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7084B1 -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084B1
KR101717084B1 KR1020150122804A KR20150122804A KR101717084B1 KR 101717084 B1 KR101717084 B1 KR 101717084B1 KR 1020150122804 A KR1020150122804 A KR 1020150122804A KR 20150122804 A KR20150122804 A KR 20150122804A KR 101717084 B1 KR101717084 B1 KR 101717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diameter
diameter
diameter portion
small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911A (ko
Inventor
정성민
이성근
서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스
Priority to KR102015012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084B1/ko
Priority to US15/756,060 priority patent/US10779841B2/en
Priority to PCT/KR2016/008357 priority patent/WO2017039158A1/ko
Priority to CN201680050160.4A priority patent/CN108135674B/zh
Priority to EP16842124.6A priority patent/EP3345568B1/en
Publication of KR2017002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0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외경을 가지며, 절삭날이 형성된 첨단부; 상기 첨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는 소경부; 및 상기 첨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경부 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3 외경을 갖는 대경부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DRILLING DRIVER FOR PLACING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없는 경우에 잇몸 내부의 뼈 속에 임플란트를 고정시키고 그 상부에 인공 치아를 시술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원래의 치아가 위치한 환경 및 그 자신의 상태(예를 들어, 해당 부분의 뼈의 상태, 다른 치아와의 관계, 원래 치아의 배치 방향, 원래 치아의 사이즈 등)에 따라, 해당 부분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의 형태도 달라져야 한다.
이들 중에서, 임플란트 식립에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원래 치아의 배치 방향에 맞게, 그리고 치아 크기에 맞는 깊이로 치조골을 드릴링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치조골을 드릴링함에 있어서, 그 드릴링되는 부분의 상태를 시술자가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이는 구강 내의 협소한 작업 환경과 더불어, 드릴링 드라이버 자체에 의해서도 시술자의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시술 중에 드릴링의 방향이나 깊이 등이 문제가 없는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임플란트가 제대로 식립될지를 예상함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링 시술 중에 드릴링 드라이버에 의한 시야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는, 제1 외경을 가지며, 절삭날이 형성된 첨단부; 상기 첨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고서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소경부; 상기 첨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경부 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3 외경을 갖는 대경부;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에 배치되고, 그 외경이 상기 제2 외경에서 상기 제3 외경으로 점진적으로 커지는 확경부; 및 상기 소경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소경부가 파단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소경부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의 양단부 중 상기 대경부 측에 치우친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도부는, 상기 소경부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천공된 유도홈이거나, 상기 소경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도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외경과 상기 제2 외경 간의 차이는, 상기 제3 외경과 상기 제1 외경 간의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외경, 상기 제2 외경, 및 상기 제3 외경은,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1.8 < (D3-D1)/(D1-D2) < 2.3 {D1은 상기 제1 외경, D2는 상기 제2 외경, D3는 상기 제3 외경, 모두 mm 단위}
여기서, 상기 제1 외경과 상기 제2 외경 간의 차이는, 상기 제3 외경과 상기 제1 외경 간의 차이의 절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경부와 상기 대경부는, 상기 드라이버의 전체 길이의 65 ~75%를 차지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유도 그루브는, 상기 소경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에 의하면, 드릴링 시술 중에 드릴링 드라이버에 의한 시야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100)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경부(130)를 확대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소경부(13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소경부(130')를 보인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100)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100)는, 첨단부(110), 소경부(130), 대경부(150), 확경부(170)를 가질 수 있다.
첨단부(110)는 드릴링 드라이버(100)의 일 단부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첨단부(110)에는 절삭날(111)이 형성된다. 절삭날(111)은 드릴링 드라이버(100)의 회전 시에 치조골에 홈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첨단부(110)는 제1 외경(D1)을 갖게 된다.
소경부(130)는 첨단부(110)에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소경부(130)의 외경은 제2 외경(D2)로서, 제1 외경(D1) 보다 작다. 소경부(130)는 제2 외경(D2)으로 정의되는 동일한 직경을 갖고서 연장된다.
대경부(150)는 첨단부(110)를 기준으로 소경부(130) 다음에 배치된다. 대경부(150)의 외경은 제3 외경(D3)으로서, 첨단부(110)의 외경(D1)보다 큰 것이다. 대경부(150)의 자유단 측에는 삽입부(151)와 걸림부(15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51)는 드릴링 드라이버(100)가 설치되는 대상물인 핸드피스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걸림부(153)는 역시 핸드피스에 걸림되는 부분이다.
