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7115B1 - 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 - Google Patents

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115B1
KR101717115B1 KR1020150115378A KR20150115378A KR101717115B1 KR 101717115 B1 KR101717115 B1 KR 101717115B1 KR 1020150115378 A KR1020150115378 A KR 1020150115378A KR 20150115378 A KR20150115378 A KR 20150115378A KR 101717115 B1 KR101717115 B1 KR 10171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nnection part
connection
coupling channel
bar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1058A (en
Inventor
방지웅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115B1/en
Publication of KR2017002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0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11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버스바조립체의 골격을 버스바(30)가 형성한다. 상기 버스바(30)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32)가 형성되어 셀전극(50)이 레이저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부(32)에는 결합채널(3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33)은 상기 제1연결부(3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상기 결합채널(33)이 형성된 제1연결부(32)의 영역은 박육부(34)로 되어 원래 버스바(30)의 두께보다 얇아진다. 상기 결합채널(33)이 없는 제1연결부(32)의 영역은 후육부(35)로 되는데, 실질적으로 버스바(30)의 두께와 같다. 상기 박육부(34)는 셀전극(50)과의 결합을 위한 레이저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고, 상기 후육부(35)는 주로 통전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32)의 일단부에는 외부연결부(42)가 형성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타단부에는 제2연결부(37)가 더 구비되어 역시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제2연결부(37)는 상기 버스바(30)보다 두께가 얇은 연결편(36)이 코킹부(38)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assembly. A bus bar (30) forms the framework of the bus ba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nection part 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us bar 30 so that the cell electrode 50 is coupled by laser welding. A coupling channel (33)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The coupling channel 33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The area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in which the coupling channel 33 is formed is formed as a thin wall part 34, 30). The area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without the coupling channel 33 is the thick part 35,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bus bar 30. The thin portion 34 is a portion where laser welding is performed for coupling with the cell electrode 50, and the thick portion 35 is mainly responsible for energization. An external connection part 4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37 at the other end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outside . The connecting piece 36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bus bar 30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7 by the caulking portion 38.

Description

전기적 연결용 버스바조립체{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0001] 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 [0002]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용 버스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이상의 통전성능을 유지하면서도 레이저용접이 가능한 전기적 연결용 버스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al bus bar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ion capable of performing laser welding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current carrying capability.

고전압이 사용되는 분야가 많아지면서, 버스바조립체를 사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에서 각각의 배터리 셀들을 직렬로 연결하는 직렬연결장치에서,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버스바조립체를 사용한다.As more and more fields are used where high voltage is us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electrical connections are made using bus bar assemblies. For example, a bus bar assembly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o the outside in a serial connection device that connects each battery cell in series in a battery used in an electric vehicle.

도 1에서 도 3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버스바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버스바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버스바조립체의 종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버스바조립체의 톡싱부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버스바조립체는 실제 제품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직렬연결장치의 개발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현재까지 공지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FIG. 1 to FIG. 3 show a conventional bus bar assembly.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s bar assembly, and FIG. 2 is a vertic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assembly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assembly shown in FIG. Sectional view. For reference, the bus bar assembly shown in FIG. 1 to FIG. 3 is not applied to an actual product and is not known until now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a serial connection device.

이들 도면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버스바조립체는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10')가 적층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제1버스바(10)는 제2버스바(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것이다. 상기 제1버스바(10)은 대략 2mm정도의 두께이고, 상기 제2버스바(10')는 0.8mm정도의 두께이다. 이들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10')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부(19)의 톡싱(toxing)부(19')를 통해 결합된다.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conventional bus bar assembly is made by stacking the first bus bar 10 and the second bus bar 10 '. The first bus bar 10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second bus bar 10 '. The first bus bar 10 is about 2 mm thick and the second bus bar 10 'is about 0.8 mm thick. The first bus bar 10 and the second bus bar 10 'are coupled through a toxing portion 19' of a coupling portion 19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버스바조립체에는 제1연결부(12)가 있다. 이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부분으로 예를 들면 배터리셀의 전극이 레이저용접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연결부(12)의 일단부에는 제2연결부(14)가 있다. 상기 제2연결부(14)는 상기 제2버스바(10')가 연장되어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14)에서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10')는 코킹부(14')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도 연결된다.The bus bar assembly has a first connection portion (12). This is the part for electrical connection, for example, where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is laser welded.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has a second connection part 14 at one end there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is formed by extending and bending the second bus bar 10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the first bus bar 10 and the second bus bar 10 'are physically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aulking part 14'.

