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5358B1 -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358B1
KR101715358B1 KR1020160076017A KR20160076017A KR101715358B1 KR 101715358 B1 KR101715358 B1 KR 101715358B1 KR 1020160076017 A KR1020160076017 A KR 1020160076017A KR 20160076017 A KR20160076017 A KR 20160076017A KR 101715358 B1 KR101715358 B1 KR 10171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ore
insert
insert cor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호
Original Assignee
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호 filed Critical 신영호
Priority to KR102016007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3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29C33/3857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by making impressions of one or more parts of models, e.g. shaped articles and including possible subsequent assembly of th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23K20/023Thermo-compression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6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7Moulds, cores,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에 구비되는 보호튜브를 제조하기 위해 구비되는 인서트코어의 내측으로 냉각수가 순환가능하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제조함으로써, 보호튜브 성형시 인서트코어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어 인서트코어로부터 보호튜브를 취출함에 따른 터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Insert core for manufacturing suspension spring coil spring protection tube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에 구비되는 보호튜브를 제조하기 위해 구비되는 인서트코어의 내측으로 냉각수가 순환가능하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제조함으로써, 보호튜브 성형시 인서트코어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어 인서트코어로부터 보호튜브를 취출함에 따른 터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자동차의 경우, 스파이럴 형상의 코일 스프링을 현가장치에 사용하여, 차량의 구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를 보호하고 탑승자의 승차감을 안락하게 유지한다.
최근에는 코일 스프링을 차체 장착하는 승용차가 대부분이어서, 이 부분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현가장치는 바퀴가 설치되는 차축을 탄력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프레임과 그의 하측에 장착되는 차축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현가장치는 프레임측과 차축측에 상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와 하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상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와 하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의 사이에는 고무 재질로 된 상측 스프링패드와 하측 스프링패드를 개입시킨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한 현가장치에서 코일스프링의 상/하단이 결속되는 상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와 하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의 내면에는 상측 스프링패드와 하측 스프링패드가 내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패드는 약한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압축되고 파열되어 탄력성을 잃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찢어진 패드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상/하단이 상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및 하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와 접촉되어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코일스프링의 충격이 상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와 하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에 직접 전달되어 이들 상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와 하측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코일스프링에 보호튜브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튜브는 특허출원번호 10-2010-00146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의 상단 및 하단에 끼워져 코일스프링과 상하측 스프링시트 어셈블리 사이의 충격 및 소음을 완화시키도록 "C"자 형상의 중공의 튜브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보호튜브는 인서트코어핀을 갖는 인서트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호튜브용 성형금형을 통하여 제조된다.
즉,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보호튜브용 성형금형은 핫런너가 형성되고, 냉각수유로가 내부에 각각 형성된 상측금형 및 하측금형으로 구성된 금형부와, 상기 하측금형과 상측금형에 수용되어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코어 및 상코어와, 상기 하코어의 상면에 삽입 안착되어 상기 하코어를 관통하여 작동되게 하측금형에 설치되는 작동핀에 의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코어와 상코어가 서로 결합된 후 핫런너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료용융물을 보호튜브로 성형가능하도록 형성된 인서트링코어와, 상기 인서트링코어의 양측면에 각 일단이 고정되어 보호튜브 형상에 대응되는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인서트코어핀으로 구성된 인서트코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보호튜브용 성형금형은 냉각수가 금형부의 상측금형과 하측금형의 내측으로만 순환하고, 인서트코어에는 인접하게 순환되도록 냉각수유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상기 인서트코어의 인서트코어핀를 통하여 성형된 보호튜브를 상기 인서트코어핀으로부터 취출할 때, 성형된 보호튜브가 완전하게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형된 보호튜브를 취출함에 따른 보호튜부가 터지는 현상이 왕왕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보호튜브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서트코어가 완전히 냉각된 후 성형된 보호튜브를 취출하여야 하는 바, 그에 따른 제조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10-0014659호, 출원일 2010년02월18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에 구비되는 보호튜브를 제조하기 위해 구비되는 인서트코어의 내측으로 냉각수가 순환가능하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제조함으로써, 보호튜브 성형시 인서트코어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어 인서트코어로부터 보호튜브를 취출함에 따른 터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은, 판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인서트코어용 