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294B1 - Automatic tightening the lock nut for the possible pop-up pipe - Google Patents
Automatic tightening the lock nut for the possible pop-up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9294B1 KR101719294B1 KR1020150056330A KR20150056330A KR101719294B1 KR 101719294 B1 KR101719294 B1 KR 101719294B1 KR 1020150056330 A KR1020150056330 A KR 1020150056330A KR 20150056330 A KR20150056330 A KR 20150056330A KR 101719294 B1 KR101719294 B1 KR 1017192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p
- nut
- pipe
- screw plate
- vari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28—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a longitudinal slit through the annular wall of the nut for enabling expansion of the nut, e.g. for easy remov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5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the threaded portions of the nut engaging the thread of the bolt by the action of one or more springs or resilient retai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는 팝업배관에 체결되는 잠금너트의 내부에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스프링과 하부 외측으로 이동되는 가변나사판을 구비하여 잠금너트를 팝업배관에 체결할 경우 내부의 가변나사판이 하부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잠금너트가 팝업배관의 나사부에 간섭받지 않고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팝업배관과 잠금너트를 상호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lock nut for automatic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spring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nside a lock nut to be coupled to a pop-up pipe, and a variable screw plate for moving to a lower outer side so that the lock nut is fastened to the pop- And the lock nut can be slid to the upper portion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pop-up pipe, so that the pop-up pipe and the lock nu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with e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너트를 팝업배관에 체결할 경우 내부의 가변나사판이 하부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잠금너트가 팝업배관의 나사부에 간섭받지 않고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팝업배관에 체결되는 잠금너트의 내부에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스프링과 하부 외측으로 이동되는 가변나사판이 구비된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nut for a pop-up pipe capable of automatic tightening,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lock nut is fastened to a pop-up pipe, an internal variable screw plate is moved in a lower outer direction so that a lock nut is interfered with a screw portion of a po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nut for a pop-up piping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engaged with an elastic spring having an elastic force generated inside a lock nut engaged with a pop-up pipe so as to be slidable upward, and a variable screw plate moving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공공장소의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사람들이 물을 받아 놓은 상태에서 손과 얼굴 등을 씻는데 주로 사용되는 세면대는 그 바닥면 중앙에 물을 차단하거나 배수하는 팝업(POPUP : 세면대에 형성된 배수공의 마개역활수단)수단이 구비된 팝업 배관이 설치되고, 팝업 배관의 하단부는 사용된 물을 정화시설로 보내는 배수배관에 연결되어 사용된 물을 배수할 수 있게 된다.Generally, a sink, which is usually installed in a bathroom or a toilet in a public place and is used to wash hands and face while people are holding water, is provided with a popup (POPUP: And a lower end of the pop-up pipe is connected to a drain pipe for sending the used water to the purification facility so that the used water can be drained.
여기서, 종래의 팝업 배관에 대한 연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S)의 배수공(3)에 관통되도록 안착되도록 상단 외주연에 리브(4a)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선부(4b)가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팝업관체(4)와, 상기 나선부(4b)에 체결되되 상면이 상기 세면대(S)의 하면에 안착되는 조임너트(5)로 이루어진다.1, a
그러나, 종래의 팝업 배관에 대한 연결장치 즉, 조임너트(5)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세면대(S)의 하부에 관통되며 노출된 팝업관체(4)에 조임너트(5)를 삽입한 후 회전시키게 되는데 회전작용시 어느 한계점에 다다르면 상기 팝업관체(4)가 함께 회전되어 견고하게 체결할 수 없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팝업관체(4)를 스패너 등의 공구로 고정한 후 상기 조임너트(5)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세면대(S)의 하부 즉,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의 두손을 써가며 작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fasten the connecting device to the conventional pop-up pipe, that is, to fasten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팝업 배관에 대한 연결장치의 기술문헌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544가 개시되었다,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4544 has been disclosed as a technical document of a connecting device for a conventional pop-up pipe,
그러나, 종래의 팝업 배관에 대한 연결장치는 팝업관체(4)에 체결되는 조임너트(5)의 구성이 다수개로 이루어져 체결작업이 편리해졌다고 보기에는 매우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경우 다수개의 구성요소를 준비하는 것과 더불어 순서대로 체결하는 작업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nnection device for the pop-up pipe ha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see that the tighten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팝업배관에 체결되는 잠금너트의 내부에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스프링과 하부 외측으로 이동되는 가변나사판을 구비하여 잠금너트를 팝업배관에 체결할 경우 내부의 가변나사판이 하부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잠금너트가 팝업배관의 나사부에 간섭받지 않고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팝업배관과 잠금너트를 상호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 nut which is fastened to a pop-up pipe and includes an elastic spring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and a variable screw plate When the