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5572B1 -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72B1
KR101715572B1 KR1020160131319A KR20160131319A KR101715572B1 KR 101715572 B1 KR101715572 B1 KR 101715572B1 KR 1020160131319 A KR1020160131319 A KR 1020160131319A KR 20160131319 A KR20160131319 A KR 20160131319A KR 101715572 B1 KR101715572 B1 KR 10171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link member
guide
plate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박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찬 filed Critical 박종찬
Priority to KR102016013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굽기 위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에 승강수단을 설치하되, 그 승강수단의 상부에 구이대가 안착 및 상부로 승강되게 함으로써, 그 구이대와 화염기간의 거리 조절에 따른 구이물에 전해지는 화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구이속도의 조절과 구이종류에 따른 화염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구이기를 사용시 국물이 포함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필요시 구워진 구이물의 보온 보관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Roaster with a two-way lif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굽기 위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기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구이대에 올려진 구이물에 직접 화염을 가해 구이를 수행하면서도, 화염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화염의 열원을 이용하여 국물 등의 조리나 구이물의 보온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구이기는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굽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용 구이기는 테이블에 매설된 상태로 가스를 이용하여 화염이 구이기의 상부에 안착된 구이판에 직접 전달되게 함으로서, 가열된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물이 고온의 구이판에 의해 구워져 이를 섭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구이기는 테이블에 매설된 함체상의 본체와 그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숯불실 또는 가스연소에 의한 가열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숯불실 또는 가열실의 상부에는 판상의 구이판 또는 금속망의 구이망이 안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구이기는 숯불 또는 가스불을 이용하여 구이판에 직접 열을 가해 구이판의 열기에 의해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물을 굽게 되는 것으로, 구이시 구이물이 쉽게 구이판에 눌러붙으며, 이로 인해 구이물이 타는 등 구이시 난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 중 구이물에서 발생되는 육즙이나 기름 등이 구이판 하부의 숯불이나 가스불로 떨어져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발암물질을 발생시켰으며, 그 사용상에 있어서도 테이블에 고정되어 이동이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출원 제10-2013-0069762호, 특허출원 제10-2015-0116603호와 같이 구이물을 굽기위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화염기가 구이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 및 하부로 화염이 전해지게 함으로써, 구이물을 구울시 화염이 상부로부터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물로 직접 전달되게 하여 구이판에 구이물이 눌어붙어 타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구이시 구이물에서 발생되는 육즙 등의 기름이 화염으로 떨어져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발암물질의 발생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직화 구이기는, 화염부와 구이판과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인바, 항시 일정한 구이속도를 유지되어야 하였으며, 이는 구이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화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이기는, 구이물과 함께 국물 등을 섭취시 별도의 화염수단을 통해 국물을 데워 먹어야 하는 등 구이기 기능상의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3-0069762호.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5-01166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체의 내부에 승강수단을 설치하되, 그 승강수단의 상부에 구이대가 안착 및 상부로 승강되게 함으로써, 그 구이대와 화염기간의 거리 조절에 따른 구이물에 전해지는 화력의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구이속도의 조절과 구이종류에 따른 화염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구이기를 사용시 국물이 포함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필요시 구워진 구이물의 보온 보관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중앙에는 상부 개방가 개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 내측에는 구이대 거치턱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측 상부에는 점화부 하우징에 부탄가스의 장착 및 점화 작동이 가능하고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설된 점화부가 축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에는 회전 전개 가능한 지지다리가 형성되며, 폭방향 일측에는 캠돌기를 갖는 높이 조절노브와 그 캠돌기의 진출을 가이드하는 캠돌기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폭방향 양측에서 높이 조절노브의 일측에는 제1 가이드장공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간부로 슬라이딩 삽탈되는 기름받이가 형성된 본체;
점화부의 상단위에 공간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화염부; 및
공간부에 설치되며, 기름받이와 구이대가 거치 및 상,하 승강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화염부는,
점화부의 상단위에 공간부 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및
그 지지부의 단부에서 공간부의 중앙 상부에 위치되는 화염기로 구성하며,
화염기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로 열원의 조사가 가능한 화염판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냄비받침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는, 승강수단에 의해 구이대의 승,하강이 가능하여, 화염기와 구이대의 거리 조절에 따른 화력의 조절로 구이물의 구이속도의 조절과 다양한 구이물에 따른 구이시간 및 구이정도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염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화염부 상부에서 국물 등의 조리가 가능하면서도, 별도의 구이판을 이용하여 구워진 구이물의 보온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등 항시 태우지 않고 따뜻한 구이물의 섭취가 가능하게 되는 등 구이기의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승강수단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구이대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미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승강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승강수단 요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구이대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1)는, 본체(100)와 화염부(200)와, 승강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상부 중앙이 개구된 직사각형 함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중공 형태의 공간부(110)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단 내측에는 단턱 형태를 이루어 하기하는 구이대(500)의 거치 보관이 가능하도록 구이대 거치턱(120)이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는 부탄가스의 장착 및 점화 작동이 가능한 점화부(130)가 구성된다.