시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준비된 한 쌍의 인서트코어용 시료 각 일면에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요홈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각 일면에 형성된 요홈 중 어느 하나의 요홈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좌,우측으로 분할하기 위해 분리용 띠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요홈에 일단이 고정된 어느 하나의 인서트코어용 시료에 요홈이 형성된 다른 하나의 인서트용 시료를 포갠 후, 900℃~1,100℃의 온도와 13㎫~17㎫의 압력을 갖는 접합기에 투입시켜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내부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형성되게 접합된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를 인서트코어핀과 인서트링코어가 형성된 인서트코어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가공된 인서트코어의 인서트링코어 저면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에 각각 연통되게 냉각수 유입용 안내홈과 냉각수 유출용 안내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는, 상측금형과 하측금형에 각각 안착되어 구비되는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중 하부코어의 상면에 삽입되어 상측금형의 핫런너를 통하여 주입된 원료 용융물을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로 제조가능하도록 저면 일측에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에 따른 냉각수를 내측으로 순환시켜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유입된 냉각수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냉각수 유출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코어의 인서트링코어수용홈에 안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인서트링코어와, 상기 인서트링코어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냉각수 유입용홈과 냉각수 유출용홈에 각각 연통되도록 내부에는 분리용 판에 의해 냉각수 유입용유로와 냉각수 유출용유로로 분할되되, 타단 내부는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냉각수 유입용유로와 냉각수 유출용유로가 연통된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인서트코어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에 구비되는 보호튜브를 제조하기 위해 구비되는 인서트코어의 내측으로 냉각수가 순환가능하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제조함으로써, 보호튜브 성형시 인서트코어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어 인서트코어로부터 보호튜브를 취출함에 따른 터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취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를 금형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은 인서트코어부재의 인서트코어핀에 근접되게 상,하측금형에 안착 고정되는 상,하부코어에 냉각수유로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보호튜브 성형에 따른 인서트코어핀의 냉각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인서트코어핀으로부터 보호튜브 취출시 터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은, 판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인서트코어용 시료를 준비하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S110)에 의해 준비된 한 쌍의 인서트코어용 시료 각 일면에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서로 이격된 한 쌍의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요홈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에 의해 각 일면에 형성된 요홈 중 어느 하나의 요홈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좌,우측으로 분할하기 위해 분리용 띠를 고정하는 단계(S130)와, 상기 단계(S130)에 의해 요홈에 일단이 고정된 어느 하나의 인서트코어용 시료에 요홈이 형성된 다른 하나의 인서트용 시료를 포갠 후, 900℃~1,100℃의 온도와 13㎫~17㎫의 압력을 갖는 접합기에 투입시켜 20분 내지 40분 동안 고온 고압으로 접합하는 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에 의해 내부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형성되게 접합된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를 가공기를 이용하여 인서트코어핀과 인서트링코어가 형성된 인서트코어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S150)와, 상기 단계(S150)에 의해 가공된 인서트코어의 인서트링코어 저면에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에 각각 연통되게 냉각수 유입용 안내홈과 냉각수 유출용 안내홈을 형성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분리용 띠 고정단계(S130)는 상기 요홈 형성단계(S120)에 의해 각 일면에 요홈이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요홈 바닥면에 분리용 띠를 매개로 좌,우로 분할시켜 냉각수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분리용 요홈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S131)와, 상기 단계(S131)에 의해 형성된 분리용 요홈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용 띠의 일단을 분리용 요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는 삽입단계(S1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인서트코어 형상 가공단계(S150)는, 상기 접합단계(S140)에 의해 내부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형성되게 접합된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를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인서트코어핀 가공시 떨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의 잔여부분을 갖으면서 유로부분은 포함되게 인서트코어 형상으로 예비가공하는 단계(S151)와, 상기 단계(S151)에 의해 예비가공된 인서트코어의 잔여부분을 와이어방전기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잔여부분 제거단계(S15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접합단계(S140)에서, 접합기를 통하여 서로 맞대어진 한 쌍의 상부코어용 시료 및 하부코어용 시료를 접합시킨 후, 접합기의 내부 온도는 급속하게 냉각시 접합된 부분에서 틈이 발생되므로 25℃/min~35℃/min 속도로 냉각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에서 시료 준비단계(S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금형과 하측금형의 각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상부코어와 하부코어 중 하부코어에 안착되어 주입되는 원료용융물을 "C"자 형상의 보호튜브로 제조하기 위한 인서트코어를 만들기 위한 사각판 형상의 시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요홈 형성단계(S120)는, 상기 시료준비 단계(S110)에 의해 준비된 시료의 각 일면에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서로 이격된 한 쌍의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요홈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요홈의 각 일단에는 냉각수 유입용 안내홈과 냉각수 유출용 안내홈 형성단계에서 냉각수 유입용 안내홈과 연통되어 냉각수를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냉각수안내용연결홈이 더 형성된다.
