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034B1 - Small Aquaponics System - Google Patents
Small Aquaponics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6034B1 KR101726034B1 KR1020150011213A KR20150011213A KR101726034B1 KR 101726034 B1 KR101726034 B1 KR 101726034B1 KR 1020150011213 A KR1020150011213 A KR 1020150011213A KR 20150011213 A KR20150011213 A KR 20150011213A KR 101726034 B1 KR101726034 B1 KR 1017260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rient solution
- siphon
- plant
- fish
-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8927 edible plan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07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3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3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2
- QGZKDVFQNNGYKY-UHFFFAOYSA-O Ammonium Chemical compound [NH4+] QGZKDVFQNNGYKY-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546 nitrify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1000208822 Lactuc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1148470 aerobic 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5122 Nitrosomon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JVMRPSJZNHXORP-UHFFFAOYSA-N ON=O.ON=O.ON=O.N Chemical compound ON=O.ON=O.ON=O.N JVMRPSJZNHXO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MDJDBSEMBIJBB-UHFFFAOYSA-N [O-][N+]([O-])=O.[O-][N+]([O-])=O.[O-][N+]([O-])=O.[NH6+3] Chemical compound [O-][N+]([O-])=O.[O-][N+]([O-])=O.[O-][N+]([O-])=O.[NH6+3] MMDJDBSEMBIJ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KMRRTOUMJRJIA-UHFFFAOYSA-N ammonia nh3 Chemical compound N.N XKMRRTOUMJRJ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3 flor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grav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1 hydropon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75 pho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72 pisc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 of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 Y02P60/216—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6—Plant growth regulation by control of light there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otan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이용한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쿠아포닉 사이펀은 양액의 유입속도가 느리거나 빠른 경우라도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하여 자동배수 기능이 적용된 관상용 또는 식용 식물의 재배를 위한 가정용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aquaponics system using an aquaponic siphon. The aqua phonics siph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normally even when the inflow speed of the nutrient solution is slow or fast so that a small home aqua phonics system for cultivating ornamental or edible plants to which an automatic drainage function is applied can be constru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수한 구조를 갖는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이용한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aquaponics system. More particularly, to a small aquaponics system using an aqua phonics siphon having a special structure.
아쿠아포닉스(aquaponics)는 양식(aquaculture)과 수경재배(hydroponics)의 합성어로 1차 생태계 시스템인 어류양식의 부산물을 2차 생태계 시스템인 작물의 양분으로 활용하는 친환경 재배방법이며 전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방식으로 각광 받고 있다.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사용하면 다양한 종류의 어류와 식물을 동시에 생산이 가능하고, 바이오 필터링과 재순환을 통환 수자원 재활용의 효과가 있다.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어류의 먹이만을 투입하며 식물의 영양분은 어류에 의해 생산된 배설물로부터 전환된다. 어류에 의해 생성되는 배설물은 암모니아 또는 암모늄으로 배출되며, 자연 상태의 토양, 물, 공기 중에 존재하는 질산화미생물(Nitrifying bacteria)에 의해 아질산염 및 질산염으로 변환된다. 질산화 미생물은 암모니아와 아질산염이 있는 곳이면 자연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모든 장소에 설치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빛을 제공하고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면 아무런 제약 없이 가동할 수 있다. 아쿠아포닉스의 중요한 작용원리는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에서 배설물로 인해 부영양화된 수조의 물이 질산화 미생물이 있는 바이오필터 또는 질산화 미생물과 식물이 자라는 재배부로 이동되어 정화되고 정화된 물이 다시 양식수조로 유입되어 어류가 서식하는데 필요한 물로서 순환되는 원리이다. 이를 위해서 어류가 자라는 수조와 식물이 자라는 식물재배부 사이의 물을 순환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데 종래의 기술은 펌프를 이용하여 펌핑을 하는 방법과 펌프와 함께 대기압을 이용한 사이펀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사이펀은 대기압을 이용해 높은 곳의 액체를 낮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현상 또는 기구를 의미한다. 사이펀은 대기압과 배출구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일정 수준의 수위가 되면 자동으로 물을 배출하는 기구이므로 작동하는데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고 유지비용이 저렴하다. 이러한 사이펀을 장점을 활용하여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디자인하면 식물의 재배부와 수조를 수직으로 배치한 후 하단에 펌프를 설치하여 물을 위로 이동시키고 상단에 사이펀을 설치하여 상단의 물을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디자인이 가능하다. 사이펀이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를 사용을 줄이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 뿐만 아니라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질산화 미생물의 호기성 성질에서도 기인한다. 질산화 미생물은 호기성 세균으로 공기와 접촉하는 조건에서 높은 암모늄/질산염 변환율을 보인다.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서 사이펀이 작동하게 되면 재배부의 물이 사이펀을 통해 모두 배수되므로 충전물에 붙어 자라는 세균에게 공기를 접촉하는 시간을 부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사이펀은 일정한 속도로 물이 유입되어 사이펀의 내부가 물로 채워지거나 배수 후 공기층이 형성되어야 작동이 시작되거나 멈추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사이펀이 설치된 수조에 물의 유입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빠르면 사이펀 내부가 채워지지 않아 작동이 되지 않거나 배수 후 사이펀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아 음압이 대기압보다 큰 상태로 유지되어 사이펀의 동작이 멈추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사이펀을 이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관상용 식물을 기르거나 작은 양의 식용식물을 키우기 위하여 가정에서 사용할 용도로 디자인 경우 식물 재배부나 수조의 크기가 작아 양액의 유입속도를 낮추어야 하거나 미생물의 변환율을 높일 목적으로 물의 유입속도를 낮추어야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Aquaponics is a combination of aquaculture and hydroponics. It is an eco-friendly cultivation method that uses by-products of fish ecosystem, a primary ecosystem system, as a nutrient for the second ecosystem system.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food production method. Aqua phonics system can produce various kinds of fishes and plants at the same time, and it has the effect of recycling water for biofiltering and recirculation. The aquaponics system feeds only on the fish, and the nutrients of the plant are converted from the fecal matter produced by the fish. The excreta produced by fish are discharged into ammonia or ammonium and converted into nitrite and nitrate by nitrifying bacteria present in natural soil, water and air. Since nitrifying microorganisms are naturally occurring in the presence of ammonia and nitrite, the aquaponix system can be installed in any location to provide light that the plant can grow and can be operated without restriction if the appropriate temperature is maintained. The important working principle of Aqua phonics is that the water in the eutrophicated water tank of the earthenware in the fish tank is moved to the biofilter or the nitrification microorganism with nitrification microorganism and the cultivation part where the plant grows and the purified water is returned to the aquarium It is the principle that water is circulated as the water necessary for the fish to flow in. For this purpose, a system for circulating water between a fish tank and a plant