확경부(170)는 소경부(130)와 대경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그들을 이어주는 구성이다. 그를 위해, 확경부(170)는 소경부(130)의 외경(D1)에서 대경부(150)의 외경(D3)으로 점진적으로 커지게 변화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경(D1)과 제2 외경(D2) 간의 차이는 제3 외경(D3)과 제1 외경(D1) 간의 차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외경(D1), 제2 외경(D2), 및 제3 외경(D3)은 다음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1.8 < (D3-D1)/(D1-D2) < 2.3
{D1은 상기 제1 외경, D2는 상기 제2 외경, D3는 상기 제3 외경, 모두 mm 단위}
여기서, (D3-D1)/(D1-D2)가 1.8 이하이면, 소경부(130)가 설정 기준 이상으로 두꺼워져서 절삭날(111)이 형성하는 홈을 시술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기가 힘들어진다. 또한, (D3-D1)/(D1-D2)가 2.3 이상이면, 대경부(150)에 비해 소경부(130)의 강도가 과하게 낮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제1 외경(D1) 내지 제3 외경(D3)이 위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발명자는 제1 외경(D1)은 2.2mm, 제2 외경(D2)을 1.8mm, 제3 외경(D3)을 3.0mm로 설정하였다. 그에 따라, (D3-D1)/(D1-D2) = 3.0-2.2/2.2-1.8=0.8/0.4=2가 된다.
또한, 확경부(170)와 대경부(150)는 드릴링 드라이버(100) 전체 길이의 65~75%를 가질 수 있다. 확경부(170)와 대경부(150)의 길이가 드릴링 드라이버(100)의 전체 길이의 65% 이하이면, 소경부(130)가 길어져서 드릴링 드라이버(100)의 전체 강도가 약해진다. 이와 달리, 위 길이가 75% 이상이면, 확경부(170) 및 대경부(150)에 의해 시술자의 시야가 가려 문제가 부각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시술자는 절삭날(111)이 치조골에 홈을 형성하는 사이에, 소경부(130) 주변의 공간을 통해 홈의 형성 과정을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식 1]에 의한 (D3-D1)/(D1-D2)의 관계, 그리고 전체 길이 중 대경부(150)와 확경부(170)의 비율 등에 의해 보다 확실히 달성된다.
다음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소경부(130)에서 파단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소경부(130)를 확대한 부분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소경부(130)에는 유도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도부(190)는 드릴링 드라이버(10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때 다른 부분보다 소경부(130)의 설정 부분이 파단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유도부(190)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도 홈(191)이 예시된다. 유도 홈(191)은 소경부(130)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천공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유도 홈(191)은 소경부(1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유도 홈(191)은 첨단부(110) 보다는 확경부(170)에 치우쳐서 형성될 수 있다.
위의 유도 홈(191)의 구성에 의해, 상대적으로 약한 소경부(130)가 파단될 때는 유도 홈(191)이 위치한 부분이 파단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절삭날(111)과 소경부(130)가 만나는 부분이 파단 됨에 따라, 치조골에 작은 파편{거의 첨단부(110) 만인 것}이 박혀 꺼내기 어려운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유도부(190)의 다른 형태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소경부(13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소경부(130')를 보인 부분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유도부(190')는 유도 그루브(193')일 수 있다. 유도 그루브(193')는 소경부(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유도 그루브(193')는, 또한 소경부(130')의 연장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도 그루브(193')에 의하여, 드릴링 드라이버가 과도한 힘을 받는 경우에 유도 그루브(193')가 형성된 부분이 파단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그루브(193')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에 의해, 드릴링 드라이버의 비틀림력에 대해 파단 유도가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드릴링 드라이버 110: 첨단부
130: 소경부 150: 대경부
170: 확경부

Claims (11)

  1. 제1 외경을 가지며, 절삭날이 형성된 첨단부;
    상기 첨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고서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소경부;
    상기 첨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경부 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1 외경보다 큰 제3 외경을 갖는 대경부;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에 배치되고, 그 외경이 상기 제2 외경에서 상기 제3 외경으로 점진적으로 커지는 확경부; 및
