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1723B1 -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723B1
KR101721723B1 KR1020130041497A KR20130041497A KR101721723B1 KR 101721723 B1 KR101721723 B1 KR 101721723B1 KR 1020130041497 A KR1020130041497 A KR 1020130041497A KR 20130041497 A KR20130041497 A KR 20130041497A KR 101721723 B1 KR101721723 B1 KR 10172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number
mac
hardware
frame
managemen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144A (ko
Inventor
최지연
이제헌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4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723B1/ko
Priority to US14/249,317 priority patent/US9520926B2/en
Publication of KR2014012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7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45Variable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수신기가 송신된 신호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가 있고, 상기 데이터의 유형을 기초로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기 위하여 MAC 소프트웨어 또는 MAC 하드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따른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ssion of beamforming report frame for transmit beamforming}
아래의 설명은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MIMO 기술이 일반화되고 있다. 무선랜에서도 IEEE 802.11n 규격부터 2개 이상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802.11n에서는 4개까지, 802.11ac에서는 8개까지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신호의 수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transmit beamforming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ransmit beamforming 기술을 사용하려면, 송신하고자 하는 단말 (이하, Beamformer)이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 (이하, Beamformee)의 채널 정보를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Beamformer가 Beamformee의 채널 정보를 얻어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Sounding 프로토콜이라고 부른다.
Sounding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은 Beamformee가NDPA와 NDP를 수신이 종료된 후 SIFS 후에 송신하여야 한다. 여기서 SIFS는 프레임 사이의 시간간격 중 가장 ?F은 간격으로, 11ac의 경우 16us이다.
이 응답 시간은 MAC 소프트웨어에서 응답할 수 없는 시간으로, MAC 하드웨어에서 응답할 수 밖에 없다.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에 포함되고, 관리 프레임에는 시퀀스 제어 필드가 포함되는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은 하드웨어에서 생성하여야 하므로, MAC 하드웨어에서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여야 한다.
MAC 하드웨어에서는 현재까지 MAC 소프트웨어에서 할당한 시퀀스 넘버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왜냐하면, 바로 이전에 송신한 MPDU의 시퀀스 넘버밖에는 알 수 없고, 송신 queue에 저장된 MPDU가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기술로는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제대로 할당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MAC 하드웨어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하는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포함한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방법을 제안 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중복된 시퀀스 넘버를 가짐으로 인하여 제거되지 않도록 MAC 하드웨어 계층에서 생성한 관리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가 송신된 신호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유형을 기초로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기 위하여 MAC 소프트웨어 또는 MAC 하드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따른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MAC 소프트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제1 범위 또는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제2 범위 중 상기 제2 범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MAC 하드웨어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따른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가 상기 제2 범위 내에서 상기 데이터에 따른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가 송신 큐에 저장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에서 생성해야 하는 시퀀스 넘버는 하드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에서 상기 MAC 하드웨어가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관리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사이의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MAC 하드웨어와 MAC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에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시퀀스 넘버가 할당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이용하여 관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에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에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MAC 하드웨어와 구별되는 MAC 소프트웨어로부터 레지스터를 통하여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MAC 소프트웨어가 논리 연결 제어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 큐(queue)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MAC 소프트웨어가 MLME부터 수신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 큐(queue)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가 송신 큐(queue)에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읽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프레임을 물리 계층을 통하여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관리 프레임을 송신하는 장치는 수신기가 송신된 신호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데이터의 유형을 기초로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기 위하여 MAC 소프트웨어 또는 MAC 하드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따른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할당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할당부는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에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당부는 상기 MAC 하드웨어와 구별되는 MAC 소프트웨어로부터 레지스터를 통하여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MAC 하드웨어 계층에서 생성하여 송신하는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포함한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방법을 제안 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중복된 시퀀스 넘버를 가짐으로 인하여 제거되지 않도록 MAC 하드웨어 계층에서 생성한 관리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IEEE 802.11ac Sounding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IEEE 802.11 표준 규격에서 관리 프레임의 MAC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관리 프레임의 구성요소 중 시퀀스 제어 필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무선랜 MAC 계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MAC 소프트웨어에서 할당하는 시퀀스 넘버의 범위와, MAC 하드웨어에서 할당하는 시퀀스 넘버의 범위의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넘버의 범위의 분리 및 관리 프레임 송신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 후에 시퀀스 넘버의 범위를 선택하고 시퀀스 넘버의 할당을 위한 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IEEE 802.11ac Sounding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ounding 프로토콜은 먼저 Beamformer(110)가 Beamformee(120)에게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DPA(111)와 NDP(113)를 포함할 수 있다.