상기 제2연결부(14)를 기준으로 반대쪽 단부에는 외부연결부(16)가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16)는 외부 단자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외부연결부(16)에는 볼트공(16')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16)의 일단부에는 걸이부(17)가 있어, 버스바조립체가 설치되는 하우징에 형성된 구조에 삽입되어 걸어진다.And an external connection part 16 is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16 is a portion where external terminals are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A bolt hole 16 'is formed in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16. One end por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16 has a hook portion 17, which is inserted into a structure formed in a housing in which the bus bar assembly is installed.

상기 제2연결부(14)를 기준으로 제2버스바(10')의 반대쪽 단부에는 고정부(18)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8)는 버스바조립체가 설치되는 하우징에 형성된 융착돌기와 결합되어 버스바조립체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한다.The fixing portion 18 is bent and form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second bus bar 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4. [ The fixing portion 18 is coupled with the fused protrusion formed on the housing in which the bus bar assembly is installed to firmly mount the bus bar assembly.

상기 외부연결부(16)와 상기 제1연결부(12)의 사이에는 결합부(19)가 있다. 상기 결합부(19)는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10')가 톡싱부(19')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19)를 형성하여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1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톡싱장비를 사용하여 톡싱(toxing)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A coupling portion 19 is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16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 The coupling portion 19 is a portion where the first bus bar 10 and the second bus bar 10 'are coupled by the detaching portion 19'. To combine the first bus bar 10 and the second bus bar 10 'by forming the coupling portion 19, a toxing operation must be performed using a toxic equipment.

종래 기술에서 상기와 같이 두께가 서로 다른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10')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은, 버스바조립체의 횡단면적을 통전용량에 맞게 하면서도 배터리셀 전극과의 레이저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동재질로 된 버스바(10,10')가 일정 이상의 두께가 되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배터리셀 전극과의 레이저용접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버스바(10')와 같이 상대적으로 얇은 것을 사용하여 레이저용접이 되도록 하면서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10')를 적층하여 통전용량을 만족시키게 된다.The use of the first bus bar 10 and the second bus bar 10 'which are different in thickness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bus bar assembly is adjusted to the current carrying capacity, So that laser welding can be performed. This is because when the bus bars 10 and 10 'made of the same material have a thickness exceeding a certain level, it is difficult to perform laser welding with battery cell electrodes made of aluminum. Therefore, the first bus bar 10 and the second bus bar 10 'are laminated by laser welding using a relatively thinner material such as the second bus bar 10', thereby satisfying the current carrying capacity.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결합부(19)를 형성하기 위한 톡싱장비가 필요하므로, 버스바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작업공수가 많아져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ince the bucking equipment for forming the coupling unit 19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pieces for manufacturing the bus bar assembly.

