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493B1 -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2493B1 KR101722493B1 KR1020160089151A KR20160089151A KR101722493B1 KR 101722493 B1 KR101722493 B1 KR 101722493B1 KR 1020160089151 A KR1020160089151 A KR 1020160089151A KR 20160089151 A KR20160089151 A KR 20160089151A KR 101722493 B1 KR101722493 B1 KR 1017224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 damper
- damping force
- vibration
- electromagnetic actu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0 du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04—Bolster supports or mountings
- B61F5/12—Bolster supports or mountings incorporating dam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8—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incorporating damp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9/00—Control of mechanical oscillations, e.g. of amplitude, of frequency, of phase
- G05D19/02—Control of mechanical oscillations, e.g. of amplitude, of frequency, of phas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프링 및 댐퍼를 구비하는 진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댐퍼의 감쇠력과 속도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철도차량의 진동 억제 장치 및 감쇠력 가변 댐퍼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00: 진동 시스템 스프링
300: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
310: 전자기 액추에이터
311: 고정자
312: 가동자
313: 액추에이터 전원
320: 가변저항
330: 가변저항 제어기
340: 가변저항 전원
Claims (13)
- 고정자(311) 및 가동자(312)를 포함하며 고유저항()을 갖고, 진동 시스템에 연결되어 소정의 감쇠력(Damping Force)을 갖는 댐퍼(Damper) 역할을 하는 전자기 액추에이터(310);
상기 고유저항()을 갖는 전자기 액추에이터(310)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가 발생하는 힘()에 대응하는 감쇠력이 가변되어 상기 진동 시스템의 진동 절연 또는 진동 감쇠가 가능하도록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의 감쇠계수()를 가변시키는 가변저항(: 320);
가진 주파수 및 외란, 진동계의 변위 및 속도를 포함하는 환경요소를 감안하여 최적의 수치를 산출하여 상기 가변저항(320)의 저항값()을 가변 제어하는 가변저항 제어기(330); 및
상기 가변저항(3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가변저항 전원(340)
을 포함하되,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는,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진동 시스템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자(311);
코일을 감싸서 형성되어 상기 고정자(311) 사이에 배치되고, 억제해야 할 진동 방향과 동일 방향의 왕복운동을 하면서 진동에 대응하여 속도()로 움직이는 가동자(312); 및
상기 가동자(312)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자(312)의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액추에이터 전원(313)
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가 발생하는 힘()은 내부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고, 오옴(Ohm)의 법칙()에 따라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가 발생하는 힘()은 로 주어지며, 여기서, 는 액추에이터 계수이고, 는 기전력을 나타내며, 은 액추에이터의 고유저항을 나타내고, 는 진동에 의하여 움직이는 가동자(312)의 속도를 각각 나타내며, 감쇠계수()가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 - 삭제
- 삭제
- 삭제
- 가변 감쇠력 댐퍼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질량(M)을 갖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시스템(100);
상기 진동 시스템(100)에 설치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 시스템 스프링(200); 및
전자기 액추에이터(Actuator) 댐퍼(Damper)로서, 가변저항(Variable Resistor)을 사용하여 가변 감쇠력(Variable Damping Force)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변 감쇠력 댐퍼(300)
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 감쇠력 댐퍼(300)는,
고정자(311) 및 가동자(312)를 포함하며 고유저항()을 갖고, 진동 시스템에 연결되어 소정의 감쇠력(Damping Force)을 갖는 댐퍼(Damper) 역할을 하는 전자기 액추에이터(310);
상기 고유저항()을 갖는 전자기 액추에이터(310)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가 발생하는 힘()에 대응하는 감쇠력이 가변되어 상기 진동 시스템의 진동 절연 또는 진동 감쇠가 가능하도록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의 감쇠계수()를 가변시키는 가변저항(: 320);
가진 주파수 및 외란, 진동계의 변위 및 속도를 포함하는 환경요소를 감안하여 최적의 수치를 산출하여 상기 가변저항(320)의 저항값()을 가변 제어하는 가변저항 제어기(330); 및
상기 가변저항(320)에 전원을 인가하는 가변저항 전원(340)
을 포함하되,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는,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진동 시스템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자(311);
코일을 감싸서 형성되어 상기 고정자(311) 사이에 배치되고, 억제해야 할 진동 방향과 동일 방향의 왕복운동을 하면서 진동에 대응하여 속도()로 움직이는 가동자(312); 및
상기 가동자(312)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자(312)의 코일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액추에이터 전원(313)
