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492B1 - Thermal 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Google Patents
Thermal 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9492B1 KR101719492B1 KR1020150097095A KR20150097095A KR101719492B1 KR 101719492 B1 KR101719492 B1 KR 101719492B1 KR 1020150097095 A KR1020150097095 A KR 1020150097095A KR 20150097095 A KR20150097095 A KR 20150097095A KR 101719492 B1 KR101719492 B1 KR 1017194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gnition
- fire
- fire extinguishing
-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FGIUAXJPYTZDNR-UHFFFAOYSA-N potassium nitrate Chemical compound [K+].[O-][N+]([O-])=O FGIUAXJPYTZDN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VKJKEPKFPUWCAS-UHFFFAOYSA-M potassium chlorate Chemical compound [K+].[O-]Cl(=O)=O VKJKEPKFPUWCAS-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333 potassium nitr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323 potassium ni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WHMMNNQKKPAPP-UHFFFAOYSA-L potas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K+].[K+].[O-]C([O-])=O BWHMMNNQKKPAP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3975 Dyspno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EZVMMHDMIWARA-UHFFFAOYSA-N Meta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 UEZVMMHDMIWA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21 gun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3 inorganic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7 potas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8—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bursting charg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며 내부에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제가 수용되는 포켓(100); 및 상기 포켓(100)의 외면 소정 부분에 발화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발화부(200);를 포함하며, 화재 발생시, 불꽃이 상기 발화부(200)에 접촉되면 상기 발화부(200)가 즉시 연소되면서 상기 포켓(100)이 개방되어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system, comprising: a pocket (100) installed in a building and in which an extinguishing agent for fire suppression is received; And a spark portion 200 formed by coa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pocket 100. When the spark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park portion 200 when a fire occurs, And the pockets 100 are opened whil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burn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의 건축물에 발생한 화재를 소화하기 위한 자동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에 내장 또는 부착되어 화재 발생 초기에 자동으로 소화액을 방출하여 화염이 벽면을 타고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generated in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articularly, And to a fire extinguishing device which can be used.
일반적으로 분말소화기는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가압용기 또는 축압된 주용기의 전자개방밸브를 개방하고 이어 선택밸브 및 주밸브를 개방하여 정해진 구역의 방사헤드를 통하여 분말을 방사하게 된다.In general, the powder fire extinguisher opens the pressurized container or the electronically opened valve of the main-pressor by the signal sensed by the fire sensor when the fire occurs, and then opens the select valve and the main valve to emit the powder through the radiating head of the predetermined area .
분말 소화약제는 일반적으로 유류화재에 사용되며 전기 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기화재에도 유효하다. 또한 빠른 소화 성능을 이용하여 분출되는 가스나 일반화재를 포함한 표면화재에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제3종(ABC) 분말 소화약제의 경우는 메타인산의 방진 효과 때문에 A급화재에도 적응이 가능하다.Powdered fire extinguishing agents are generally used for oil fires and are not electrically conductive, so they are also effective for electric fires. It is also used for surface fires including gas and general fires that are ejected by using the fast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third type (ABC) powder fire extinguishing agent, it is adaptable to the A class fire due to the dustproof effect of metaphosphoric acid.
또한, 분말 소화약제는 빠른 소화 성능 때문에 초기 소화용은 물론, 고정 소화설비에서도 소용량에서부터 점보 제트기의 격납고, LNG 탱크의 방유제 내부에 설치되는 대용량에 이르기까지 각종 대상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addition, powder fire extinguishing agents are widely used for various objects ranging from small capacity in fixe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to large capacity to be installed in hangars of jumbo jet, and inside of oil refineries of LNG tanks as well as early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due to fast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그러나 분말 소화약제는 빠른 소화 성능을 갖는 반면, 사용법이 어려고 분말이 분출되지 않는 불량품이 많으며, 분말의 방사로 소화에 성공하지 못했을 경우는 바로 소화전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소화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powdered fire extinguishing agents have fast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but many defective products are not ejected because the powder is not used. If the powder is not successfully fire-extinguished, it may return to the state of fire hydrant. There is a problem.
