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0338B1 -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338B1
KR101720338B1 KR1020100086576A KR20100086576A KR101720338B1 KR 101720338 B1 KR101720338 B1 KR 101720338B1 KR 1020100086576 A KR1020100086576 A KR 1020100086576A KR 20100086576 A KR20100086576 A KR 20100086576A KR 101720338 B1 KR101720338 B1 KR 10172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image
backlight unit
image display
display panel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429A (ko
Inventor
유욱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3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3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체영상표시패널; 입체영상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유닛;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공급하는 타이밍제어부; 및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되 입체영상표시패널이 이차원 영상모드로 구동할 때와 삼차원 영상모드로 구동할 때를 구분하여 백라이트유닛의 로컬 디밍을 달리하는 디밍제어부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양안시차방식(stereoscopic technique)과 복합시차지각방식(autostereoscopic technique)으로 나누어진다.
양안시차방식은 입체 효과가 큰 좌우 눈의 시차 영상을 이용한다. 양안시차방식에는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이 있고 현재 두 방식 모두 실용화되고 있다. 안경방식은 직시형 입체영상표시패널이나 프로젝터에 좌우 시차 영상의 편광 방향을 바꿔서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하고, 편광안경 또는 액정셔터안경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은 일반적으로 좌우 시차 영상의 광축을 분리하기 위한 패럴렉스 베리어 등의 광학판을 입체영상표시패널의 앞에 또는 뒤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한편, 최근에는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이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를 이용한다. 이들 중 액정표시장치는 화면 내의 영상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면서 소비전력을 감소하기 위해 백라이트유닛을 글로벌 디밍(global dimming)과 로컬 디밍(local dimming)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삼차원 영상 모드에서 영상신호는 프레임별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번갈아 가면서 입력이 되는데, 로컬 디밍이 실시되면 백라이트유닛은 매 프레임마다 모듈레이션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감자는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인식을 하지만 백라이트유닛은 매 프레임마다 모듈레이션이 되기 때문에 플래싱(flashing) 현상에 의해 삼차원 영상에 대한 크로스토크가 유발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삼차원 영상이 표시되면, 사람의 눈은 1 프레임 구간에서 좌우 영상이 합쳐진 하나의 삼차원 영상을 인지하지만 그동안 백라이트유닛은 로컬 디밍에 의해 두 번 모듈레이션 된다. 따라서, 종래 입체영상표시패널로 구현된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로컬 디밍에 의해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체영상표시장치에서 로컬 디밍시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개선함은 물론 헤일로(halo) 및 플래싱(flashing)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체영상표시패널; 입체영상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유닛;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공급하는 타이밍제어부; 및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되 입체영상표시패널이 이차원 영상모드로 구동할 때와 삼차원 영상모드로 구동할 때를 구분하여 백라이트유닛의 로컬 디밍을 달리하는 디밍제어부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디밍제어부는,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동안 동일한 로컬 디밍 상태를 유지하도록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은,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은,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2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디밍제어부는, 백라이트유닛이 적어도 2 프레임에 한번 로컬 디밍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제어부는, 제1좌안영상이 공급되면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는 구간까지 제1좌안영상을 홀딩하고 타이밍제어부에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면, 영상보상을 수행하여 보상된 제1좌안영상과 보상된 제1우안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보상된 제1좌안영상과 보상된 제1우안영상이 입체영상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시점은, 타이밍제어부에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는 시점보다 적어도 1프레임 늦어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이밍제어부에 제1좌안영상이 공급되면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는 구간까지 제1좌안영상을 홀딩하는 단계; 타이밍제어부에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면 입체영상표시패널에 공급할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에 대한 영상보상을 하는 단계; 및 영상보상과 더불어 백라이트유닛의 로컬 디밍을 수행하되,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동안 동일한 로컬 디밍 상태를 유지하도록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는,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은,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2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어도 2 프레임에 한번 로컬 디밍이 수행되도록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여 입체영상표시장치에서 로컬 디밍시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개선함은 물론 헤일로(halo) 및 플래싱(flashing)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체영상표시패널의 서브 픽셀의 구성도.
