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6813B1 - Cable laid s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able laid s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13B1
KR101716813B1 KR1020160162435A KR20160162435A KR101716813B1 KR 101716813 B1 KR101716813 B1 KR 101716813B1 KR 1020160162435 A KR1020160162435 A KR 1020160162435A KR 20160162435 A KR20160162435 A KR 20160162435A KR 101716813 B1 KR101716813 B1 KR 10171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our
line
connection
drawn
twis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성실
Original Assignee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1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8Grommets
    • D07B1/185Grommets characterised by the ey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06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 D07B1/062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strand configuration
    • D07B1/064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strand configuration the reinforcing cords being twisted and with at least one wire exchanging place with another wi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에 있어서, 연결부심선과 상기 연결부심선을 중심으로 외주면에 휘감기는 다수의 연결부외곽선을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심선의 연장선인 아이부심선과 연결부외곽선의 연장선인 아이부외곽선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부심선과 아이부외곽선이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아이부; 상기 아이부심선의 연장선인 꼬임부심선과 아이부외곽선의 연장선인 꼬임부외곽선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에 꼬여지는 꼬임부; 상기 연결부와 꼬임부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마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결부심선을 중심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부외곽선을 휘감아 연결부를 제조하는 연결부제조 단계; 상기 연결부심선의 연장선인 아이부심선과 연결부외곽선의 연장선인 아이부외곽선을 이용하여 고리모양의 아이부를 형성하는 아이부형성 단계; 상기 연결부심선의 연장선인 꼬임부심선은 연결부외곽선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인입하고, 상기 아이부외곽선의 연장선인 꼬임부외곽선은 연결부외곽선에 휘감아 꼬임부를 형성하는 제강 단계; 및 상기 꼬임부외곽선의 끝단을 연결부에 고정시켜 마감부를 형성하는 마감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laid sling which is manufactured by using a single row of cable laid,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 outlines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An eye part including an eye part line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the connection part core line and an eye part outline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a connection part outline and in which the eye part and eye part outline are formed in a ring shape; A twist portion including a twisted meridian,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the eyepiece line, and a twisted outline,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ye contour, and is twis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finishing unit for fixing the ends of the coupling unit and the twist uni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fabricating a connecting portion by wind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lines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nnecting core wire; An eye part forming step of forming an annular eye part by using an eye part line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the connecting part core line and an eye part line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a connection part outline; A step of forming a twisted core line extending as an extension of the connection core wire into an inner space formed by a contour line of the connection part and a twisted outline line extending as an extension of the eye outline forming a twisted part by winding around a contour line of the connection part; And a finishing step of forming a finishing portion by fixing an end of the outline of the twisted portion to a connecting portion.

Description

케이블레이드 슬링 및 이의 제조방법{CABLE LAID S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0001] CABLE LAID S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케이블레이드 슬링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lay sl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고리(Eye) 형상을 만들고, 겹치는 부분을 꼬은 후 끝단이 마감부에 의해 견고하게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돌발적인 하중물의 이탈이나 슬링의 고장으로 인한 하중물의 이탈을 직간접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레이드 슬링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by forming the eye shape by using a single continuous cable raid, twisting the overlapping portions, and then finishing the end portion firmly by the finishing portion, unexpected breakage of the load or breakdown of the s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laid sl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와이어로프는 선재의 2차 가공 제품으로, 강삭(steel wire rope)라고도 하며 1~3mm의 강선을 만든 다음 스트랜드(strand:새끼줄)를 만들고 이 스트랜드를 마닐라삼으로 만든 로프나 그 밖의 섬유를 심으로 해 그 주위에 여러 개의 스트랜드를 꼬아 만든 것을 말하는 것으로, 후크 등에 걸 수 있도록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에 고리를 형상한 구조인 와이어로프슬링의 형태로 주로 사용 한다.The wire rope is a secondary processing product of wire rope. It is also called steel wire rope. It is made of 1 ~ 3mm steel wire, then strands are made, rope made of manila hemp and other fibers It is a wire rope sling which is a structure in which a ring is formed at both ends of a wire rope so that it can be hooked to a hook.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슬링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운반하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운반체에 옮겨 싣거나 운반체로부터 하역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로프슬링의 일반적인 사용분야를 살펴보면, 호이스트를 비롯한 기계장비, 크레인을 이용한 건설분야, 선박에 의한 물품의 하역장, 중소형의 어선 등에 사용되는 어업 분야, 공중 케이블, 대형의 교량에 사용되는 강철제 현수선, 수직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제품 등을 예시할 수 있다.Generally, wire rope sling is mainly used for lifting heavy loads, for transporting heavy loads from one point to another, for transporting heavy loads to a carrier, or for unloading from a carrier. Typical applications of wire rope sling include: mechanical equipment including hoists; construction fields using cranes; loading areas of goods by ship; fishing industries such as small and medium fishing boats; aerial cables; , An elevator product that is vertically ascended and descended, and the like.

이때, 와이어로프슬링의 종류로는,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을 각각 고리(Eye) 형상으로 만들고 와이어로프의 겹쳐지는 부분을 금속재질로 압착(슬리브 압착 등)하여 고정하는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고,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을 겹쳐 루프(링 형상)를 만들고 와이어로프의 겹쳐지는 부분을 금속재질로 압착(슬리브 압착 등)하여 고정하는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wire rope sling can be used in the form that the both ends of the wire rope are made into an eye shape and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wire rope is fixed by pressing (sleeve pressing or the like) with a metal material, Both ends of the wire rope can be overlapped to form a loop (ring shape), and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wire rope can be fixed by pressing (sleeve crimping, etc.) with a metal material.

이 중, 양 끝단에 고리(Eye)가 형성된 와이어로프의 경우, 사용한계하중(WLL; Working Load Limit)을 올리기 위해 한 가닥의 단위로프를 중심으로 외부에 여러 가닥의 단위로프를 꼬아 와이어로프슬링을 만들 수 있으며, 한 가닥의 단위로프를 중심으로 외부에 여섯 가닥의 단위로프를 꼬아 와이어로프슬링을 만든 것을 케이블레이드 슬링(Cable-laid sling)이라 한다.In the case of a wire rope having an eye at both ends thereof, in order to raise a working load limit (WLL), a plurality of strands of a unit rope are twisted around a single unit rope to form a wire rope sling And a cable rope sling is made by twisting six ropes of a unit rope around a single rope to form a wire rope sling.

이때, 케이블레이드 슬링을 형성하기 위한 끝단부 처리 방법은 아이스플라이스(EYE SPLICE)법, 아이클램프(EYE CLAMP)법, 클램프(CLAMP)조임법 등이 주로 사용되나, 아이스플라이스(EYE SPLICE)법은 본래의 와이어로프의 끝단 가닥들을 풀어 이으려고 하는 와이어로프에 얽히게 꼬아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잇는 아이스플라이싱(Eye splicing) 방식으로, 끝단부 처리 시 많은 힘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이클램프(EYE CLAMP)법은 파이프 상의 슬립(알루미늄계 합금 또는 철 등)에 와이어로프를 넣고 압축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와이어로프슬링의 외측으로 슬립이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와이어로프슬링을 사용할 때, 주변 구조물 등에 로프의 끝단부 또는 이음쇠 등이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이러한 로프 걸림 문제는 결국 와이어 로프의 연결부가 끊어져 하역 작업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위험이 있고, 또한 주변 구조물에 걸림에 따라 하역 작업을 방해할 수 있음은 물론, 금속 소선들의 날카로운 끝단부에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등 안전사고발생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an end portion treatment method for forming a cable lay sling is mainly used such as an EYE SPLICE method, an EYE CLAMP method, a CLAMP tightening method and the like, but the EYE SPLICE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ye splicing method in which two wire ropes are twisted and twisted into a wire rope to unwind the original end of the wire rope requires a lot of power and time in the end treatment, The clamp (EYE CLAMP)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wire rope is inserted into a slip on a pipe (such as an aluminum-based alloy or iron), and is compressed and fixed. A portion of the slip protruding outside the wire rope slings is formed, , The end of the rope or fittings are caught in peripheral structures and the like. Such a problem of rope clogging is, There is a risk of causing a serious danger to the unloading operation and a danger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possibility that a worker may be injured at a sharp end of a metal wire, have.