또한, 화재 발생시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 할 경우 특히 밀폐된 공간이나 지하 공간의 경우 분말 가루로 인한 시야 확보의 어려움 및 호흡의 곤란 기타 화재 진화 후 청소 및 주변 시설물들의 피해 등 화재피해 및 화재 후 2차 피해의 위험성을 항상 가지고 있다.In case of using fire extinguishing agent in case of fire, especially in case of enclosed space or underground space, it is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due to powdered powder and difficulty breathing. In addition, after fire evacuation, It always has the risk of damag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527747호의 벽 내장용 소화장치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내장재의 둘레에 삽입되고 내부에 화재 진압용 소화제(消火劑)가 수용되고 내부가 고압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내장재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부를 막고있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개방부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노출 및 지속되면 상기 개방부가 용융 또는 파괴되면서 상기 분사부가 개방되어 상기 분사부로부터 상기 소화제가 분사되고, 상기 내장재에는 이웃하는 내장재와의 마주하는 면에 삽입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마주하는 내장재의 삽입홈의 사이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내장용 소화장치를 개시한 적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wall-mounted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Korean Patent No. 1527747 is inserted into a wall of an interior material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and a fire extinguisher for fire suppression is housed therein, and the inside of the fire extinguisher is formed at a high pressure; A spraying part installed at a part of the main body and exposed from the interior material to spray the extinguishing agent;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installed in the ejecting part to block the ejecting part. When the opening part is exposed and maintained at a set temperature or more, the opening part is melted or broken, the ejecting part is opened, the extinguishing agent is ejected from the ejecting part, The interior material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neighboring interior material, and the body is inserted between the insertion grooves of the facing interior material.
그러나 종래기술은 개방부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때까지 화재를 진압할 수 없는데, 그동안 화재가 다른 곳으로 번져서 화재발생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타임을 놓칠 확률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ire can not be suppressed until the open portion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or higher. In this case, the fire spreads to other places, an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fire time, which is an initial response time, is missed.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heat-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e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초기에 화염이 벽체를 넘어 다른 곳으로 번지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fire from spreading to other places beyond the wall at the initial stage of fir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property damage.
본 발명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는 건축물에 설치되며 내부에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제가 수용되는 포켓(100); 및 상기 포켓(100)의 외면 소정 부분에 발화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발화부(200);를 포함하며, 화재 발생시, 불꽃이 상기 발화부(200)에 접촉되면 상기 발화부(200)가 즉시 연소되면서 상기 포켓(100)이 개방되어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cket (100) installed in a building and containing therein an extinguishing agent for fire extinguishing; And a
또한, 상기 발화부(200)는 상기 발화물질이 염소산칼륨, 질산칼륨, 숯, 및 황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gnited
또한, 상기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는 상기 포켓(100)이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발화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발화부(200)에 대향하는 부분에 천공홀(311)이 형성되는 커버(310)와, 상기 커버(310)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도어(320)를 포함하는 케이스(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ermal 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또한, 상기 포켓(100)은 상기 발화부(200)가 코팅된 소정 부분이 상기 천공홀(311)을 향하여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도어(320) 및 커버(310)가 서로 맞닿는 일방 및 타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1자석(330) 및 제2자석(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포켓(100) 및 발화부(200)는 콘센트 커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켓(100)이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발화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발화부(200)에 대향하는 부분에 천공홀(311)이 형성되는 커버(310)와, 상기 커버(310)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도어(320)로 구성되며 벽체에 내장되는 케이스(300)를 포함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켓(100)은 상기 발화부(200)가 코팅된 소정 부분이 상기 천공홀(311)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불꽃이 상기 발화부(200)에 접촉되면 상기 발화부(200)가 즉시 연소되면서 상기 포켓(100)이 개방되어 액상의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310)와 상기 도어(320)는 폭방향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 회전축이 형성되며, 불연소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A
In addition, the
In addition, when the spark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는 화재 발생 초기에 화염이 벽체를 넘어 다른 곳으로 번지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heat-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lame is prevented from spreading beyond the wall at the initial stage of the fire, thereby reducing the life spa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ermal-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ermal-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ermal-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generating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는 포켓(100), 및 발화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heat-sensitive automatic
상기 포켓(100)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제가 수용된다. 이 때, 상기 포켓(10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포켓(100)에 수용된 소화제 성분은 탄산칼륨과 같은 무기염의 농후 용액 또는 물과 같은 액체 소화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ckets (100) ar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fire extinguisher for fire suppression is accommodated therein. The
상기 발화부(200)는 상기 포켓(100)의 외면 소정 부분에 화약 같은 발화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발화부(200)는 화재 발생시, 불꽃이 접촉되면 즉시 연소되면서 상기 포켓(100)이 개방되게 하여 상기 포켓(100)에 수용된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The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는 건축물의 벽면에 나사결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1) The heat-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2)건축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염이 상기 발화부(200)에 접촉된다.2) When a fire occurs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a flam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3)상기 발화부(200)가 짧은 시간 내에 연소되면서 상기 포켓(100)에서 상기 발화부(200)의 발화물질이 코팅된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포켓(100)에 수용되어 있던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소화제가 화염에 뿌려짐으로써,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3) The ignit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는 화재 발생 초기에 화염이 벽체를 넘어 다른 곳으로 번지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heat-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lame from spreading to other places beyond the wall at the initial stage of the fire, thereby reducing the life span and property damage by prolonging the golden time, There are advantages.