growing unit is required. Conventional techniques include a pumping method using a pump and a method using a siphon using atmospheric pressure together with a pump . Siphon means a phenomenon or mechanism that uses atmospheric pressure to move liquid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The siphon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discharges water at a certain level by using the difference in pressur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discharge port, so that it does not require energy to operate and the maintenance cost is low. By using the advantages of these siphons and designing the Aqua phonics system, the plant growers and the water tanks are arranged vertically, then the pump is installed at the bottom, the water is moved up, the siphon is installed at the top,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reason why the siphon can be used in the aqua phonics system is that it can save energy because it reduces the use of the pump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aerobic nature of the nitrifying microorganism used in the aqua phonics system. Nitrifying microorganisms are aerobic bacteria that exhibit high ammonium / nitrate conversion under air-contacting conditions. When the siphon is operated in the aqua phonics system, the water in the growing section is drained through the siphon, so that it is possible to give time for air contact to the bacteria adhering to the filling material. However, the siphon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operation starts or stops when the water flows in at a constant speed and the siphon is filled with water or the air layer is formed after draining. Therefore, if the inflow speed of the water to the siphon is too slow or too fast, the siphon is not filled, or the siphon does not stop because the air pressure is not great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because the air layer is not formed in the siphon after the drainage There are disadvantages. Therefore, aquaponix system using siphon is designed for home use to cultivate ornamental plants or small amounts of edible plants. When the size of a plant or water tank is small,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inflow rate of the nutrient solution or to increase the conversion rate of microorganisms It is not possible to operate normally if the inflow speed of water is lower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The patent documents and references cited herein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to the same extent as if each reference was individually and clearly identified by reference.
본 발명자들은 가정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소형의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느린 유입속도로 양액이 공급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개발하여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develop a small aqua phonics system that can be used at home. As a result, aquafonic siphon that operates normally even if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at a slow inflow rate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a small aquaponics system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상용 또는 식용 식물을 가정에서 재배할 수 있는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ll aquaponics system capable of cultivating ornamental or edible plants in the ho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포함하는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ll aquaponics system comprising:
(a) 식물재배조(110), 상기 식물재배조내에 미생물이 부착된 투수성 물질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충전층(120), 및 식물재배용 조명장치(130)를 포함하는 식물재배부(100); (a) a plant growing section (100) comprising a plant cultivation tank (110), a filling layer (120) in which a water permeable material with microorganisms attached thereto is lamin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tank, and a lighting device (130) for plant cultivation;
(b)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수조(210)를 포함하는 어류양식부(200); (b) a
(c) 상기 어류양식부의 양액을 상기 식물재배부에 이동시키는 호스(310), 밸브(320) 및 수중펌프(330)를 포함하는 양액 유로(300); 및 (c) a nutrient flow passage (300) including a hose (310), a valve (320) and a submerged pump (330) for moving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fish culture section to the plant growing section; And
(d) 상기 식물재배부의 양액을 상기 어류양식부에 이동시키는 아쿠아포닉 사이펀 장치(400).
(d) an aquaponic siphon device (400) for moving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plant growing section to the fish cultivation sec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mall aquaponic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식물재배부(100), 어류양식부(200), 양액유로(300), 및 아쿠아포닉 사이펀 장치(400)를 포함한다. The small aquaponic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식물재배부(100)는 식물재배조(110), 상기 식물재배조내에 미생물이 부착 할 수 있는 투수성 물질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충전층(120), 및 식물재배용 조명장치(130)를 포함한다. The
본 발명의 식물재배조(110)는 다양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투수성 물질로 적층된 충전물로 채워진다. 본 발명의 식물재배조(110)은 단일의 식물재배조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다수개의 식물재배조가 다층으로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식물재배부(100)는 식물재배조(110)의 식물에 빛을 제공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 조명장치(130)를 포함한다. 식물재배용 조명장치(130)는 식물재배조(110)의 식물에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식물재배조의 상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plant growing sec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t-growing lighting device (130) capable of providing light to the plant of the plant growing tank (110). The plant-growing
다수개의 식물재배조(110)가 다층으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식물재배조들의 양측은 상기 식물재배조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렬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500)에 결합될 수 있다. 최상층의 식물재배조(110)에 빛을 제공하는 식물재배용 조명장치(130)는 프레임의 최상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하층의 식물재배조들에 빛을 제공하는 식물재배용 조명장치들은 상층 식물재배조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본 발명의 식물재배조(110)는 물의 투수가 원활하며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고 미생물이 부착하여 성장할 수 있는 투수성 물질로 적층된 충전층(120)을 포함한다.The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투수성 물질은 예를 들어 난석, 자갈, 점토, 또는 모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난석이다. The water permeable materia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includes,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talc, gravel, clay, or sand, and preferably it is a talc.
상기 충전층(120)은 식물재배조(110) 높이의 80-90%로 적층하여 통풍이 원활하게 함으로서 통풍문제로 인한 식물의 질병을 예방 할 수 있다. The
상기 충전층(120)의 표면에서 성장하는 미생물은 수중에 암모늄이 존재하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미생물들로 질산화 미생물과 아질산화 미생물이다. 어류는 배설물로 암모니아를 배출하고 일정 농도 이상으로 축적된 암모니아는 어류에게 독소로 작용하여 성장을 저해한다.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암모니아를 질산염으로 바꾸어 식물의 양분으로 사용한다. 암모니아가 질산염으로 변환되는 것을 질산화작용(nitrification)이라하는데 상기 작용은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 암모니아성 질소(NH3)가 아질산성 질소(NO2), 혹은 질산성 질소(NO3)로 변환되는 작용을 의미한다. The microorganisms growing on the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질산화 미생물은 니트로모나스(nitromonas)이고 아질산화 미생물은 니트로박터(nitrobactor)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itrifying microorganism is nitromonas and the nitrifying microorganism is a nitrobactor.