클램프(CLAMP)조임법은 U자형 클립(Clip)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방법으로 와이어로프슬링의 외측으로 U자형 클립(Clip)이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와이어로프슬링을 사용할 때, 주변 구조물 등에 로프의 끝단부 또는 이음쇠 등이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이러한 로프 걸림 문제는 결국 와이어 로프의 연결부가 끊어져 하역 작업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위험이 있고, 또한 주변 구조물에 걸림에 따라 하역 작업을 방해할 수 있음은 물론, 금속 소선들의 날카로운 끝단부에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등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clamping method is a method of binding using a U-shaped clip, in which a portion where a U-shaped clip protrudes outside the wire rope sling is formed, and when the wire rope sling is used, And the problem of the rope jamming eventually results in a risk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ire rope is cut off and thus poses a considerable risk to the unloading operation and that it may interfere with the unloading operation due to the jamming of the peripheral structure In addition, there is a risk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for example, a worker may be injured at a sharp end portion of a metal wire.

등록특허공보 제10-0992580호(2010.11.01.)Patent Registration No. 10-0992580 (2010.11.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고리(Eye) 형상을 만들고, 겹치는 부분을 꼬은 후 끝단이 마감부에 의해 견고하게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돌발적인 하중물의 이탈이나 슬링의 고장으로 인한 하중물의 이탈을 직간접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레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forming an eye shape by using a single continuous cable laid, Provided is a cable laid capable of preventing a sudden departure of a load or a departure of a load due to a breakdown of a sling,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 have to.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은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에 있어서, 연결부심선과 연결부심선을 중심으로 외주면에 휘감기는 다수의 연결부외곽선을 포함하는 연결부; 연결부심선의 연장선인 아이부심선과 연결부외곽선의 연장선인 아이부외곽선을 포함하며, 아이부심선과 아이부외곽선이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아이부; 아이부심선의 연장선인 꼬임부심선과 아이부외곽선의 연장선인 꼬임부외곽선을 포함하며, 연결부에 꼬여지는 꼬임부; 연결부와 꼬임부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마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le laid sling which is manufactured by using a single row of cable laid, wherein the cable laid sling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part outlines wound around the connecting core wire and the connecting core wire,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n eye part including an eye part line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a connection part core line and an eye part outline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a connection part outline and in which an eye part and an eye part outline are formed in a ring shape; A twist portion including a twisted meridian,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yepiece line, and a twisted outline,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ye contour, and which is twisted at the joint; And a finishing portion for fixing the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twist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은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결부심선을 중심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부외곽선을 휘감아 연결부를 제조하는 연결부제조 단계; 연결부심선의 연장선인 아이부심선과 연결부외곽선의 연장선인 아이부외곽선을 이용하여 고리모양의 아이부를 형성하는 아이부형성 단계; 연결부심선의 연장선인 꼬임부심선은 연결부외곽선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인입하고, 아이부외곽선의 연장선인 꼬임부외곽선은 연결부외곽선에 휘감아 꼬임부를 형성하는 제강 단계; 및 꼬임부외곽선의 끝단을 연결부에 고정시켜 마감부를 형성하는 마감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manufactured by using a continuous cable laid, wherein a plurality of connecting line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A connection part manufacturing step; An eye part forming step of forming an annular eye part by using an eye part line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a connection part core line and an extension line of a connection part outline; A twisting step of extending the connection core wire into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outline of the connection part, and a twisted outline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ye outline is wound on the outline of the connection part to form a twisted part; And a finishing step of forming a finishing portion by fixing an end of the outline of the twisted part to the connecting part. [001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본 발명은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고리(Eye) 형상을 만들고, 겹치는 부분을 꼬은 후 끝단이 마감부에 의해 견고하게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돌발적인 하중물의 이탈이나 슬링의 고장으로 인한 하중물의 이탈을 직간접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ye shape is formed by using a single row of cable laid, the overlapping portion is twisted, and the end portion is tightly closed by the finishing portion so that the load due to the sudden departure of the load or the failure of the sling It has a remarkabl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directly or indirectly prevent water from escaping an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에서 꼬임부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2a 내지 도 2g를 통해 연결부에 꼬임부가 꼬여지는 단면을 구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에서 마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에서 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에서 제강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에서 마감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wisted portion in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wisted portion twis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through FIGS.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d of the cable laid sl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reinforcement part in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showing a steel making step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nishing step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i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he term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in order to explain it in the best wa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shown what is not necessary in order to reveal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publicly known structure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add, .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 및 이의 제조방법은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고리(Eye) 형상을 만들고, 겹치는 부분을 꼬은 후 끝단이 마감부에 의해 견고하게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돌발적인 하중물의 이탈이나 슬링의 고장으로 인한 하중물의 이탈을 직간접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레이드 슬링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cable laid sling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 an eye shape by using a single row of cable laid, twist the overlapped portions, and then end portions are tightly closed by the finish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laid sl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ble laid sling, which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by directly or indirectly preventing the departure of a load due to water dropout or a failure of a sl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에서 꼬임부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2a 내지 도 2g를 통해 연결부에 꼬임부가 꼬여지는 단면을 구간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에서 마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wisted portion in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ishing portion in the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은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에 관한 것으로, 연결부(10), 아이부(20), 꼬임부(30) 및 마감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laid sling which is manufactured using a single row of cable raids and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10, an eye portion 20, a twist portion 30 and a finishing portion 40 .

먼저, 케이블레이드는 연속되는 한 줄의 중심선(core)에 다수의 스트랜드를 휘감아 제조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연결부(10)를 의미하며, 상기 연결부(10)의 연장선인 아이부(20)와 꼬임부를 통해 케이블레이드 슬링이 제조되도록 한다.First, a cable laid is manufactured by winding a plurality of strands around a continuous center lin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cable 10 " refers to a connecting portion 10, To allow the cable lay sling to be manufactured.

연결부(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속되는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에서 고리 형상(Eye)을 이루는 아이부(20)의 시작점 까지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연결부(10) 양쪽으로 후술되는 아이부(20)가 각각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레이드 슬링을 제공한다.1, the connecting portion 10 refers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eye portion 20 which forms an annular shape in a row of continuous cable raids. Preferably, the connecting portion 1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10, Respectively, so that the cable laid sling is provided.

이러한 연결부(10)는 연결부심선(11)과 상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외주면에 휘감겨지는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외곽선(12)의 개수는 6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ortion 10 includes a connection core wire 11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s 12 woun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core wire 11 with the number of connection contour lines 12 being 6 .

즉 연결부외곽선(12)은 제1연결부외곽선(12a), 제2연결부외곽선(12b), 제3연결부외곽선(12c), 제4연결부외곽선(12d), 제5연결부외곽선(12e) 및 제6연결부외곽선(12f)으로 이루어져 연결부심선(11)의 외주면에 6가닥으로 휘감겨지게 된다.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outline 12 h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outline 12a, a second connecting portion outline 12b, a third connecting portion outline 12c, a fourth connecting portion outline 12d, a fifth connecting portion outline 12e, Outline 12f and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11 in six strands.

이때, 연결부(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다수의 세트를 갖도록 휘감겨지는 연결부외곽선(12)은 한 세트에 형성되는 길이, 즉 휘감겨지는 길이는 연결부(10)의 단면인 연결부심선(11)과 연결부외곽선(12)에 의한 직경보다 약 6배 ~ 7.5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케이블레이드 슬링에 큰 힘이 가해지더라도 강도 저하 및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 which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so as to have a plurality of spiral shapes, is a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And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tour 12 by about 6 to 7.5 times. Thus, even when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cable laid sling, the strength reduction and breakage can be prevented.

