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1592B1 -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592B1
KR101721592B1 KR1020160152902A KR20160152902A KR101721592B1 KR 101721592 B1 KR101721592 B1 KR 101721592B1 KR 1020160152902 A KR1020160152902 A KR 1020160152902A KR 20160152902 A KR20160152902 A KR 20160152902A KR 101721592 B1 KR101721592 B1 KR 10172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hair
volume member
body portion
volu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진
Original Assignee
정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진 filed Critical 정창진
Priority to KR102016015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9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은, 일측에는 헤어드라이기의 송풍부와 탈착되어 상기 헤어드라이기로부터 바람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는 볼륨부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볼륨부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모발을 정돈하기 위한 브러쉬부가 포함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볼륨부재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은 볼륨부재를 가열한 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하여, 헤어 세팅시 사용자의 두피와 헤어가 고온의 열에 직접 노출되어 화상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기용 노즐{NOZZLE FOR 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은 볼륨부재를 가열한 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하여, 헤어 세팅시 사용자의 두피와 헤어가 고온의 열에 직접 노출되어 화상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기는 젖은 모발을 말려주거나 손질하기 위해 사용되는 생활 가전 도구로서 발열부에서 나오는 열을 송풍팬으로 송출하여 젖은 모발을 뜨거운 바람을 통하여 말려 주거나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세팅을 할 때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헤어드라이기는 철크롬선이나 니크롬선과 같은 열선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젖은 모발을 말릴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원통형의 본체의 저면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그 전후측에 흡기구와 토출구가 상호대응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의 전방에는 노즐관을 분리 결합할 수 있게 구비되며 본체의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과 이 송풍팬의 전방에 구비되는 열선이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부위에는 조작스위치가 구비되어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손잡이의 선단부에는 외부 전원에 연결하는 전원선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할 때 전원선을 외부 전원에 꽂은 다음,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와 열선을 작동시켜 토출구 전방에 결합된 노즐관으로 열풍을 배출하면서 젖은 모발을 말리거나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세팅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헤어드라이기는 열풍에 의한 대류가열방식을 이용하여 모발을 건조시키게 되고, 이때 모발의 속부분까지 건조시키기 위하여 모발의 한 부분에 오랫동안 헤어드라이기의 열풍을 쏘일 경우, 고온의 열풍에 의해 모발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헤어드라이기를 이용하여 헤어스타일을 세팅할 때는 브러쉬 등을 이용하게 되는 바, 헤어드라이기와 브러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한 손으로 헤어 드라이기를 잡고 모발에 열을 가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 브러쉬를 사용하여 머리 모양을 세팅하게 되기 때문에, 양손에 각각 헤어드라이기와 브러쉬를 들고 작업해야 하는 다소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헤어드라이기와 브러쉬로 머리 모양을 손질할 경우, 헤어드라이기의 노즐관에서 나오는 열이 분산되어 나오기 때문에 브러쉬의 손질 방향에 맞춰 열풍이 집중적으로 가해지지 않아 머리 손질이 잘 안 되는 경우가 있음은 물론, 브러쉬가 닿는 모발의 깊은 속 부위까지 열이 가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브러쉬가 구비되는 헤어드라이기들이 안출되고 있으며 이는 등록실용 20-0286492호인 브러쉬가 부설된 헤어드라이기가 안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내측중앙의 지지대에 횡설된 횡바의 의주연에 설치된 코일형상의 히터와, 상기 히터의 양측에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휀과, 외주연의 전둘레에 배설된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 사이에 다수 형성된 배출공과 양측면에 흡입공이 형성된 커버를 결합한 케이싱으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히터와 흡입휀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조작패널이 구비된 손잡이를 일체로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헤어드라이기에 브러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쉬를 이용하여 빗질을 하거나 하는 동작에 의해 머리손질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헤어드라이기의 경우 브러쉬가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열풍에 의한 머리손질이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머리를 감은 후의 젖은 머리를 말리거나 하기에는 역부족인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종래 머리를 말리기 위한 헤어드라이기를 같이 구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서로 다른 용도를 갖는 2개의 헤어드라이기를 구입해야 함에 따른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갖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헤어드라이기에서 발생되는 뜨거운 바람에 사용자의 헤어와 두피가 그대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헤어와 두피의 손상이 염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은 볼륨부재를 가열한 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하여, 헤어 세팅시 사용자의 두피와 헤어가 고온의 열에 직접 노출되어 화상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배출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2중 마개로 구성되어 볼륨부재의 가열 및 냉각을 제어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열된 볼륨부재에 의해 헤어드라이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모발을 세팅할 수 있어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의 내부에는 볼륨부재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팬이 구비되어 볼륨부재가 지나치게 뜨거워져 모발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륨부재가 몸체부의 외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헤어 세팅시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륨부재의 상면과 브러쉬가 몸체부 타측면의 중심 부분을 향하여 기울어져 배치됨으로 인하여 헤어 세팅시 더욱 풍성한 볼륨감을 연출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은, 일측에는 헤어드라이기의 송풍부와 탈착되어 상기 헤어드라이기로부터 바람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는 볼륨부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볼륨부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모발을 정돈하기 위한 브러쉬부가 포함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볼륨부재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륨부재는, 