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3943B1 -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943B1
KR101723943B1 KR1020150129942A KR20150129942A KR101723943B1 KR 101723943 B1 KR101723943 B1 KR 101723943B1 KR 1020150129942 A KR1020150129942 A KR 1020150129942A KR 20150129942 A KR20150129942 A KR 20150129942A KR 101723943 B1 KR101723943 B1 KR 101723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ever
hub
guide shaft
coupled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115A (ko
Inventor
한덕희
Original Assignee
(주)혜강씨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강씨큐리티 filed Critical (주)혜강씨큐리티
Priority to KR102015012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9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9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2Sign-, picture- or letter-based permu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02Faceplates or front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티 패닉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는 내측 레버를 제공하되, 평상시에는 내측레버가 잠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외부에서의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출입 시에 내측 레버를 자연스럽게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잠김 상태가 해제되어 1회의 조작만으로 내측레버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티패닉 기능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보안과 사용의 편의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레버의 허브 선단에 형성된 제1결합수단과 가이드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제2결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내측레버의 조작에 따라 모티스에 결합되는 사각샤프트와 단속(斷續)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안성과 사용의 편의성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결하여 제조원가 상승 부담이 거의 없으므로 널리 적용 가능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Compulsory Unlocking Apparatus of Door Lock on the Outside}
본 발명은 가정이나 업소의 출입문에 설치하는 도어록을 외부에서 강제 조작하지 못하도록 한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며, 실내기 본체(10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 잠금 레버(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강제 잠금 레버(110)는 외부에서 어떠한 조작을 하더라도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내측 레버(120)는 강제 잠금 설정된 상태에서 강제 잠금 레버(110) 및 모티스의 데드볼트(130)와 래치볼트(140)를 동시에 연동시킬 수 있는 안티 패닉(Anti Panic)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화재 등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등에 대비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이 내측 레버(120)를 회동시키면 강제 잠금 레버(110)가 잠김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강제 잠금 레버의 조작 없이 외부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강제 잠금 레버(110)가 내측 레버(120)의 회동에 의해 잠김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이동되는 구조를 악용하여 근래에는 실내에 거주자가 없음을 확인한 침입자가 외부에서 드릴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문에 구멍을 뚫고 와이어를 실내로 집어 넣은 후에 디지털 도어록의 실내기의 내측 레버(120)를 회동시켜 줌으로써 손쉽게 디지털 도어록을 강제 해정하여 범죄를 일으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2로 보인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3972호(고안의 명칭: 도어록의 강제 해정 방호장치;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비상시 사용자가 실내측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일회 동작만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손잡이가 외부의 와이어를 통해 무단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제 해정 방호장치로서, 문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도어락 본체(300); 및 상기 도어락 본체(300)에 근접 설치되고 상기 문에서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방호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1에 의한 강제 해정 방호장치의 방호 플레이트(200)는 평상시 문(10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자가 도어락을 강제로 해정하기 위해 문에 드릴(400)과 같은 공구를 이용해 천공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면, 침입자의 드릴(400)은 문 내측을 관통하게 되고 일측이 회동되도록 고정된 방호 플레이트(200)는 드릴(400)에 의해 밀려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3으로 보였다.