도 3은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로컬 디밍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의 삼차원 영상에 대한 로컬 디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5의 로컬 디밍방법에 의한 프레임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로컬 디밍방법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디밍방법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체영상표시패널의 서브 픽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는 영상공급부(110), 타이밍제어부(120), 구동부(130), 디밍제어부(140), 백라이트유닛(BLU), 입체영상표시패널(PNL) 및 입체안경(GLS)을 포함한다.
입체영상표시패널(PNL)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LCD)과 액정패널(LCD)에 표시된 영상을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으로 분리하는 제어패널(ARP)을 포함한다. 입체영상표시패널(PNL)은 구동부(130)로부터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공급받고 이에 대응하여 이차원 영상 또는 삼차원 영상을 표시한다.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제어패널(ARP)은 타이밍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어 액정패널(LCD)에 표시된 영상을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으로 분리하는 액티브 리타더 패널이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입체안경(GLS)이 액정셔터방식으로 구성된 경우 제어패널(ARP)은 생략된다. 즉,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제어패널(ARP)은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포함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액정패널(LCD)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 커패시터 등이 형성된 TFT기판과 컬러필터, 블랙매트릭스 등이 형성된 컬러필터기판을 포함한다. 액정패널(LCD)의 TFT기판과 컬러필터기판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되고 도 2와 같은 서브 픽셀들(SPr, SPg, SPb)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서브 픽셀들(SPr, SPg, SPb)은 TFT기판 상에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데이터라인들(D1~D3)과 게이트라인들(G1, G2)에 의해 정의된다. 데이터라인들(D1~D3)과 게이트라인들(G1, G2)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는 게이트라인(G1)으로부터 공급된 게이트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들(D1)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데이터신호를 액정셀의 화소전극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화소전극과 대향하는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이 공급되는데 액정층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공급된 전압의 차에 의해 구동을 하게 된다. 공통전극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컬러필터기판 상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과 함께 TFT기판 상에 형성된다. 액정패널(LCD)의 액정모드는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뿐 아니라 어떠한 액정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액정패널(LCD)의 컬러필터기판과 TFT기판에는 편광판이 각각 부착되고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입체영상표시패널(PNL)은 백라이트유닛(BLU)으로부터 제공된 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백라이트유닛(BLU)은 디밍제어부(140)의 제어하에 구동되어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광을 제공한다. 백라이트유닛(BLU)은 광을 출사하는 광원,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액정패널(LCD) 방향으로 안내하는 도광판,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 및 집광 등을 수행하는 광학부재 등을 포함한다. 백라이트유닛(BLU)은 엣지형, 듀얼형, 쿼드형 및 직하형 등으로 구성된다. 엣지형은 광원이 액정패널(LCD)의 일측에 배치된 형태이고, 듀얼형은 광원이 액정패널(LCD)의 양측에 대향 배치된 형태이고, 쿼드형은 광원이 액정패널(LCD)의 사방에 배치된 형태이며, 직하형은 광원이 액정패널(LCD)의 하부에 배치된 형태이다.
영상공급부(110)는 이차원 모드(2D 모드)에서는 2D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삼차원 모드(3D 모드)에서는 3D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영상공급부(110)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및 메인 클럭(Main Clock) 등의 타이밍신호와 영상신호를 타이밍제어부(120)에 공급한다. 영상공급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2D 또는 3D 모드로 선택되어 이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타이밍제어부(120)에 공급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OSD(On screen display), 리모콘(Remote controller), 키보드, 마우스 등의 사용자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영상공급부(110)가 3D 모드로 선택되어 3D 영상신호를 타이밍제어부(120)에 공급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타이밍제어부(120)는 영상공급부(110)로부터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를 포함하는 3D 영상신호를 공급받는다. 타이밍제어부(120)는 120Hz 이상의 프레임 주파수로 좌안영상신호와 우안영상신호를 구동부(130)에 교번하여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제어부(120)는 3D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구동부(130)에 공급한다.