또한, 상기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10')는 전체 모든 영역에서 결합되지 않고 톡싱부(19') 등 일부 영역에서만 결합되므로, 제1버스바(10)와 제2버스바(10')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틈새는 버스바조립체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Since the first bus bar 10 and the second bus bar 10 'are not combined in all the areas but only in some areas such as the toxing part 19', the first bus bar 10 and the second bus bar 10 '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bus bars 10 '. Such a gap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bus bar assembl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버스바를 사용하여 통전용량을 만족시키면서도 레이저용접이 신뢰성 있게 되도록 한 버스바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 bar assembly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which one bus bar is used to satisfy the current carrying capacity and reliability of laser weld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일측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결합채널이 버스바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오목하게 들어가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결합채널이 있는 위치는 두께가 얇아져 박육부로 되어 상대 전극과 레이저용접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결합채널이 없는 위치는 상기 박육부보다 두께가 두꺼워서 후육부로 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외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외부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2연결부가 더 구비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s bar comprising: a bus bar defining a skeleton; and a coupling channe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t one side of the bus bar, The bus bar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coupling channel is formed is thinned to be a thinned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counter electrode through laser welding and a position where the coupling channel is absent is thicker than the thinned portion And an external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us bar for per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wherein an opposite end of the bus ba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thick and thick,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for the second connection part.

상기 결합채널은 상기 제1연결부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제1연결부의 폭방향 중앙을 따라 상기 결합채널이 연장된다.The coupling channel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s bar constitut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upling channel extends along the widthwis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상기 외부연결부의 일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된다.A hook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1연결부와 외부연결부의 사이에는 절곡부가 위치한다.The bent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버스바에 코킹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보다 두께가 얇은 연결편의 일측에서 돌출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bus bar by caulking and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on piece thinner than the bus bar.

상기 연결편이 버스바에 코킹되어 결합되는 코킹부를 관통하여 통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융착돌기가 설치된다.
The connecting piece is caulked to a bus bar and penetrates through a caulking portion to form a through hole. A fused protrusion is provided through the through hole.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in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버스바조립체는 하나의 버스바에 두께가 두꺼운 후육부와 두께가 얇은 박육부를 두어 후육부를 통해서는 주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박육부는 외부 전극과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버스바로도 통전용량을 만족시키면서 외부 전극과의 결합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bus ba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nner thick portion and a thicker thick portion are provided on one bus bar so that electricity is mainly conducted through the thick portion and the thin portion is coupled with the external electrod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electrode can be reliably performed while satisfying the energizing capacity of one bus bar.

그리고, 본 발명의 버스바조립체는 하나의 버스바를 통해 통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스파크 발생 등의 문제가 없어지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us ba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ergized through one bus bar, the problem of spark generation is eliminat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버스바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스바조립체의 종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버스바조립체의 톡싱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에 셀전극과 기판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s bar assembly;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assembly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ussling portion of the bus bar assembly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7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where a cell electrode and a substrate are connec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3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버스바조립체의 골격을 버스바(30)가 형성한다. 상기 버스바(30)는 금속판을 프레스가공을 통해 소정의 형상으로 만든 것이다. 상기 버스바(30)에는 제1연결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32)는 아래에서 설명될 셀전극(50)이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부(32)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채널(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채널(33)은 상기 제1연결부(32)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33)은 단조작업을 통해 상기 버스바(30)의 제1연결부(32)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33)은 상기 제1연결부(32)의 일측 표면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o Fig. 7, the bus bar 30 forms the framework of the bus bar assembly of this embodiment. The bus bar 30 is formed by pressing a metal plate into a predetermined shape. A first connection part 32 is formed on the bus bar 30.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is connected to a cell electrode 50 to be described below. A coupling channel 33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coupling channel (33) is formed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 The coupling channel 33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 of the bus bar 30 through a forging operation. The coupling channel (33) is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상기 제1연결부(32)는 상기 결합채널(33)이 형성됨에 의해 박육부(34)와 후육부(35)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박육부(34)는 상기 후육부(35)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이다. 상기 박육부(34)는 상기 버스바(30)의 두께보다 얇게 되고 상기 후육부(35)는 실질적으로 버스바(30)의 두께와 같은 두께를 가진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 is divided into a thin portion 34 and a thick portion 35 by forming the coupling channel 33. The thin portion 34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 portion 35 It is thin in thickness. The thick portion 34 is thinner than the bus bar 30 and the thick portion 35 is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ckness of the bus bar 30. [

