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243B1 - All weather cover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with gang form building and removing device - Google Patents
All weather cover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with gang form building and remov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0243B1 KR101720243B1 KR1020150093893A KR20150093893A KR101720243B1 KR 101720243 B1 KR101720243 B1 KR 101720243B1 KR 1020150093893 A KR1020150093893 A KR 1020150093893A KR 20150093893 A KR20150093893 A KR 20150093893A KR 101720243 B1 KR101720243 B1 KR 101720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elevator
- cover
- rail
- bui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5—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protecting wall crow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커버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 외벽에 설치한 승강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기에 커버 시스템을 구비한지붕프레임과 갱폼을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승강기의 승강과 함께 지붕프레임과 갱폼이 동시에 승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축중인 시공물의 최상층을 덮어서 눈, 비, 햇볕을 차단하여 최적의 콘크리트 양생 조건을 조성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면서도 필요시 커버 개폐가 가능하여 시공중인 최상층으로 각종 건축 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ing device for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of covering device for a building, in which a roof frame having a cover system and a gantry are integrally installed in an elevator that ascends and descends along an elevating frame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By covering the top layer of the construction under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snow, rain and sunlight to create the optimum concrete curing condition and to provide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while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cover if necessary. Capable gusset-type covering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커버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커버링 장치를 바닥에 내려놓거나 옮겨놓지 않고, 갱 폼과 함께 커버링 장치 자체가 상층으로 상승하며, 건축중인 시공물의 최상층을 덮어서 하절기 장마, 우기로 인한 공사중단과 이로 인한 공기지연 없이 전천후로 작업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갱폼의 부착과 탈거 공정을 자동화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눈, 비, 햇볕을 차단하여 최적의 콘크리트 양생 조건을 조성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면서도 필요시 개폐가 가능하여 시공중인 최상층으로 각종 건축 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cove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covering device for a building, in which the covering device itself is lifted up to the upper layer together with the gantry without lowering or transferring the covering device to the floor, and the uppermost layer of the construction under construction is covered, The work environment that can work all the weather without interruption and the air delay is created, and the manual attachment and removal process is automated to shorten the air, prevent safety accidents, cut off the snow, rain and sunlight Integrated covering device capable of supplying various building materials to the uppermost layer during construction while providing an optimal concrete curing condition and providing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while being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when necessary.
일반적으로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하절기 장마, 우기로 인한 공사중단으로 공기가 지연되는 것은 건설업체로서는 인건비, 현장 유지관리비, 자재의 감가상각비 등 막대한 손실을 감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building construction, delay of air due to construction interruption due to the rainy season and rainy season in the winter season causes construction companies to endure a huge loss such as labor costs, on-site maintenance cost, and depreciation cost of materials.
또한,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갱폼의 부착과 탈거 공정에는 많은 공사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건축물의 외벽에서 진행되는 공정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제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lso,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construction time and manpower are required for the attachment and removal process of the gangue which proceeds by hand,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 arises due to the process proceed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또한,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동안 하절기에는 햇빛에 의한 강한 열로 인해 양생 속도가 부적합하게 되면서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강우시에 빗물이 양생중인 최상층의 콘크리트에 침투하여 수분 함량이 과도하게 높아짐으로써 시공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in the uppermost layer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In the summer, curing speed becomes inadequate due to strong heat due to sunlight, and cracks are generated. In the case of rainfall, rainwater penetrates into the concrete in the uppermost layer during curing,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construction quality is deteriorated.
동절기에는 강설이나 혹한으로 인해 양생중인 콘크리트의 수분 함량이 과도하게 높아지거나 동결되어 시공 품질에 문제점이 발생한다.During the winter season, the water content of the curing concrete is excessively increased or frozen due to snowfall or cold weather, resulting in poor construction quality.
또한,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에서 작업하는 인부들도 동절기의 차가운 바람과 추위에 그대로 노출되고, 하절기의 강렬한 햇빛에 그대로 노출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workers who work on the top floor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re exposed to the cold wind and cold in winter, and exposed to intense sunlight during the summer season, resulting in poor working efficienc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9622호 '건축물 공사용 보온 덮개 지붕틀'과 등록특허 제10-0845461호 '건축물 공사용 덮개 트러스'와 등록특허공보 제10-1126781호 '건축용 전천후 커버링 시스템'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체가 연결되어 구성된 강체구조물과 상기 강체구조물에 설치되고 크레인의 훅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훅걸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위에 천막을 덮어 구성된다.As a representative solu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09622 entitled 'Heat-shielding roofing roof for building construction' and Registered Patent No. 10-0845461 'Cover truss for building construction' and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26781 ' As shown in FIGS. 1 and 2, includes a rigid structure formed by connecting a rigid body and a hooking means installed on the rigid structure to hook the hook of the crane. And the tent is covered thereon.