본 발명의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수조(210)를 포함하는 어류양식부(200)를 포함한다. The aquaponix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어류양식부(200)는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수조(210)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어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양액으로 채워져 있다. The
본 명세서에서 용어 “양액”은 어류양식부(200)의 수조(210)와 식물재배부(100)의 식물재배조(110)을 순환하며 어류의 생존을 유지시키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양분을 포함하는 물을 의미하며, 넓은 의미의 배양액과도 동일한 의미이다. The term " nutrient solution " is used herein to refer to the circulation of the
본 명세서에서 용어 “1차 양액”은 상기 양액 중 어류의 배설물이 포함되어 있는 양액으로서 어류양식부(200)의 수조(210)로부터 식물재배부(100)의 식물재배조(110)로 이동되는 양액을 의미하고, “2차 양액”은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암모늄에서 변환된 질산염이 식물에 의해 흡수되어 제거된 양액으로서 식물재배부(100)의 식물재배조(110)로부터 어류양식부(200)의 수조(210)로 이동되는 양액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primary nutrient solution" refers to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fish excrement in the nutrient solution, which is transferred from the
본 발명에서 수조는 바람직하게는 식물재배조(11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식물재배조(110)를 지지하는 프레임(500)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is preferably connected to a
어류양식부의 1차 양액이 식물재배부(100)로 이동하는 통로인 양액유로(300)는 1차 양액이 이동하는 호스(310); 식물재배조(110)로 유입되는 1차 양액의 유입속도를 조절하는 밸브(320); 및 수조(210)의 1차 양액을 빨아들여 호스로 공급하는 수중펌프(330)로 구성된다. The
수중펌프(330)는 수조(210)속에 위치하며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의 양액에 잠겨있고 호스(310)와 연결되어 있다. 수중펌프(330)와 연결된 호스(310)는 수조(210)로부터 식물재배조(110)로 연결되고 식물재배조 방향의 말단에 밸브(320)가 연결되어 수중펌프와 호스를 통하여 수조로부터 식물재배조로 유입되는 1차 양액의 유입속도를 조절한다. The
본 발명의 아쿠아포닉 사이펀(400)은 케이싱(420)안에 위치한 양액유입부(430)내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보호하는 케이싱 덮개(410); 양액유입부(430)와 충전층(120) 사이에 공간을 만들며 슬릿(421)을 통해 2차 양액이 양액유입부로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케이싱(420); 2차 양액이 유입되는 양액유입부(430); 2차 양액이 사이펀 현상으로 인해 배출되는 양액배출부(440); 및 2차 양액의 배수량을 조절하는 배수조절장치(450)로 구성되어 있다. The aquaponic siphon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cover (410) for protec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to a nutrient solution inlet (430) located in a casing (420); A
아쿠아포닉 사이펀(400)은 식물재배조(110)의 바닥에 설치되고 사이펀과 같은 높이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충전층(120)속에 위치한다. 양액배출부(440)는 식물재배조(110)의 바닥을 관통하여 어류양식부(200)의 수조(210)에 연결되며 양액배출부의 하단부에는 배수조절장치(450)가 위치하고 상기 배수조절장치는 공기유입조절바(451)와 고무패킹(4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유입조절바(451)는 1차 양액의 유입속도에 따라 양액배출부(440)의 내부면에 삽입되는 개수가 결정되며 고무패킹(452)에 의해 양액배출부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공기유입조절바(451)의 개수는 적절한 개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10개이다. The aquaponic siphon 400 is located in the
고무패킹(452)은 사용하는 공기유입조절바(451)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는 양액배출부(440)의 직경에도 불구하고 양액배출부의 내부면에 삽입되어 공기유입조절바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탄력을 가지며 양액배출부의 직경의 범위와 유사한 범위의 직경을 가진다. Th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무패킹(452)의 직경은 양액배출부(440)의 직경의 0.8-0.99 배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rubber packing 452 is 0.8-0.99 times the diameter of the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무패킹(452)의 직경은 양액배출부(440)의 직경의 0.85-0.95배 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rubber packing 452 is 0.85-0.95 times the diameter of the
공기유입조절바(451)는 2차 양액의 배출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나무 또는 플라스틱의 재질일 수 있다. The air
공기유입조절바(451)의 길이는 고무패킹(452)보다 길어 양액배출부(440)의 내부면에 고무패킹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 고무패킹 위로 노출된다. The length of the air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입조절바(451)의 세로길이는 고무패킹(452)의 세로길이 보다 1.5 - 2배 길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air
본 발명의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작동된다: The small aquaponic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with the following steps:
어류양식부(200)의 수조(210)에서 양식된 어류의 배설물을 포함하는 1차 양액이 수중펌프(330)에 의하여 양액유로(300)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1차 양액이 양액유로(300)를 통해 어류양식부(200)의 수조(210)로부터 식물재배부(100)의 식물재배조(110)로 밸브(320)를 통해 정해진 유입속도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유입된 1차 양액의 암모니아 또는 암모늄의 적어도 일부가 아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아질산염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질산염의 적어도 일부가 질산화 미생물에 의하여 질산염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질산염의 적어도 일부가 식물에 흡수되어 식물은 성장하고 질산염은 제거된 2차 양액을 만드는 단계; 식물재배조(110)에서 일정 수위에 도달한 상기 2차 양액이 아쿠아포닉 사이펀(400)에 유입되어 사이펀이 작동되고 양액배출부(440)를 통해 2차 양액이 식물재배조(110)로부터 어류양식부(200)의 수조(210)로 유입되는 단계; 및 상기 단계들이 유기적으로 이어져 양액들이 순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the excrement of the fish cultured in the
본 발명의 아쿠아포닉 사이펀(400)의 배수조절장치(45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식물재배조(110)로 유입된 양액의 수위가 아쿠아포닉 사이펀(400)의 높이와 같아지면 사이펀의 내부가 2차 양액으로 가득 차게 되고 2차 양액이 양액배출부(440)를 통해 배수되면서 사이펀 효과를 일으킨다. 배수되는 2차 양액은 고무패킹(452)을 통과하는데 이 과정에서 고무패킹위로 드러나 있는 공기유입조절바(451)를 거치며 난류를 일으켜 2차 양액의 배출속도를 저해시키므로 유입속도가 느리더라도 사이펀의 내부를 2차 양액으로 가득 채우게 된다. 2차 양액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는 고무패킹(452)과 양액배출부(440) 사이에 삽입된 공기유입조절바(451)에 의하여 만들어진 공간으로 2차 양액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유입되어 2차 양액이 배수되고 있는 양액배출부 내부의 음압을 낮추게 된다.