이와 같이 방호 플레이트(200)가 회동되면 방호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관통구(210)에 실내측 손잡이(310)의 파지부분이 관통된다. 이와 같은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외부의 침입자는 천공된 구멍을 통해 철사와 같은 와이어를 삽입하고, 상기 실내측 손잡이(310)에 와이어를 걸어 회동시키려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문(100)에 천공된 구멍으로 와이어가 삽입되더라도 방호 플레이트(200)가 실내측 손잡이(310)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실내측 손잡이(310)는 관통구(21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문(100)에 천공을 하고 와이어를 사용하여 실내측 손잡이(310)를 회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천공을 통한 도어락의 강제 해정은 이루어질 수 없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1에 의하면 방호 플레이트(150)의 설치범위가 도어록 설치부위 일부에 제한되므로 문 전체를 커버할 수 없게 되어 방호 플레이트(150)가 설치되지 않은 부위를 천공하여 내측 레버(120)의 강제 해정을 시도하는 경우 인용발명1의 방호플레이트 등은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도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5914호(고안의 명칭: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레버 외부 강제 회동 방지 장치; 이하 '인용발명2'라 함)을 제안한 바 있으며, 이는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레버 외부 강제 회동 방지 장치는 비상시 사용자가 내측 레버(1)를 회동시키는 일회 동작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는 도어록에서, 내측 레버(1)가 외부에서 삽입되는 와이어를 통해 강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어록 실내기 본체(10); 상기 도어록 실내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잠금레버(20); 상기 잠금레버(20)와 결합되어 연동되고, 돌기부(32)가 형성된 좌우 슬라이딩 부재(30); 상기 돌기부(32)가 삽입되어 상기 좌우 슬라이딩 부재(30)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하 슬라이딩 부재(40); 허브축(2) 외주연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 슬라이딩 부재(40) 하강시 상기 걸림부(42)가 삽입되어 상기 내측레버(1)의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홈(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용발명2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레버 외부 강제 회동 방지 장치는 외부에서 와이어등을 삽입하여 내측 레버(1)의 회동을 시도하더라도 잠금 레버(20)의 잠금 설정에 의하여 상하 슬라이딩 부재(40)가 내측레버(1)가 결합되는 허브축(2)을 구속하여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에 의하여 내측 레버(1)가 임의로 조작되어 무단 개방됨에 따른 강,절도 등 심각한 범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인용발명2에 의하면 내측 레버(1)가 임의 조작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사람이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잠금 레버(20)를 해정 설정 방향으로 조작하여 내측 레버를 1회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안티 패닉 기능을 활용하고 실내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잠금 레버(20)를 잠금 방향으로 조작하여 내측 레버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만일 부주의하여 잠금 레버(20)를 해정 설정 방향으로 사용하던 상태에서 외출하게 되면 상기한 드릴을 이용한 천공 와이어 투입으로 무단 개방됨에 따른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것이어서 이에 관한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3972호(고안의 명칭: 도어록의 강제 해정 방호장치)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5914호(고안의 명칭: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레버 외부 강제 회동 방지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인용발명1과 인용발명2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티 패닉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는 내측 레버를 제공하되, 평상시에는 내측레버가 잠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외부에서의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출입 시에 내측 레버를 자연스럽게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잠김 상태가 해제되어 1회의 조작만으로 내측레버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티패닉 기능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보안과 사용의 편의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기의 일측으로 내측레버의 허브가 결합되며 상기 내측 레버의 허브가 회동하도록 지지하여 주기 위한 스토퍼플레이트와, 상기 내측레버의 선단에 구비된 제1결합수단과, 상기 내측레버의 허브에 형성된 허브중심공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가이드샤프트가 샤프트스토퍼의 중심공에 결합,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중심공에 모티스 구동을 위한 사각샤프트가 결합 되도록 하되, 상기 내측레버의 허브 선단에 제1결합수단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된 제2결합수단이 분리, 결합됨에 따라 내측레버에 의한 사각샤프트의 회동이 단속되도록 하여서 된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평상시 외부에서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내측 레버를 회전시키더라도 제1,2결합수단이 분리되어 있어 공회전함에 따라 임의로 문을 개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며, 실내에서 외부로 나가기 위하여 내측 레버를 약간 밀면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안티 패닉 기능이 발휘되어 간편하게 문을 열고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보안성과 사용의 편의성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결하여 제조원가 상승 부담이 거의 없으므로 널리 적용 가능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안티 패닉 기능을 갖는 실내기를 보인 설명도.
