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143B1 - Power paraglider - Google Patents
Power paragli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4143B1 KR101714143B1 KR1020150033593A KR20150033593A KR101714143B1 KR 101714143 B1 KR101714143 B1 KR 101714143B1 KR 1020150033593 A KR1020150033593 A KR 1020150033593A KR 20150033593 A KR20150033593 A KR 20150033593A KR 101714143 B1 KR101714143 B1 KR 101714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nopy
- main body
- pair
- coupled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1/00—Aircraft intended to be sustained without power plant; Powered hang-glider-type aircraft; Microlight-type aircraft
- B64C31/02—Gliders, e.g. sailplanes
- B64C31/024—Gliders, e.g. sailplanes with auxiliary power pl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1/00—Aircraft intended to be sustained without power plant; Powered hang-glider-type aircraft; Microlight-type aircraft
- B64C31/028—Hang-glider-type aircraft; Microlight-type aircraft
- B64C31/036—Hang-glider-type aircraft; Microlight-type aircraft having parachute-type 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34—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wheeled type, e.g. multi-wheeled bogies
- B64C25/3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wheels, tyres or axles in gener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 B64C2700/629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02—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 B64D17/025—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for gliding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22—Load suspension
- B64D17/34—Load suspension adapted to control direction or rate of d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동력 패러글라이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부; 본체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본체부에 비행을 위한 양력을 제공하는 캐노피; 본체부와 캐노피를 연결하는 산줄; 본체부에 결합되어 본체부에 비행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 유닛; 및 일단이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캐노피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캐노피의 위치를 본체부 상에 지지하는 제1 지지대를 포함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가 제공된다.A power paraglider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nopy positioned above the body portion to provide lift to the body portion for flight; A line conne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canopy; A propulsion unit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provide a propulsion force for flight to the body portion; And a first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anopy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canopy on the main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력 패러글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paraglider.
패러글라이더(paraglider)는 바람을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공중을 비행할 수 있는 활공수단의 하나로서, 이러한 패러글라이더는 행글라이더(hang-glider)의 활공 특성 및 패러슈트(parachute)의 강하 특성의 중간적인 특성을 지님에 따라 보다 높은 안전성으로 인하여 그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Paraglider is one of the gliding means that can fly in the air by generating lift by using the wind. Such a paraglider is an intermediate glide characteristic of hang glider gliding characteristics and parachute Due to the higher safety, the supply is spreading.
종래 기술에 따르면, 패러글라이더는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되어 활공 가능한 양력을 발생시키는 캐노피를 구비하고, 캐노피의 하부에는 복수의 단위로 로프의 일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행과 열을 유지하여 배치된 산줄이 연결되며, 산줄의 타단부는 라이저(riser)에 의해 한묶음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캐노피는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연장되는 립(rip) 또는 세퍼레이터(separator)라 불리우는 다수의 격판에 의해 복수의 공기실을 형성하며, 이러한 공기실의 전단부에는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개구된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 paraglider is provided with a canopy for generating a lifting force capable of being inflated by air inflow, and a row of ropes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nopy in a plurality of units, And the other end of the line is connected in a bundle by a riser. A plurality of air chambers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diaphragms called rips or separators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anopy. Air is introduc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ir chamber An inlet is formed.
한편,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패러글라이더에 엔진과 프로펠러로 구성된 추진기가 추가 결합된 동력 패러글라이더 역시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동력 패러글라이더는 트라이크(trike)라 불리우는 메인 바디의 후단에 추진기를 결합하고, 또한 이러한 메인 바디에 상술한 캐노피와 산줄 등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a power paraglider, in which a propeller composed of an engine and a propeller is further coupled to the above paraglider, is also spreading. Such a power paraglider can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ropeller to a rear end of a main body called a trike, and connecting the canopy and a mountain line to the main body.
동력 패러글라이더는 엔진과 프로펠러로 구성된 추진기가 장착됨으로써 보다 원거리 비행이 가능하며, 또한 보다 높은 고도에서 비행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ower paraglider is equipped with a propeller consisting of an engine and a propeller, which makes it possible to fly more distantly and enjoy flying at higher altitudes.
