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5726B1 -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726B1
KR101725726B1 KR1020160060118A KR20160060118A KR101725726B1 KR 101725726 B1 KR101725726 B1 KR 101725726B1 KR 1020160060118 A KR1020160060118 A KR 1020160060118A KR 20160060118 A KR20160060118 A KR 20160060118A KR 101725726 B1 KR101725726 B1 KR 10172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rail
conveying
guide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 신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신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6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7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 형상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이송가이드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레일과, 상기 받침레일 내·외측 둘레의 상부를 따라 구비되어 받침레일에 안착된 이송가이드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레일로 구성되어 사각 형태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형성된 조립라인 시작점의 가이드레일 하부에 파레트를 밀어내며 다음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설치하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파레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거치대의 하부에 짧은 스트로크를 갖는 실린더의 로드에 위치고정핀을 장착하여 위치고정홀더의 내부로 위치고정핀을 삽입하는 형태로 파레트를 고정하도록 구성한 복수개의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이송수단의 양측에 파레트가 전진하면 스프링이 압축되어 파레트를 통과시키고 후진하려는 경우 파레트를 멈추도록 하여 파레트가 역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역방향유동방지장치를 구비하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 조립라인의 끝에 위치한 파레트의 위치를 바꾸어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수단을 구비하여 시트레일 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시트레일의 조립이 완료된 파레트를 즉시 재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Meterial movement device of assembly machine for automobile seat rail}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레일을 연속적으로 조립하는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할 소재인 시트레일을 안착시키는 파레트를 다음의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일직선상에 연속배치되는 모든 파레트를 한꺼번에 밀어서 전체적인 동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구성과 작용을 간단하게 개선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시트레일과 같은 차량용 부품은 각 부품이 일정 수준으로 조립되어 납품되는 경우가 많다.
시트레일과 같은 차량용 부품은 수리용으로도 사용되므로 일반적으로 차량의 생산 수량 이상으로 대량 생산을 하게 되는데, 많은 수량의 제품을 조립하기 위하여 자동 조립기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시트레일의 각 조립공정 별 조립기를 각각 구비하고, 조립 공정 간 소재의 이송을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는데, 각 공정 조립기별로 인원이 투입되는 까닭에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업자에 의해 행해지는 소재의 이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자동이송 기능을 갖춘 이송장치가 개발된바 있는데, 시트레일 조립기에 각 단계별 조립장치를 일체로 형성하고 공정간 소재의 이송을 위한 구성으로는 작업할 소재인 시트레일이 안착되는 파레트를 연속으로 배치한 후, 하부에 구성한 이송장치에 의해 파레트를 한 단계씩 자동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상에 소재를 안착시키는 파레트가 안착되어 각 공정이 이루어지는데, 공정이 완료된 후 이송을 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각 파레트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장치가 동시에 상승하여 파레트를 살짝 들어올린 후 전진을 하여 파레트를 다음의 공정 위치로 이동하며, 이송장치가 하강하여 파레트를 안착시킨 후 이송장치는 처음의 위치로 복귀를 하게 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송방법에 의하면, 이송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 것은 물론이고, 또한 상기 각 파레트의 아래 위치에는 각 파레트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 수단 및 상기 승하강 수단 전체를 이동시키는 전후진 수단이 모두 설치되어야 하므로 장치가 매우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힘들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는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전체 조립라인을 거쳐 작업이 완료되는 형태이므로, 시트레일을 배출한 빈 파레트는 다시 처음의 위치로 이동하는 별도 환송장치를 통하여 다시 작업에 사용하는 되는데, 이에 따라 조립라인의 길이가 긴 것은 물론이고 별도 환송을 위한 장치가 부가되어야 하는 단점도 가지며, 파레트가 환송되는 동안에도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제 작업에 필요한 수량의 두 배 이상의 파레트를 구비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3092호(2002.10.25)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00088(2004.01.0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각 형태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파레트가 이송되면서 시트레일이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공간의 소요를 줄이고, 조립이 완료된 파레트는 바로 재투입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레트의 구비 숫자를 줄이며, 파레트를 이송하는 과정에서는 