상기한 분리용 띠 고정단계(S130)는, 상기 요홈 형성단계(S120)에 의해 각 일면에 요홈이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요홈 바닥면에 사각형상의 띠로 구비되는 분리용 띠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켜 상기 요홈의 이분할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분리용 띠 고정단계(S130)는 상기 각 요홈의 바닥면에 분리용 요홈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S131)와, 상기 단계(S131)에 의해 형성된 분리용 요홈에 분리용 띠의 일단을 삽입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분리용 요홈 형성단계(S131)는 상기 요홈 형성단계(S120)에 의해 각 일면에 요홈이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요홈 바닥면에 분리용 띠를 매개로 좌,우로 분할시켜 냉각수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분리용 요홈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삽입단계(S133)는 상기 분리용 요홈 형성단계(S131)에 의해 형성된 분리용 요홈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용 띠의 일단을 분리용 요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접합단계(S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용 띠 고정단계(S13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요홈에 일단이 고정된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다른 인서트코어용 시료를 서로 포개어 900℃~1,100℃의 온도와 13㎫~17㎫의 압력을 갖는 접합기에 투입시켜 20분 내지 40분 동안 고온 고압으로 접합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한 접합단계(S140)에 의해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내부에는 분리용 띠에 의해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합기를 통하여 접합시 900℃ 이하의 온도와 13㎫ 이하의 압력으로 접합시, 시료간 틈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분리용 띠가 요홈에 기밀유지되게 접합되지 않게 되고, 1,100℃ 이상의 온도와 17㎫ 이상의 압력으로 접합시 분리용 띠의 일단과 타단 및 시료가 녹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시료를 접합할 경우에는 상기한 온도와 압력으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형상 가공단계(S150)는, 상기 접합단계에 의해 한 쌍의 시료가 서로 접합된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를 가공기를 이용하여 인서트코어핀과 인서트링코어가 형성된 인서트코어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로서,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의 잔여부분을 갖으면서 유로부분은 포함되게 인서트코어 형상으로 예비가공하는 단계(S151)와, 상기 예비 가공단계(S151)에 의해 예비가공된 인서트코어의 잔여부분을 제거하는 잔여부분 제거단계(S1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예비 가공단계(S151)는 상기 접합단계(S140)에 의해 내부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형성되게 접합된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를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유로부분은 포함되게 인서트코어 형상으로 가공시, 인서트코어에서 인서트코어핀의 형상을 위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면서 형상을 가공할 때, 일단이 떨리는 것에 의해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의 잔여부분을 갖으면서 인서트코어 형상으로 예비 가공하는 단계이고, 상기 잔여부분 제거단계(S153)는 상기 예비 가공단계(S151)에 의해 잔여부분이 존재하게 예비 가공된 인서트코어의 잔여부분을 와이어방전기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잔여부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냉각수 유입용 안내홈과 냉각수 유출용 안내홈 형성단계(S160)는 상기 형상 가공단계(S150)에 의해 가공된 인서트코어의 인서트링코어 저면에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에 각각 연통되게 냉각수 유입용 안내홈과 냉각수 유출용 안내홈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측금형(11)과 하측금형(12)에 각각 안착되어 구비되는 상부코어(13)와 하부코어(14) 중 하부코어(14)의 상면에 삽입되어 상측금형(11)의 핫런너를 통하여 주입된 원료 용융물을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로 제조가능하도록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200)는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일측에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에 따른 냉각수를 내측으로 순환시켜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211)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유입된 냉각수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냉각수 유출용홈(213)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코어(14)의 인서트링코어수용홈(14a)에 안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인서트링코어(210)와, 상기 인서트링코어(2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냉각수 유입용홈(211)과 냉각수 유출용홈(213)에 각각 연통되도록 내부에는 분리용 판(231)에 의해 냉각수 유입용유로(233)와 냉각수 유출용유로(235)로 분할되되, 타단 내부는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냉각수 유입용유로(233)와 냉각수 유출용유로(235)가 연통된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인서트코어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211)과 각 냉각수 유입용유로(233)는 냉각수 유입용유로(233)와 냉각수 유출용유로(235)가 이격 형성된 것에 의해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211)과 각 냉각수 유입용유로(233)가 이격됨에 이를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된 냉각수안내용 연결홀(237)을 통하여 각각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판상의 상측 및 하측용 인서트코어용 시료를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상측 및 하측용 인서트코어용 시료 각 일면에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서로 이격되게 좌,우측에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요홈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상측 및 하측용 인서트코어용 시료 각 일면에 요홈이 각각 형성되면, 요홈의 바닥면에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분리용 요홈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요홈의 바닥면에 분리용 요홈이 각각 형성되면, 하측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분리용 요홈에 분리용 띠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분리용 띠가 하측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분리용 요홈에 고정되면, 상측 인서트코어용 시료를 하측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상면측으로 포갠다.