본 발명은 지지대를 이용하여 본체부 상에서 캐노피의 위치를 일정하게 지지함으로써,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인으로 비행이 가능한 동력 패러글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paraglider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anopy is constantly supported on the main body portion by using a support, thereby allowing the pilot to fly unmanned without board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부; 본체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본체부에 비행을 위한 양력을 제공하는 캐노피; 본체부와 캐노피를 연결하는 산줄; 본체부에 결합되어 본체부에 비행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 유닛; 및 일단이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캐노피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캐노피의 위치를 본체부 상에 지지하는 제1 지지대를 포함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nopy positioned above the body portion to provide lift to the body portion for flight; A line conne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canopy; A propulsion unit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provide a propulsion force for flight to the body portion; And a first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anopy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canopy on the main body.
제1 지지대는, 캐노피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캐노피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는 만곡부; 및 만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만곡부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includes a curved portion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canopy and having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nopy; An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urved portion to connect the curved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만곡부의 너비는 캐노피의 너비 보다 작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curved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anopy.
동력 패러글라이더는, 본체부에 결합되며 캐노피의 양단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대; 및 한 쌍의 제2 지지대의 단부와 캐노피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캐노피의 양단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지지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paraglider includes a pair of second supports coupled to the body and extending to both ends of the canopy; And a pair of support wires connecting ends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s to both ends of the canopy to prevent both ends of the canopy from being deformed beyond an allowable limit.
본체부의 비행 조종을 위하여 캐노피의 후단부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조종줄; 및 한 쌍의 조종줄의 당김 정도를 각각 조절하여 본체부의 비행을 조종하는 한 쌍의 조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pair of control rod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canopy for flight control of the main body; And a pair of steering units for controlling the flight of the main body portion by adjusting the pulling degree of the pair of control ropes, respectively.
한 쌍의 조종 유닛 각각은, 한 쌍의 서보모터; 조종줄의 단부에 결합되는 풀리; 및 풀리에 감기어 양단이 한 쌍의 서보모터에 각각 연결되는 동력전달줄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steering units includes a pair of servo motors; A pulley coupled to an end of the control rod; And a power transmission line wound around the pulley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a pair of servo motors, respectively.
한 쌍의 조종 유닛 각각은, 한 쌍의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고 단부가 동력전달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줄의 당김 정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구동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steering units has a pair of driving arms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s of the pair of servo motors and whose ends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to control the pulling degree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
한 쌍의 서보모터는 서로 독립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pair of servo motors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동력 패러글라이더는, 본체부에 결합되어 본체부의 수상 이착륙시 본체부를 수상에 부유시키는 부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paraglider may further include a float coupled to the main body to suspend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at the time of taking-off and landing of the main body.
동력 패러글라이더는, 본체부의 이착륙시 본체부의 주행을 위하여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휠을 더 포함하고, 부유체는, 본체부의 지상에서의 주행시 지면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휠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power paraglider further includes a whee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for traveling of the main body during take-off and landing of the main body. The floa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heel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ground .