구동부(130)는 데이터라인들(D1~D3)에 연결되어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와, 게이트라인들(G1, G2)에 연결되어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부(130)는 타이밍제어부(120)의 제어하에 디지털 형태의 좌안 및 우안영상신호를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형태의 좌안 및 우안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데이터라인들(D1~D3)에 공급한다. 또한, 구동부(130)는 타이밍제어부(120)의 제어하에 게이트라인들(G1, G2)에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디밍제어부(140)는 백라이트유닛(BLU)을 제어하되 입체영상표시패널(PNL)이 이차원 영상모드로 구동할 때와 삼차원 영상모드로 구동할 때를 구분하여 백라이트유닛(BLU)의 로컬 디밍을 달리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도 3과 같이 구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N-1번째 프레임(Frame[n-1]) 동안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좌안영상(LEFT)이 표시되고 백라이트유닛(BLU)으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그러면, 시감자는 입체안경(GLS)의 좌안안경을 통해 좌안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제N번째 프레임(Frame[n]) 동안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우안영상(RIGHT)이 표시되고 백라이트유닛(BLU)으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그러면, 시감자는 입체안경(GLS)의 우안안경을 통해 우안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동작에 따라,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는 프레임별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교번하여 표시되고 백라이트유닛(BLU)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면 시감자는 입체안경(GLS)을 통해 3D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로컬 디밍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의 삼차원 영상에 대한 로컬 디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로컬 디밍방법에 의한 프레임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로컬 디밍방법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디밍방법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디밍제어부(140)에 의해 백라이트유닛(BLU)의 로컬 디밍 방법이 2D용과 3D용으로 달라진다. 디밍제어부(140)는 타이밍제어부(120)에 영상신호가 공급되면(S110), 공급된 영상신호가 2D 영상신호인지 아니면 3D 영상신호인지를 판별한다.(S120) 디밍제어부(140)는 공급된 영상신호가 2D 영상신호이면(Yes) 2D용 로컬 디밍 알고리즘을 선택하고(S140), 2D용 로컬 디밍 알고리즘으로 백라이트유닛(BLU)을 로컬 디밍한다.(S180) 이와 달리, 디밍제어부(140)는 공급된 영상신호가 3D 영상신호이면(No) 3D용 로컬 디밍 알고리즘을 선택하고(S160), 3D용 로컬 디밍 알고리즘으로 백라이트유닛(BLU)을 로컬 디밍한다.(S180)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는 타이밍제어부(120)에 공급된 영상신호가 3D 영상신호이면 디밍제어부(140)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백라이트유닛(BLU)을 로컬 디밍한다.
타이밍제어부(120)에 제1좌안영상이 공급되면(S210),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는 구간까지 제1좌안영상을 홀딩한다. 타이밍제어부(120)는 제1좌안영상을 홀딩하기 위해 제1좌안영상을 저장한다.(S230)
타이밍제어부(120)에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면(S250),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공급할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에 대한 영상보상을 수행한다. 이와 더불어, 디밍제어부(140)는 타이밍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백라이트유닛(BLU)의 로컬 디밍을 수행한다.(S270)