아이부(20)는 연결부(10)의 연장된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부(2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되,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아이부(20)의 끝단에 연장된 후술되는 꼬임부(30)가 연결부(10)의 일부분에 겹쳐지도록 한다.The eye portion 20 is an elongated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an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ye portion 20 as shown in Fig. So that the elongated later-described twist portion 30 overlaps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

이러한 아이부(20)는 연결부심선(11)의 연장선인 아이부심선(21)과 연결부외곽선(12)의 연장선인 연결부외곽선(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ye portion 20 includes an eye contour 21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onnection core wire 11 and a connection contour 12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onnection contour 12.

이때, 아이부(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가로축 폭(h)이 세로축 폭(w)보다 약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formed by the eye portion 20 is formed such that the horizontal axis width h has a length of about two times longer than the vertical axis width w.

이에, 케이블레이드 슬링에 힘이 가해지면, 가로축 방향으로 가장 큰 장력이 발생됨으로써, 케이블레이드 슬링에 가해지는 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므로, 수명 저하를 최소화하고, 케이블레이드 슬링이 끊어져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cable laid sling, the greatest tension is generated in the horizontal axis dir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force applied to the cable laid sling. Therefore, the life of the cable laid sling can be minimized, Can be prevented in advance.

꼬임부(30)는 아이부(20)의 연장된 부분으로 연결부(10)의 일부분에 휘감가져 아이부(20)에 의한 고리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아이부심선(21)의 연장선인 꼬임부심선(31)과 아이부외곽선(22)의 연장선인 꼬임부외곽선(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wist portion 30 is an elongated portion of the eye portion 20 and is wound around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so that the ring shape of the eye portion 20 is firmly maintained. And a twist contour line 32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ye contour line 22 and the twist contour line 31.

상세하게, 꼬임부외곽선(32)은 제1꼬임부외곽선(32a), 제2꼬임부외곽선(32b), 제3꼬임부외곽선(32c), 제4꼬임부외곽선(32d), 제5꼬임부외곽선(32e) 및 제6꼬임부외곽선(32f)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twisted contour 32 includes a first twist contour 32a, a second twist contour 32b, a third twist contour 32c, a fourth twist contour 32d, a fifth twist contour 32b, An outline 32e and a sixth twisted outline 32f.

이때, 연결부(10)의 연장선인 아이부(20) 및 꼬임부(30)를 합한 길이는 아이부(20) 길이의 약 2.5배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연결부(10)의 연장선인 아이부(20)가 형성된 후에도 꼬임부(30)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꼬임부(30)가 연결부(10)에 충분하게 꼬여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of the eye 20 and the twisted portion 30, which are extension lines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can be configured to have a length of about 2.5 times the length of the eye 20. This is because the twist portion 30 is sufficiently long after the eye portion 20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is formed so that the twist portion 30 is sufficiently twisted and firmly engag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0 .

이러한 꼬임부(30)는 연결부(10)에 겹쳐져 꼬여지되,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부(10)와 꼬임부(30)의 시작점이 꼬여지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제1꼬임부(30a), 제2꼬임부(30b), 제3꼬임부(30c), 제4꼬임부(30d), 제5꼬임부(30e), 제6꼬임부(30f) 및 제7꼬임부(30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ed portion 30 are twisted and twis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10, The first twisted portion 30a, the second twisted portion 30b, the third twisted portion 30c, the fourth twisted portion 30d, the fifth twisted portion 30e, the sixth twisted portion 30f and the seventh twisted portion 30g ).

제1꼬임부(30a)는 연결부(10)와 꼬임부(30)의 시작되는 부분이 상호 꼬여지는 것으로,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 중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 중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The first twist portion 30a is formed such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starting portion of the twist portion 30 are twisted with each other to form a first twist contour 32 of the plurality of twist contour lines 32 32a are draw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c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s 12 and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e, The second twisted contour line 32b is drawn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 12c and drawn out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 12c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12d, The outline 32c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b to be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c and the fourth twist portion contour 32d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outline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part outline 12f to form the first connection part out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Line 12b and the fifth twisted contour 32e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so as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32f is drawn between the fifth and sixth connecting part contours 12e and 12f and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ng part contour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part contour 12e .

제2꼬임부(30b)는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2B, the first twisted contour line 32a is drawn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lines 12c and 12d to form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second twisted contour 32b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contours 12b and 12c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contour 12d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And the third twisted contour 32c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s 12a and 12b to be drawn out between the connection contour 12e and the third connection contour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contour 12c, 12d and the fourth twisted contour line 32d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s 12a and 12f and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contours 12b and 12c And the fifth twisted contour line 32e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12f,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contour line 12a and the second contour line 12b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third contour line 12c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12d,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part outline 12f.

제3꼬임부(30c)는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2C, the first twisted contour line 32a is drawn between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e to form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a, And the second twisted contour 32b is drawn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on contours 12c and 12d so as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And the third twist line outline 32c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line outlines 12b and 12c to be drawn out between the connection line outline 12f and the fourth connection line out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part outline 12c, 12e and the fourth twisted contour line 32d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s 12a and 12b so as to be drawn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contour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contour 12d And the fifth twisted contour 32e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The sixth kink out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outer contour line 12b and the third outer contour line 12c and the sixth kink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contour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contour 12e,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part outline 12f.

제4꼬임부(30d)는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2d, the first twisted contour line 32a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12f to form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12a, And the second twisted contour line 32b is drawn between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12b, And the third twist contour 32c is drawn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on contours 12c and 12d so as to be drawn out between the connection contours 12f and 12c and the fifth connection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c, And the fourth folded contour line 32d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s 12b and 12c and drawn between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fifth twisted contour line 32e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contour 12b, The sixth kink out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outer contour line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contour 12d and the sixth kink oute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utline 12b.

제5꼬임부(30e)는 도 2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2E, the first twisted contour 32a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s 12a and 12f to form a second connection contour 12b, And the second twisted contour 32b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contour 12c, And the third twist contour 32c is drawn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connection contours 12d and 12e so as to be drawn out between the connection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b. And the fourth folded contour line 32d is drawn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lines 12c and 12d and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12f And the fifth twisted contour 32e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contour lines 12b and 12c, And the sixth kink out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f to be drawn out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ut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outline 12e,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outline 12c.

제6꼬임부(30f)는 도 2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2f, the first twisted contour line 32a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12b to form the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 12c,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12b to be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12b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12b, And is drawn out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contour lines 12c.

제7꼬임부(30g)는 도 2g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The seventh twisted portion 30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2g so that the first twisted contour 32a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ortions 12b and 12c to for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contour 12a, And the second twisted contour 32b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s 12a and 12f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contour 12d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And the third twist contour 32c is drawn between the fifth and sixth connection contours 12e and 12f so as to be drawn out between the connection contour 12e and the third connection contour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contour 12c. 12d and the fourth twisted contour line 32d is drawn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connection contours 12d and 12e to be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contours 12b and 12c And the fifth twisted contour line 32e is drawn between the third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12c and 12d to form the first And the sixth kink out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outer 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uter line 12b to be drawn out between the connection part out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utline 12b,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part outline 12f.

이와 같이, 제1꼬임부(30a) 내지 제7꼬임부(30g)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10)와 꼬임부(30)가 모두 꼬여지면, 제1꼬임부외곽선(32a) 내지 제6꼬임부외곽선(32f) 각각은 제1연결부외곽선(12a) 내지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seventh twisted portions 30a to 30g are sequentially forme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ed portion 30 are both twisted, the first to twisted portions 32a to 6 Each of the twisted contour lines 32f protrudes outward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f.

마감부(40)는 연결부(10)와 꼬임부(30)의 끝단, 즉 제1연결부외곽선(12a) 내지 제6연결부외곽선(12f) 각각을 상기 연결부(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체인고리(41), 와이어(42) 및 클립(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nishing portion 40 fixes the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 portion 30,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outline 12a to the sixth connecting portion outline 12f to the connecting portion 10, (41), a wire (42), and a clip (43).