도2는 종래의 도어록의 강제 해정 방호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도2로 보인 강제 해정 방호장치의 작동을 보인 설명도.
도4,5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레버 외부 강제 회동 방지 장치 작동을 보인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기를 보인 사시도.
도7은 도6과 같은 위치에서 관찰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8은 도7과 반대되는 위치에서 관찰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내측레버 허브와 가이드샤프트 및 사각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내측레버 허브와 가이드샤프트 및 사각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11은 도10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서 내측레버가 자유 회전되는 상태와 내측레버를 회전시키면서 누른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3은 도12의 내부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15는 도14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관찰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내측레버 허브와 가이드샤프트 및 샤프트스토퍼, 사각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7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내측레버 허브와 가이드샤프트 및 샤프트스토퍼, 사각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 내측레버 허브와 가이드샤프트 및 샤프트스토퍼, 사각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19는 본 발명에서 내측레버가 자유 회전되는 상태 및 회전시키면서 누른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20은 본 발명에서 내측레버가 자유 회전되는 상태 및 회전시키면서 누른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기(100)를 도6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견하여 통상의 내측기(100) 및 내측레버(200) 그리고 내측레버의 허브(202)와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특징이 내측기(100) 내부에 위치하여 보이지 않게 된 데 연유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특징은 도7 및 도8로 보인 바와 같은 분리 사시도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기(100)의 내측레버(200)가 파지부(201)와 허브(202)로 구성되며, 이러한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선단에는 후술되는 제1결합수단(204)과 허브 중심공(208)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내측레버(200)의 허브(202)는 내측기(100)의 하방으로 결합되어 그 내측에 위치하는 돌기(102)를 구비한 스토퍼플레이트(101)를 관통한 후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선단에 제1스냅링(103)이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중심공(208)에 스프링(400)과 가이드샤프트(300)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300)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204)과 대응되어 맞물리는 제2결합수단(30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300)는 샤프트스토퍼(104)에 의하여 그 중심이 지지됨과 아울러 가이드샤프트(300)의 선단에 제2스냅링(105)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300)에는 사각공(301)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공(301)에는 사각샤프트(106)의 일단이 결합되고 사각샤프트(106)의 타단에는 모티스가 결합되어 래치볼트(203)와 데드볼트(203)가 동시에 회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안티 패닉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도9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선단에 구비된 제1결합수단(204)과 가이드샤프트(300)의 제2결합수단(302)이 평상시에는 간격을 두고 분리되어 내측레버(200)가 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내측레버(200)의 조립 상태를 도10의 측면도 및 도11의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레버(200)의 선단에 형성된 제1결합수단(204)과, 내측레버(200) 하단에 압입되어 가이드샤프트(300)의 일측에 형성된 제2결합수단(302)만이 보이고 있으며, 가이드샤프트(300)의 사각공(301)에 결합된 사각샤프트(106)의 하방만이 노출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은 외부인이 문에 구멍을 내고 이를 통하여 와이어를 넣고 와이어를 내측레버(200)의 파지부(201)에 걸어 당기는 경우 내부레버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기는 하나 스프링(400)의 탄력으로 제1결합수단(204)과 제2결합수단(302)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가이드샤프트(300), 사각샤프트(106)를 연동시킬 수 없게 되어 문을 열 수 없게 되므로 문을 외부에서 강제로 개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내에서 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12 및 도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내측레버(200)의 파지부(201)를 잡고 상기 스프링(400)을 압출시킬 수 있는 정도로의 약한 힘으로 내측레버(200)를 누르면서 회동시키면 스프링(400)이 'd'로 보인 만큼 약간 압축되면서 