상기 박육부(34)는 아래에서 설명될 셀전극(50)과의 레이저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박육부(34)의 두께는 레이저용접의 특성이 가장 좋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후육부(35)는 상기 박육부(34)보다 두께가 두껍다. 상기 후육부(35)는 통전용량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버스바(30)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의 용량에 맞춰서 그 두께가 결정된다.The thin-wall portion 34 is a portion where laser welding is performed with the cell electrode 50 to be described below.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thin portion 34 is set to the best value of the laser welding characteristic. The thick portion (35) is thicker than the thin portion (34). The thicker portion 35 is a portion for determining the energizing capacity. The thickness of the bus bar 3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electricity transmitted through the bus bar 30.

상기 버스바(30)의 일단부에는 연결편(36)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36)을 절곡하여 제2연결부(37)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37)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부(37)는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37)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은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연결편(36)은 상기 버스바(30)에 비해 두께가 얇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연결편(36)은 코킹부(38)를 형성하여 상기 버스바(30)에 결합된다.A connection piece 36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us bar 3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37 is formed by bending the connection piece 36.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7 is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5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7 is formed to be bent a plurality of times. For this purpose,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ortion 37 is preferably relatively thin. Therefore, the connecting piece 36 is thinner than the bus bar 30. The connecting piece 36 is coupled to the bus bar 30 by forming a caulking portion 38.

상기 버스바(30)에서 상기 연결편(36)이 설치된 반대쪽 단부에는 절곡부(40)가 있고, 상기 절곡부(40)에서 연장되어서 외부연결부(42)가 만들어진다. 상기 절곡부(40)와 외부연결부(42)는 모두 상기 버스바(30)와 일체이다. 상기 외부연결부(42)에는 외부 단자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외부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연결부(42)에는 볼트공(43)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연결부(42)의 일측 단부에는 걸이부(45)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45)는 버스바조립체가 설치되는 하우징에 형성된 걸이구조에 삽입되어 버스바조립체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A bending portion 40 is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bus bar 30 where the connecting piece 36 is installed and an external connection portion 42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bending portion 40. Both the bent portion 4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42 are integral with the bus bar 30. An external terminal is coupl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4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For this, a bolt hole 43 is formed in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42. A hook 4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42. The hooking part 45 is inserted into the hooking structure formed in the housing in which the bus bar assembly is installed, so tha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bus bar assembly is firm.

참고로, 상기 코킹부(38)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공에는 하우징에 있는 융착돌기가 관통하여 선단이 융착됨에 의해 버스바조립체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통공은 상기 버스바(30)의 적절한 위치에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5, a penetration hole is formed in the caulking portion 38 to fix the bus bar assembly to the housing by penetrating the fused protrusion in the housing and fusing the tip of the penetration hole. can do.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a proper position of the bus bar 3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조립체가 만들어지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버스바(30)는 판상의 모재를 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채널(33)은 단조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채널(33)은 상기 제1연결부(32)에서 폭방향 중앙을 통과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결합채널(33)의 위치를 상기 제1연결부(32)의 폭방향 중앙이 아닌 일측 단부로 치우치게 형성할 수도 있다.The bus bar 30 is made by machining a plate-like base metal. The coupling channel 33 is made by a forging operation. The coupling channel 33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 However,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channel 33 may be shifted to one sid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not the widthwise center thereof.

다음으로, 상기 버스바(30)의 형상은 판상의 모재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남기고 나머지를 제거하여 만들고, 상기 절곡부(40)와 외부연결부(42) 등을 절곡하여 형상을 완성한다.Next, the shape of the bus bar 30 is formed by removing only the necessary part of the plate-shaped base material, and the bending part 4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42 are bent to complete the shape.

상기 버스바(30)의 형상을 만든 후에는 상기 연결편(36)을 코킹작업을 통해 상기 버스바(30)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버스바조립체가 완성된다.After the shape of the bus bar 30 is formed, the connecting piece 36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us bar 30 through a caulking operation. This completes the bus bar assembly.