한편, 상기 발화부(200)는 화약과 같이 화염에 노출되면 짧은 시간 내에 연소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발화물질로서, 염소산칼륨, 질산칼륨, 숯, 및 황 중 하나의 물질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염소산칼륨은 성냥의 발화물질로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불꽃에 닿으면 즉시 발화하는 특징이 있다.The potassium chlorate is mainly used as an ignition material of a match, and it has a characteristic of igniting immediately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 flame.
또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포켓(100)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포켓(100)이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발화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발화부(200)에 대향하는 부분에 천공홀(311)이 형성되는 커버(310)와, 상기 커버(310)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도어(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00)는 다면체, 원형, 또는 별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상기 커버(310)와 도어(320)는 불연소 물질인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한편, 상기 포켓(100)은 상기 발화부(200)가 코팅된 소정 부분이 상기 천공홀(311)을 향하여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염과의 접촉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발화부(200)는 상기 포켓(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한편,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도어(320) 및 커버(310)가 서로 맞닿는 일방 및 타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1자석(330) 및 제2자석(3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330) 및 제2자석(340)은 상기 도어(320)와 커버(310)를 서로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310)는 건물의 벽면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피스홀(3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그러나, 상기 커버(310)가 벽체에 고정되는 방식은 나사체결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300) 자체가 벽체의 내장재로 내장될 수 있다.However, the manner in which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ermal-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는 콘센트 커버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heat-sensitive
이 때, 상기 포켓(100)과 발화부(20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In this case, the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는 전기 누선에 의하여 콘센트 부근에 스파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ermal sensitive automatic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ermal-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는 상기 포켓(100)과 발화부(20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00)도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켓(100)과 발화부(200)가 삽입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도 전기 누선에 의하여 콘센트 부근에 스파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위하여, 콘센트 커버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thermal sensitive automatic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0 : 본 발명에 따른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100 : 포켓
200 : 발화부
300 : 케이스
310 : 커버
311 : 천공홀
320 : 도어
330 : 제1자석
340 : 제2자석1000: a thermal 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Pocket
200:
300: Case
310: cover
311: Perforation hole
320: Door
330: first magnet
340: second magnet
Claims (6)
상기 포켓(100)의 외면 소정 부분에 발화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발화부(200); 및
상기 포켓(100)이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발화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발화부(200)에 대향하는 부분에 천공홀(311)이 형성되는 커버(310)와, 상기 커버(310)에 개폐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도어(320)로 구성되며 벽체에 내장되는 케이스(300); 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100)은 상기 발화부(200)가 코팅된 소정 부분이 상기 천공홀(311)을 향하여 돌출되고,
화재 발생시, 불꽃이 상기 발화부(200)에 접촉되면 상기 발화부(200)가 즉시 연소되면서 상기 포켓(100)이 개방되어 액상의 소화제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커버(310)와 상기 도어(320)는 폭방향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 회전축이 형성되며, 불연소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
A pocket (100)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in which an extinguishing agent for fire suppression is accommodated;
A spark portion 200 formed by coating an ignition material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ocket 100; And
A cover 310 having a perforation hole 311 formed at a portion of the pocket 100 opposite to the ignition portion 200 so that the ignition portion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door 320 that is hingedly coupled to the door 300. The case 300 is installed in the wall. / RTI >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ocket 100 coated with the ignition portion 200 protrudes toward the perforation hole 311,
When a fir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gnition part 200, when the fire is generated, the ignition part 200 is immediately burned, the pocket 100 is opened, the liquid fir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ver (310) and the door (320) are formed of a non-combustible aluminum material with a hinge coupling rotation axis at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발화물질이 염소산칼륨, 질산칼륨, 숯, 및 황 중 하나의 물질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gnition unit (200)
Characterized in that the pyrotechnic material comprises one or a mixture of potassium chlorate, potassium nitrate, char, and sulfur.