타이밍제어부(120)는 보상된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공급되도록 해당 영상을 구동부(130)에 공급한다. 이때, 디밍제어부(140)는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동안 동일한 로컬 디밍 상태를 유지하도록 백라이트유닛(BLU)을 제어한다.(S290)
위의 설명을 돕기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타이밍제어부(120)는 제1좌안영상(L[N-1])과 제1우안영상(R[N-1])이 모두 공급되면 제1좌안영상(L[N-1])과 제1우안영상(R[N-1])에 대한 영상보상과 더불어 로컬 디밍을 수행한다. 타이밍제어부(120)에 의해 보상된 제1좌안영상(보상된 L[N-1])과 제1우안영상(보상된 R[N-1])은 데이터 구동부를 통해 액정패널(LCD)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액정패널(LCD)은 제[N-1]의 3D 영상을 표시하게 되고 백라이트유닛(BLU)은 제[N-1]의 3D 영상이 표시되는 좌 우안 프레임(L,R 프레임) 동안 동일한 로컬 디밍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1좌안영상(L[N-1])과 제1우안영상(R[N-1])은 1 프레임의 시간차를 두고 타이밍제어부(120)에 공급되고 이하 제2좌안영상(L[N])과 제2우안영상(R[N]) 등도 이와 같은 시간차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디밍제어부(140)는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제1좌안영상(L[N-1])과 제1우안영상(R[N-1])이 표시되는 프레임(L,R 프레임) 동안 동일한 로컬 디밍 상태를 유지하도록 백라이트유닛(BLU)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유닛(BLU)은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제1좌안영상(L[N-1])과 제1우안영상(R[N-1])이 표시되는 프레임(L,R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디밍제어부(140)는 백라이트유닛(BLU)이 적어도 2 프레임에 한번 로컬 디밍을 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유닛(BLU)은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제1좌안영상(L[N-1])과 제1우안영상(R[N-1])이 표시되는 2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타이밍제어부(120)와 디밍제어부(140)가 동작함에 따라, 보상된 제1좌안영상(보상된 L[N-1])과 보상된 제1우안영상(보상된 R[N-1])이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표시되는 시점은 타이밍제어부(120)에 제1좌안영상(L[N-1])과 제1우안영상(R[N-1])이 공급되는 시점보다 적어도 1프레임 늦어진다.
위의 설명을 돕기 위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백라이트유닛(BLU)의 디밍방법인 (a)는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제1좌안영상(L[N-1])과 제1우안영상(R[N-1])이 표시되는 2 프레임 동안 각각 다른 휘도(15%, 13%)를 나타내도록 로컬 디밍된다. 이는 로컬 디밍이 매 프레임마다 수행되기 때문이다. 도 7에서 OFF는 백라이트유닛(BLU)이 꺼진 상태를 나타내고 ON은 백라이트유닛(BLU)이 켜진 상태를 나타낸다.
위와 같은 구동방법에 의해 종래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도 8의 (a)에서 보듯이, 좌안영상을 처리하게 될 경우, 공간 필터(spatial filter)에 의해서 인접 block#2이 켜지게 된다. 그리고 우안영상을 처리할 경우, block#2는 좌안영상을 처리할 때는 off상태가 되거나 이전 프레임보다는 어둡게 켜지게 된다. 따라서, 좌안 및 우안영상을 하나의 3D 프레임으로 인식한다면, 각 포인트에서는 휘도가 동일해야 하지만, 백라이트유닛(BLU)이 모듈레이션(modulation) 됨에 따라 휘도가 변하게 된다. 즉, 시감자의 눈이 좌안과 우안영상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인식하는 동안 백라이트유닛(BLU)은 휘도가 변하기 때문에, 플래싱(flashing)으로 인식되거나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발생시키게 되어 눈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된다. 도 8에서 숫자는 해당 측정위치에서의 휘도 수치이다.
