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222B1 -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4222B1 KR101714222B1 KR1020150131301A KR20150131301A KR101714222B1 KR 101714222 B1 KR101714222 B1 KR 101714222B1 KR 1020150131301 A KR1020150131301 A KR 1020150131301A KR 20150131301 A KR20150131301 A KR 20150131301A KR 101714222 B1 KR101714222 B1 KR 1017142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 support
- electronic device
- supporting
- support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는, 전자기기를 지지하며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제1지지유닛 및, 제1지지유닛과 결합되어 전자기기를 지지하며 제1지지유닛과 접속되는 제2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제1지지유닛에 대해 제2지지유닛이 적어도 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지지유닛의 결합 각도가 변환됨과 아울러, 제1지지유닛을 통해 제2지지유닛이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자기기를 다양한 자세로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기적 접속이 가능해져 사용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 suppor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unit that supports an electronic device and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a second support unit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unit and supports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a coupling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s is changed by bringing the second support unit into and out of at least one of the two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unit, The support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electronic apparatuses in various postures, and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 thereby improving the use divers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기기를 다양한 자세로 지지시킴과 아울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근래에는 무선통신의 발달과 함께, 핸드폰, 태블릿 PC,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단말기형 전자기기들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전자기기의 거치 또는 사용 다양성을 위해,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의 보급도 증가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 PCs, PDAs, and navigation devices have been increasing in popularity.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o mount or use the electronic device, a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is increasing in popularity.
한편,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용 지지장치들은 다양한 전자기기 각각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규격으로 제조되어, 특정 자세로 전자기기를 지지시킴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들에 대한 지지장치들의 다양성 확보가 불리함과 아울러, 자세 변환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별도로, 전자기기에 전기 신호를 입/출력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입/출력 수단이 필요함에 따른, 전자기기 사용의 번거로움이 야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upport devices for an electronic device are generally manufactur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each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in a specific posture. Accordingly, diversification of support devices f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is disadvantageous, and posture conversion is difficult. In addition, apart from the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separate input / output means are required for inputting /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to / from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nconveniences the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기기를 다양한 자세로 지지시킴과 아울러 상호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ing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electronic devices in various postur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each oth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는, 전자기기를 지지하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1지지유닛에 대해 다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지지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지지유닛을 포함한다. A suppor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unit that supports an electronic device and is electrically connectable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upport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first support unit in multiple directions And a second connectable support unit.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지지유닛 및 제2지지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연결레일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연결레일에 상기 연결돌기가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지지유닛의 결합 각도가 변환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has a plurality of connection protrusion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The coupling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 enters.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유닛과 대면하는 위치의 상기 제1지지부재에 상호 나란하게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레일 및,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의해 상기 제2지지유닛을 향해 노출되는 제1전극패턴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제1전극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a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support member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support unit, And a first electrod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pattern exposed toward the second support unit b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기기와 마주하는 판 형상의 제2지지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연결레일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연결돌기 및,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제2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unit includes: a plate-shaped second support member fac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first support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electrode member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exposed throug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연결돌기의 단부는 단턱진 후크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결합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결합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rotrusion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with a stepped hook shape, or have a rai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전극패턴은, 상기 제2지지유닛과 마주하는 상기 제1전극부재의 일면에 상호 나란하게 다열 마련되는 복수의 도트(Dot) 또는 라인(Line) 형상을 가지는 제1패턴과, 상기 제1전극부재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상기 제1패턴에 접속되되 적어도 1회 절곡되도록 다열 마련된 복수의 라인 형상을 가지는 제2패턴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dots or a plurality of dots arranged in a line in parallel with one another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facing the second support unit, And a second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pattern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line shapes arranged to be bent at least once.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제1지지유닛과 마주하는 상기 제2전극부재의 일면에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접촉되도록 복수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전극패턴은 상기 제2전극부재의 타면에 복수의 동심원 또는 복수의 동심 사각라인 형상을 가진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is protruded an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facing the first supporting uni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And has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or a plurality of concentric rectangular line shapes.