이러한 상기 강체구조물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강체들이 전,후,좌,우로 연결되어 구성된 하층프레임, 상기 하층프레임 상에 강체들이 연결되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구성된 상층프레임, 상기 상층프레임과 하층프레임을 일체로 연결하는 강체로 된 제1 연결부재들 및 상기 하층프레임과 상기 상층프레임과 연결부재들 중 2이상을 서로 묶어주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rigi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rigid structure includes a lower frame composed of rigid bodies connected to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n upper frame connected to rigid bodies on the lower frame to be convex upward, And a connection wire for connecting at least two of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and the connecting members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 공사용 보온 덮개 지붕틀은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을 덮기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 보온 덮개 지붕틀의 상부로 올라가 상기 훅걸이 수단을 크레인의 훅에 걸어준 후 상승시켜 시공 중인 건축물의 최상층 위를 덮도록 한 다음 작업자가 다시 덮개 지붕틀 상부로 올라가 상기 훅걸이수단을 크레인의 훅에서 탈거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한다.In order to cover the uppermost layer of the building being constructed, the worker climbs up the upper part of the heat-shielding roof frame to hook the hook-hooking means to the hook of the crane and then raises the uppermost layer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Then, the worker goes up to the upper part of the roof of the cover, and the hooking means is removed from the hook of the crane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상기와 같이 지붕틀로 건축물의 최상층을 덮음으로써 눈, 비, 햇빛을 차단하여 최적의 콘크리트 양생 조건을 조성하고, 개선된 작업환경을 제공하며, 공사 현장이 그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By covering the uppermost layer of the building with the roof fram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now, rain, and sunlight to provide optimum concrete curing conditions, to provide an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and to prevent exposure of the construction site.
그런데 건축물의 최상층으로 건축에 필요한 자재나 각종 설비를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설치된 보온 덮개 지붕틀을 다시 들어올려 지상에 내려 놓은 후 크레인으로 지상에 준비된 자재나 각종 설비를 들어올려 시공중인 최상층에 공급한 후 다시 보온 덮개 지붕틀을 크레인으로 최상층까지 들어올려 재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when it is necessary to supply materials and equipment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as the top layer of the building, the inevitably installed heat-shielded roofing frame is lifted up to the ground, and the crane is lifted up to the ground and the materials and equipmen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is necessary to reinstall the heat-insulating roof truck by lifting the crane to the uppermost floor again.
또한, 건축물의 최상층 공사가 끝나고 층고를 올릴때 마다 대형 거푸집인 갱폼을 재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지붕틀을 지상에 내려 놓은 후 갱폼을 재설치한 후 다시 지붕틀을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lso, when the uppermost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finished, the gang form, which is a large formwork, must be reinstalled every time the floor is raised. In such a case, there is inconvenience that the roof frame should be placed on the ground and then the gang-
중량물인 보온 덮개 지붕틀을 수시로 오르내리는 작업 중에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보온 덮개 지붕틀을 지상으로 내려놓기 위해 지상에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는데 보온 덮게 지붕틀을 내려놓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 safety accident can occur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eavy lifting lid,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on the ground to lay the lid on the grou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eparate space for lifting the roof. .
또한, 이러한 작업들로 인해 시공 능률이 크게 저하되고, 시공 비용과 공기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se works,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is greatly reduced, and construction cost and air are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에 커버링 장치를 설치하되,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으로 건축에 필요한 자재나 각종 설비를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지상으로 커버링 장치를 내려놓을 필요가 없고, 건축물의 층수가 올라감에 따라 갱폼과 함께 다음 시공층으로 커버링 장치가 자체 상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건축물의 최상층을 커버링할 수 있는 커버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vering device on the uppermost layer of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ver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covering the uppermost layer of a building by configuring the covering device to rise by the next construction layer together with the gang form as the number of the buildings increases .
