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9962B1 -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962B1
KR101719962B1 KR1020160138243A KR20160138243A KR101719962B1 KR 101719962 B1 KR101719962 B1 KR 101719962B1 KR 1020160138243 A KR1020160138243 A KR 1020160138243A KR 20160138243 A KR20160138243 A KR 20160138243A KR 101719962 B1 KR101719962 B1 KR 101719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composition
silane
waterproof co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훈
Original Assignee
박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훈 filed Critical 박건훈
Priority to KR102016013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9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7/1208
    • C09D7/12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프라이머층을 제외한 단일 코팅층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우수한 부착강도와 내마모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장시간 외부 노출에도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에 비해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The composite waterproof coating composition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프라이머층을 제외한 단일 코팅층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우수한 부착강도와 내마모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장시간 외부 노출에도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에 비해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 구조물의 옥상, 바닥,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수분과 접할 수 있는 부위에는 수분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비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사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방수의 형태는 건축물에 있어서 지붕, 실내, 수조류 및 지하방수로 구분될 수 있고, 특히 옥상방수의 경우에는 종래에는 콘크리트를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방수액을 첨가하여 옥상을 짓거나, 또는 방수액을 이용하여 적층 후에 시트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 시공에 의하더라도 빌딩 옥상의 콘크리트 표면이 긴 시간 동안 외부에 노출되면, 풍화작용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노화가 빨리 진행하여 크랙 및 파손 부위가 발생하여 장마철 등에는 누수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우수는 콘크리트 내부로 스며들어 겨울에는 결빙되며, 날씨가 해빙되면, 신축 팽창이 진행되어 콘크리트에 크랙을 성장시키고, 점차 확대되어 큰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에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콘크리트 재도포 방식은 브렉커를 이용하여 기존 콘크리트층을 제거하기 때문에 큰 진동에 의해 점차 큰 크랙을 성장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시트방수공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방수공법은 냄새가 발생되고, 화기의 위험성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수층의 노후 현상에 의한 방수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시트 등을 이용하여 방수를 하는 경우 시트가 떨어져 나가게 되어 부분적으로 누수현상이 발생되고, 지붕의 콘크리트가 진동이나 지각의 뒤틀림 등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방수의 효과는 현저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수 시공에 의하면, 약 1년 내지 2년 정도 후에 부분적으로 다시 방수를 해야하고, 이러한 보수 공사에 의해서도 누수되는 부분을 완전하게 방수처리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4525호를 보면 프라이머층 상에 연질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고경질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615호에는 수용성 실리콘수지 도포→프라이머 도포→방수페인트 도포→유리막 코팅→고온 스팀처리 과정을 통해 방수 코팅이 이루어졌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732호에는 기능성 도료→단열 도료→세라믹 코팅 도료 도포 과정을 통해 방수 시공이 이루어졌다.