이러한 마감부(40)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Such a finishing portion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체인고리(41)는 꼬임부(30)에 구비되는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토막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chain link 41 is coupled to the ends of a plurality of twisted contour lines 32 provided in the twisted portion 30, respectively,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emi-annular ring as shown in FIG.

이때, 체인고리(41)의 결합은 꼬임부외곽선(32) 끝단과 용접을 통해 이루어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engagement of the chain link 41 is made by welding with the end of the outline 32 of the kink, so that it is firmly engaged.

와이어(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 각각에 체인고리(41)가 결합되면, 상기 체인고리(41)를 모두 관통하도록 끼워지되, 연결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chain ring 41 is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wisted contour lines 32, the wire 42 is inserted so as to penetrate all the chain rings 41,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와이어(42)는 직경이 7 내지 11mm로 이루어진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42)를 연결부(10)의 외주면에 여러번 감기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 42 may be formed by a wire made of a wire having a diameter of 7 to 11 mm, and the wire 42 may be wound several tim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클립(43)은 다수의 체인고리(41)를 관통하도록 끼워져 연결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는 와이어(42)의 일부분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42)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lip 43 is inserted through the plurality of chain rings 41 and is engaged with a portion of the wire 42 to wrap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to prevent the wire 42 from being loosened.

이러한 클립(43)은 'U형 볼트 클립(U-Bolt Cli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lip 43 may be a U-Bolt Clip.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43) 내에 형성된 공간에 와이어(42)가 끼워지도록 한 후, 너트(도면부호 미표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42)의 겉면을 가압함으로써, 연결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와이어(42)가 풀리지 않고 견고하게 체인고리(41)를 상호간에 연결함으로써, 연결부(10)와 꼬임부(30)가 마감부(4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4, after the wire 42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in the clip 43,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42 is pressed by using a nut (not shown)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ed portio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losing portion 40 by connecting the chain rings 41 to each other firmly without loosening the plurality of wires 42 that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Ensure that they are firmly connected.

설계조건에 따라, 아이부(20)의 외주면에 보강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portion 5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ye portion 20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이러한 보강부(5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이부(20)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보강와이어(51)가 휘감겨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레이드 슬링 사용시, 물체 또는 고리 등이 체결되는 아이부(20)에 상기 접촉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고, 마모에 따른 수명 저하를 지연시켜,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장기 사용과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4, when a plurality of reinforcing wires 51 ar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ye 20, when the cable laid sling is us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abrasion by the contact and to delay the life span due to abras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cable laid sling for a long time and safe use.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은 연결부(10)와 꼬임부(30)가 제1꼬임부(30a) 내지 제7꼬임부(30g)에 의해 상호간에 견고하게 꼬여짐으로써, 상호간에 분리되거나 꼬임이 풀리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 portion 30 are firmly twisted by the first twist portion 30a to the seventh twist portion 30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such as disconnection or untwisting of the cable.

또한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고리(Eye) 형상을 만들고, 겹치는 부분을 꼬은 후 끝단이 마감부(40)에 의해 견고하게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돌발적인 하중물의 이탈이나 슬링의 고장으로 인한 하중물의 이탈을 직간접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eye shape by using a single continuous cable laid, twisting the overlapping portion, and then finishing the end portion firmly by the finishing portion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udden departure of the load or a failure of the sling The departure of the load can be prevented directly or indirectly, and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연결부(10)에 꼬여져 마감되는 꼬임부(30)의 끝단이 상기 마감부(4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날카로운 부분을 없앰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깔끔한 마감처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twisted portion 30, which is twist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0,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finishing portion 40, thereby eliminating a sharp portion,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and providing a clean finish.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overlapping portions of the contents already described in Figs. 1 to 4 have not been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에서 제강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에서 마감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nishing step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은 연결부제조 단계(S10), 아이부형성 단계(S20), 제강 단계(S30) 및 마감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manufacturing step (S10), an eye forming step (S20), a steelmaking step (S30), and a finishing step (S40).

이때, 케이블레이드 슬링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Eye)가 형성되는 부분은 양 끝단에 각각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able laid sling is preferab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portion where the eye is formed.

즉 후술되는 연결부제조 단계(S10)에서 연결부(10)가 제조되면, 아이부형성 단계(S20)와 제강 단계(S30), 마감 단계(S40) 및 보강 단계(S50)는 상기 연결부(10)의 양 끝단에서 각각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That is, when the connecting portion 10 is manufactured in the connecting portion manufacturing step S10 described later, the eye forming step S20, the steelmaking step S30, the finishing step S40, and the reinforcing step S50 are performed, It is of course constructed to be formed at both ends.

연결부제조 단계(S10)는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그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을 휘감아 연결부(1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The connecting portion manufacturing step S10 is a step of manufacturing the connecting portion 10 by wind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 contour lines 12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11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연결부제조 단계(S10)는 코어의 외주면에 다수의 스트랜드를 나선형으로 휘감는 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연결부심선(11)의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을 휘감는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manufacturing step S10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winding a plurality of strands spir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 outline lines 12 ar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11.

아이부형성 단계(S20)는 연결부심선(11)의 연장선인 아이부심선(21)과 연결부외곽선(12)의 연장선인 아이부외곽선(22)을 이용하여 고리모양의 아이부(20)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In the eyepiece forming step S20, the annular eye portion 20 is formed by using the eyepiece 21,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onnecting core wire 11, and the eyepiece contour 22,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tour 12, .

이러한 아이부형성 단계(S2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며, 연결부(10)의 연장선인 꼬임부(30)가 고리 형태의 아이부(20)에 의해 연결부(10) 일부분에 겹쳐지도록 한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yepiece forming step S2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 portion 30,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So as to overlap a part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이때, 아이부형성 단계(S20)에서 아이부(20)가 형성되면, 상기 아이부(20)가 끝나는 지점인 동시에 꼬임부(30)의 시작점인 부분을 연결부(10)와 함께 감싸도록 별도의 밴드(도면부호 미표시)가 체결될 수 있다.When the eyepiece 20 is formed in the eyepiece forming step S20, the eyepiece 20 is separated from the eyepiece 20 so that the eyepiece 20 is terminated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twisting unit 30 is enclosed with the connecting unit 10. [ A band (not shown) can be fastened.

이에, 아이부형성 단계(S20) 이후, 후술되는 제강 단계(S30)에서 연결부(10)와 꼬임부(30)가 상호 꼬여지기 이전에 상기 연결부(10)와 꼬임부(30)가 임시로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ing portion 30 are temporarily fastened to each other before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ing portion 30 are twisted in the steel making step S30, So that an effici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제강 단계(S30)는 연결부(10)의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연결부외곽선(12)과 꼬임부외곽선(32)이 상호간에 꼬여지도록 하여 서로 맞물리게 하는 단계로, 정방향꼬임 단계(S31) 및 역방향꼬임 단계(S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eelmaking step S30 is a step of engaging the connecting portion contour line 12 and the twisted contour line 32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are mutually twisted about the connecting core wire 11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The forward twisting step S31, And a reverse twist step (S32).

이때, 제강 단계(S30)는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에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이 꼬여지도록 하되, 꼬임부심선(31)은 연결부심선(11)이 위치한 공간인 연결부외곽선(12) 내부로 삽입한다.At this time, in the steelmaking step S30, a plurality of twisted contour lines 32 are twisted to a plurality of connection contour lines 12, and the twisted ribbons 31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tour line 12, which is a space where the connection core wire 11 is located. .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 내부에는 연결부심선(11)과 꼬임부심선(31)이 함께 위치하도록 한 후, 후술되는 정방향꼬임 단계(S31) 및 역방향꼬임 단계(S32)를 통해 연결부외곽선(12)과 꼬임부외곽선(32)이 상호간에 꼬여지도록 한다.2, after the connection core wire 11 and the twisted pair wire 31 are positioned together insid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 outlines 12, a forward twisting step S31 and a reverse twisting step S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ng portion contour line 12 and the twisted contour line 32 are twis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tep S32.