lock nut is fastened to the pop-up pipe, the inner adjustable screw plate is moved in the lower outer direction so that the lock nut can be slid to the upper part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screw part of the pop-up pipe so that the pop- And a lock nut for a pop-up piping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engag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는 세면대의 중심부에 연결된 팝업배관의 하단부를 조여 상기 세면대와 팝업배관을 상호 체결하는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로서 상기 팝업배관을 감싸며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너트본체와, 상기 너트본체의 중심부에 상기 팝업배관이 관통되도록 천공된 너트공과, 상기 너트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면으로 이루어진 너트본체부와; 상기 단턱면의 상면에 안착된 코일형상의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너트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링형상의 너트캡과; 상기 너트캡과 탄성스프링의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가변나사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나사판의 외측면에는 하부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진 가변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k nut for pop-up piping, the lock nut for automatic pop-up piping comprising: a pop-up pipe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a washstand to tighten a lower end of the pop- And a nut main body part having a stepped surfac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nut main body, the nut main body part having a stepped surfac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nut main body; A coil-shaped resilient spring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surface; A ring-shaped nut cap which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pring and is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nut body; A pair of variable screw plates provided between the nut cap and the elastic spring and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variable screw plate is formed with a variable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so that the lower thickness becomes thick.
상기 너트캡의 하면에는 상기 가변나사판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나사판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판차단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변경사면과 대립되도록 경사진 캡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crew cap blocking wall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nut cap so as to prevent the variable screw plate from moving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crew plate blocking wall is provided with a cap inclined surface Is formed.
상기 나사판차단벽의 내측 일면에는 상기 가변나사판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변나사판의 양측단부에 안착되는 나사판회전방지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crew plate anti-rotation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to prevent the variable screw plate from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seated on both side ends of the variable screw plate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crew plate blocking wall.
상기 나사판차단벽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캡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캡걸림돌부와 대립되도록 천공된 캡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w plate blocking wall has an outer side surface formed with a cap engagement recess protruding outwardly,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nut body is formed with a cap engagement recess formed to be opposed to the cap engagement recess.
상기 가변나사판의 외측 하부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 단턱진 나사판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variable screw plate is formed with a recessed stepped spring plate spring sea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elastic spring .
상기 단턱면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삽입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요입된 스프링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pring insertion portion recessed downwardly to insert the elastic sprin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surface.
상기 스프링삽입부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팝업배관의 회전반경과 동일하게 만곡지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배관회전유도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spring inser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pipe rotation inducing wall which is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radius of the pop-up pipe and extends upwar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lock nut for pop-up piping capable of automatic tight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팝업배관에 체결되는 잠금너트의 내부에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스프링과 하부 외측으로 이동되는 가변나사판이 구비됨으로써, 잠금너트를 팝업배관에 체결할 경우 내부의 가변나사판이 하부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잠금너트가 팝업배관의 나사부에 간섭받지 않고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팝업배관과 잠금너트를 상호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고,First, an elastic spring that generates an elastic force inside the lock nut to be fastened to the pop-up pipe and a variable screw plate that moves to the lower outer side are provided so that when the lock nut is fastened to the pop-up pipe, So that the lock nut can be slid to the upper portion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pop-up pipe, so that the pop-up pipe and the lock nut can be fastened mutually conveniently,