또한, 커버링 장치가 자체 상승할 때 인부들이 시공중이 건축물 외부에서 작업하는 작업대와 보호펜스가 커버링 장치와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ng-foam integrated covering device capable of drastically shortening the air by constructing the worktable and the protection fence to rise together with the covering device when the covering device is lifted by itself,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는 시공중인 건축물의 상부 외벽에 소정 간격마다 종방향으로 체결된 승강프레임(102)과,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기(110)와, 상기 승강기(110)의 일 측에 설치되어 갱 폼(103)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114)와,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부를 가로지르고, 승강기(110)의 상부에 체결되어 승강기(110)와 함께 승강하는 지붕프레임(104) 및 상기 지붕프레임(104)에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커버 시스템으로 구성됨으로써 승강기(110)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하면서 승강기(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붕프레임(104) 및 갱 폼(103)이 승강기(110)와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ang-foam integrated type cov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상기 승강프레임(102)은 단위 프레임이 종방향으로 연속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승강기(110)가 상승할 때마다 승강프레임(102)의 최하부에 위치한 단위프레임을 분리하여 승강프레임(102)의 최상부에 체결함으로써 승강기(110)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승강기(110)에 설치되어 피니언(113)을 구동하는 모터(112)와, 승강프레임(102)에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113)과 치합되는 래크(102a)가 형성됨으로써 모터(112)의 구동에 의해 승강기(110)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다.The driving means includes a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102)과 승강기(110) 사이에는 래칫(rachet)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110)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achet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또한, 상기 건축물의 상부 외벽에 소정 간격마다 지지프레임(101)을 체결하고,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101) 외측에 승강프레임(102)을 체결함으로써, 승강기(110)에 체결된 갱 폼(103)의 구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ing
또한, 상기 승강기(110)와 일체형으로 보호펜스(106)를 구비한 작업대(105)을 설치함으로써, 인부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인 작업대(105)가 승강기(110)와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ork table 105 having the
그리고 상기 커버 시스템은 각 지붕프레임(104)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과, 양 측단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커버프레임(121)과, 양 측이 상기 커버프레임(121)에 체결되는 커버(123)로 구성함으로써 커버프레임(121)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커버(123)가 개폐되도록 구성한다.The cover system includes a rai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each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121)의 양측에는 롤러(122)를 체결하고, 상기 롤러(122)와 커버프레임(121)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함으로써, 롤러(122)가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커버프레임(121)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커버(123)가 커버프레임(121)에 말리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레일은 지붕프레임(104)의 하부에 레일지지대(124)에 체결되어 제1레일(126)과 제2레일(127)로 구성하되, 상기 제2레일(127)은 제1레일(126)의 하부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붕프레임(104)의 양 측 커버(123)의 단부가 겹치게 하여 눈이나 비가 새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il includes a
또한, 상기 갱 폼(103)과 승강프레임(102)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에는 사이드 커튼(107)을 설치함으로써 바람이 갱 폼(103)과 승강프레임(102) 사이의 틈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는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으로 건축에 필요한 자재나 각종 설비를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지상으로 커버링 장치를 내려놓을 필요가 없고, 건축물의 층수가 올라감에 따라 갱폼과 함께 다음 시공층으로 커버링 장치가 자체 상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건축물의 최상층을 커버링할 수 있다.The gantry-integrated cov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ed to lower the covering device even when it is required to supply materials or various facilitie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as the uppermost layer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s the number of buildings increases The cover layer can be continuously covered with the next construction layer together with the gang foam to cover the uppermost layer of the building.
또한, 커버링 장치가 자체 상승할 때 인부들이 시공중이 건축물 외부에서 작업하는 작업대와 보호펜스가 커버링 장치와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vering device is raised by itself, the worktable and the protection fence, which work outside the building, are lifted together with the covering device during the construction, so that the air can be remarkably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건축물 공사용 보온 덮개 지붕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승강기가 승강하는 상태 및 갱폼을 탈,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승강기 및 지붕프레임과 승강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개폐구조를 갖는 커버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개폐구조를 갖는 커버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1 and 2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heat-insulating lid for building construction;
FIG. 3 is a state of use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ganged foam cov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vated and lowered and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is detached and attach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mbination of an elevator and a roof frame and a lif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having an open / clo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having an open / clo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헤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함,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claims, it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at element, And the like.