정방향꼬임 단계(S31)는 연결부(10)와 꼬임부(30)가 접촉되는 부분, 즉 꼬임부(30)의 시작점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부외곽선(12)에 꼬임부외곽선(32)이 꼬여지도록 하는 단계로,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및 6단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역방향꼬임 단계(S32)는 상기 6단계 이후에 7단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및 7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orward twisting step S31 is a step of causing the twisted contour 32 to be twis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contour 12 sequentiall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twisted portion 30 at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ed portion 30 are in contact, 2, 3, 4, 5, and 6 are performed, and the backward twist step S32 is performed such that the seventh step is performed after the sixth step. In the first, second, Step 3, Step 4, Step 5, Step 6 and Step 7 are sequentially performed.

이때,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및 7단계는 각 단계마다 제1꼬임부(30a), 제2꼬임부(30b), 제3꼬임부(30c), 제4꼬임부(30d), 제5꼬임부(30e), 제6꼬임부(30f) 및 제7꼬임부(30g)가 형성되도록 한다.The first twist portion 30a, the second twist portion 30b, the third twist portion 30c, and the second twist portion 30b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sixth, The fourth twist portion 30d, the fifth twist portion 30e, the sixth twist portion 30f and the seventh twist portion 30g are formed.

이에, 연결부(10)에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인 제1꼬임부외곽선(32a), 제2꼬임부외곽선(32b), 제3꼬임부외곽선(32c), 제4꼬임부외곽선(32d), 제5꼬임부외곽선(32e) 및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견고하게 꼬여지도록 한다.A first twist contour line 32a, a second twist contour line 32b, a third twist contour line 32c, and a fourth twist contour line 32d, which are a plurality of twist contour lines 32, ), The fifth twisted contour line 32e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are firmly twisted.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 중 제1꼬임부외곽선(32a)은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 중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되, 1단계에서 7단계까지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입되도록 하며, 1단계에서 6단계까지 각 단계에서 인입되는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으로부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7단계에서 인입되는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으로부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이격된 또 다른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2, the first twisted contour line 32a of the plurality of twisted contour lines 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contour 12b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ontours 12, (12), and are sequentially draw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connecting core wire (11) from step 1 to step 7, and the two connecting part outline (12) drawn in each step from step 1 to step 6 are inserted, (12)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connecting core wire (11) from the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11) To be drawn out between two further clockwise connection outline lines (12).

또한 제2꼬임부외곽선(32b)은 1단계에서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하고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2단계는 상기 1단계와 동일한 위치로 인입되도록 하되, 2단계 내지 5단계 및 7단계에서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입되도록 하고, 1단계에서 5단계까지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며, 7단계에서 인입되는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으로부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The second twisted contour line 32b is drawn i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lines 12b and 12c in the first stage and drawn out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 12c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12d , The second step is to be pull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to the fifth step and the seventh step are sequentially enter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entering on the connecting core wire 11, And the other two connection part outlines 12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connection part core wire 11 from the two connection part outline lines 12 drawn in step 7 are sequentially drawn ou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entering on the core wire 11, (12).

또한 제3꼬임부외곽선(32c)은 1단계에서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하며,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되, 2단계 내지 5단계 및 7단계는 상기 제2꼬임부외곽선(32b)과 동일한 규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third twist contour 32c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s 12a and 12b in the first stage and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contours 12b and 12c , And steps 2 to 5 and 7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twisted contour line 32b.

또한 제4꼬임부외곽선(32d)은 1단계에서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하며,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되, 2단계 내지 5단계 및 7단계는 상기 제2꼬임부외곽선(32b)과 동일한 규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twisted contour line 32d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line outline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line outline 12f in a first stage and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line out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outline 12b , And steps 2 to 5 and 7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twisted contour line 32b.

또한 제5꼬임부외곽선(32e)은 1단계에서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하며,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되, 2단계 내지 5단계 및 7단계는 상기 제2꼬임부외곽선(32b)과 동일한 규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fth twisted contour line 32e is drawn in between the fifth and sixth connection line contours 12e and 12f in the first stage and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line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 And steps 2 to 5 and 7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twisted contour line 32b.

또한 제6꼬임부외곽선(32f)은 1단계에서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하고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2단계에서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되, 상기 2단계에서 6단계까지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입되도록 하며, 7단계는 상기 6단계와 동일한 위치로 인입되도록 하고, 1단계에서 5단계까지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며, 6단계는 상기 5단계와 동일한 위치로 인출되도록 하고, 7단계에서 인입되는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으로부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 사이로 인출되도록 한다.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in between the fifth and sixth connection lines 12e and 12f in the first stage and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line outline 12e In the second stage,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art outline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outline 12d. In the second step, the connection part core wire 11 is sequentially draw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step 2 to step 6, Step 6 is carried out in the same position as step 6, and is sequentially drawn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onnecting core wire 11 from step 1 to step 5. In step 6, And is drawn out between the two connecting part outlines 12 separ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connecting part core wire 11 from the two connecting part outlines 12 taken in step 7.

이에 따라, 제강 단계(S30)는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및 6단계를 포함하는 정방향꼬임 단계(S31)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에 역방향꼬임 단계(S32)를 통해 정방향꼬임 단계(S31)와 반대방향으로 꼬여지는 7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강 단계(S30)를 통해 연결부(10)와 꼬임부(30)가 보다 견고하게 꼬여지도록 하여, 꼬임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elmaking step S30 is performed in order to sequentially perform the forward twisting step S31 including the first step, the second step, the third step, the fourth step, the fifth step and the sixth step, and thereafter the reverse twisting step S32,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ed portion 30 are more firmly twisted through the steelmaking step S30 so that the twisted portion is twisted It can be avoided.

나아가, 상기와 같은 꼬임을 갖는 제강 단계(S30)를 통해 케이블레이드 슬링에 중량 또는 힘이 가해질수록 꼬임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레이드 슬링이 끊어지거나 꼬임이 풀려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s the weight or the force is applied to the cable laid sling through the steel making step S30 having the above-described twist, the twist becomes more rigid so that a safety accident that the cable laid sling may be broken or untwisted may occur .

설계조건에 따라, 정방향꼬임 단계(S31)는 5단계 시작전 꼬임부심선(31)을 절단하고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the forward twisting step S31 may be performed by cutting the twisted ribs 31 before the start of the fifth step.

즉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 내에 연결부심선(11)과 꼬임부심선(31)이 위치하는데, 상기 연결부심선(11)을 절단함으로써,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 내에 연결부심선(11)만이 위치하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2D, the connecting core wire 11 and the twisted pair wire 31 are located i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 outlines 12, and by cutting the connecting core wire 11, , Only the connecting core wire (11) is positioned withi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 outlines (12).

이에, 연결부(10)와 꼬임부(30)가 꼬여지는 단면의 부피가 꼬임부심선(31)이 절단되는 부분부터 감소되어 꼬임부(30)의 끝단 측으로 갈수록 상기 부피가 감소하는 형태가 됨으로써, 아이부(20) 측으로 중량이나 힘이 가해는 경우, 단면의 부피가 작은 연결부(10)과 꼬임부(30)가 꼬여진 부분이 상대적으로 단면의 부피가 큰 부분에 걸림되어 꼬인상태가 더욱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결부(10)와 꼬임부(30)의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volum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ed portion 30 is reduc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twisted meridian 31 is cut to reduce the volume as it goes toward the end of the twisted portion 30, In the case where weight or force is applied to the eye 20 side, the twiste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ed portion 30 having a small cross section is caught by a relatively bulky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The connection portion 10 and the twist portion 30 can be maintained in a solid state.