    상기 소경부에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소경부가 파단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소경부의 다른 부분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의 양단부 중 상기 대경부 측에 치우친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도부는, 상기 소경부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천공된 유도홈이거나, 상기 소경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도 그루브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경과 상기 제2 외경 간의 차이는,
    상기 제3 외경과 상기 제1 외경 간의 차이보다 작은,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경, 상기 제2 외경, 및 상기 제3 외경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식 1]
    1.8 < (D3-D1)/(D1-D2) < 2.3
    {D1은 상기 제1 외경, D2는 상기 제2 외경, D3는 상기 제3 외경, 모두 mm 단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경과 상기 제2 외경 간의 차이는,
    상기 제3 외경과 상기 제1 외경 간의 차이의 절반인,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와 상기 대경부는,
    상기 드라이버의 전체 길이의 65 ~75%를 차지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그루브는,
    상기 소경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11. 삭제
KR1020150122804A 2015-08-31 2015-08-31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Active KR101717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04A KR101717084B1 (ko) 2015-08-31 2015-08-31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US15/756,060 US10779841B2 (en) 2015-08-31 2016-07-29 Drilling driver for placing dental implant
PCT/KR2016/008357 WO2017039158A1 (ko) 2015-08-31 2016-07-29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CN201680050160.4A CN108135674B (zh) 2015-08-31 2016-07-29 牙齿植入用打钻器
EP16842124.6A EP3345568B1 (en) 2015-08-31 2016-07-29 Drilling driver for placing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804A KR101717084B1 (ko) 2015-08-31 2015-08-31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911A KR20170026911A (ko) 2017-03-09
KR101717084B1 true KR101717084B1 (ko) 2017-03-20

Family

ID=5818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804A Active KR101717084B1 (ko) 2015-08-31 2015-08-31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9841B2 (ko)
EP (1) EP3345568B1 (ko)
KR (1) KR101717084B1 (ko)
CN (1) CN108135674B (ko)
WO (1) WO2017039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084B1 (ko) * 2015-08-31 2017-03-20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USD854156S1 (en) * 2017-08-23 2019-07-16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Star shaped driver
CA179381S (en) * 2017-08-23 2019-04-01 Jjgc Ind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 A Star-shaped driver
USD882786S1 (en) * 2018-01-31 2020-04-28 Beijing Smtp Technology Co., Ltd. Ultrasonic cutter head
USD882785S1 (en) * 2018-01-31 2020-04-28 Beijing Smtp Technology Co., Ltd. Ultrasonic cutter hea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825Y1 (ko) * 2004-03-29 2004-06-07 최현석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KR101344570B1 (ko) 2013-06-14 2013-12-26 김형우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744A (en) * 1893-08-22 Woodbury storer how
US2902763A (en) * 1954-02-27 1959-09-08 Hager & Meisinger G M B H Dental finishing tool, especially for interproximal work
US4345899A (en) * 1979-07-12 1982-08-24 Vlock D G Dental twist drill
JP2561697B2 (ja) * 1988-04-19 1996-12-11 ウイリアム・ビー・ジヨンソン 充填材料を歯内療法的に準備された歯根管に適用する際に使用されるツール
WO1990005498A1 (en) * 1988-11-18 1990-05-31 Bernard Weissman Dental reamer tool
US5664914A (en) * 1994-04-27 1997-09-09 Kabushiki Kaisha Mekuto Drill
JP3375771B2 (ja) * 1995-02-02 2003-02-10 マニー株式会社 ピーソーリーマ又はゲーツドリル
CH689997A5 (fr) * 1996-01-17 2000-03-15 Maillefer Instr Sa Jeu de forets pour l'alésage de la partie coronaire des canaux radiculaires dentaires.