상기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선단에 형성된 제1결합수단(204)이 가이드샤프트(300)의 제2결합수단(302)과 맞물리게 되며, 파지부(201)의 회동력으로 내측레버(200)가 회동됨에 따라 가이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300)의 사각공(301)에 결합된 사각샤프트(106)가 회전하면서 모티스의 래치볼트(203)와 데드볼트(203)가 동시에 몰입되어 문을 열고 나갈 수 있게 되는 안티패닉 기능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문을 열고 나간 후에는 스프링(400)이 원위치 되면서 다시 내측 레버 선단의 제1결합수단(204)과 가이드 샤프트의 제2결합수단(302)이 분리되므로 초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외부에서 임의로 강제 개방할 수 없게 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1결합수단(204)과 제2결합수단(302)이 각각 돌부(205)와, 요부(303)의 형태로 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어긋나 있는 상태에서 내측레버(200)의 파지부(201)를 잡고 약간 회전시키면서 밀게 되면 쉽게 맞물려 유연한 열림 동작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돌부(205)와 요부(303)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형성하면 더욱 유연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1결합수단(204)과 제2결합수단(302)이 각각 돌출와 요부(303)의 형태로만 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14이하에 도시하였으며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결합수단(204)으로 깊이가 얕은 제1요홈과 깊이가 깊은 제2요홈(207)을 형성하고 제2결합수단(302)으로 가이드샤프트(300)의 일측에 돌출부(307)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측기(100)의 내측레버(200)는 파지부(201)와 허브(202)로 구성되며, 이러한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선단에는 제1결합수단(204)으로 폭이 넓고 깊이가 얕은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의 중간에 위치하며 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 제2요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수단은 가이드샤프트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307)로 구성되며, 이에서도 허브(202)는 내측기(100)의 하방으로 결합되어 그 내측에 위치하는 돌기(102)를 구비한 스토퍼 플레이트(101)를 관통한 후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선단에 제1스냅링(103)이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중심공(208)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스프링(400)과 가이드샤프트(300)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300)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204)과 대응되어 맞물리며, 가이드샤프트(300)의 일측에 돌출부(307)를 형성하여서 된 제2결합수단(30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300)는 샤프트스토퍼(104)의 중심공(208)에 의하여 그 중심이 지지됨과 아울러 가이드샤프트(300)의 선단에 제2스냅링(105)이 고정된다.
아울러,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역시 상기 가이드샤프트(300)에는 사각공(301)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공(301)에는 사각샤프트(106)의 일단이 결합되고 사각샤프트(106)의 타단에는 모티스가 결합되어 래치볼트(203)와 데드볼트(203)가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안티 패닉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도14 및 도15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선단에 구비된 제1결합수단(204)과 가이드샤프트(300)의 제2결합수단(302)으로 구비된 제1요홈 및 제2요홈(207)과 돌출부(307)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이들이 스프링(400)의 탄력으로 간격을 두고 분리되어 내측레버(200)가 깊이가 얕은 제1요홈의 폭만큼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내측레버(200)의 조립 상태를 도16의 사시도와 도17도 및 도18의 측면도, 단면도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18로 보인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내측레버(200)를 회동시킴에 따라 제1결합수단(204)인 제1요홈(206)이 회동하면서 위치가 고정된 가이드샤프트(300)의 제2결합수단(302)인 돌출부(307)에 의하여 회동 가능 각도가 결정되는 것이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내측레버(200)가 회동 가능할 뿐 가이드샤프트(300)를 회동시킬 수는 없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인이 문에 구멍을 내고 이를 통하여 와이어를 넣고 와이어를 내측레버(200)의 파지부(201)에 걸어 당기는 경우 내부레버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기는 하나 스프링(400)의 탄력으로 제1결합수단(204)과 제2결합수단(302)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가이드샤프트(300), 사각샤프트(106)를 연동시킬 수 없게 되어 문을 열 수 없게 되므로 문을 외부에서 강제로 개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내에서 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결합수단(302)인 돌출부(307)가 제1결합수단(204)인 제1요홈의 형성된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도19 