이때 점화부(130)는, 먼저 일점화부 하우징(131)이 수직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점화부 하우징(131)은, 상기 본체(100)에 축(130a) 결합되어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점화부 하우징(131)은 통상의 가스 작동 버너 등과 같이 부탄가스가 장착가능하도록 측으로 도어(131a) 개폐가 가능하며, 가스 레귤레이터(132) 및 점화노브(133)가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체(100)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회전 전개가 가능한 지지다리(14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지지다리(140)는 각측에서 양측에 각각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체(100)의 폭방향 일측에는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회전 작동형 높이 조절노브(150)가 구성된 것으로, 그 높이 조절노브(150)에는 상기 공간부(110) 측으로 돌출되는 캠돌기(151)가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상기 캠돌기(151)가 높이 조절노브(150)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진출이 가능하게 하는 캠돌기 가이드홈(152)가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제1 가이드장공(16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제1 가이드장공(160)은 수평형 장공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노브(150)의 반대측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기름받이(170)가 장착되게 구성된 것으로, 기름받이(17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본체(100)의 일측에서 서랍식으로 공간부(110)로 슬라이딩 삽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화염부(200)는, 상기 점화부(130)의 점화부 하우징(131)의 상단에서 본체(100)의 공간부(110) 측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통상의 버너와 같이 가스의 고급 및 점화를 위한 가스관(211) 및 점화기(도면중 미도시함)을 갖는 점화선(212)이 수용되는 지지부(210)가 구성된다.
또한, 화염부(200)는, 상기 지지부(210)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 중앙 상부에 위치되는 화염기(220)가 구성된다.
이때 화염기(220)는, 상,하로 관통되게 구성되며, 그 내측에서 하부에는 열원의 조사가 가능한 화염판(221)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화염판(221)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세라믹 발열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화염기(220)에는, 그 상단에는 냄비받침(230)이 거치되는 거치홈(222)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냄비받침(230)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가스버너 등에 적용되는 다수의 지지암(도면중 미도시함)을 갖는 링 형태를 이루는 것이면 가능하다.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공간부(110)에 설치되어 구이대(500)가 장착되게 구성되며, 하기하는 구이대(50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게 구성된다.
먼저 승강수단(300)은, 폭방향 양측 한 쌍의 링크유닛(310)(310')이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링크유닛(310)(310')은, 먼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를 이루는 제1 링크부재(311)가 구성된 것으로, 제1 링크부재(311)는 그 일단이 본체(100)의 높이 조절노브(150) 측에 축설되며, 그 타단에는 공간부(110) 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12)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링크부재(311)에는, 높이 조절노브(150) 측에 해당하는 제1 링크부재(311)의 일측에는 상기 높이 조절노브(150)의 캠돌기(151)가 삽입 및 유동 가능하도록 캠돌기 유동장공(313)이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링크유닛(310)(3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를 이루는 제2 링크부재(315)가 구성된 것으로, 제2 링크부재(315)는 먼저 그 일단이 본체(100)의 제1 가이드장공(160)에 베어링(316)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링크부재(315)의 중간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311)와 힌지(H) 연결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승강수단(300)에는, 구이대(500)의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거치부(320)가 구성된 것으로, 거치부(320)는, 중앙이 관통된 프레임체로 구성된다.