이와 같은 버스바조립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32)에 셀전극(50)이 레이저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룬다. 상기 제1연결부(32)에 셀전극(50)을 레이저용접할 때에는 상기 결합채널(33)의 진행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연결부(32)와 셀전극(50)을 결합하게 된다.In the bus bar assembly, as shown in FIG. 7, the cell electrode 5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 by laser welding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hen the cell electrode 50 is laser-weld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and the cell electrode 5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irradiating a laser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channel 33.

상기 제2연결부(37)는 기판(52)에 형성된 통홀(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선단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기판(52)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기판(52)과 버스바조립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7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52 by inserting a tip end into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substrate 52. Thus, the substrate 52 and the bus bar assembly ar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외부연결부(42)에는 외부의 단자가 상기 볼트공(43)을 관통하는 볼트에 너트가 체결됨에 의해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n external terminal is tigh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42 by a bolt passing through the bolt hole 43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32)에 연결된 셀전극(50)을 포함해서 다수개의 배터리셀이 직렬로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32)에서 상기 외부연결부(42)로 통전이 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37)를 통해서 상기 기판(52)에 설치된 부품들에서 오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ing the cell electrode 5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are connected in series, and finally,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is energiz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42. In addition, signals from components installed on the substrate 52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37.

그리고, 상기 버스바조립체는 예를 들면 직렬연결장치의 하우징에 장착되는데, 상기 하우징에 있는 융착돌기가 상기 코킹부(38)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선단이 융착됨에 의해 버스바조립체의 설치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5)는 또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구조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의해 버스바조립체의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bus bar assembly is mounted on a housing of a serial connection device. The fused protrusion in the housing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ulking portion 38, Can be fixed. The hooking part 45 is also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structure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us bar assembly can be accurately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바조립체에서는 버스바(30)에 셀전극(50)을 레이저용접하기 위해서 박육부(34)를 두고, 통전용량을 맞추기 위해서 후육부(35)를 두었다. 따라서, 하나의 버스바(30)를 사용하여 전기적 연결과 통전용량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us ba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bar 30 is provided with the thick portion 34 for laser welding the cell electrode 50, and the thick portion 35 for matching the power supply capac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current carrying capacity by using one bus bar 30.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 제2연결부(37)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연결부(32)와 외부연결부(42)만으로도 버스바조립체의 기능은 의미가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7 is not always required. That is, the function of the bus bar assembly is meaningful only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32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art 42. [

10: 제1버스바 10': 제2버스바
12: 제1연결부 14: 제2연결부
14': 코킹부 16: 외부연결부
16': 볼트공 17: 걸이부
18: 고정부 19: 결합부
19': 톡싱부 30: 버스바
32: 제1연결부 33: 결합채널
34: 박육부 35: 후육부
36: 연결편 37: 제2연결부
38: 코킹부 40: 절곡부
42: 외부연결부 43: 볼트공
45: 걸이부 50: 셀전극
52: 기판
10: first bus bar 10 ': second bus bar
12: first connection part 14: second connection part
14 ': caulking portion 16: external connection portion
16 ': Bolt hole 17: Hook part
18: Fixing portion 19:
19 ': Toksingu 30: Bus bar
32: first connection part 33: coupling channel
34: thin section 35: thick section
36: connecting piece 37: second connecting piece
38: caulking portion 40:
42: external connection part 43: bolt hole
45: Hanger part 50: Cell electrode
52: substrate

Claims (7)