반면,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BLU)의 디밍방법인 (b)는 입체영상표시패널(PNL)에 제1좌안영상(L[N-1])과 제1우안영상(R[N-1])이 표시되는 2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14%, 14%)를 나타내도록 로컬 디밍된다. 이는 로컬 디밍이 적어도 2 프레임에 한번 수행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구동방법에 의해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는 도 8의 (b)에서 보듯이, 측정 포인트에서 좌안 및 우안영상이 차례로 표시되는 동안 백라이트유닛(BLU)은 동일한 휘도 값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크로스토크, 헤일로(halo) 및 플래싱(flashing) 현상 등이 저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더불어, 시감자의 눈의 피로도 또한 저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서,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에 대한 상태를 구분하여 도시하지 않은 것은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이 동일한 로컬 디밍방법에 의해 구동하므로, 측정위치별 휘도 수치 또한 동일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은 적어도 2 프레임에 한번 로컬 디밍이 수행되도록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여 입체영상표시장치에서 로컬 디밍시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개선함은 물론 헤일로(halo) 및 플래싱(flashing)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서는 입체영상표시장치 구성시 액티브 리타더 패널과 같은 제어패널이 포함된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백라이트유닛을 로컬 디밍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라면 본 발명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영상공급부 120: 타이밍제어부
130: 구동부 140: 디밍제어부
BLU: 백라이트유닛 PNL: 입체영상표시패널
GLS: 입체안경 LCD: 액정패널
ARP: 제어패널

Claims (10)

  1. 입체영상표시패널;
    상기 입체영상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유닛;
    상기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을 공급하는 타이밍제어부; 및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되 상기 입체영상표시패널이 이차원 영상모드로 구동할 때와 삼차원 영상모드로 구동할 때를 구분하여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로컬 디밍을 달리하는 디밍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밍제어부는,
    상기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제1좌안영상과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동안 동일한 로컬 디밍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상기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상기 제1좌안영상과 상기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는 입체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상기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상기 제1좌안영상과 상기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2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는 입체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제어부는,
    상기 백라이트유닛이 적어도 2 프레임에 한번 로컬 디밍을 하도록 제어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제어부는,
    제1좌안영상이 공급되면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는 구간까지 상기 제1좌안영상을 홀딩하고 상기 타이밍제어부에 상기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면, 영상보상을 수행하여 보상된 제1좌안영상과 보상된 제1우안영상을 생성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된 제1좌안영상과 상기 보상된 제1우안영상이 상기 입체영상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시점은,
    상기 타이밍제어부에 상기 제1좌안영상과 상기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는 시점보다 적어도 1프레임 늦어지는 입체영상표시장치.
  8. 타이밍제어부에 제1좌안영상이 공급되면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는 구간까지 상기 제1좌안영상을 홀딩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제어부에 상기 제1우안영상이 공급되면 입체영상표시패널에 공급할 상기 제1좌안영상과 상기 제1우안영상에 대한 영상보상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보상과 더불어 백라이트유닛의 로컬 디밍을 수행하되, 상기 제1좌안영상과 상기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동안 동일한 로컬 디밍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상기 제1좌안영상과 상기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도록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제어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상기 입체영상표시패널에 상기 제1좌안영상과 상기 제1우안영상이 표시되는 2 프레임 동안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는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00086576A 2010-09-03 2010-09-03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Active KR10172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76A KR101720338B1 (ko) 2010-09-03 2010-09-03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76A KR101720338B1 (ko) 2010-09-03 2010-09-03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429A KR20120023429A (ko) 2012-03-13
KR101720338B1 true KR101720338B1 (ko) 2017-04-04

Family

ID=4613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576A Active KR101720338B1 (ko) 2010-09-03 2010-09-03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483B1 (ko) * 2012-06-20 2014-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d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WO2025129596A1 (zh) * 2023-12-22 2025-06-26 镭亚股份有限公司 3d显示装置和3d显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116A (ja) 2004-12-10 2006-06-22 Oki Electric Ind Co Ltd 振込取引処理システム
KR100859694B1 (ko) * 2007-04-12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면/입체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38B1 (ko) * 2004-06-30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00076230A (ko) * 2008-12-26 201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116A (ja) 2004-12-10 2006-06-22 Oki Electric Ind Co Ltd 振込取引処理システム
KR100859694B1 (ko) * 2007-04-12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면/입체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429A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322B1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596963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US874311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33041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24314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753801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198153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20320056A1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854440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689253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883177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eye-tracking method thereof
KR101763945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크로스토크 보상방법
KR2013009290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780286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KR10172033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056672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20029602A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798236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휘도 조절 방법
KR20120114022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20119418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678215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20015006A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67151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829461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43180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