본 발명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는, 지지대를 이용하여 본체부 상에서 캐노피의 위치를 일정하게 지지함으로써,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인으로 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난 구조용, 군사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ower paragl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position of the canopy on the main body part by using a support rod so that the pilot can fly unattended in a state that the pilot is not boarding and thus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isaster relief,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캐노피와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캐노피, 산줄 및 조종줄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캐노피와 조종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조종 유닛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에 적용되는 부유체의 변형례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ed parag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anopy and a support of a powered parag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paragli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canopy, a line and a control line of a powered parag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opy and a control line of a powered parag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eering unit of a powered parag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ed paragli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a float applied to a power paragli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owered paragli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identical or corresponding element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휠(112), 캐노피(120), 산줄(130), 조종줄(135), 추진 유닛(140), 제1 지지대(150), 제2 지지대(160), 지지 와이어(170), 조종 유닛(180), 및 부유체(190)를 포함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100)가 제시된다.1 to 8, the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대(150)를 이용하여 본체부(110) 상에서 캐노피(120)의 위치를 일정하게 지지함으로써,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무인 비행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동력 패러글라이더(100)가 재난 구조용(해상 구조, 산악 구조), 군사용(정찰, 영상 확보, 병력 침투, 포탄 투하 등) 등 특수 목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지지대(150)를 이용하여 캐노피(120) 전단부를 일정 위치(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이륙시 요구되는 활주 거리를 제1 지지대(150)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40% 정도 줄일 수 있으며, 이륙후 비행시에도 난기류, 강풍 등에 의해 캐노피(120)의 단부가 접히는 등 캐노피(120)에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큰 변형이 일어남에 따라 동력 패러글라이더(100)가 추락하게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end of the
캐노피(120)의 전단부에는 공기 흡입구(I)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륙을 위하여 추진 유닛(140)이 구동되어 본체부(110)가가 활주로를 주행하게 되면 이러한 공기 흡입구(I)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서 캐노피(120)가 양력 발생을 위한 익형을 갖추게 되고, 이에 따라 본체부(110)가 양력을 받아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비행이 시작된다.The air intake port I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지지대(150)로 캐노피(120)의 전단부, 즉 공기 흡입구(I)가 형성된 캐노피(120)의 앞쪽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이륙을 위한 본체부(110) 주행시 캐노피(120)의 공기 흡입구(I)를 통해 공기가 원활히 흡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빠른 시간에 실패 없이 캐노피(120)가 비행을 위한 바람직한 익형을 확보할 수 있어 비행을 위한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활주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이륙후 상공 비행 중 동력 패러글라이더(100)가 난기류, 강풍 등을 접하는 경우에도 제1 지지대(150)에 의해 캐노피(120) 변형이 최소화되므로 동력 패러글라이더(100) 비행의 안정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것이다.The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100) 및 그 변형례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power paraglider 100 and the modifica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단위 관(pipe)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한 프레임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의 하부에는 본체부(110)의 이착륙시 본체부(110)의 주행을 위한 휠(112)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여기서, 휠(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한 개, 후방에 두 개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3개의 휠(112)이 설치된 본체부(110)의 구조를 소위 트라이크(trike)라 칭할 수 있다.1, the structure of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부(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추진 유닛(140)을 보호하기 위하여 추진 유닛(140) 둘레에는 고리 형태를 갖는 서브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ubframe having a ring shape may be formed around the
종래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경우 본체부(110)에 조종사의 탑승을 위한 하네스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조종사 없이 비행이 가능한 무인 타입의 동력 패러글라이더(100)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부(110)에는 하네스가 생략될 수 있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ower paraglider, a harness for boarding a pilot is installed in the
본체부(110)에는 추진 유닛(14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 필요한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카메라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군사용 목적으로 이용될 경우 포탄 등의 적재를 위한 공간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측에는 캐노피(12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캐노피(120)는 산줄(130)에 의해 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캐노피(120)는 측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전단부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공기 흡입구(I)가 형성될 수 있다.1, the
이륙을 위해 본체부(110)가 추진 유닛(140)에 의해 주행하면 캐노피(120)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캐노피(120) 내부, 즉 복수의 세퍼레이터에 의해 구획된 캐노피(120) 내부 각 공기실에 공기가 주입되어, 캐노피(120)는 익형을 이루면서 양력을 받아 본체부(110)을 이륙시키게 된다.When the
이 경우 세퍼레이터 각각에는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어 각 공기실 간 공기는 이를 통해 원활히 유동될 수 있으므로,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비행 중 난기류, 강풍 등에 의해 캐노피(120) 일부분의 형상에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인접한 공기실로부터 공기가 유동되어 곧바로 캐노피(120)의 형상이 복원될 수 있다.In this case, air holes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separators, so that the air between the air chambers can smoothly flow through the air chambers, so that the shape of a part of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120)는 산줄(130)을 통해 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캐노피(120)의 하면에 단위 가닥의 산줄(130)이 결합되며 이들 단위 가닥이 라이저에 의해 묶음을 이루게 된다. 산줄(13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조종줄(135)을 제시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추진 유닛(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후방에 결합되어 본체부(110)에 주행 및 비행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추진 유닛(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42), 프로펠러(14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엔진(142)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가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ropelling