다만, 위 등록특허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방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내구성 내지 내후성 향상을 위해 여러 번의 도포 과정과 건조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하나의 코팅층(도료층)이 경화된 다음, 그 상부에 새로운 코팅층(도료층)을 형성해야 하므로 시공 기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64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45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6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7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본 발명의 목적은 프라이머층을 제외한 단일 코팅층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우수한 부착강도와 내마모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장시간 외부 노출에도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에 비해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은 디이소시아네이트 200~400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 50~100중량부와, 폴리부틸렌글리콜 20~50중량부와, 가소제 20~50중량부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120중량부와, 부틸아크릴레이트 20~40중량부와, 아크릴산노말부틸에스테르 5~10중량부와, 실리콘 실란 5~25중량부와, 디메틸아민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300~500중량부와, 과산화벤조일 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와; 충진재 30~80중량부와, 안료 10~50중량부와, 실란 변성 폴리우레탄 10~50중량부와, 변성 에폭시 수지 5~25중량부를 포함하는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변성 폴리우레탄은 디이소이아네이트와 폴리올을 1 : 2.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란 화합물 20~30중량부와, 유기용제 15~2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변성 에폭시 수지는 스테아린산과 에폭시 수지를 1 : 5~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란 화합물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경화제에는 H2PtCl6와, 클로로포름과, 디메틸포스페이트, Gd2O3 나노 분말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촉매 5~2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첨가제에는 탄소 나노 튜브 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나노 실리카 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은 단일 코팅층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우수한 부착강도와 내마모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장시간 외부 노출에도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에 비해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은 복수의 성분이 혼합됨으로써, 코팅 도막의 접착력과, 도막 물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경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서, 크게 주제와, 경화제와, 첨가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제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프로필렌글리콜과, 폴리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들 성분은 종래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제의 주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조성비는 디이소시아네이트 200~400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 50~100중량부와, 폴리부틸렌글리콜 20~50중량부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주제에는 가소제 20~5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주제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120중량부와, 부틸아크릴레이트 20~40중량부와, 아크릴산노말부틸에스테르 5~10중량부와, 실리콘 실란 5~25중량부와, 디메틸아민 1~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후술할 경화제에 함유되는 과산화벤조일과의 혼합에 의해 신속한 경화를 촉진하고 코팅면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노말부틸에스테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공중합되면서 방수 코팅 조성물의 전이온도를 낮춰 물성을 보강시키고, 특히 도막의 부풀음 또는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노말부틸에스테르는 각각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40중량부 및 5~1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물성 보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초과하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상대적인 함량이 줄어들고 경화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실란은 결합력 향상을 위해 5~25중량부 첨가될 수 있으며, 디메틸아민은 경화 촉진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1~10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과산화벤조일 및 유기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OH 그룹과,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NCO 그룹이 우레탄 결합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당량을 고려하여 300~500중량부 내에서 가감할 수 있으며, 메틸프로판디올 또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산화벤조일은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경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중량부 대비 5~20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50~100중량부 첨가될 수 있으며,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메틸뷰틸케톤(MBK), 메틸아이소뷰틸케톤(MIBK)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예시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주제 및 경화제와 함께 혼합되어 하나의 도막을 형성하되, 이러한 도막은 기존의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에 비해 물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4525호를 보면 프라이머층 상에 연질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고경질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615호에는 수용성 실리콘수지 도포→프라이머 도포→방수페인트 도포→유리막 코팅→고온 스팀처리 과정을 통해 방수 코팅이 이루어졌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732호에는 기능성 도료→단열 도료→세라믹 코팅 도료 도포 과정을 통해 방수 시공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방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과정을 여러 번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하나의 도료층이 경화된 다음, 그 상부에 새로운 도료층을 형성해야하므로 시공 기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성분에 의한 폴리우레탄 조성과 함께 속건성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과산화벤조일을 혼합하고, 추가적으로 첨가제를 혼합하여 일체로 코팅 도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기존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에 비해 우수한 물성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경화제에는 H2PtCl6와, 디메틸포스페이트, Gd2O3 나노 분말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촉매 5~2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계면에서의 접착력, 내마모성 및 내후성의 전체적인 향상 및 경화 속도를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H2PtCl6와, 디메틸포스페이트, Gd2O3 나노 분말이 각각 1 : 0.1~1 : 0.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Gd2O3 나노 분말은 자외선 차폐를 통해 코팅 도막을 보호하는 역할은 물론, 이종의 화합물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금속 전구체를 액상에서 환원제를 이용하여 환원시켜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전구체는 금속 수소화물(metal hydride), 금속 수산화물(metal hydroxide), 금속 황산화물(metal sulfide), 금속 질산화물(metal nitrate), 금속 질화물(metalnitride), 금속 할로겐화물(metal halide), 금속 알킬화합물, 금속 아릴화합물, 이들의 착화합물(coordination compound)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금속 전구체 원료 물질은 가돌리늄(Gd)이다.