상기 접속단자는 상호 나란하거나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열을 가지고 상기 제2전극부재에 대해 복수개 돌출 마련되며,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접속단자와 중첩 또는 이웃하도록 상호 나란하거나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가지고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복수개 돌출된다.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s have at least one row having at least one row that is parallel or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member,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project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일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돌기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onnecting protrusion includes at least one raised r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는, 전자기기를 지지하며 상기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제1지지유닛 및, 상기 제1지지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1지지유닛과 접속되는 제2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유닛에 대해 상기 제2지지유닛이 적어도 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지지유닛의 결합 각도가 변환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유닛을 통해 상기 제2지지유닛이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 supporting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ing unit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upport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supporting unit to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upport uni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unit, wherein the second support unit is engaged with at least one of at least two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unit so that the engagement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s is changed And the second support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first support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전자기기를 다양한 자세로 지지함에 따라, 전자기기의 사용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irstly, by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in various posture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usability of the electronic device.
둘째, 전자기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충전 또는 인터넷 통신 연결 등과 같은 전기적 신호의 접속이 가능해져, 전자기기의 조작 다양성 확보에 유리하다. Secondly, it is possible to connect electronic signals such as a charging or internet communication connection while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advantageous in securing a variety of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셋째, 전자기기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경제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Third, since a separate means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conomical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지지유닛을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전극부재의 (a)일면과 (b)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전극부재의 일면에 마련된 제1패턴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지지유닛을 (a)일면, (b)타면 및 (c)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제1실시예에 의한 제1 및 제2지지유닛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절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제2지지유닛을 (a)일면, (b)타면 및 (c)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한 제1 및 제2지지유닛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제2지지유닛을 (a)일면, (b)타면 및 (c)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의한 제1 및 제2지지유닛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13은 제2지지유닛의 연결돌기와 접속단자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ing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upporting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irst supporting unit shown in FIG. 1,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shown in FIG. 3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shown in FIG. 3,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pattern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shown in FIG. 4,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ing unit shown in Fig. 1 is viewed from one side (a), (b) another side and (c)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coupled to each other,
8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cut along the line VIII-VIII in FIG. 7,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a side (a), (b) another side, and (c)
FIG.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9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a side (a), (b) another side, and (c)
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uni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1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G.
1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connection protrusions and connection terminals of the second support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1)는 제1지지유닛(10) 및 제2지지유닛(20)을 포함한다. 1 and 2, a supporting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1)는 핸드폰, 태블릿 PC, 카드 결제기,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소형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E)를 다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기기(E)가 핸드폰인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For reference, the supporting
상기 제1지지유닛(10)은 전자기기(E)를 지지하며, 전자기기(E)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이러한 제1지지유닛(10)은 도 3과 같이, 제1지지부재(11), 연결레일(12) 및 제1전극부재(13)를 포함한다. The first supporting