The
본 발명은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이용한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쿠아포닉 사이펀은 양액의 유입속도가 느리거나 빠른 경우라도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하여 자동배수 기능이 적용된 관상용 또는 식용 식물의 재배를 위한 가정용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aquaponics system using an aquaponic siphon. The aqua phonics siph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normally even when the inflow speed of the nutrient solution is slow or fast so that a small home aqua phonics system for cultivating ornamental or edible plants to which an automatic drainage function is applied can be constructed.
도 1은 1차 양액의 유입속도에 따른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의 잔존 암모늄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각 반응조의 1차 양액 유입속도는 1번 반응조 0.54리터/분; 2번 반응조 1.2리터/분; 3번 반응조 1.8리터/분; 및 4번 반응조 2.4리터/분이다.
도 2는 1차 양액의 유입속도에 따른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의 잔존 질산염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각 반응조의 1차 양액 유입속도는 1번 반응조 0.54리터/분; 2번 반응조 1.2리터/분; 3번 반응조 1.8리터/분; 및 4번 반응조 2.4리터/분이다.
도 3은 각 반응조에서 재배된 식물의 성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배수조절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및 부품의 조립방법을 보여준다.
도 7은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양액배출부에 배수조절장치가 장착된 구조를 보여준다.
도 8은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배수조절장치의 단면도, 양액의 배출 과정, 및 공기의 유입과정을 보여준다.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residual ammonium concentration in a small aquaponix system according to the inflow rate of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The primary nutrient inflow rate of each reactor was 0.54 liters / min for the first reactor; No. 2 reaction vessel 1.2 liter / min; No. 3 reactor 1.8 liters / min; And No. 4 reactor 2.4 liters / minute.
FIG. 2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residual nitrate concentration of a small aquaponix system according to the inflow rate of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The primary nutrient inflow rate of each reactor was 0.54 liters / min for the first reactor; No. 2 reaction vessel 1.2 liter / min; No. 3 reactor 1.8 liters / min; And No. 4 reactor 2.4 liters / minute.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growth of plants grown in each reaction tank.
Figure 4 shows the structure of a small aquaponic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quaponic siph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method of assembling parts and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rainage control device of the aqua phonics siph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drainage regula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ortion of the aqua phonics siph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control device of the aquaponic siphon, the discharge process of the nutrient solution, and the inflow process of the air.
실시예 Example
실험 재료 및 방법 Materials and Methods
1. 아쿠아포닉 사이펀(aquaponic siphon)의 제작 1. Fabrication of an aquaponic siphon
사이펀의 양액배출부 내부면에 배수조절을 위한 공기유입조절바과 고무패킹을 삽입하여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제작하였다. 상기 배수조절장치가 설치된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작동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식물재배조에 설치하고 투수성 물질로 적층한 후 양액유로의 밸브를 조절하여 1차 양액의 유입속도를 0.2 - 4리터/분으로 달리하고 배수조절장치에 장착된 공기유입조절바의 개수를 조절하여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작동을 시험하였다.
An aqua phonics siphon was prepared by inserting an air inflow control bar and rubber pack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nipper discharge section of the siphon. In order to confirm the operation ability of the aqua phonics siphon equipped with the drainage control device, the aqua phonics siphon was installed in a plant cultivation tank and laminated with a water permeable material, and then the valve of the nutrient flow path was adjusted to adjust the inflow rate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to 0.2-4 Liters per minute and the operation of the aqua-phonic siphon was test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air inlet control bars mounted in the drainage control.
2. 아쿠아포닉 사이펀이 장착된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의 제작2. Fabrication of a small aqua phonics system equipped with aquaponic siphon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수조를 설치하고 수조의 상부에 2단에 걸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부를 설치하였다. 수조는 62L의 양액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였고 식물재배장치는 21L의 부피로 0.172m2의 표면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였다. 어류양식부의 수조에 수중펌프를 설치하여 어류의 배설물에 의해 부영양화된 1차 양액을 식물재배부로 연결된 호스를 통해 식물재배부로 공급하였다. 식물재배부에 연결된 호스의 끝에는 1차 양액의 유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고 식물재배부에는 난석(super gold hyuga stome)을 충전하여 상추를 심었다. 식물재배조로 일정 수준 이상의 1차 양액이 유입되면 2차 양액이 자동으로 배출 될 수 있도록 식물재배조에 아쿠아포닉 사이펀(aquaponic siphon)을 설치하고 배출된 2차 양액이 어류양식부로 유입되도록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어류양식부에 연결하였다. 상추가 자라도록 각 식물재배부의 상단에 식물재배용 형광등을 설치하였다. 식물재배부에 적층된 난석에 암모늄 또는 암모니아를 아질산염 또는 질산염으로 변환시키는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군의 미생물들 또는 니트로박터(nitrobactor)군의 미생물들이 살 수 있도록 가정에서 운영 중인 어항의 스폰지 여과기에서 짜낸 물 50㎖을 시스템에 주입하고 약 2주간 물고기와 식물 없이 양액을 순환 시켰다. 이때 수중 암모늄 농도는 0.5mg/L로 유지하였다.