상기 환원제는 NaBH4 또는 LiAlH4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 변성 폴리우레탄은 내후성 내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디이소이아네이트와 폴리올을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란 화합물 1~10중량부와, 유기용제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실란 변성 폴리우레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이소이아네이트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한쪽 말단에 에폭시기를 가지고, 다른 말단에 실란기를 가지고 있는 것, 또는 한쪽 말단에 아민기를 가지고 다른 말단에 실란기를 가지고 있는 두 종류의 커플링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실란 화합물은 glycidyloxypropyl trimethoxy silane, glycidoxypropyl triethoxy silane, glycidoxypropyl methyldiethoxy silane, glycidoxy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2-(3, 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 silane, 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aminopropyl tri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tri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phenyl aminopropyl trimethoxy silane, amino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amino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methyldimethoxy silane, aminoethyl aminopropyl methyltriethoxy silane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실란 화합물은 실란 변성 폴리우레탄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와의 결합력 내지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유기용매는 아이소프로필글리콜, 메틸에틸케톤 및 다이메틸포름아미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에폭시 수지는 코팅면과의 접착력을 극대화하고, 신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스테아린산 변성 에폭시 수지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아린산 변성 에폭시 수지는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신율 조절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고, 2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1~5중량부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실란은 충진제와의 결합력 및 도막의 부착력 향상을 위해 첨가되며, 디메틸아민은 경화 촉진제 역할을 한다.
상기 충진재는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TEOS(Tetraethoxysilane)로 표면 개질화된 SCMS(solid core-mesoporous shell silica sphere)(TEOS/SCMS) 및 방열 특성을 제공하는 탄소 나노 튜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는 각각 1중량부 미만이면 내마모성 또는 방열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원가 상승 폭이 현저히 높아져 비경제적이며, 분산성이 나빠져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는 분산제로 분산시킨 용액 상태로 첨가할 수 있으며, 분산제는 5-메톡시펜틸옥시아세틱산(5-Methoxy pentyloxy acetic acid)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은 이액형 도장기를 이용하여 주제와, 경화제/첨가제 혼합물이 서로 다른 경로로 이동한 다음 도장기 끝에 설치된 믹서를 통해 혼합된 다음 분사된다. 여기서 이액형 도장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방수 코팅 조성물은 아래 표 1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주제(kg)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0 20 20 20 20
1,2 프로필렌글리콜 6 6 6 6 6
1,3부틸렌글리콜 4 4 4 4 4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3 3 3 3 3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1 - - 11 11
부틸아크릴레이트 3 - 3 3 3
아크릴산노말부틸에스테르 6 - 6 6 6
실리콘 실란 2 - 2 2 2
디메틸아민 0.9 - 0.9 0.9 0.9
경화제(kg)
메틸프로판디올 25 25 25 25 25
과산화벤조일 0.7 - - 0.7 0.7
메틸에틸케톤 7 7 7 7 7
첨가제(kg)
안료 3 3 3 3 3
실란 변성 폴리우레탄 2 2 2 - -
스테아린산 변성 에폭시 수지 1.2 1.2 1.2 1.2 -
[실험예 1]
먼저, 콘크리트 시험체를 다수 개 마련하고, 각 콘크리트 시험체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5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방수 코팅 조성물을 2액형 도장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시험체 상에 도장하였다. 여기서, 경화제와 첨가제는 미리 혼합한 상태에서 하나의 노즐에서 함께 분사되며, 주제는 별도의 노즐에서 분사된다.
