is capable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discharging the surface of the sea water to prevent re-icing of sea water and preventing splashing of water on the blo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도성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상부콘크리트층(10);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외면으로 입구(25) 및 출구(26)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배관(20); 상기 배관(20) 사이의 수직방향으로 상부콘크리트층(10)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30) 및 상기 관통공(30)에 삽입되는 투수성블록(40);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상부콘크리트층(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결합 고정되는 하부콘크리트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이때,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과 하부콘크리트층(50)은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로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하부콘크리트층(50) 상에는 투수성블록(4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지면과 연통하는 배출공(5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투수성블록(40)과 하부콘크리트층(50)은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로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또한,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면은 상기 투수성블록(4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구배(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배관(20)은 인접배열되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마주하는 면부에 입구 및 출구가 노출형성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마주 위치한 입구 및 출구에 삽입되는 연결배관(60)을 구비하여 마주하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측부끼리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관통공(30)은 투수성블록(40)의 단면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투수성블록(40)이 안착되도록 배출공(54)의 상부측에 단턱홈부(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rough
또한, 상기 투수성블록(40)은 상부콘크리트층(10)의 관통공(30) 상에서 이탈이 용이하도록 투수성블록(40)의 상부면 상에 집게삽입용 요홈(4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은 인도 또는 차도에 적설 및 결빙이 되는 경우 고온의 유체가 이동되는 배관을 통해 이를 신속하게 해빙함과 동시에 배관들 사이 마다에 구비되는 투수성블록을 통해 그 해빙수를 신속하게 지면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해빙수가 융설블록의 상부면에 머무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즉, 해빙수의 지면 배출시간을 단축하여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해빙수의 재결빙을 방지하고, 또한 차량이나 보행자에 의한 융설블록 상에서의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snow-melting block having increased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rosted or snowed on a road or a roadway, it rapidly thaws it through a pipe through which a high-temperature fluid is moved, The number of ice sheets can be rapidly discharged to the ground through the block, thereby minimizing the time for the ice water to sta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now block,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icing and prevent splashing of water on a snow-melting block by a vehicle or a pedestrian.
또한, 상부콘크리트블록의 구배, 투수성블록 및 배출공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상에 체류하는 시간을 더욱 최소화하여 열손실을 극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taken for the fluid flow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gradient of the upper concrete block, the permeable block and the discharge hole to stay on the automatic pouring concrete block is further minimized, and the heat loss can be minimized.
또한,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블록화하여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하며, 블록화되어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블록의 파손 또는 이상이 발생 시 인도 및 차도를 전체적으로 교체하지 않고 해당 블록만 교체 또는 보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보수기간 및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역시 상부콘크리트층, 하부콘크리트층 및 투수성블록으로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모듈 중 파손 또는 이상이 발생한 해당 모듈만을 교체 또는 보수가 가능하며, 내부에 삽입된 배관으로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면서 열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 또는 인원이 없어도 자동으로 도로 상에 형성된 적설 또는 결빙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하절기에는 배관으로 저온의 유체를 유동시켜 도로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transfer and install concrete blocks that form a guide or a roadway, and since the block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replace or repair the block without replacing the guide and roadway as a whole when breakage or abnormality occur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period and maintenance cost. Also, since one automatic pouring concrete block is also modularized into the upper concrete layer,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water permeable block, It is possible to replace or repair only the relevant module. Since the high-temperature fluid flows through the pipe inserted inside, heat transfer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so that the snow or ice formed on the road can be automatically removed without any additional apparatus or personnel In the summer, low-temperature fluid flows through the pipe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from ris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배관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 상태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ipe of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pipe of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에 적설 및 결빙이 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해빙함과 동시에 지면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해빙수의 지면 배출시간을 단축하여 해빙수의 재결빙을 방지하고 블록상에서의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콘크리트층(10), 배관(20), 관통공(30), 투수성블록(40) 및 하부콘크리트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freezing and discharging a concrete block forming a guideway or a roadway, and discharging the same to the ground, there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discharging the ground water to re- (20), a through hole (30), a water permeable block (40), and a lower portion of the waterproof block (40) And a concrete layer (50).