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775B1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Signal by Using Frequency Convers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Signal by Using Frequency Conver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5775B1 KR101725775B1 KR1020110003846A KR20110003846A KR101725775B1 KR 101725775 B1 KR101725775 B1 KR 101725775B1 KR 1020110003846 A KR1020110003846 A KR 1020110003846A KR 20110003846 A KR20110003846 A KR 20110003846A KR 101725775 B1 KR101725775 B1 KR 1017257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frequency band
- antenna
- mobile communication
- mod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08—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모뎀; 제 2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모뎀;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모뎀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모뎀으로 전송하는 변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케이블 또는 안테나의 증설 없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서비스 커버리지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frequency convers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dem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out of a frequency band of a signal input through a first antenna; A second mod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cond frequency band among the frequency bands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antenna; And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nto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econd modem, or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to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 conversio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service coverage for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without using additional cables or antennas to use a specific frequency ban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 송출 장치를 통한 신호를 특정 건물 내부로 중계하기 위해 기 구축된 인프라(Infra) 또는 신규로 구축될 인프라에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케이블 또는 안테나의 증설 없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re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frequency convers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 specific frequency band by applying a prefabricated infrastructure for relaying a signal through a signal transmission device to a specific building or a signal relay device using frequency conversion for an infrastructure to be newly construct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nal relay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requency conversion that can ensure service coverage for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without additional cables or antennas.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최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의 단말기 출시와 무제한 데이터 정액제 서비스 등의 데이터 위주의 마케팅으로 통신 시장에서의 무선 데이터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데이터 활성화의 가장 큰 제약이 되고 있는 것은 실제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의 용량인데, 이는 기지국 자체의 제한된 채널용량과 커버리지 내의 무선 데이터 용량의 한계가 주요한 원인이라 볼 수 있다. 즉, 기지국 한 개의 커버리지 내에서 모든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 최대 무선 데이터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서, 더 많은 사람이 데이터를 통신을 사용할 경우 실제 가입자당 전송속도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In recent years, demand for wireless data in the telecom market has been on the rise due to data-oriented marketing such as the launch of smart phones or tablet computers and unlimited data flat rate services. However, the biggest limitation of the activation of the wireless data is the capacity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the actual wireless data service, which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limited channel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itself and the limitation of the wireless data capacity within the coverage. That is, since the maximum amount of wireless data that can be given to all users within a coverage of a base station is limited, the transmission rate per actual subscriber is inevitably reduced when more people use data communication.
이를 효과적으로 분산하기 위한 대체망의 가장 대중적인 솔루션이 무선랜(Wiress LAN)이며, 최근 주류를 이루고 있는 단말기에서는 대부분 무선랜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무선랜을 사용하는 순간 통신망과는 별개로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지만, 무선랜의 커버리지가 이동통신망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신규로 구축하는 것도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하다.Wiress LAN is the most popular alternative network solution for effective distribution of wireless LANs. Although it is possible to use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separately from the instantane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wireless LAN, the coverage of the wireless LAN is absolut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inc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money to construct a new wireless LAN, nee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케이블 또는 안테나의 증설 없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서비스 커버리지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relay apparatus using frequency conversion, which can secure service coverage for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without using a separate cable or an antenna for using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to provide a metho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모뎀; 제 2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모뎀;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모뎀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모뎀으로 전송하는 변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mod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first frequency band of a frequency band of a signal input through a first antenna; A second mod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cond frequency band among the frequency bands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antenna; And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nto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econd modem, or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to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a conversio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제 1 모뎀에서 제 1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변환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 제 2 모뎀에서 제 2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제 2 모뎀에서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환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뎀에서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in a first frequency ban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ignal in a first frequency band of a frequency band of a signal input through a first antenna in a first modem;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nto