The small Aqua phonix system installed a fish tank and a plant growing s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tank that could grow plants in two stages. The tank was manufactured to a size that can accommodate a hydroponi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of 62L was to allow the plants to grow on the surface of 0.172m 2 in a volume of 21L. An underwater pump was installed in the aquaculture tank, and the first nutrient solution eutrophicated by the fish excrement was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section through the hose connected to the plant growing section. At the end of the hose connected to the plant growing section, a valve for controlling the inflow rate of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was installed, and the plant growing section was filled with a super gold hyuga stoma to plant lettuce. When a primary nutrient solution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is introduced into the plant cultivation tank, an aquaponic siphon is installed in the plant cultivation tank so that the secondary nutrient solution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and the aquaponic siphon And connected to the fish culture department. To grow lettuce, a fluorescent lamp for plant cultivation was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plant growing area. In a sponge filter of a fish tank operated at home, microorganisms of the nitrosomonas group or nitrobactors of the group that converts ammonium or ammonia into nitrite or nitrate in the stacks deposited in the plant growing area can be purchased 50 ml of squeezed water was poured into the system and the nutrient solution was circulated for about 2 weeks without fish and plants. The aqueous ammonium concentration was maintained at 0.5 mg / L.
3. 식물의 재배조건 3. Plant growth conditions
식물에 빛을 공급하기 위하여 식물재배부의 상단에 20W 용량의 식물재배용 형광등 2구을 설치하였다. 식물은 상추를 재배하였으며 일조량은 하루에 14시간으로 하였고 형광등은 상추로부터 5cm의 거리를 유지하였다. 통풍 불량으로 인하여 상추에 잎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난석을 식물재배조의 외벽높이까지 적층 하였으며 실내온도를 19 내지 24℃로 유지하였다. 식물의 성장정도는 식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In order to supply light to the plants, two 20W fluorescent lamps for plant cultivation wer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plant growing area. Plants were cultivated with lettuce, the amount of sunshine was 14 hours per day, and the fluorescent lamp maintained a distance of 5 cm from lettuce. In order to prevent leaf blight from lettuce caused by bad ventilation, the slurry was stacked up to the outer wall height of the plant cultivation tank, and the room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19 to 24 ° C. Plant growth was measured by weighing the plants.
4. 어류의 양식조건4. Fish culture conditions
양식어류는 양식장으로부터 붕어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먹이는 어류의 총 무게를 측정하여 하루당 2중량%를 주었다. 먹이는 Tetra Pond KOI Stics를 사용하였으며 어류양식부의 온도는 식물재배와 같은 온도인 19 내지 24℃를 유지하였다. 어류의 호흡과 미생물의 번식을 고려하여 식물재배부와 어류양식부의 양액은 모두 pH 6.5 내지 7.0을 유지 하였으며 어류의 안정적인 서식을 위하여 양액의 암모늄 농도를 1ppm이하로 유지하였다. 어류의 성장정도는 무게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Aquaculture fishes were purchased from the farms and the total weight of the fishes fed was 2% by weight per day. Feeding was carried out using Tetra Pond KOI Stics. The temperature of the fish cultivation area was kept at 19 to 24 ° C, which is the same temperature as that of plant cultivation. Considering fish breeding and microbial propagation, the pH of the nutrient solution in both the cultivation area and the aquaculture was maintained at pH 6.5 to 7.0, and the concentration of ammonium in the nutrient solution was maintained at 1 ppm or less for the stable culture of the fish. The growth of fish was measured by weighing.
5. 암모늄 및 질산염의 농도측정5.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ammonium and nitrate
어류양식부로부터 3 내지 4일 간격으로 양액을 채취하고 구멍지름 47mm의 유리섬유여과기로 여과하였다. 수중 암모늄의 농도는 네슬러법(nessler method)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수중 질산염의 농도는 자외선 흡광광도법(absorption photometry)으로 측정하였다.
The nutrient solution was sampled from the fish culturing part at intervals of 3 to 4 days and filtered with a glass fiber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47 mm. The concentration of ammonium in water was measured by the nessler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nitrate in water was measured by absorption photometry.
실험결과 Experiment result
1.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작동 1. Operation of Aquafonic Siphon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제작하고 다양한 1차 양액의 유입속도에 따라 사이펀의 작동여부를 측정하여 종래의 사이펀과 비교하였다. 아쿠아포닉 사이펀과 종래의 사이펀을 식물재배부에 장착하고 0.54, 1.2, 1.8, 또는 2.4리터/분의 속도로 1차 양액을 식물재배조로 유입한 후 사이펀의 작동여부를 확인하였다. 종래의 사이펀 및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양액배출부는 내부직경이 2.5cm이었으며,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경우 배수조절장치는 두께가 2mm이고 길이가 7cm인 공기유입조절바 1개와 직경이 2.3cm이며 길이가 3cm인 고무패킹으로 구성하였다. 종래의 사이펀은 1차 양액 유입속도 1.2 및 1.8리터/분의 조건에서는 정상 작동을 하였으나 1차 양액 유입속도 0.54 및 2.4리터/분의 조건에서는 작동하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아쿠아포닉 사이펀은 모든 1차 양액 유입속도의 조건에서 작동하였다. 상기의 결과와 같이 아쿠아포닉 사이펀이 모든 유입속도 조건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이유는 2차 양액의 배출시 배수조절장치의 공기유입조절바에 의하여 난류가 발생하므로 2차 양액의 배출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그러므로 유입속도가 느린 조건에서도 사이펀의 내부가 유입된 2차 양액에 의하여 채워지게 되므로 사이펀이 작동한 것이다. 또한, 아쿠아포닉 사이펀이 유입속도가 빠른 조건에서도 정상 작동하게 된 이유는 사이펀에서 양액이 배출될 때, 배수조절장치의 공기유입조절바에 의하여 고무패킹과 양액배출부 사이에 만들어진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대기압과 양액배출관 사이의 음압의 차이가 상쇄되었기 때문에 사이펀 현상이 사라지게 되어 작동이 멈춘 것이다.