이때 각 코팅 도막 두께는 2.0±0.2mm로 형성하였으며, 코팅 도막의 부착강도와, 내충격성, 투수성은 KS F 4921 콘크리트용 에폭시 수지계 방수, 방식 도료 규격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내마모성은 KSM 6080 에 규정된 장비로 100회전당 마모 감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부착강도(N/㎟) 2.5 1.4 1.6 2.1 1.9
내충격성 균열, 박리 발생하지 않음
투수성 투수되지 않음
내마모성(mg) 112 235 214 142 136
위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1~4는 모두 내충격성과 투수성에서는 동일하나, 부착강도 및 내마모성에 있어서 실시예 1이 비교예 1~4에 비해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노말부틸에스테르와, 실리콘 실란과, 과산화벤조일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부착강도 및 내마모성이 가장 낮게 나왔다. 그리고 비교예 2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과산화벤조일만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들을 사용한 비교예 3, 4에 비해 낮은 수준의 부착강도와 내마모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과산화벤조일의 사용 여부가 물성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에서 실리콘 실란과, 실란 변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실시예 1에 비해서는 저하된 물성을 가지며, 비교예 4에서 실란 변성 폴리우레탄과, 스테아린산 변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물성이 저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은 투수성이나 내충격성의 저하 없이 우수한 부착강도와 내마모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표 2에는 기재하지 않았으나, MMA 고유 특성인 속건성이 발휘되기 때문에 기존의 폴리우레판 방수 코팅에 비해 건조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건축용 방수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 200~400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 50~100중량부와, 폴리부틸렌글리콜 20~50중량부와, 가소제 20~50중량부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120중량부와, 부틸아크릴레이트 20~40중량부와, 아크릴산노말부틸에스테르 5~10중량부와, 실리콘 실란 5~25중량부와, 디메틸아민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300~500중량부와, 과산화벤조일 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와;
    충진재 30~80중량부와, 안료 10~50중량부와, 실란 변성 폴리우레탄 10~50중량부와, 변성 에폭시 수지 5~25중량부를 포함하는 첨가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우레탄은,
    디이소이아네이트와 폴리올을 1 : 2.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란 화합물 20~30중량부와, 유기용제 15~2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변성 에폭시 수지는,
    스테아린산과 에폭시 수지를 1 : 5~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실란 화합물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에는 H2PtCl6와, 디메틸포스페이트, Gd2O3 나노 분말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촉매 5~2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에는 탄소 나노 튜브 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에는 나노 실리카 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KR1020160138243A 2016-10-24 2016-10-24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Active KR101719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43A KR101719962B1 (ko) 2016-10-24 2016-10-24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43A KR101719962B1 (ko) 2016-10-24 2016-10-24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962B1 true KR101719962B1 (ko) 2017-03-27

Family

ID=5849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243A Active KR101719962B1 (ko) 2016-10-24 2016-10-24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9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7750A (zh) * 2018-12-07 2019-03-08 福州皇家地坪有限公司 水性防水防漏找平层材料
KR102132179B1 (ko) * 2020-04-16 2020-07-09 광진산업(주) 비스무스계 촉매가 함유된 폴리우레탄 제조용 조성물
KR102157018B1 (ko) * 2020-04-16 2020-09-16 김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폴리우레탄 포장재
KR102521730B1 (ko) * 2022-08-08 2023-04-17 (주)익선건설 습윤대응 기능성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수암거 및 복개천 하부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법
KR20230081951A (ko) * 2021-11-30 2023-06-08 김홍식 콘크리트 구조물에 방수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한 친환경 염해방지 모르타르 조성물을 타설하고 콘크리트 보호용 중성화 보호 도포재의 층을 차례로 형성한 콘크리트 보수,보강공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558A (ja) * 1998-07-07 2000-01-25 Mitsubishi Rayon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防水材施工方法並びに樹脂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
JP2002145983A (ja) * 2000-11-14 2002-05-22 Yokohama Rubber Co Ltd:The 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2004066778A (ja) * 2002-08-09 2004-03-04 Mitsubishi Rayon Co Ltd 防水構造体
KR100864525B1 (ko) 2008-04-08 2008-10-21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이중 폴리우레탄층을 이용한 방수층구조 및 다목적방수공법