a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ransmit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ransmitting a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through a second antenna in a second modem; Receiving a signal in a second frequency band of a frequency band of a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antenna in the second modem;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second frequency band into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first modem; And transmitting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rst antenna in the first mode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 송출 장치를 통한 신호를 특정 건물 내부로 중계하기 위해 기 구축된 인프라 또는 신규로 구축될 인프라에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장치를 적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케이블 또는 안테나의 증설 없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서비스 커버리지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relay device using a frequency conversion is applied to a pre-established infrastructure or a new infrastructure to relay a signal through a signal transmission device to a specific building, It is possible to secure service coverage for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without using additional cables or antennas to use the frequency band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빌딩 시스템에 기 설치된 중계 장치의 인프라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해당 주파수 대역을 송출하기 위한 별도의 급전선, 안테나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의 데이터 수요에 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공할 수 있고, 통신망 내의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 수요를 분산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ervic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can be provided using the infrastructure of a relay apparatus installed in an in building system, a separate feeder line, an antenna, and the like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can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equency band that meets the data demand of the user without need, and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and receive the data traffic deman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유선망 없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가 가능한 중계 장치를 기존에 서비스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의 커버리지 내에 설치하여 무선 통신 환경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eater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without a separate wired network can be installed within a coverage of a frequency band that is already provided, thereby impro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인터페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ignal relay system using frequency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ignal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rsio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relaying method using frequency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gnal relay system using frequency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시스템은 신호 송출 장치(110), 신호 중계 장치(120), 제 1 안테나(122), 제 2 안테나(124) 및 인빌딩 시스템(130)을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시스템이 신호 송출 장치(110), 신호 중계 장치(120), 제 1 안테나(122), 제 2 안테나(124) 및 인빌딩 시스템(13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The signal relay system using frequency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신호 송출 장치(110)는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신호 송출 장치(110)는 기저대역 신호처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신호 송출 장치(110)는 통신망과 연결되어, 음성 통신 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영상 통화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The
신호 중계 장치(120)는 신호 송출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인빌딩 시스템(130)으로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The
즉, 신호 중계 장치(120)가 주파수 대역을 변환하는 동작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입력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Noise)를 제거한 후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안테나로 송출하는 하향 링크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입력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1 안테나(122)로 송출하는 상향 링크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신호 중계 장치(120)는 하향 링크 또는 상향 링크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LNA(Low Noise Amplifer), 주파수 변환부 및 증폭부(Amplif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한편, 신호 중계 장치(120)는 신호 중계를 위해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800 MHz 내지 9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1,900 MHz 내지 2,1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 후 증폭하여 제 2 안테나(124)로 송출하거나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800 MHz 내지 9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1,900 MHz 내지 2,1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 후 증폭하여 제 1 안테나로 송출한다. The
여기서, 800 MHz 내지 9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대역의 신호를 말한다. 더 구체적으로 CDMA 대역 중 상향 링크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824 MHz 내지 849 MHz의 주파수 대역이될 수 있고, 하향 링크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869 MHz 내지 894 MHz의 주파수 대역이될 수 있다. 물론, CDMA 대역 중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통신사에서 할당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1,900 MHz 내지 2,1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대역의 신호를 말한다. 더 구체적으로 WCDMA 대역 중 상향 링크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1,930 MHz 내지 1,960 MHz, 1,960 MHz 내지 1,980 MHz의 주파수 대역이될 수 있고, 하향 링크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2,120 MHz 내지 2,150 MHz, 2,150 MHz 내지 2,170 MHz,의 주파수 대역이될 수 있다. 물론, WCDMA 대역 중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주파수 대역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통신사에서 할당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Here, a signal in a frequency band of 800 MHz to 999 MHz refers to a signal in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band. More specifically, the frequency band used for the uplink of the CDMA band may be a frequency band of 824 MHz to 849 MHz, and the frequency band used for the downlink may be a frequency band of 869 MHz to 894 MHz. Of course, the frequency bands o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in the CDMA b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by each communication company. On the other hand, signals in the frequency band of 1,900 MHz to 2,199 MHz are signals in the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band. More specifically, the frequency band used for the uplink among the WCDMA bands may be a frequency band of 1,930 MHz to 1,960 MHz and 1,960 MHz to 1,980 MHz, and a frequency band used for the downlink may be 2,120 MHz to 2,150 MHz, It can be the frequency band of 2,170 MHz. Of course, the frequency bands o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in the WCDMA b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by each communication company.