세라믹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륨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복수의 볼륨부재들 사이에 복수의 열을 이루어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 타측면의 폭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 폭방향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마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배출공에 탈착되되, 중심부에는 또 다른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1마개와, 상기 제1마개의 또 다른 배출공에 끼워지는 제2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되, 상기 격벽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바아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격벽의 테두리는 상기 몸체부의 내벽과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이 상기 배출공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볼륨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슬롯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볼륨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평기어와, 상기 볼륨부재가 상기 이동슬롯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평기어와 치합되는 회전기어가 구비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노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륨부재의 상면에는, 보조브러쉬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브러쉬는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의 중심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은 볼륨부재를 가열한 후,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하여, 헤어 세팅시 사용자의 두피와 헤어가 고온의 열에 직접 노출되어 화상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배출되는 바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2중 마개로 구성되어 볼륨부재의 가열 및 냉각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열된 볼륨부재에 의해 헤어드라이기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모발을 세팅할 수 있어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부의 내부에는 볼륨부재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팬이 구비되어 볼륨부재가 지나치게 뜨거워져 모발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볼륨부재가 몸체부의 외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헤어 세팅시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볼륨부재의 상면과 브러쉬가 몸체부 타측면의 중심 부분을 향하여 기울어져 배치됨으로 인하여 헤어 세팅시 더욱 풍성한 볼륨감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이 헤어드라이기에 탈착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슬롯과 브러쉬의 배열을 보인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볼륨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볼륨부재가 몸체부의 타측면에서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볼륨부재 상면에 형성된 보조브러쉬가 몸체부 타측면의 중심 부분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브러쉬가 몸체부 타측면의 중심 부분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마개부로 배출구를 개폐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마개부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이 헤어드라이기에 탈착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슬롯과 브러쉬의 배열을 보인 개략적인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볼륨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볼륨부재가 몸체부의 타측면에서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볼륨부재 상면에 형성된 보조브러쉬가 몸체부 타측면의 중심 부분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브러쉬가 몸체부 타측면의 중심 부분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마개부로 배출구를 개폐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의 마개부를 이용하여 배출량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은, 연결부(110)와 볼륨부재(12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와, 브러쉬부(200), 송풍팬(130) 및 배출공(140)이 포함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헤어드라이기(10)의 송풍부(11)에 탈착되도록 하는 연결부(110)가 일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부(110)로는 헤어드라이기(10)의 바람이 유입되며, 헤어드라이기(10)에서 유입되는 바람은 사용자의 모발 세팅을 위해 헤어드라이기(10)에서 가열된 열풍 또는 가열되지 않은 바람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00)의 타측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볼륨부재(12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볼륨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타측면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내벽은 내열처리되어 헤어드라이기(10)의 가열된 바람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 중 볼륨부재(120)의 위치에는 대응하지 않으면서, 브러쉬부(200)의 위치에는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열흡수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흡수부는 브러쉬부(200)에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열을 흡수하되, 볼륨부재(120)에는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부(200)의 하단에만 위치하는 형태로 상기 브러쉬부(20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흡수부가 존재함으로써 상기 브러쉬부(200)가 손상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볼륨부재(120)는 세라믹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연결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헤어드라이기(10)의 바람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00)의 일측면에는 배출공(140)이 형성되어 연결부(110)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데, 본 발명은 배출공(140)이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헤어드라이기(10)에서 유입되는 바람이 두피와 헤어로 직접 분사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헤어드라이기(10)에서 제공되는 바람은 뜨겁게 가열된 열풍 또는 가열되지 않은 송풍 2가지가 제공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열풍을 이용하여 볼륨부재(120)를 가열하는 경우, 볼륨부재(120)는 헤어 세팅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볼륨부재(120)가 지나치게 고온으로 가열된 경우, 헤어드라이기(10)에서 배출되는 바람을 가열되지 아니한 송풍 모드로 전환하여 볼륨부재(120)를 냉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송풍팬(13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송풍팬(130)은 헤어드라이기(10)로부터 제공되는 바람을 볼륨부재(120)의 하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팬(130)은 헤어드라이기(10)에서 가열된 바람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볼륨부재(120)를 신속하게 헤어를 세팅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한다.