이때 거치부(32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링크유닛(310)(310')과 대응되는 가이드바(322)가 각각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가이드바(322)는, 각각의 일측이 각각의 제2 링크부재(315)의 타단 측, 높이 조절노브(150) 측이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바(322)의 타측에는 상기 제1 링크부재(311)의 가이드돌기(312)가 내입 및 슬라이딩 가능한 제2 가이드장공(323)이 구성된다.
즉, 승강수단(300)은, 높이 조절노브(150)의 회전 작동시 캠돌기(151)가 제1 링크부재(311)의 캠돌기 유동장공(31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링크부재(311)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며, 이에 제1 링크부재(311)와 힌지(H) 연결된 제2 링크부재(315)가 연동 작동하며, 이에 제2 링크부재(315)의 베어링(316)과 제1 링크부재(311)의 가이드돌기(312)가 각각 제1,2 가이드장공(160)(323)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구이대(500)는, 거치부(320)에 거치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거치부(320)에 거치되는 메인판(510)이 구성된 것으로, 메인판(510)은 그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판(510)의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기름 유도홈(511)이 형성된 것으로, 기름 유도홈(511)은 양단에서 중앙을 향하게 하향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기름 유도홈(511)의 중앙에는 기름 배출구(512)가 형성된 것으로, 기름 배출구(512)는 기름받이(170)와 연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구이대(500)에는, 양측 한 쌍의 절첩판(520)(520')이 구성된다.
이때 절첩판(520)(520')은, 상기 메인판(510)의 폭방향 양측 상부에 힌지(H)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미사용시 메인판(510) 측으로 접어 보관되고, 사용시 메인판(510)의 외측으로 회동 전개시켜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전개시에는 메인판(510)의 폭방향 상부에 소정 중첩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1)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점화부 하우징(131)에는, 그 둘레에서 상기 화염부(200) 측으로, 열발전소자(6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열발전소자(60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일측면에서의 발열과 타측면에서의 냉열에 의해 발전하는 소자로, 본 발명에서 적용시 화염부(200)에서 발생되는 열과 점화부(130)의 부탄가스에서 발생되는 냉열에 의해 발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화염부(200)의 지지부(210) 저면에는 상기 열발전소자(600)와 연결되는 엘이디등(700)을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즉, 열발전소자(600)에서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엘이디등(700)이 점등되어 구이과정에서 조명이 가능하게 구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는, 미사용시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승강수단(300)이 접혀져 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구이대 거치턱(120)에는 구이대(500)가 거치되어 그 공간부(110)를 마감하게 된다.
이때 승강수단(300)은 접혀진 상태에서는 높이 조절노브(150)가 도면중 우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이루는 것으로, 이에 제1 링크부재(311) 및 제2 링크부재(315)의 가이드돌기(312) 및 베어링(316)은 각각 제2 가이드장공(323) 및 제1 가이드장공(160)의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본 발명 구이기(1)를 사용시에는, 먼저 승강수단(300)을 상승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구이대(500)를 제거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노브(150)를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높이 조절노브(150)의 캠돌기(151)가 캠돌기 유동장공(313)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제1 링크부재(311) 및 제2 링크부재(315)를 당기게 된다.
즉, 제1 링크부재(311) 및 제2 링크부재(315)가 당겨지게 되면 제1 링크부재(311) 및 제2 링크부재(315)의 가이드돌기(312) 및 베어링(316)이 제2 가이드장공(323) 및 제1 가이드장공(160)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제1,2 링크부재(311)(315)는 힌지(H)를 축으로 하여 교차 회동하여 세워지게 되는 것으로, 이에 양측 링크유닛(310)(310')을 연결하고 있는 거치부(320)의 상승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승강 작동은 화염기(220)와 구이대(500)의 조절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구이를 수행하되, 구이시에는 먼저, 도 8의 도시와 같이 거치부(320)에는 구이대(500)가 거치되는 것으로, 구이대(500)는 도 4를 참조하여 힌지(H)를 축으로 하여 양측 절첩판(520)(520')을 전개한 상태에서 메인판(510)을 거치부(320) 상부에 거치시키면 된다.