상기 도어(320) 및 커버(310)가 서로 맞닿는 일방 및 타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1자석(330) 및 제2자석(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1000).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ase (300)
Further comprising a first magnet (330) and a second magnet (340)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oor (320) and the cover (310),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7095A KR101719492B1 (en) | 2015-07-08 | 2015-07-08 | Thermal 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7095A KR101719492B1 (en) | 2015-07-08 | 2015-07-08 | Thermal 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6459A KR20170006459A (en) | 2017-01-18 |
KR101719492B1 true KR101719492B1 (en) | 2017-03-24 |
Family
ID=5799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7095A Active KR101719492B1 (en) | 2015-07-08 | 2015-07-08 | Thermal 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949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7957A (en) * | 2018-04-09 | 2019-10-17 | 제주특별자치도 | package collecting container hav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39501A (en) * | 2018-05-29 | 2018-09-14 | 罗毅 | Socket waterproof fireproofing combination and its fire-proof belt and socket water-tight device |
RU2684677C1 (en) * | 2018-07-04 | 2019-04-11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Дон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ГТУ) | Self-actuating fire extinguishing panel |
KR102163256B1 (en) * | 2019-04-16 | 2020-10-12 | 이영숙 | Outlet with Extinguishing cartridge |
CN113134184A (en) * | 2020-01-20 | 2021-07-20 | 湖北及安盾消防科技有限公司 |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electric appliance module with same |
CN113134180A (en) * | 2020-01-20 | 2021-07-20 | 湖北及安盾消防科技有限公司 | Fire extinguishing assembly,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electrical equipment |
KR102557538B1 (en) * | 2021-04-08 | 2023-07-26 | (주)수 | Outlet guard with fire spread prevention and initial fire suppression func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5985Y1 (en) * | 2006-06-22 | 2006-09-08 | 원영식 | Fire Extinguisher Cache |
KR101026256B1 (en) * | 2011-01-28 | 2011-03-31 |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 Cable trays for distribution of apartment buildings that can block flame propagation |
KR101168168B1 (en) * | 2011-07-18 | 2012-07-24 | 고려화공 주식회사 | Automatic fire-extinguisher system for fast suppression of fir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5540B1 (en) * | 1996-08-21 | 1999-04-01 | 박창의 | Hydrant ceiling board |
KR20150017064A (en) | 2013-08-06 | 2015-02-16 | 김성실 | Fire extinguishing device |
KR101527747B1 (en) | 2013-09-23 | 2015-06-10 | (주)범진산업 | Fire-extinguishing device for built-in wall |
-
2015
- 2015-07-08 KR KR1020150097095A patent/KR1017194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5985Y1 (en) * | 2006-06-22 | 2006-09-08 | 원영식 | Fire Extinguisher Cache |
KR101026256B1 (en) * | 2011-01-28 | 2011-03-31 |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 Cable trays for distribution of apartment buildings that can block flame propagation |
KR101168168B1 (en) * | 2011-07-18 | 2012-07-24 | 고려화공 주식회사 | Automatic fire-extinguisher system for fast suppression of fir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7957A (en) * | 2018-04-09 | 2019-10-17 | 제주특별자치도 | package collecting container hav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
KR102069378B1 (en) * | 2018-04-09 | 2020-01-22 | 제주특별자치도 | package collecting container hav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6459A (en) | 2017-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9492B1 (en) | Thermal sensitiv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
KR101628708B1 (en) | 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 |
US20080087446A1 (en) | Self-activated fire extinguisher | |
KR101263166B1 (en) | Small genades typed fire extinguisher having a function of beep | |
KR102249270B1 (en) | Safety multi-tap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 |
KR102136262B1 (en) | Automatic diffusion typ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 |
KR101778238B1 (en) | Self-reliance fire extinguishing system | |
KR101300328B1 (en) | Grenade for fire fighting | |
CN215309854U (en) | Non-pressure-storage perfluorohexanone fire extinguishing device | |
CN212090624U (en) | fire sticker | |
KR200316817Y1 (en) | Disposable fire extinguisher | |
KR101527747B1 (en) | Fire-extinguishing device for built-in wall | |
KR20200132615A (en) | Sensor type throwing-extinguisher | |
CN212327260U (en) | A compound fire-extinguishing bomb for simultaneously spraying fire-extinguishing agents | |
CN212038715U (en) | A compound fire extinguisher | |
KR101328815B1 (en) | Bursting apparatus of glass bulb | |
CN113509663A (en) | Non-pressure-storage perfluorohexanone fire extinguishing device | |
CN210512865U (en) | Colour smoke screen bullet | |
KR102013273B1 (en) | Explosive fire extinguishser for preventing fragment scattering | |
CN210873859U (en)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or thermosensitive wire | |
KR20230080655A (en) | Grenade launcher equipment including timer | |
KR101305108B1 (en) | Security device | |
RU2127620C1 (en) | Aerosol-generating fire extinguisher | |
CN217854271U (en) | Aerosol fire extinguisher | |
CN218443552U (en) | Liquid-powder double-layer fire extinguishing bom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3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