추진 유닛(140)은 추진 유닛(140)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닛의 작동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추진력, 즉 프로펠러(144)의 회전 속도 등이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제어 유닛은 기입력된 작동 데이터에 따라 정해진 방식으로 추진 유닛(140)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지상에 있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달 받아 그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추진 유닛(140)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The
추진 유닛(140)의 작동에 의해 본체부(110)가 주행을 시작하면 캐노피(120)에 공기가 흡입되어 캐노피(120)가 익형을 갖추게 되며, 그에 따라 캐노피(120)는 양력을 받게 된다. 추진 유닛(140)이 계속 작동함에 따라 본체부(110)의 주행 속도가 증가하면 캐노피(120)에 작용하는 양력도 증가하게 되어 캐노피(120)는 본체부(110)와 함께 이륙하여 비행을 시작하게 된다.When the
제1 지지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본체부(1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캐노피(120)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캐노피(120)의 위치를 본체부(110) 상에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대(150)는 관(pipe) 형상을 갖는 만곡부(152)와 연결부(154)로 이루어질 수 있다.1, one end of the
만곡부(1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120)의 전단부, 즉 캐노피(120)의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앞쪽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곡부(1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120)의 전단부에서도 하단부, 즉 공기 흡입구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캐노피(120)의 전단부 하측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복수의 고리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리를 통과하여 만곡부(152)가 삽입됨으로써 만곡부(152)가 캐노피(120)의 전단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rings can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low the front end of the
그리고 만곡부(1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노피(120)는 측단면을 기준으로 익형을 가지며, 종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만곡된 형상, 즉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만곡부(152)의 만곡된 정도가 캐노피(120)의 형상과 대응됨으로써 만곡부(152)는 캐노피(120) 전단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연결부(15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5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만곡부(152)와 본체부(11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54)는 직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만곡부(152)를 본체부(110)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54)와 만곡부(152)는 T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이 경우, 만곡부(152)와 연결부(154)는 본체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비행 전후에는 수납의 용이성을 위해 본체부(1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150)가 캐노피(120)의 공기 흡입구 측 부분, 즉 전단부를 지지하여, 캐노피(120)의 전단부에 대한 골격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캐노피(120)의 전단부는 본체부(110)의 주행전, 인력에 의하지 않고도 이륙을 위한 정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되며, 캐노피(120) 전단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I) 역시 이륙에 유리한 정방향, 즉 본체부(110) 주행 방향의 역방향을 향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이에 따라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이륙시 요구되는 활주 거리가 약 40% 이상 감소될 수 있어, 활주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협소한 지형에서도 동력 패러글라이더(100)를 효과적으로 이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liding distance required when taking off the power paraglider 100 can be reduced by about 40% or more, so that the power paraglider 100 can be effectively taken off even in a narrow terrain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sliding distance.
종래 동력 패러글라이더의 경우 캐노피(120)를 인력에 의해 완전히 펼쳐 놓은 이후 비교적 장거리의 활주를 통해야만 이륙이 가능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주행의 반대 방향으로 정풍이 불지 않으면 캐노피(120) 형태가 변형되면서 이륙에 실패하고, 때에 따라서는 장비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150)를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ower paraglider, the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52)의 너비는 캐노피(120)의 너비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노피(120)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는 캐노피(120)의 전체 너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캐노피(120)의 양단 부위(예를 들어 캐노피(120) 끝으로부터 1.2 내지 1.3m)에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지 않는 스테빌라이져(stabilizer)가 형성될 수 있다.1 and 2, the width of the
이러한 스테빌라이져 부분은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비행 안정성을 위해 어느 정도의 자유도가 확보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만곡부(152)는 캐노피(120)의 전단부 중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중앙 영역(캐노피(120)의 너비를 기준으로 양단 1.2 내지 1.3m 만큼씩 제외한 영역)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을 지지하게 된다.This stabilizer portion needs to be secured to some degree of freedom for the flight stability of the power paraglider 100. Accordingly, the
한 쌍의 제2 지지대(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각각 결합되며 캐노피(120)의 양단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대(160)는 V자 형태로 배치되어 본체부(110)로부터 캐노피(120)의 양단을 향할 수 있다.The pair of