또한,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안테나(122)를 이용하여 신호 송출 장치(110)로부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신호 중계 장치(120)는 인빌딩 시스템(130) 내에 포설된 케이블 및 제 2 안테나(124)를 이용하여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로서, 와이브로(Wibro) 신호를 말한다. 여기서, 와이브로란 무선 광대역 인터넷 기술이다. 한편, 와이브로는 국제 표준 IEEE 802.16e에 대한 명칭이자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로도 불리운다. 한편,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2,400 MHz 내지 2,4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로서, 무선랜 신호 중 와이파이(Wi-Fi) 신호를 말한다. 여기서, 와이파이란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와이파이 P2P),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즉, 이러한 와이파이는 많은 운영체제 및 단말기들이 지원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전화, PDA, 데스크톱, 노트북 컴퓨터, 넷북, 게임기, 프린터를 비롯한 일부 주변 기기 등이 와이파이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과 같이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와이파이 신호가 송출되는 커버리지 내에서는 제 2 안테나(124)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건물 내부에 와이파이 신호가 송출되는데, 와이파이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방식이므로 전화선이나 전용선이 필요 없고,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무선랜 모듈이 구비된 경우,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802.11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장치(120)가 적용될 요구가 많다고 여겨지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이브로 신호)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가령, 신호 중계 장치(120)는 와이브로 신호(제 1 주파수 대역)를 와이파이 신호(제 2 주파수 대역)로 변환해주는 브릿지(Bridg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중계 장치(120)는 와이브로(제 1 주파수 대역)를 지원하는 신호 송출 장치(110)의 커버리지 내에서 와이브로 신호(제 1 주파수 대역)를 수신한 후 신호 중계 장치(120)의 내부에서 와이파이 신호(제 2 주파수 대역)로 변환하여 인빌딩 시스템(130)의 내부에 와이파이 신호(제 2 주파수 대역)를 제공하고, 반대로 와이파이(제 2 주파수 대역)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여 와이브로 신호(제 1 주파수 대역)로 변환한 후 신호 송출 장치(110)로 전송하여 신호 송출 장치(110)에서 인터넷망으로 해당 신호를 전송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물론, 외부의 와이브로 신호(제 1 주파수 대역)가 충분히 양호해서 신호 중계 장치(120)가 설치된 지역까지 도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신호 중계 장치(120)에 도너/서비스 안테나를 외장형으로 설치하고 급전선을 포설하면 서비스 확장이 가능하지만 비용이 과다하게 수반되므로, 상기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와이브로 신호(제 1 주파수 대역)가 충분히 양호하여 신호 중계 장치(120)를 설치한 지역까지 입력되더라도 원하는 커버리지를 확보하기가 힘든 경우에는 추가적인 와이파이(제 2 주파수 대역) 장비의 설치를 통해 일부 구간에 와이파이(제 2 주파수 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n example of converting a signal (WiBro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and into a signal (WiFi signal) of a second frequency band, in which a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될 예시에 대해 설명하자면, 신호 중계 장치(120)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장비로서 점검이나 관리를 위한 현장 방문을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감시, 관리, 원격 제어 기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신호 중계 장치(120)는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제 1 모뎀(210)과 제 2 모뎀(220)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 중계기 기능과 브릿지 기능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위 감시 서버에서 신호 중계 장치(120)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호 중계 장치(120)를 신규 건물에 설치할 경우에는 가입자가 주로 밀집하는 장소 위주로 서비스 안테나인 제 2 안테나(124)를 위치시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한 서비스 품질을 최고로 유지해야 한다. 또한, 신호 중계 장치(120)를 기존에 설치된 중계기를 대체하여 설치되는 경우 기존 급전선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이 가능하며 필요 시 도너/서비스 안테나만 대체 함으로써 기존 중계기 커버리지에 단순간에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출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meantime, the
또한, 신호 중계 장치(120)는 800 MHz 내지 9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1,900 MHz 내지 2,1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뿐만 아니라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도 충분히 확보되는 위치에 제 1 안테나(122)가 설치되고 지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 통신망에서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2,400 MHz 내지 2,499 MHz의 주파수 대역(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약 90% 이상 코로테이션(Co-Location)되어 있으므로 제 1 안테나(122)의 설치나 지향 방향에 크게 상관없이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일부 무선 환경에서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넓은 제 1 주파수 대역의 입력 레인지(Range)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제 1 안테나(122)는 신호 송출 장치(110)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도너 안테나(Doner Antenna)로서, 실외에 위치하여 신호 송출 장치(11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경우, 실내에 위치한 신호 중계 장치(120)로부터 실외에 위치하는 제 1 안테나(122)까지 케이블(급전선)로 연결된다. 예컨대, 제 1 안테나(122)는 800 MHz 내지 999 MHz의 주파수 대역(CDMA 대역), 1,900 MHz 내지 2,199 MHz의 주파수 대역(WCDMA 대역) 외에도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와이브로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3 중 대역 안테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 2 안테나(124)는 특정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테나로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건물 내부의 음영지역으로 송출하기 위해 설치된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일 수 있다. 예컨대, 제 2 안테나(124)는 800 MHz 내지 999 MHz의 주파수 대역(CDMA 대역), 1,900 MHz 내지 2,199 MHz의 주파수 대역(WCDMA 대역) 외에도 2,400 MHz 내지 2,499 MHz의 주파수 대역(와이파이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3 중 대역 안테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인빌딩 시스템(130)은 특정 건물 내 음영 지역 또는 난청 지역에 있는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축된 인빌딩용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동축 케이블이나 광 선로를 통하여 건물 내 임의의 장소에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가능 지역 확대 등 무선 환경을 개선한다. 즉, 인빌딩 시스템(130)은 빌딩이나 건물 내부에 유무선 통신망의 무선환경을 보완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양호한 신호를 해당 건물 내부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케이블(급전선)과 안테나가 해당 건물의 음영지역으로 포설된 인프라 환경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ignal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모뎀(210), 제 2 모뎀(220), 변환 인터페이스부(230) 및 신호 중계부(240)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호 중계 장치(120)가 제 1 모뎀(210), 제 2 모뎀(220), 변환 인터페이스부(230) 및 신호 중계부(24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신호 중계 장치(12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The