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가 발생하는 힘()은 내부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고, 오옴(Ohm)의 법칙()에 따라 상기 전자기 액추에이터(310)가 발생하는 힘()은 로 주어지며, 여기서, 는 액추에이터 계수이고, 는 기전력을 나타내며, 은 액추에이터의 고유저항을 나타내고, 는 진동에 의하여 움직이는 가동자(312)의 속도를 각각 나타내며, 감쇠계수()가 로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시스템(100)은 속도 및 외부 영향에 따라 감쇠계수가 변화하는 철도차량 또는 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9151A KR101722493B1 (ko) | 2016-07-14 | 2016-07-14 |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9151A KR101722493B1 (ko) | 2016-07-14 | 2016-07-14 |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2493B1 true KR101722493B1 (ko) | 2017-04-06 |
Family
ID=5858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9151A Active KR101722493B1 (ko) | 2016-07-14 | 2016-07-14 |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249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6253A (ko) | 2017-12-05 | 2019-06-1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에너지 하베스팅이 가능한 가변 감쇠력 댐퍼 및 이를 포함한 진동 제어 시스템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79940A (ja) * | 2000-09-07 | 2002-03-19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鉄道車両用制振装置 |
KR100936822B1 (ko) | 2007-12-06 | 2010-01-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가변댐퍼가 구비된 철도차량용 반능동조향대차 |
KR20100027368A (ko) | 2008-09-02 | 2010-03-11 | 알엠에스시스템(주) | Mr댐퍼를 이용한 지능형 궤도레일방진시스템 |
KR101138167B1 (ko) | 2007-12-06 | 2012-04-23 | 레일웨이 테크니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 철도 차량의 차체 경사 장치 |
KR101270352B1 (ko) | 2009-02-23 | 2013-05-31 |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 감쇠력 제어 장치 |
KR101300893B1 (ko) | 2007-07-30 | 2013-08-27 |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 철도 차량의 진동 억제 장치 |
JP2014227128A (ja) * | 2013-05-24 | 2014-12-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2016
- 2016-07-14 KR KR1020160089151A patent/KR10172249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79940A (ja) * | 2000-09-07 | 2002-03-19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鉄道車両用制振装置 |
KR101300893B1 (ko) | 2007-07-30 | 2013-08-27 |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 철도 차량의 진동 억제 장치 |
KR100936822B1 (ko) | 2007-12-06 | 2010-01-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가변댐퍼가 구비된 철도차량용 반능동조향대차 |
KR101138167B1 (ko) | 2007-12-06 | 2012-04-23 | 레일웨이 테크니칼 리서치 인스티튜트 | 철도 차량의 차체 경사 장치 |
KR20100027368A (ko) | 2008-09-02 | 2010-03-11 | 알엠에스시스템(주) | Mr댐퍼를 이용한 지능형 궤도레일방진시스템 |
KR101270352B1 (ko) | 2009-02-23 | 2013-05-31 |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 감쇠력 제어 장치 |
JP2014227128A (ja) * | 2013-05-24 | 2014-12-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6253A (ko) | 2017-12-05 | 2019-06-1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에너지 하베스팅이 가능한 가변 감쇠력 댐퍼 및 이를 포함한 진동 제어 시스템 |
KR102019372B1 (ko) | 2017-12-05 | 2019-09-0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에너지 하베스팅이 가능한 가변 감쇠력 댐퍼 및 이를 포함한 진동 제어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86456B2 (en) | Recuperating passive and active suspension | |
Yokoyama et al. | A model following sliding mode controller for semi-active suspension systems with MR dampers | |
US7413062B2 (en) | Electronically controlled frequency dependent damping | |
Choi et al. | Vibration control of a MR seat damper for commercial vehicles | |
WO2013015358A1 (ja) | 鉄道車両用ダンパ | |
US20140015180A1 (en) | Magnetic damper | |
JP2019501067A (ja) | デュアルレート車両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 |
KR102587418B1 (ko) |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 |
CA2361322C (en) | Improved shock absorber | |
KR101008298B1 (ko) |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일체형 현가장치 | |
JP4085368B2 (ja) | 車体振動抑制装置 | |
KR101722493B1 (ko) | 가변저항을 사용한 가변 감쇠력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진동 시스템 | |
US6802404B1 (en) | Electro-rheological or magneto-rheological controlled hydraulic restriction | |
JPS5830542A (ja) | 車両用減衰力可変装置 | |
JP2004301271A (ja) | 減衰力調整式緩衝器 | |
KR101771690B1 (ko) | 로드 가이드에 설치된 부가밸브를 갖는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 |
KR102244520B1 (ko) | Mr 유체 댐퍼 | |
CN105683609B (zh) | 减振装置 | |
EP1568522B1 (en) | Center seeking suspension system | |
KR20130084914A (ko) |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밸브 조립체 | |
JP2012052594A (ja) | 可変減衰力ダンパー | |
KR102302543B1 (ko) | 유압식 댐퍼용 밸브 | |
KR100398185B1 (ko) |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차량의 쇽업소버 | |
KR100410748B1 (ko) | 차량의 쇽업소버 | |
JP2004308780A (ja) | 減衰力調整式緩衝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