이에, 구이를 수행하되, 구이시에는 구이물(10)을 메인판(510) 및 양측의 절첩판(520)(520')에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인바, 그 구이량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즉, 구이대(500)에 구이물(10)이 올려진 상태에서 점화부(130)를 통해 화염기(220)를 점화시키게 되면 화염판(221)의 화염이 하방을 향해 구이대(500)에 올려진 구이물의 구이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구이대(500)의 메인판(510)에는 기름 유도홈(511) 및 기름 배출구(512)가 형성된 것인바, 육즙 등의 기름은 기름 유도홈(511)을 통해 유도 및 기름 배출구(512)를 통해 기름받이(170)으로 수거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구이기(1)를 사용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9의 도시와 같이 화염기(220)의 상부 거치홈(222)에는 냄비받침(230)을 거치 및 그 냄비받침(230)에는 별도의 구이판(20)을 거치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렇게 구이판(20)을 사용하게 되면, 화염기(220)는 상,하가 관통 형성된 것인바, 구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화염판(221)의 열기가 대류 현상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구이판(20)을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구이대(500)에서 구워진 구이물(10)을 강한 화염에 의해 태우지 않고 구이판(20)에 올려 식지 않고 보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구이기(1)를 사용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10의 도시와 같이 냄비받침(230)에에 통상 구이시 함께 섭취하는 된장찌개 등의 국물이 담겨진 용기(30)를 올려놓게 되면 열기에 의해 데워지게 되는 것인바, 찌개 섭취 과정에서 식지않게 섭취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체(100)에 축설되어 회전 작동하는 점화부(130)은, 그 회전 작동에 의해 화염부(200)를 공간부(110)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 작동은 구이대(500)의 장착 또는 해체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1)를 사용함에 있어, 구이과정에서 조명의 부여가 가능한 것으로,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열발전소자(60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지지부(210)의 엘이디등(700)이 점등 가능하게 함으로,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발전 및 조명의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는, 승강수단에 의해 구이대의 승,하강이 가능하여, 화염기와 구이대의 거리 조절에 따른 화력의 조절로 구이물의 구이속도의 조절과 다양한 구이물에 따른 구이시간 및 구이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화염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구이물의 보온이나 찌개 등의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등 그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100 : 본체 110 : 공간부
120 : 구이대 거치턱 130 : 점화부
131 : 점화부 하우징 140 : 지지다리
150 : 높이 조절노브 151 : 캠돌기
152 : 캠돌기 가이드홈 160 : 제1 가이드장공
170 : 기름받이
200 : 화염부 210 : 지지부
220 : 화염기 221 : 화염판
222 : 거치홈 230 : 냄비받침
300 : 승강수단 310,310' : 링크유닛
311 : 제1 링크부재 312 : 가이드돌기
313 : 캠돌기 유동장공 315 : 제2 링크부재
316 : 베어링
320 : 거치부
322 : 가이드바 323 : 제2 가이드장공
500 : 구이대 510 : 메인판
511 : 기름 유도홈 512 : 기름 배출구
520,520' : 절첩판
600 : 열발전소자 700 : 엘이디등

Claims (4)

  1. 중앙에는 상부 개방가 개방되어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상단 내측에는 구이대 거치턱(120)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측 상부에는 점화부 하우징(131)에 부탄가스의 장착 및 점화 작동이 가능하고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설된 점화부(130)가 축(130a) 결합되고, 폭방향 양측에는 회전 전개 가능한 지지다리(140)가 형성되며, 폭방향 일측에는 캠돌기(151)를 갖는 높이 조절노브(150)와 그 캠돌기(151)의 진출을 가이드하는 캠돌기 가이드홈(152)이 형성되고, 폭방향 양측에서 높이 조절노브(150)의 일측에는 제1 가이드장공(160)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에는 공간부(110)로 슬라이딩 삽탈되는 기름받이(170)가 형성된 본체(100);
    점화부(130)의 상단위에 공간부(110)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화염부(200);
    공간부(110)에 설치되며, 상,하 승강되는 승강수단(300); 및
    승강수단(300)에 장착되어 그 승강수단(300)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구이대(5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화염부(200)는,
    점화부(130)의 상단위에 공간부(110) 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10); 및
    그 지지부(210)의 단부에서 공간부(110)의 중앙 상부에 위치되는 화염기(220)로 구성하며,
    화염기(220)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로 열원의 조사가 가능한 화염판(22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냄비받침(230)이 거치되는 거치홈(222)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수단(300)은,