제 1 모뎀(210)과 제 2 모뎀(220)은 변복조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를 말한다. 제 1 모뎀(210)은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제 1 모뎀(210)은 신호 송출 장치(110)로부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제 1 모뎀(210)은 신호 송출 장치(110)와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다.The
제 2 모뎀(220)은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2,400 MHz 내지 2,4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가령, 제 2 모뎀(220)은 제 2 안테나(124)를 이용하여 특정 건물 내에 위치한 단말기와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모뎀(220)은 연동하는 인빌딩 시스템(130) 내에 포설된 케이블 및 안테나를 통해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제 2 모뎀(220)은 특정 건물 내에 위치한 단말기와 2,400 MHz 내지 2,4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다.The
변환 인터페이스부(230)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제 2 모뎀으로 전송하거나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모뎀(210)으로 전송한다. 변환 인터페이스부(230)는 제 1 모뎀(210)을 통해 입력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안테나(124)로 송출하는 하향 링크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변환 인터페이스부(230)는 제 2 모뎀(220)을 통해 입력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1 안테나(122)로 송출하는 상향 링크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The
신호 중계부(240)는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800 MHz 내지 9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1,900 MHz 내지 2,1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 후 증폭하여 제 2 안테나(124)로 송출하거나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800 MHz 내지 9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1,900 MHz 내지 2,199 M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 후 증폭하여 제 1 안테나(122)로 송출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인터페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rsion interfa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인터페이스부(230)는 하향 링크부(310) 및 상향 링크부(320)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변환 인터페이스부(230)가 하향 링크부(310) 및 상향 링크부(32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환 인터페이스부(23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The
하향 링크부(310)는 하향 링크 LNA(312), 하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14) 및 하향 링크 증폭부(316)를 포함한다. 즉, 하향 링크부(310)는 제 1 모뎀(210)을 통해 입력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안테나로 송출하는 하향 링크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The
하향 링크 LNA(312)는 신호 송출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잡음 성분)을 제거한 후 하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14)로 전송한다. 하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14)는 노이즈가 제거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즉, 하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14)는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2,400 MHz 내지 2,4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하향 링크 증폭부(316)는 하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14)로부터 수신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해당 신호가 방사되도록 한다.The
상향 링크부(320)는 상향 링크 LNA(322), 상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24) 및 상향 링크 증폭부(326)를 포함한다. 상향 링크부(320)는 제 2 모뎀(220)을 통해 입력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1 안테나(122)로 송출하는 상향 링크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The
상향 링크 LNA(322)는 제 2 모뎀(220)으로부터 수신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잡음 성분)을 제거한 후 상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24)로 전송한다. 상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24)는 노이즈가 제거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즉, 상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24)는 2,400 MHz 내지 2,4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를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상향 링크 증폭부(326)는 상향 링크 주파수 변환부(324)로부터 수신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해당 신호가 방사되도록 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relaying method using frequency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기 설정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다(S410).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안테나(122)를 이용하여 신호 송출 장치(110)로부터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다. 즉, 신호 중계 장치(120)는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이브로 신호)를 신호 송출 장치(110)로부터 수신하는 것이다.The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S420). 신호 중계 장치(120)가 제 1 주파수 대역을 제 2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입력된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다. 여기서, 신호 중계 장치(120)는 이러한 하향 링크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LNA, 주파수 변환부 및 증폭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송출한다(S430). 즉, 신호 중계 장치(120)는 인빌딩 시스템(130) 내에 포설된 케이블 및 제 2 안테나(124)를 이용하여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출한다.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2,400 MHz 내지 2,4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로서, 무선랜 신호 중 와이파이 신호를 말한다. 즉, 특정 건물 내부에 위치한 가입자들이 소지한 많은 단말기가 이러한 와이파이를 지원하기 때문에, 가입자들이 신호 중계 장치(120)를 통해 변환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공받아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전화, PDA, 데스크톱, 노트북 컴퓨터, 넷북, 게임기, 프린터를 비롯한 일부 주변 기기 등을 이용해 와이파이를 통한 통신이 가능하므로,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와이파이 신호가 송출되는 커버리지 내에서는 제 2 안테나(124)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The