NDP(113)는 MAC 계층 데이터는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은 패킷으로, Beamformee(120)가 채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NDP(113)는 MAC 계층 데이터가 전혀 없기 때문에 수신해야 하는 단말이 어느 단말인지 알려주기 위하여 NDPA (NDP announcement)(111)를 먼저 송신한다.
NDPA(111)와 NDP(113)를 수신한 Beamformee(120)는 채널 정보를 빔형성 레포트 프레임(121)에 실어서 송신한다. Beamformer(110)는 수신한 빔형성 레포트 프레임(121)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사용하여 Transmit beamforming에 필요한 Steering matrix를 만들게 된다. IEEE 802.11ac 규격에 의하면, Beamformee(120)는 NDPA(111)와 NDP(113)의 수신이 종료된 후 SIFS(112) 후에 빔형성 레포트 프레임(121)을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 빔형성 레포트 프레임(121)은 IEEE 802.11 표준 규격에서는 관리(Management) 프레임에 포함되는 Action No Ack 프레임으로 분류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프레임의 MAC 프레임 구조를 알 수 있다.
도 2는 IEEE 802.11 표준 규격에서 관리 프레임의 MAC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201)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Duration (220), Address1(230), SA field(240), BSSID(250),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260), HT control (270), Frame body(280) 및 FCS(29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관리 프레임의 구성요소 중 시퀀스 제어 필드(26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시퀀스 제어 필드(sequence control field)(260)의 시퀀스 넘버 필드(320)는 MAC 프레임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붙여지는 번호이다. 일반적으로 MAC 소프트웨어(420) 계층에서 할당한다. 이 시퀀스 넘버는 수신단에서 수신된 프레임이 중복된 프레임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만약에 같은 시퀀스 넘버를 가지는 MPDU(Mac protocol data unit)가 연속하여 수신된다면, 나중에 들어온 프레임은 중복된 프레임으로 판단하고 삭제하게 된다.
도 4는 무선랜 MAC 계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랜 MAC계층은 크게 MAC 소프트웨어(420)와 MAC 하드웨어(450), 그리고 MLME(MAC subLayer Management Element)(430)로 구성된다. MSDU (MAC service data unit)(411)는 논리 연결 제어(LLC, logical link control)(410) 계층으로부터 무선랜 MAC 계층으로 전달되어, MAC 소프트웨어(420)가 데이터 MAC 프레임 (Data MPDU)(421)의 형태로 만들어 송신 queue(440)에 저장한다. 또한, MAC 계층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은 MAC 소프트웨어(420)가 MLME(430)로부터 받아 Management MAC 프레임 (Management MPDU)(431)로 만들어 송신 queue(440)에 저장한다. MAC 하드웨어(450)는 MAC 프로토콜의 타이밍에 맞추어 송신 queue(440)에서 MPDU(441)를 읽어서 물리(PHY, physical)(460) 계층에게 전달하여 프레임을 송신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C 소프트웨어에서 할당하는 시퀀스 넘버의 범위와, MAC 하드웨어에서 할당하는 시퀀스 넘버의 범위의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넘버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MAC 하드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580)은 레지스터를 통하여 MAC 소프트웨어(520)가 결정하여 MAC 하드웨어(550)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넘버 범위의 분리는 Sounding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빔형성 레포트 프레임(121)을 포함한, MAC 하드웨어(550)에서 생성해야 하는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는 이 하드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580)에서 순차적으로 MAC 하드웨어(550)가 할당한다. 그 외의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는 기존과 같이 MAC 소프트웨어(520)에서 할당한다. MAC 소프트웨어(520)에서 할당하는 시퀀스 넘버의 범위는 하드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580)을 제외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넘버 범위의 분리와 시퀀스 넘버의 할당 및 할당된 시퀀스 넘버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가 송신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한다(610).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 의해 획득한 데이터는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121)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한 데이터를 제1유형(630)과 제2유형(640)으로 분류한다(620).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형은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121)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의 유형을 기초로 하여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기 위하여 MAC 소프트웨어(520) 또는 MAC 하드웨어(550)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형은 MAC 소프트웨어(520)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수 있다(631)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형은 MAC 하드웨어(550)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641).