및 도20로 보인 바와 같이 내측레버(200)의 파지부(201)를 잡고 상기 스프링(400)을 압출시킬 수 있는 정도로의 약한 힘으로 내측레버(200)를 누르면서 회동시키면 스프링(400)이 'd'로 보인 만큼 약간 압축되면서 상기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선단에 형성된 제1결합수단(204)인 각도가 좁고 깊이가 깊은 제2요홈(207)에 가이드샤프트(300)의 제2결합수단(302)인 돌출부(307)가 끼워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파지부(201)의 회동력으로 내측레버(200)가 회동됨에 따라 가이드샤프트(300) 및 가이드샤프트(300)의 사각공(301)에 결합된 사각샤프트(106)가 회전하면서 모티스의 래치볼트(203)와 데드볼트(203)가 동시에 몰입되어 문을 열고 나갈 수 있게 되는 안티패닉 기능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은 문을 열고 나간 후에 스프링(400)이 원위치 되면서 다시 내측레버(200) 선단의 제1결합수단(204)과 가이드 샤프트의 제2결합수단(302)이 분리되므로 초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외부에서 임의로 강제 개방할 수 없게 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항상 제1결합수단(204)과 제2결합수단(302)이 결합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안티 패닉 기능이 상시 실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샤프트 상단이 도달하는 내측레버(200)의 허브중심공(208) 일측에 나사공(209)을 형성하고 이에 기능제한볼트를 결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내측레버(200)를 밀어 주어 스프링(400)이 압축된 상태에서 제1결합수단(204)과 제2결합수단(302)이 결합 되도록 한 후 기능제한볼트(203)를 체결하여 내측레버(200)의 허브(20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300)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항시 안티 패닉 기능이 구현되는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선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수단(204)과 가이드샤프트(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결합수단(302)을 돌부(205)와 요부(303)로 구성하거나, 제1· 2요홈과 돌출부(307)로 구성하는 것 외에 다른 균등한 요소에 의하여 실현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제1결합수단(204)으로서의 돌부(205)와 제2결합수단(302)으로서의 요부(303)가 언급되고 있으며 상기 돌부(205)와 요부(303)는 실제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環狀)으로 다수개가 둘러 형성됨으로써 견고한 상태로 결합 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제1결합수단(204)으로서의 제1요홈(206)과 제2요홈(207)에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302)으로서의 돌출부(307)를 언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요홈(206)과 제2홈이 내측레버(200)의 허브(202) 단면 양측에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상기 돌출부(307)도 양측으로 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샤프트(300)의 사출 과정에서 강봉이 일체로 압출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부(307)를 형성하도록 하여 내구성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내측기 101: 스토퍼플레이트 102: 돌기
103: 제1스냅링 104: 샤프트스토퍼 105: 제2스냅링
106: 사각샤프트 200: 내측레버 201: 파지부
202: 허브 203: 기능제한볼트 204: 제1결합수단
205: 돌부 206: 제1요홈 207: 제2요홈
208: 허브중심공 209: 나사공 400: 스프링
300: 가이드샤프트 301: 사각공 302: 제2결합수단
303: 요부 307: 돌출부

Claims (7)

  1. 내측기의 일측으로 내측레버의 허브가 결합되며, 상기 내측레버의 허브가 회동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플레이트와, 상기 내측레버의 선단에 구비된 제1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내측레버의 허브에 형성된 허브중심공에 스프링이 삽입된 후 가이드샤프트가 삽입되어 허브중심공 내부에서 스프링이 가이드샤프트를 탄력으로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가 샤프트스토퍼의 중심공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사각공에 모티스 구동을 위한 사각샤프트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내측레버의 허브 선단에 제1결합수단과,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된 제2결합수단이 분리, 결합됨에 따라 내측레버에 의한 사각샤프트의 회동이 단속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은 폭이 넓고 깊이가 얕은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의 중간에 위치하며 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 제2요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수단은 가이드샤프트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은 내측레버 허브 선단 둘레에 형성된 돌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수단은 가이드샤프트 선단의 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돌출된 내측레버의 허브 선단이 스토퍼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스냅링과,