역으로, 특정 건물 내부에 위치한 가입자의 단말기가 신호 중계 장치(120)를 통해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다가 와이파이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기는 신호 중계 장치(120)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전송한다.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S440)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수신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변환한다(S450). 신호 중계 장치(120)가 제 2 주파수 대역을 제 1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2 안테나(124)를 통해 입력된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다. 여기서, 신호 중계 장치(120)는 이러한 상향 링크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LNA, 주파수 변환부 및 증폭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a subscriber terminal located in a specific building performs Wi-Fi communication through the
신호 중계 장치(120)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하여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송출한다(S460). 즉, 신호 중계 장치(120)는 신호 송출 장치(110)가 제 1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므로, 신호 송출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 1 안테나(122)를 통해 신호 송출 장치(110)로 전송하는 것이다.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와이브로 신호로서, 특정 건물 내부에 위치한 가입자들은 신호 중계 장치(120)를 통해 2,400 MHz 내지 2,4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로 통신을 수행하지만 실질적으로 가입자들은 2,300 MHz 내지 2,399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신호 송출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신호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6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신호 중계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Although it is described in FIG. 4 that steps S410 to S460 are sequentially executed,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by executing one or more of the steps S410 through S460 in parallel And therefore, it is not limited to the time-series order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relaying method using the frequency conver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 4 can be implemented by a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케이블 또는 안테나의 증설 없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서비스 커버리지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데이터 수요에 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공할 수 있고, 통신망 내의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분산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which service coverage for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can be ensured without additional cables or antennas to use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is a useful invention that generates the effect of distributing the demand for data traffic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신호 송출 장치 120: 신호 중계 장치
122: 제 1 안테나 124: 제 2 안테나
130: 인빌딩 시스템 210: 제 1 모뎀
220: 제 2 모뎀 230: 변환 인터페이스부
240: 신호 중계부 310: 하향 링크부
320: 상향 링크부110: signal delivery device 120: signal relay device
122: first antenna 124: second antenna
130: In-building system 210: First modem
220: second modem 230: conversion interface unit
240: Signal relay unit 310: Downlink unit
320:
Claims (12)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모뎀;
상기 제 1 모뎀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를 상기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한 후 상기 제 2 모뎀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2 모뎀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랜 신호를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한 후 상기 1 모뎀으로 전송하는 변환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2 안테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방식의 신호 중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이동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신호중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A first mod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mong signals of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ing a first antenna;
A second mod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LAN signal using a second antenna;
Converts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modem into the wireless LAN signal, amplifies the wireless LAN signal, and transmits the amplified wireless LAN signal to the second modem, or converts the wireless LAN signal received from the two modems into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 conversion interface unit for amplifying the amplifie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signal to the 1 modem; And
And a signal relay unit for relaying the remaining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except for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mong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nd the signal repeater.