MAC 소프트웨어(520)를 선택하면, 시퀀스 넘버의 제1 범위를 추출한다(632).
MAC 하드웨어(550)를 선택하면, 시퀀스 넘버의 제2 범위를 추출한다(642).
일 실시예에 따른 MAC 소프트웨어(520)에 고유하게 할당된 제1 범위 또는 MAC 하드웨어(550)에 고유하게 할당된 제2 범위 중 제2 범위에 관한 정보를 MAC 하드웨어(550)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넘버의 제1 범위를 추출하면(632), MAC 소프트웨어(520)에서 시퀀스 넘버를 할당한다(633).
시퀀스 넘버의 제2 범위를 추출하면(642), MAC 하드웨어(550)에서 시퀀스 넘버를 할당한다(643).
일 실시예에 따른 MAC 하드웨어(550)가 제2 범위 내에서 데이터에 따른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여 관리 프레임을 송신한다(65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 후에 시퀀스 넘버의 범위를 선택하고 시퀀스 넘버의 할당을 위한 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획득부(720), 선택부(730), 할당부(740)를 포함한다.
획득부(720)는 수신기가 송신된 신호의 데이터(710)를 획득한다.
선택부(730)는 획득한 데이터(710)를 기초로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기 위하여 MAC 소프트웨어(520) 또는 MAC 하드웨어(5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할당부(740)는 선택부(730)에 의해 MAC 소프트웨어(520) 또는 MAC 하드웨어(55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710)에 따른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할당부(740)는 MAC 하드웨어(550)에 고유하게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121)에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할당부(740)는 MAC 하드웨어(550)와 구별되는 MAC 소프트웨어(520)로부터 레지스터를 통하여 MAC 하드웨어(550)에 고유하게 할당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수신기가 송신된 신호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유형을 기초로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기 위하여 MAC 소프트웨어 또는 MAC 하드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MAC 하드웨어가 선택된 경우, 상기 MAC 하드웨어에서 생성된 관리 프레임에 MAC 하드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고, 상기 MAC 소프트웨어가 선택된 경우, 상기 관리 프레임과 다른 관리 프레임에 MAC 소프트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AC 소프트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제1 범위 또는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제2 범위 중 상기 제2 범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MAC 하드웨어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따른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가 상기 제2 범위 내에서 상기 데이터에 따른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인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가 송신 큐에 저장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레임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에서 생성해야 하는 시퀀스 넘버는 하드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에서 상기 MAC 하드웨어가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방법.
  5. 수신기에서 관리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기에서 송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 사이의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에 MAC 하드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시퀀스 넘버가 할당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이용하여 관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프레임과 다른 관리 프레임에 MAC 소프트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의 시퀀스 넘버가 할당되는 관리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에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에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AC 하드웨어와 구별되는 MAC 소프트웨어로부터 레지스터를 통하여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MAC 소프트웨어가 논리 연결 제어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 큐(queue)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MAC 소프트웨어가 MLME부터 수신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신 큐(queue)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MAC 하드웨어가 송신 큐(queue)에서 상기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읽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레임을 물리 계층을 통하여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방법.