이에 따라, 볼륨부재(120)의 하측은 몸체부(100)의 내부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륨부재(120)의 하측은 바람이 제공됨에 따라 볼륨부재(120)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은 송풍팬(130)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기(10)에서 유입된 바람을 배출하기 위한 마개부(141)에 의해 배출량이 조절됨으로 인하여 볼륨부재(1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마개부(141)는 배출공(140)에 탈착되며, 중심부에는 또 다른 배출공(144)이 형성되는 제1마개(142)와, 상기 또 다른 배출공(144)에 끼워지는 제2마개(143)를 포함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마개(142)와 제2마개(143)로 구성되는 마개부(141)가 복수의 배출공(140)을 각각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는 뜨거운 바람이 원활하게 배출됨으로 인하여 볼륨부재(120)가 일정온도(이하, "제1온도"라 함.)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제2마개(143)를 제1마개(142)에서 분리하여 배출되는 통공의 단면적을 줄이는 경우, 몸체부(100) 안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보다 높아지게 되어 볼륨부재(120)의 온도가 더 상승할 수 있는데, 이는 몸체부(100)의 내부 압력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개부(141)를 조절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볼륨부재(120)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헤어드라이기(10)의 가열된 바람을 직접 이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림과 동시에 두피와 헤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볼륨부재(120)는 도 5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양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가열된 볼륨부재(120)로 모발 세팅시, 볼륨부재(120)와 모발이 자연스러운 "C"자 형상으로 접촉되어 모발이 입체적으로 볼륨감있게 세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볼륨부재(120)는 몸체부(100) 타측면의 폭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져 사선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면에는 사용자의 모발을 세팅하기 위한 브러쉬부(2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브러쉬부(200)는 복수의 볼륨부재(120)들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모발을 정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브러쉬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부재(120)들 사이에 복수의 열을 이루어 배치되되, 몸체부(100) 타측면의 폭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브러쉬부(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타측면 폭방향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륨부재(12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는 보조브러쉬(121)도 상기 브러쉬부(200)와 동일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브러쉬부(200)와 보조브러쉬(121)가 몸체부(100)의 폭방향 중심부를 향하여 기울어져 배치됨으로 인하여 모발 세팅시 모발을 자연스럽게 모아줄 수 있으며, 동시에 볼륨부재(120)의 중앙 부분이 낮은 높이로 돌출됨으로 인하여 입체적인 모발 세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30)을 고정하기 위한 격벽(15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격벽(150)은 몸체부(100)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복수의 바아(15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격벽(150)이 몸체부(100)의 내벽과 이격되면서 형성된 공간으로는 연결부(110)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헤어드라이기(10)의 바람이 볼륨부재(120)를 가열 또는 냉각한 후 통과되며, 이렇게 격벽(150)을 통과한 바람은 상술한 배출공(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타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슬롯(16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이동슬롯(160)에 의해 볼륨부재(120)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타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슬롯(160)은 몸체부(100)의 타측면에 폭방향으로 타공되되, 길이방향으로도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타공된다.