    상기 샤프트스토퍼에 결합, 지지되는 가이드샤프트의 선단에 결합된 제2스냅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샤프트 상단이 도달하는 내측레버의 허브중심공 일측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이에 기능제한볼트를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으로서의 돌부와 제2결합수단으로서의 요부가 환상(環狀)으로 다수개가 둘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으로 폭이 넓고 깊이가 얕은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의 중간에 위치하며 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 제2요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수단은 가이드샤프트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KR1020150129942A 2015-09-14 2015-09-14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Active KR101723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42A KR101723943B1 (ko) 2015-09-14 2015-09-14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42A KR101723943B1 (ko) 2015-09-14 2015-09-14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15A KR20170032115A (ko) 2017-03-22
KR101723943B1 true KR101723943B1 (ko) 2017-04-06

Family

ID=5849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942A Active KR101723943B1 (ko) 2015-09-14 2015-09-14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083B1 (ko) 2021-03-19 2021-04-19 강희식 도어록의 도어핸들 위치 변경장치 및 외부키를 통한 도어록의 잠금 강제 해제장치
KR102491567B1 (ko) 2022-12-01 2023-01-27 주식회사 그린홈넷 디지털 도어록의 교체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006959U1 (de) 2017-04-28 2019-01-03 Hoppe Ag Fenster und/oder Türbeschlag
KR200496704Y1 (ko) * 2019-02-08 2023-04-06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23Y1 (ko) * 1998-08-18 2001-12-17 이동수 도어록의손잡이구
KR200447937Y1 (ko) * 2008-11-06 2010-03-03 주식회사 아이레보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101114557B1 (ko) * 2009-05-26 2012-03-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972A (ko) 2008-07-02 2010-01-12 주식회사 슬로비 킥보드
KR200455914Y1 (ko) 2010-07-26 2011-09-30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레버 외부 강제 회동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23Y1 (ko) * 1998-08-18 2001-12-17 이동수 도어록의손잡이구
KR200447937Y1 (ko) * 2008-11-06 2010-03-03 주식회사 아이레보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101114557B1 (ko) * 2009-05-26 2012-03-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디지털 도어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083B1 (ko) 2021-03-19 2021-04-19 강희식 도어록의 도어핸들 위치 변경장치 및 외부키를 통한 도어록의 잠금 강제 해제장치
KR102491567B1 (ko) 2022-12-01 2023-01-27 주식회사 그린홈넷 디지털 도어록의 교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15A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2865C (en) Passive door lock mechanisms
US9487975B2 (en) Security systems for entrance barriers
KR101723943B1 (ko)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CN104213778B (zh) 具有防盗机构的密码钥匙锁箱
US9103144B2 (en) Door travel limiting device
US9328534B2 (en) Safe and lock mechanism
KR101962783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다기능 내측 핸들
KR101833414B1 (ko) 안전래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모티스
CN209742687U (zh) 消防安全疏散门系统
KR101595852B1 (ko)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 스토퍼 구조체
JP4159403B2 (ja) ドア錠
CN103452399B (zh) 具有限位开启的移窗保险栓
KR200455914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레버 외부 강제 회동 방지 장치
KR20170000113A (ko) 실내 및 실외에서 개폐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US20050210934A1 (en) Keyless latch for an anti-burglalry window
KR102584674B1 (ko)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KR20170120951A (ko) 데드볼트 구조체
RU100538U1 (ru) Замок сувальдный с защитой от "самоимпрессии"
GB2202573A (en) Door lock mechanism
US1421316A (en) Lock
GB2546354A (en) Dual force rescue unlocking device
WO2016128810A1 (en) Locking device for locks with single or multiple bolts
JP3005859B2 (ja) 施錠装置
TWM472093U (zh) 具不規則厚薄鎖片之鎖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