본 발명에 의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중인 건축물의 상부 외벽에 소정 간격마다 지지프레임(101)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1)에 승강프레임(102)을 설치하며, 상기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기(11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3, 4 and 6, the gang-foam integrated cov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ing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기(110)의 상부에는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을 가로지르는 지붕프레임(104)이 체결되고, 도 4 및 도 6과 같이 승강기(110)의 하부에는 보호펜스(106)를 구비한 작업대(105)가 체결된다.8, a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상부 외벽에 부착된 지지프레임(101)과, 상기 지지프레임(101)에 체결되는 승강프레임(102)은 소정 길이의 단위 프레임이 연속으로 체결되고, 상기 승강프레임(102)의 양 측에 종 방향으로 래크(102a)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a suppor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프레임(102)이 승강기(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기(110)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다.The
승강기(1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 몸체(111)의 일 측 상,하부에 각각 실린더(114)가 설치되고, 승강프레임(102)의 래크(102a)에 대응하도록 승강기 몸체(111)에 피니언(113)을 구비한 모터(112)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승강기(110)의 실린더(114)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피스톤 로드(미부호)가 실린더(114)로부터 돌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 6과 같이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는 고정구(115)를 통해 갱 폼(103)이 체결 고정된다.The
상기 승강기 몸체(111)에 설치된 모터(112)의 피니언(113)은 승강프레임(102)의 래크(102a)와 치합됨으로써 모터(112)에 전원이 공급되면 피니언(113)이 회전하면서 도 7과 같이 승강기(110)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게 된다.The
도 8과 같이 상기 승강기(110)의 상부에는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을 가로지르는 지붕프레임(104)이 체결되고, 승강기(110)의 하부에는 도 6과 같이 작업대(105)가 체결됨으로써 승강기(110)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할 때 지붕프레임(104)과 작업대(105)가 승강기(110)를 따라 동시에 승강한다.8, a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110)의 상부에는 지붕프레임(104)이 체결된 상태이고, 승강기(110)의 내부에 승강프레임(102)이 삽입되어 승강기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8과 같이 지붕프레임(104)의 승강기(110)의 상부 지점에 승강프레임(102)이 삽입되어 통과하도록 승강프레임 삽입구(104a)가 구성됨으로써, 승강기(110)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할 때 지붕프레임(104)과 승강프레임(102)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기의 구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riving of the elevato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 시공이 끝나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실린더(114)의 피스톤 로드가 삽입되면서 피스톤 로드의 고정구(115)에 체결된 갱 폼(103)이 양생된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분리된다.When the uppermost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그리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기(110)의 모터(112)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112)의 축에 체결되고 승강프레임 피니언(113)과 치합된 피니언(113)이 회전하면서 승강기(110)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상향 이동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이때, 상기 승강기(110)의 상부에 체결된 지붕프레임(104)과, 승강기(110)의 하부에 체결된 작업대(105) 및 승강기(110)의 실린더(114)에 체결된 갱 폼(103)이 승강기(110)와 함께 동시에 상향 이동한다.The
승강기(110)에 체결된 지붕프레임(104), 갱 폼(103) 및 작업대(105)는 고하중의 중량물이므로 승강기(110)의 모터(112)의 축과 피니언(113) 사이에 감속기를 설치함으로써 모터(112)가 안정적으로 상기의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승강기(110)와 승강프레임(102) 사이에는 공지의 기술인 래칫(rachet)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11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achet mechanism, which is a known technique, betwe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110)는 고하중 구조물인 지붕프레임(104), 작업대(105) 및 갱 폼(103)을 들어올리는 기구인데, 작업과정이나 승강 조작 도중에 승강기(110)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승강기(110)와 승강프레임(102) 사이에 래칫(rachet)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승강기(110)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래칫(rachet) 기구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ratchet mechanism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시공이 끝난 최상층으로부터 승강기(110)가 상향 이동한 후 실린더(114)를 작동시켜 피스톤 로드를 돌출시켜 피스톤 로드 단부의 고정구(115)에 체결된 거푸집인 갱 폼을 외벽이 시공될 위치에 설치한다.After the