    폭방향 양측 한 쌍의 링크유닛(310)(310'); 및
    양측 링크유닛(310)(310')을 연결하며, 구이대(500)가 거치되는 거치부(32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링크유닛(310)(310')은,
    일단이 본체(100)의 높이 조절노브(150) 측에 축설되며, 타단에는 공간부(110) 측으로 가이드돌기(312)가 돌출 형성된 제1 링크부재(311); 및
    일단이 본체(100)의 제1 가이드장공(160)에 베어링(316) 결합되어 구름 이동하고, 중간부가 제1 링크부재(311)와 힌지(H)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315)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높이 조절노브(150) 측 제1 링크부재(311)의 일측에는 높이 조절노브(150)의 캠돌기(151)가 삽입 및 유동되는 캠돌기 유동장공(313)이 형성되며,
    거치부(320)는,
    중앙이 관통된 프레임체로 구성되며, 폭방향 양측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바(322)가 각각 형성되게 구성하되,
    각각의 가이드바(322)는, 각각의 일측이 각각의 제2 링크부재(315)의 타단이 축설되고, 타측에는 제1 링크부재(311)의 가이드돌기(312)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가이드장공(323)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3. 제 2항에 있어서,
    구이대(500)는,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며, 그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이루면서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를 이루는 기름 유도홈(511)이 형성되며, 그 기름 유도홈(511)의 중앙에는 기름 배출구(512)가 형성된 메인판(510); 및
    메인판(510)의 폭방향 양측에 힌지(H) 연결되어 메인판(510)의 상부로 절첩 가능한 절첩판(520)(52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점화부 하우징(131)의 둘레에서 화염부(200) 측에는,
    발열과 냉열에 의한 발전구조를 갖는 열발전소자(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화염부(200)의 지지부(210) 저면에는 열발전소자(600)와 연결되는 엘이디등(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열발전소자(600)에서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엘이디등(700)이 점등되어 구이과정에서 조명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KR1020160131319A 2016-10-11 2016-10-11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Active KR101715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319A KR101715572B1 (ko) 2016-10-11 2016-10-11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319A KR101715572B1 (ko) 2016-10-11 2016-10-11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572B1 true KR101715572B1 (ko) 2017-03-22

Family

ID=5849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319A Active KR101715572B1 (ko) 2016-10-11 2016-10-11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572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1030A (zh) * 2017-06-30 2018-02-06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煎烤机
KR101826787B1 (ko) 2017-05-19 2018-02-08 주식회사 듀얼라인 다용도 복합 조리기
KR101838855B1 (ko) * 2017-08-16 2018-03-14 자이글주식회사 절첩 가능한 발열기와 구이판이 구비되는 구이장치
CN109247834A (zh) * 2018-11-14 2019-01-22 宁波雷鸟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照明结构的烤具
KR101963544B1 (ko) 2018-11-26 2019-03-28 이춘근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1965101B1 (ko) 2018-05-03 2019-04-02 박종찬 가스와 전기 겸용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KR101998519B1 (ko) * 2018-05-15 2019-07-09 김명기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KR102019791B1 (ko) * 2018-07-09 2019-09-09 박기혁 휴대용 조리기구
KR20200000836U (ko) 2018-10-17 2020-04-27 박정열 양방향 전기 구이기
KR102169100B1 (ko) * 2020-02-10 2020-10-22 주식회사 정석기계 구이 테이블
KR102174895B1 (ko)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2174897B1 (ko)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2181486B1 (ko) * 2019-09-27 2020-11-23 권태균 구이판 승강 및 양방향 조리 구조를 갖는 구이기가 장착된 구이 테이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762A (ko) 2010-09-01 2013-06-26 니뽄 신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안티센스 핵산
KR20140008785A (ko) * 2012-07-12 2014-01-22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20140146882A (ko) * 2013-06-18 2014-12-29 박정열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JP2015004493A (ja) * 2013-06-21 2015-01-08 株式会社コロナ 石油ストーブ