둘째, 가변나사판의 외측면과 너트캡의 내측면에 상호 대립되며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잠금너트의 상부방향 이동시 가변나사판이 하부 외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Second,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variable screw plat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nut cap are mutually opposed to each other and form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one direction, the variable screw plate can be easily moved in the lower outward direction when the lock nut is moved upward,
셋째, 나사판차단벽의 내측 일면에 가변나사판의 양측단부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나사판회전방지돌부가 형성됨으로써, 가변나사판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고,Third, since the threaded plate anti-rotation protrusion protruded inwar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hreaded plate blocking wall so that both side ends of the variable threaded plate are seated, the variable threaded plate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However,
넷째, 스프링삽입부의 상부 내측면에 팝업배관의 회전반경과 동일하게 만곡지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배관회전유도벽이 형성됨으로써, 팝업배관에 잠금너트가 삽입될 경우 가변나사판이 하부 외측으로 이동된 후에도 잠금너트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체결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when the lock nut is inserted into the pop-up pipe by forming the pipe rotation inducing wall which is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radius of the pop-up pipe and extends in the upward direction on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spring inserting portion, The lock nut can be moved in a linear direction, so that the fastening operation can be accurately perform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를 나타내 보인 일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의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를 나타내 보인 체결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확대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ck nut for a pop-up piping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ed state of a lock nut for a pop-up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 nut for a pop-up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ck nut for a pop-up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portion "A"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S)의 중심부에 연결된 팝업배관(P)의 하단부를 조여 상기 세면대(S)와 팝업배관(P)을 상호 체결하는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1)로서 상기 팝업배관(P)을 감싸며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너트본체(11)와, 상기 너트본체(11)의 중심부에 상기 팝업배관(P)이 관통되도록 천공된 너트공(12)과, 상기 너트본체(11)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면(13)으로 이루어진 너트본체부(10)와; 상기 단턱면(13)의 상면에 안착된 코일형상의 탄성스프링(20)과; 상기 탄성스프링(2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너트본체(11)의 상부에 체결되는 링형상의 너트캡(30)과; 상기 너트캡(30)과 탄성스프링(20)의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된 한 쌍의 가변나사판(40)으로 구성된다.2 to 4, the lock nut for automatic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ighten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op-up pipe P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ink S to connect the sink S and the pop-up pipe Up pipe P for tightening the pop-up pipe P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pop-up pipe P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이때, 상기 가변나사판(40)의 외측면에는 하부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진 가변경사면(4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n inclined variable
한편, 상기 가변나사벽(30)은 상기 너트캡(30)의 하면에 의하여 상부방향의 이동은 제한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0)에 의하여 하부방향의 이동은 탄성적으로 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ward movement of the
또한, 상기 너트본체(11)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하기 편리하도록 돌출된 파지용돌기(미도시)가 다수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스패너와 같은 도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각형상의 너트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gripping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너트캡(30)의 하면에는 상기 가변나사판(40)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나사판차단벽(3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판차단벽(3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변경사면(42)과 대립되도록 경사진 캡경사면(32)이 형성된다.A screw
또한, 상기 나사판차단벽(31)의 내측 일면에는 상기 가변나사판(4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변나사판(40)의 양측단부에 안착되는 나사판회전방지돌부(33)가 형성된다.The screw
그리고, 상기 나사판차단벽(31)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캡걸림돌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본체(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캡걸림돌부(34)와 대립되도록 천공된 캡걸림홈(14)이 형성된다.A
또한, 상기 가변나사판(40)의 외측 하부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 단턱진 나사판스프링안착부(43)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recessed stepped leaf
그리고, 상기 단턱면(13)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20)이 삽입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요입된 스프링삽입부(15)가 형성된다.A
또한, 상기 스프링삽입부(15)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팝업배관(P)의 회전반경과 동일하게 만곡지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배관회전유도벽(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ner wall of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ock nut for automatic pop-up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S)의 중심부에 연결된 팝업배관(P)의 하단부를 조여 상기 세면대(S)와 팝업배관(P)을 상호 체결하는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1)이다.As shown in FIG. 2, the lock nut for an automatic pop-up pi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ighten a lower end portion of a pop-up pipe P connected to a center portion of a sink S so as to connect the sink S and a pop- (1) for a pop-up pipe to be mutually engaged.