Aqua phonics siphon which can be applied to small aqua phonics system was fabricated and the operation of sipho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inflow rate of various primary fluids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siphon. The aquaponic siphon and the conventional siphon were installed in the plant growing section, and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was introduced into the plant growing tanks at a rate of 0.54, 1.2, 1.8, or 2.4 liters / min. Conventional siphon and aquaponic siphon nutrient discharges had an internal diameter of 2.5 cm. In the case of an aqua phonics siphon, the drainage regulator consisted of a single air inflow control bar 2 mm in thickness and 7 cm in length, a diameter of 2.3 cm and a length of 3 cm Rubber packing. Conventional siphons operated normally under the conditions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inflow rate of 1.2 and 1.8 liter / min, but did not operate under the conditions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inflow rate of 0.54 and 2.4 liters / minute. On the contrary, the aquaponic siphon operated under the conditions of all primary nutrient inflow rates.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aquaponic siphon normally operates at all the inflow rate conditions is that when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turbulence is generated by the air inflow control bar of the drainage control device, so that the discharge rate of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is slowed down. Therefore, the siphon works because the inside of the siphon is filled by the secondary nutrient solution even under the slow inflow speed. The reason why the aquaponic siphon operates normally even under the high inflow rate is that,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from the sipho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ubber packing and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ort by the air inflow control bar of the drainage control device The difference in sound pressur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nutrient discharge pipe was canceled, so that the siphon phenomenon disappeared and the operation stopped.
2. 1차 양액 유입속도의 차이에 따른 암모늄 및 질산염 농도의 변화 2. Variation of ammonium and nitrat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first nutrient flow rate
어류양식부로부터 유입되는 1차 양액의 유입속도를 조절한 반응조로부터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잔류하는 암모늄과 질산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어류양식부에서 어류의 배설물로 생산되는 암모늄을 식물재배부의 미생물이 질산염으로 만들고 이를 식물이 영양분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암모늄 및 질산염의 잔류량은 식물재배부로 유입된 1차 양액과 미생물의 접촉시간, 서식하는 어류의 양, 또는 미생물의 공기접촉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실험결과 모든 유입속도에서 암모늄의 양이 0.4 mg/L이하의 수치를 보였고 재배 후 39일까지 수치가 유지되었다(도 1). 이 결과는 모든 유입속도에서 어류양식부에서 만들어진 암모늄이 식물재배부에서 미생물에 의하여 제거되므로 어류의 서식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The concentration of ammonium and nitrate residues in the small aquaponix system was measured from the reaction tank which controlled the inflow rate of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fed from the fish cultivation section. The Aqua phonics system uses ammonia produced from fish excrement in the fish farming section as a nutrient for plant nutrients and the plant microbes as nutrients. Therefore, the residual amount of ammonium and nitrate is determined by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and the microorganism introduced into the plant growing area, the amount of fish inhabited, or the air contact time of the microorganism.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ammonium was below 0.4 mg / L at all inflow rates and remained unchanged until day 39 (Fig. 1). This result means that the ammonium formed at the fish culture department at all the inflow rates is removed by the microorganisms in the plant growing area, so that the fish can be cultured.
잔류 질산염의 농도는 모든 유입속도의 조건에서 70 mg/L 이하의 농도를 보였다(도 2). 재배기간이 지남에 따라 잔류 질산염의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유입속도 1.2리터/분의 조건에서 가장 안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는 상기 조건에서 식물이 소비하는 질산염의 양과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질산염의 양이 균형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nitrate was found to be less than 70 mg / L at all inflow rates (Fig. 2).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nitrate increased with the growth period and showed the most stable change at the flow rate of 1.2 liters / min.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nitrate consumed by plants and the amount of nitrate produced by microorganisms are balanced in the above conditions.
3. 1차 양액의 유입속도에 따른 식물의 성장3.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inflow rate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어류양식부로부터 유입되는 1차 양액의 유입속도를 달리하여 상추를 재배하고 상추의 성장속도를 측정하였다. 4개의 반응조에 각각 다른 속도로 1차 양액을 유입하고 재배식물과 양식어류를 최대한 동량으로 넣은 후 최초 질소부하량을 측정하였다(표 1). 39일간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서 어류와 식물을 재배하여 재배식물의 성장과 어류의 성장을 측정하였다(표 2). 식물의 성장을 측정한 결과, 가장 느린 유입속도인 0.54리터/분의 조건에서 식물의 총중량이 37g에서 165g으로 128.9g 증가하여 평균 4.4g/일의 성장속도를 보였으며 가장 빠른 유입속도인 2.4리터/분의 조건에서는 총중량이 32.5g에서 107.8g으로 75.3g 증가하여 평균 2.5g/일의 성장속도를 보였다. 1.2리터/분의 유입속도에서는 총중량 32.5g에서 143.4g으로 110.9g 증가하여 3.7g/일의 성장속도를 보였고 유입속도 1.8리터/분의 조건에서는 총중량 36g에서 143.7g으로 107.7g 증가하여 평균 3.6g/일의 성장속도를 보였다(표 2 및 도 3). 결론적으로 어류양식부로부터 유입된 1차 양액의 유입속도는 식물의 성장과 반비례하는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액의 배수를 담당하는 사이펀의 특성상 식물재배조의 배수속도가 1차 양액의 유입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1차 양액의 유입속도가 느릴수록 식물의 뿌리가 양액에 잠겨 있는 시간이 길어 식물의 스트레스가 적고 질산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으며 질산화 미생물이 1차 양액 및 공기와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 질산염의 변환율이 높기 때문이다.The growth rate of lettuce was measured by varying the inflow rate of the primary nutrients from fish culture.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was introduced into four reaction vessels at different rates and the same amount of nitrogen was applied to the cultivated plants and cultured fishes. For 39 days, fish and plants were cultivated in a small aqua phonix system and growth of cultivated plants and fish growth were measured (Table 2).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growth rate of the plants, the growth rate of the plant was found to be 4.4g / day, which was 128.9g at the slowest inflow rate of 0.54 liters / min, from 37g to 165g. The fastest inflow rate of 2.4 liters / Min, the total weight increased from 32.5 g to 107.8 g, which was 75.3 g, showing an average growth rate of 2.5 g / day. At a flow rate of 1.2 liters / min, the total weight increased from 110.5 g to 143.4 g at a rate of 3.7 g / day, from 32.5 g at a flow rate of 1.8 l / min to an increase of 107.7 g from a total weight of 36 g to 143.7 g / Day (Table 2 and Fig. 3). In conclusion, the inflow rate of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from fish cultur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plant growt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ate of drainage of the plant is proportional to the flow rate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siphon that discharges the nutrient solution. Therefore, the slower the flow rate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is, This is because the stress is low and the nitrate can be sufficiently absorbed and the nitrification microorganism is in contact with the primary nutrient solution and air for a long time and the conversion rate of nitrate is high.
