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6998B1 -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998B1
KR101726998B1 KR1020150126056A KR20150126056A KR101726998B1 KR 101726998 B1 KR101726998 B1 KR 101726998B1 KR 1020150126056 A KR1020150126056 A KR 1020150126056A KR 20150126056 A KR20150126056 A KR 20150126056A KR 101726998 B1 KR101726998 B1 KR 10172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lade
glass door
tempered glass
g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124A (ko
Inventor
원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기전
Priority to KR1020150126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9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9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유리문을 위한 문틈새 기밀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화유리문(2)이 설치된 출입구(4) 내외측 부근에 통행자(6)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인체감지센서(8)와, 강화유리문(2)의 문틀(10) 및 강화유리문(2)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된 금속보강판(14) 사이 중 하나 이상에 내장 설치되며, 출몰작동이 가능한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를 갖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와, 인체감지센서(8)로부터 통행자(6)가 미감지되는 평상시에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블레이드(16)를 돌출시키도록 제어하여 강화유리문(2)의 문틈새(18)를 막아주고, 인체감지센서(8)로부터의 통행자(6) 감지에 따라 돌출된 블레이드(16)를 몰입 작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20)로 구성하여서, 통행자(6)가 통행시에는 블레이드(16)가 몰입되므로 냉난방 손실을 최소화 하고 외기로부터의 방음이 충분하며 안전성도 좋게 하고, 또 출입문 근처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28)으로 원격제어하여서 문틈새(18)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APPARATUS FOR BLOCKING DOOR CREVICE OF TEMPERED GLASS DOOR}
본 발명은 강화유리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구조로 된 여닫이식이나 슬라이드식 등의 강화유리문에서 생기는 문틈새를 막아주는 문틈새 기밀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상가, 백화점, 관공서, 회사 사무실 등과 같은 건물이나 대형 빌딩에는 강화유리로 된 강화유리문이 출입문으로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 유리문 구조중 사용자가 밀거나 당겨도 개방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여닫이식 강화유리문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강화유리문의 일측 상하단에 힌지를 달아서 문틀에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런데 여닫이식 강화유리문은 원활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강화유리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가 많이 벌어질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틈새는 냉방과 난방시 열손실이 가장 많이 발생케 하는 부분이 된다.
기존에는 여닫이식 강화유리문에서의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연질 PVC필름 등의 문풍지를 문의 가장자리에 부착하거나 강화유리문의 가장자리에 스폰지나 모헤어 등을 설치하여서 외기를 차단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문풍지가 오래 사용될 경우 탄성을 잃어 틈새가 벌어져 제 기능을 상실하거나 그 기능이 부실해질 수 있으며 모헤어 등이 문틀이나 바닥에 마찰력이 제공하여서 문 여닫힘성도 방해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66786호 "방풍방음과 안전이 겸비된 강화유리 출입문용 안전구"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화유리문의 설치로 생긴 문틈새에 의해 야기되는 냉난방 손실을 최소화 하고 외기로부터의 방음이 충분하며 안전성도 좋은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입문 근처의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강화유리문의 문틈 기밀에 관련된 작동상태를 편리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강화유리문을 위한 문틈 기밀유지장치에 있어서, 강화유리문(2)이 설치된 출입구(4) 내외측 부근에 통행자(6)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인체감지센서(8)와, 강화유리문(2)의 문틀(10) 및 강화유리문(2)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된 금속보강판(14) 사이 중 하나 이상에 내장 설치되며, 출몰작동이 가능한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를 갖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와, 인체감지센서(8)로부터 통행자(6)가 미감지되는 평상시에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블레이드(16)를 돌출시키도록 제어하여 강화유리문(2)의 문틈새(18)를 막아주고, 인체감지센서(8)로부터의 통행자(6) 감지에 따라 돌출된 블레이드(16)를 몰입 작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2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제어부(20)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작동시켜서 강화유리문(2)과 문틀(10)간이나 강화유리문(2)과 바닥부(42)간에 형성된 각 문틈새(18)의 틈폭을 측정하고 블레이드(16)의 돌출폭을 설정하는 블레이드 돌출폭 자동설정부(6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는, 고정자본체(30)의 작동홈부(32)의 양측 내벽면에 N/S극의 영구자석(34)을 설치하고, 고정자본체(30)의 작동홈부(32)에는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가 탑재된 가동체(36)가 삽입되게 구성하되 영구자석(34)과 마주하는 가동체(36)의 양측 외벽면에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른 N,S극의 전자석을 형성하는 여자코일(38)이 설치되어서 가동체(36)의 선형이동이 가능케 구성하며,