상기 제1지지부재(11)는 전자기기(E)를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1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기기(E)의 일면을 제외한 측면과 타면에 밀착되어 커버함으로써, 전자기기(E)를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지지부재(11)는 플라스틱과 같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1) supports the electronic device (E). 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연결레일(12)은 제1지지부재(11)에 제2지지유닛(20)과 대면하는 위치에 상호 나란하게 복수개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레일(12)은 제1지지부재(11)를 관통하여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레일(12)은 제1지지부재(11)의 길이방향에 나란하도록 형성되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The
상기 제1전극부재(13)는 전자기기(E)와 제1지지부재(11)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연결레일(12)에 의해 노출되는 제1전극패턴(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전극부재(13)는 전기적 신호의 접속이 가능한 제1전극패턴(14)이 패터닝된 일종의 기판을 포함한다. The
한편, 상기 제1전극패턴(14)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1전극부재(13)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1패턴(15)과 제2패턴(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부재(13)의 일면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지지유닛(20)과 마주하는 면이고, 타면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대향하는 면인 것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4, a
상기 제1패턴(15)은 제1전극부재(13)의 일면에 상호 나란하게 다열 마련되는 복수의 도트(Dot) 형상을 가지고 격자무늬로 마련되며, 제2패턴(16)은 제1전극부재(13)의 타면에 제1패턴(15)과 접속되되 외부의 전기적 신호와 접속되도록 적어도 1회 절곡되어 다열 마련된 복수의 라인(Line) 형상을 가진다. The
그러나, 상기 제1패턴(15)이 도 5의 도시와 같이 도트(Dot) 형상이 아닌 라인(Line) 형상을 가지는 것과 같이, 제1패턴(15) 및 제2패턴(1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패턴(15)이 5열로 형성되고 제2패턴(16)도 제1패턴(15)에 대응하여 5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However, since the
상기 제2지지유닛(20)은 제1지지유닛(10)에 대해 다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며, 제1지지유닛(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지지유닛(20)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2지지부재(21), 연결돌기(22) 및 제2전극부재(23)를 포함한다. The second supporting
참고로, 도 6의 (a)는 상기 제1지지유닛(10)에 대면하는 제2지지유닛(20)의 전방에서 바라본 일면이 도시되며, (b)는 제2지지유닛(20)의 일면에 대향하는 후방에서 바라본 타면이 도시된다. 아울러, 도 6의 (c)는 제2지지유닛(20)의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6 (a)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supporting
상기 제2지지부재(21)는 제1지지유닛(10)에 결합되어, 전자기기(E)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2지지부재(21)은 판 형상을 가지고 제1지지부재(11)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전자기기(E)의 종류 및 적용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상기 연결돌기(22)는 제1지지부재(11)에 마련된 복수의 연결레일(12)에 결합되도록 제2지지부재(21)로부터 돌출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돌기(22)는 도 6의 (a) 및 (c)와 같이 제1지지유닛(10)과 마주하는 제2지지부재(21)의 일면으로부터 제1지지부재(11)를 향해 돌출된다. 또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돌기(22)의 단부는 단턱진 후크 형상을 가지는 후크단(22a)으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연결레일(12)에 대한 결합자세가 고정된다. 상기 후크단(22a)은 둥근 반구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나, 삼각뿔과 같이 다각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The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돌기(22)가 제2지지부재(21)의 일면에 상호 나란하게 대각선 방향 즉, "X"형으로 상호 교차하는 2개의 열로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이러한 제2지지유닛(20)의 연결돌기(22)가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1지지유닛(10)의 연결레일(12)에 결합되어 이동됨으로써, 제1 및 제2지지유닛(10)(20)이 상호 결합되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연결돌기(22)가 상호 교차하는 "X"형으로 상호 돌출되어 복수개 마련되어 연결레일(12)에 결합됨에 따라, 제1지지유닛(10)에 대한 제2지지유닛(20)의 결합 각도를 다각도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1지지유닛(10)에 대해 90˚ 회전된 상태로 제2지지유닛(20)의 연결돌기(22)가 연결레일(12)에 진입하여 제1 및 제2지지유닛(10)(20)을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돌기(22)가 "X"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어떠한 방향으로 연결레일(12)에 진입하더라도 일정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또한,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지지유닛(10)에 대해 90˚ 뿐만 아니라, 180˚, 270˚ 및 360˚의 각도로 제2지지유닛(20)이 회전된 자세로, 제1지지유닛(10)에 결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econd supporting
상기 제2전극부재(23)는 도전성 재질로 마련되어, 복수의 연결레일(12)을 통해 노출된 제1전극패턴(14)과 접속되도록 접속단자(24)와 제2전극패턴(25)이 마련된다. The
상기 접속단자(24)는 도 6의 (a) 및 (c)와 같이, 제1지지유닛(10)과 마주하는 제2전극부재(23)의 일면에 제1전극패턴(14)과 접촉되도록 복수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24)는 도 6의 (a)와 같이,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는 즉, "X"형으로 복수개 돌출된 연결돌기(22)에 중첩되도록 "X"형으로 복수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22)가 연결레일(12)에 삽입됨과 동시에 접속단자(24)가 연결레일(12)에 의해 노출된 제1전극패턴(14)의 제1패턴(15)과 접속될 수 있게 된다.6A and 6C, the
참고로, 상기 연결돌기(22)는 제2지지부재(21)와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접속단자(24)는 도전성 재질인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접속단자(24)가 연결돌기(22)의 중첩된 위치에서 연결돌기(22)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돌기(22)와 접속단자(24)의 위치가 상호 중첩될 경우에는 연결돌기(22) 및 접속단자(24)가 금속 재질의 하나의 몸체 즉,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제2전극패턴(25)은 도 6의 (b)와 같이, 제2전극부재(23)의 타면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2전극패턴(25)은 상호 동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동심 사각라인을 갖는 패턴으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2전극패턴(25)은 제1전극패턴(14)에 대응하여 5개의 전극라인을 갖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및 제2지지유닛(10)(20)의 결합과 접속을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The coupling and connection of the first and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지지유닛(10)(20)은 상호 결합되어 전자기기(E)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유닛(10)은 전자기기(E)를 지지한 상태이며, 제1지지유닛(10)의 연결레일(12)에 제2지지유닛(20)의 연결돌기(22)가 결합됨으로써, 제2지지유닛(20)에 제1지지유닛(10)에 지지된 전자기기(E)가 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레일(12)에 연결돌기(22)가 결합되는 각도에 따라 제2지지유닛(20)에 대한 전자기기(E)의 지지각도가 90˚, 180˚, 270˚로 가변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지지유닛(10)(20)의 결합각도가 가변되더라도 접속단자(24)는 제1전극패턴(14)의 동일 전극으로 접속된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irst and