여기서, 상기 팝업배관(P)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잠금너트(1)의 내부에 즉, 상기 너트본체부(10)와 너트캡(30)의 사이에 탄성력이 발생되는 탄성스프링(20)과 그 상부에 안착되는 가변나사판(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잠금너트(1)를 상기 팝업배관(P)의 나사부(미도시)에 체결할 경우 상기 너트본체부(10)와 너트캡(30)을 상부방향으로 밀어 상기 가변나사판(40)이 하부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나사부(미도시)에 간섭받지 않고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된다.The
이후, 상기 가변나사판(40)은 상기 탄성스프링(20)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가변나사판(40)에 형성된 나사산(41)은 상기 나사부(미도시)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팝업배관(P)과 잠금너트(1)를 상호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여기서, 상기 팝업배관(P)에 체결된 잠금너트(1)를 해제할 경우에는 상기 가변나사판(40)이 상기 너트캡(30)의 내측 상단면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상기 잠금너트(1)를 회전시켜야 해제할 수 있어 체결 후 쉽게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lock nut 1 fastened to the pop-up pipe P is released, the
이때, 상기 너트캡(30)의 하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나사판(40)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나사판차단벽(3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판차단벽(3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변경사면(42)과 대립되도록 경사진 캡경사면(3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잠금너트(1)의 상부방향 이동시 상기 가변나사판(40)이 하부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screw
또한, 상기 나사판차단벽(31)의 내측 일면에는 도 3과 같이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변나사판(40)의 양측단부에 안착되는 나사판회전방지돌부(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변나사판(4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3, a threaded plate anti-rotation protruding
그리고, 상기 나사판차단벽(31)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캡걸림돌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본체(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캡걸림돌부(34)와 대립되도록 천공된 캡걸림홈(1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너트본체부(10)와 너트캡(30)의 상호 체결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A
또한, 상기 스프링삽입부(15)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팝업배관(P)의 회전반경과 동일하게 만곡지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배관회전유도벽(1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팝업배관(P)에 삽입되는 잠금너트(1)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가변나사판(40)이 하부 외측으로 이동된 후에도 상기 잠금너트(1)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ip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세면대 P : 팝업배관
1 : 잠금너트 10 : 너트본체부
11 : 너트본체 12 : 너트공
13 : 단턱면 14 : 캡걸림홈
15 : 스프링삽입부 16 : 배관회전유도벽
20 : 탄성스프링
30 : 너트캡 31 : 나사판차단벽
32 : 캡경사면 33 : 나사판회전방지돌부
34 : 캡걸림돌부 40 : 가변나사판
41 : 나사산 42 : 가변경사면
43 : 나사판스프링안착부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S: Sink P: Pop-up piping
1: Lock nut 10: Nut body part
11: nut body 12: nut ball
13: step surface 14: cap engaging groove
15: spring insertion portion 16: pipe rotation induction wall
20: Elastic spring
30: nut cap 31: screw plate blocking wall
32: cap inclined surface 33: screw plate rotation preventing projection
34: cap stopper portion 40: variable screw plate
41: thread 42: variable inclined surface
43: Screw plate spring seat part
Claims (7)
상기 팝업배관(P)을 감싸며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너트본체(11)와, 상기 너트본체(11)의 중심부에 상기 팝업배관(P)이 관통되도록 천공된 너트공(12)과, 상기 너트본체(11)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면(13)으로 이루어진 너트본체부(10)와;
상기 단턱면(13)의 상면에 안착된 코일형상의 탄성스프링(20)과;
상기 탄성스프링(2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너트본체(11)의 상부에 체결되는 링형상의 너트캡(30)과;
상기 너트캡(30)과 탄성스프링(20)의 사이에 구비되며 내측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된 한 쌍의 가변나사판(4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나사판(40)의 외측면에는 하부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경사진 가변경사면(42)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캡(30)의 하면에는 상기 가변나사판(40)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나사판차단벽(3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판차단벽(3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변경사면(42)과 대립되도록 경사진 캡경사면(32)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판차단벽(31)의 내측 일면에는 상기 가변나사판(4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변나사판(40)의 양측단부에 안착되는 나사판회전방지돌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판차단벽(31)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캡걸림돌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본체(11)의 내측면에는 상기 캡걸림돌부(34)와 대립되도록 천공된 캡걸림홈(14)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나사판(40)의 외측 하부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 단턱진 나사판스프링안착부(43)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면(13)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20)이 삽입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요입된 스프링삽입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삽입부(15)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팝업배관(P)의 회전반경과 동일하게 만곡지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배관회전유도벽(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A lock nut (1) for a pop-up piping (1) for tightening a lower end portion of a pop-up pipe (P) connected to a center portion of a sink (S) to fasten the sink portion (S)
A nut body 12 which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nut body 11 and through which the pop-up pipe P is inserted; (10) formed of an end surface (13)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nut body (11);
A coil-shaped resilient spring (2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surface (13);
A ring-shaped nut cap 3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spring 20 and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nut body 11;