이때, 상기한 분리용 띠의 타단은 상측 인서트코어용 시료에 형성된 분리용 요홈에 삽입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측 및 하측용 인서트코어용 시료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1,000℃의 온도와 15㎫의 압력을 갖는 접합기에 투입시켜 30분 동안 고온 고압으로 접합한다.
상기와 같이 접합기에 의해 상측 및 하측용 인서트코어용 시료가 서로 접합되는 것에 의해 단일체의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가 형성되고, 이때, 상기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의 내부에는 분리용 띠에 의해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가 형성되면,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유로부분은 포함되게 인서트코어 형상으로 가공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의 잔여부분을 갖도록 예비가공한다.
이후, 와이어방전기를 이용하여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의 잔여부분을 제거하면서 인서트코어 형상으로 가공한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코어 형상으로 가공되면, 인서트링코어 저면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에 각각 연통되게 냉각수 유입용 안내홈과 냉각수 유출용 안내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인서트코어의 제어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인서트코어(200)를 상측금형(11)과 하측금형(12)에 안착된 하부코어(14)에 안착시킨 후 금형을 가동시키게 되면, 하측금형(12)이 이동하여 상측금형과 접하게 되고, 이후, 상측금형의 핫런너를 통하여 용융물이 상부 및 하부코어(13,14)내측으로 주입되는 것에 의해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가 제조된다.
이때, 냉각수는 인서트코어(200)의 인서트링코어(210) 저면에 형성된 냉각수 유입용 안내홈(211)을 통하여 유입되면서 인서트코어핀(230) 내측에 분리용 띠(231)에 의해 냉각수 유입유로(233)와 냉각수 유출유로(235)로 분할된 유입유로(233)와 냉각수 유출유로(235)를 돌아 냉각수 유출용 안내홈(213)으로 배출되는 것에 의해 인서트코어(200)의 인서트코어핀(230)이 신속하게 냉각된다.
그로 인해 제조된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를 인서트코어핀으로부터 신속하게 취출시킬 수 있고 아울러 취출시 터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있어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상측금형
12 ; 하측금형
13 ; 상부코어
14 ; 하부코어
200 ;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210 ; 인서트링코어
230 ; 인서트코어핀

Claims (5)

  1.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은,
    판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인서트코어용 시료를 준비하는 단계(S110)와;
    상기 단계(S110)에 의해 준비된 한 쌍의 인서트코어용 시료 각 일면에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요홈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S120)와;
    상기 단계(S120)에 의해 각 일면에 형성된 요홈 중 어느 하나의 요홈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좌,우측으로 분할하기 위해 분리용 띠를 고정하는 단계(S130)와;
    상기 단계(S130)에 의해 요홈에 일단이 고정된 어느 하나의 인서트코어용 시료에 요홈이 형성된 다른 하나의 인서트용 시료를 포갠 후, 900℃~1,100℃의 온도와 13㎫~17㎫의 압력을 갖는 접합기에 투입시켜 접합하는 단계(S140)와;
    상기 단계(S140)에 의해 내부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형성되게 접합된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를 인서트코어핀과 인서트링코어가 형성된 인서트코어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S150)와;
    상기 단계(S150)에 의해 가공된 인서트코어의 인서트링코어 저면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에 각각 연통되게 냉각수 유입용 안내홈과 냉각수 유출용 안내홈을 형성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띠 고정단계(S130)는 상기 요홈 형성단계(S120)에 의해 각 일면에 요홈이 형성된 어느 하나의 인서트코어용 시료의 요홈 바닥면에 분리용 띠를 매개로 좌,우로 분할시켜 냉각수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분리용 요홈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S131)와, 상기 단계(S131)에 의해 형성된 분리용 요홈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용 띠의 일단을 분리용 요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는 삽입단계(S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코어 형상 가공단계(S150)는, 상기 접합단계(S140)에 의해 내부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유출유로가 형성되게 접합된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를 인서트코어핀 가공시 떨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서트코어용 접합부재의 잔여부분을 갖으면서 유로부분은 포함되게 인서트코어 형상으로 예비가공하는 단계(S151)와, 상기 단계(S151)에 의해 예비가공된 인서트코어의 잔여부분을 가공하는 잔여부분 제거단계(S1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는,
    상측금형(11)과 하측금형(12)에 각각 안착되어 구비되는 상부코어(13)와 하부코어(14) 중 하부코어(14)의 상면에 삽입되어 상측금형(11)의 핫런너를 통하여 주입된 원료 용융물을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로 제조가능하도록 저면 일측에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에 따른 냉각수를 내측으로 순환시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211)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유입된 냉각수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냉각수 유출용홈(213)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코어(14)의 인서트링코어수용홈(14a)에 안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인서트링코어(210)와;