또 가동체(36)에는 영구자석(34)의 위치별 자력강도를 감지하여서 블레이드(16)의 돌출폭 출력값을 제어부(20)로 제공하는 홀센서(39)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20)와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포함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관리모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50)이 다운로드로 내장된 스마트폰(28)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화유리문이 설치된 출입구 내외측 부근에서 통행자를 감지하고 평상시에는 강화유리문의 문틈새를 출몰식 블레이드가 돌출되어서 긴밀하게 막아주고 통행자가 통행시에는 블레이드가 몰입되므로 냉난방 손실을 최소화 하고 외기로부터의 방음이 충분하며 안전성도 좋게 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외관성으로도 깔끔하다. 더욱이 출입문 근처에 자리하고 있는 사용자(안내직원 등)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문틈새 기밀에 관련된 여러 작동상태를 임의로 원격 조종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의 개념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에서의 문틈차단용 블레이드가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에서의 문틈차단용 블레이드가 인체감지에 따라 몰입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블레이드 액츄에이터의 결합 단면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문틀에 내장된 블레이드 액츄에이터의 출몰상태 단면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서 강화유리문의 가장자리에 연장설치된 한쌍의 보강금속판 사이에 내장된 블레이드 액츄에이터의 출몰상태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출입구 근처에 자리하고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마트폰 원격관리모드 화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어부내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관리를 위한 기능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의 개념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에서의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가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에서의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가 인체감지에 따라 몰입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여닫이식 강화유리문(2)이 설치된 출입구(4) 부근에 도 3에서와 같이 통행자(6)가 있을 경우에는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가 몰입되게 하여서 출입구(4) 통행시에 전혀 지장이 없도록 해주고, 도 2에서와 같이 출입구(4) 부근에 통행자(6)가 없을 경우에는 강화유리문(2) 사방면의 문틈새(18)가 온전히 차단되어서 실내의 냉난방에 대한 외부로의 유실이 없도록 해주며 방음도 좋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인체감지센서(8)와,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를 갖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와, 및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여닫이식 강화유리문(2)이 설치된 출입구(4) 내외측 부근에 통행자(6)를 감지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인체감지센서(8)를 각각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강화유리문(2)의 문틀(10)이나 강화유리문(2)에는 출몰작동이 가능한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를 갖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가 내장되게 구성한다.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는 그 몸체가 주로 금속사각관으로 된 문틀(10) 속에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내장 설치되며, 강화유리문(2)의 테두리 외곽에 마주하는 문틀(10)에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블레이드(16)가 돌출 또는 몰입될 수 있는 절개틈(도 6a의 11)이 일직선으로 형성되게 구성한다.
강화유리문(2)의 외곽부에 마주하는 부위중에는 출입구(4)의 바닥부(42)에서와 같이 문틀(10)이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나 기타의 필요에 따라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문(2)의 가장자리에 연장된 한쌍의 금속보강판(14)이 브라켓 고정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강화유리문(2)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된 금속보강판(14) 사이에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출몰작동이 가능한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를 갖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내장 설치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강화유리문(2)의 외곽부중 상측 및 좌우측에는 문틀(10)내에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설치하고, 강화유리문(2)의 하측 외곽부에는 강화유리문(2)의 한쌍의 금속보강판(14) 사이에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설치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로는, 상부 문틀(10)에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내장하지 않은 대신에 강화유리문(2) 상측의 한쌍의 금속보강판(14) 사이에도 강화유리문(2) 하측과 마찬가지로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구현하되 강화유리문(2)의 문틈새(18)의 틈새폭에 상당하는 짧은 거리 예를 들면 20mm 이하의 짧은 돌출작동에 유리하고 또 소음이 적고 신속하게 작동하는 수단으로 구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분해 사시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결합 단면구성도이다.
도 4의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는 유리강화문(2)의 좌우폭이나 상하폭 길이만큼 충분히 연장된 길이를 갖지만, 도 4의 표현에서는 구성의 이해 편의상 실측치로 도시하지 않은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는, 고정자본체(30)의 작동홈부(32)의 양측 내벽면에 N/S극의 영구자석(34)을 설치하고, 고정자본체(30)의 작동홈부(32)에는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가 탑재된 가동체(36)가 삽입 및 슬라이드 작동되게 구성하되 영구자석(34)과 마주하는 가동체(36)의 양측 외벽면에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른 N,S극의 전자석을 형성하는 환형의 여자코일(38)이 설치되어서 가동체(36)의 선형이동이 가능케 구성한다. 이때 영구자석(34)의 N/S극의 배치형성은 벽 정면부 관점에서 "V"자형으로 형성되게 구성한다.