A pair of variable screw plates 40 provided between the nut cap 30 and the elastic spring 20 and having threads 4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ariable screw plate 40, a variable inclined surface 42 is formed so as to be thicker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 screw plate blocking wall 31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ut cap 30 to prevent the variable screw plate 40 from moving in the outward direction, An inclined cap inclined surface 3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o as to face the variable inclined surface 42;
A screw plate anti-rotation protrusion (40) protruding inwardly to prevent the variable screw plate (40) from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being seated at both side ends of the variable screw plate (40) (33) is formed;
A cap stopping protrusion 34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readed plate blocking wall 31 and a cap stopper 3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nut main body 11, An engaging groove 14 is formed;
A stepped spring plate seating portion 43 is formed on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variable screw plate 40 so that the elastic spring 20 can be seated therein;
A spring inserting portion 15 recessed downwardly to insert the elastic spring 2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surface 13;
And a pipe rotation inducing wall (16) which is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urning radius of the pop-up pipe (P) and extends in the upward dir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spring insertion part (15) Lock nut f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330A KR101719294B1 (en) | 2015-04-22 | 2015-04-22 | Automatic tightening the lock nut for the possible pop-up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330A KR101719294B1 (en) | 2015-04-22 | 2015-04-22 | Automatic tightening the lock nut for the possible pop-up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6115A KR20160126115A (en) | 2016-11-02 |
KR101719294B1 true KR101719294B1 (en) | 2017-03-24 |
Family
ID=5751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6330A Active KR101719294B1 (en) | 2015-04-22 | 2015-04-22 | Automatic tightening the lock nut for the possible pop-up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929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23542A (en) * | 2018-03-16 | 2018-06-29 | 陈绍忠 | A kind of Fast Installation(Dismounting)Nut |
KR200492610Y1 (en) * | 2019-07-22 | 2020-11-11 | 이응선 | Faucet connecting unit |
KR102249646B1 (en) * | 2020-10-27 | 2021-05-27 | (주)신영인더스트리 | Simple Fastening Type Faucet Assembly |
CN114263672A (en) * | 2021-12-10 | 2022-04-01 | 广东湾区智能终端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 Sinking-floating type nut locking mechanis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0152A (en) * | 2005-06-29 | 2007-01-18 | Seung Keun Oh | Connecting holder device for faucet and water supply hose |
KR101420642B1 (en) * | 2013-08-19 | 2014-07-17 |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 Pipe coupler having adhesion par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3395A (en) * | 2006-05-23 | 2007-11-29 | 주식회사 래트라 | Multi-purpose connection member for toroidal flexible pipe |
KR20070000444U (en) * | 2007-03-22 | 2007-04-12 | 최의영 | Pipe fittings for hot water ondol piping |
-
2015
- 2015-04-22 KR KR1020150056330A patent/KR1017192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10152A (en) * | 2005-06-29 | 2007-01-18 | Seung Keun Oh | Connecting holder device for faucet and water supply hose |
KR101420642B1 (en) * | 2013-08-19 | 2014-07-17 |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 Pipe coupler having adhesion par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6115A (en) | 2016-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9294B1 (en) | Automatic tightening the lock nut for the possible pop-up pipe | |
US11019965B2 (en) | Bathtub drain flange assembly | |
KR200481313Y1 (en) | faucet fixing structure | |
US2702201A (en) | Hose adapter coupling for faucet spigots | |
US6360636B1 (en) | Tool for removing a drain basket or similar fitting | |
US11644061B2 (en) | Mounting and dismounting nut structure | |
US10711936B2 (en) | Weight assembly for a faucet | |
KR102028863B1 (en) | An Upper fixing type sink faucet | |
JP2019529831A (en) | Tolerance compensation element | |
JP2012184547A (en) | Drain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sink bowl | |
WO2011117825A1 (en) | Waste fitting | |
JP6446629B2 (en) | Tube connection structure | |
KR200492610Y1 (en) | Faucet connecting unit | |
KR20130030614A (en) | A nut connection apparatus | |
JP7676687B2 (en) | Fastening material | |
JP3689233B2 (en) | Drainage equipment | |
CN203716228U (en) | Quick disassembly-assembly bubbler and water faucet | |
KR102105499B1 (en) | One-touch nut for sanitary appliance | |
JP3193036U (en) | Member connection structure | |
RU2692012C2 (en) | Device for water drain assembly, comprising tubular element, attached to sanitary instrument by means of nut, intended for attachment of drain neck | |
JP7317424B1 (en) | Washbasin mounting structure, mounting kit and mounting method | |
JP6909451B2 (en) |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ube | |
KR101932092B1 (en) | Toilet seat / cover fixing device and method | |
JP2020137272A (en) | Cable gland | |
KR102056254B1 (en) | A cup holder for washbasi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