한편, 상기 볼륨부재(120)의 하부에는 평기어(12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평기어(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동부(170)는 볼륨부재(120)가 이동슬롯(16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17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평기어(122)와 치합되는 회전기어가 구비되는 기어부(171)와, 이 기어부(171)에 연결되되, 몸체부(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노브(17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조작노브(172)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켜 기어부(171)에 치합된 평기어(122)를 이동시켜 볼륨부재(120)가 몸체부(100)의 타측면에서 이동슬롯(16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볼륨부재(120)가 이동됨으로 인하여 볼륨부재(120)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모발 상태, 예컨대, 모발의 풍성함이나 모발의 굵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헤어드라이기 11-송풍부
100-몸체부
110-연결부
120-볼륨부재 121-보조브러쉬
122-평기어
130-송풍팬
140-배출공 141-마개부
142-제1마개 143-제2마개
150-격벽 151-바아
160-이동슬롯
170-이동부 171-기어부
172-조작노브
200-브러쉬부

Claims (13)

  1. 일측에는 헤어드라이기의 송풍부와 탈착되어 상기 헤어드라이기로부터 바람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로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는 볼륨부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볼륨부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모발을 정돈하기 위한 브러쉬부가 포함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볼륨부재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팬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마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륨부재는,
    세라믹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륨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복수의 볼륨부재들 사이에 복수의 열을 이루어 배치되되, 상기 몸체부 타측면의 폭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 폭방향의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배출공에 탈착되되, 중심부에는 또 다른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1마개와,
    상기 제1마개의 또 다른 배출공에 끼워지는 제2마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되,
    상기 격벽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바아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격벽의 테두리는 상기 몸체부의 내벽과 이격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헤어드라이기의 바람이 상기 배출공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볼륨부재가 상기 몸체부 타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슬롯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볼륨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평기어와,
    상기 볼륨부재가 상기 이동슬롯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평기어와 치합되는 회전기어가 구비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노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륨부재의 상면에는,
    보조브러쉬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브러쉬는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의 중심 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1020160152902A 2016-11-16 2016-11-16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Expired - Fee Related KR101721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02A KR101721592B1 (ko) 2016-11-16 2016-11-16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02A KR101721592B1 (ko) 2016-11-16 2016-11-16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592B1 true KR101721592B1 (ko) 2017-04-10

Family

ID=5858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9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1592B1 (ko) 2016-11-16 2016-11-16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5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0993A (zh) * 2020-06-11 2020-08-18 福州法莫优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常温烘干设备
CN112284119A (zh) * 2020-10-28 2021-01-29 何申明 一种利用高速热空气搅拌的烘干方法
CN113017227A (zh) * 2021-04-20 2021-06-25 全禄(上海)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分体式吹风口的吹风梳
US12232587B2 (en) 2020-04-01 2025-02-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ir dry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66B1 (ko) * 2010-03-15 2010-12-03 윤근수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JP3184955U (ja) * 2013-05-14 2013-07-25 株式会社クレイツ ヘアドライヤー用吹出ノズル
KR101465404B1 (ko) * 2014-08-22 2014-11-25 김교숙 다기능 헤어 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66B1 (ko) * 2010-03-15 2010-12-03 윤근수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JP3184955U (ja) * 2013-05-14 2013-07-25 株式会社クレイツ ヘアドライヤー用吹出ノズル
KR101465404B1 (ko) * 2014-08-22 2014-11-25 김교숙 다기능 헤어 드라이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32587B2 (en) 2020-04-01 2025-02-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ir dryer
CN111550993A (zh) * 2020-06-11 2020-08-18 福州法莫优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常温烘干设备
CN111550993B (zh) * 2020-06-11 2021-06-29 福州法莫优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常温烘干设备
CN112284119A (zh) * 2020-10-28 2021-01-29 何申明 一种利用高速热空气搅拌的烘干方法
CN113017227A (zh) * 2021-04-20 2021-06-25 全禄(上海)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分体式吹风口的吹风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9885B1 (en) Wind velocity changing device and hair dryer
KR101721592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101223709B1 (ko) 열풍과 동시에 토출되는 자연풍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헤어 드라이기
KR101932158B1 (ko) 헤어 드라이기
CN102639024B (zh) 用于头发处理设备的附件
KR200475794Y1 (ko) 헤어드라이기용 뿌리볼륨노즐
KR101358844B1 (ko) 두피 및 모발 동시 건조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러시유닛
KR20100086409A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장치
KR20160108982A (ko) 듀얼 드라이 헤드를 갖는 자동 헤어 드라이어 장치
KR101774033B1 (ko) 참빗 헤어드라이기
KR101265490B1 (ko)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KR101771206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KR101477739B1 (ko) 헤어드라이어
KR101713997B1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
EP4178394B1 (en) Hair dryer
KR101533103B1 (ko) 다용도 드라이어
KR200475837Y1 (ko) 헤어 브러쉬 조립체
KR100853710B1 (ko) 움직일 수 있는 빗을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KR102044975B1 (ko) 듀얼토출 헤어드라이어
KR20170097393A (ko) 헤어 드라이기용 노즐
JP2004357937A (ja) ヘアドライヤ
KR101465404B1 (ko) 다기능 헤어 드라이기
KR20140000382U (ko) 애완견 드라이 장치
KR101415326B1 (ko) 헤어드라이어
KR200197508Y1 (ko) 브러쉬 겸용 헤어드라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