결론conclusion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친환경적인 수경재배 시스템으로 어류를 양식하면서 발생하는 배설물을 미생물을 통해 식물의 영양분으로 변환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시스템이다. 이 과정에서 어류의 배설물이 질산화 미생물(nitrifying bacteria)에 의해 식물의 영양분인 질산염으로 변환되므로 식물에게는 영양분을 제공하고 어류에게는 정화된 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질산화 미생물들은 호기성세균이므로 공기에 접촉하게 되면 암모늄 또는 암모니아를 아질산염 또는 질산염으로 변환하는 미생물의 활성이 증가한다. 질산화 미생물이 암모늄 또는 암모니아를 질산염 또는 아질산염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미생물과 양액이 일정시간이상 함께 존재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양액의 유입속도와 배수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서 적용한 아쿠아포닉 사이펀은 종래의 사이펀에 비하여 넓은 범위의 양액유입속도에서 작동하는 장점이 있어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아쿠아포닉 사이펀은 종래의 사이펀의 가지고 있는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느린 유입속도 및 빠른 유입속도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아쿠아포닉 사이펀의 양액배출부에 삽입된 배수조절장치의 구성물인 공기유입조절바는 양액의 배수시 난류를 생성하여 양액의 유입속도가 느리더라도 양액유입부가 양액으로 가득 차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고무패킹과 양액배출부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빠른 유입속도로 양액이 유입되더라도 사이펀 내부의 음압을 떨어뜨려 배수가 멈추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장착하고 다양한 유입속도의 조건으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작동시켜 식물의 성장을 확인한 결과 1차 양액의 유입속도가 느릴수록 식물의 성장이 빠른 것을 확인 하였다. 그러므로 아쿠아포닉 사이펀을 이용하면 양액의 유입속도가 느리게 유지되는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액의 유입속도를 조절하여 식물의 성장이 향상되고 자동적으로 배수가 이루지는 효율적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제작할 수 있다.
Aqua phonix system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that transforms fecal matter generated by culturing fish into plant nutrients through microorganisms and cultivates plants. In this process, the excretion of fish is converted into nitrate, which is the nutrient of plant by nitrifying bacteria, so it provides nutrients to plants and provides purified water to fish. Since nitrifying microorganisms are aerobic bacteria,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that convert ammonium or ammonia to nitrite or nitrate increases when contacted with air. In order for the nitrifying microorganism to convert ammonium or ammonia into nitrate or nitrite, the microorganism and nutrient solution must be present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meet the above requirement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aquaponics system,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inflow rate and the drainage rate of the nutrient solution. The aquaponic siph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operates at a nutrient inflow rate over a wide range So that these conditions can be satisfied. The aquaponic siphon improves upon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siphons and works well at slow and fast inflow rates. The air inflow control bar, which is a constituent of the drainage control device inserted into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ing portion of the aqua phonics siphon, generates turbulence when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inflow portion is filled with the nutrient solution even if the inflow rate of the nutrient solution is slow. There is an effect that a space in which air can flow into between the rubber packing and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ing portion is formed, and even if the nutrient solution flows into the siphon at a rapid inflow rate,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siphon drops to stop the drainage. The aqua phonics system was oper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inflow rate with the aqua phonics siphon having these advantages. As a result, the growth rate of plants was found to be faster as the inflow rate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was slower. Therefore, by using the aqua phonics siph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mall aqua phonix system in which the inflow rate of the nutrient solution is kept slow, and als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flow rate of the nutrient solution to improve the growth of the plant, System can be manufactur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represent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r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other uses of the invention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100: 식물재배부 110: 식물재배조
120: 충전층 130: 조명장치
200: 어류양식부 210: 수조
300: 양액유로 310: 호스
320: 밸브 330: 수중펌프
400: 아쿠아포닉 사이펀 410: 케이싱덮개
420: 케이싱 421: 슬릿
430: 양액유입부 431: 관통홀
440: 양액배출부 450: 배수조절장치
451: 공기유입조절바 452: 고무패킹 100: Plant growing section 110: Plant growing plant
120: filling layer 130: illuminating device
200: fish culture section 210: aquarium
300: Nutrient solution flow path 310: Hose
320: valve 330: submerged pump
400: Aquaponic Siphon 410: Casing cover
420: casing 421: slit
430: Nutrient solution inflow section 431: Through hole
440: Nutrient solution discharging part 450: Drainage control device
451: Air inflow control bar 452: Rubber packing
Claims (9)
(b)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수조(210)를 포함하는 어류양식부(200);
(c) 상기 어류양식부의 양액을 상기 식물재배부에 이동시키는 호스(310), 밸브(320) 및 수중펌프(330)를 포함하는 양액 유로(300); 및
(d) 상기 식물재배부의 양액을 상기 어류양식부에 이동시키는 아쿠아포닉 사이펀 장치(400)의 구성을 포함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쿠아포닉 사이펀 장치는 사이펀 및 양액배출부(4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액배출부 하단부에 공기유입조절바(451)와 고무패킹(452)을 포함하는 배수조절장치(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a) a plant growing section (100) comprising a plant cultivation tank (110), a filling layer (120) in which a water permeable material with microorganisms attached thereto is lamin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tank, and a lighting device (130) for plant cultivation;
(b) a fish culture unit 200 including a water tank 210 in which the fish can be inhabited;
(c) a nutrient flow passage (300) including a hose (310), a valve (320) and a submerged pump (330) for moving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fish culture section to the plant growing section; And
(d) an aquaponics siphon device including a configuration of an aquaponic siphon device (400) for moving a nutrient solution of the plant growing part to the fish cultivation part, wherein the aquaponic siphon device comprises a siphon and a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art And a drain control device (450) including an air inflow control bar (451) and a rubber seal (452) at the lower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art.
6. The aqua phonics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ir inflow control bar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nutrient solution outlet part (440) and the rubber packing (452).
7. The aquaphenix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ameter of the rubber packing is 0.8 to 0.99 times the diameter of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ortion.