가동체(36)에 탑재된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는 방음 및 단열이 가능한 탄성재질이 바람직하며, 가동체(36)는 블레이드(16)의 교체가 가능한 체결 구성을 갖는다.
가동체(36)의 최대 이동거리는 영구자석(34)의 양단 최대 자력점 사이에 형성되는 폭과 환형의 여자코일(38)에 형성된 중공부의 폭에 의해서 결정되며, 고정자본체(30)의 상부에는 가동체(36)의 스토퍼 기능을 하는 브라켓(40)이 볼트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강화유리문(2)의 위치(상,하,좌,우)별로 다를 수 있는 문틈새(18)를 스스로 온전히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블레이드(16)의 최대 돌출폭을 자동 조절되게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동체(36)의 일측단에는 영구자석(34)의 위치별 자력강도를 감지하여서 블레이드(16)의 돌출폭 출력값을 제어부(20)로 제공하는 홀센서(39)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홀센서(39)는 출력이 자계강도에 비례하는 리니어형 센서가 바람직하고, 자계감도가 10~20mV/KOe를 갖는 홀 IC(Hall IC)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출몰작동이 가능한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를 갖는 각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는 제어부(24)의 제어 하에 액츄에이터 구동부(26)에 의해서 작동된다.
도 5를 참조하여 간략 작동설명을 하면, 제어부(24)는 액츄에이터 구동부(14)를 제어하여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몰입상태로 있는 가동체(36)내 여자코일(38)에 전류를 흘려서 N극이 여자되게 함으로써 영구자석(34)과의 자계영향을 받아 가동체(36)가 상방향으로 돌출작동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16)가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돌출상태에 있는 블레이드(16)를 출몰시킬 경우에는 제어부(24)는 액츄에이터 구동부(14)를 제어하여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여자코일(38)에 S극이 여자되게 하는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가면, 본 발명의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는 문틈새의 기밀관리를 위한 제어부(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20)는 인체감지센서(8)로부터 통행자(6)가 미감지되는 평상시에는 도 6a 및 도 7a에서와 같이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블레이드(16)를 돌출시키도록 제어하여 여닫이식 강화유리문(2)의 문틈새(18)를 막아주고, 또 인체감지센서(8)로부터의 통행자(6) 감지에 따라 돌출되어 있던 블레이드(16)를 도 6b 및 도 7b에서와 같이 몰입 작동되게 제어한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는 출입구(4) 내외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8)의 작동상태에서(도 8의 100단계), 통행자(6)의 인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도 8의 102단계).
만일 인체감지센서(8)에 의해서 통행자(6)의 인체가 감지되면, 제어부(20)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블레이드(16)를 도 6b 및 도 7b에서와 같이 몰입 작동되게 제어한다.
그후 통행자(6)가 지나가서 인체감지센서(8)가 인체를 감지하지 않으면(도 8의 106단계), 미리 설정된 문틈차단 대기시간을 카운트하고(도 8의 108단계), 인체감지가 없는 상태로 카운트가 만료되면(도 8의 110단계), 제어부(20)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블레이드(16)를 도 6a 및 도 7a에서와 같이 돌출 작동되게 제어한다(도 8의 114단계).
그런데, 문틈차단 대기시간의 카운트가 만료되기 전에 통행자(6)의 인체가 감지되면(도 8의 112단계), 도 8의 104단계로 돌아가며, 몰입된 블레이드(16)의 몰입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그 다음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문틈 기밀관리장치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부(20)는 도 10에서와 같이, 강화유리문(2)의 문틈새(18)의 폭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설정해 주는 블레이드 돌출폭 자동설정부(62)를 갖는다.
제어부(20)의 블레이드 돌출폭 자동설정부(62)는 입력부(22)나 스마트폰(28)의 원격제어 요구에 따라 실행되며,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작동시켜서 강화유리문(2)과 문틀(10)간이나 강화유리문(2)과 바닥부(42)간에 형성된 각 문틈새(18)의 틈폭을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에 구비된 홀센서(39)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각 블레이드(16)마다의 적합한 돌출폭을 인식하여 내부 메모리에 해당 돌출폭 설정치로 저장한다. 그후 제어부(20)는 내부 메모리에 각기 설정된 돌출폭 설정치만큼 해당 블레이드(16)가 돌출작동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돌출폭 자동설정부(62) 이외에도, 문틈차단 대기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문틈차단 대기시간 조절부(64)와, 블레이드 돌출폭 수동조절을 위한 블레이드 돌출폭 수동조절부(66)와, 강화유리문 문틈기밀관리에 관련된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원관리부(68)와 같은 기능부도 포함한다.