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은 차도 또는 인도 등의 도로의 상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동절기에 적설 또는 결빙이 발생 시 내부에 삽입된 배관(20)을 유동하는 뜨거운 유체의 열기를 받아 상부콘크리트층(10) 상면의 적설 또는 결빙을 녹이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상부콘크리트층(10)은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 시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배관(20) 내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열기를 빠르게 상면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면은 적설 또는 결빙이 제설 또는 해빙되며 발생하는 유체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상부콘크리트층(10) 내부로 유입되어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후술되는 투수성블록(4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구배(S)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면에서는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구배(S)의 각도를 과장되게 도시하였으나, 실제 사용 시에는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 시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부를 흐르는 유체가 일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는 각도를 산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각도로 구배(S)가 형성되도록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배관(20)은 도 1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부콘크리트층(10) 내부에 삽입되어 열원(70)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양태에 따라 상부콘크리트층(10) 내부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전면적에 걸쳐 고른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20)의 입구(25) 및 출구(26)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도 1에서는 일실시예로 배관(20)의 입구(25) 및 출구(26)가 인접배열되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마주하는 면부에 노출형성하여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되는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 상의 상부면에서부터 하부면에까지 연통되는 관통공(30)을 다수 형성한다. 관통공(30)을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콘크리트층(10)의 전면적에 걸쳐 배열되는 배관(20) 사이마다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30)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투수성블록(40)을 관통공(30)에 삽입함으로써 배관(20)의 열기로 인한 상부콘크리트층(10) 상부면의 해빙수가 그 상부면에 오래 머물러 있지 않고 해빙되는 순간부터 인접한 다수 투수성블록(40)을 통해 지면측으로 즉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해빙수의 지면 배출시간이 단축되어 외부 추위로 인한 해빙수의 재결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블록상에서 해빙수의 머무는 시간이 짧아 차량이나 사용자 등에 의한 블록상에서의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30)은 투수성블록(4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plurality of through
이때 상술된 상부콘크리트층(10) 상에서 투수성블록(4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구배(S)를 구성하게 되면 신속하면서도 용이한 배출을 달성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gradient S that gradually decrea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상기 하부콘크리트층(50)은 상부콘크리트층(10)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상부콘크리트층(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를 지지하고, 배관(20)에서 배출되는 열기가 하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관(20)을 기준으로 상향 열류량을 최대화하고, 하향 열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하부콘크리트층(50)은 상부콘크리트층(1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낮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때, 상부콘크리트층(10)과 하부콘크리트층(50)은 상호간에 돌기(12) 및 홈(52)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호간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람 또는 차량이 통행되더라도 상부콘크리트층(10)이 하부콘크리트층(50) 상에서 위치가 이탈되지 않고, 최초 결합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강도가 향상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하부콘크리트층(50) 상에는 투수성블록(4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지면측으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지면과 연통하는 배출공(54)이 더 형성된다. 이때 배출공(54)은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투수성블록(40)의 하부측에 형성되도록 하며, 투수성블록(40)의 두께보다 작은 직경의 통공 형태로 다수 형성되도록 도시되었으나, 배출공(54)의 직경은 투수성블록(40)의 두께보다 크거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On the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공(54)은 투수성블록(40)의 단면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투수성블록(40)이 안착되도록 배출공(54)의 상부측에 단턱홈부(56)를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4 and 5, the
이러한 배출공(54)의 구성으로 인해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면, 투수성블록(40) 및 배출공(34)을 순차적으로 통해 외부의 유체가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배관(20)의 전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상기 인접배열되어 마주하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배관(20)의 입구(25) 및 출구(26)는 연결배관(60)을 통해 삽입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연결배관(60)은 도 7에서와 같이 입구(25) 및 출구(26)에 연결삽입되도록 구성되며, 강성과 밀착성을 동시에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거나, 스틸강관으로 형성되어 본딩이나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inlet 25 and the outlet 26 of the
한편, 상기 투수성블록(40)은 상술된 상부콘크리트층(10) 및 하부콘크리트층(50)에 결합구성과 같이 투수성블록(40) 및 하부콘크리트층(50)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로 결합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고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The water-
상기 투수성블록(40)은 상부콘크리트층(10) 및 하부콘크리트층(50) 처럼 별도의 블록화된 상태로 제공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사용양태에 따라서 관통공(30) 상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상에 투수성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수성블록(4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면 상에 집게삽입용 요홈(41)을 형성하여 상부콘크리트층(10)의 관통공(30) 상에서 투수성블록(40)의 이탈을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water-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은 사용하고자 하는 인도 또는 차도의 면적을 계산하여 그 크기를 결정한다. 도 8을 참고하여 보면, 인도 또는 차도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콘크리트 블록을 밀착시켜 배치하되, 상부콘크리트층(10) 및 하부콘크리트층(50)을 우선적으로 배치한다.In the snow block having the increased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guide or roadway to be used is calculated and its size is determined. Referring to FIG. 8, the concrete blocks ar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roadway or the roadway, and the