KR101197732B1 (ko) 2012-06-19 2012-11-14 (합)일광 건축물 옥상 단열ㆍ방수 시공방법
KR101310615B1 (ko) 2011-07-22 2013-09-24 주식회사 케이씨씨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레이형 도장방법
KR101596420B1 (ko) 2015-08-05 2016-03-08 (주)성산기업 콘크리트 내부공극 침투 및 도막을 이용한 친환경 옥상 방수공법
JP2016050251A (ja) * 2014-08-29 2016-04-11 日本化薬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558A (ja) * 1998-07-07 2000-01-25 Mitsubishi Rayon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防水材施工方法並びに樹脂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
JP2002145983A (ja) * 2000-11-14 2002-05-22 Yokohama Rubber Co Ltd:The 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2004066778A (ja) * 2002-08-09 2004-03-04 Mitsubishi Rayon Co Ltd 防水構造体
KR100864525B1 (ko) 2008-04-08 2008-10-21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이중 폴리우레탄층을 이용한 방수층구조 및 다목적방수공법
KR101310615B1 (ko) 2011-07-22 2013-09-24 주식회사 케이씨씨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스프레이형 도장방법
KR101197732B1 (ko) 2012-06-19 2012-11-14 (합)일광 건축물 옥상 단열ㆍ방수 시공방법
JP2016050251A (ja) * 2014-08-29 2016-04-11 日本化薬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KR101596420B1 (ko) 2015-08-05 2016-03-08 (주)성산기업 콘크리트 내부공극 침투 및 도막을 이용한 친환경 옥상 방수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7750A (zh) * 2018-12-07 2019-03-08 福州皇家地坪有限公司 水性防水防漏找平层材料
KR102132179B1 (ko) * 2020-04-16 2020-07-09 광진산업(주) 비스무스계 촉매가 함유된 폴리우레탄 제조용 조성물
KR102157018B1 (ko) * 2020-04-16 2020-09-16 김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친환경 폴리우레탄 포장재
KR20230081951A (ko) * 2021-11-30 2023-06-08 김홍식 콘크리트 구조물에 방수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한 친환경 염해방지 모르타르 조성물을 타설하고 콘크리트 보호용 중성화 보호 도포재의 층을 차례로 형성한 콘크리트 보수,보강공법
KR102549341B1 (ko) * 2021-11-30 2023-06-29 김홍식 콘크리트 구조물에 방수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한 친환경 염해방지 모르타르 조성물을 타설하고 콘크리트 보호용 중성화 보호 도포재의 층을 차례로 형성한 콘크리트 보수,보강공법
KR102521730B1 (ko) * 2022-08-08 2023-04-17 (주)익선건설 습윤대응 기능성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수암거 및 복개천 하부판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62B1 (ko)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KR102353907B1 (ko)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및 내자외선성,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도장 공법
KR1019526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기능성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 공법
KR101868073B1 (ko) 내구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1715825B1 (ko) 무용제형 하도용 고방식 도료와 실란 함유 중상도용 고방식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이중도막 초내후성 강구조물 도장방법
KR101141504B1 (ko) 바탕조정의 도막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949599B1 (ko) 2액형 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우레탄 도막방수공법
KR101736146B1 (ko)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07467B1 (ko) 칼라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0741B1 (ko) 폴리우레아 코팅을 위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표면처리 조성물 및 표면처리 방법
KR101797971B1 (ko) 망상구조 아크릴 수지와 세라믹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식용 1액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8103B1 (ko) 지건성, 고경도 및 고신축성 폴리우레아 도막재 조성물,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2207899B1 (ko) 습윤면에 부착 가능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보수보강공법
KR102562993B1 (ko)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표면처리공법
KR102173210B1 (ko) 에너지 절감형 수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도막 형성방법
CN106811118A (zh) 一种高耐候单组份有机硅混凝土防护涂料及其制备方法
KR100908772B1 (ko) 미세크랙방지 및 오염제거기능을 부여한 수성 도료 조성물
KR102481757B1 (ko) 중성화 방지 및 염해방지가 우수한 친환경 유무기복합 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수도료층 및 이의 도장방법
KR101318679B1 (ko) 친환경 수성 침투식 교면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1690472B1 (ko)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 조성물
KR102343389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친환경 보수용 다층 방수 및 방청 보호층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 방법
KR102274620B1 (ko) 속경화형 도막 방수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JP2006052297A (ja) 水性塗料組成物及び塗装方法
KR101385127B1 (ko) 우레아 프라이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615859B1 (ko) 방수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