한쪽에 위치한 이송장치가 직선방향으로 이송되어야 하는 여러 개의 파레트를 한꺼번에 밀어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하고, 아울러 이송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레트가 이송하는 경로로서 사각 형상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이송가이드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레일과, 상기 받침레일 내·외측 둘레의 상부를 따라 구비되어 받침레일에 안착된 이송가이드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레일로 구성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촉하는 파레트에는 상기 받침레일과 이탈방지레일과의 마찰을 최소화 하면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이송가이드를 연마된 원통형 봉재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형성된 조립라인 시작점의 가이드레일 하부에 일직선 구간의 전체 파레트를 밀어내도록 직선이송수단을 설치하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 조립라인의 끝에 위치한 파레트의 위치를 바꾸어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수단을 구비하여 시트레일 소재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며 시트레일의 조립이 완료된 파레트를 즉시 재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직선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파레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거치대의 하부에 짧은 스트로크를 갖는 실린더의 로드에 위치고정핀을 장착하여 위치고정홀더의 내부로 위치고정핀을 삽입하는 형태로 파레트를 고정하도록 구성한 복수개의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이송수단의 양측에 파레트가 전진하면 스프링이 압축되어 파레트를 통과시키고 후진하려는 경우 파레트를 멈추도록 하여 파레트가 역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역방향유동방지장치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은 사각 형태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파레트가 이송되도록 하여 조립이 완료된 파레트를 즉시 복귀하여 재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꼭 필요한 수량의 파레트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파레트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레트를 개별적으로 이송하지 않고 각 라인에 위치한 전체 파레트를 밀어내 한번에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레트를 이송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송에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이송을 위한 구조와 작용이 간단하므로 유지보수에도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레트가 가이드레일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이송수단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이송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수단에 의해 파레트가 이송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향전환수단에 의해 파레트가 타측 조립라인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브라켓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장치의 작동모습를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소재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부면에 시트레일 소재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소재안착부(306)가 구비되어 유동없이 시트레일 소재를 이송하는 파레트(300)를 대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파레트(300)의 이송경로를 따라 파레트(300)의 베이스(305) 하부에 장착된 이송가이드(303)를 받쳐줄 수 있도록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환봉을 사각 형상으로 나란히 배열하여 받침레일(131)을 구성하고, 상기 받침레일(131) 내·외측 둘레의 상부를 따라 받침레일(131)에 안착된 이송가이드(30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송가이드(303)를 양쪽에서 받쳐주는 이탈방지레일(132)을 구비하여 직사각형태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130)을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개소에 거치대(101)가 설치되어 도 3과 같이 가이드레일(130)이 흔들리지 않고 파레트(300)를 이탈없이 받쳐줄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본 발명의 파레트(300)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지지를 받으면서 이송을 할 때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원형봉 형태의 이송가이드(303)을 구성하는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송가이드(303)의 저면이 받침레일(131)과 선 접촉 하도록 하고 이송가이드(303)의 측면이 이탈방지레일(132)와 점 접촉되도록 하였다.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길게 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파레트(300)가 이송되며 소재가 조립되어 시트레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립라인을 구성하는데, 각 조립라인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각 조립라인 시작점의 가이드레일(130) 하부에 파레트(300)를 밀어내며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직선이송수단(110)을 설치한다.