    상기 인서트링코어(2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일단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냉각수 유입용홈(211)과 냉각수 유출용홈(213)에 각각 연통되도록 내부에는 분리용 판(231)에 의해 냉각수 유입용유로(233)와 냉각수 유출용유로(235)로 분할되되, 타단 내부는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냉각수 유입용유로(233)와 냉각수 유출용유로(235)가 연통된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인서트코어핀(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211)과 각 냉각수 유입용유로(233)는 냉각수 유입용유로(233)와 냉각수 유출용유로(235)가 이격 형성된 것에 의해 한 쌍의 냉각수 유입용홈(211)과 각 냉각수 유입용유로(233)가 이격됨에 이를 연결시키기 위해 형성된 냉각수안내용 연결홀(237)을 통하여 각각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KR1020160076017A 2016-06-17 2016-06-17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71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017A KR101715358B1 (ko) 2016-06-17 2016-06-17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017A KR101715358B1 (ko) 2016-06-17 2016-06-17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358B1 true KR101715358B1 (ko) 2017-03-10

Family

ID=5841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017A Active KR101715358B1 (ko) 2016-06-17 2016-06-17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3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812A (ko) * 2000-01-20 2001-08-03 김학권 코어의 냉각 구조 및 그 형성방법
KR20100014659A (ko) 2007-03-30 2010-02-10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직접 액체 연료형 연료 전지용 격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131494A (ko) * 2011-05-25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형장치
KR20140111457A (ko) * 2013-03-11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1629785B1 (ko) * 2015-08-31 2016-06-13 주식회사 한경콤포넌트 무역 코일 스프링 보호용 열수축 튜브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812A (ko) * 2000-01-20 2001-08-03 김학권 코어의 냉각 구조 및 그 형성방법
KR20100014659A (ko) 2007-03-30 2010-02-10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직접 액체 연료형 연료 전지용 격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131494A (ko) * 2011-05-25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형장치
KR20140111457A (ko) * 2013-03-11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1629785B1 (ko) * 2015-08-31 2016-06-13 주식회사 한경콤포넌트 무역 코일 스프링 보호용 열수축 튜브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1374B2 (ja)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の結合部材の成形のための射出装置、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の結合部材の射出方法、及びその結合部材の射出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KR101715358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인서트코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3918A (ko)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의 제조방법
CN103328127A (zh) 一种用于轨道车的芯的互锁结构
CN103328301A (zh) 铁道耦合器转向节的芯及其构成的转向节
US20100086637A1 (en) Injection Molding Die
KR101357452B1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CN103317615A (zh) 拼合螺纹插入件
KR101725951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방법
KR101715356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제조용 코어 및 그 제조방법법
CN103442963A (zh) 具有后芯支撑件的有轨车耦合器转向节芯
KR101576645B1 (ko) 핫스템핑 금형의 제작방법 및 이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핫스템핑 금형
JP2013206835A (ja) 車両用灯具の製造方法
WO2019102649A1 (ja) タイヤ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JP5776299B2 (ja) 射出成形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射出成形用金型
KR20170124198A (ko)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제조방법
KR102570670B1 (ko) 차량용 호스 가공 유닛
CN111660511B (zh) 注塑成型方法
US20070200279A1 (en) Circular Resin-Molded Product Having Circular Center Ho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The Same
US1189066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lost casting core
KR102731340B1 (ko) 케이스 브라켓로드 제조방법
WO2014115731A1 (ja) セクター金型、その製造方法及びパターンブロックの加工用冶具
KR101364089B1 (ko) 웨이퍼 연마용 리테이너 링 및 그 제조방법
CN116247881B (zh) 一种分层鼠笼转子的制备工艺及其加工装置
US9475222B2 (en) Method for forming injection-molded receptac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