상기 변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모뎀로부터 입력된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에서 노이즈(Noise)를 제거한 후 상기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로 송출하는 하향 링크부; 및
상기 제 2 모뎀로부터 입력된 상기 무선랜 신호의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1 안테나로 송출하는 상향 링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rsion interface unit,
A downlink unit for removing noise from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odem and converting the noise into the wireless LAN signal, amplifying the wireless LA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wireless LAN signal to the second antenna; And
An uplink unit for removing noise from the signal of the wireless LAN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modem and then converting the signal into the signal of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nd amplifying the signal of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signal to the first antenna;
And the signal repeater.
상기 하향 링크부 또는 상기 상향 링크부는,
LNA(Low Noise Amplifer), 주파수 변환부 및 증폭부(Amplif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ownlink unit or the uplink unit comprises:
An LNA (Low Noise Amplifier), a frequency converter, and an amplifier (Amplifier).
상기 제 1 모뎀은 신호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odem transmits / receives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device.
상기 제 2 모뎀은 연동하는 인빌딩 시스템 내에 포설된 케이블 및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odem transmits and receives the wireless LAN signal through a cable and an antenna installed in an interworking in-building system.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 과정;
제 1 모뎀으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를 상기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한 후 제 2 모뎀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2 모뎀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무선랜 신호를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한 후 상기 1 모뎀으로 전송하는 변환 과정; 및
상기 제 1 안테나와 상기 제 2 안테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방식의 신호 중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이동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of transmitting / receiving a predetermined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mong signals of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ing a first antenna;
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of transmitting / receiving a wireless LAN signal using a second antenna;
Converts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modem to the wireless LAN signal, amplifies the wireless LAN signal, and transmits the amplified wireless LAN signal to the second modem, or converts the wireless LAN signal received from the two modems into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 converting process of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one modem; And
A relaying step of relaying the remaining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excluding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mong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nd a signal relay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ignal relaying unit.
상기 변환 과정은,
상기 제 1 모뎀로부터 입력된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상기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2 안테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version process includes:
Converts the signal into the wireless LAN signal after removing noise from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odem, and amplifies the wireless LAN signal and transmits the amplified wireless LAN signal to the second antenna.
상기 변환 과정은,
상기 제 2 모뎀로부터 입력된 상기 무선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특정 이동통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 1 안테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중계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version process includes:
Wherein the noise removal unit removes noise from the wireless LAN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modem, converts the noise into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mplifies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first antenn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3846A KR101725775B1 (en) | 2011-01-14 | 2011-01-14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Signal by Using Frequency Conver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3846A KR101725775B1 (en) | 2011-01-14 | 2011-01-14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Signal by Using Frequency Convers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2540A KR20120082540A (en) | 2012-07-24 |
KR101725775B1 true KR101725775B1 (en) | 2017-04-27 |
Family
ID=4671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3846A Active KR101725775B1 (en) | 2011-01-14 | 2011-01-14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Signal by Using Frequency Conver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5775B1 (en) |
-
2011
- 2011-01-14 KR KR1020110003846A patent/KR10172577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2540A (en) | 2012-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284082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HIGH-CAPACITY DATA AND WIRELESS IoT (INTERNET OF THINGS) SERVICES | |
JP5763767B2 (en) | Method of cooperative operation with relocatable wireless node and macrocell wireless access point | |
US20240298308A1 (en) | Node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capacity data services via a content delivery network architecture | |
CN103238360A (en) |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cenario | |
US10727931B2 (en) | Repeater system and method | |
US914329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ignal path of a radio communication | |
US992437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 |
EP2216961A1 (en) |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 |
CN106537969B (en) | Phalanx wireless system architectural for large capacity wireless communication | |
CN107343328B (en) | Distributed base station system | |
KR10172577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Signal by Using Frequency Conversion | |
CN112383901B (en) | Digital radio remote relay system for D2D communication | |
CN113519132B (en) |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base station and terminal in limited space | |
Holma et al. | Small Cell Products | |
KR101324141B1 (en) | System for extending wireless internet coverage | |
KR101006949B1 (en) | System to Extend Wireless Internet Coverage | |
KR20120079960A (en) | Method for providing femto cell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 |
CN203761402U (en) | LTE-A relay utilizing optical communication to promote backhaul link efficiency | |
KR20100117544A (en) | Using mobile communication-building repeater system to provide wireless internet access | |
CN102905401A (en) |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base station | |
CN105704804A (en) |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ndoor gain device and method | |
CN102573131A (en) | Digitized intelligent optimization system based on 3G base station technology | |
CN102355754A (en) | Mobile terminal compatible with double mod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