제어부(2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입력부(22)를 구비하되, 사용자가 접근하기 위한 출입구 근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출입문(4) 근처에 자리하고 있는 사용자(안내직원 등)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28)으로도 문틈 기밀에 관련된 작동상태를 원격 조종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에는 블루투스무선통신과 같은 근거리통신무선부(24)가 구비되며, 또 제어부(20)와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접속할 수 있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포함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스마트폰(28)을 구비하되, 스마트폰(28)에는 스마트폰의 온라인마켓이나 앱스토어 등에서 등록된 도 9와 같은 원격관리모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50)을 다운로드 받아서 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게 구성한다.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출입구 근처에 자리하고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50)을 이용한 스마트폰 원격관리모드 화면 구성도로서, 원격관리모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50)을 구동함에 따라 스마트폰(5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스마트폰 원격관리모드의 화면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문틈차단 대기시간 조절버튼(52)과, 블레이드 돌출폭 조절버튼(54), 인체센서 감도조절버튼(56), 자동설정버튼(58), 전원 온/오프버튼(60)이 터치아이콘 형태로 나타나며, 해당 버튼을 사용자가 터치함에 따라 해당 버튼기능이 실행된다.
문틈차단 대기시간 조절버튼(52)은 강화유리문(2)의 문틈새(18)를 차단작동하기 이전에 우선적으로 기다려야 하는 대기시간을 조절하는 수단이며, 블레이드 돌출폭 조절버튼(54)은 강화유리문(2)의 사방 문틈 각각에 대한 해당 블레이드(16)의 돌출폭을 수동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고, 인체센서 감도조절버튼(56)은 출입구(4)의 내외측에 각기 설치된 인체감지센서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자동설정버튼(58)은 문틈차단 대기시간 및 인체감지센서(8)의 감도는 디폴트 값으로 설정해 주고 강화유리문(2)의 블레이드 돌출폭 조절은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사방의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블레이드(16)에 대한 출몰 작동후 제어부(20)가 각 홀센서(39)의 결과 값을 이용하여 각 블레이드(16)의 돌출폭이 설정되게 하는 수단이다.
출입구(4) 근처에 있는 사용자가 갖고 있는 스마트폰(28)을 이용한 강화유리문(2)에 대한 문틈새 기밀유지 관련한 원격제어는, 실내의 냉난방을 유지를 도모하면서도 출입구(4) 근처의 사용자(안내직원 등)의 맞춤 사용에 있어 상당한 편리함과 지속적인 문틈새 기밀 유지관리를 할 수 있게 허락한다.
스마트폰(28)이나 입력부(22)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조정된 설정값은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블레이드(16)의 돌출이 강화유리문(2)의 사방 문틈새(18)에 대해서 안성맞춤으로 이루어지게 해주고, 인체감지센서(8)의 감도 부적합이나 대기시간 부적합 등으로 출입구(4)의 근처의 사용자에게 주는 불편함을 최소화되게 해준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행자가 강화유리문(2)를 통행시에는 블레이드(16)가 몰입되므로 냉난방 손실을 최소화 하고 외기로부터의 방음이 충분하며 안전성도 좋은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여닫이식 강화유리문에 관련해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드식 강화유리문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그외 문틈새가 많이 벌어지는 유리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강화유리문 (4)-- 출입구
(6)-- 통행자 (8)-- 인체감지센서
(10)-- 문틀 (12)-- 금속보강판
(14)-- 블레이드 액츄에이터 (16)-- 블레이드
(18)-- 문 틈새 (20)-- 제어부
(22)-- 입력부 (24)-- 근거리통신무선부
(26)-- 액츄에이터 구동부 (28)-- 스마트 폰
(30)-- 고정자본체 (32)-- 작동홈부
(34)-- 영구자석 (36)-- 가동체
(38)-- 여자코일 (39)-- 홀센서
(40)-- 브라켓 (42)-- 바닥부
(50)-- 원격관리모드 모바일 어플레케이션
(52)-- 문틈차단 대기시간조절버튼
(54)-- 블레이드 돌출폭 조절버튼
(56)-- 인체감지센서 감도조절버튼
(58)-- 자동설정부 버튼부
(60)-- 전원 온/오프 버튼

Claims (4)

  1. 강화유리문을 위한 문틈 기밀유지장치에 있어서,
    강화유리문(2)이 설치된 출입구(4) 내외측 부근에 통행자(6)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인체감지센서(8)와,
    강화유리문(2)의 문틀(10) 및 강화유리문(2)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된 금속보강판(14) 사이 중 하나 이상에 내장 설치되며, 출몰작동이 가능한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를 갖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와,
    인체감지센서(8)로부터 통행자(6)가 미감지되는 평상시에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의 블레이드(16)를 돌출시키도록 제어하여 강화유리문(2)의 문틈새(18)를 막아주고, 인체감지센서(8)로부터의 통행자(6) 감지에 따라 돌출된 블레이드(16)를 몰입 작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20)로 구성하며,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는, 고정자본체(30)의 작동홈부(32)의 양측 내벽면에 N/S극의 영구자석(34)을 설치하고, 고정자본체(30)의 작동홈부(32)에는 문틈차단용 블레이드(16)가 탑재된 가동체(36)가 삽입되게 구성하되 영구자석(34)과 마주하는 가동체(36)의 양측 외벽면에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른 N,S극의 전자석을 형성하는 환형의 여자코일(38)이 설치되게 구성하여서 가동체(36)의 선형이동이 가능케 구성하고,