상기와 같이 실린더(114)의 작동에 의해 거푸집인 갱 폼(103)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건축물의 외벽이 형성될 지점까지 이동 설치되고, 외벽이 설치된 후 실린더(114)의 작동에 의해 갱 폼(103)이 분리되는데, 갱 폼(103)의 이동하며 탈부착할 수 있는 구동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도 6과 같이 건축물의 외벽에 소정 간격마다 지지프레임(101)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1)에 승강프레임(102)을 체결함으로써 갱 폼(103)의 이동 거리를 확보하도록 구성한다.As the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기(110)만 상향 이동시키면 지붕프레임(104)과, 갱 폼(103)과, 작업대(105)가 모두 상향 이동되므로 시공준비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Since the
상기와 같이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기(110)를 상향 이동시킨 후에는 건축물 외벽에 부착된 지지프레임(101)의 최하부에 위치한 단위 지지프레임(101)을 분리하고 지지프레임(101)의 최상부에 체결하고, 승강프레임(102)의 최하부에 위치한 단위 승강프레임(102)을 분리하여 승강프레임(102)의 최상부에 체결함으로써 지지프레임(101)과 승강프레임(102)의 지속적인 상향 설치가 가능하다.After the
상기 지붕프레임(104)에는 햇빛, 비, 눈을 막기 위한 개폐 가능한 커버시스템이 설치된다.The
상기 커버시스템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지붕프레임(104)과 이웃한 지붕프레임(104) 사이를 연결하는 소정 개수의 커버 프레임(121)들이 설치되고, 천 소재의 커버(123) 양 단부는 상기 각 커버 프레임(121)에 체결된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cover system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cover frames 121 connecting between a
상기 커버 프레임(121)의 양 단부에는 롤러(122)가 체결되고, 상기 롤러(122)는 지붕프레임(104)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커버(123)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A
개폐가능한 커버시스템의 실시예로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지붕프레임(104)의 하부에 제1레일(126)과 제2레일(127)을 설치하고, 상기 제1레일(126) 및 제2레일(127)이 레일지지대(124)를 통해 지붕프레임(104)에 고정되도록 한다.9 and 10, a
그리고 지붕프레임(104) 일 측에 위치한 커버프레임(121)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122)를 제1레일(126)에 안착하고, 지붕프레임(104)의 타 측에 위치한 커버프레임(121)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122)를 제2레일(127)에 안착함으로써 커버프레임(121)이 제1레일(126) 또는 제2레일(127)을 따라 이동하며 커버(123)가 개폐되도록 한다.The
이때, 커버프레임(121)과 롤러(122)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함으로써 롤러(122)가 레일을 따라 구를 때 커버프레임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bearing (not shown) between the
또한, 제2레일(127)은 제1레일(126)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10과 같이 지붕프레임(104) 양 측에 형성된 커버(123)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구성하여 커버(123)와 커버(123)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비가 오더라도 커버(123) 사이의 틈으로 빗물이 새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커버 시스템은 커버(123)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건축물의 최상층으로 건축에 필요한 자재나 각종 설비를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자재나 설비를 공급할 지점의 커버(123)를 부분적으로 열고, 크레인으로 지상에 준비된 자재나 각종 설비를 들어올려 열린 커버(123) 부분을 통해 시공중인 최상층에 자재와 설비를 공급한 후 다시 간편하게 커버(123)를 닫을 수 있다.The cover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open / close the
비가 내릴 때 빗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도 1과 같이 커버 시스템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갱 폼(103)과 커버 시스템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고 이 틈을 빗물이 들이칠 수 있고, 동절기에 차가운 바람이 들어와 작업환경이 나빠질 수 있다.1, the cover system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for smooth drainage of rainwater when the rain is lowere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경사진 커버 시스템에서 커버와 갱 폼(103) 사이의 틈에 사이드커튼(107)을 설치하여 커버 시스템과 갱 폼(103)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다.To prevent this, a
즉, 본 발명의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는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층으로 건축에 필요한 자재나 각종 설비를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지상으로 커버링 장치를 내려놓을 필요가 없고, 건축물의 층수가 올라감에 따라 갱폼과 함께 다음 시공층으로 커버링 장치가 자체 상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건축물의 최상층을 커버링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gang-foam integrated cove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covering device to be lowered on the ground even when the material or various facilitie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are supplied as the uppermost layer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s the number of the buildings increases, And the covering device can be self-raised to the next construction layer, thereby continuously covering the uppermost layer of the building.