이 경우, 제2 지지대(160) 역시 본체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수납의 용이성을 위해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비행 전후에 본체부(1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 쌍의 지지 와이어(1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지지대(160)의 단부와 캐노피(12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 와이어(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120)의 양단이 허용 한도(L)를 초과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air of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150)의 만곡부(152)는 캐노피(120)의 전단부 중 양단은 지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이륙 또는 비행 중 만곡부(152)에 지지되지 않은 양단은 강풍 또는 난기류 등에 의해 접혀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노피(120) 양단 형상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여 변형되는 경우 피칭이 발생되는 등 비행이 불안정하게 되어 이륙에 실패하거나 비행 중 추락이 일어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캐노피(120)의 양단 측으로 제2 지지대(160)를 배치하고 제2 지지대(160) 단부와 캐노피(120) 양단 사이에 지지 와이어(170)를 연결하여, 캐노피(120)의 양단이 허용 한도(L, 지지 와이어(170)의 길이에 대응됨)를 초과하여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륙 또는 비행 중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안정성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다.The
여기서 지지 와이어(170)는 산줄(130)과 동일하게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예를 들어 40cm일 수 있다.Here, the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에서는 제2 지지대(160)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제1 지지대(150)만을 이용하여 캐노피(120)를 지지하고 있는 구조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도 3을 통해 명확히 하여 둔다.FIG. 3 shows a power paraglid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한 쌍의 조종줄(13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비행 조종을 위하여 캐노피(120)의 후단부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종줄(135)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상술한 산줄(130)의 세부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A pair of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줄(130)은 캐노피(12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가는 방향으로 배치된 A라인, B라인, C라인 및 D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A라인은 이륙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A라인을 적절히 당김으로써 캐노피(120) 내부로 공기가 원활히 유입될 수 있다. B라인은 고속 하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B라인을 당기면 공기 유입을 방해하여 수직 하강 속도를 높일 수 있다. C라인은 각 라인 간 균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D라인은 조종줄(135)의 손상시 조종줄(135)을 대신하여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비행 조종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이와 같이, 위치에 따라 A라인, B라인, C라인, D라인이 배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방에 조종줄(135)이 배치될 수 있다. 조종줄(135)은 본체부(110)의 비행 조종을 위한 구성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120)의 후단부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 line, the B line, the C line, and the D line are arr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s, and the
예를 들어 캐노피(120) 우측의 조종줄(135)이 아래로 당겨지면 캐노피(120) 후단부 우측이 아래로 접히면서 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 패러글라이더(100)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캐노피(120) 좌측의 조종줄(135)이 당겨지는 경우 이와 반대로 좌측으로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캐노피(120) 양측의 조종줄(135)을 모두 당기는 경우 양측에 모두 저항이 발생되어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속력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한 쌍의 조종 유닛(18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종줄(135)의 당김 정도를 각각 조절하여 본체부(110)의 비행을 조종할 수 있다. 조종 유닛(18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서보모터(188), 풀리(182), 동력전달줄(184), 구동암(186)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air of steering
이러한 조종 유닛(180)은 조종 유닛(180)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닛의 조종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보모터(188)의 회전 정도 등이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제어 유닛에는 자동 항법 시스템이 탑재될 수 있어 전자 제어 유닛은 이러한 자동 항법 시스템과 기입력된 조종 데이터에 따라 조종 유닛(180)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지상에 있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달 받아 그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조종 유닛(180)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Such a
하나의 조종 유닛(18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서보모터(18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서보모터(188)로 하나의 조종줄(135)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서보모터(188)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서로 독립 제어되어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종줄(135)이 선택적으로 당김 또는 당김 해제될 수 있다.One
지상에서 무선 송신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 제어 유닛을 경유하여) 조종 유닛(18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무선 송신기는 서보모터(188)와 1:1 매칭되어 이용될 수 있으므로, 서보모터(188)를 복수로 설치하는 경우, 서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예를 들어 출발지와 도착지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무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조종줄(135)을 각기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ng signal is applied to the steering unit 180 (via the electronic control unit) using a radio transmitter or the like on the ground, the radio transmitter can be used in a 1: 1 match with the
즉,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소위, 듀얼 컨트롤(dual control)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동력 패러글라이더(100)를 보다 장시간 동안 보다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복수의 서보모터(188)에 의한 조종줄(135)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at is, so-called dual control by a plurality of users is possible, and thus the power paraglider 100 can be operated more safely for a longer time. Hereinafter,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풀리(18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줄(135)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동력전달줄(184)이 이러한 풀리(182)에 감기어 양단이 한 쌍의 서보모터(188)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암(186)은 한 쌍의 서보모터(188)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고 단부가 동력전달줄(184)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줄(184)의 당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서보모터(188)가 작동되는 경우 그에 결합된 좌측 구동암(186)이 회전 운동하며, 그에 따라 동력전달줄(184)의 좌측단이 당겨지면서 풀리(182)를 통해 하중이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조종줄(135)이 당겨지게 된다. 이와 달리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서보모터(188)가 작동되는 경우 우측 구동암(186)의 회전에 따라 동력전달줄(184)의 우측단이 당겨지면서 조종줄(135)이 당겨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 패러글라이더(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패러글라이더(100)의 본체부(110) 하부에는 부유체(19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IG. 7 shows a power paraglid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부유체(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결합되어 본체부(110)의 수상 이착륙시 본체부(110)을 수상에(예를 들어, 강물, 바닷물, 갯벌 위에) 부유시킬 수 있다. 동력 패러글라이더(100)는 사용 목적에 따라 수상에서 이륙 또는 착륙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본체부(110)의 하부에는 판 형상의 부유체(190)가 설치될 수 있다.The