7. The aqua phonics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vertical length of the air inflow control bar is 1.5-2 time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rubber pack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213A KR101726034B1 (en) | 2015-01-23 | 2015-01-23 | Small Aquaponics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213A KR101726034B1 (en) | 2015-01-23 | 2015-01-23 | Small Aquaponics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1052A KR20160091052A (en) | 2016-08-02 |
KR101726034B1 true KR101726034B1 (en) | 2017-04-13 |
Family
ID=5670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12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6034B1 (en) | 2015-01-23 | 2015-01-23 | Small Aquaponics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6034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1795B1 (en) * | 2017-03-13 | 2018-06-27 | 주식회사 퓨리 |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generation of siphon effect |
KR102005220B1 (en) * | 2019-04-18 | 2019-07-30 | 임형엽 | Aquaponics system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KR20190137605A (en) | 2018-06-02 | 2019-12-11 | 김민태 | Akuapo Knicks, a system apply the renewable energy |
KR20200119002A (en) * | 2019-04-09 | 2020-10-19 | 임형엽 | Aquaponics system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KR20210101918A (en) * | 2020-02-11 | 2021-08-19 |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farm, smart farm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
KR20210130345A (en) | 2020-04-22 | 2021-11-01 | 김민수 | Aquaponic System |
KR20220097060A (en) | 2020-12-31 | 2022-07-07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Aquaponics apparatus |
DE102022113714A1 (en) | 2022-05-31 | 2023-11-30 | Aaron Kruse | Aquaponics system for cultivating asparagus |
KR20250080564A (en) | 2023-11-28 | 2025-06-05 | 어현우 | Home aquaponics kit using the humidifier principle |
KR20250084376A (en) | 2023-12-04 | 2025-06-11 | 김영희 | Aquaponic system using deep ocean wa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76873A (en) * | 2017-01-05 | 2017-04-26 | 谭肇柳 | Across-genre cycle planting and breeding method |
CN108029623B (en) * | 2018-01-31 | 2024-01-26 | 上海绿椰农业种植专业合作社 | Fish planting symbiotic system and cultivation facility |
KR102079047B1 (en) * | 2019-07-10 | 2020-02-19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올인한국 | Plant factory including fishbowl |
KR102363047B1 (en) * | 2021-08-31 | 2022-02-14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Aquaponics system having porous filt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0075B1 (en) | 2013-08-13 | 2014-03-07 |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 Plant cultur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1421586B1 (en) | 2013-08-13 | 2014-08-01 |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 Bio Fil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0853B1 (en) * | 2003-11-11 | 2006-02-10 | 씨티엠(주) | Multifunctional Washing Water Supply Panel for Dishwasher |
-
2015
- 2015-01-23 KR KR1020150011213A patent/KR10172603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0075B1 (en) | 2013-08-13 | 2014-03-07 |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 Plant cultur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1421586B1 (en) | 2013-08-13 | 2014-08-01 |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 Bio Fil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158233 UR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1795B1 (en) * | 2017-03-13 | 2018-06-27 | 주식회사 퓨리 |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generation of siphon effect |
KR20190137605A (en) | 2018-06-02 | 2019-12-11 | 김민태 | Akuapo Knicks, a system apply the renewable energy |
KR20200119002A (en) * | 2019-04-09 | 2020-10-19 | 임형엽 | Aquaponics system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KR102188639B1 (en) * | 2019-04-09 | 2020-12-08 | 임형엽 | Aquaponics system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KR102005220B1 (en) * | 2019-04-18 | 2019-07-30 | 임형엽 | Aquaponics system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KR20210101918A (en) * | 2020-02-11 | 2021-08-19 |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farm, smart farm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
KR102400496B1 (en) * | 2020-02-11 | 2022-05-19 |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farm, smart farm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
KR20210130345A (en) | 2020-04-22 | 2021-11-01 | 김민수 | Aquaponic System |
KR20220097060A (en) | 2020-12-31 | 2022-07-07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Aquaponics apparatus |
DE102022113714A1 (en) | 2022-05-31 | 2023-11-30 | Aaron Kruse | Aquaponics system for cultivating asparagus |
KR20250080564A (en) | 2023-11-28 | 2025-06-05 | 어현우 | Home aquaponics kit using the humidifier principle |
KR20250084376A (en) | 2023-12-04 | 2025-06-11 | 김영희 | Aquaponic system using deep ocean 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1052A (en) | 2016-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6034B1 (en) | Small Aquaponics System | |
KR102242705B1 (en) |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e of Biofloc Technology | |
JP5610296B2 (en) | Multi-stage aquaculture equipment and culture method for bottom organisms such as bivalves, and biofilter using the same | |
CN109095617A (en) | The ecosystem and purification method of subtropical zone composite type artificial wetland purifying sea water breeding water | |
CN101331860A (en) | Method and device for culturing rice field eel | |
KR20210017412A (en) | Aquaponics cultivation system based on Biofloc technology with compact filter | |
CN112674022A (en) | Equipment for high-density cultivation of high-quality seedlings of rare fishes and construction method | |
CN105724304A (en) | Layered fish and shrimp circulating water polyculture system | |
CN205455393U (en) | Stage formula zero release white penaeus cultivation system in south america | |
KR101170304B1 (en) | Polyculture system and method of fishes and marine polychaete | |
KR102143415B1 (en) | Aquaponics device using high-purity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
CN109231685A (en) |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and energy-efficient sea water and fresh water industrial aquaculture system circulatio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CN205455396U (en) | Fold formula fishes and shrimps circulating water system of raising together with | |
KR20200135008A (en) | Aquaculture system using a structure with water-purifying plant | |
KR102599231B1 (en) | Aquaponics system with enhanced fluidity | |
CN214385600U (en) | Fresh water culture device for high-density post-seedling soil pond culture | |
CN213549094U (en) | Bottle rack type fish egg incubator | |
CN104430118A (en) | Aquatic life cultivation system | |
CN114651753A (en) | Aquatic fry production system and aquatic fry production method | |
KR101822738B1 (en) | The method adjusting bio-floc sludge by breeding heterogeneous | |
Koiller et al. | A laboratory scale recycling water unit for tilapia breeding | |
CN112931365A (en) | Energy-saving breeding box and self-purification ecological breeding system | |
CN217884820U (en) | Aquarium | |
AU2021107473A4 (en) | Fish culture tank integrated with a novel water recirculating system | |
CN112321085B (en) | Pond engineering circulating water tail water treatmen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