그러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유닛(10)(20)의 결합각도에 따라, 제1전극패턴(14)에 접속되는 접속단자(24)의 전극 위치가 가변되어 접속이 온/오프(on/off)되거나 전기적 신호의 입/출력 방향이 가변되는 변형 실시예도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electrode position of the
또한, 상기 전자기기(E)는 제1지지유닛(10)의 제1전극부재(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며, 제1 및 제2지지유닛(10)(20)의 결합으로 인해 제1전극부재(13)의 일면에 마련된 제1패턴(15)에 제2지지유닛(20)의 접속단자(24)가 접촉되어 접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유닛(20)이 제1지지유닛(10)을 통해 최종적으로 전자기기(E)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2지지유닛(20)을 통해 전자기기(E)가 충전되거나 인터넷 연결, 음악/동영상 재생을 위한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지지유닛(20)이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피커, TV 또는 PC 등과 같이 또 다른 전자기기에 접속됨으로써, 제1지지유닛(10)에 지지된 전자기기(E)의 음향 또는 영상 신호를 제2지지유닛(20)에 연결된 타 전자기기로 전달하여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The electronic device E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100)의 제2지지유닛(120)이 도시된다. 참고로, 제2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100)는 제1실시예에 도시된 제1지지유닛(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9, a second supporting
도 9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제2지지유닛(120)은 제2지지부재(121), 연결돌기(122) 및 제2전극부재(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재(121), 제2전극부재(123)의 접속단자(124) 및 제2전극패턴(125)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9, the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돌기(122)가 2열로 상호 나란하게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는 형상을 가지고 제2지지부재(2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돌기(122)는 상호 "X"형으로 교차하되, 제2전극부재(123)의 접속단자(124)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도록 2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돌기(122)가 접속단자(124)와 중첩되지 않는다.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이러한 연결돌기(122)가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2열 배치됨에 따라, 도 10의 도시와 같이, 제1지지유닛(10)과의 결합자세의 가변이 용이하면서도 제1지지유닛(10)에 지지된 전자기기(E)와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0, since the
또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용 지지장치(200)의 제2지지유닛(220)은 접속단자(224)가 상호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는 "+"형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에 의한 접속단자(24)와 상이하다. 아울러, 제2전극부재(223)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전극패턴(225)이 복수의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접속단자(224)와 제2전극패턴(225)이 마련된 제2전극부재(223)를 제외한 제1지지유닛(10), 제2지지유닛(220)의 제2지지부재(221) 및 연결돌기(222)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1, the second supporting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접속단자(224)와 제2전극패턴(225)을 구비하는 제2전극부재(223)의 구성을 구비하더라도 도 12의 도시와 같이, 제2지지유닛(20)이 제1지지유닛(10)에 대해 다각도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Even if the structure of the
한편,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의한 제2지지유닛(20)(120)(220)의 연결돌기(22)(122)(222) 및 접속단자(24)(124)(224)가 모두 상호 교차하는 형상으로 복수개가 상호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3과 같이, 지지유닛(20')의 제1지지부재(21')로부터 복수의 연결돌기(22')가 상호 나란하게 복수열로 배치되고, 제2전극부재(23')의 복수의 접속단자(24')가 다열 연결돌기(22')의 사이에 1열 마련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돌기(22')가 레일 형상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연결레일(12)을 따라 0˚ 또는 180˚의 각도로만 진입하여 결합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The connection protrusions 22, 122, and 222 an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10: 제1지지유닛
11: 제1지지부재 12: 연결레일
13: 제1전극부재 20, 120, 220: 제2지지유닛
21, 121, 221: 제2지지부재 22, 122, 222: 연결돌기
23: 123: 223: 제2전극부재 24, 124, 224: 접속단자
25, 125, 225: 제2전극패턴 1: Suppor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10: First support unit
11: first supporting member 12: connecting rail
13:
21, 121, 221:
23: 123: 223:
25, 125, 225: second electrode pattern
Claims (17)
상기 제1지지유닛에 대해 다방향으로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지지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제2지지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유닛과 대면하는 위치의 상기 제1지지부재에 상호 나란하게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레일; 및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의해 상기 제2지지유닛을 향해 노출되는 제1전극패턴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제1전극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기기와 마주하는 판 형상의 제2지지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연결레일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연결돌기; 및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제2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재;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A first supporting unit that supports the electronic device and is electrically connectable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upport unit connectable in multiple directions to the first support unit, the second support unit being electrically connectable with the first support unit;
/ RTI >
The first supporting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A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support member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support unit; And
A plate-shaped first electrod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pattern exposed toward the second support unit b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 RTI >
Wherein the second support unit comprises:
A plate-shaped second support member facing the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first support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A plurality of connec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toward the connection rail t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And
A second electrode member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exposed throug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electromagnetic device.