    가동체(36)에는 영구자석(34)의 위치별 자력강도를 감지하여서 블레이드(16)의 돌출폭 출력값을 제어부(20)로 제공하는 홀센서(39)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작동시켜서 강화유리문(2)과 문틀(10)간이나 강화유리문(2)과 바닥부(42)간에 형성된 각 문틈새(18)의 틈폭을 측정하고 블레이드(16)의 돌출폭을 설정하는 블레이드 돌출폭 자동설정부(6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20)와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접속하여 블레이드 액츄에이터(14)를 포함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관리모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50)이 다운로드로 내장된 스마트폰(28)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KR1020150126056A 2015-09-07 2015-09-07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Active KR10172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56A KR101726998B1 (ko) 2015-09-07 2015-09-07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56A KR101726998B1 (ko) 2015-09-07 2015-09-07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24A KR20170029124A (ko) 2017-03-15
KR101726998B1 true KR101726998B1 (ko) 2017-04-14

Family

ID=5840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056A Active KR101726998B1 (ko) 2015-09-07 2015-09-07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63B1 (ko) * 2020-06-09 2021-03-23 박형준 문틀 실링장치
KR102769021B1 (ko) * 2023-09-19 2025-02-19 박기준 공용화장실의 개폐문의 틈새 차단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1654A (ja) * 2008-03-13 2009-10-01 Aisin Takaoka Ltd 遮音ドア装置
KR101266937B1 (ko) * 2011-09-08 2013-05-28 조승래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6486A (ja) * 1985-06-12 1986-12-1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ドアの制御装置
KR100466786B1 (ko) 2002-03-29 2005-01-24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방풍방음과 안전이 겸비된 강화유리 출입문용 안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1654A (ja) * 2008-03-13 2009-10-01 Aisin Takaoka Ltd 遮音ドア装置
KR101266937B1 (ko) * 2011-09-08 2013-05-28 조승래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24A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2930A1 (en) Electronic lock with door orientation sensing
KR10199772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KR101726998B1 (ko) 강화유리문용 문틈새 기밀유지장치
JP2015048631A (ja) 電動突き出し窓
KR101613239B1 (ko) 건축물 내부의 환기를 위한 창문자동 개폐장치
ATE341740T1 (de) Tür mit integriertem identifizierungssystem in der luftschleiereinrichtung
CN104196405A (zh) 一种含有内窗扇的窗户以及含有内门扇的门
JP2024052997A (ja) シャッター装置及び設定方法
JP2015048629A (ja) 電動突き出し窓
KR101351862B1 (ko) 침수방지를 위한 실내개폐용 문틀
US20050237014A1 (en) Motorized barrier operator system for controlling a stopped, partially open barrier and related methods
KR102123576B1 (ko) IoT 기반의 자동 도어 개폐 장치
JP6841432B2 (ja) 複合型引き違いサッシ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JP7709838B2 (ja) 引き違い窓の自動開閉装置
KR101016361B1 (ko) 침수방지를 위한 실내개폐용 문틀
JP2008303546A (ja) 上げ下げ窓の安全装置
AU2020209692B2 (en)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and opening-closing control method
US20230410616A1 (en) Customizable security alarm system comprising an rfid tag,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JP2022095440A (ja) 開閉装置及び開閉制御方法
KR101395466B1 (ko) 자기를 이용하여 방범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잠금장치
KR100702984B1 (ko) 도어용 커튼
JP2006190063A (ja) 磁気検知式センサ
KR102146965B1 (ko) 자동, 수동, 반자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 창호
KR20110139435A (ko) 문의 중간부에 장착하는 자동문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