또한, 커버링 장치가 자체 상승할 때 인부들이 시공중이 건축물 외부에서 작업하는 작업대와 보호펜스가 커버링 장치와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vering device is raised by itself, the worktable and the protection fence, which work outside the building, are lifted together with the covering device during the construction, so that the air can be remarkably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Further,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ti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01 : 지지프레임 102 : 승강프레임
102a : 래크 103 : 갱 폼
104 : 지붕프레임 104a : 승강프레임 삽입구
105 : 작업대 106 : 보호펜스
110 : 승강기 111 : 승강기 몸체
112 : 모터 113 : 피니언
114 :실린더 115 : 고정구
121 : 커버프레임 122 : 롤러
123 : 커버 124 : 레일지지대
126 : 제1 레일 127 : 제2 레일101: Support frame 102: Lift frame
102a: rack 103: gang form
104:
105: Work table 106: Protective fence
110: elevator 111: elevator body
112: motor 113: pinion
114: cylinder 115: fastener
121: cover frame 122: roller
123: cover 124: rail support
126: first rail 127: second rail
Claims (11)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기(110);
상기 승강기(110)의 일 측에 설치되어 갱 폼(103)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114);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상부를 가로지르고, 승강기(110)의 상부에 체결되어 승강기(110)와 함께 승강하는 지붕프레임(104); 및
상기 지붕프레임(104)에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커버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시스템은,
각 지붕프레임(104)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
양 측단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커버프레임(121); 및
양 측이 상기 커버프레임(121)에 체결되는 커버(123);로 구성됨으로써 커버프레임(121)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커버(123)가 개폐되며,
상기 커버프레임(121)의 양 측에는 롤러(122)가 체결되고, 상기 롤러(122)와 커버프레임(121)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롤러(122)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레일은,
지붕프레임(104)의 하부에 레일지지대(124)에 체결되어 제1레일(126)과 제2레일(127)로 구성되되,
상기 제2레일(127)은 제1레일(126)의 하부 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지붕프레임(104)의 양 측 커버(123)의 단부가 겹쳐지며,
상기 커버(123)는 유연재질로 제조되어 개폐에 따라 자중에 의해 주름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A lifting frame (102) fastened longitudin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upper outer wall of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n elevator (110) having a driving means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elevating frame (102);
A cylinder 114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levator 110 to move the gauze 103 in a lateral direction;
A roof frame 104 which traverses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110 and ascends and descends with the elevator 110; And
And a cover system installed on the roof frame (104) and openable and closable,
The cover system comprises:
A rail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roof frame 104;
A cover frame (121) having both side ends thereof moved along the rails; And
And a cover 123 on both sides of which is fastened to the cover frame 121. Thus, the cover frame 121 moves along the rails to open / close the cover 123,
A roller 122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cover frame 121 and a bearing is provided between the roller 122 and the cover frame 121 so that the roller 122 moves along the rail,
The rail
A first rail 126 and a second rail 127 coupled to a rail support 124 at a lower portion of the roof frame 104,
The second rails 127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ils 12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ends of the covers 123 on both sides of the roof frame 104 overlap,
Wherein the cover (123)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folds are partially formed by self weight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상기 승강프레임(102)은 단위 프레임이 종방향으로 연속 결합되어 구성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frame (102) is configured such that unit fram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구동수단은,
승강기(110)에 설치되어 피니언(113)을 구동하는 모터(112)와,
승강프레임(102)에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113)과 치합되는 래크(102a)가 형성됨으로써 모터(112)의 구동에 의해 승강기(110)가 승강프레임(102)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motor 112 installed in the elevator 110 to drive the pinion 113,
The elevator 110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elevating frame 102 and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elevating frame 102 by driving the motor 112 by forming a rack 102a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113 Gang - foam integrated covering device.
상기 승강프레임(102)과 승강기(110) 사이에는 래칫(rachet) 기구가 설치되어 승강기(110) 추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achet mechanism is provided between the lift frame (102) and the elevator (110) to prevent the elevator (110) from falling.
상기 건축물의 상부 외벽에 소정 간격마다 지지프레임(101)이 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101)에 승강프레임(102)이 종방향으로 체결되어 구성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frame (101) is fastened to the upper outer wall of the buil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rein the lifting frame (102) is fastened to the respective support frames (10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승강기(110)에는 작업대(105)가 체결됨으로써, 승강기(110)와 함께 작업대(105)가 승강하도록 구성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 table (105) is coupled to the elevator (110) so that the work table (105) is eleva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elevator (110).