상기 복수의 연결돌기의 단부는 단턱진 후크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결합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결합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rotrusion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with a stepped hook shape or have a rai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상기 제1전극패턴은,
상기 제2지지유닛과 마주하는 상기 제1전극부재의 일면에 상호 나란하게 다열 마련되는 복수의 도트(Dot) 또는 라인(Line) 형상을 가지는 제1패턴과, 상기 제1전극부재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상기 제1패턴에 접속되되 적어도 1회 절곡되도록 다열 마련된 복수의 라인 형상을 가지는 제2패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mprises:
A first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dots or a line sha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facing the second supporting uni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pattern on the oth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line shapes provided so as to be bent at least once.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제1지지유닛과 마주하는 상기 제2전극부재의 일면에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접촉되도록 복수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전극패턴은 상기 제2전극부재의 타면에 복수의 동심원 또는 복수의 동심 사각라인 형상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is protruded an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facing the first support uni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attern,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has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or a plurality of concentric rectangular line shape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상기 접속단자는 상호 나란하거나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열을 가지고 상기 제2전극부재에 대해 복수개 돌출 마련되며,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접속단자와 중첩 또는 이웃하도록 상호 나란하거나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가지고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복수개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electrode member with at least one row being parallel or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Wherein the connection protrusions are protrud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with at least one row that is parallel or intersected so as to overlap or neighbor the connection terminals.
상기 연결돌기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nection protrusion includes at least one protruding rail.
상기 제1지지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1지지유닛과 접속되는 제2지지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유닛은,
상기 전자기기의 일부를 커버하여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유닛과 대면하는 위치의 상기 제1지지부재에 상호 나란하게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레일; 및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의해 상기 제2지지유닛을 향해 노출되는 제1전극패턴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제1전극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제1지지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자기기와 마주하는 제2지지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연결레일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연결돌기; 및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제2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제2전극부재;
를 포함하여,
상기 제1지지유닛에 대해 상기 제2지지유닛이 적어도 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지지유닛의 결합 각도가 변환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유닛을 통해 상기 제2지지유닛이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A first supporting unit for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support unit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unit to support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unit;
/ RTI >
The first supporting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for covering and supporting a part of the electronic apparatus;
A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support member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support unit; And
A plate-shaped first electrod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pattern exposed toward the second support unit b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Lt; / RTI >
Wherein the second support unit comprises:
A second support member fac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first support unit therebetween;
A plurality of connec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toward the connection rail t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And
A second electrode member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exposed throug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and a second electrode pattern;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support unit is engaged with and engaged with the first support unit in at least one of two directions to change the engagement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units, 2 A supporting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support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복수의 연결돌기의 단부는 단턱진 후크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결합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레일에 결합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end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rotrusions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with a stepped hook shape or have a rai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rails.