JP4214285B2 (ja) * 1999-12-17 2009-01-28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根管治療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DE50304177D1 (de) * 2002-02-28 2006-08-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ohrers oder Fräsers
JP2004016400A (ja) * 2002-06-14 2004-01-22 Hinatawada Seimitsu Seisakusho:Kk 研削バー
FR2854054B1 (fr) * 2003-04-24 2005-07-08 Rouiller Jean Claude Instrument pour l'alesage de canaux radiculaires
JP2006141439A (ja) * 2004-11-16 2006-06-08 Akiyoshi Funato 歯科用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穿孔方法
ATE503433T1 (de) * 2005-04-08 2011-04-15 Michael J Scianamblo Sich biegende endodontische instrumente
CN101448469A (zh) * 2006-05-23 2009-06-03 学校法人日本大学 牙科用切削杆
JP5233016B2 (ja) * 2007-05-30 2013-07-10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の回転駆動切削具
KR100838942B1 (ko) * 2008-02-04 2008-06-16 허영구 상악동막 거상용 드릴
IT1391755B1 (it) * 2008-11-05 2012-01-27 North Bel Internat Srl Metodo di diamantatura superficiale delle frese per odontoiatria ad esclusione delle cave
KR101112777B1 (ko) * 2009-04-17 2012-03-14 정성민 상악동 거상 시술용 버어
JP5883786B2 (ja) 2009-07-24 2016-03-15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髄内管内に空洞を切削するための手術器具
US9358079B2 (en) * 2010-02-11 2016-06-07 Sybron Canada Lp Bu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30224683A1 (en) * 2012-02-23 2013-08-29 Zimmer Dental, Inc. Dental Drill with Angulation to Improve Osteotomy Formation
DE102012009038A1 (de) * 2012-05-04 2013-11-07 Hufschmied Zerspanungssysteme Gmbh Fräser und Fräsverfahren
US20140106297A1 (en) * 2012-10-11 2014-04-17 University Of Zurich Dental bur and method for removing a soft deposit
EP3251617A1 (en) * 2012-11-19 2017-12-0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Drill and tap and method for preoperative assessment of bone quality
FR3013582B1 (fr) * 2013-11-25 2016-01-22 Biotech Dental Outil dentaire a bandes indicatrices de penetration
US9987727B2 (en) * 2014-04-17 2018-06-05 Inland Diamond Products Company Induction heated vacuum furnace for making brazed diamond dental burrs
CN104546167A (zh) * 2015-01-15 2015-04-29 大连三生科技发展有限公司 种植体中央螺栓断裂取出工具及取出方法
WO2016207728A1 (en) * 2015-06-23 2016-12-29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ulti-diameter drill bit
KR101717084B1 (ko) * 2015-08-31 2017-03-20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US10238469B2 (en) * 2016-02-26 2019-03-26 Douglas Bruce Smail Bone reduction bur
US10905525B2 (en) * 2016-06-03 2021-02-02 Rainer Ganß Medical device for removing tooth fragments
US20190343599A1 (en) * 2016-07-05 2019-11-14 Débora BRITES Device with millimetric grading for osteotomy
GB2573524B (en) * 2018-05-08 2023-01-18 Prima Dental Mfg Limited Dental milling tool
US10987196B2 (en) * 2018-06-27 2021-04-27 Paltop Advanced Dental Solutions Ltd. Drill gui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825Y1 (ko) * 2004-03-29 2004-06-07 최현석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KR101344570B1 (ko) 2013-06-14 2013-12-26 김형우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9841B2 (en) 2020-09-22
EP3345568A1 (en) 2018-07-11
KR20170026911A (ko) 2017-03-09
EP3345568B1 (en) 2019-06-26
CN108135674B (zh) 2020-08-18
US20180235737A1 (en) 2018-08-23
EP3345568A4 (en) 2018-09-12
CN108135674A (zh) 2018-06-08
WO2017039158A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084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KR100660374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US8770974B2 (en) Set of dental drills
EP2561825A2 (en)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n impla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20170143351A1 (en) Implant placement trephine, prepackaged and sized implant / trephine kit, and methods of use
JP6122939B2 (ja) フィクスチャー
KR20110039880A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ES2671519T3 (es) Disposición y procedimiento de plantilla quirúrgica
JP5028621B2 (ja) サージカルガイド
JP2021500213A (ja) 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植立のための方向確認ピンとガイドタップドリルキット
EP2907473B1 (en)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KR10123429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2279149B1 (ko) 치근형 임플란트 식립 시스템
KR101007905B1 (ko)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KR10209354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0950592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MX2017010174A (es) Guia quirurgica para la colocacion de implantes dentales y herramienta para el montaje y desmontaje de dicha guia.
JP2017063933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KR20150122353A (ko) 골성장분말/생의학적필러를 회전식으로 밀어주는 구조를 지닌 임플란트
KR101935504B1 (ko) 일정 토크값을 갖는 임플란트 스크류
JP2015036006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ドリリングシステム
JP2013244390A (ja) ドリル及びドリル、ストッパーシステム
EP1576935A1 (en) Endosseous dental implant
JP4971401B2 (ja) ガイド固定ピン
JP3216661U (ja) サージカルガイド及びこれに使用するスリーブ状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