마감 단계(S40)는 꼬임부외곽선(32)의 끝단을 연결부(10)에 고정시켜 마감부(40)를 형성하는 단계로, 고리형성 단계(S41), 고리연결 단계(S42) 및 클립체결 단계(S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nishing step S40 is a step of fixing the end of the twisted contour line 32 to the connection portion 10 to form the finishing portion 40. The finishing step S40 is a step of forming a ring S41, (S43).

고리형성 단계(S41)는 꼬임부외곽선(32) 끝단에 체인고리(41)를 결합하는 단계이다.The ring forming step S41 is a step of joining the chain link 41 to the end of the twisted outline 32. [

한편, 제강 단계(S30)에서 연결부(10)와 꼬임부(30)의 꼬임이 완료되면, 상기 꼬임부(30)의 꼬임부외곽선(32) 6개는 모두 연결부(10)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가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wisting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twisting portion 30 is completed in the steelmaking step S30, all the twisted contour lines 32 of the twisted portion 30 are all protruded out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0 Is maintained.

이에,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 끝단 각각에 체인고리(41)를 결합함으로써, 후술되는 고리연결 단계(S42)를 통해 상기 체인고리(41)를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Thus, by connecting the chain rings 41 to the respective ends of the plurality of twisted contour lines 32, the chain links 41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ing connection step S42 described later.

이때, 고리형성 단계(S41)에서 꼬임부외곽선(32) 끝단에 결합되는 체인고리(41)는 반토막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in loop 41 coupled to the end of the twisted contour line 32 in the loop forming step S41 may be in the form of a half-closed loop.

나아가, 꼬임부외곽선(32)과 체인고리(41)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upling of the kink outline 32 and the chain link 41 can be achieved by welding.

고리연결 단계(S42)는 와이어(42)를 이용하여 다수의 체인고리(41)를 모두 관통시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이다.The ring connection step S42 is a step of allowing the plurality of chain rings 41 to penetrate through the wires 42 to be interconnected.

즉 고리연결 단계(S42)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 외주면을 감싸도록 와이어(42)가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42)는 다수의 체인고리(41) 모두에 끼워져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42)를 당기면,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은 연결부(10) 외주면으로 밀착된다.That is, in the ring connection step S42,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wire 42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0, and the wire 42 is inserted into all of the plurality of chain rings 41 And a plurality of twisted contour lines 3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when the wire 42 is pulled.

클립체결 단계(S43)는 다수의 체인고리(41)를 관통하도록 끼워져 연결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는 와이어(42)에 클립(43)을 체결하는 단계이다.The clip securing step S43 is a step of fastening the clip 43 to the wire 42 which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hain rings 41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이에, 와이어(42)에 클립(43)이 체결됨으로써, 연결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와이어(42)가 풀리지 않도록 하고, 체인고리(41)를 상호간에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부(10)와 꼬임부(30)가 마감부(4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The clip 43 is fastened to the wire 42 so that the plurality of wires 42 that ar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0 are not loosened and the chain rings 41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10 and the twist portion 30 are firmly coupled by the finishing portion 40.

설계조건에 따라, 아이부형성 단계(S20)에서 형성된 아이부(20)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보강와이어(51)를 휘감아 보강부(50)를 형성하는 보강 단계(S50)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A reinforcing step S50 of forming a reinforcing part 50 by wind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wires 51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ye part 20 formed in the eye part forming step S20 may be further performed.

이러한 보강 단계(S50)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아이부(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 개의 보강와이어(51)가 상기 아이부(20) 일부분의 외주면에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레이드 슬링 사용시 아이부(20)의 외주면에 가해지는 물체의 중력 또는 힘 등에 의해 아이부(20)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step (S50) allows a plurality of reinforcing wires (51) to be wrapp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part of the eye part (2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 part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abrasion or breakage of the eye portion 20 due to gravity or force of an object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 portion 20 or the like.

이때, 보강와이어(51)는 아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 형상으로 감싸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아이부(20)의 단면과 수직된 형상으로 감아질 수 있다. 즉 다수의 보강와이어(51) 중 일부의 보강와이어(51)는 아이부(20)의 외주면을 따라 단면과 수평에 가까운 형태로 감아지고, 나머지 보강와이어(51)는 일부의 보강와이어(51)와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다수의 보강와이어(51)를 가압하는 형태로 감겨짐으로써, 아이부(20)로부터 보강와이어(51)가 쉽게 분리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wire 51 may be provided to be wrapped in a screw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ye part 20, and may be wound in a shape perpendicular to the end surface of the eye part 20. The reinforcing wires 51 of som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wires 51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ye portion 20 in a shape close to the cross section and the remaining reinforcing wires 51 are wound around the reinforcing wires 51, The reinforcing wire 51 can be easily separated or broken from the eye portion 20 by winding the reinforcing wire 51 in the form of pressing the reinforcing wires 51 in a shape close to the vertical direction.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can be seen that branch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 are possible.

10 : 연결부 11 : 연결부심선
12 : 연결부외곽선 12a : 제1연결부외곽선
12b : 제2연결부외곽선 12c : 제3연결부외곽선
12d : 제4연결부외곽선 12e : 제5연결부외곽선
12f : 제6연결부외곽선 20 : 아이부
21 : 아이부심선 22 : 아이부외곽선
30 : 꼬임부 30a : 제1꼬임부
30b : 제2꼬임부 30c : 제3꼬임부
30d : 제4꼬임부 30e : 제5꼬임부
30f : 제6꼬임부 30g : 제7꼬임부
31 : 꼬임부심선 32 : 꼬임부외곽선
32a : 제1꼬임부외곽선 32b : 제2꼬임부외곽선
32c : 제3꼬임부외곽선 32d : 제4꼬임부외곽선
32e : 제5꼬임부외곽선 32f : 제6꼬임부외곽선
40 : 마감부 41 : 체인고리
42 : 와이어 43 : 클립
50 : 보강부 51 : 보강와이어
10: Connection part 11: Connection part conductor
12: connection contour line 12a: first connection contour line
12b: second connection part outline 12c: third connection part outline
12d: fourth connecting part outline 12e: fifth connecting part outline
12f: sixth connection part outline 20: eye part
21: eye contour line 22: eye contour
30: twist portion 30a: first twist portion
30b: second twist portion 30c: third twist portion
30d: fourth twist portion 30e: fifth twist portion
30f: sixth twist portion 30g: seventh twist portion
31: twist line 32: twist contour
32a: first twisted contour line 32b: second twisted contour
32c: third kink outline 32d: fourth kink outline
32e: fifth kink outline 32f: sixth kink outline
40: Closure part 41: Chain ring
42: wire 43: clip
50: reinforcing portion 51: reinforcing wire