상기 제1전극패턴은,
상기 제2지지유닛과 마주하는 상기 제1전극부재의 일면에 상호 나란하게 다열 마련되는 복수의 도트(Dot) 또는 라인(Line) 형상을 가지는 제1패턴과, 상기 제1전극부재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상기 제1패턴에 접속되되 적어도 1회 절곡되도록 다열 마련된 복수의 라인 형상을 가지는 제2패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attern comprises:
A first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dots or a line shap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member facing the second supporting uni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pattern connected to the first pattern on the oth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line shapes provided so as to be bent at least once.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제1지지유닛과 마주하는 상기 제2전극부재의 일면에 상호 나란하거나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열을 가지고 상기 제2전극부재에 대해 복수개 돌출 마련되어 상기 제1전극패턴과 접속되며,
상기 제2전극패턴은 상기 제2전극부재의 타면에 복수의 동심원 또는 복수의 동심 사각라인 형상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has at least one row of two or more rows which are parallel or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facing the first supporting unit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ttern by protru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member,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has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or a plurality of concentric rectangular line shape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member.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접속단자와 중첩 또는 이웃하도록 상호 나란하거나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가지고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복수개 돌출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nection protrusions are protrud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with at least one row that is parallel or intersected so as to overlap or neighbor the connection terminals.
상기 연결돌기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지지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nection protrusion includes at least one protruding rai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1301A KR101714222B1 (en) | 2015-09-17 | 2015-09-17 |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1301A KR101714222B1 (en) | 2015-09-17 | 2015-09-17 |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4222B1 true KR101714222B1 (en) | 2017-03-08 |
Family
ID=5840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13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4222B1 (en) | 2015-09-17 | 2015-09-17 |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422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54016A (en) * | 1992-11-24 | 1994-06-03 | Kuraray Co Ltd | Resin molded surface fastener member |
KR950703702A (en) * | 1992-10-16 | 1995-09-20 | 테릴 켄트 퀄리 |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AND FASTENER HAVING SAME |
KR101065763B1 (en) | 2010-12-24 | 2011-09-19 | 이태원 | Combined structure of a plurality of independent objects and applications thereof |
KR20130039889A (en) * | 2011-10-13 | 2013-04-23 | 윤성원 | Solar manufacturing technology, lego blocks |
-
2015
- 2015-09-17 KR KR1020150131301A patent/KR10171422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703702A (en) * | 1992-10-16 | 1995-09-20 | 테릴 켄트 퀄리 | INTERENGAGING FASTENER MEMBER AND FASTENER HAVING SAME |
KR100289824B1 (en) | 1992-10-16 | 2001-05-15 |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 Interlocking fastener members and fasteners having these members |
JPH06154016A (en) * | 1992-11-24 | 1994-06-03 | Kuraray Co Ltd | Resin molded surface fastener member |
KR101065763B1 (en) | 2010-12-24 | 2011-09-19 | 이태원 | Combined structure of a plurality of independent objects and applications thereof |
KR20130039889A (en) * | 2011-10-13 | 2013-04-23 | 윤성원 | Solar manufacturing technology, lego block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75439B2 (en) | Speaker connector | |
US20120014056A1 (en) | Rotating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CN111201070B (en) | Adapter for connecting toy blocks to snap-together electronic toys | |
US20210328394A1 (en) |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flexible covering and rigid frame or with two different connector arrange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 |
KR20170022442A (en) | Mobile terminal | |
US9337883B1 (en) | Protectio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US7297001B2 (en) | Wire winding device with transmission line which are pulled at one end | |
CN108493577B (en) |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1572971B1 (en) | Clip type contact terminal on the board | |
KR101714222B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 |
US9705181B2 (en) | Antenna connec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KR20140110185A (en) | A case of mobile phone and A case to protect a mobile phone and a sticker that has a NFC antena module for NFC communication. | |
US8944828B2 (en) | Audio jack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 |
TWI509876B (en) | Antenna module | |
CN108600440B (en) | Mobile terminal equipment and its receiver assembly | |
CN207818972U (en) | A kind of connector | |
CN207588103U (en) | A kind of connector | |
CN205039969U (en) | Small circuit structure and bluetooth headset | |
CN203871486U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130161173A1 (en) | Button assembly with one elastic member for multiple buttons | |
KR20160064698A (en) | the puzzle link multi-tap | |
KR20150095371A (en) | Double contact terminal on the board | |
US9502798B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 |
KR200497166Y1 (en) | Connecting device and auxiliary power supply | |
US9196989B2 (en) | Battery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