KR20150116603A (ko) 2014-04-08 2015-10-16 박정열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업소용 직화 구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762A (ko) 2010-09-01 2013-06-26 니뽄 신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안티센스 핵산
KR20140008785A (ko) * 2012-07-12 2014-01-22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20140146882A (ko) * 2013-06-18 2014-12-29 박정열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JP2015004493A (ja) * 2013-06-21 2015-01-08 株式会社コロナ 石油ストーブ
KR20150116603A (ko) 2014-04-08 2015-10-16 박정열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업소용 직화 구이기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787B1 (ko) 2017-05-19 2018-02-08 주식회사 듀얼라인 다용도 복합 조리기
WO2018212473A1 (ko) * 2017-05-19 2018-11-22 주식회사 듀얼라인 다용도 복합 조리기
CN107661030A (zh) * 2017-06-30 2018-02-06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煎烤机
CN107661030B (zh) * 2017-06-30 2021-03-02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煎烤机
KR101838855B1 (ko) * 2017-08-16 2018-03-14 자이글주식회사 절첩 가능한 발열기와 구이판이 구비되는 구이장치
WO2019035588A1 (ko) * 2017-08-16 2019-02-21 자이글 주식회사 절첩 가능한 발열기와 구이판이 구비되는 구이장치
KR101965101B1 (ko) 2018-05-03 2019-04-02 박종찬 가스와 전기 겸용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KR101998519B1 (ko) * 2018-05-15 2019-07-09 김명기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KR102019791B1 (ko) * 2018-07-09 2019-09-09 박기혁 휴대용 조리기구
KR20200000836U (ko) 2018-10-17 2020-04-27 박정열 양방향 전기 구이기
CN109247834A (zh) * 2018-11-14 2019-01-22 宁波雷鸟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照明结构的烤具
CN109247834B (zh) * 2018-11-14 2024-04-19 宁波雷鸟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照明结构的烤具
KR101963544B1 (ko) 2018-11-26 2019-03-28 이춘근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2181486B1 (ko) * 2019-09-27 2020-11-23 권태균 구이판 승강 및 양방향 조리 구조를 갖는 구이기가 장착된 구이 테이블
KR102169100B1 (ko) * 2020-02-10 2020-10-22 주식회사 정석기계 구이 테이블
KR102174895B1 (ko)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2174897B1 (ko)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WO2021230603A1 (ko)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WO2021230605A1 (ko)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572B1 (ko)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US3638635A (en) Split gas burner
KR101965101B1 (ko) 가스와 전기 겸용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KR101454356B1 (ko)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JP6559963B2 (ja) 調理装置
US8993026B2 (en) Infrared portable broiler
NO338045B1 (no) Røkgenererende anordning for en utegrill
KR101401017B1 (ko)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US9237827B2 (en) Cooking appliance of the grill or barbecue type
KR20140146882A (ko)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686379B1 (ko) 휴대용 구이기
KR101721368B1 (ko)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2078499B1 (ko) 구이판 승강 및 양방향 조리 구조를 갖는 테이블용 구이기
KR101379180B1 (ko) 스마트 구이기
KR101489760B1 (ko) 직화구이기
KR101299119B1 (ko) 기름유도용 구이판을 갖는 훈제겸용 직화 구이기
KR101134979B1 (ko) 식품 자동화 조리기
KR20200000836U (ko) 양방향 전기 구이기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KR20150116603A (ko)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업소용 직화 구이기
KR20120000415U (ko)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구이기
KR101351182B1 (ko) 승강 조절식 화염기를 갖는 휴대용 구이기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102181486B1 (ko) 구이판 승강 및 양방향 조리 구조를 갖는 구이기가 장착된 구이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