골격을 형성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일측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결합채널이 버스바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만큼 오목하게 들어가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결합채널이 있는 위치는 두께가 얇아져 박육부로 되어 상대 전극과 레이저용접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결합채널이 없는 위치는 상기 박육부보다 두께가 두꺼워서 후육부로 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버스바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외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외부연결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2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버스바조립체.
A bus bar forming a skeleton,
A coupling channe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us bar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bus bar, and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channel in the bus bar is thinned, A first connection portion which is joined to the counter electrode through laser welding and in which the coupling channel is absent, is thicker than the thin portion to become a thick portion;
And an external connection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bus bar for per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is further provid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bus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채널은 상기 제1연결부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제1연결부의 폭방향 중앙을 따라 상기 결합채널이 연장되는 버스바조립체.
The bus ba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channel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us bar constitut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coupling channel extending along a widthwis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의 일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버스바조립체.
The bus ba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a hook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와 외부연결부의 사이에는 절곡부가 위치하는 버스바조립체.
The bus ba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bend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버스바에 코킹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보다 두께가 얇은 연결편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버스바조립체.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aulked to the bus bar and protrudes from one side of a thinner connection piece than the bus ba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이 버스바에 코킹되어 결합되는 코킹부를 관통하여 통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융착돌기가 설치되는 버스바조립체.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necting piece is formed in a through hole through a caulking portion coupled to the bus bar so that a fused protrusion is provided through the through hole.
KR1020150115378A 2015-08-17 2015-08-17 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 Expired - Fee Related KR1017171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78A KR101717115B1 (en) 2015-08-17 2015-08-17 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78A KR101717115B1 (en) 2015-08-17 2015-08-17 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58A KR20170021058A (en) 2017-02-27
KR101717115B1 true KR101717115B1 (en) 2017-03-16

Family

ID=5831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3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7115B1 (en) 2015-08-17 2015-08-17 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1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609B1 (en) 2017-09-29 2022-07-2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Battery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KR102383415B1 (en) 2018-03-20 2022-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CN114388986B (en) * 2022-01-21 2024-08-13 中能易电新能源技术有限公司 Busbar in battery module, laser welding battery module and laser weld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319A (en) 1999-06-09 2000-12-19 Yazaki Corp Busbar structure
KR200415181Y1 (en) 2006-01-31 2006-05-02 경신공업 주식회사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us bar for the fuse box
KR101035789B1 (en) 2003-01-23 2011-05-20 소니 주식회사 Power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8192A1 (en) * 2001-04-27 2002-11-07 Ucb, S.A. Photo-initiator compositions
KR100988788B1 (en) * 2008-06-16 2010-10-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efabricated busba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319A (en) 1999-06-09 2000-12-19 Yazaki Corp Busbar structure
KR101035789B1 (en) 2003-01-23 2011-05-20 소니 주식회사 Power unit
KR200415181Y1 (en) 2006-01-31 2006-05-02 경신공업 주식회사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us bar for the fuse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58A (en)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2481B2 (en) Conductor module
US9318734B2 (en) Bimetal buss bar assembly
US20190295749A1 (en) Shunt resistor and mounted structure of shunt resistor
US10637021B2 (en) Wiring module, detec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tection terminal
US10305083B2 (en) Wiring module and power storage module
US20180229677A1 (en) Electrical energy supply system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US10535856B2 (en) Bus bar module and bus bar module manufacturing method
US9618537B2 (en) Shunt resistance type current sensor
KR102032506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improved in connecting structure of sensing wire harness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US10641798B2 (en) Current detection device having a fixing portion formed in a wiring member
CN107683540B (en) Wiring modules and storage modules
JP2017092030A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busbar and terminal, and busbar module
KR102345063B1 (en) Current measuring assembly
US8310241B2 (en) Battery sensor unit
KR101717115B1 (en) 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
CN108028345A (en) Conductive component module and battery pack
CN109348735B (en)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and auxiliary terminal
CN105390648A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10637032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battery module and electrical device
US10680225B2 (en)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batter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sulating cover
CN107004816A (en) Power storage module
JP2015005473A (en) Bus ba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3972456A (en) Bus bar assembly and power supply device
US9455434B2 (en)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voltage
KR101872834B1 (en) Coupling structure for measuring battery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