상기 직선이송수단(110)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는 도 4a에서 자세히 볼 수 있듯이 양측이 베어링에 외삽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볼스크류장치(111)의 외측으로 파레트(300)를 밀어내며 이송하기 위한 이송브라켓(113)을 외삽하고, 상기 이송브라켓(113)의 양측 하부에 LM가이드(112)를 장착하여 볼스크류장치(1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송브라켓(113)이 전·후로 직선동작하도록 구성하면서, 상기 볼스크류장치(111)를 일정한 수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하는 서보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브라켓(113)이 정확히 파레트(300) 하나만큼의 거리만을 밀어낸 뒤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직선이송수단(110)의 다른 예로는 도 4b와 같이 실린더(111')를 이용하는 것이며, 그 외에도 캠이나 링크 등 직선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는 일반적인 장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직선이송수단(110)의 끝에는 이송브라켓(113)을 구비하여 전후진을 반복하면서 전진시 파레트(300)를 밀고 후진시에는 파레트(300)에 걸리지 않도록 하였는데, LM가이드(112)와 결합되는 하판(113")과, 회전축에 의해 하판(113")과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판(1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113')과 하판(113")의 내측으로 스프링을 구비하여 평상 시 상판(113')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압력이 가해지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판이 하판(113")과 밀착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브라켓(113)의 상판(113')은 파레트(300)의 진행방향으로 갈 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파레트(300)에 상판(113')의 후단이 접촉하는 경우 이송브라켓(113)의 스프링이 압축되며 파레트(3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전단면이 접촉하는 경우 파레트(300)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볼스크류장치(111)의 회전에 의해 파레트(300)를 밀어내며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자세하게는, 파레트(300)의 양측으로 파레트(300)간 간격을 일정거리만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격브라켓(301)을 설치하고, 상기 이격브라켓(301)의 끝단 하부에 아래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돌출부(301')를 형성하여 상기 이송브라켓(113) 상판(113')의 전면이 돌출부(301')를 밀어내며 파레트(300)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브라켓(113)이 복귀하는 도중 상판(113')의 후단이 돌출부(301')와 접촉하면 상판(113')과 하판(113")이 밀착되도록 동작하여 파레트(300) 하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직선이송수단(110)에 의해 파레트(300)가 밀려나며 이송되면 이송장치(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시트레일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장치(200)의 하부에 파레트(300)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조립장치(200)의 하부에서 파레트(30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거치대(101)의 하부에 복수개의 고정장치(102)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장치(102)는 짧은 스트로크를 갖는 실린더의 로드에 위치고정핀을 장착하여 구성하며, 상기 고정장치(102)가 동작하면 위치고정핀이 상승하여 상부에 위치한 베이스(305)에 구비된 위치고정홀더(304)의 내부로 삽입되며 파레트(305)를 현재의 위치에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고정장치(102)는 공정이 완료된 경우 하강동작하여 파레트(305)를 이송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되도록 한다.
상기 파레트(305)가 이송가능한 상태가 되면 일측 조립라인을 진행하며 조립이 진행중인 파레트(300)는 타측 조립라인으로 이송하여 시트레일의 조립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양측 조립라인을 모두 진행하여 시트레일의 조립을 끝마친 파레트(300)는 시트레일을 조립하기 위해 재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3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 조립라인의 끝에 위치한 파레트(300)의 위치를 바꾸어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수단(120)을 구비한다.
상기 방향전환수단(120)은 일정거리를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축로봇(12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LM가이드(125)를 따라 직선동작 할 수 있도록 결합판(123)을 구성하고, 단축로봇(121)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실린더(122)에 의해 상기 결합판(123)이 상·하 동작하며 상기 결합판(123)의 양측 하부에 장착된 샤프트(124)를 이용해 파레트(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레트(300)의 베이스(305)에는 폭방향 양측으로 상기 샤프트(12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홀더(302)가 구비되어 있어 샤프트홀더(302)의 내부로 샤프트(124)가 수용되면 파레트(300)가 결합판(123)에서 이탈할 수 없게 되는데, 이 때, 단축로봇(121)을 구동하여 파레트(300)를 타측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한편, 직선이송수단(110)의 양측에는 파레트(300)가 전진하면 스프링이 압축되어 파레트(300)를 통과시키고 파레트(300)가 후진하려는 경우 파레트(300)를 멈추도록 하여 역방향으로 유동할 수 없도록 하는 역방향유동방지장치(103)가 설치되는데, 상기 역방향유동장치(103)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송브라켓(113)과 같이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상판을 하판에 회전축을 이용해 결합하여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직선이송수단(110)이 동작하여 파레트(300)를 이송한뒤 복귀하는 과정에서 이송브라켓(113) 상판(113')의 후단과 접촉하게 되는 파레트(300)가 역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가이드레일(130)의 위에 다수의 파레트(300)를 안착시키는데, 받침레일(131)의 상부로 이송가이드(303) 하단이 안착되면서 이탈방지레일(132)에 의해 파레트(300)가 가이드레일(130)을 벗어나지 못하고 이송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나란히 배열한다.
이 후, 양측 조립라인에 구비된 직선이송수단(110)의 한 가지 예인 볼스크류장치(111)를 작동하여 이송브라켓(113)이 전면으로 각 조립라인의 시작부에 위치한 파레트(300)의 돌출부(301')를 밀어내며 파레트(300)를 이송하도록 한다.