그 다음,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의 배관(20)을 열원(70)의 공급관 및 회수관에 연결하고, 상부콘크리트층(10) 상의 관통공(30)에 투수성블록(40)을 결합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The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은 동절기에 적설 또는 결빙이 발생하는 경우, 열원(70)으로부터 고온의 유체를 공급받아 배관(20)으로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며, 이에 배관(20)은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며 발생하는 열기를 상부콘크리트층(1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부콘크리트층(10)은 하부콘크리트층(5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관(20)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향 열류량을 최대화하고, 하향 열류량을 최소화시켜 열전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the snow block having increased water perme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now or ice occurs in the winter season, a high temperature fluid is supplied from the
이와 같이 배관(20)을 유동하는 고온 유체의 열전달을 통해 자동으로 상부콘크리트층(10) 상에 형성된 적설 또는 결빙을 신속하게 녹임으로써, 보행자 또는 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By automatically dissipating snow or ice formed on the upper
이때, 적설 또는 결빙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유체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구배(S)를 따라 투수성블록(40) 측으로 유동하고, 배관(20) 사이마다에 구비되는 투수성블록(40)을 통해 하부측으로 유동한 유체는 하부콘크리트층(50)에 형성된 배출공(54)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통과하여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배관(20)을 통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luid generated while snow melting or freezing flows flows toward the water-
이와 반대로, 하절기에는 인도 또는 차도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배관(20)을 통해 저온의 유체를 통과시켜 인도 또는 차도의 온도를 낮춰줄 수 있다.Conversely, during the summ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elivery or driveway rises excessively, the low temperature fluid can be passed through the
10 : 상부콘크리트층 20 : 배관
30 : 관통공 40 : 투수성블록
50 : 하부콘크리트층 54 : 배출공
60 : 연결배관10: upper concrete layer 20: piping
30: Through hole 40: Permeable block
50: lower concrete layer 54: discharge hole
60: Connection piping
Claims (8)
상기 상부 콘크리트층(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면적에 걸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외면으로 입구(25) 및 출구(26)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배관(20);
상기 상부 콘크리트층(10)의 배관(20)들 사이마다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부 면에서부터 하부 면에까지 연통되는 관통공(30);
상기 관통공(30)과 단면적이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져 배관들 사이마다 구비되어 관통공(30)에 삽입되는 투수성 블럭(40);
상기 상부 콘크리트층(10) 하부에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상부콘크리트층(10)와 돌기(12) 및 홈(52) 구조로 결합 고정되며, 지면과 연통하는 배출공(54)이 형성된 하부콘크리트층(50);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콘크리트층(10)의 상면은 투수성블록(4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구배(S)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0)은 투수성블록(40)의 단면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지면서 투수성블록(40)이 안착되도록 배출공(54)의 상부측에 단턱홈부(56)가 형성되며, 상기 투수성 블록(40)은 상부콘크리트층(10)의 관통공(30) 상에서 이탈이 용이하도록 투수성 블록(40)의 상부면 상에 집게삽입용 요홈(4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An upper concrete layer 10 formed of thermally conductive concrete;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concrete layer 10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can flow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inlet 25 and the outlet 26 ar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 piping 20;
A through hole 30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pipes 20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communicat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A water permeable block 40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through hole 30 so as to have the same cross sectional area as the through hole 30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0;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nd are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n the structure of the projections 12 and the grooves 52, Layer 50; ≪ / RTI >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formed with a gradient S that gradually decreas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permeable block 40 is coupled. The through hole 30 has the same cross- And the water permeable block 4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hole 54 so that the water permeable block 40 is seated while the through hole 30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is formed Wherein grooved insertion grooves (4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ermeable block (40) so as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waterproof block (40).
상기 하부콘크리트층(50) 상에는 투수성블록(4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지면과 연통하는 배출공(5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charge hole (54) communicating with the ground surface is formed on the lower concrete layer (50) so that discharg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water permeable block (40) is facilitated.
상기 투수성블록(40)과 하부콘크리트층(50)은 상호간에 돌기 및 홈 구조로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permeable block (40) and the lower concrete layer (5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rojection and a groove structure.