상기 작업대(105)에는 보호펜스(106)가 설치된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105) is provided with a protection fence (106).
상기 갱 폼(103)과 승강프레임(102)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에는 사이드 커튼(10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de curtain (107) is provided in a gap generated between the gantry (103) and the lift frame (10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3893A KR101720243B1 (en) | 2015-07-01 | 2015-07-01 | All weather cover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with gang form building and remov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3893A KR101720243B1 (en) | 2015-07-01 | 2015-07-01 | All weather cover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with gang form building and remov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063A KR20170004063A (en) | 2017-01-11 |
KR101720243B1 true KR101720243B1 (en) | 2017-03-27 |
Family
ID=5783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3893A Active KR101720243B1 (en) | 2015-07-01 | 2015-07-01 | All weather cover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with gang form building and remov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024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42525B (en) * | 2018-04-13 | 2024-05-24 | 上海绿地建设设计研究院有限公司 | Construction awning moving system |
CN110107102A (en) * | 2019-05-13 | 2019-08-09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Building foundation winter construction full-automatic energy-saving heat-insulating brood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6781B1 (en) * | 2011-03-15 | 2012-03-29 | 권종규 | All weather covering system for constructio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67122A (en) * | 1992-11-30 | 1994-06-14 | Konoike Constr Ltd | Temporary roof device |
JPH0791078A (en) * | 1993-09-21 | 1995-04-04 | Shimizu Corp | Elevating open / close roof for erection |
KR200216591Y1 (en) * | 1996-12-09 | 2001-05-02 | 이구택 | Intake / exhaust device for ladle temperature rise burner |
KR100509622B1 (en) | 2004-12-27 | 2005-08-22 | 주식회사 삼인공영 | Roof frame of warmth keeping cover for constructing a structure |
KR100828087B1 (en) * | 2006-10-20 | 2008-05-07 | 박정진 | Temporary System for All Weather Construction |
KR100845461B1 (en) | 2007-01-08 | 2008-07-10 | 진요임 | Cover truss for building construction |
KR100945243B1 (en) * | 2008-02-19 | 2010-03-03 | 주식회사 근하기공 | Gangfoam lifting device |
KR20120029818A (en) | 2010-09-17 | 2012-03-27 | 주식회사 근하기공 | All weather covering system for construction |
-
2015
- 2015-07-01 KR KR1020150093893A patent/KR1017202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6781B1 (en) * | 2011-03-15 | 2012-03-29 | 권종규 | All weather covering system for constru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063A (en) | 2017-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697073B2 (en) | A cable-stay retractable skylight roof for stadium or arena or other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same | |
KR100928870B1 (en) | Retractable prop | |
CN109025388B (en) | Construc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vable expanded openable canopy | |
KR101572172B1 (en) | The temporary construction system in all-weather condition | |
CN104563503B (en) | High level and Super high-rise dwelling house cast-in-situ steel reinforced concrete high-altitude automatization method of construction | |
CN111219055A (en) | Light-duty recyclable efficient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20243B1 (en) | All weather cover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with gang form building and removing device | |
CN107288352B (en) | The transport of the closed shed dormer roof boarding of overlarge area and installation method | |
KR20120029818A (en) | All weather covering system for construction | |
AU2015340419A1 (en) | Method for assembling a weather-protecting roof truss and a weather-protecting roof truss bundle | |
KR102131407B1 (en) | All weather roof system for construction | |
CN201666012U (en) | Lift-type movable work shed | |
CN214832708U (en) | Full-automatic movable subway foundation pit protection greenhouse | |
KR101126781B1 (en) | All weather covering system for construction | |
US4171194A (en) | Plant for the production of concrete elements | |
CN113216587A (en) | High-rise building outer wall construction operation platform fix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60115701A (en) | Installation structure for lifting and moving of temporary roof and inner wall formwork for all-weather construction | |
CN212582735U (en) | A pipe gallery outer mold trolley with integrated rain protection and maintenance | |
JP6884373B2 (en) | High-rise building demolition method | |
JPH0782897A (en) | All weather type building method of building | |
CN217732381U (en) | Elevator shaft with lifting platform | |
JPH05133016A (en) | Peripheral supporting self-rising type building engineering method | |
KR200441857Y1 (en) | Curing film structure of concrete structure | |
KR20210156556A (en) | All weather cover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 |
CN218264861U (en) | Face construction platform who combines fore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