Claims (10)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에 있어서,
연결부심선(11)과 상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외주면에 휘감기는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을 포함하는 연결부(10);
상기 연결부심선(11)의 연장선인 아이부심선(21)과 연결부외곽선(12)의 연장선인 아이부외곽선(22)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부심선(21)과 아이부외곽선(22)이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아이부(20);
상기 아이부심선(21)의 연장선인 꼬임부심선(31)과 아이부외곽선(22)의 연장선인 꼬임부외곽선(3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0)에 꼬여지는 꼬임부(30);
상기 연결부(10)와 꼬임부(30)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마감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마감부(40)는
상기 꼬임부(30)에 구비되는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 각각에 결합되는 체인고리(41);
상기 체인고리(41)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42); 및
상기 와이어(42)에 체결되는 클립(4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
In a cable laid sling fabricated using a single row of cable laid,
A connecting portion 10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11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 contour lines 12 woun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11;
And an eye contour 22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onnection contour 12 and the eye contour 21 and the eye contour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oop An eye part (20) for forming the shape of the eye part (20);
A twist portion 30 which includes a twisted meridian line 31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yepiece 21 and a twisted contour 32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ye contour 22 and is twis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0;
And a finishing unit 40 for fixing the ends of the coupling unit 10 and the twist unit 30,
The finishing portion (40)
A chain loop 41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wist contours 32 provided in the twist portion 30;
A wire (42) penetrating through the chain link (41) and interconnected; And
And a clip (43) fastened to the wire (4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부(20) 일부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다수 개의 보강와이어(51)가 휘감겨진 형태의 보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inforcing portion (50)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wires (51)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a part of the eye portion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꼬임부(30)는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 중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 중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는 제1꼬임부(30a);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는 제2꼬임부(30b);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는 제3꼬임부(30c);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는 제4꼬임부(30d);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는 제5꼬임부(30e);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는 제6꼬임부(30f);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꼬임부(30a) 내지 제6꼬임부(30f)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wist portion (30)
The first twisted contour 32a of the plurality of twisted contour lines 32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contours 12b and 12c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contours 12 to form a fourth connection contour 12d And the second twisted contour 32b is drawn between the second contour line 12b and the third contour contour 12c to be drawn out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 12c and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4 connecting line outline 12d and the third twist line outline 32c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out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outline 12b so as to be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line outline 12b and the third connecting line outline 12b, The fourth folded contour line 32d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lines 12a and 12f and drawn ou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lines 12a and 12b, And the fifth twist portion outline 32e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f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f so as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a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f, A first twisted portion 30a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e;
The first twisted contour line 32a is drawn between the third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12c and 12d and drawn out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12f, The outer contour line 32b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lines 12b and 12c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ng line outer 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line outer line 12e and the third connecting line outline 12c 32c are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b to be drawn out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d and the fourth twist portion contour 32d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f to be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c and the fifth twist portion contour 32e is drawn out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outline 12c, Is drawn between the outer contour line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f to form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b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lines 12c and 12d so as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12f A second twist portion 30b;
The first twist contour 32a is drawn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contour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contour 12e and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The third outer contour line 32b is drawn between the third outer contour line 12c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outer contour 12d and drawn out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outer line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outer line 12f, 32c are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ortions 12b and 12c and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portion 12e and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32d is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portion outline 12e,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out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utline 12b and drawn out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art outline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outline 12d and the fifth twisted part outline 32e is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out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utline 12b, Is drawn between the outer contour line 12a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f to form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b and the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c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connecting lines 12d and 12e and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12a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12f. A third twist portion 30c;
The first twisted contour line 32a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12f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12b, The third outer contour line 32b is drawn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outer contour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outer contour 12e and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outer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outer contour 12f, 32c are drawn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d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f and the fourth twist portion contour 32d Is draw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outline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outline 12c and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part out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part outline 12e and the fifth twisted part outline 32e is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part out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part outline 12e, Is drawn between the outer contour 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b to form the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c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d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12f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12b A fourth twist portion 30d;
The first twisted contour 32a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s 12a and 12f and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contour 12c, The third outer contour line 32b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outer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outer contour 12f and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outer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outer contour 12b, 32c are drawn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e to be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f and the fourth twist portion contour 32d Is drawn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art outline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outline 12d and drawn out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part outline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part outline 12f and the fifth twisted part outline 32e is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part outline 12f, Is drawn between the outer contour line 12b and the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 12c to form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e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32f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s 12a and 12f to be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contour 12c A fifth twist portion 30e;
The first twisted contour line 32a is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12b and drawn out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line contour 12c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12d, A sixth twist portion 30f for allowing the sub-contour line 32f to be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b and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line 12c, ; ≪ / RTI >
And the first twisted portion (30a) to the sixth twisted portion (30f) are sequentially form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꼬임부(30)는
제1꼬임부외곽선(32a)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2꼬임부외곽선(32b)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3꼬임부외곽선(32c)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되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이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입되어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5꼬임부외곽선(32e)이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이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되어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는 제7꼬임부(30g);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
The method of claim 3,
The twist portion (30)
The first twist contour 32a is draw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contours 12b and 12c to be draw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and the second twist contour 32a is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contour 12c, The third outer contour line 32b is drawn between the first outer connecting line 12a and the sixth connecting outer line 12f and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ng outer 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outer line 12e, 32c are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f to be drawn out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d and the fourth twist portion contour 32d Is drawn between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d and the fifth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e and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c while the fifth twist portion contour 32e is drawn out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contour 12c, Is drawn between the outer contour line 12c and the fourth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d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a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e contour line 12b And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lines 12a and 12b so as to be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ng line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ng line contour 12f And a seventh twisted portion (30g) formed in the cable laid portion.
삭제delete 연속된 한 줄의 케이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을 휘감아 연결부(10)를 제조하는 연결부제조 단계(S10);
상기 연결부심선(11)의 연장선인 아이부심선(21)과 연결부외곽선(12)의 연장선인 아이부외곽선(22)을 이용하여 고리모양의 아이부(20)를 형성하는 아이부형성 단계(S20);
상기 연결부심선(11)의 연장선인 꼬임부심선(31)은 연결부외곽선(12)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인입하고, 상기 아이부외곽선(22)의 연장선인 꼬임부외곽선(32)은 연결부외곽선(12)에 휘감아 꼬임부(30)를 형성하는 제강 단계(S30); 및
상기 꼬임부외곽선(32)의 끝단을 연결부(10)에 고정시켜 마감부(40)를 형성하는 마감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마감 단계(S40)는
상기 꼬임부외곽선(32) 끝단에 반토막 고리 형태의 체인고리(41)를 결합하는 고리형성 단계(S41);
와이어(42)를 이용하여 다수의 체인고리(41)를 모두 관통시켜 연결하는 고리연결 단계(S42); 및
상기 와이어(42)에 클립(43)을 체결하는 클립체결 단계(S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laid sling manufactured by using a single continuous cable laid,
A connecting portion manufacturing step (S10) of manufacturing a connecting portion (10) by wind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 contour lines (12)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1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eye part forming step S20 of forming an annular eye part 20 by using an eye part contour line 22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an eye contour line 21 which is an extension line of the connecting part core wire 11 and a connecting part contour line 12, );
The twisted meridian line 31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onnecting core wire 11 enters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necting portion contour line 12 and the twisted contour line 32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ye contour line 2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contour line 12) to form a twist portion (30); And
And a finishing step (S40) of forming a finishing portion (40) by fixing the end of the twisted contour line (32) to the connecting portion (10)
The finishing step (S40)
A ring forming step (S41) of coupling a chain ring (41) in the form of a tortuous ring to the end of the twisted outline (32);
A ring connecting step (S42)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all of the plurality of chain rings (41) using the wire (42); And
(S43) for fastening the clip (43) to the wire (4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이부형성 단계(S20)에서 형성된 아이부(20)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보강와이어(51)를 휘감아 보강부(50)를 형성하는 보강 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강 단계(S50)는
상기 아이부형성 단계(S20) 후 또는 제강 단계(S30) 후 또는 마감 단계(S40)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 reinforcing step (S50) of forming a reinforcing part (50) by wind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wires (51)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 part (20) formed in the eye part forming step (S20)
The reinforcing step (S50)
(S30), or after finishing (S40), after the eyepiece forming step (S2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강 단계(S30)는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및 6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방향꼬임 단계(S31); 및
상기 6단계 이후에 7단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방향꼬임 단계(S3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다수의 꼬임부외곽선(32) 중 제1꼬임부외곽선(32a)은 다수의 연결부외곽선(12) 중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되되, 1단계에서 7단계까지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입되도록 하며, 1단계에서 6단계까지 각 단계에서 인입되는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으로부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7단계에서 인입되는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으로부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이격된 또 다른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제2꼬임부외곽선(32b)은 1단계에서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입하고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2단계는 상기 1단계와 동일한 위치로 인입되도록 하되, 2단계 내지 5단계 및 7단계에서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입되도록 하고, 1단계에서 5단계까지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며, 7단계에서 인입되는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으로부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고,
제3꼬임부외곽선(32c)은 1단계에서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입하며, 제2연결부외곽선(12b)과 제3연결부외곽선(12c) 사이로 인출되되, 2단계 내지 5단계 및 7단계는 상기 제2꼬임부외곽선(32b)과 동일한 규칙으로 이루어지고,
제4꼬임부외곽선(32d)은 1단계에서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하며,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2연결부외곽선(12b) 사이로 인출되되, 2단계 내지 5단계 및 7단계는 상기 제2꼬임부외곽선(32b)과 동일한 규칙으로 이루어지고,
제5꼬임부외곽선(32e)은 1단계에서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하며, 제1연결부외곽선(12a)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출되되, 2단계 내지 5단계 및 7단계는 상기 제2꼬임부외곽선(32b)과 동일한 규칙으로 이루어지고,
제6꼬임부외곽선(32f)은 1단계에서 제5연결부외곽선(12e)과 제6연결부외곽선(12f) 사이로 인입하고 제4연결부외곽선(12d)과 제5연결부외곽선(12e)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며, 2단계에서 제3연결부외곽선(12c)과 제4연결부외곽선(12d) 사이로 인입되되, 상기 2단계에서 6단계까지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입되도록 하며, 7단계는 상기 6단계와 동일한 위치로 인입되도록 하고, 1단계에서 5단계까지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며, 6단계는 상기 5단계와 동일한 위치로 인출되도록 하고, 7단계에서 인입되는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으로부터 연결부심선(1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두 개의 연결부외곽선(12) 사이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elmaking step S30
A forward twisting step S31 for sequentially performing the steps 1, 2, 3, 4, 5, and 6; And
And a reverse twist step (S32) in which the seventh step is performed after the sixth step,
The first twisted contour 32a of the plurality of twisted contours 32 is drawn between the second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tour 12c of the plurality of contour lines 12, And the connection core wire 11 is inser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connection core wire 11 from the first connection step to the sixth connection step outline 12, And two other connection part outlines 12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connection part core wire 11 from the two connection part outline lines 12 drawn in step 7, (12)
The second twisted contour 32b is drawn i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on contours 12b and 12c in the first stage and drawn out between the third and the fourth connection contours 12c and 12d, The second step is to be drawn in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to the fifth step and the seventh step are to be sequentially draw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entering on the connecting core wire 11,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core wire 11 from the two connecting portion outline lines 12 drawn in Step 7, and the other two connecting portion outline lines 12,
The third twisted contour line 32c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 lines 12a and 12b in the first stage and drawn ou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line contour 12b and the third connection contour 12c, Step 2 to Step 5 and Step 7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twisted contour line 32b,
The fourth twisted contour line 32d is draw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contour lines 12a and 12f in the first stage and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line contour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contour line 12b, Step 2 to Step 5 and Step 7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twisted contour line 32b,
The fifth twisted contour line 32e is drawn between the fifth connection contour 12e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in the first stage and drawn ou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ontour 12a and the sixth connection contour 12f, Step 2 to Step 5 and Step 7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twisted contour line 32b,
The sixth twisted contour line 32f is drawn between the fifth and sixth connecting lines 12e and 12f in the first stage and drawn out between the fourth connecting line 12d and the fifth connecting line 12e, In the second stage,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art outline 12c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outline 12d. In the second step, the connection part core wire 11 is sequentially draw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step 2 to step 6, Is sequentially pulled ou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connecting core wire 11 from the first to the fifth step, and the sixth step is taken out to the same position as the fifth step Is drawn out from the two connecting part outlines (12) drawn in step 7 to the other two connecting part outlines (12) spaced clockwise around the connecting part core wire (1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n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꼬임 단계(S31)는
5단계 시작전 꼬임부심선(31)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레이드 슬링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forward twisting step (S31)
And cutting the twisted pair (31) before starting the fifth step.
삭제delete
KR1020160162435A 2016-12-01 2016-12-01 Cable laid s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tive KR101716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435A KR101716813B1 (en) 2016-12-01 2016-12-01 Cable laid s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435A KR101716813B1 (en) 2016-12-01 2016-12-01 Cable laid s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813B1 true KR101716813B1 (en) 2017-03-16