상기 배관(20)은 인접배열되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마주하는 면부에 입구 및 출구가 노출형성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마주 위치한 입구 및 출구에 삽입되는 연결배관(60)을 구비하여 마주하는 상부콘크리트층(10)의 측부끼리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pe 2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60 which is positioned so that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exposed and facing each other on the facing surface of the adjacent upper concrete layer 10 and inserted into the opposite inlet and outlet, And the side portions of the upper concrete layer (1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656A KR101727154B1 (en) | 2015-06-10 | 2015-06-10 | Snow melting block with enhanced water perme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656A KR101727154B1 (en) | 2015-06-10 | 2015-06-10 | Snow melting block with enhanced water permeab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5860A KR20160145860A (en) | 2016-12-21 |
KR101727154B1 true KR101727154B1 (en) | 2017-04-17 |
Family
ID=5773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16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154B1 (en) | 2015-06-10 | 2015-06-10 | Snow melting block with enhanced water permea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715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2445B1 (en) | 2022-03-30 | 2023-01-26 | 최성호 | Conservative block and road pavement method using the same |
KR102504753B1 (en) | 2022-02-21 | 2023-02-28 | 주식회사 성진산업 | An elastic mat block having water retentivity and elasticity,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aving us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5132B2 (en) * | 1991-04-19 | 2000-03-0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Automatic white balance tracking device |
JP2005315063A (en) * | 2004-03-30 | 2005-11-10 | Showa Concrete Ind Co Ltd | Snow melting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snow melting roadbed |
KR101124608B1 (en) * | 2011-09-05 | 2012-03-20 | 박건호 | Permeability block |
-
2015
- 2015-06-10 KR KR1020150081656A patent/KR1017271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5132B2 (en) * | 1991-04-19 | 2000-03-0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Automatic white balance tracking device |
JP2005315063A (en) * | 2004-03-30 | 2005-11-10 | Showa Concrete Ind Co Ltd | Snow melting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snow melting roadbed |
KR101124608B1 (en) * | 2011-09-05 | 2012-03-20 | 박건호 | Permeability block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4753B1 (en) | 2022-02-21 | 2023-02-28 | 주식회사 성진산업 | An elastic mat block having water retentivity and elasticity,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aving using the same |
KR102492445B1 (en) | 2022-03-30 | 2023-01-26 | 최성호 | Conservative block and road pavement method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5860A (en) | 2016-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627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now Heating Element Using Heat Transfer Material Containing Carbon Nanotube Mixture | |
CN103088741A (en) | Highway bridge pavement deicing and snow melting system based on energy pile and running mode | |
KR101145611B1 (en) | Snow mel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smart geothermal heatpump | |
KR101727154B1 (en) | Snow melting block with enhanced water permeable | |
CN205907587U (en) | Pontic heat preservation device | |
KR101091210B1 (en) | Road ice prevention system using apartment geothermal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 |
KR101293236B1 (en) | Snow melting system for entry and exit road of tunnel | |
KR101488416B1 (en) | Facilities utilizing new and renewable sources of geothermal cooling and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nowmelt road | |
KR20190129193A (en) | System for preventing road from being frozen by using solar heat | |
KR100991075B1 (en) | Road surface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ing convection of heat transfer medium in a double tube by ground heat | |
KR20150109902A (en) | A freezing removal system for road using solar photovoltaic power and electric conduction concrete | |
KR102238239B1 (en) | Heat Tubes for Preventing Road Freezing and Road Anti-Freezing Structure using Them | |
KR100969985B1 (en) | Device of freezing of the road surface using earth heat | |
CN202671996U (en) | Snow melting device for melting snow on road surface or bridge floor with natural thermal spring water on mountain | |
KR20090129630A (en) | Freezing device of road using hot wind | |
KR20160145861A (en) |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for pre-fabrication panel | |
JP5231353B2 (en) | Refrigeration system for snow and ice cooling | |
KR20160048333A (en) | 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 |
KR200383499Y1 (en) | Preventing road-freezing device structure | |
JP2004052385A (en) | Hybrid geotheremal snow melter | |
KR100495094B1 (en) | Snow clearing and ice clearing system of bridge using terrestrial heat | |
KR20130071604A (en) | Freeze preventation apparatus and constructing method of outside road surface of tunnel | |
CN201395758Y (en) | Pavement snow melting device | |
CN205368905U (en) | Steel reinforced concrete combines track roof beam heating steel pipe ice -melt snow device | |
KR20150090545A (en) | Apparatus for maintenancing road and preventing slipping on the ro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