이 때, 시작부에 위치한 파레트(300)가 밀려나면 이격브라켓(301)이 밀착되어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각 조립라인의 전체 파레트(300)가 함께 밀려나며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파레트(300) 하부의 이송가이드(303)는 받침레일(131)과는 선 접촉하고 이탈방지레일(132)과는 점 접촉하므로 마찰이 거의 없이 적은 힘으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파레트(300)의 이송 중 역방향유동방지장치(103)는 스프링이 압축되며 파레트(3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이송이 완료되면 파레트(300)가 역방향으로 동작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이 완료되면 고정장치(102)가 상승하여 위치고정핀이 위치고정홀더(304)의 내부로 삽입되어 파레트(300)의 위치를 고정하고, 볼스크류장치(111)가 반대로 회전하여 이송브라켓(113)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이송브라켓(113)은 복귀되는 과정에서 후단이 돌출부(301')와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상판(113')과 하판(113")의 내측으로 구비된 스프링이 압축되며 걸림 없이 원래의 위치로 빠르게 복귀된다.
이송이 완료된 파레트(300)는 상부에 위치한 조립장치(200)에 의해 시트레일 조립공정이 시작되고, 각 공정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파레트(300)를 이송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102)가 하강동작하여 위치고정홀더(304)에 삽입된 위치고정핀을 이탈시킨다.
그러면, 가이드레일(13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구비된 방향전환수단(120)의 승강실린더(122)가 하강하여 결합판(123)의 양측 하부에 장착된 샤프트(124)를 각 조립라인의 끝단에 위치한 파레트(300)의 베이스(305)에 구비된 샤프트홀더(302)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샤프트(124)가 완전히 삽입되어 파레트(300)가 고정되면 단축로봇(121)이 전진동작하여 각 조립라인의 끝단에 위치한 파레트(300)를 타측에 위치한 조립라인의 시작점으로 이송한다.
파레트(300)의 이송이 완료되면 승강실린더(122)가 상승하여 샤프트홀더(302)로부터 샤프트(124)를 이탈시키고, 단축로봇(121)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파레트(300)를 이송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 후,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동작하며 시트레일을 연속적으로 조립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시트레일이 조립될 수 있도록 소재를 이송하는 파레트(300)가 가이드레일(130)에 의해 형성된 사각 형태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시트레일의 조립이 연속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시트레일의 조립을 마친 파레트는 즉시 재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불필요한 파레트(300)의 제작으로 인하여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신뢰성 있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송장치 101 : 거치대
102 : 고정장치 103 : 역방향유동방지장치
110 : 직선이송수단 111 : 볼스크류장치
112 : LM가이드 113 : 이송브라켓
120 : 방향전환수단 121 : 단축로봇
122 : 승강실린더 123 : 결합판
124 : 샤프트 125 : LM가이드
200 : 조립장치 300 : 파레트
301 : 이격브라켓 301':돌출부
302 : 샤프트홀더 303 : 이송가이드
304 : 위치고정홀더 305 : 베이스

Claims (3)

  1.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시트레일 소재를 이송하기 위해 상부면에 시트레일 소재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소재안착부가 구비된 파레트를 이송하는 소재 이송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환봉을 사각 형상으로 나란히 배열하여 받침레일(131)을 구성하고, 상기 받침레일(131) 내·외측 둘레의 상부를 따라 받침레일(131)에 안착된 이송가이드(30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송가이드(303)를 양쪽에서 받쳐주는 이탈방지레일(132)로 구성되는 가이드레일(130)을 구성하고,
    파레트(300)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지지를 받으면서 이송을 할 때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원형봉 형태의 이송가이드(303)을 구성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이송가이드(303)의 저면이 받침레일(131)과 선 접촉 하도록 하고 이송가이드(303)의 측면이 이탈방지레일(132)와 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형성된 조립라인 시작점의 가이드레일(130) 하부에 파레트(300)를 밀어내며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직선이송수단(110)을 설치하여 파레트의 직선방향 이송시 직선이송수단이 여러 개의 파레트를 동시에 밀어서 이송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직사각형상의 이송경로가 되도록 배열한 후, 파레트가 직선으로 이송한 후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위하여 방향전환수단(120)을 구비하되, 일정거리를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축로봇(12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LM가이드(125)를 따라 직선동작 할 수 있도록 결합판(123)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판(123)이 상·하 동작할 수 있도록 단축로봇(121)의 상부에 승강실린더(122)를 설치하며, 결합판(123)의 양측 하부에 샤프트홀더(302)의 내부로 삽입되어 파레트(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124)를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직선이송수단(110)의 끝에는 이송브라켓(113)을 구비하여 전후진을 반복하면서 전진시 파레트(300)를 밀고 후진시에는 파레트(300)에 걸리지 않도록 하되, LM가이드(112)와 결합되는 하판(113")과, 회전축에 의해 