이 경우 부유체(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12)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부(110)의 지상에서의 주행시, 부유체(190)와 지면 간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부유체(190)는, 본체부(110), 추진 유닛(140) 등 나머지 구성의 하중을 수상에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부력을 가질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이나 형상(체적, 표면적, 너비, 두께 등)을 가져도 무방하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동력 패러글라이더(power paraglider)
110: 본체부
112: 휠(wheel)
120: 캐노피(canopy)
130: 산줄(suspension line)
135: 조종줄
140: 추진 유닛
142: 엔진(engine)
144: 프로펠러(propeller)
150: 제1 지지대
152: 만곡부
154: 연결부
160: 제2 지지대
170: 지지 와이어(supporting wire)
180: 조종 유닛
182: 풀리(pulley)
184: 동력전달줄
186: 구동암
188: 서보모터(servo-motor)
190: 부유체
I: 공기 흡입구
L: 허용 한도100: Power paraglider
110:
112: wheel
120: Canopy
130: suspension line
135: Steering column
140: Propulsion unit
142: engine
144: Propeller
150: first support
152:
154:
160: second support
170: supporting wire
180: Steering unit
182: pulley
184: Power transmission line
186: drive arm
188: Servo-motor
190: float
I: Air intake
L: Tolerance
Claims (10)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에 비행을 위한 양력을 제공하는 캐노피;
상기 본체부와 상기 캐노피를 연결하는 산줄;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비행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 유닛; 및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노피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캐노피의 위치를 상기 본체부 상에 지지하는 제1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캐노피의 전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캐노피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만곡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
A body portion;
A canopy positioned above the body to provide lift to the body;
A line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anopy;
A propulsion unit coupled to the body to provide a propulsion force to the body for flight; And
And a first support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at one end and is coupled to a front end part of the canopy at the other end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canopy on the main body part,
Wherein the first support comprises:
A curved portion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canopy and having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nopy;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urved portion and connecting the curved portion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만곡부의 너비는 상기 캐노피의 너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curved por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anopy.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캐노피의 양단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의 단부와 상기 캐노피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캐노피의 양단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지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
The method of claim 3,
A pair of second support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extending to both ends of the canopy; And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upport wires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s to both ends of the canopy to prevent both ends of the canopy from being deformed beyond an allowable limit.
상기 본체부의 비행 조종을 위하여 상기 캐노피의 후단부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조종줄; 및
상기 한 쌍의 조종줄의 당김 정도를 각각 조절하여 상기 본체부의 비행을 조종하는 한 쌍의 조종 유닛을 포함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control rod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canopy for flight control of the main body; And
And a pair of steering units that control the degree of pulling of the pair of steering rods to control the flight of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한 쌍의 조종 유닛 각각은,
한 쌍의 서보모터;
상기 조종줄의 단부에 결합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에 감기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서보모터에 각각 연결되는 동력전달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each of the pair of steering units comprises:
A pair of servo motors;
A pulley coupled to an end of the control rod; And
And a power transmission line wound around the pulleys and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pair of servo motors,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조종 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고 단부가 상기 동력전달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줄의 당김 정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구동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pair of steering units comprises:
And a pair of driving arm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s of the pair of servo motors and each having an e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controlling the degree of pulling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ccording to the rotation, Powered paraglider.