  12. 수신기가 송신된 신호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데이터의 유형을 기초로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기 위하여 MAC 소프트웨어 또는 MAC 하드웨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MAC 하드웨어가 선택된 경우, 상기 MAC 하드웨어에서 생성된 관리 프레임에 MAC 하드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고, 상기 MAC 소프트웨어가 선택된 경우, 상기 관리 프레임과 다른 관리 프레임에 MAC 소프트웨어용 시퀀스 넘버 영역의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할당부
    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에 시퀀스 넘버를 할당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상기 MAC 하드웨어와 구별되는 MAC 소프트웨어로부터 레지스터를 통하여 상기 MAC 하드웨어에 고유하게 할당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추출하는 관리 프레임 송신하는 장치.
KR1020130041497A 2013-04-16 2013-04-16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ctive KR10172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497A KR101721723B1 (ko) 2013-04-16 2013-04-16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4/249,317 US9520926B2 (en) 2013-04-16 2014-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eamforming report frame for transmit beamfor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497A KR101721723B1 (ko) 2013-04-16 2013-04-16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144A KR20140124144A (ko) 2014-10-24
KR101721723B1 true KR101721723B1 (ko) 2017-03-30

Family

ID=5168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497A Active KR101721723B1 (ko) 2013-04-16 2013-04-16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20926B2 (ko)
KR (1) KR101721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7960A1 (en) * 2016-08-19 2019-06-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nodes, and method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9866A1 (en) * 2009-12-30 2011-06-30 Joonsuk Kim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multip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mimo)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725A (ko) * 2005-08-12 200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무선 디바이스
CN103973353B (zh) 2009-03-31 2017-09-29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的探测和引导协议
US8576804B2 (en) * 2009-08-13 2013-11-05 Broadcom Corporation Beamforming feedback frame formats within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EP2474122B1 (en) * 2009-09-01 2014-11-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um access control in-order delivery
US20140269461A1 (en) * 2013-03-14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ink augmen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9866A1 (en) * 2009-12-30 2011-06-30 Joonsuk Kim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multip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mim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20926B2 (en) 2016-12-13
US20140307722A1 (en) 2014-10-16
KR20140124144A (ko) 2014-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094B2 (en)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UL MU-MIMO) transmission request method in UL MU-MIMO communication
JP5876597B2 (ja) 部分帯域幅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305169B1 (ko) 업링크 프리코딩 방법, 기기 및 시스템
CN109547072B (zh) 信道探测的方法、通信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608713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for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UL MU-MIMO) communication
JP7291257B2 (ja) 端末、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413044B1 (ko) Uplink MU-MIMO 통신을 위한 프레임 송신 방법
US20190150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 preamble with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KR102377012B1 (ko) Uplink mu-mimo 통신을 위한 uplink mu-mimo 송신 요청 방법
CN111096034A (zh) 资源分配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81980A (ko) Oran 기반의 기지국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8521580A5 (ko)
JP2017533671A (ja) 複数チャネル動作のための送信機および受信機
KR101721723B1 (ko) 트랜스미트 빔포밍을 위한 빔포밍 레포트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TW201445948A (zh) 用於偶發性機器類型存取的隱含定址
CN111314039B (zh) 部分带宽探测时的带宽指示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102306089B1 (ko) 중첩된 bss 환경에서 ap간 협력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JP7433770B2 (ja) 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66208A1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754131A (zh) 一种信道资源集的指示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JP2019062294A (ja)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269656A1 (en)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u-mimo)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N107888354B (zh) 传输处理方法、网络侧设备及用户设备
KR2010009594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