Family

ID=5849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435A Active KR101716813B1 (en) 2016-12-01 2016-12-01 Cable laid s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8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62B1 (en) * 2017-03-17 2018-02-14 에스폼 주식회사 Split rope apparatus of pendant type scaffoldings for power palnt boiler maintenance and jig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90091965A (en) * 2018-01-30 2019-08-07 상 범 강 Manufacturing method of safety sling and safety sling manufactured thereb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1598U (en) * 1983-03-10 1984-09-21 谷田部 毅 Wire rope reinforcement structure
JPH07197391A (en) * 1993-12-29 1995-08-01 Naigai Seiko Kk Method for forming eye of rope terminal
JP2009144318A (en) * 2009-03-27 2009-07-02 Katsuyama Rope:Kk Production method of hand-knitted ball hanging rope and hand-knitted ball hanging rope
KR100992580B1 (en) 2008-03-03 2010-11-12 강 상 범 Wire rope sling manufacturing method and wire rope sling manufactured
JP2011219895A (en) * 2010-04-09 2011-11-04 Sta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ling cable of spineless wire rope, and sling cable of spineless wire ro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1598U (en) * 1983-03-10 1984-09-21 谷田部 毅 Wire rope reinforcement structure
JPH07197391A (en) * 1993-12-29 1995-08-01 Naigai Seiko Kk Method for forming eye of rope terminal
KR100992580B1 (en) 2008-03-03 2010-11-12 강 상 범 Wire rope sling manufacturing method and wire rope sling manufactured
JP2009144318A (en) * 2009-03-27 2009-07-02 Katsuyama Rope:Kk Production method of hand-knitted ball hanging rope and hand-knitted ball hanging rope
JP2011219895A (en) * 2010-04-09 2011-11-04 Sta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ling cable of spineless wire rope, and sling cable of spineless wire rop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662B1 (en) * 2017-03-17 2018-02-14 에스폼 주식회사 Split rope apparatus of pendant type scaffoldings for power palnt boiler maintenance and jig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90091965A (en) * 2018-01-30 2019-08-07 상 범 강 Manufacturing method of safety sling and safety sling manufactured thereby
KR102062346B1 (en) * 2018-01-30 2020-01-03 상 범 강 Manufacturing method of safety sling and safety sling manufactured thereb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5172A (en) Flexible connection for cable wire rope ends
US9869056B2 (en) Rope end-fastening method, rope with end fastener, and end fitting for use in rope end-fastening method
KR100992580B1 (en) Wire rope sling manufacturing method and wire rope sling manufactured
KR101941700B1 (en) Rope having a spliced eye, corresponding method of forming an eye and use of the rope
US20150267347A1 (en) Chafe protected rope and protective cover therefore
KR101716813B1 (en) Cable laid s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147597B2 (en) Crane wire replacement method
KR101590383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 rope sling
KR101180252B1 (en) Wire rope sl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40141B1 (en) Method for making wire rope grommet Sling
KR101683001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grommet wire rope sling
KR101716790B1 (en) Method for wire rope sling manufacturing and wire rope sling by the same method
US2093838A (en) Gripping device
JP2025516909A (en) safety equipment
KR200251715Y1 (en) Towing rope
KR101713209B1 (en) Method for wire rope sling manufacturing and wire rope sling by the same method
KR102662415B1 (en) Fiber rope round sling
US6074124A (en) Log boom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open-sided hook
CN221201956U (en) Rope binding assembly for sea cable lifting
KR101720943B1 (en) Method for wire rope sling
KR10206234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afety sling and safety sling manufactured thereby
CN210458739U (en) Steel wire rope
CN215629434U (en) Suspension casting box girder longitudinal prestressed tendon overall reeving sleeve assembly
CN217458448U (en) Special combined rigging for hoisting steel pipe
US12246372B2 (en) Manual tool for expanding and manipulating steel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