상기 한 쌍의 서보모터는 서로 독립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air of servo motors are selectively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수상 이착륙시 상기 본체부를 수상에 부유시키는 부유체를 더 포함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oat coupled to the main body to suspend the main body to the aquaplane upon taking-off and landing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부의 이착륙시 상기 본체부의 주행을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는, 상기 본체부의 지상에서의 주행시 지면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휠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패러글라이더.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wheel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for driving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lifted and lowered,
Wherein the floa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wheel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ground when traveling on the ground of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3593A KR101714143B1 (en) | 2015-03-11 | 2015-03-11 | Power paragli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3593A KR101714143B1 (en) | 2015-03-11 | 2015-03-11 | Power paragli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9353A KR20160109353A (en) | 2016-09-21 |
KR101714143B1 true KR101714143B1 (en) | 2017-03-09 |
Family
ID=5708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3593A Active KR101714143B1 (en) | 2015-03-11 | 2015-03-11 | Power paragli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41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0403B1 (en) | 2018-12-05 | 2020-04-13 | 주식회사 원진 | Take Off And Landing apparatus for powered paraglid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7800B1 (en) * | 2018-01-26 | 2018-07-13 | 주식회사 진글라이더 | A Balancing Device for Powered Paragliders |
CN111907700A (en) * | 2019-07-26 | 2020-11-10 | 徐方 | Manpower flight parachute |
GB2602971A (en) * | 2021-01-20 | 2022-07-27 | Animal Dynamics Ltd | A canopy yoke attachmen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6193A (en) * | 1992-06-30 | 1994-01-25 | Tetsuya Kaneko | Parachute glider @(3754/24)paraglider) |
JPH1159595A (en) * | 1997-08-11 | 1999-03-02 | Mugen:Kk | Industrial unmanned motor paraplane |
KR200295513Y1 (en) | 2002-08-02 | 2002-11-18 | 최방식 | A paraglider |
-
2015
- 2015-03-11 KR KR1020150033593A patent/KR101714143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0403B1 (en) | 2018-12-05 | 2020-04-13 | 주식회사 원진 | Take Off And Landing apparatus for powered paragli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9353A (en) | 2016-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12404B2 (en) |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 |
US10710718B2 (en) | Personal flight vehicle | |
US10144509B2 (en) | High performance VTOL aircraft | |
US5620153A (en) | Light aircraft with inflatable parachute wing propelled by a ducted propeller | |
EP2899122B1 (en) |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 |
US7530527B2 (en) | Method and device for launching aerial vehicles | |
ES2537182T3 (en) | Aircraft that includes aerodynamic structures | |
KR101646736B1 (en) | Joined wing type unmanned aircraft | |
EP2347955A2 (en) | Aircraft system that enables ground traveling | |
KR101714143B1 (en) | Power paraglider | |
KR101933003B1 (en) | A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Quadrotor Drone having A Fixed Wing | |
CN103347782A (en) | aircraft | |
US20160368597A1 (en) | Torque balanced, lift rotor module providing increased lift with few or no moving parts | |
US20120187236A1 (en) | Vertical and horizontal flight aircraft "Sky Rover" | |
EP3959126B1 (en) |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related control method | |
CN109071009B (en) | The aerial vehicle of multipurpose | |
CN108725777A (en) | A kind of amphibious unmanned vehicle promoted based on duct vector | |
CN104276281A (en) | One-man flight vehicle | |
US5901924A (en) | Speed enhanced powered parachute | |
CN206050070U (en) | A kind of multi-rotor aerocraft for being capable of rapid decrease | |
CN105818955A (en) | Multi-functional flying and floating platform | |
CN107108008A (en) | Improved airship | |
CN101223079A (en) | High security aircraft | |
RU2775656C1 (en) | Automated precision cargo delivery system by air | |
GB2229413A (en) | Rotating circular wing aircraf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