하판(113")과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상판(1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113')과 하판(113")의 내측으로 스프링을 구비하여 평상 시 상판(113')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압력이 가해지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판이 하판(113")과 밀착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KR1020160060118A 2016-05-17 2016-05-17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Active KR101725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18A KR101725726B1 (ko) 2016-05-17 2016-05-17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18A KR101725726B1 (ko) 2016-05-17 2016-05-17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726B1 true KR101725726B1 (ko) 2017-04-11

Family

ID=5858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118A Active KR101725726B1 (ko) 2016-05-17 2016-05-17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7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9891A (zh) * 2019-09-16 2019-11-15 沈阳旭阳中冶座椅有限公司 座椅装配线
CN110588842A (zh) * 2019-10-21 2019-12-20 重庆延锋安道拓锋奥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座椅滑轨装配线
CN114162531A (zh) * 2021-12-15 2022-03-11 江苏新惕姆智能装备有限公司 输送装置、其输送方法、推送机构及组装线
CN114228874A (zh) * 2021-12-29 2022-03-25 黄石市中城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客车行李架装配输送生产线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0826A (ja) * 1988-06-06 1989-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搬送システム装置
KR200293092Y1 (ko) 2002-07-30 2002-10-25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KR20040000088A (ko) 2002-06-24 2004-01-03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KR20070039268A (ko) * 2005-10-07 2007-04-11 주식회사 만도 자동화 공급시스템
JP2011218495A (ja) * 2010-04-10 2011-11-04 Nittoku Eng Co Ltd パレッ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ワークの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0826A (ja) * 1988-06-06 1989-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搬送システム装置
KR20040000088A (ko) 2002-06-24 2004-01-03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KR200293092Y1 (ko) 2002-07-30 2002-10-25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KR20070039268A (ko) * 2005-10-07 2007-04-11 주식회사 만도 자동화 공급시스템
JP2011218495A (ja) * 2010-04-10 2011-11-04 Nittoku Eng Co Ltd パレッ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ワークの搬送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9891A (zh) * 2019-09-16 2019-11-15 沈阳旭阳中冶座椅有限公司 座椅装配线
CN110588842A (zh) * 2019-10-21 2019-12-20 重庆延锋安道拓锋奥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座椅滑轨装配线
CN114162531A (zh) * 2021-12-15 2022-03-11 江苏新惕姆智能装备有限公司 输送装置、其输送方法、推送机构及组装线
CN114228874A (zh) * 2021-12-29 2022-03-25 黄石市中城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客车行李架装配输送生产线及其使用方法
CN114228874B (zh) * 2021-12-29 2022-09-16 黄石市中城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客车行李架装配输送生产线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26B1 (ko)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CN108422192B (zh) 一种按钮开关自动装配设备
JPH0747409B2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9277808B (zh) 阀芯全自动装配系统
CN205248150U (zh) 墙壁控制开关自动组装机
KR20200035718A (ko) 스테이터 코어용 레이저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방법
CN111532717A (zh) 一种自动化工件送料机构
KR101207078B1 (ko) 자동화 장비용 트레이 로딩장치
CN114999981A (zh) 塑封三极管自动输送加工设备
KR101854209B1 (ko)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스프링 조립장치
CN218318795U (zh) 理料机构与上料装置
CN114131326B (zh) 一种活塞总成组装系统
CN216613000U (zh) 一种摆盘机托盘水平三工位输送装置
JP6689397B2 (ja) ドライブプーリ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と、ローラ組付装置、ピース取付装置及びボス挿通装置
CN214444468U (zh) 一种断路器自动拼装设备
CN214058043U (zh) 电表分箱机
CN204980280U (zh) 电子料件多流道载料设备
CN112846764A (zh) 一种断路器自动拼装设备
KR100959177B1 (ko) 부싱 공급장치
CN107790997B (zh) 滚筒轴承装入机构
US8955713B2 (en) Automated magazine feeder
CN222023574U (zh) 载具提升机构及电子产品加工设备
CN210479946U (zh) 一种高精密载具原地旋转装置
CN221115516U (zh) 治具回流传送机构
CN213057744U (zh) 一种笔芯装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